KR102184586B1 - 파노라마 이미지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파노라마 이미지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586B1
KR102184586B1 KR1020197017921A KR20197017921A KR102184586B1 KR 102184586 B1 KR102184586 B1 KR 102184586B1 KR 1020197017921 A KR1020197017921 A KR 1020197017921A KR 20197017921 A KR20197017921 A KR 20197017921A KR 102184586 B1 KR102184586 B1 KR 102184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anoramic image
parameter
smart television
adjustment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7530A (ko
Inventor
단 양
시안준 왕
유 저우
이 셰
강 수
지아 추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8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파노라마 이미지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이 개시되며,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스마트 텔레비전이 현재 디스플레이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수신된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에 응답하여,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이동 단말에 결합된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는 단계;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스마트 텔레비전이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 및/또는 시점을 조정하도록,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파노라마 이미지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본 특허출원은, 2017년 3월 28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파노라마 이미지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인 중국 출원 제201710191254.X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상기 문헌의 내용은 그 전체로서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present)하고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파노라마는 360도의 수평 시야각(viewing angle) 및 180도의 수직 시야각을 갖는 이미지이다. 파노라마 이미지는 입체효과와 현실감을 가지며, 매우 비용 효율적인 가상 현실 솔루션이다. 파노라마 기술에서는 캐릭터와 캐릭터의 전체 행동(action) 사이의 상호 관계가 충분히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노라마에서 캐릭터와 환경을 통합하여 캐릭터와 장면을 포함하는 생생한 그림을 만들 수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의 대중화에 따라, 증가하는 수의 디지털 텔레비전 단말은 컴퓨팅 능력을 가지며, 디지털 처리 능력은 점점 더 높아지고, 인터넷에 직접 연결될 있는 네트워크 텔레비전과 같은 스마트 텔레비전이 나타난다. 현재 스마트 텔레비전에서 재생되는 비디오의 이미지는 제한 시야각을 가지며, 입체 효과가 부족하고, 스마트 텔레비전에서 파노라마 비디오를 재생하는 것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본 출원의 실시 예는 이동 단말에 적용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present)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provide)하며, 상기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이동 단말과 결합된(bound)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고, 스마트 텔레비전이 현재 제공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작동(operation)에 응답하여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디스크립션(description)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adjustment)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며, 스마트 텔레비전은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하도록, 이동 단말의 작동에 응답하여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 예는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적용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스마트 텔레비전이 현재 제공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수신된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에 응답하여,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이동 단말과 결합된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는 단계;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디스크립션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스마트 텔레비전이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하도록,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여,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이동 단말과 결합된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고, 스마트 텔레비전이 현재 제공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작동에 응답하여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디스크립션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며, 스마트 텔레비전은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하도록, 이동 단말의 작동에 응답하여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여,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스마트 텔레비전이 현재 제공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수신된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에 응답하여,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이동 단말과 결합된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는 단계;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디스크립션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스마트 텔레비전이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하도록,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은 기계(machine) 판독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전술한 방법을 완료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솔루션에 따르면, 파노라마 이미지가 더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 예 또는 현존하는 기술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 또는 현존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요구되는 첨부 도면을 간단히 설명한다. 명백하게, 다음의 설명에서의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 예를 도시하고, 당업자는 창조적인 노력 없이도 이들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 예 또는 현존하는 기술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 또는 현존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요구되는 첨부 도면을 간단히 설명한다. 명백하게, 다음의 설명에서의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 예를 도시하고, 당업자는 창조적인 노력 없이도 이들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측에 적용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상의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옵션을 제공하는 페이지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텔레비전상의 이전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이미지가 변환된 후에 획득된 이미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이미지가 확대된(enlarged) 후에 획득된 이미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좌표계를 파노라마 좌표계에 매칭하는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좌표계 및 파노라마 공간 좌표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텔레비전상의 패턴 식별 코드를 제공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 및 스마트 텔레비전상의 파노라마 이미지를 동기식으로 제공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이미지를 동기식으로 제공하면서 이동 단말의 프롬프트 정보를 제공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프롬프트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조정한 후 사용자에 의해 타깃 객체(target object)를 찾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 측에 적용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측에 적용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 측에 적용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을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설명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 예 대신 일부 실시 예일 뿐이다. 창조적인 효과 없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 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본 출원은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 아키텍처는 도 1에 도시된다. 시스템 아키텍처는 이동 단말(101), 스마트 텔레비전(102), 미디어 콘텐츠(content) 서버(103) 및 인터넷(104)을 포함한다. 이동 단말(101) 및 스마트 텔레비전(102)은 인터넷(104)을 통해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연결된다.
이동 단말(101)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사용자의 스마트 폰 또는 PDA 또는 사용자의 다른 휴대용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101)을 사용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로그인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클라이언트는 비디오 재생 클라이언트일 수 있다. 인터넷(104)은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텔레비전(102)은 비디오 재생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와 함께 설치되어 온라인 비디오 자원 또는 로컬 비디오 자원을 재생한다.
본 출원은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적용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주로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201 :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한다.
여기서, 파노라마 이미지는 파노라마 사진(picture) 또는 파노라마 이미지일 수 있다. 먼저, 이동 단말(101)은 스마트 텔레비전(102)과의 결합(binding)을 구축한다.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은 이동 단말(101)이 스마트 텔레비전(102)과 성공적으로 결합된 후에 이동 단말(101)에 의해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송신된 결합 승인 명령(binding acknowledgment instructio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1)은 스마트 텔레비전상에 제공된 패턴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는 것에 의해 스마트 텔레비전과 결합된다. 이동 단말이 패턴 식별 코드를 스캔하고 식별할 때, 이동 단말은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한다.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한 후,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는 파노라마 이미지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명령을 스마트 텔레비전(102)에 송신함으로써, 스마트 텔레비전이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101)이 스마트 텔레비전(102)과 결합된 후에, 파노라마 이미지의 웹 페이지가 자동으로 이동 단말 상에 오픈되고, 파노라마 이미지는 파노라마 이미지의 웹 페이지 및 스마트 텔레비전상에 동기식으로(synchronously) 제공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은 선택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텔레비전(102)은 파노라마 이미지 재생 요청을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송신하고, 미디어 콘텐츠 서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할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재생 요청을 이동 단말에 송신한다. 광고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프리젠테이션이 예로서 사용된다. 스마트 텔레비전(102)이 광고를 제공하고자 할 때, 스마트 텔레비전(102)은 파노라마 이미지 프리젠테이션 요청을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송신하고,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할지의 여부를 지시하는(indicate) 프롬프트 정보(301)를 이동 단말(101)에 송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01)은 이동 단말(101) 상에 설치된 비디오 APP 상에 프롬프트 정보(301)를 제공하고, 예(Yes) 옵션(302) 및 아니오(No) 옵션(303)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옵션(302)을 선택하는 경우, 이동 단말은 프리젠테이션 승인(acknowledgment) 메시지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송신하고,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는 프리젠테이션 승인 메시지를 스마트 텔레비전(102)에 송신함으로써, 스마트 텔레비전이 광고의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한다. 파노라마 이미지는 파노라마 사진 또는 파노라마 비디오일 수 있다. 사용자가 옵션(303)을 선택할 때, 이동 단말(101)은 프리젠테이션 승인 메시지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송신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 텔레비전(102)은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지 않는다.
단계 202. 스마트 텔레비전이 현재 제공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수신된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에 응답하여,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이동 단말과 결합된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한다.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한 후, 스마트 텔레비전은 현재 제공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한다. 파노라마 이미지는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의해 스마트 텔레비전(102)에 미리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텔레비전이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비디오를 요청할 때, 비디오는 광고를 운반한다. 비디오 데이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할 때, 미디어 콘텐츠 서버는 광고에 대응하는 자료(material)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한다. 광고에 대응하는 자료는 광고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 또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3.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이동 단말의 3차원 공간에서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description parameter)를 수신한다.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는 위치 변화(change) 파라미터 및 자세(posture) 변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1)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는 실내 측위(indoor positioning), 구체적으로는 Wi-Fi 실내 측위 또는 블루투스 실내 측위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Wi-Fi 실내 측위를 위해, 이동 단말은 이동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 신호 세기를 사용하여 측위될(positioned) 수 있다. Wi-Fi 핫스폿(hotspot)의 좌표는 알려져 있으며, 이동 단말은 Wi-Fi 핫스폿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세기는 Wi-Fi 핫 스폿과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와 특정한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이동 단말과 Wi-Fi 핫 스폿 사이의 거리는 신호의 세기를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동 단말과 3개 이상의 Wi-Fi 핫 스폿 사이의 거리에 따라, 이동 단말의 좌표가 Wi-Fi 핫 스폿의 좌표를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Wi-Fi 실내 측위의 또 다른 방식은 지문 식별과 유사하며, 복수의 의미론적 위치가 정의되고, 각각의 의미론적 위치에 대해 Wi-Fi 신호가 수집되어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한다. 측위 동안에 이동 단말에 의해 측정된 Wi-Fi 신호가 "지문 데이터베이스"에 이미 존재하는 Wi-Fi 신호와 비교되어, 신규 신호와 최적으로 매칭되는 "지문 데이터베이스"의 가장 적합한 위치에서의 Wi-Fi 신호를 결정한다. 이 경우, 이동 단말이 그 위치에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고려될 수 있다.
블루투스 실내 측위에서, 여러 블루투스 로컬 영역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실내에 배치되어 네트워크가 복수의 사용자에 기반하여 기본 네트워크 연결 모드에 있도록 하며, 블루투스 로컬 영역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항상 마이크로넷(micronet)에서 기본 디바이스(primary device)이다. 그 다음에, 이동 단말에 의해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삼각 측위가 수행된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을 무작위로 상향(upward), 하향(downward), 좌향(leftward), 우향(rightward), 좌측 상향(upward to the left), 우측 하향(downward to the right)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동 단말을 무작위로 상향, 하향, 좌향, 우향, 좌측 상향, 좌측 하향, 우측 상향(upward to the right), 우측 하향 등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동 단말을 푸시하고(push), 당기고(pull) 및/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이동 단말(101)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는 이동 단말의 이전 위치 좌표 및 현재 위치 좌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동 단말의 이전 위치 좌표 및 현재 위치 좌표는 Wi-Fi 실내 측위 또는 블루투스 실내 측위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는 이동 단말(101)의 기준점 위치(reference point location)의 좌표와 현재 위치의 좌표에 따라 결정된다.
이동 단말에 대한 자세 변화 파라미터가 획득되는 경우, 이동 단말(101)은 자이로스코프를 구비하고, 자이로스코프는 중력 방향, 즉 수직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의 기준점에서의 편향 각(deflection angle)과 현재 위치에서의 편향 각이 자이로스코프로부터 획득된 센서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고, 이동 단말(101)의 자세 변화 파라미터가 이동 단말(101)의 기준점에서의 편향 각과 현재 위치에서의 편향 각에 따라 결정된다.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에, 이동 단말은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회전 또는 이동과 같은 작동(operation)에 따라 편향 각 변화 및 위치 변화 등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이 반시계 방향으로 30도 회전하면, -30 도의 값이 이동 단말상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이동 단말이 X의 거리만큼 좌향으로 이동되면, 이에 대응하여 -X가 디스플레이되며; 이동 단말이 좌측 상향으로 직접 이동되어 좌향으로 X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상향으로 Y만큼 이동하면, 데이터(-X, Y)가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이동 단말이 X의 거리만큼 좌향으로 그리고 Y의 거리만큼 상향으로 직접 이동되고, Z의 거리만큼 스마트 텔레비전에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되면, 데이터(-X, Y, Z)가 디스플레이된다. 3차원 공간에서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은 유사하다.
단계 204. 디스크립션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adjustment)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조정 파라미터는 시점(viewpoint) 조정 파라미터 및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고, 시점 조정 파라미터는 디스크립션 파라미터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는 디스크립션 파라미터의 자세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파노라마 이미지가 획득되는 경우, 360도의 파노라마 이미지 또는 720도의 파노라마 이미지가 상이한 촬영 위치에서 촬영되고, 상이한 시점에 대응하는 상이한 촬영 위치 및 시점의 좌표가 기록된다. 고정된 시점에서, 360도의 파노라마 이미지 또는 720도의 파노라마 이미지가 촬영되며, 상이한 각도는 상이한 시야각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점 및 시야각의 3차원 좌표를 포함하는 파노라마 좌표 데이터베이스가 형성되고, 상이한 시점 및 시야각이 상이한 파노라마 이미지에 대응한다.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제1 기준점은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제2 기준점에 대응하고,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좌표 및 자세는 파노라마 좌표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시점 좌표 및 시야각에 대응한다.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제2 기준점에 대한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및 시야각의 시점 변화 파라미터 및 시야각 변화 파라미터는, 이동 단말의 제1 기준점에 대한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계 205. 스마트 텔레비전이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하도록,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한다.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제2 기준점에 대한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및 시야각의 시점 변화 파라미터 및 시야각 변화 파라미터를 획득한 후에, 미디어 콘텐츠 서버는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함으로써, 스마트 텔레비전은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및 시야각을 결정하고,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및 시야각을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텔레비전은 리조트(resort)의 광고를 제공하고, 스마트 텔레비전은 광고의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이 X만큼 좌향으로 그리고 Y만큼 상향으로 이동된 후, 미디어 콘텐츠 서버는 데이터 매칭을 통해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이 X1만큼 좌향으로 그리고 Y1만큼 상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결정하며, 시점 변화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한다. 스마트 텔레비전은 시점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시점이 X1만큼 좌향으로 그리고 Y1만큼 상향으로 이동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이 Z만큼 후방(backword)으로 이동된 후, 미디어 콘텐츠 서버는 데이터 매칭을 통해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이 Z1만큼 후방으로 이동된 것으로 결정하고,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한다. 스마트 텔레비전은 시점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시점이 Z1만큼 후방으로 이동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한다.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이미지의 확대 및 축소(enlarging and reducing)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시점이 Z1만큼 후방으로 이동된 후, 파노라마 이미지가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대응하는 배수만큼 확대된다. 시점이 Z1만큼 전방으로 이동된 후, 파노라마 이미지는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대응하는 배수만큼 축소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 텔레비전상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및 시야각이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및 자세 변화에 따라 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노라마 이미지는 더 많은 차원에서 보다 유연하게 조정된다. 사용자가 비디오를 찍기 위해 카메라를 어느 방향으로든 운반하는 것처럼,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파노라마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광고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프리젠테이션 및 제어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인테리어 광고(automotive interior advertisement)는 파노라마 비디오를 사용하여 제공된다. 파노라마 비디오는 스마트 텔레비전상에 제공되며, 사용자는 이동 전화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연결시켜, 회전 및 이동하도록 이동 전화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이동 전화는 상이한 위치로 조정하기 위한 카메라로서 사용됨) 상이한 각도에서 자동차 인테리어의 세부 사항을 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은 광고뿐만 아니라 게임 분야, 예를 들어 슈팅(shooting) 게임에도 적용된다. 이는 캐릭터를 배치하고 공간에서 보너스, 보물, 장비 등을 찾는 데 도움이 된다. 이동 단말은 또한 게임 패드(pad)를 대체할 수 있으며, 이동 전화를 사용하여 게임 캐릭터의 이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는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조정 파라미터는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디스크립션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위치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자세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마트 텔레비전이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하도록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는 단계는,
스마트 텔레비전이 시점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을 조정하고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을 조정하도록, 시점 조정 파라미터 및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서, 3차원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는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은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한다. 미디어 콘텐츠 서버는 위치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자세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시점 조정 파라미터 및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한다. 스마트 텔레비전은 시점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을 조정하고,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을 조정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은,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좌표계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좌표계와 매칭시켜,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와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결정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단계가 주로 포함된다.
단계 701.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이동 단말의 제1 좌표계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제1 좌표계를 사용하여 획득된 파라미터는 3차원 좌표계에서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 및 자세 각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동 단말은 X 축, Y 축 및 Z 축의 3개의 좌표축을 포함하는 제1 좌표계를 3차원 공간상에서 구축하고, 하나를 이동 단말의 회전축으로 선택한다. 이동 단말이 스마트 텔레비전을 조정할 때, 이동 단말과 스마트 텔레비전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동 단말은 자이로스코프를 구비하고, 자이로스코프에 따라 중력 방향을 알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 방향이 위치된 축을 Y 축으로 정의하고, Y 축에 수직한 평면을 수평면으로 정의하며, 스마트 텔레비전의 화면과 평행한 축을 X축으로 정의하고, X 축에 수직이고 텔레비전 평면을 향하는 축을 Z 축으로 정의한다. X 축은 이동 단말의 좌우 방향에서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며, Y 축은 이동 단말의 상하 방향에서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고, Z 축은 전후 방향에서의 이동 단말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며, 또한 이동 단말의(101)과 스마트 텔레비전(102)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제1 기준점이 결정되고,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는 제1 기준점에 대한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이다. 제1 기준점은 이동 단말이 스마트 텔레비전을 조정하기 시작하는 초기 위치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좌표계의 좌표 원점(origin)이 제1 기준점으로 정의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가 결정될 때,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 파라미터가 위치 변화 파라미터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계산량을 감소시킨다. 이동 단말이 스마트 텔레비전상의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하는 경우, 고정된 위치에서, 이동 단말은 회전을 통해 이동 단말의 자세를 제어하고, 자세의 변화에 따라 시점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파노라마 이미지가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인 경우, 이동 단말을 평면에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파노라마 이미지의 상이한 시야각이 제어될 수 있다. 파노라마 이미지가 720도 파노라마 이미지인 경우, 이동 단말을 2개의 평면에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파노라마 이미지의 상이한 시야각이 제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X 축, Y 축 및 Z 축 중 어느 하나가 회전 축으로 사용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기준점에서의 이동 단말의 회전각(rotation angle)이 0도로 설정되고, 그리고 자세 변화 파라미터가 결정되는 경우, 위치에서의 이동 단말의 회전각이 자세 변화 파라미터로서 직접 사용되며, 이에 따라 계산량을 감소시킨다. 제1 좌표계의 데이터는 주로 3개의 좌표축, 좌표 원점, 제1 기준점 및 이동 단말의 회전축을 포함한다.
단계 702. 스마트 텔레비전에 의해 송신된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제2 좌표계의 데이터,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및 시야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제2 좌표계를 사용하여 획득된 파라미터를 수신한다.
제2 좌표계가 파노라마 공간에 구축되고, 파노라마 이미지의 촬영 시작점(photographing start point)이 제2 기준점으로 정의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좌표계의 원점이 제2 기준점(여기서 제2 기준점이 제2 좌표계와 중첩됨)으로 정의된다. 파노라마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텔레비전 화면의 수직면 상에 있으며, 수평면에 평행한 축은 X 축이고, 수평면에 수직인 축은 Y 축이며, 텔레비전 화면의 평면에 수직인 축은 Z 축이다. X 축은 좌우 방향에서의 시점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고, Y 축은 상하 방향에서의 시점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며, Z 축은 전후 방향에서의 시점의 이동 거리를 나타낸다. 파노라마 이미지가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이면, 각도 파라미터가 시야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파노라마 이미지가 720도 파노라마 이미지이면, 2개의 각도 파라미터가 시야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제2 좌표계의 데이터는 제2 좌표계의 3개의 좌표축, 좌표 원점, 제2 기준점 및 시야각을 나타내는 각도를 포함한다.
단계 703. 제1 좌표계의 데이터 및 제2 좌표계의 데이터에 따라, 제1 좌표계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로부터 제2 좌표계의 조정 파라미터로의 매핑 관계를 결정한다.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는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조정 파라미터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미디어 콘텐츠 서버는 스마트 텔레비전에 의해 송신된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좌표계의 데이터 및 이동 단말에서 송신된 3차원 공간에서의 좌표계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파노라마 공간의 제2 좌표계를 이동 단말의 제1 좌표계에 매칭한다. 제1 좌표계의 제1 기준점은 제2 좌표계의 제2 기준점에 대응하고, 제1 좌표계의 X축, Y축 및 Z 축은 제2 좌표계의 X축, Y축 및 Z 축에 각각 대응한다. 즉, 좌우 방향에서의 이동 단말의 이동은 좌우 방향에서의 시점의 이동에 대응하고, 상하 방향에서의 이동 단말의 이동은 상하 방향에서의 시점의 이동에 대응하며, 전후 방향에서의 이동 단말의 이동은 전후 방향에서의 시점의 이동에 대응하고, 시점이 전후 방향에서 이동되는 경우, 파노라마 이미지를 확대 및 축소하는 시각적 효과가 얻어진다. 이동 단말의 회전각은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에 대응한다. 파노라마 이미지가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인 경우, 이동 단말의 한 평면에서의 회전각은 360도 범위 내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에 대응한다. 파노라마 이미지가 720도 파노라마 이미지인 경우,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회전각은 2개의 평면에서의 회전각들로 분해되고, 2개의 평면에서의 회전각은 720도 범위 내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에 대응한다. 또한, 매핑 관계는 제1 좌표계와 제2 좌표계의 스케일(scale) 간의 대응 관계를 더 포함하고, 3차원 공간에서의 좌표계의 스케일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좌표의 스케일 사이의 대응 관계는 사용자가 팔을 상하, 좌우, 그리고 전후 방향으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이동 단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 팔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이동 단말(101)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각, 그리고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이 좌우, 상하, 그리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 범위 및 시야각 범위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1)은 상하 방향으로 거리(a)만큼 이동되고, 파노라마 이미지가 대응하여 상향 방향에서 a1만큼 이동되며, a와 a1은 선형의 비례 관계를 가지며, 사용자의 팔이 상하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은 거리 범위와,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이 상하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는 거리 범위에 의존한다. 이동 단말(101)은 좌우 방향에서 거리(b)만큼 이동되고,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은 그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에서 b1만큼 이동되며, b와 b1은 선형 비례 관계를 가지며, 사용자의 팔이 좌우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은 거리 범위 및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이 좌우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은 거리 범위에 의존한다. 이동 단말(101)은 전후 방향에서 거리(c)만큼 이동되고,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은 대응하여 전후 방향에서 c1만큼 이동되며, c 및 c1은 선형의 비례 관계를 가지며, 사용자의 팔이 전후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은 거리 범위 및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이 전후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은 거리 범위에 의존한다. 이동 단말이 각도 θ만큼 회전하면,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이 θ1만큼 변화하며, θ와 θ1은 선형의 비례 관계를 가지며, 비율 값은 사용자의 팔이 회전할 수 있는 각도 범위와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 범위에 의존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단계(204)에서, 디스크립션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매핑 관계 및 디스크립션 파라미터에 따라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101)은 획득된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송신한다.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는 공간 좌표계에서 획득된 이동 단말(101)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 자세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그리고 3차원 공간에서의 제1 좌표계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로부터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에 대한 매핑의 전술한 결정된 관계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기준점이 제1 좌표계의 좌표 원점으로 정의되는 경우, 초기 자세에서 이동 단말의 회전각은 0도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의 자세에서의 이동 단말의 회전각은 0도로 정의된다. 제2 기준점은 제2 좌표계의 좌표 원점(제2 기준점은 제2 좌표계의 좌표 원점과 중첩됨)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스마트 텔레비전상에 제공되는 파노라마 이미지의 초기 시야각은 0도로 정의된다. 제1 기준점이 제1 좌표계의 원점으로 설정되고, 초기 위치에서의 이동 단말의 회전각이 0도로 설정된 경우,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 자세 변화 파라미터는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 및 회전각이다. 제2 기준점이 제2 좌표계의 원점으로 설정되고, 이동 단말에 초기에 제공되는 파노라마 이미지의 회전각이 0도로 설정된 경우,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 시점 조정 파라미터가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 및 시점이다. 전술한 단계에서 결정된 매핑 관계에 따라,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의 좌표에 대응하는 시점이 결정되고, 현재 위치에서의 이동 단말의 회전각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이 결정된다. 미디어 콘텐츠 서버는 결정된 시점 및 시야각을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고, 스마트 텔레비전은 결정된 시점 및 시야각을 갖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본 출원에서 제공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은 이동 단말을 스마트 텔레비전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단말은 패턴 식별 코드를 사용하여 스마트 텔레비전과 결합될 수 있고, 이동 단말은 스마트 텔레비전상의 패턴 식별 코드를 스캔하여 결합(binding)을 구축한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가 포함된다.
단계 S11. 스마트 텔레비전이 패턴 식별 코드를 제공하도록, 스마트 텔레비전의 식별자를 운반하는 패턴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패턴 식별 코드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한다.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가 스마트 텔레비전의 식별자를 운반하는 패턴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패턴 식별 코드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함으로써, 스마트 텔레비전이 패턴 식별 코드를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식별 코드는 스마트 텔레비전의 식별자를 운반하는 2차원 코드일 수 있고, 스마트 텔레비전의 식별자는 네트워크 텔레비전의 GUID일 수 있다. 스마트 텔레비전은 패턴 식별 코드를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 텔레비전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12. 이동 단말이 패턴 식별 코드를 식별한 후에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결합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결합 요청 메시지는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스마트 텔레비전의 식별자를 운반한다.
이동 단말은 식별을 위해 스마트 텔레비전상의 패턴 식별 코드를 스캔한다. 이동 단말은 이동 단말의 스캐닝 기능을 사용하여 패턴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거나 이동 단말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운반되는 스캐닝 기능을 사용하여 패턴 식별 코드를 스캐닝할 수 있다. 패턴 식별 코드가 성공적으로 식별된 후에, 이동 단말은 이동 단말의 식별자와 스마트 텔레비전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결합 요청 메시지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송신한다.
단계 S13. 이동 단말의 식별자와 스마트 텔레비전의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를 구축한다.
결합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는 이동 단말의 식별자와 스마트 텔레비전의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고 대응 관계를 저장한다. 또한,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는 결합 성공 메시지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여 결합 성공 메시지를 스마트 텔레비전상에 제공한다. 이동 단말이 패턴 식별 코드를 식별하지 못하면, 이동 단말은 결합 식별 메시지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송신하고,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는 결합 식별 메시지를 프리젠테이션을 위해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한다. 스마트 텔레비전은 패턴 식별 코드를 새로 고치고 코드 재스캔을 요구하는 프롬프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단계(202)에서,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이동 단말과 결합된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는 단계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21. 대응 관계에 따라, 이동 단말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텔레비전의 식별자를 결정한다.
전술한 단계에서,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는 이동 단말(101)의 식별자와 스마트 텔레비전(102)의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고 저장한다. 명령을 송신하는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한 후,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는 이동 단말의 식별자에 따라, 이동 단말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텔레비전의 식별자에 대한 저장된 대응 관계를 검색한다.
단계 S22.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스마트 텔레비전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한다.
스마트 텔레비전의 식별자를 찾은 후,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는 스마트 텔레비전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스마트 텔레비전에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송신함으로써, 스마트 텔레비전이 현재 제공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본 출원에 제공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은,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동 단말 및 스마트 텔레비전에 동기식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동 단말의 프리젠테이션 장치가 사용자의 보기(viewing)의 편의를 위해 서브화면으로서 사용된다. 다음 단계가 주로 포함된다.
단계 S31. 스마트 텔레비전에 의해 송신된 현재 제공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수신한다.
이동 단말과 스마트 텔레비전은 파노라마 이미지를 동기식으로 제공한다. 스마트 텔레비전은 현재 제공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미디어 콘텐츠 서버로 송신할 수 있으며, 미디어 콘텐츠 서버는 수신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동 단말로 송신함으로써, 이동 단말과 스마트 텔레비전이 파노라마 이미지를 동기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2. 이동 단말 및 스마트 텔레비전은 파노라마 이미지를 동기식으로 제공하도록, 현재 제공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동 단말에 송신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과 스마트 텔레비전은 파노라마 이미지를 동기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파노라마 이미지가 이동 단말에 동기식으로 제공된다. 한편으로, 이동 단말의 프리젠테이션 장치는 서브화면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반면에, 일부 상호 작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노라마 이미지가 파노라마 비디오인 경우, 파노라마 이미지를 재생하기 위한 진행 바(bar)가 이동 단말상에서 제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본 출원에 제공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은, 이동 단말이, 스마트 텔레비전에 의해 송신된 조정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대신에, 이동 단말 상에서 제공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독립적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04) 이후에, 상기 방법은 주로, 이동 단말이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 및/또는 시점을 조정하도록,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 파라미터를 이동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르게는,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의해 송신된 파노라마 이미지 재생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스마트 텔레비전은 파노라마 이미지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할 수 있고, 미디어 콘텐츠 서버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동 단말에 송신하여, 이동 단말의 APP 상에서 초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다르게는, 파노라마 이미지는 이동 단말 상에 제공되는 파노라마 이미지 웹 페이지(예를 들어, H5 페이지) 상에 제공될 수 있고, 파노라마 이미지는 조정되지 않은 파노라마 이미지일 수 있다.
스마트 텔레비전상에 제공되는 수신된 현재의 파노라마 이미지에 대해, 파노라마 이미지를 독립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트리거 요청이 수신된 후, 이동 단말은 후속 조정 동안 파노라마 이미지를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가 이어서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할 때, 이동 단말(101)은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이동 단말(101) 상에 제공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서버는 다르게는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프리젠테이션을 위해 이동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1)과 스마트 텔레비전은 파노라마 이미지를 동기식으로 제공하고, 동기식으로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본 출원에서 제공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에서, 파노라마 이미지는 타깃 객체를 포함하고, 타깃 객체는 광고 이미지상의 쿠폰이거나, 게임의 파노라마 이미지에서의 적, 키(key), 소품(prop) 등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S41. 조정 파라미터 및 타겟 객체의 위치에 따라 프롬프트 정보를 결정하며, 프롬프트 정보는 이동 단말을 작동하도록 프롬프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단계가 수행될 때, 프롬프트 정보는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 그리고 타깃 객체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프롬프트 정보는 이동 단말을 이동 및/또는 회전시키도록 프롬프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동 단말과 스마트 텔레비전이 파노라마 이미지를 동기식으로 제공하는 경우, 파노라마 이미지의 제공자는 파노라마 이미지에서 타깃 객체를 설정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서버는 타겟 객체의 및 현재 스마트 텔레비전상에 제공된 파노라마 이미지에 따라 프롬프트 정보를 결정하며, 프롬프트 정보는 사용자가 파노라마 이미지에서 타깃 객체를 찾는 것을 돕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광고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경우, 이동 단말 및 스마트 텔레비전은 파노라마 이미지를 동기식으로 제공한다. 현재 파노라마 이미지가 두 배로 확대되면 사용자는 타깃 객체를 찾을 수 있다. 이 경우, 비디오 서버는 프리젠테이션을 위해 현재의 파노라마 이미지가 두 배로 확대되었음을 지시하는 프롬프트 정보를 이동 단말에 송신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은 광고의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광고는 리조트의 광고이다. 또한, 이동 단말은 프롬프트 정보(1101)를 제공하며, 프롬프트 정보(1101)는 파노라마 이미지가 다시 두 번 확대되면 서프라이즈(surprise)가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S42. 사용자가 프롬프트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이동 및/또는 회전키도록, 프리젠테이션을 위해 프롬프트 정보를 이동 단말에 송신한다.
전술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은 프롬프트 정보를 제공하며, 프롬프트 정보는: 파노라마 이미지가 다시 두 번 확대되면 서프라이즈가 있음이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스마트 텔레비전에 가까이 이동시킨다. 파노라마 이미지가 두 배로 확대된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텔레비젼(102) 상에 쿠폰(1202)이 발견되고, 이동 단말은 쿠폰(1202)을 동기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쿠폰을 찾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1201)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키(1203), 즉 이동 단말상의 도 12의 "그리스로의 여행 시작"의 키(컨트롤)를 탭하여 할인된 항공권을 구매할 수 있으며, 또한 공유(sharing)와 같은 상호 작용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이동 단말(101)에 적용되며,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주로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301.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이동 단말과 결합된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고, 스마트 텔레비전이 현재 제공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작동에 응답하여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한다.
단계 1302: 이동 단말의 작동에 응답하여 3차원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디스크립션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으로 송신하며, 스마트 텔레비전이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하도록,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에 따르면,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및 자세 변화에 따라 스마트 텔레비전상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및 시야각이 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노라마 이미지는 더 많은 차원에서 보다 유연하게 조정된다. 또한, 사용자가 비디오를 찍기 위해 임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카메라를 운반하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파노라마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는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조정 파라미터는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의 작동에 응답하여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이동 단말의 이동 작동에 응답하여 위치 변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이동 단말의 회전 작동에 응답하여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디스크립션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으로 송신하며, 스마트 텔레비전이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하도록,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는,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위치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자세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시점 조정 파라미터 및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고, 스마트 텔레비전이 시점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을 조정하고,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을 조절하도록, 위치 변화 파라미터와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단계(1301)에서 사용자의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작동에 응답하는 것은 제공된 파노라마 이미지의 옵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작동에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는 이동 단말에 결합된 스마트 텔레비전상의 패턴 식별 코드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동 단말(101)은 스마트 텔레비전(102)과 결합을 구축한다.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은 이동 단말(101)이 스마트 텔레비전과 성공적으로 결합된 후 이동 단말(101)에 의해 송신된 결합 승인 명령을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은 스마트 텔레비전상에 제공된 패턴 식별 코드를 스캐닝하는 것에 의해 스마트 텔레비전과 결합된다. 이동 단말이 패턴 식별 코드를 스캔하고 식별할 때, 이동 단말은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한다.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한 후,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는 파노라마 이미지 프리젠테이션 명령을 스마트 텔레비전(102)에 송신함으로써, 스마트 텔레비전이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101)이 스마트 텔레비전(102)과 결합된 후에, 파노라마 이미지의 웹 페이지가 자동으로 이동 단말 상에 오픈되고, 파노라마 이미지는 파노라마 이미지의 웹 페이지 및 스마트 텔레비전상에 동기식으로 제공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은 다르게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텔레비전(102)은 파노라마 이미지 재생 요청을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송신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할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미디어 콘텐츠 서버는 재생 요청을 이동 단말에 송신한다. 광고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프리젠테이션이 예로 사용된다. 스마트 텔레비전(102)이 광고를 제공할 때, 스마트 텔레비전(102)은 파노라마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요청을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송신하고,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할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프롬프트 정보(301)를 이동 단말(101)에 송신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01)은 이동 단말(101)에 설치된 비디오 APP 상에 프롬프트 정보(301)를 제공하고, 예(Yes) 옵션(302) 및 아니오(No) 옵션(303)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옵션(302)을 선택하는 경우, 이동 단말(101)은 프리젠테이션 승인 메시지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송신하고,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는 프리젠테이션 승인 메시지를 스마트 텔레비전(102)에 송신함으로써, 스마트 텔레비전이 광고의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한다. 파노라마 이미지는 파노라마 사진 또는 파노라마 비디오일 수 있다. 사용자가 옵션(303)을 선택할 때, 이동 단말(101)은 프리젠테이션 승인 메시지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송신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 텔레비전(102)은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단계(1302)에서,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101)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는 실내 측위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변화 파라미터는 Wi-Fi 실내 측위 또는 블루투스 실내 측위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Wi-Fi 실내 측위를 위해, 이동 단말은 이동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 신호 세기를 사용하여 측위될 수 있다. Wi-Fi 핫 스폿의 좌표는 알려져 있으며, 이동 단말은 Wi-Fi 핫 스폿으로부터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신호 세기는 Wi-Fi 핫 스폿과 이동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와 특정한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이동 단말과 Wi-Fi 핫 스폿 사이의 거리는 신호의 세기를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와 3개 이상의 Wi-Fi 핫 스폿 사이의 거리에 따라, 이동 단말의 좌표가 결정될 수 있다. M개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3차원 공간에 배치되며, M은 3보다 크거나 같다.
3차원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51. M개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를 배치하며, M은 3보다 크거나 같다. M개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3차원 공간에 배치된다.
단계 S52. 기준점 위치와 현재 위치에서 이동 단말에 의해 각각 수신되는 M개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M개의 무선 신호 세기에 따라 기준점 위치의 좌표 및 현재 위치의 좌표를 각각 결정하며, 즉, 기준점 위치에서 이동 단말에 의해 수신된 M개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M개의 무선 신호 세기 및 현재 위치에서 이동 단말에 의해 수신된 M개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M개의 무선 신호 세기에 따라, 기준점 위치의 좌표 및 현재 위치의 좌표를 각각 결정한다.
단계 S53. 기준점 위치의 좌표와 현재 위치의 좌표에 따라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단계 1302에서, 3차원 공간 내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가 획득될 때, 이동 단말(101)은 지문 식별과 유사한 Wi-Fi 실내 측위의 다른 방식으로 위치 변화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의미론적 위치가 정의되고, Wi-Fi 신호가 각각의 의미론적 위치에 대해 수집되어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한다. 측위 동안, 이동 단말에 의해 측정된 Wi-Fi 신호는 "지문 데이터베이스"에 이미 존재하는 Wi-Fi 신호와 비교되어, 이 신규 신호와 가장 잘 매칭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위치에서의 Wi-Fi 신호를 결정한다. 이 경우, 이동 단말이 그 위치에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고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가 주로 포함된다.
단계 S61. 복수의 위치에서 이동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 신호 세기들을 결정하고, 각각의 위치의 좌표 및 대응하는 무선 신호 세기를 연관된 방식으로 저장한다.
단계 S62. 기준점 위치 및 현재 위치에서 각각 이동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제1 무선 신호 세기 및 제2 무선 신호 세기를 결정하고, 저장된 무선 신호 세기에서 제1 무선 신호 세기 및 제2 무선 신호 세기에 각각 가장 근접한 무선 신호 세기들을 개별적으로 검색하며, 제1 무선 신호 세기 및 제2 무선 신호 세기에 각각 가장 근접한 찾아진 무선 신호 세기들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들을 기준점 위치의 좌표 및 현재 위치의 좌표로서 사용한다.
단계 S63. 기준점 위치의 좌표와 현재 위치의 좌표에 따라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다르게는 블루투스 실내 측위가 사용될 수 있다. 블루투스 실내 측위에서, 여러 블루투스 로컬 영역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는 실내에 배치되어, 네트워크가 복수의 사용자에 기반하여 기본 네트워크 연결 모드에 있도록 하며, 블루투스 로컬 영역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이 마이크로넷에서 항상 기본 디바이스이다. 그 다음에,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새로 추가된 블라인드 노드에 대해 삼각 위치가 수행된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을 무작위로 상향, 하향, 좌향, 우향, 좌측 상향, 우측 하향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동 단말을 상향, 하향, 좌향, 우향, 좌측 상향, 좌측 하향, 우측 상향, 우측 하향 등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동 단말을 푸시하고, 당기고 및/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이동 단말(101)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는 이동 단말의 이전 위치 좌표 및 현재 위치 좌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동 단말의 이전 위치 좌표 및 현재 위치 좌표는 Wi-Fi 실내 측위 또는 블루투스 실내 측위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는 이동 단말(101)의 기준점 위치의 좌표와 현재 위치의 좌표에 따라 결정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단계(1302)에서,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자세 변화 파라미터가 획득되는 경우, 이동 단말(101)은 자이로스코프를 구비하며, 자이로스코프는 중력 방향, 즉 수직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의 기준점 편향 각과 현재 편향 각은 자이로스코프로부터 획득된 센서 파라미터에 따라 개별적으로 결정되며, 이동 단말(101)의 자세 변화 파라미터가 이동 단말(101)의 기준점 편향 각 및 현재 편향에 따라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가 주로 포함된다.
단계 S71. 자이로스코프로부터 획득된 센서 파라미터에 따라 이동 단말의 기준점 편향 각 및 현재 편향 각을 개별적으로 결정한다.
단계 S72. 이동 단말의 기준점 편향 각과 현재 편향 각에 따라 이동 단말의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서,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에, 이동 단말은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의 인터페이스는 회전 또는 이동과 같은 작동에 따라 각도 변화 및 위치 변화 등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이 반 시계 방향으로 30도 회전하면, 그에 대응하여 -30도 값이 디스플레이되며, 이동 단말(101)이 X의 거리만큼 좌향으로 이동되면, 그에 대응하여 -X가 디스플레이되고, 이동 단말이 좌측 상향으로 직접 이동되어 좌향으로 X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상향으로 Y만큼 이동하면, 데이터(-X, Y)가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다. 3차원 공간에서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은 유사하다.
일부 실시 예에서,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은, 이동 단말 및 스마트 텔레비전상에 파노라마 이미지를 동기식으로 제공하고, 이동 단말의 프리젠테이션 디바이스가 편의상 서브 화면으로서 사용된다. 이는 주로, 스마트 텔레비전상에 현재 제공되는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의해 송신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수신하고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과 스마트 텔레비전은 파노라마 이미지를 동기식으로 제공한다. 스마트 텔레비전은 현재 제공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할 수 있으며, 미디어 콘텐츠 서버는 수신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동 단말로 송신함으로써, 이동 단말과 스마트 텔레비전은 파노라마 이미지를 동기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과 스마트 텔레비전은 동기식으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파노라마 이미지는 이동 단말상에 동기식으로 제공된다. 한편, 이동 단말의 프리젠테이션 장치는 서브화면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반면에, 일부 상호 작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노라마 이미지가 파노라마 비디오인 경우, 파노라마 이미지를 재생하기 위한 진행 바가 이동 단말에서 제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본 출원에서 제공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은, 이동 단말이, 스마트 텔레비전에 의해 송신된 조정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대신에, 이동 단말 상에 제공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1302) 후에, 상기 방법은 주로 다음의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단계 S81.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의해 송신된 조정 파라미터를 수신한다.
다르게는,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의해 송신된 파노라마 이미지 재생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스마트 텔레비전은 파노라마 이미지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할 수 있고, 미디어 콘텐츠 서버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동 단말로 송신하여, 이동 단말의 APP 상에 초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다르게는, 파노라마 이미지는 이동 단말의 파노라마 이미지 웹 페이지 상에 제공될 수 있고, 파노라마 이미지는 조정된 파노라마 이미지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다르게는, 스마트 텔레비전상에 제공된 수신된 현재의 파노라마 이미지에 대해, 파노라마 이미지를 독립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송신된 트리거 요청이 수신된 후, 이동 단말은 후속 조정 동안 파노라마 이미지를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단계 S82.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하며, 즉,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을 조정하고, 시점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을 조정한다.
이어서,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할 때,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는 조정 파라미터를 이동 단말에 송신하고, 이동 단말은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이동 단말상에 제공되는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및 시야각을 조정한다. 이동 단말(101)과 스마트 텔레비전(100)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동기식으로 제공하고, 파노라마 이미지를 동기식으로 조정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본 출원에 제공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의해 송신된 프롬프트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프롬프트 정보는 이동 단말을 작동(이동 또는 회전)시키도록 이동 단말의 사용자를 프롬프트하기 위해 사용됨으로써, 사용자는 프롬프트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을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광고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경우, 이동 단말 및 스마트 텔레비전은 파노라마 이미지를 동기식으로 제공한다. 이동 단말은 프롬프트 정보를 제공하며, 프롬프트 정보는 파노라마 이미지가 다시 두 번 확대되면 서프라이즈가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을 스마트 텔레비전에 가까이 이동시킨다. 파노라마 이미지가 두 배로 확대된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텔레비전(102) 상에 쿠폰이 발견되고, 이동 단말은 쿠폰을 동기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상의 "그리스로의 여행 시작"의 키를 탭하여 할인된 구매할 수 있으며, 공유와 같은 상호 작용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미디어 콘텐츠 서버(103)에 적용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1400)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14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리거 명령 수신 유닛(1401);
스마트 텔레비전이 현재 제공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수신된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에 응답하여 이동 단말과 결합된 스마트 텔레비전에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트리거 명령 송신 유닛(1402);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이동 단말의 3차원 공간에서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위치 및 자세 변화 파라미터 수신 유닛(1403);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파라미터 결정 유닛(1404); 및
스마트 텔레비전이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 및/또는 시점을 조정하도록,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조정 파라미터 송신 유닛(1405)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 제공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에 따르면,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및 자세 변화에 따라 스마트 텔레비전상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및 시야각이 조정되고,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과 시야각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노라마 이미지는 더 많은 차원에서보다 유연하게 조정된다. 또한, 사용자가 비디오를 찍기 위해 카메라를 어느 방향으로든 운반하는 것처럼,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파노라마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장치(1400)는,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이동 단말의 제1 좌표계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 제1 좌표계는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 및 자세 각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됨 -, 스마트 텔레비전에 의해 송신된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제2 좌표계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 제2 좌표계는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및 시야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상이한 시점 및 시야각은 상이한 파노라마 이미지에 대응함 - 구성된 좌표계 파라미터 수신 유닛(1406); 및
제1 좌표계의 데이터 및 제2 좌표계의 데이터에 따라, 제1 좌표계에서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로부터 제2 좌표계에서의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로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핑 관계 결정 유닛(14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정 파라미터 결정 유닛(1404)은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의 매핑에 따라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은 또한 이동 단말(101)에 적용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1500)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15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고, 스마트 텔레비전이 현재 제공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사용자의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작동에 응답하여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트리거 명령 송신 유닛(1501); 및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으로 송신하며, 스마트 텔레비전이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또는 시점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 및/또는 시점을 조정하도록, 사용자의 이동 및/또는 회전 작동에 따라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또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및 자세 변화 파라미터 획득 유닛(1502)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 제공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에 따르면,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및 자세 변화에 따라 스마트 텔레비전상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및 시야각이 조정되고,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과 시야각이 동시에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노라마 이미지는 더 많은 차원에서보다 유연하게 조정된다. 또한, 사용자가 비디오를 찍기 위해 카메라를 어느 방향으로든 운반하는 것처럼,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파노라마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위치 및 자세 변화 파라미터 획득 유닛(1502)은,
M개 이상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를 배치하고 - M은 3보다 크거나 같음 -,
기준점 위치 및 현재 위치에서 이동 단말에 의해 각각 수신되는 M개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M개의 무선 신호 세기에 따라 기준점 위치의 좌표 및 현재 위치의 좌표를 각각 결정하며; 그리고
기준점 위치의 좌표와 현재 위치의 좌표에 따라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위치 및 자세 변화 파라미터 획득 유닛(1502)은,
복수의 위치에서 수신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 신호 세기들을 결졍하고, 각각의 좌표와 대응하는 무선 신호 세기를 저장하고;
기준점 위치 및 현재 위치에서 이동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제1 무선 신호 세기 및 제2 무선 신호 세기를 결정하고, 저장된 무선 신호 세기에서 제1 무선 신호 세기 및 제2 무선 신호 세기에 가장 근접한 무선 신호 세기를 개별적으로 검색하고, 제1 무선 신호 세기 및 제2 무선 신호 세기에 각각 가장 근접한 찾아진 무선 신호 세기들에 대응하는 위치들의 위치 좌표들을 기준점 위치의 좌표와 현재 위치의 좌표로 사용하며; 그리고
기준점 위치의 좌표와 현재 위치의 좌표에 따라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위치 및 자세 변화 파라미터 획득 유닛(1502)은,
자이로스코프로부터 획득된 센서 파라미터에 따라 이동 단말의 기준점 편향 각 및 현재 편향 각을 개별적으로 결정하고; 그리고
이동 단말의 기준점 편향 각과 현재 편향 각에 따라 이동 단말의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6은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1400)와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1500)가 위치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1602), 통신 모듈(1604), 메모리(1606), 사용자 인터페이스(1610) 및 이들 구성 요소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통신 버스(160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602)는 통신 모듈(1604)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네트워크 통신 및/또는 로컬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610)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시각화 디스플레이(visualization display)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1612)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610)는 키보드, 마우스, 사운드 명령어(command) 입력 유닛 또는 마이크로폰, 터치 디스플레이, 터치 감지형 입력 패널, 자세 캡쳐 카메라, 다른 입력 키 또는 컨트롤 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1614)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1606)는 DRAM, SRAM, DDR RAM 또는 다른 랜덤 액세스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디바이스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디바이스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1606)는 프로세서(1602)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과 같은 명령 세트를 저장하고, 본 출원에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고, 본 출원에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의 모듈의 기능을 구현한다. 메모리(1606)는
다양한 기본 시스템 서비스를 처리하고 하드웨어 관련 태스크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운영 체제(1616); 및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1618)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의 처리 절차를 구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1400)의 일부 또는 모든 유닛, 또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1500)의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1400) 및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1500)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2)는 메모리(1606)에서 유닛들의 적어도 하나의 기계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여,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유닛의 기능을 구현한다.
절차 및 구조 다이어그램의 모든 단계 및 모듈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실제 요구에 따라 일부 단계 또는 모듈이 생략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단계의 실행 순서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모듈의 구분은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한 기능적 구분일 뿐이다. 실제 구현에서, 하나의 모듈은 복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모듈의 기능은 동일한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은 동일한 디바이스 또는 상이한 비다이스에 있을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의 하드웨어 모듈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조합된(combind) 하드웨어 플랫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된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을 포함한다. 따라서, 실시 예들은 다르게는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반영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하드웨어는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전용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특정 작동을 수행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영구 회로(permanent circuit) 또는 논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FPGA 또는 ASIC와 같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다. 다르게는, 하드웨어는 특정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에 의해 일시적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또는 회로(예를 들어, 범용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각각의 실시 예는 컴퓨터 등의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분명히,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은 본 출원을 구성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은 실행을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직접 판독되거나, 프로그램이 실행을 위해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또는 메모리) 상에 설치되거나 복제된다. 따라서, 이러한 저장 매체는 또한 본 출원을 구성한다. 본 출원은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임의의 하나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6의 모듈들에 대응하는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들은 컴퓨터상에서 실행되는 운영 체제 등이 여기에 설명된 일부 또는 모든 작동들을 완료하게 할 수 있다.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삽입된 확장 보드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 연결된 확장 유닛에 구비된 메모리일 수 있다. 확장 보드 또는 확장 유닛 상에 설치된 CPU 등은 명령에 따라 실제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단지 예시적인 실시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Claims (25)

  1. 이동 단말에 의해 수행되며,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present)하고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이동 단말과 결합된(bound)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게 하고, 스마트 텔레비전이 현재 제공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게 하도록,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작동(operation)에 응답하여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1301);
    이동 단말의 작동에 응답하여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1302); 및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디스크립션(description)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adjustment)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하고,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여 스마트 텔레비전으로 하여금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하도록,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는 위치 변화(change) 파라미터 및 자세(posture) 변화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파라미터는 시야각(viewing-angle) 조정 파라미터 및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의 작동에 응답하여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이동 단말의 이동 작동에 응답하여 위치 변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이동 단말의 회전 작동에 응답하여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디스크립션(description)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adjustment)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하고,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여 스마트 텔레비전으로 하여금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하도록,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상기 위치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자세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하며, 상기 미디어 콘텐츠 서버가 상기 시점 조정 파라미터 및 상기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를 상기 스마트 텔레비전에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텔레비전으로 하여금 상기 시점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을 조정하고, 상기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을 조정하도록, 상기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 상기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상기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위치 변화 파라미터는 상기 3차원 공간에서의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고, 상기 시점 조정 파라미터는 상기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변화를 나타냄 - 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는 위치 변화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M개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가 3차원 공간에 배치되며, M은 3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3차원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것은,
    기준점 위치에서 이동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M개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M개의 무선 신호 세기 및 현재 위치에서 이동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M개의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M개의 무선 신호 세기에 따라, 기준점 위치의 좌표 및 현재 위치의 좌표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 및
    기준점 위치의 좌표와 현재 위치의 좌표에 따라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는 위치 변화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것은,
    복수의 위치에서 이동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 신호 세기를 결정하고, 각각의 위치의 좌표 및 대응하는 무선 신호 세기를 연관된 방식으로 저장하는 단계;
    기준점 위치 및 현재 위치에서 이동 단말에 의해 각각 수신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의 제1 무선 신호 세기 및 제2 무선 신호 세기를 결정하고, 저장된 무선 신호 세기에서 제1 무선 신호 세기 및 제2 무선 신호 세기에 가장 근접한 무선 신호 세기들을 개별적으로 검색하며, 제1 무선 신호 세기 및 제2 무선 신호 세기에 가장 근접한 찾아진 무선 신호 세기들에 대응하는 위치들의 위치 좌표들을 각각 기준점 위치의 좌표 및 현재 위치의 좌표로 사용하는 단계; 및
    기준점 위치의 좌표와 현재 위치의 좌표에 따라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는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것은,
    자이로스코프로부터 획득된 센서 파라미터에 따라 이동 단말의 기준점 편향 각(deflection angle) 및 현재 편향 각을 개별적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이동 단말의 기준점 편향 각과 현재 편향 각에 따라 이동 단말의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현재 스마트 텔레비전 상에 제공된,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의해 송신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조정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의해 송신된 프롬프트(prompt) 정보를 수신하고 제공하는 단계 - 프롬프트 정보는 이동 단말의 사용자에게 이동 단말을 작동하도록 프롬프트하기 위해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미디어 콘텐츠 서버에 의해서 수행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201);
    수신된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에 응답하여, 스마트 텔레비전이 현재 제공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게 하는 파노라마 이미지 트리거 명령을 이동 단말과 결합된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는 단계(202);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203);
    디스크립션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204); 및
    스마트 텔레비전이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하도록 조정 파라미터를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는 단계(205)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는 위치 변화 파라미터 및 자세 변화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파라미터는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 및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립션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위치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자세 변화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텔레비전이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이미지를 조정하도록 조정 파라미터를 상기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텔레비전이 상기 시점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을 조정하고,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야각을 조정하도록, 상기 시점 조정 파라미터 및 상기 시야각 조정 파라미터를 상기 스마트 텔레비전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위치 변화 파라미터는 상기 3차원 공간에서의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고, 상기 시점 조정 파라미터는 상기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변화를 나타냄 -
    를 포함하는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에 의해 송신된 이동 단말의 제1 좌표계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좌표계를 사용하여 획득된 파라미터는 3차원 공간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 및 자세 각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됨 - (701);
    스마트 텔레비전으로부터 송신된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제2 좌표계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제2 좌표계를 사용하여 획득된 파라미터는 파노라마 이미지의 시점 및 시야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됨(702); 및
    제1 좌표계의 데이터 및 제2 좌표계의 데이터에 따라, 제1 좌표계의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로부터 제2 좌표계의 조정 파라미터로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703)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션 파라미터에 따라 파노라마 공간에서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매핑 관계 및 디스크립션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는 타깃 객체(target object)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조정 파라미터 및 타깃 객체의 위치에 따라 프롬프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프롬프트 정보는 이동 단말을 작동시키도록 프롬프트 하기 위해 사용됨 -; 및
    프리젠테이션을 위해 프롬프트 정보를 이동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여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14.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여 제9항,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을 실행하는,
    장치.
  15. 기계(machine) 판독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청구항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완료하는, 저장 매체.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97017921A 2017-03-28 2018-03-28 파노라마 이미지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KR102184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191254.X 2017-03-28
CN201710191254.XA CN107659851B (zh) 2017-03-28 2017-03-28 全景图像的展示控制方法及装置
PCT/CN2018/080819 WO2018177314A1 (zh) 2017-03-28 2018-03-28 全景图像的展示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530A KR20190087530A (ko) 2019-07-24
KR102184586B1 true KR102184586B1 (ko) 2020-11-30

Family

ID=6112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921A KR102184586B1 (ko) 2017-03-28 2018-03-28 파노라마 이미지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64626B2 (ko)
EP (1) EP3525473A4 (ko)
JP (1) JP6798019B2 (ko)
KR (1) KR102184586B1 (ko)
CN (1) CN107659851B (ko)
WO (1) WO20181773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0100B (zh) * 2016-10-31 2019-02-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信息搜索方法和装置
CN107659851B (zh) 2017-03-28 2019-09-17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全景图像的展示控制方法及装置
WO2019194434A1 (ko) * 2018-04-05 2019-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뷰포인트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6368881B1 (ja) * 2018-04-09 2018-08-01 チームラボ株式会社 表示制御システム,端末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CN109451139B (zh) * 2018-09-13 2020-11-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消息传输方法、终端、装置、电子设备及可读介质
CN111198610B (zh) * 2018-11-16 2021-08-10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全景视频的视场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972789B2 (en) * 2019-06-03 2021-04-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providing service differentiation for different types of frames for video content
CN112150603B (zh) 2019-06-28 2023-03-28 上海交通大学 基于三维点云的初始视角控制和呈现方法及系统
CN112423108B (zh) * 2019-08-20 2023-06-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码流的处理方法、装置、第一终端、第二终端及存储介质
CN110446116B (zh) * 2019-09-05 2021-11-02 青岛一舍科技有限公司 全景视频播放装置和方法
CN111369684B (zh) * 2019-12-10 2023-09-01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目标跟踪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126975A (zh) * 2019-12-11 2020-05-08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电子红包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161144B (zh) * 2019-12-18 2021-07-20 北京城市网邻信息技术有限公司 全景图获取方法、全景图获取装置及存储介质
CN112312227B (zh) * 2020-06-15 2022-09-16 青岛一舍科技有限公司 一种全景交互方法和装置
CN111913645B (zh) * 2020-08-17 2022-04-19 广东申义实业投资有限公司 三维图像展示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203127A (zh) * 2020-10-12 2021-01-08 广州欢网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移动终端和智能电视的vr视频交互方法、装置及系统
CN113297984B (zh) * 2021-05-27 2024-02-27 北京皮尔布莱尼软件有限公司 虚拟现实展馆内展品的展示方法及计算设备
CN115442644A (zh) * 2021-10-29 2022-12-06 佛山欧神诺云商科技有限公司 一种全景图像的展示角度操控方法、设备、介质及产品
CN114040119A (zh) * 2021-12-27 2022-02-11 未来电视有限公司 全景视频显示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14691068A (zh) * 2022-03-23 2022-07-01 北京优酷科技有限公司 基于投屏技术的信息显示方法及装置
CN115393380B (zh) * 2022-08-01 2023-07-04 北京城市网邻信息技术有限公司 车内全景图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6634207A (zh) * 2022-08-22 2023-08-22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iptv业务的vr全景视频播放方法和系统
CN117237532A (zh) * 2022-09-26 2023-12-15 如你所视(北京)科技有限公司 模型外点位的全景图展示方法和装置、设备、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2843A1 (en) * 2012-06-01 2013-12-05 Hal Laboratory, Inc.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anoramic video display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0785B2 (ja) * 2011-09-14 2016-06-29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JP5892797B2 (ja) * 2012-01-20 2016-03-23 日本放送協会 送受信システム及び送受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6181993B2 (ja) * 2012-12-04 2017-08-16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の送受信方法
JP6450064B2 (ja) * 2013-03-18 2019-01-09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動画データのデータ構造、情報処理システム、動画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動画の再生方法。
US10062209B2 (en) * 2013-05-02 2018-08-28 Nintendo Co., Ltd. Displaying an object in a panoramic image based upon a line-of-sight direction
KR102223732B1 (ko) * 2014-06-26 2021-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5669B1 (ko) * 2014-07-01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장치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60094866A1 (en) * 2014-09-29 2016-03-31 Amazon Technologies, Inc. User interaction analysis module
KR101909254B1 (ko) * 2015-07-08 2018-10-17 주식회사 케이티 셋톱 박스에서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CN105979242A (zh) * 2015-11-23 2016-09-28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的播放方法和装置
CN105898460A (zh) * 2015-12-10 2016-08-24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调整智能电视的全景视频播放视角的方法和装置
CN105913478A (zh) * 2015-12-28 2016-08-31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360度全景显示方法、显示模块及移动终端
CN105847850A (zh) * 2016-03-28 2016-08-10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全景视频的实时播放方法及装置
CN106028132A (zh) * 2016-06-30 2016-10-1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通过智能移动终端在电视上观看全景视频的系统及方法
CN106296819A (zh) * 2016-08-12 2017-01-04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智能机顶盒的全景视频播放器
US10917559B2 (en) * 2016-10-18 2021-02-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achieving non-selfie-taking effect through selfie-taking and photographing device
US10021464B2 (en) * 2016-10-25 2018-07-10 Aether, Inc. Video content switching and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multiple video formats
CN106454450B (zh) * 2016-10-31 2019-07-1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全景视频播放装置及方法
CN107659851B (zh) * 2017-03-28 2019-09-17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全景图像的展示控制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2843A1 (en) * 2012-06-01 2013-12-05 Hal Laboratory, Inc.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anoramic video displa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98019B2 (ja) 2020-12-09
EP3525473A1 (en) 2019-08-14
JP2019533372A (ja) 2019-11-14
US10764626B2 (en) 2020-09-01
WO2018177314A1 (zh) 2018-10-04
CN107659851B (zh) 2019-09-17
CN107659851A (zh) 2018-02-02
KR20190087530A (ko) 2019-07-24
US20190246162A1 (en) 2019-08-08
EP3525473A4 (en)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586B1 (ko) 파노라마 이미지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장 매체
US8411091B2 (en) Image drawing system, image drawing server, image draw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22537614A (ja) マルチ仮想キャラクターの制御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212231B1 (ko) 이동 자유도를 개선한 융합형 가상현실 구현 방법
US20140282220A1 (en) Presenting object models in augmented reality images
CN111414225B (zh) 三维模型远程展示方法、第一终端、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152919B1 (ko) 증강 현실을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JP634874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401816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annotations to an image
CN111277890B (zh) 虚拟礼物的获取方法和三维全景直播间的生成方法
JP2020119095A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4223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paefthymiou et al. Mobile Virtual Reality featuring a six degrees of freedom interaction paradigm in a virtual museum application
CN112099681B (zh) 基于三维场景应用的交互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102005251B1 (ko) 가상 현실에 기반하여 매물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 제공자 단말 및 방법
JP2016194783A (ja) 画像管理システム、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画像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94784A (ja) 画像管理システム、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画像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17547B2 (ja) 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管理方法、プログラム
JP2021196805A (ja) 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生成方法
KR20190120277A (ko) 서버 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85681A (ko) 실감형 vr 영상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장치
JP201812474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59763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
KR101964661B1 (ko) 트래픽 감소를 위한 vr 영상의 공유 시스템
JP2021168461A (ja) 撮影者端末、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