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254B1 - 셋톱 박스에서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셋톱 박스에서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254B1
KR101909254B1 KR1020150097427A KR20150097427A KR101909254B1 KR 101909254 B1 KR101909254 B1 KR 101909254B1 KR 1020150097427 A KR1020150097427 A KR 1020150097427A KR 20150097427 A KR20150097427 A KR 20150097427A KR 101909254 B1 KR101909254 B1 KR 101909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panorama
viewpoint
region
pano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588A (ko
Inventor
최형기
남윤지
천왕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09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254B1/ko
Priority to US15/205,024 priority patent/US10129606B2/en
Publication of KR2017000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63Graphics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04N5/232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셋톱 박스에서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은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를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마다 각각 비디오 컨트롤을 할당하는 단계, 제 1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제 1 비디오 컨트롤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제 1 시점의 영역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셋톱 박스에서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HIGH-DEFINITION PANORAMA VIDEO VIA SET-TOP BOX, DEVICE AND SYSTEM}
본 발명은 셋톱 박스에서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파노라믹 비디오 영상은 360도의 방향을 촬영한 영상으로서, 다시점 비디오 영상의 한 예이다. 파노라믹 비디오 영상은 1대 이상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들을 기하학적인 교정과 공간적인 합성 등을 통하여 생성할 수 있다. 파노라믹 비디오 영상은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360도 방향의 영상을 모두 담을 수 있다.
이러한 파노라믹 비디오 영상은 일반 영상이 가지는 화각보다 훨씬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특수한 장치 및 시점을 이동하는 기법을 사용할 경우 일반 영상보다 실감나는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파노라믹 비디오 영상을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한 경우, 셋톱박스는 파노라믹 비디오 영상에 왜곡이 없도록 스티칭(stitching), 워핑(warping), 디워핑(de-warping) 등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해당 영상을 특정 뷰(예를 들어, sphere, plane, cube 등)로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뛰어난 하드웨어의 성능을 요구하기 때문에, 저사양의 셋톱박스에서 수행하기는 쉽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2012-133006호에는 시간대별로 촬영된 파노라마 영상을 분류하고, 시간대별로 분류된 파노라마 영상을 타일링하여 블록 단위로 분리하여 타일 영상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체 파노라마 영상 중 일정 영역의 영상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영역의 영상을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시점을 이동하는 경우, 해당 시점의 영역의 영상을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에 비디오 컨트롤을 각각 할당하고, 제 1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제 1 비디오 컨트롤을 활성화하여, 제 1 시점의 영역을 출력하고자 한다.
종래의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되는 전처리 과정을 서버에서 수행함으로써, 저사양의 셋톱 박스에서 고화질의 파노라마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셋톱 박스에서 분할된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마다 비디오 컨트롤을 각각 할당하고, 각 비디오 컨트롤이 할당받은 파노라마 비디오를 제어함으로써, 저사양의 셋톱 박스에서 고화질의 파노라마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셋톱 박스에서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은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를 상기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마다 각각 비디오 컨트롤을 할당하는 단계, 제 1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제 1 비디오 컨트롤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시점의 영역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를 상기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파노라마 비디오 수신부, 파노라마 비디오의 소스를 출력부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 컨트롤부, 출력 시점의 영역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마다 각각 비디오 컨트롤을 할당하고, 출력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비디오 컨트롤을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 및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의 정합, 합성 및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파노라마 비디오를 생성하고, 상기 파노라마 비디오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마다 각각 비디오 컨트롤을 할당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 시점을 입력받고, 상기 출력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비디오 컨트롤 활성화하고, 상기 출력 시점의 영역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에 비디오 컨트롤을 각각 할당하고, 제 1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제 1 비디오 컨트롤을 활성화하고, 제 1 시점의 영역을 출력함으로써, 저사양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예를 들어, 셋톱박스)에서도 고화질 파노라마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되는 전처리 과정을 서버에서 수행함으로써,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의존성을 최소화하고, 저사양의 디바이스를 통해 고화질의 파노라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시스템은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100),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 및 디스플레이 장치(1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100)는 파노라마 비디오의 스티칭(stitching), 워핑(warping), 디워핑(de-warping) 등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파노라마 비디오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를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100)에서 파노라마 비디오에 디워핑 등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셋톱박스에서는 전처리 과정이 수행된 파노라마 비디오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면서, 사용자의 인터럭션(입력된 출력 시점)에 따라 파노라마 비디오를 합성하여 파노라마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저사양의 셋톱박스를 통해 고화질의 파노라마 비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분할된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마다 각각의 비디오 컨트롤을 할당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 시점을 입력받을 수 있다.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입력받은 출력 시점의 영역에 포함되는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비디오 컨트롤 활성화하고, 출력 시점의 영역을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어, 셋탑박스(STB, Set Top Box)이고,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예를 들어,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스마트 TV(Smart TV) 및 커넥티드 TV(Connected TV)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30)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례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3G, 4G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의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파노라마 비디오 수신부(200), 비디오 컨트롤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판단부(230), 출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디오 컨트롤부(210)는 제 1 비디오 컨트롤(211) 및 제 2 비디오 컨트롤(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합성부(2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를 통해 비디오 컨트롤부(210)에는 제 1 비디오 컨트롤(211) 및 제 2 비디오 컨트롤(212)가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 1 비디오 컨트롤(211)만이 포함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비디오 컨트롤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파노라마 비디오 수신부(200)는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100)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를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파노라마 비디오는 기설정된 각도로 분할된 비디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파노라마 비디오는 파노라마 비디오를 90도의 간격으로 분할한 비디오로서, 0도에서 90도까지의 제 1 파노라마 비디오, 90도에서 180도까지의 제 2 파노라마 비디오, 180도에서 270도까지의 제 3 파노라마 비디오, 270도에서 360도까지의 제 4 파노라마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잠시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파노라마 비디오에 관련된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비디오 컨트롤부(210)는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파노라마 비디오의 소스를 출력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비디오 소스는 예를 들면, 분할된 파노라마 비디오마다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컨트롤부(210)는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파노라마 비디오의 개수에 따라 비디오 컨트롤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비디오 컨트롤이 기생성되어 있고, 비디오 컨트롤부(210)는 분할된 파노라마 비디오에 비디오 컨트롤를 각각 할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컨트롤부(210)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0도에서 90도), 제 2 파노라마 비디오(90도에서 180도), 제 3 파노라마 비디오(180도에서 270도), 제 4 파노라마 비디오(270도에서 360도)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 4개를 수신한 경우, 4개의 비디오 컨트롤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마다 각각에 비디오 컨트롤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를 제 1 비디오 컨트롤에 할당하고, 제 2 파노라마 비디오를 제 2 비디오 컨트롤에 할당하고, 제 3 파노라마 비디오를 제 3 비디오 컨트롤에 할당하고, 제 4 파노라마 비디오를 제 3 비디오 컨트롤에 할당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기설정된 출력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비디오 컨트롤을 활성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제 1 비디오 컨트롤(211)을 제 1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하고, 사용자에 의해 해당 시점이 선택된 경우, 제 1 비디오 컨트롤(211)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출력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파노라마 비디오 이외의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비디오 컨트롤은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제 1 비디오 컨트롤(211)을 활성화한 경우, 파노라마 비디오의 180도, 270도, 360도 영상에 할당된 비디오 컨트롤을 히든(hidden)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초기 디폴트 값으로 제 1 비디오 컨트롤(211)을 활성화하여 제 1 파노라마 비디오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해당하는 시점으로 이동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50)는 제 1 비디오 컨트롤(211)을 비활성화하고, 제 2 비디오 컨트롤(212)를 활성화하여 제 2 파노라마 비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50)는 출력 시점이 두 파노라마 비디오 예컨대, 제 1 파노라마 비디오 및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걸친 경우, 제 1 비디오 컨트롤(211) 및 제 2 비디오 컨트롤(212)을 활성화하고, 이외의 비디오 컨트롤은 비활성화할 수 있다.제 1 비디오 컨트롤(211)은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의 소스를 출력부(240)에 전송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제 1 시점의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출력 시점의 입력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파노라마 영상의 기본이 되는 시점(예를 들어,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의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3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출력 시점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130)에서 제 1 파노라마 비디오가 출력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파노라마 비디오의 180도 출력 시점을 입력받을 수 있다.
판단부(230)는 입력받은 출력 시점의 영역이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 중 어느 파노라마 비디오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에서 제 2 시점을 입력받은 경우,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 중 제 2 시점의 영역이 어느 파노라마 비디오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30)에서 판단 결과, 제 2 시점의 영역이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포함되는 경우, 출력부(240)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의 제 2 시점의 영역을 디스플레이 장치(13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받은 출력 시점이 100도 시점이고, 해당 시점이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포함되면, 출력부(240)는 제 2 파노라마 비디오를 디스플레이 장치(130)로 출력할 수 있다.
만일, 판단부(230)에서 판단 결과, 제 2 시점의 영역이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와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와 인접한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걸쳐있는 경우, 제어부(250)는 제 2 비디오 컨트롤(212)을 추가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입력받은 출력 시점이 180도 시점이고, 파노라마 비디오의 90도 영상(제 1 파노라마 비디오)과 파노라마 비디오의 180도 영상(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걸쳐있는 경우, 파노라마 비디오의 180도 영상에 할당된 제 2 비디오 컨트롤(212)를 추가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제 2 비디오 컨트롤(212)은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의 소스를 출력부(240)에 전송할 수 있다.
합성부(241)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 중 제 2 시점의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과 제 2 파노라마 비디오 중 제 2 시점의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통해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의 제 1 시점이 출력되는 중, 시청자로부터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와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걸쳐 있는 제 2 시점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 합성부(241)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 중 제 2 시점에 해당하는 영상과 제 2 파노라마 비디오 중 제 2 시점에 해당하는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합성된 영상을 상기 제 2 시점에 대한 영상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 2 비디오 컨트롤(212)은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의 소스를 출력부(240)에 전송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제 2 시점의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파노라마 비디오 수신부(200), 비디오 컨트롤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판단부(230), 출력부(240) 및 제어부(25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부호 30을 참조하면,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100)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분할된 파노라마 비디오의 URL 주소를 전달받을 수 있다. 각 분할된 파노라마 비디오마다 URL 주소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파노라마 비디오의 0도 내지 90도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www.streaming.com/90, 파노라마 비디오의 90도 내지 180도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www.streaming.com/180, 파노라마 비디오의 180도 내지 270도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www.streaming.com/270, 파노라마 비디오의 270도 내지 360도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www.streaming.com/360로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도면부호 31을 참조하면,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초기에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제 1 비디오 컨트롤(211)을 활성화하고, 제 1 시점에 해당하는 A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 후,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화살표 방향의 시점 이동 입력을 계속 수신하여, B 영상을 출력하고 있는 중, 동일한 시점 이동 입력이 수신되어, 출력 시점의 영역이 제 2 시점 예컨대,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해당하는 영역과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해당하는 영역 즉, B 내지 C 영역에 걸쳐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제 2 비디오 컨트롤(212)을 활성화하고, 제 1 파노라마 비디오 및 제 2 파노라마 비디오 중 제 2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화살표 방향의 시점 이동 입력을 계속 수신하여, 출력 시점이 제 2 시점에서 제 3 시점, 예컨대, C 영역으로 이동되면,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제 1 비디오 컨트롤(211)을 비활성화하고, C 영상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100)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기설정된 각도로 분할된 비디오)를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마다 각각의 비디오 컨트롤을 할당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제 1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제 1 비디오 컨트롤을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제 1 시점의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409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시점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411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 중 제 2 시점의 영역이 어느 파노라마 비디오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13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단계 S411에서 판단한 결과, 제 2 시점의 영역이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포함되는 경우, 제 2 시점의 영역을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1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01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100)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를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마다 각각의 비디오 컨트롤을 할당할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제 1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제 1 비디오 컨트롤을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 S507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제 1 시점의 영역을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509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시점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511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 중 제 2 시점의 영역이 어느 파노라마 비디오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13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단계 S511에서 판단한 결과, 제 2 시점의 영역이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와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와 인접한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걸쳐있는 경우,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제 2 비디오 컨트롤을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 S515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 중 제 2 시점의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과 제 2 파노라마 비디오 중 제 2 시점의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단계 S517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단계 S515에서 합성된 영상을 제 2 시점의 영역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1 내지 S517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1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100)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를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마다 각각의 비디오 컨트롤을 할당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제 1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제 1 비디오 컨트롤을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 S607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제 1 시점의 영역을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609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시점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611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 중 제 2 시점의 영역이 어느 파노라마 비디오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13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단계 S611에서 판단한 결과, 제 2 시점의 영역이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포함되는 경우,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제 2 비디오 컨트롤을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 S615에서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110)는 제 2 시점의 영역을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1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
110: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
120: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8)

  1. 셋톱 박스에서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를 상기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의 개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비디오 컨트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비디오 컨트롤 각각을 상기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 각각에 할당하는 단계;
    제 1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제 1 비디오 컨트롤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시점의 영역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시점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 중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이 어느 파노라마 비디오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한 결과,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이 상기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한 결과,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이 상기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와 상기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와 인접한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걸쳐있는 경우, 상기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제 2 비디오 컨트롤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제 1 파노라마 비디오 중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과 상기 제 2 파노라마 비디오 중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된 영상을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으로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한 결과,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이 상기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제 2 비디오 컨트롤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파노라마 비디오는 기설정된 각도로 분할된 비디오인 것인,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제 1 비디오 컨트롤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비디오 컨트롤을 제외한 비디오 컨트롤은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방법.
  8.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를 상기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파노라마 비디오 수신부;
    파노라마 비디오의 소스를 출력부에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의 개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비디오 컨트롤을 생성하는 비디오 컨트롤부;
    출력 시점의 영역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복수의 비디오 컨트롤 각각을 상기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 각각에 할당하고, 출력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비디오 컨트롤을 활성화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시점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 중 상기 출력 시점의 영역이 어느 파노라마 비디오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를 합성하는 합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컨트롤부는 제 1 비디오 컨트롤; 및 제 2 비디오 컨트롤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비디오 컨트롤을 제 1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 및 활성화하고,
    상기 제 1 비디오 컨트롤은 상기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의 소스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1 시점의 영역을 출력하는 것인,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제 2 시점을 입력받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 중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이 어느 파노라마 비디오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것인,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한 결과,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이 상기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을 출력하는 것인,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한 결과,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이 상기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와 상기 제 1 파노라마 비디오와 인접한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걸쳐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비디오 컨트롤을 상기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 및 활성화하고,
    상기 제 2 비디오 컨트롤은 상기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의 소스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고,
    상기 합성부는 상기 제 1 파노라마 비디오 중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과 상기 제 2 파노라마 비디오 중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합성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합성된 영상을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으로서 출력하는 것인,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한 결과,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이 상기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비디오 컨트롤을 상기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 및 활성화하고,
    상기 제 2 비디오 컨트롤은 상기 제 2 파노라마 비디오의 소스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2 시점의 영역을 출력하는 것인,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파노라마 비디오는 기설정된 각도로 분할된 비디오인 것인,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파노라마 비디오 이외의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비디오 컨트롤은 비활성화하는 것인,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디바이스.
  17.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 및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는,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의 정합, 합성 및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파노라마 비디오를 생성하고,
    상기 파노라마 비디오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의 개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비디오 컨트롤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비디오 컨트롤 각각을 상기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 각각에 할당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 시점을 입력받고,
    상기 출력 시점의 영역이 포함되는 파노라마 비디오에 할당된 비디오 컨트롤 활성화하고,
    상기 출력 시점의 영역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파노라마 비디오의 스티칭, 워핑 및 디워핑의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인,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 제공 시스템.
KR1020150097427A 2015-07-08 2015-07-08 셋톱 박스에서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1909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427A KR101909254B1 (ko) 2015-07-08 2015-07-08 셋톱 박스에서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US15/205,024 US10129606B2 (en) 2015-07-08 2016-07-08 Facilitating high-definition panoramic video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427A KR101909254B1 (ko) 2015-07-08 2015-07-08 셋톱 박스에서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588A KR20170006588A (ko) 2017-01-18
KR101909254B1 true KR101909254B1 (ko) 2018-10-17

Family

ID=5773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427A KR101909254B1 (ko) 2015-07-08 2015-07-08 셋톱 박스에서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29606B2 (ko)
KR (1) KR1019092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2631B (zh) * 2017-03-16 2020-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全景视频中视频分片的下载方法和装置
CN107659851B (zh) * 2017-03-28 2019-09-17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全景图像的展示控制方法及装置
US10212532B1 (en) 2017-12-13 2019-02-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mmersive media with media device
US11323754B2 (en) * 2018-11-20 2022-05-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updating streaming panoramic video content due to a change in user viewpoint
CN110267026A (zh) * 2019-07-05 2019-09-20 浙江开奇科技有限公司 基于5g网络的数据处理方法、移动终端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9591A (ja) * 2001-03-07 2002-09-20 Mixed Reality Systems Laboratory Inc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2012222399A (ja) * 2011-04-04 2012-11-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再生システム、映像再生方法、映像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7441B1 (fr) * 2000-11-29 2004-01-16 Thomson Multimedia Sa Methode de visualisation d'une sequence video dans une fenetre d'un panorama
KR20030015765A (ko) 2001-08-17 2003-02-25 주식회사 차케어스 인터넷상에서 파노라마사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76672B1 (ko) * 2004-11-25 2007-01-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시점 또는 파노라마 콘텐츠 생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대화형 복수시점 콘텐츠 저작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US7886318B2 (en) * 2007-06-22 2011-02-08 Morega Systems Inc. Set top box with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multiple devices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8406241B2 (en) * 2009-11-13 2013-03-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entralized broadband gateway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20229660A1 (en) * 2011-03-09 2012-09-13 Matthews Cynthia 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ed devices
KR20120133006A (ko) * 2011-05-30 2012-12-10 (주)포스트미디어 Iptv 파노라마 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30088640A (ko) 2012-01-31 2013-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일 캐스팅 기반 파노라마 방송 시스템
US9584804B2 (en) * 2012-07-10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SEI NAL units for video coding
KR101528863B1 (ko) * 2013-09-10 2015-06-16 (주)포스트미디어 파노라마 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타일링 영상 동기화 방법
WO2015112064A1 (en) * 2014-01-23 2015-07-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view display control for channel selection
WO2016024892A1 (en) * 2014-08-13 2016-02-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mmersive video
US20170318325A1 (en) * 2016-04-28 2017-11-02 Mesa Digital, Llc Wirelessly streaming venue-based data to client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9591A (ja) * 2001-03-07 2002-09-20 Mixed Reality Systems Laboratory Inc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2012222399A (ja) * 2011-04-04 2012-11-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再生システム、映像再生方法、映像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29606B2 (en) 2018-11-13
US20170013327A1 (en) 2017-01-12
KR20170006588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254B1 (ko) 셋톱 박스에서 고화질 파노라마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2407283B1 (ko) 콘텐트를 전달 및/또는 콘텐트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1844032B1 (ko) 파노라믹 비디오 영상의 관심 영역의 영상 전송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US2018027900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content and/or playing back content
KR101863767B1 (ko) 의사-3d 인위적 원근법 및 장치
US201401848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360 degree video recording using mvc
WO2017138458A1 (ja) 映像表示システム
JP7262877B2 (ja) オーバーレイ指示を用いた適応的ハイダイナミックレンジ・トーンマッピング
US116943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360 stitching workflow and parameter
US20090267958A1 (en) Image viewing using multiple individual settings
US20160132280A1 (en) Image transmission system and image transmission method
KR101668858B1 (ko) 다채널 비디오 스트림 전송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관제 시스템
CN113163214A (zh) 一种视频处理方法及其装置
US112907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ree viewpoint video
US11076162B2 (en) Method and network equipment for encoding an immersive video spatially tiled with a set of tiles
US10484579B2 (en) Systems and methods to overlay remote and local video feeds
US20120200565A1 (en) 3d-image-data transmission device, 3d-image-data transmission method, 3d-image-data reception device, and 3d-image-data reception method
JP5520146B2 (ja) 映像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8088605A (ja)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45633A (ko) 파노라믹 비디오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파노라믹 비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 파노라믹 비디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JP2013105000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US11930290B2 (en) Panoramic picture in picture video
KR20190103775A (ko)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JP2001148806A (ja) 映像合成演算処理装置、そ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4423416B2 (ja) 映像合成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