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775A -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775A
KR20190103775A KR1020180024612A KR20180024612A KR20190103775A KR 20190103775 A KR20190103775 A KR 20190103775A KR 1020180024612 A KR1020180024612 A KR 1020180024612A KR 20180024612 A KR20180024612 A KR 20180024612A KR 20190103775 A KR20190103775 A KR 20190103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ntents
image
images
persona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재
김상조
김정호
박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24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3775A/ko
Publication of KR20190103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실시간 채널로 접속하는 단계, 복수의 실시간 채널 각각에 대응하고, 각각이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MULTISCREEN SERVICE, SERVER AND USER DEVICE}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멀티스크린 서비스 방식은 복수의 실시간 채널을 이용하여 멀티 스크린을 생성하고, 생성된 멀티스크린으로 채널 번호를 할당한 후, 멀티캐스팅 방식으로 셋톱 박스로 스트리밍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 때, 셋톱 박스는 해당 채널 번호로 접속하여 멀티스크린을 송출받는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84202호 (2016.07.13. 공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청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실시간 채널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실시간 채널 각각에 대응하고, 각각이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복수의 실시간 채널 각각에 대응하고, 각각이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하는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실시간 채널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실시간 채널 각각에 대응하고, 각각이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하는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청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 장르에 대응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사용자가 구매하지 않은 컨텐츠 또는 시청하지 않은 컨텐츠를 조합하여 생성된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단말(110)에서 요청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구매 내역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장르별로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장르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마다 복수의 실시간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장르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는 인기 순위가 반영되어 배열될 수 있다.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생성된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멀티스크린 서비스 메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컨텐츠의 구매 내역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를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10)은 예를 들면,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톱 박스, 셋톱 박스가 내장된 IPTV, 기타 멀티스크린을 출력할 수 있는 TV, 노트북, 데스크탑 PC, 모바일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에 대응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에 대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시간 채널로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실시간 채널 각각에 대응하고, 각각이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는 예를 들면, 예고편 영상, 미리보기 영상, 부가 영상 등을 포함하는 VOD(video on demand) 컨텐츠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구매 내역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200) 및 전송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200)는 복수의 실시간 채널 각각에 대응하고, 각각이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200)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단말(110)에서 요청된 복수의 컨텐츠(예컨대, VOD 컨텐츠 등)의 구매 내역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장르별로 컨텐츠의 인기 순위 정보를 집계할 수 있다. 이 때, 장르별 컨텐츠의 인기 순위 정보에는 예를 들면, 순위 정보, 컨텐츠명 및 컨텐츠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200)는 제 1 장르(예컨대, 액션/SF 장르)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인기 순위 정보(300)를 집계하고, 제 2 장르(예컨대, 코미디 장르)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인기 순위 정보(302)를 집계할 수 있다.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200)는 장르별 컨텐츠의 인기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VOD 제공 서버(미도시)에게 각 장르별 인기 순위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의 재생 정보를 요청하고, VOD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해당 컨텐츠의 재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의 재생 정보는 해당 컨텐츠와 연관된 다수의 컨텐츠 정보(예컨대, 컨텐츠의 예고편 영상, 미리보기 영상, 부가 영상 각각에 대한 URL 주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200)는 장르별로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하고,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으로 실시간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200)는 멀티스크린 영상에서 각 콘텐츠 출력 영역에 출력될 콘텐츠가 복수인 경우(예를 들어, 제 1 멀티스크린 영상(30)의 1위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콘텐츠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고, 결정된 재생 순서에 기초하여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200)는 각 장르별로 제 1 멀티스크린 영상 및 제 2 멀티스크린 영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멀티스크린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는 제 2 멀티스크린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보다 인기 순위가 높은 컨텐츠일 수 있다. 제 1 멀티스크린 영상 및 제 2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는 인기 순위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200)는 제 1 장르에 대응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304)을 생성하고, 제 2 장르에 대응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306)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장르에 대응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304)에서 제 1 멀티스크린 영상(30)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는 제 2 스크린 영상(32)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보다 인기 순위가 높은 컨텐츠이다. 제 2 장르에 대응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306)에서 제 1 멀티스크린 영상(36)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는 제 2 스크린 영상(38)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보다 인기 순위가 높은 컨텐츠이다.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200)는 장르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마다 실시간 채널을 할당하고, 각각의 실시간 채널 마다 하나의 멀티캐스트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장르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할당된 고유의 멀티캐스트 IP 주소는 목적지 IP 주소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200)는 액션/SF 장르에 대한 제 1 멀티스크린 영상(30)에 100번 채널을 할당하고, 액션/SF 장르에 대한 제 2 스크린 영상(32)에 101번 채널을 할당하고, 액션/SF 장르에 대한 제 3 스크린 영상(34)에 102번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200)는 코미디 장르에 대한 제 1 멀티스크린 영상(36)에 120번 채널을 할당하고, 코미디 장르에 대한 제 2 스크린 영상(38)에 121번 채널을 할당하고, 코미디 장르에 대한 제 3 스크린 영상(40)에 122번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200)는 VOD 스트리머(미도시)에게 장르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에 포함된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200)는 컨텐츠에 대한 URL 주소를 이용하여 VOD 스트리머(미도시)에게 해당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장르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은 할당된 실시간 채널을 통해 멀티캐스팅 방식으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이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어느 한 장르에 대한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은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되고,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일부가 선택되어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이 생성된다. (도 7 참조)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전송부(210)는 장르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사용자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장르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중 특정 장르에 대한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의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장르의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210)는 장르별로 생성된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마다 할당된 실시간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 멀티캐스팅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200) 및 전송부(21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1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의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11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실시간 채널 각각에 대응하고, 복수의 실시간 채널 각각이 장르별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장르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으로 실시간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장르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사용자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장르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는 예를 들면, VOD 컨텐츠일 수 있다. 장르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은 장르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할당된 실시간 채널을 통해 멀티캐스팅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0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수신부(500),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510) 및 출력 대상 컨텐츠 선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510)는 렌더링부(512) 및 영역 추출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수신부(500)는 사용자 단말(110)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예컨대, 리모컨 등)로부터 멀티스크린 메뉴로의 진입 신호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에 대한 컨텐츠의 구매 내역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컨텐츠의 구매 내역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신부(500)는 사용자로부터 선호하는 컨텐츠의 선호 장르를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수신부(500)는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게 결정된 장르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시간 채널의 접속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된 복수의 실시간 채널의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장르에 관한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시간 채널(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 장르에 대응되는 채널)로 접속할 수 있다.
잠시 도 6을 참조하면,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장르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600, 610, 620)을 장르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600, 610, 620) 각각에 할당된 실시간 채널을 통해 멀티캐스팅 방식으로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장르의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에 포함된 제 1 멀티스크린 영상(602)을 제 1 실시간 채널(예컨대, 101번)을 통해 멀티캐스팅하고, 제 2 멀티스크린 영상(604)을 제 2 실시간 채널(예컨대, 102번)을 통해 멀티캐스팅하고, 제 3 멀티스크린 영상(606)을 제 3 실시간 채널(예컨대, 103번)을 통해 멀티캐스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가 제 1 장르인 경우, 수신부(500)는 제 1 장르의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600) 각각에 할당된 복수의 멀티캐스트 IP 주소에 접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부(500)는 제 1 멀티스크린 영상(602)에 대한 제 1 멀티캐스팅 그룹, 제 2 멀티스크린 영상(604)에 대한 제 2 멀티캐스팅 그룹 및 제 3 멀티스크린 영상(606)에 대한 제 3 멀티캐스팅 그룹에 동시에 조인(Join)할 수 있다.
수신부(500)는 복수의 멀티캐스팅 그룹에 조인한 후,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송출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500)는 제 1 멀티캐스팅 그룹에 조인함으로써 제 1 멀티스크린 영상(602)을 수신하고, 제 2 멀티캐스팅 그룹에 조인함으로써 제 2 멀티스크린 영상(604)을 수신하고, 제 3 멀티캐스팅 그룹에 조인함으로써 제 3 멀티스크린 영상(606)을 수신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 장르가 제 2 장르(예컨대, 코미디 장르)인 경우, 수신부(500)는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 2 장르에 대응하는 제 1 멀티스크린 영상, 제 2 멀티스크린 영상 및 제 3 멀티스크린 영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306)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멀티스크린 영상 내지 제 3 멀티스크린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 장르에 해당하는 컨텐츠이다. 제 1 멀티스크린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는 제 2 멀티스크린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보다 인기 순위가 높은 컨텐츠이고, 제 2 멀티스크린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는 제 3 멀티스크린 영상에 포함된 컨텐츠보다 인기 순위가 높은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510)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구매 내역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의 매 프레임마다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70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510)는 코미디 장르에 대한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306)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구매 내역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306)에 포함된 36개의 컨텐츠 중 9개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선택된 9개의 컨텐츠로 구성된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700)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9개의 컨텐츠는 기구매된 컨텐츠 및 기시청된 컨텐츠를 제외한 컨텐츠일 수 있다.
렌더링부(512)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을 이미지 형식으로 렌더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렌더링부(512)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의 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를 이미지 형식으로 렌더링하여 메모리 버퍼에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영역 추출부(514)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해당하는 이미지에서 복수의 출력 대상 컨텐츠에 해당하는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역 추출부(514)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의 식별자 정보와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해당하는 이미지에 대한 화면 상의 좌표 및 영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출력 대상 컨텐츠 선정부(520)는 컨텐츠의 구매 내역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복수의 출력 대상 컨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출력 대상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기구매한 컨텐츠 및 기시청한 컨텐츠를 제외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대상 컨텐츠 선정부(520)는 제 2 장르에 대응하는 제 1 멀티스크린 영상, 제 2 멀티스크린 영상 및 제 3 멀티스크린 영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306)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기구매한 컨텐츠 및 기시청한 컨텐츠를 제외한 컨텐츠를 출력 대상 컨텐츠로 선정할 수 있다.
이후,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510)는 제 1 멀티스크린 영상에서 선정된 출력 대상 컨텐츠와, 제 2 멀티 스크린 영상에서 선정된 출력 대상 컨텐츠 및 제 3 멀티스크린 영상에서 선정된 출력 대상 컨텐츠를 조합하여 제 2 장르에 대한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700)을 생성할 수 있다.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510)는 제 1 멀티스크린 영상, 제 2 멀티스크린 영상, 제 3 멀티스크린 영상의 제 1 프레임 각각에서 선정된 출력 대상 컨텐츠를 조합하여 제 1 프레임에 대한 제 2 장르의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700)을 생성할 수 있다.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510)는 제 1 멀티스크린 영상, 제 2 멀티스크린 영상, 제 3 멀티스크린 영상의 제 1 프레임 다음의 제 2 프레임 각각에서 선정된 출력 대상 컨텐츠를 조합하여 제 2 프레임에 대한 제 2 장르의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700)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수신부(500),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510), 렌더링부(512), 영역 추출부(514) 및 출력 대상 컨텐츠 선정부(52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서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1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7의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11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01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실시간 채널로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실시간 채널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 장르에 대응하는 채널일 수 있다.
단계 S803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실시간 채널 각각에 대응하고, 각각이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는 VOD 컨텐츠일 수 있다.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으로 실시간 채널이 할당되고,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은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마다 할당된 실시간 채널을 통해 멀티캐스팅될 수 있다.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은 선호 장르에 해당하는 멀티스크린 영상일 수 있다.
단계 S805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는 기구매 컨텐츠 및 기시청 컨텐츠를 제외한 컨텐츠일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801 이전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컨텐츠의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의 선호 장르를 선정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805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을 이미지 형식으로 렌더링하고,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복수의 출력 대상 컨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805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해당하는 이미지에서 복수의 출력 대상 컨텐츠에 해당하는 영역을 추출하고, 복수의 출력 대상 컨텐츠에 해당하는 영역을 조합하여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801 내지 S80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
110: 사용자 단말

Claims (20)

  1.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실시간 채널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실시간 채널 각각에 대응하고, 각각이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을 이미지 형식으로 렌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복수의 출력 대상 컨텐츠를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해당하는 이미지에서 상기 복수의 출력 대상 컨텐츠에 해당하는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출력 대상 컨텐츠에 해당하는 영역을 조합하여 상기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대상 컨텐츠는 기구매 컨텐츠 및 기시청 컨텐츠를 제외한 컨텐츠인 것인,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이력 정보는 구매 내역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는 VOD(video on demand) 컨텐츠인 것인,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으로 실시간 채널이 할당되고,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은 상기 할당된 실시간 채널을 통해 멀티캐스팅되는 것인,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시간 채널로 접속하는 단계 이전에
    선호 장르를 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실시간 채널은 상기 선호 장르에 대응하는 채널인 것인,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은 상기 선호 장르에 해당하는 멀티스크린 영상인 것인,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은 제 1 멀티스크린 영상, 제 2 멀티스크린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멀티스크린 영상 및 상기 제 2 멀티스크린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는 상기 선호 장르에 해당하는 컨텐츠인 것인,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멀티스크린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는 상기 제 2 멀티스크린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보다 인기 순위가 높은 컨텐츠인 것인,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실시간 채널 각각에 대응하고, 각각이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하는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이 생성되는 것인,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는 장르별로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으로 실시간 채널을 할당하는 것인,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장르별로 생성된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상기 할당된 실시간 채널을 통해 멀티캐스팅하는 것인,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
  15.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복수의 실시간 채널로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실시간 채널 각각에 대응하고, 각각이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을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영상을 생성하는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복수의 출력 대상 컨텐츠를 선정하는 출력 대상 컨텐츠 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스크린 영상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을 이미지 형식으로 렌더링하는 렌더링부;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해당하는 이미지에서 상기 복수의 출력 대상 컨텐츠에 해당하는 영역을 추출하는 영역 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대상 컨텐츠는 기구매 컨텐츠 및 기시청 컨텐츠를 제외한 컨텐츠인 것인, 사용자 단말.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는 VOD(video on demand) 컨텐츠인 것인, 사용자 단말.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으로 실시간 채널이 할당되고,
    상기 복수의 멀티스크린 영상 각각은 상기 할당된 실시간 채널을 통해 멀티캐스팅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KR1020180024612A 2018-02-28 2018-02-28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20190103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612A KR20190103775A (ko) 2018-02-28 2018-02-28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612A KR20190103775A (ko) 2018-02-28 2018-02-28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775A true KR20190103775A (ko) 2019-09-05

Family

ID=67949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612A KR20190103775A (ko) 2018-02-28 2018-02-28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37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423A1 (ko) * 2020-08-21 2022-02-24 삼성전자(주)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202A (ko) 2015-01-05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의 3d 컨텐츠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202A (ko) 2015-01-05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의 3d 컨텐츠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423A1 (ko) * 2020-08-21 2022-02-24 삼성전자(주)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9759B2 (en) Picture-in-picture video content distribution
US7600686B2 (en) Media content menu navigation and customization
US9332301B2 (en)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broadcasting thereof
KR101262342B1 (ko) Iptv 방송 시스템 및 수신장치와 iptv시스템의양방향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356502B1 (ko) 방송 신호 전송 방법,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방송 수신기
US20130290444A1 (en) Connected multi-screen social media application
US90493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US8763065B2 (en) Video integration
CN105340280B (zh) 内容供应装置、内容供应方法、存储介质、终端装置及内容供应系统
WO2008055402A1 (fr) Procédé, système, dispositif et boîtier décodeur pour afficher des informations de multiples chaînes sur un même écran
US20150007233A1 (en) Integrated cable and over-the-top video content delivery system
WO2008026845A1 (en) Service roaming system and method
WO2007064439A1 (en) Media content menu navigation and customization
KR101419021B1 (ko) 방송 프로그램 전송 요청 방법 및 이에 대한 방송 프로그램 전송 방법
KR20190103775A (ko)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20110071489A (ko) 아이피티비 셋탑박스 및 그의 채널 전환 방법
US20070124768A1 (en) Media content menu navigation and customization
KR20100023473A (ko) Iptv를 이용하여 개인방송 중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인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319768B1 (ko) 개인화 채널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587442B1 (ko) 타겟팅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등록 방법 및 장치
KR102101775B1 (ko) 합동 방송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90007205A1 (en) User terminal and proxy server of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40094995A (ko) 콘텐츠 공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KR20130030952A (ko) 디지털 시스템 및 디지털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14806B1 (ko) 가변적인 프로모션 채널을 제공하는 단말,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