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713B1 - 검사 키트 - Google Patents

검사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713B1
KR102182713B1 KR1020157025810A KR20157025810A KR102182713B1 KR 102182713 B1 KR102182713 B1 KR 102182713B1 KR 1020157025810 A KR1020157025810 A KR 1020157025810A KR 20157025810 A KR20157025810 A KR 20157025810A KR 102182713 B1 KR102182713 B1 KR 102182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ing
region
substance
dropping
liquid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6865A (ko
Inventor
타카시 미야자와
유키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덴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덴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2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01N33/54388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based on lateral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신속하고도 고감도로 검출이 가능한 검사 키트를 제공한다.
액체 시료를 적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적하 영역과, 적하 영역의 전개 방향 하류에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어, 피검출 물질에 특이하게 결합하는 물질에 표지를 고정한 표지화 물질이 유지되는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과, 피검출 물질을 통해 표지화 물질을 포집하는 검출 구역을 포함하고,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전개 방향 하류에 적어도 그 일부가 연결되어, 액체 시료에 의해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에서 흘러나온 표지화 물질을 검출 구역에 전개시키는 전개 영역과, 액체 시료가 하류에 전개할 때, 표지화 물질이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에 체류하는 것을 억제하는 체류 억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검사 키트{EXAMINATION KIT}
본 발명은 면역 크로마토법(immunochromatography)에 의한 검사 키트에 관한 것이다.
항원-항체 등의 특이적 반응을 이용하여, 특정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면역 측정법으로, 예를 들면, 면역 크로마토법이 알려져 있다.
면역 크로마토법은, POCT(Point Of Care Test)로 널리 활용되는 검사법이다. POCT는 검사 결과를 즉시 의사가 판단하고, 신속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검사 기관에 환자의 검체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환자 가까이서 수행되는 검사이다. 이 때문에 면역 크로마토법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서 유래하는 감염증, 특히 면역력이 낮은 유아나 고령자 등이 감염된 경우와, 한시를 다투는 치료가 필요한 감염증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으며, 신속하고도 고감도의 검출이 요구된다.
면역 크로마트법에 의한 측정은, 간이 검사 키트가 사용된다(특허 문헌 1 참조). 검사 키트는, (1)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액체 시료를 하류로 전개하고, (2)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키트이다. 액체 시료 중에 피검출 물질이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는 액체 시료의 전개 방향 하류에 마련된 테스트 라인이 표지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도 15는, 종래의 면역 크로마트법의 검사 키트의 측면도이다. 검사 키트 a는, 액체 시료를 전개하고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키트 본체 b와, 키트 본체 b의 하류에서 액체 시료를 흡수하는 흡수 패드 c와, 키트 본체 b 및 흡수 패드 c를 설치하는 시트 d를 가진다. 키트 본체 b는, 여러 부재, 구체적으로는 시료 적하 패드 e,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f, 및 고정화 멤브레인 g를 가진다. 이러한 부재 e ~ g는, 액체 시료를 전개하기 위하여, 인접한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연결된다. 이하, 키트 본체 b의 각 부재를 설명한다.
시료 적하 패드 e는, 액체 시료를 적하하기 위한 패드이다.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f는 표지화 물질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패드이다.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f는 표지화 물질을 함유하는 용액을 패드에 함침한 후, 이를 건조하여 작성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표지화 물질은,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항원 또는 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 1 물질(항체 또는 항원)을, 표지되는 불용성 담체 입자 또는 효소 표지 리간드, 형광 표식 리간드에 고정화된 물질이다.
고정화 멤브레인 g는,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 2 물질(항체 또는 항원)이 선 모양으로 고정되는 패드이다.
상기 검사 키트 a 의한 전형적인 작업은 다음과 같다.
액체 시료를 시료 적하 패드 e에 떨어뜨리면, 액체 시료는, 시료 적하 패드 e를 전개하고,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f와의 접합면 h를 통해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f에 유입된다.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f는 액체 시료에 의해 균일하게 유지된 표식화 물질이 흘러 내리고, 액체 시료와 함께 고정화 멤브레인 g와의 접합면 i를 통해 고정화 멤브레인 g에 유입된다. 또한, 액체 시료는, 고정화 멤브레인 g를 전개하고, 흡수 패드 c와의 접합면 j를 통해 흡수 패드 c에 흡수된다.
이상의 작업에서, 액체 시료에 피검출 물질이 포함된 경우에는, 피검출 물질은 표지화 물질의 제 1의 물질에 결합한다. 그리고, 고정화 멤브레인 g 위에서 선 모양에 고정화된 제 2의 물질이 고정화 시료가 되고, 여기에 표지화 물질이 결합 된 피검출 물질이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선 모양으로 포획된다. 이 결과, 표지화 물질이 선 모양에 포획되는 것으로 표시된 테스트 라인을 육안 등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이 검출된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2-202307 호 공보
면역 크로마토법에 의한 검사 키트는, 신속하고도 고감도의 검출이 요구된다. 따라서,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에 유지된 표지화 물질을, 보다 빠르게 고정화 멤브레인 테스트 라인 위치까지 전개시키고, 테스트 라인을 식별하기 쉽도록 테스트 라인 부근에 표지화 물질을 남기지 않도록 확실하게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에 체류해 버리는 등 신속하고도 확실한 전개가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신속하고도 고감도로의 검출이 가능한 검사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검사 키트는, 액체 시료 전개 방향으로 전개시켜, 액체 시료에 포함된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키트이며, 액체 시료를 적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적하 영역과, 적하 영역의 전개 방향 하류에 적어도 한 부분이 연결되어, 피검출 물질에 특이하게 결합하는 물질에 표지를 고정한 표지화 물질이 유지되는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과, 피검출 물질을 통해 표지화 물질을 포집하는 검출 구역을 가지며, 표식화 물질 유지 영역의 전개 방향 하류에 적어도 그 일부가 연결되어, 액체 시료에 의해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에서 흘러나온 표지화 물질을 검출 구역에 전개시키는 전개 영역과, 상기 액체 시료가 하류에 전개할 때, 표지화 물질이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에 체류하는 것을 억제하는 체류 억제 수단이 있다.
검사 키트는 표지화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시료가, 전개 방향 하류 영역에서, 인접한 전개 방향 상류 영역에 역류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류 억제 수단을, 더 갖는다.
역류 억제 수단은, 전개 방향 하류 지역의 흡수력이, 전개 방향 상류 영역의 흡수력에 비해 높게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역류 억제 수단은,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과 적하 영역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체류 억제 수단은, 흡수력이 한결같은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에서, 그 최상류 부분에 표지화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미함유 부분이 배치된다.
체류 억제 수단은, 또한, 적하 영역이 미함유 부분에만 연결된다.
체류 억제 수단은, 또한, 적하 영역의 하류 측의 단면이 미함유 부분의 상류 측 단면에 연결된다.
적하 영역과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은, 한 조각의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조각의 부재는, 흡수력이 균일한 섬유 부재로써,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은,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인 부분이 가압 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체류 억제 수단은,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상류 측의 단면에, 적하 영역의 하류 측의 단면이 연결되어있다.
적하 영역 및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은, 한 조각의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조각의 부재는, 흡수력이 균일한 섬유 부재로써, 상기 표지화 유지 영역은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인 부분이 가압 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검사 키트는, 액체 시료를 적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적하 영역과, 적하 영역의 전개 방향 하류에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어, 피검출 물질에 특이하게 결합하는 물질에 표지를 고정한 표지화 물질이 유지되는 표지와 물질 유지 영역과, 피검출 물질을 통해 표지화 물질을 포집하는 검출 구역이 있고,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전개 방향 하류에, 적어도 그 일부가 연결되어, 액체 시료에 의해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에서 흘러나온 표지화 물질을 검출 구역에 전개시키는 전개 영역을 갖는다. 또한,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흡수력이 적하 영역의 흡수력에 비해 높게 설정되는 것과 동시에,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최상류 부분에 표지화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미함유 부분을 설정한다.
검사 키트는, 액체 시료를 적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적하 영역과, 적하 영역의 전개 방향 하류에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어, 피검출 물질에 특이하게 결합하는 물질에 표지를 고정하는 표지화 물질이 유지되는 영역만으로 구성되는 표지화 물질 유지 공간과, 피검출 물질을 통해 표지화 물질을 포집하는 검출 구역이 있고,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전개 방향 하류에 적어도 그 일부가 연결된 액체 시료에 의해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에서 흘러나온 표지화 물질을 상기 검출 영역에 전개시키는 전개 영역을 갖는다. 또한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흡수력이 적하 영역의 흡수력에 비해 높게 설정되는 것과 동시에,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상류 측 단면에 적하 영역의 하류 측의 단면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속하고도 고감도의 검출을 할 수 있다.
[도 1]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도 1의 검사 키트의 측면도이다.
[도 3] 고정화 멤브레인 및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의 배치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4] 고정화 멤브레인 및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의 배치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5] 검사 키트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7]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키트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도 8의 제 1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10]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키트의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키트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도 12의 제 2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14]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키트의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 기존의 검사 키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하기, 각 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구조부를 가지고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 제 1 실시 형태 >>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키트 1A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사 키트 1A의 측면도이다. 이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키트 1A를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검사 키트의 구성>
검사 키트 1A는, 액체 시료를 전개 방향(이하, 간단히 전개 방향이라 한다)에 전개시켜 액체 시료에 포함된 피검출 물질(항원 또는 항체, 이하 동일)을 검출하는 키트이다. 구체적으로는 검사 키트 1A에 적하 된 액체 시료의 전개 방향 하류에 마련된 테스트 라인이 표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액체 시료에 피검출 물질이 포함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액체 시료의 전개 방향을 화살표로 도에 나타내었다.
검사 키트 1A는, 키트 본체 10A와 흡수 패드 20, 시트 30을 가진다. 시트 30은, 예를 들어, 방수성이 있고 윗면이 점착성이 있는 시트일 수 있다. 시트 30의 표면에는, 키트 본체 10A와 흡수 패드 20이 연결되어 배치된다. 키트 본체 10A는, 액체 시료를 전개함으로써, 피검출 물질(항원 또는 항체, 이하 동일)의 유무가 판정된다. 흡수 패드 20은, 키트 본체 10A를 전개하는 액체 시료를 흡수한다.
<각 부재의 설명>
키트 본체 10A는, 적하 영역으로써의 시료 적하 패드 11,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으로써의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 및 확장 영역으로써의 고정화 멤브레인 15를 가진다.
시료 적하 패드 11은, 전개 방향의 최상류에 배치된다. 시료 적하 패드 11은, 액체 시료가 적하되는 적하 부분을 가진다(도 없음). 시료 적하 패드 11은 소정의 흡수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시료 적하 패드 11은 비교적 흡수력이 낮은 섬유 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시료 적하 패드 11은 비교적 틈새가 성겨서 액체의 전개 속도가 빠른 섬유 부재로 형성된다.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은, 적어도 그 일부가 시료 적하 패드 11의 전개 방향 하류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의 전개 방향 상류 측의 단면은, 시료 적하 패드 11의 전개 방향 하류 측의 단면 아래에 겹쳐서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의 윗면 및 시료 적하 패드 11의 하면에 의해 접합면 d1이 형성된다.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은 시료 적하 패드 11보다 흡수력이 높고, 액체의 전개 속도가 느리다. 예를 들면,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은 시료 적하 패드 11보다 미세한 섬유 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의 흡수력은 균일하다. 액체 시료는, 접합면 d1을 통해 시료 적하 패드 11을 전개하는 것보다 강한 힘으로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에 흡수된다.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에는, 표지화 물질이 유지된다.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은 표지화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미함유 부분 13a와, 표지화 물질을 함유하는 함유 부분 13b를 가진다. 또한, 접합면 d1은 도시 예와 같이, 미함유 부분 13a의 상면 전면에 시료 적하 패드 11의 하면이 접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미함유 부분 13a 상면의 일부가 시료 적하 패드 11의 하면에 접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함유 부분 13b는, 예를 들면, 표지화 물질이 균일하게 유지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표지화 물질이란,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항체 또는 항체, 이하 동일)이 표지가 되는 불용성 담체 입자, 효소 표지 리간드, 또는 형광 표지 리간드에 고정된 물질이다. 표지가 되는 불용성 담체 입자에는, 예를 들어 금 콜로이드, 백금 콜로이드, 착색 입자, 형광 입자 등이 있다.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에 유지된 표지화 물질은, 액체 시료로부터 흘러나와, 액체 시료와 함께 하류에 전개한다. 액체 시료에 피검출 물질이 포함된 경우에는 피검출 물질과 표지된 물질이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표지와 결합 물질이 되어 하류 측에 전개한다.
고정화 멤브레인 15는, 적어도 그 일부가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의 전개 방향 하류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고정화 멤브레인 15의 전개 방향 상류 측의 단면은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의 전개 방향 하류 측의 단면 아래에 겹쳐서 배치된다. 따라서 고정화 멤브레인 15의 윗면과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의 하면에 의해 접합면 d2가 형성된다. 고정화 멤브레인 15는,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보다 흡수력이 높고, 액체의 전개 속도가 느리다. 예를 들어, 고정화 멤브레인 15는 니트로 셀룰로오스 멤브레인 등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보다 미세한 섬유 부재(막체)에서 형성된다. 액체 시료는 접합면 d2를 통해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을 전개하는 것보다도 강하게 고정화 멤브레인 15에 흡수된다.
또한, 도 2는 접합면 d2에 있어서 고정화 멤브레인 15의 윗면에 함유 부분 13b 만 닿도록 배치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ㄱ같이 고정화 멤브레인 15의 윗면에는, 함유 부분 13b 뿐만 아니라 미함유 부분 13a가 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화 멤브레인 15의 윗면에는, 함유 부분 13b의 일부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화 멤브레인 15는,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항체 또는 항원, 이하 동일)을 고정화 영역인 검출 구역 15a를 갖는다(도 1 참조). 검출 구역 15a에 표지화 결합 물질이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표지화 물질이 선 모양에 포획되는 것으로, 테스트 라인이 표지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화 멤브레인 15는, 또한, 컨트롤용 물질(항체 또는 항원, 이하 동일)을 고정화한 영역인 컨트롤 구역을 가질 수 있다. 컨트롤 구역은, 검출 구역 15a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에, 컨트롤용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항원 또는 항체)에, 표지를 위한 불용성 담체 입자 등을 고정화시킨 컨트롤용 표지화 물질을 더 유지시키는 것으로부터, 컨트롤 구역에(이러한 표지화 물질을 포함) 액체 시료가 전개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흡수 패드 20은, 키트 본체 10의 액체 시료를 흡수하는 패드이다. 흡수 패드 20은, 적어도 그 일부가 고정화 멤브레인 15의 전개 방향 하류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고정화 멤브레인 15의 전개 방향 하류 측의 단면에, 흡수 패드 20의 전개 방향 상류 측의 단면이 적재된다. 따라서 흡수 패드 20의 상면과 고정화 멤브레인 15의 하면에 의해 접합면 d3가 형성된다. 액체 시료는 접합면 d3를 통해 흡수 패드에 흡수된다.
또한, 도 2는 (후술하는 다른 측 도면도 마찬가지이다) 시료 적하 패드 11,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 및 흡수 패드 20에 있어서, 다른 부재와 접하지 않는 부분이 시트 30에서 떨어져 있지만, 이러한 부분은 시트 30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검사 키트 1A는, 그 표면을 방수성이 있는 재질의 도시하지 않은 커버로 덮을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는 테스트 라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한편, 적하 부분에는 액체 시료를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되어있을 수 있다.
또한, 검사 키트 1A는, 케이스에 보관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케이스 50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케이스 50은, 검사 키트 1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 52와, 케이스 본체 52를 덮는 덮개 51를 가진다. 케이스 본체 52에는, 검사 키트 1의 위치를 정하는 여러 돌출부 521이 설치된다. 덮개 51에는, 시료 적하 영역 패드 11에 액체 시료를 적하하기 위한 개구부 511, 및 고정화 멤브레인 15 상의 테스트 라인을 확인하는 개구부 512가 형성된다. 커버로 덮은 검사 키트 1A가 케이스 50에 수용될 수 있고, 검사 키트 1A가 그대로 케이스 5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덮개 51 및 케이스 52는, 덮개 51을 폐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기능 설명>
검사 키트 1A는, 액체 시료의 신속하고도 확실한 전개를 위해, 제 1 및/또는 제 2의 기능을 갖춘다. 제 1의 기능은, 표지화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시료의, 전개 방향 하류의 부재에서 인접한 전개 방향 상류의 부재에 역류를 억제하는 기능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1의 기능은 시료 적하 패드 11의 흡수력이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의 흡수력보다 낮다는 구성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해, 표지화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시료의,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로부터 시료 적하 패드 11에의 역류가 억제된다. 또한, 제 1의 기능은,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의 흡수력이 고정화 멤브레인 15의 흡수력보다 낮다는 구성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따라, 표지화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시료의, 고정화 멤브레인 15로부터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에의 역류가 억제된다.
제 2의 기능은, 액체 시료가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에서 고정화 멤브레인 15에 전개할 때, 표지화 물질이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에 체류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이다. 여기서, 체류란, 상류에서 하류로 향하는 액체 시료의 흐름이 흐트러졌을 경우에 그 흐름의 혼란에 휘말려 표지화 물질의 흐름이 막히는 것을 의미한다. 액체 시료의 흐름의 혼란은 다음의 두 가지 증상이 원인으로 일어날 수 있다.
첫 번째는, 시료 적하 패드 11에 비해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의 흡수력이 높다는 흡수력의 단차에 의해,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에서 힘차게 액체 시료가 유입하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접합면 d1 자체가 장애물이 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접합면 d1은 틈의 성김이 상이한 섬유 부재가 인접해 있으며, 또한, 2 개의 부재 사이에 아주 작은 틈새도 존재하기 때문에, 액체 시료가 원활하게 흐르지 않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검사 키트 a는 표지화 물질을 전체에 균일하게 유지한 표식화 물질 고정 패드 f를 사용했다(도 15 참조). 따라서, 접합면 h에서의 유입에 따른 액체 시료의 흐름의 혼란에 휘말려 표지화 시료가 체류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시료 적하 패드 e의 아랫면이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f 상단에 비교적 넓은 범위로 접합되어 있었다. 따라서 접합면 h에서 액체가 유입되는 범위가 넓고, 또한 중력에 의해 모세관 현상만으로 유입하는 것보다 힘차게 액체 시료가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f에 유입하여, 액체 시료의 흐름의 혼란이 더해져, 표지화 물질의 체류를 일으키고 있다.
제 2의 기능은,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의 흡수 능력이 일정하며, 또한 그 최상류에 미함유 부분 13a을 배치시킨 구성에 의한다. 이 구성은 종래와 같이, 표지화 물질을 균일하게 유지한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최상류의 미함유 부분 13a와 함유 부분 13b의 흡수 능력이 균일하기 때문에, 표지화 물질이 존재하는 부분에서의 액체 시료의 흐름의 혼란이 적고, 액체 시료의 흐름의 혼란에 휘말려 체류하는 표지화 물질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2의 기능은 시료 적하 패드 11가 미함유 부분 13a에만 접하는 구성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때 시료 적하 패드 11은 미함유 부분 13a에만 접하고 있으면(즉 시료 적하 패드 11가 함유 부분 13b에 접해 있지 않으면), 어떤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배치하여, 액체 시료는 시료 적하 패드 11, 미함유 부분 13a, 함유 부분 13b, 고정화 멤브레인 15의 순으로 전개한다. 따라서, 액체 시료의 유입 위치인 접합면 d2 아래에 표지화 물질이 유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접합면 d2 부근에서 액체 시료의 흐름의 혼란에 휩싸일 표지화 물질의 체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표지화 물질의 체류가 억제되는 것으로, 함유 부분 13b에서 고정화 멤브레인 15에 표지화 물질을 빠르게 유입시킬 수 있고, 그 후에 표지화 물질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액체 시료가 흐르게 때문에, 표지화 물질이 잔류하기 어렵다.
<검사 키트 내부의 동작>
이하, 액체 시료의 적하에 의한 검사 키트 1A 내부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키트 본체 10A의 각종 부재는 흡수력이 높은 순으로 고정화 멤브레인 15, 표지화 물질 고정 패드 13, 시료 적하 패드 11이다. 이러한 부재를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검사 키트 1A의 시료 적하 패드 11에 적하된 액체 시료는, 다음과 같이 흐른다.
(*) 액체 시료는, 시료 적하 패드 11를 전개하고, 접합면 d1을 통해 시료 적하 패드 11을 전개하는 것보다 높은 흡수력으로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에 흡수된다. 이때, 제 2의 기능으로부터, 액체 시료는 미함유 부분 13a에 유입하여, 미함유 부분 13a에서 흐름을 정돈하여, 미함유 부분 13a에서 함유 부분 13b를 향해 조용히 흐르면서, 함유 부분 13b에 유지된 표지화 물질을 물로 씻어낸다.
(*) 흘려 나온 표지화 물질은, 접합면 d2를 통해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을 전개하는 것보다 강한 힘(흡수력)으로 액체 시료와 함께 고정화 멤브레인 15에 흡수된다. 이때, 함유 부분 13b에서 대략 표지화 물질이 흘려 나온 후에도, 미함유 부분 13a에 남는 액체 시료가 표지화 물질을 씻어낸다.
(*) 액체 시료에 피검출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개되는 동안 피검출 물질에 표지화 물질이 결합하여 표지화 결합 물질이 생성된다. 그 후, 검출 구역 15a의 고정화 시료에 표지화 결합 물질이 결합하고, 테스트 라인으로 표지된다.
(*) 고정화 멤브레인 15를 전개한 액체 시료는, 접합면 d3에 도달하면 흡수 패드 20에 흡수된다.
이상으로부터, 검사 키트 1A는 제 2의 기능에 의해, 액체 시료가 접합면 d1에서 최상류의 미함유 부분 13a에만 유입한 후, 흡수력이 일정한 함유 부분 13b에 흐름으로써, 액체 시료의 흐름의 혼란에 표지화 물질이 휩쓸리는 것을 막고, 표지화 물질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지화 물질이 액체 시료의 흐름의 혼란에 휘말린 경우에도, 제 1의 기능에 의해, 상류 측의 부재로의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준비함으로써, 표지화 물질이 보다 빠르게 고정화 멤브레인 15에 유입하고, 나머지 액체 시료가 표지화 물질의 흐름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신속하고도 고감도의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 제 2 실시 형태 >>
도 7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검사 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를 참조하여 제 2 실시 예에 따른 검사 키트 1B의 일례를 설명한다.
표지화 물질 보유 영역으로써의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은, 적어도 그 일부가 적하 영역으로써의 시료 적하 패드 11의 전개 방향 하류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인접한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의 전개 방향 상류 측의 단면과, 시료 적하 패드 11의 전개 방향 하류 측의 단면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접합면 d4가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 2의 기능을 이루는 구성으로써,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의 최상류에 미함유 부분 13a를 설치한 곳에 더해서, 미함유 부분 13a의 상류 측 단면에, 시료 적하 패드 11의 하류 측의 단면이 연결된다. 따라서 검사 키트 1B는, 액체 시료의 유입 위치에 표지화 물질이 유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액체 시료의 흐름의 혼란에 휘말려 표지화 물질이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검사 키트 1B는 미함유 부분 13a의 단면과 시료 적하 패드 11의 단면을 옆 맞추어 연결하여 미함유 부분 13a의 위에 시료 적하 패드 11을 겹치게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접합면 d4의 면적이 작아질 수 있으며, 또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액체 시료의 유입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시료의 흐름의 혼란을 억제하고, 표지화 물질의 체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각각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의 상류 측의 단면과, 시료 적하 패드 11의 하류 측의 단면을 연결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과 적하 영역이, 한편의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있을 수 있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하나의 변형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 1 패드 17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키트 본체 10Ba는, 전개 영역으로써의 고정화 멤브레인 15과 제 1 패드 17을 갖는다. 제 1 패드 17은, 소정의 흡수 능력을 갖는 적하 영역 171과, 적하 영역 171보다도 흡수력이 높은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 172이, 단편의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패드이다.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 172는, 표지화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미함유 부분 172a와, 표지화 물질이 함유된 함유 부분 172b를 갖는다. 함유 부분 172b는, 예를 들어, 표지화 물질을 균일하게 유지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패드 17은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 172의 흡수 능력이 적하 영역 171보다 높아지도록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 172만을 압축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 1 패드 17은,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 172의 흡수 능력이 적하 영역 171보다도 높아지도록 가열 압축 등에 의해 형성된 일체 형성 패드일 수 있고,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 172의 흡수력이 적하 영역 171보다도 높아지도록 서로 다른 재질의 섬유를 열융착 등에 의해 접합하여 일체로 한 패드일 수 있다.
검사 키트 1Ba는, 제 1 패드 17에서 흡수력이 다른 적하 영역 및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을 조각의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변형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예의 검사 키트 1D는, 틈새의 성김(즉, 흡수력)이 균일한 섬유 재료로 제 1 패드 27의 길이 방향의 하류 측의 절단부를 원하는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 1 패드 27은, 케이스 60에 수용됨으로써,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이 되는 부분이 원하는 압력으로 가압 된다. 이하, 이를 설명한다.
제 1 패드 27은 표지화 물질을 균일하게 함유하는 함유 영역 27B가 있다. 함유 영역 27B는 제 1 패드 27의 길이 방향의 한쪽 끝을 표지화 물질을 함유하는 용액에 함침한 후, 건조하여 형성한다. 또한, 제 1 패드 27의 함유 영역 27B 이외의 영역 27A(이하, 미함유 영역 27A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는, 표지화 물질은 유지되지 않는다.
케이스 60은, 검사 키트 1D를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 62와, 케이스 본체 62를 덮는 덮개 61을 갖는다. 케이스 본체 62에는, 예를 들어, 검사 키트 1의 위치를 정하는 여러 돌출부 621이 세워진다. 덮개 61에는, 시료 적하 영역 171에 액체 시료를 적하하기 위한 개구부 611 및 고정화 멤브레인 15 상단에서 테스트 라인을 확인하기 위한 개구부 612가 형성된다. 덮개 61은, 제 1 패드 27에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가압부 613A가 형성된다. 가압부 613A는 케이스 60에 검사 키트 1D를 수용한 상태에서 제 1 패드 27의 하류 측의 단부(구체적으로는 함유 영역 27B 및 미함유 영역 27A의 하류 측의 일부분)에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 1 패드 27의 검사 키트 1D이 케이스 본체 62에 수용된 경우에는, 가압부 613A에 의해 제 1 패드 27의 하류 측의 단부의 섬유가 부서져, 제 1 패드 27 에 흡수력의 단차가 생겨, 시료 적하 영역과 시료 적하 영역보다 흡수력이 높은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케이스 60에 가압부 613A를 설치함으로써, 케이스 60에 통합하기 전에 제 1 패드 27을 가공할 필요없이, 간단한 제조가 가능해진다. 또한 덮개 61에 고정된 멤브레인 15의 하류 측(예를 들어, 테스트 라인 위치보다 하류 측이며, 흡수 패드 20과 고정화 멤브레인 15의 접합면 d2 부근)을 압박하기 위한 돌기 614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화 멤브레인 15의 하류 측의 섬유가 부서져 액체 시료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케이스 60의 덮개 61에 가압부 613A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압부는 케이스 본체 62의 하부에 돌출 형성ㄷ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60을 이용하지 않고, 제 1 패드 27의 하류 측의 단부를 소정의 가압력으로 상하 방향에서 제한하는 제한 부재 등을 이용해도 좋다.
<< 제 3 실시 형태 >>
도 11은 세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검사 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를 참조하여 세 번째 실시 예에 따른 검사 키트 1C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은 미함유 부분을 갖지 않고, 함유 부분 13b만으로 형성된다. 함유 부분 13b는 예를 들면, 표지화 물질을 균일하게 유지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은, 적어도 그 일부가 적하 영역으로 시료 적하 패드 11의 전개 방향 하류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인접한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의 전개 방향 상류 측의 단면과 시료 적하 패드 11의 전개 방향 하류 측의 단면이 연결된다. 따라서 접합면 d6가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 2의 기능은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즉 함유 부분 13b)의 상류 측 단면에, 시료 적하 패드 11의 하류 측의 단면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검사 키트 1C는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의 단면과 시료 적하 패드 11의 단면을 병렬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 시료 적하 패드 11을 겹쳐서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이러한 접합면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액체 시료의 유입량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아, 액체 시료의 흐름의 혼란을 억제하고, 액체 시료의 흐름의 혼란에 휩싸일 표지화 물질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에는,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의 상류 측의 단면과 시료 적하 패드 11의 하류 측의 단면과 연결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과 적하 영역이, 한 조각의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하나의 변형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 2 패드 18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키트 본체 10Ca는, 전개 영역으로써의 고정화 멤브레인 15와, 제 2 패드 18을 가진다. 제 2 패드 18은, 소정의 흡수력을 갖는 적하 영역 181과 적하 영역 181보다 흡수력이 높은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 182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패드이다.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 182은, 미함유 부분을 갖지 않고 함유 부분 182b만으로 형성된다. 함유 부분 182b는, 예를 들어, 표지화 물질을 균일하게 유지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패드 18은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 182의 흡수력이 적한 영역 181보다 높아지도록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 182만을 압축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 2 패드 18은,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 182의 흡수력이 적하 영역 181보다 높아지도록 가열 압축 등에 의해 형성된 일체 형성 패드일 수 있고,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 182의 흡수력이 적하 영역 181보다 높아지도록 상이한 재질의 섬유를 열 융착 등에 의해 접합하여 일체화한 패드일 수 있다.
검사 키트 1Ca는, 제 2 패드 18에서 흡수력이 상이한 적하 영역과 표지화 물질 보유 영역을 포함하는 조각의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변형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전술한 틈새의 성김(즉, 흡수 능력)이 균일한 섬유 재료로 제 1 패드 27과 케이스 60을 이용한다. 제 1 패드 27은 예를 들어, 케이스 60에 수용됨으로써,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인 부분이 원하는 압력으로 가압된다.
덮개에는, 가압부 613B가 형성된다. 가압부 613B의 위치는 케이스 60에 검사 키트 1D를 수용한 상태로, 제 1 패드 27의 하류 측의 단부(구체적으로는 함유 영역 27B 만)에 마주보는 위치에 설정된다. 따라서, 제 1 패드 27의 검사 키트 1D이 케이스 본체 62에 수용된 경우에는, 가압부 613B에 의해 제 1 패드 27의 하류 측의 단부의 섬유가 부서져, 제 1 패드 27에 흡수력의 단차가 생겨, 시료 적하 영역과 시료 적하 영역보다 흡수력이 높은 표지화 물질 보존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케이스 60에 가압부 613B를 설치함으로써, 케이스 60에 통합하기 전에 제 1 패드 27을 가공할 필요없이 간단한 제조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서는 케이스 60의 덮개 61에 가압부 613B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압부는 케이스 본체 62의 하단에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60을 이용하지 않고, 제 1 패드 27의 하류 측의 단부를 소정의 가압력으로 상하 방향에서 제한하는 제한 부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설명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 실시 예에만 한정하려는 취지는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실시 예 1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검사 키트와 기존의 검사 키트를 비교 실험을 통해 설명한다.
[실시 예 1]
이하, 두 가지의 실험을 설명한다. 또한, 실험은 A 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피검출 물질) 검출을 위한 검사 키트를 이용하였다. 또한 표지가 되는 불용성 담체 입자에 형광 폴리스티렌 입자를 사용하였다.
<< 제 1 실험 >>
제 1 실험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검사 키트와, 기존의 검사 키트와의 표지화 물질의 전개 속도를 비교하기 위한 실험이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시료 적하 후, 소정 시간마다 테스트 라인 위치 부근(이하, 백그라운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 잔류하는 표지화 물질의 유무를 판정한다. 이하의 실험의 설명에서는 기존의 검사 키트를 검사 키트 A,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키트를 검사 키트 B로 설명한다. 또한, 배경에 잔류하는 표지화 물질의 유무를 판정하는 시간을 백그라운드 판정 시간이라 한다. 이하, 순서대로 설명한다.
<항체 제작>
항체의 제작은 다음 단계로 수행하였다.
(*) A 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을 BALB/c 마우스에 면역반응하여 일정 기간 사육한 마우스에서 비장을 적출하고, 마우스 미에로마 세포와 융합시켜 융합 세포(하이브리도마)을 생성했다.
(*) 융합 세포(하이브리도마)를 소정 온도에서 유지하고, A 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원을 고상화한 플레이트를 이용한 ELISA에 의해, 상청의 항체 활성을 확인하면서 세포의 순화(단일 클론)를 실시했다.
(*) 취득한 단일 클론화 세포 2 주를, 각각 BALB/c 마우스에 복강 투여하고, 소정 기간 후, 각각의 마우스에서 항체 함유 복수를 채취했다.
(*) 얻어진 2 종류의 복수에서 각각 IgG를 정제하여, 2 종류의 정제 항 A 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체를 얻었다.
<고정화 멤브레인의 제조>
고정화 멤브레인의 제작은 다음 단계로 수행하였다.
(*) 제 1 항 A 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체를 정제수로 소정 농도로 희석했다.
(*) 희석 용액을 니트로 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의 소정의 위치에 선 모양으로 도포·건조시키고, 항 A 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체를 고정한 검출 구역을 생성하고, 고정화 멤브레인을 얻었다.
<표지화 물질의 조제>
표지화 물질의 조제는 다음 순서로 수행하였다.
(*) 제 2 항 A 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체를 정제수로 소정 농도로 희석하여 희석 용액에 형광 폴리스티렌 입자를 첨가하여 교반 하였다.
(*) 가교제를 첨가하여 더 교반하고, 원심 분리하여 상청을 제거한 후 조정하여 표지화 물질(항 A 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체 결합 형광 폴리스티렌 입자)를 얻었다.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의 제작>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의 제작은 다음과 같다.
표지화 물질을 2.0, 1.5, 1.2, 0.8, 0.4 ㎍이 되도록 각 패드(유리 섬유 부직포)에 도포하고 건조시켰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5 종류의 입자량의 패드(2.0, 1.5, 1.2, 0.8, 0.4 ㎍)에 대해, 각각 표지화 물질이 균일하게 도포된 기존 표지화 물질 고정 패드 (A)와, 미함유 부분을 갖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B)를 제작하였다.
<검사 키트 조립>
검사 키트의 조립은 다음과 같다.
점착성을 갖는 시트의 표면에, 키트 본체(고정화 멤브레인 표지화 물질 고정 패드 및 시료 적하 패드)와 흡수 패드를 배치한다. 기존의 검사 키트 A의 배치는 도 11과 같다(도 중에서는 검사 키트 a). 제 1 실시 형태의 검사 키트 B의 배치는, 도 1 및 2와 같다(도 중에서는 검사 키트 1A).
<액체 시료의 조제>
소정의 조건에 따라 액체 시료를 제조하였다.
<백그라운드 측정>
백그라운드 측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 액체 시료 50 ㎕를 적하 패드에 적하하여, 각 검사 키트에 표지화 물질이 전개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고정화 멤브레인에 표지화 물질을 육안으로 관찰했다.
(*) 관찰은 1 분 간격으로 수행하였다.
(*) 또한, 정확을 기하기 위해 트랜스 일루미네이터에서 관찰했다. 분명하게 표지화 물질이 남아있는 경우를 백그라운드 (+), 표지화 물질이 거의 보이지 않는 경우를 백그라운드 (-)로 판정했다.
<결과>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091099558-pct00001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에 유지되는 입자의 양이 모든 경우에 있어서, 검사 키트 B는 검사 키트 A에 비해 짧은 시간에 백그라운드 (-)로 판정되었다. 즉,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에 유지되는 표지화 물질의 양에 관계없이 검사 키트 A보다도 검사 키트 B가 신속하게 표지화 물질을 전개할 수 있는 것이 본 실험에서 나타났다. 다른 시각에서 보면, 적가 후 비교적 빠른 판정 시간인 8 ~ 10 분에서, 검사 키트 A보다 검사 키트 B 쪽이 더 표지화 물질을 적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제 2의 실험 >>
제 1 실험에서 검사 키트 B는 검사 키트 A보다 신속하게 표지화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시료를 전개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신속하여도 감도가 좋지 ㅇ않으면 정확한 판정은 할 수 없다. 제 2의 실험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검사 키트와, 기존의 검사 키트와의 표지화 물질의 감도를 대비하기 위한 실험이다. 이하, 순서대로 설명한다.
<액체 시료(피검출 물질을 포함)의 조제>
액체 시료(피검출 물질을 포함)의 준비는 다음과 같다.
원액에는, 피검출 물질(A 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원) 용액을 사용하여 2 배 희석액(21, 22, 23, 24, 25, 26, 27)의 7 종의 액체 시료(피검출 물질을 포함)를 준비했다.
<측정>
측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실시하였다.
(*) 검사 키트 A 및 B에 상기 7 종의 액체 시료(피검출 물질을 포함)을 50 ㎕ 적하하고, 측정 시간이 지난 후, 테스트 라인의 표지가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했다.
(*) 측정 시간은 8 분으로 하였다.
(*)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의 측정 시간 8 분에, 백그라운드가 (-)인 이하의 검사 키트를 대상으로 했다. 즉, 신속한 검사를 위한 측정 시간을 8 분으로 가정하여 실험 1에서 백그라운드 (-)가 되는 측정 시간이 8 분 이상인 것에 대해서는 대상에서 제외했다.
· 검사 키트 A (입자 량 : 0.4 ㎍)
· 검사 키트 B (입자 량 : 0.8 ㎍ 및 1.5 ㎍)
(*) 또한 정확을 기하기 위해 트랜스 일루미네이터에서 관찰했다. 테스트 라인의 표지가 식별 가능한 경우 테스트 라인 (+), 테스트 라인의 표지가 식별 불가능한 경우 테스트 라인 (-)로 판정했다.
<결과>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091099558-pct00002
상기는, 액체 시료(피검출 물질을 포함)을 각 검사 키트에 적하하여 8 분 후 테스트 라인 판정이다. 검사 키트 B는 검사 키트 A에 비해, 테스트 라인 (+)가 되는 액체 시료(피검출 물질을 포함)의 희석 비율이 높았다. 특히 1.5 ㎍의 입자량의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를 갖는 검사 키트 B는, 26 라는 높은 희석 비율의 액체 시료(피검출 물질을 포함)을 사용해도 테스트 라인의 표지가 식별되었다. 즉, 적하 후 비교적 빠른 8 분이라는 시간에서, 검사 키트 A에 비해 검사 키트 B 쪽이, 감도가 높은 것으로 본 실험에서 나타났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험으로부터, 검사 키트 B는 검사 키트 A에 비해 신속하고 민감한 피검출 물질의 검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A. 검사 키트
10A. 키트 본체
11. 시료 적하 패드
13. 표지화 물질 유지 패드
13a. 미함유 부분
13b. 함유 부분
15. 고정화 멤브레인
20. 흡수 패드
30. 시트

Claims (14)

  1. 액체 시료 전개 방향으로 전개시켜, 상기 액체 시료에 포함된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검사 키트로,
    상기 액체 시료를 적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적하 영역과,
    상기 적하 영역의 전개 방향 하류에 연결되며 표지화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미함유 부분을 포함하고, 및 표면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며 상기 피검출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를 포함하는 표지화 물질을 함유하는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과;
    상기 피검출 물질을 통해 상기 표지화 물질을 포집하는 검출 구역을 가지며,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전개 방향 하류에, 적어도 그 일부가 연결되고, 상기 액체 시료에 의해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에서 흘러나온 상기 표지화 물질을 상기 검출 구역에 전개시키는 전개 영역과; 및
    상기 액체 시료가 하류에 전개될 때, 상기 표지화 물질이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에 체류하는 것을 억제하는 체류 억제 수단을 포함하는 검사 키트로서,
    상기 체류 억제 수단은,
    상기 표지화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미함유 부분이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최상류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적하 영역이 상기 미함유 부분을 통해서만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과 연결되고; 및
    상기 전개 영역은 상기 함유 부분을 통해서만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과 연결되고, 이때 상기 함유 부분은 전개 영역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화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시료가 전개 방향 하류 영역에서, 인접한 전개 방향 상류 영역에 역류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류 억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검사 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억제 수단은, 상기 전개 방향 하류 영역의 흡수력이, 상기 전개 방향 상류 영역의 흡수력에 비해 높게 설정되는 검사 키트.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억제 수단은,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과 상기 적하 영역 사이에 설치되는 검사 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흡수력이 균일한 것인 검사 키트.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류 억제 수단은, 또한, 상기 적하 영역의 하류 측의 단면이 상기 미함유 부분의 상류 측 단면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검사 키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 영역과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이, 한 조각의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검사 키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조각의 부재는, 흡수력이 균일한 섬유 부재로,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은 해당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이 가압 됨으로써 형성된 검사 키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은, 상기 표지화 물질을 함유하는 함유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체류 억제 수단은,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상류 측 단면에, 상기 적하 영역의 하류 측 단면이 연결되는 검사 키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 영역과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이, 한 조각의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검사 키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조각의 부재는, 흡수력이 균일한 섬유 부재로,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은 해당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이 가압 됨으로써 형성된 검사 키트.
  13. 액체 시료 전개 방향으로 전개시켜, 상기 액체 시료에 포함된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검사 키트로,
    상기 액체 시료를 적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적하 영역과,
    상기 적하 영역의 전개 방향 하류에 연결되며 표지화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미함유 부분을 포함하고, 및 표면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며 상기 피검출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를 포함하는 표지화 물질을 함유하는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과;
    상기 피검출 물질을 통해 상기 표지화 물질을 포집하는 검출 구역을 가지며,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전개 방향 하류에, 적어도 그 일부가 연결되고, 상기 액체 시료에 의해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에서 흘러나온 상기 표지화 물질을 상기 검출 구역에 전개시키는 전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흡수력이 상기 적하 영역의 흡수력에 비해 높게 설정되며;
    상기 표지화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미함유 부분이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최상류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적하 영역이 상기 미함유 부분을 통해서만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과 연결되고; 및
    상기 전개 영역은 상기 함유 부분을 통해서만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과 연결되며 이‹š, 상기 함유 부분은 전개 영역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키트.
  14. 액체 시료를 전개 방향으로 전개시켜, 상기 액체 시료에 포함된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검사 키트로,
    상기 액체 시료를 적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적하 영역과;
    상기 적하 영역의 전개 방향 하류에 연결되며 표지화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미함유 부분을 포함하고, 및 표면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며 상기 피검출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를 포함하는 표지화 물질을 함유하는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과;
    상기 피검출 물질을 통해 상기 표지화 물질을 포집하는 검출 구역을 가지며,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전개 방향 하류에, 적어도 그 일부가 연결되고, 상기 액체 시료에 의해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에서 흘러나온 상기 표지화 물질을 상기 검출 구역에 전개시키는 전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의 흡수력이 상기 적하 영역의 흡수력에 비해 높게 설정되며; 및
    상기 전개 영역은 상기 함유 부분을 통해서만 표지화 물질 유지 영역과 연결되며, 이때 상기 함유 부분은 전개 영역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키트.
KR1020157025810A 2013-03-13 2014-03-12 검사 키트 KR102182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0974A JP6180761B2 (ja) 2013-03-13 2013-03-13 検査キット
JPJP-P-2013-050974 2013-03-13
PCT/JP2014/056518 WO2014142179A1 (ja) 2013-03-13 2014-03-12 検査キ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865A KR20150126865A (ko) 2015-11-13
KR102182713B1 true KR102182713B1 (ko) 2020-11-24

Family

ID=5153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810A KR102182713B1 (ko) 2013-03-13 2014-03-12 검사 키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97601B2 (ko)
EP (1) EP2975407B1 (ko)
JP (1) JP6180761B2 (ko)
KR (1) KR102182713B1 (ko)
ES (1) ES2752466T3 (ko)
WO (1) WO20141421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0761B2 (ja) 2013-03-13 2017-08-16 デンカ生研株式会社 検査キット
JP6105335B2 (ja) 2013-03-13 2017-03-29 デンカ生研株式会社 検査キット
JP6777468B2 (ja) * 2016-09-01 2020-10-28 デンカ株式会社 検査キット
WO2019116527A1 (ja) * 2017-12-15 2019-06-20 デンカ生研株式会社 検査キッ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3970A (ja) 2001-07-03 2003-03-19 Mitsubishi Chemicals Corp 試験片を用いた被検物質の測定方法及び装置
JP2007086026A (ja) * 2005-09-26 2007-04-05 Sysmex Corp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キット、試験容器
KR100735080B1 (ko) 2006-08-03 2007-07-03 (주)래피젠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231B2 (ja) 1991-04-16 2001-02-13 東洋紡績株式会社 固相生物学的特異反応測定法およびそのための器具
US5356782A (en) 1992-09-03 1994-10-18 Boehringer Mannheim Corporation Analytical test apparatus with on board negative and positive control
EP1086372B1 (en) 1998-03-30 2006-05-31 OraSure Technologies, Inc. Collection device for single step assay of oral fluids
JP2001021562A (ja) 1999-07-09 2001-01-26 Nitto Denko Corp 酵素免疫クロマトグラフ用検査片
GB9925461D0 (en) * 1999-10-27 1999-12-29 Genosis Ltd Assay device
US6699722B2 (en) * 2000-04-14 2004-03-02 A-Fem Medical Corporation Positive detection lateral-flow apparatus and method for small and large analytes
JP2002202307A (ja) 2000-12-27 2002-07-19 Iatron Lab Inc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法
US6492127B2 (en) 2001-01-23 2002-12-10 Varian, Inc. Lateral flow testing device with on-board chemical reactant
EP1491892A4 (en) 2002-04-05 2006-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EST DEVICE FOR CHROMATOGRAPHY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6875185B2 (en) 2002-07-29 2005-04-05 Branan Medical Corporation Integrated confirmation sample in a body fluid test device and method of using
US7449296B2 (en) 2005-02-28 2008-11-11 Mj Biologics, Inc. Method and kit for detecting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CN101258406A (zh) 2005-07-14 2008-09-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分析装置及分析方法
JP2008164520A (ja) 2006-12-28 2008-07-17 Aisin Seiki Co Ltd 抗原抗体反応を利用した検出装置
WO2009123592A1 (en) * 2008-04-03 2009-10-08 Zyomyx, Inc. Device and method for analysis of samples with depletion of analyte content
JP2010156571A (ja) 2008-12-26 2010-07-15 Fujifilm Corp クロマトグラフデバイス
US20100267049A1 (en) 2009-04-15 2010-10-21 Rutter William J Diagnosti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EP2496941B1 (en) * 2009-11-04 2016-07-13 Thomas M. Buchanan Methods and devices to enhance sensitivity and evaluate sample adequacy and reagent reactivity in rapid lateral flow immunoassays
WO2012012500A1 (en) 2010-07-20 2012-01-26 Nurx Pharmaceuticals, Inc. Optical reader systems and lateral flow assays
JP5347114B2 (ja) * 2010-09-14 2013-11-20 アドテック株式会社 免疫学的検査具
JP2012189346A (ja) * 2011-03-09 2012-10-04 Tanaka Kikinzoku Kogyo Kk 吸収パッド
JP5083433B2 (ja) * 2011-05-30 2012-1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クロマトグラフィー定量測定装置
JP6180761B2 (ja) 2013-03-13 2017-08-16 デンカ生研株式会社 検査キット
JP6105335B2 (ja) 2013-03-13 2017-03-29 デンカ生研株式会社 検査キ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3970A (ja) 2001-07-03 2003-03-19 Mitsubishi Chemicals Corp 試験片を用いた被検物質の測定方法及び装置
JP2007086026A (ja) * 2005-09-26 2007-04-05 Sysmex Corp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キット、試験容器
KR100735080B1 (ko) 2006-08-03 2007-07-03 (주)래피젠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78152A (ja) 2014-09-25
KR20150126865A (ko) 2015-11-13
EP2975407A4 (en) 2016-11-02
EP2975407A1 (en) 2016-01-20
EP2975407B1 (en) 2019-08-07
WO2014142179A1 (ja) 2014-09-18
JP6180761B2 (ja) 2017-08-16
US20160041161A1 (en) 2016-02-11
ES2752466T3 (es) 2020-04-06
US9897601B2 (en)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596B1 (ko) 검사 키트
US8445293B2 (en) Method to increase specificity and/or accuracy of lateral flow immunoassays
US5939331A (en) Red blood cell separation means for specific binding assays
KR101332336B1 (ko) 프로존 효과를 회피할 수 있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2182713B1 (ko) 검사 키트
CN107430120B (zh) 免疫检测方法和用于其的测试条
KR20150130346A (ko) 전환 구역을 이용한 다면 측방향 유동 분석
KR20060109595A (ko) 개선된 측면 이동 면역분석법과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10976315B2 (en) Immunoassay utilizing trapping conjugate
EP3665187A1 (en) Assay methods for improved analyte detection
JP6061843B2 (ja) 検体不添加サンプルを操作不適サンプルと判定できる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に基づく検出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テストストリップ
JP2017026621A (ja) 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
KR102586991B1 (ko)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장치
JPWO2016031892A1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テストストリップ
JPWO2020085289A1 (ja) イムノクロマト用試験片
JP7337371B2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測定装置
JP6470147B2 (ja) 免疫学的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