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429B1 - 분체교반장치 - Google Patents

분체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429B1
KR102182429B1 KR1020190133337A KR20190133337A KR102182429B1 KR 102182429 B1 KR102182429 B1 KR 102182429B1 KR 1020190133337 A KR1020190133337 A KR 1020190133337A KR 20190133337 A KR20190133337 A KR 20190133337A KR 102182429 B1 KR102182429 B1 KR 102182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powder
container
coupled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훈
Original Assignee
김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훈 filed Critical 김병훈
Priority to KR1020190133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429B1/ko
Priority to KR1020200141830A priority patent/KR102317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7/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6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about an inclined axis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perpendicular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4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having two or more mixing elements being concentrically mounted on the sam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01F7/00125
    • B01F7/00191
    • B01F7/0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함체 형상의 하우징(110)과; 상부가 개방되며 피처리분체가 수용되는 분체교반용기(120)와; 하부에 상기 분체교반용기(1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결합부재(130)와; 상기 용기결합부재(13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용기결합부재(130) 내부에 배치된 임펠러(143,145)를 회전구동시켜 상기 피처리분체가 교반되게 하는 교반구동부(140)와; 상기 하우징(110)에 일정 각도 경사지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으로 노출된 선단이 상기 교반구동부(140)에 결합되는 회전축(152)과; 상기 회전축(152)을 회전구동시켜 상기 교반구동부(140)와 상기 용기결합부재(130) 및 상기 분체교반용기(120)가 지면에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피처리분체가 교반되게 하는 경사회전구동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구동부(140)는, 상기 분체교반용기(120)의 상면에 결합된 교반모터(141)와; 상기 교반모터(141)의 교반모터구동축(141a)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교반용기()의 상부까지 연장형성되는 교반축(142)을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143,145)는 상기 교반축(142)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경사임펠러(145)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경사임펠러(145)는 정지된 상태에서 분체교반용기(120) 내부의 피처리분체가 지면에 대해 갖는 경사각도에 반대되는 경사각도로 상기 교반축(14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체교반장치{POWDER STIRRING DEVICE}
본 발명은 분체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분체교반용기를 경사진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교반효율을 향상시킨 분체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체교반장치는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는 모터에 임펠러를 설치하고, 회전하는 임펠러가 원통형의 용기에 수용된 분체와 접촉하여 분체를 분쇄, 교반하는 장치이다. 특히 서로 다른 종류의 분체를 혼합하여 용기에 수용하고 임펠러를 회전시키면, 이종의 분체들이 골고루 섞이는 것은 물론이지만, 어느 한 분체의 입자 표면에 다른 종류의 분체 미립자가 달라붙으면서 코팅되고, 결과적으로 분체의 표면 특성이 애초와는 전혀 다른 것으로 바뀌기도 한다. 이와 같은 효과를 표면개질(Surface Modification)이라 칭한다. 분쇄, 교반 및 표면개질의 효과를 원활히 가져오기 위하여 분체교반장치는 용기에 수용된 분체 전체에 접촉하여 분체를 균일하게 교반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등록특허 제10-0673977호 "분체교반장치"는 분체가 수용된 용기를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며 교반효율을 높인다.
도 1은 개시된 분체교반장치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분체교반장치(10)는 분체가 수용되는 용기(11)의 상부에 임펠러(12a)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모터(12)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모터(13)가 구비된다. 제2모터(13)가 제1모터(12)와 함께 용기(11)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용기(11) 내부의 분체의 교반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분체교반장치는 수직방향으로 용기(11)가 회전되기 때문에 용기(11) 내부의 분체가 수직방향으로 떨어지면서 제자리에서 이동만 될 뿐 실제로 내부에서 교반이 원활하지 않은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체의 교반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회전구조를 개선한 분체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체와 임펠러의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분체의 교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체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체교반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체교반장치는,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함체 형상의 하우징(110)과; 상부가 개방되며 피처리분체가 수용되는 분체교반용기(120)와; 하부에 상기 분체교반용기(1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결합부재(130)와; 상기 용기결합부재(13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용기결합부재(130) 내부에 배치된 임펠러(143,145)를 회전구동시켜 상기 피처리분체가 교반되게 하는 교반구동부(140)와; 상기 하우징(110)에 일정 각도 경사지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으로 노출된 선단이 상기 교반구동부(140)에 결합되는 회전축(152)과; 상기 회전축(152)을 회전구동시켜 상기 교반구동부(140)와 상기 용기결합부재(130) 및 상기 분체교반용기(120)가 지면에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피처리분체가 교반되게 하는 경사회전구동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구동부(140)는, 상기 분체교반용기(120)의 상면에 결합된 교반모터(141)와; 상기 교반모터(141)의 교반모터구동축(141a)에 결합되며 상기 분체교반용기(120)의 상부까지 연장형성되는 교반축(142)을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143,145)는 상기 교반축(142)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경사임펠러(145)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경사임펠러(145)는 정지된 상태에서 분체교반용기(120) 내부의 피처리분체가 지면에 대해 갖는 경사각도에 반대되는 경사각도로 상기 교반축(14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펠러(143,145)는 상기 교반축(142)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경사임펠러(143,145)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경사임펠러(143,145)는 상기 교반축(142)에 수평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152)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151)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에는 상기 회전모터(151)를 상기 회전축(152)과 동일한 경사각도로 지지하는 회전모터지지프레임(115)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모터(151)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152)으로 전달하는 전동수단(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교반모터(141)가 고정된 하부가 상기 용기결합부재(130)의 상면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용기결합부재(130)의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52)과 고정결합되는 모터지지케이싱(1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결합부재(13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경사임펠러(145)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분체교반용기(120) 내부의 피처리분체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상부경사임펠러(145)와 피처리분체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키는 이동제한판(146)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분체교반장치는 분체교반용기가 경사회전구동부에 의해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종래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던 경우와 비교할 때 피처리분체의 움직임이 급격하게 변화되지 않고 천천히 이동되므로 임펠러와 접촉시간이 증가되어 교반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체교반장치는 교반축에 결합된 상부경사임펠러가 피처리분체가 경사진 각도에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분체교반용기의 수직방향 회전시 피처리분체와의 접촉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의해 피처리분체를 교반하는 시간이 증가되어 교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경사임펠러의 상부에 구비된 이동제한판이 피처리분체가 타 영역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제한하여 상부경사임펠러와의 접촉시간이 지연되게 한다. 이에 의해 피처리분체의 교반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분체교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교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교반장치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분체교반용기의 수직방향 회전시 각 위치별 피처리분체의 교반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교반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분체교반장치(10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체교반장치(100)는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하우징(110)과, 피처리분체(M)가 수용되는 분체교반용기(120)와, 분체교반용기(12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결합부재(130)와, 용기결합부재(13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어 분체교반용기(120)의 피처리분체가 교반되게 하는 교반구동부(140)와,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교반구동부(140)와 이에 결합된 분체교반용기(120) 및 용기결합부재(130)가 함께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경사회전구동부(150)와,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경사회전구동부(150)의 구동을 돕는 회전구동부지지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교반장치(100)는 회전축(152)이 지면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데, 경사 설치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면과 같이 하우징(110)에 수용된 경사회전구동부(15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52)이 지면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회전축(152)에 교반구동부(140)가 결합되고, 교반구동부(140)에 용기결합부재(130)와 분체교반용기(120)가 결합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분체교반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기울어진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는 효과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며, 피처리분체(M)와 임펠러(143,145)의 접촉시간이 길어져 피처리분체(M)의 교반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하우징(110)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경사회전구동부(150)를 수용하며, 분체교반용기(120)가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각 구성들을 지지한다.
하우징(110)의 외부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입력부(111)와, 현재 구동조건을 표시하는 표시부(113)가 구비된다. 입력부(111)는 전원 on/off, 교반구동부(140)의 교반모터(141)의 회전속도, 경사회전구동부(150)의 회전모터(151)의 회전속도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표시부(113)는 교반모터(141)의 현재 회전속도, 회전모터(151)의 현재 회전속도, 교반작업 진행시간 등이 표시된다.
하우징(110)의 바닥면에는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117)가 구비된다. 베이스(117) 상에는 회전모터(151)를 일정각도 경사지게 지지하는 회전모터지지프레임(115)이 구비된다.
분체교반용기(120)는 내부에 피처리분체(M)가 수용되며, 교반구동부(140)에 의해 피처리분체(M)가 교반되고 절단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분체교반용기(12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관 형태로 형성된다. 분체교반용기(120)의 표면에는 사용자가 내부의 피처리분체(M)의 교반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투명창(121)이 일정면적 구비된다.
분체교반용기(120)의 상단은 용기결합부재(130)의 하부에 끼워진다. 그리고, 결합부재(123)에 의해 용기결합부재(130)에 고정된다. 결합부재(123)는 분체교반용기(120)를 용기결합부재(13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용기결합부재(130)와 분체교반용기(120)이 결합영역에는 피처리분체(M)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씰링부재(125)가 구비된다.
용기결합부재(130)는 분체교반용기(12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분체교반용기(120)와 함께 피처리분체(M)가 교반될 공간을 제공한다.
용기결합부재(130)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개방된 하부에 분체교반용기(120)가 결합된다. 용기결합부재(130)의 하부측 내주면에는 분체교반용기(120)가 삽입되는 용기결합턱(131)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분체교반용기(120)의 상단은 용기결합턱(131)에 접촉되게 삽입된 후, 결합부재(123)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용기결합부재(130)의 상부면에는 교반모터(141)가 수용되는 모터수용공간(132)이 교반모터(141)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교반모터(141)는 모터수용공간(132)에 수용되고, 교반모터(141)의 교반모터구동축(141a)은 모터수용공간(132) 외부로 노출된 후 교반축(142)과 결합된다.
용기결합부재(130)의 내부에는 임펠러수용공간(133)이 형성된다. 임펠러수용공간(133)은 교반축(142)과, 교반축(142)에 결합된 하부수평임펠러(143)와 상부경사임펠러(145)가 수용된다. 임펠러수용공간(133)을 통해 교반축(142)은 분체교반용기(120)의 상부까지 연장된다.
경사회전구동부(150)의 구동에 의해 분체교반용기(12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될 때,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처리분체(M)가 용기결합부재(130)의 임펠러수용공간(133)으로 이동되며 하부수평임펠러(143)와 상부경사임펠러(145)와 접촉되며 교반과정이 진행된다.
교반구동부(140)는 회전되며 분체교반용기(120) 내부의 피처리분체(M)를 교반시킨다. 교반구동부(140)는 교반모터(141)와, 교반모터(141)의 교반모터구동축(141a)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교반축(142)과, 교반축(142)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수평임펠러(143)와, 교반축(142)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경사임펠러(145)와, 상부경사임펠러(145)의 상부에 배치되어 피처리분체(M)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이동제한판(146)과, 교반모터(141)를 지지하는 모터지지케이싱(147)과, 모터지지케이싱(147)을 용기결합부재(130)에 고정시키는 케이싱결합판(148)을 포함한다.
교반모터(141)는 전원공급에 의해 구동되며 교반축(142)이 회전되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교반모터(141)는 모터지지케이싱(147)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며, 용기결합부재(130)의 모터수용공간(132)에 수용된다.
교반축(142)은 교반모터구동축(141a)에 고정결합되어, 교반모터(141)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교반축(142)은 용기결합부재(130)의 상부로부터 분체교반용기(1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된다. 교반축(142)의 하부에는 하부수평임펠러(143)를 고정하는 임펠러고정캡(142a)이 구비된다.
하부수평임펠러(143)는 교반축(142)의 하단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피처리분체(M)를 교반 및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수평임펠러(143)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도 4의 (a)부터 도 5의 (b)까지 용기결합부재(130)가 회전될 때, 피처리분체(M)와 닿으며 피처리분체(M)를 분쇄한다.
하부수평임펠러(143)는 교반축(142)에 직교하게, 즉 분체교반용기(120)와 수평한 방향으로 결합된다.
상부경사임펠러(145)는 교반축(142)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피처리분체(M)를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경사임펠러(14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축(142)에 제1각도(θ1)로 경사지게 결합된다. 상부경사임펠러(145)가 교반축(142)에 결합되는 제1각도(θ1)는 분체교반용기(120) 내부에 수용된 피처리분체(M)가 수평면과 이루는 제2각도(θ)에 반대기울기로 형성된다.
상부경사임펠러(145)가 제2각도(θ)에 반대되는 제1각도(θ1)로 형성된 상태로 교반축(142)과 함께 회전된다. 상부경사임펠러(145)는 임펠러수용공간(133)의 전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경사회전구동부(150)에 의해 분체교반용기(12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부경사임펠러(145)는 분체교반용기(120) 내부에서 위치가 이동되는 피처리분체(M)와 접촉시간이 길어져 교반시간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상부경사임펠러(145)에 의해 교반효율이 증가되는 효과는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이동제한판(146)은 상부경사임펠러(145)의 상부에 동일한 각도로 교반축(142)에 결합된다. 이동제한판(146)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게 교반축(142)에 결합된다. 이동제한판(146)은 외주연이 임펠러수용공간(133)의 내벽면과 닿게 배치된다. 이동제한판(146)의 외주연은 내측을 향해 일정 각도 절곡되게 형성된다.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체교반용기(120)가 회전되면, 분체교반용기(120) 내부의 피처리분체(M)가 뒤집어지면서 상부경사임펠러(145)와 닿으며 교반된다. 이 때, 이동제한판(146)은 뒤집어진 피처리분체(M)가 더 이상 임펠러수용공간(133)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막아 피처리분체(M)와 상부경사임펠러(145)의 교반시간이 길어지게 한다.
모터지지케이싱(147)은 하부에 교반모터(141)가 고정결합되며, 용기결합부재(130)에 결합된다. 모터지지케이싱(147)은 경사회전구동부(150)의 회전축(152)과 결합되어 회전축(152)의 회전력이 용기결합부재(130)와 분체교반용기(120)로 전달되게 한다.
모터지지케이싱(147)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관 형태로 구비된다. 모터지지케이싱(147)의 하부에 교반모터(141)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결합부재(130)의 상면에 케이싱결합판(148)이 배치되고, 체결부재(149)가 체결되어 용기결합부재(130)에 모터지지케이싱(147)이 고정된다.
경사회전구동부(150)는 교반구동부(140)의 모터지지케이싱(147)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교반구동부(140)와 이에 결합된 용기결합부재(130) 및 분체교반용기(12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경사회전구동부(150)는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회전모터(151)와, 하우징(110)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모터지지케이싱(147)과 결합되는 회전축(152)과, 회전모터(151)의 회전력을 회전축(152)으로 전달하는 전동수단(153)을 포함한다.
회전모터(151)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구비된 회전모터지지프레임(115)에 결합된다. 회전모터(151)는 회전모터지지프레임(115)에 의해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된다. 회전모터(151)의 경사각도는 상부경사임펠러(145)의 제1각도(θ1)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152)은 일단은 전동수단(153)과 결합되고 타단은 모터지지케이싱(147)에 결합된다. 회전축(152)은 전동수단(153)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회전축(152)의 타단에는 모터지지케이싱(147)의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싱결합블럭(152a)과, 케이싱결합블럭(152a)은 모터지지케이싱(147)에 고정하는 케이싱체결부재(152b)가 구비되어 회전축(152)과 모터지지케이싱(147)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전동수단(153)은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된 회전모터(151)와 회전축(152)의 배치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수단(153)은 회전모터(151)의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풀리(153a)와, 회전축(152)의 일단에 결합된 종동풀리(153b)와, 구동풀리(153a)와 종동풀리(153b)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153c)로 구현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지지부(160)는 회전축(152)이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회전되고, 회전축(152)의 회전이 교반구동부(140)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회전축(152)을 지지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전방에는 하우징고정블럭(170)이 일체로 고정결합된다. 회전구동부지지부(160)는 하우징고정블럭(170)에 삽입되어 회전축(152)이 경사진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축안내관(161)과, 회전축안내관(161)의 전방에 구비되어 하우징고정블럭(170)에 맞닿게 배치되는 안내관고정판(163)과, 안내관고정판(163)을 하우징고정블럭(170)에 고정시키는 고정판결합판(165)과, 회전축안내관(161)의 후단을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안내관고정프레임(167)을 포함한다.
회전축안내관(161)은 하우징고정블럭(170) 내부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며, 내부에 회전축(152)이 삽입된다. 회전축안내관(161)의 내부에는 회전축(15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축(152)이 회전될 수 있게 지지하는 하부베어링(162)과 상부베어링(164)이 구비된다.
안내관고정판(163)과 고정판결합판(165)은 회전축안내관(161)이 하우징고정블럭(170)에 대해 조립 또는 분해될 수 있게 지지한다. 이에 의해 내부의 베어링(162,164)이 마모되거나, 윤활유를 도포해야할 경우 분해할 수 있다.
회전축(152)의 후단 외주연에는 브러쉬(180)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152)의 내부에는 전선이 이동될 수 있는 통로(152c)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로(152c)와 모터지지케이싱(147)을 통해 교반모터(141)로 전선이 이동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교반장치(100)를 이용한 분체 교반과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분체교반용기(120) 내부에 피처리분체(M)를 넣는다. 피처리분체(M)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제1분체(M1)와 제2분체(M2) 또는 복수개의 종류가 함께 투입된다. 피처리분체(M)가 투입된 분체교반용기(120)는 용기결합부재(130)의 용기결합턱(131)에 끼워지고 결합부재(123)를 이용해 용기결합부재(130)에 고정된다.
입력부(111)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고, 교반모터(141)와 회전모터(151)이 회전속도를 조절하다. 교반모터(141)는 피처리분체의 교반 및 절단을 위한 것이므로 고속으로 설정하고, 회전모터(151)는 분체교반용기(120)를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내부의 피처리분체가 상하로 혼합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저속으로 설정한다.
전원공급에 의해 교반모터(141)가 회전되고, 교반축(142)을 통해 하부수평임펠러(143)와 상부경사임펠러(145)가 회전된다. 동시에 회전모터(151)가 회전되고, 전동수단(153)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은 회전축(152)이 회전된다.
회전축(152)의 회전에 의해 모터지지케이싱(147)과 이에 결합된 용기결합부재(130) 및 분체교반용기(12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체교반용기(120)는 경사회전구동부(150)에 의해 A위치로부터 B, C, D 위치를 거쳐 다시 A 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4의 (a)부터 도 5의 (b)는 정면에서 바라본 도 2의 A, B, C, D 각각 위치의 분체교반용기(120)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위치에서 분체교반용기(120)는 X축방향으로 15° 기울어지게 위치되고, Y축 방향으로 0°인 상태로 배치된다. 이 때, 하부수평임펠러(143)가 회전되고, 천천히 분체교반용기(120)가 B위치로 회전되며 기울어지게 된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아 B위치에서 분체교반용기(120)는 X축 방향으로 15°기울어지고, Y축 방향으로 45°기울어진 상태이다.
이 때, 하부수평임펠러(143)가 회전되고 내부의 피처리분체(M)들은 기울어지며 하부수평임펠러(143)와 닿게 되고, 하부수평임펠러(143)에 의해 절삭된다. 이 때, 상부경사임펠러(145)는 피처리분체(M)이 경사각도와 반대되는 각도로 배치되므로, 수직방향 회전에 의해 기울어지는 피처리분체(M)가 상부경사임펠러(145) 측으로 이동된다.
도 5의 (a)는 C위치에서 분체교반용기(120)는 X축 방향으로 15°기울어지고, Y축 방향으로 90°기울어진 상태이다. 분체교반용기(120)는 수평방향으로 누운 상태로 위치되고, 피처리분체(M)는 하부수평임펠러(143)와 상부경사임펠러(145)에 함께 닿으면서 교반과 절삭이 함께 이루어진다.
이 때, 상부경사임펠러(145)가 피처리분체(M) 측으로 경사지게 위치되므로, 상부경사임펠러(145)가 교반축(142)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될 경우와 비교할 때 보다 빨리 피처리분체(M)와 접촉하며 교반과정이 진행된다.
도 5의 (b)는 D위치에서 분체교반용기(120)는 X축 방향으로 15°기울어지고, Y축 방향으로 180°로 기울어져 거꾸로 뒤집어진 상태이다.
피처리분체(M)는 뒤집어진 상태에서 이동제한판(146)에 의해 더 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못하고 상부경사임펠러(145)가 있는 영역에 모여 계속하여 상부경사임펠러(145)와 접촉하며 교반과정이 수행된다. 동시에 하부수평임펠러(143)와 접촉되며 절삭과정이 진행된다.
이에 의해 의해 상부경사임펠러(145)와 피처리분체(M)가 접촉되는 시간이 증가되어 피처리분체(M)의 교반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Y축 방향으로 270°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부경사임펠러(145)가 기울어져 있으므로 피처리분체(M)의 일부는 여전히 상부경사임펠러(145)와 접촉된 상태로 교반이 진행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분체교반장치(100)는 지면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도 4와 도 5에서는 X축방향으로 15°기울어진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피처리분체(M)가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급격하게 움직이지 않고 경사진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피처리분체(M)의 기울기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상부경사임펠러(145)가 피처리분체(M)와 장시간 접촉되며 교반하여 피처리분체(M)의 교반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체교반장치는 분체교반용기가 경사회전구동부에 의해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종래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던 경우와 비교할 때 피처리분체의 움직임이 급격하게 변화되지 않고 천천히 이동되므로 임펠러와 접촉시간이 증가되어 교반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체교반장치는 교반축에 결합된 상부경사임펠러가 피처리분체가 경사진 각도에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분체교반용기의 수직방향 회전시 피처리분체와의 접촉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의해 피처리분체를 교반하는 시간이 증가되어 교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경사임펠러의 상부에 구비된 이동제한판이 피처리분체가 타 영역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제한하여 상부경사임펠러와의 접촉시간이 지연되게 한다. 이에 의해 피처리분체의 교반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분체교반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분체교반장치 110 : 하우징
111 : 입력부 113 : 표시부
115 : 회전모터지지프레임 117 : 베이스
120 : 분체교반용기 121 : 투명창
123 : 결합부재 125 : 씰링부재
130 : 용기결합부재 131 : 용기결합턱
132 : 모터수용공간 133 : 임펠러수용공간
140 : 교반구동부 141 : 교반모터
141a : 교반모터구동축 142 : 교반축
142a : 임펠러고정캡 143 : 하부수평임펠러
145 : 상부경사임펠러 146 : 이동제한판
147 : 모터지지케이싱 148 : 케이싱결합판
149 : 체결부재 150 : 경사회전구동부
151 : 회전모터 152 : 회전축
152a : 케이싱결합블럭 152b : 케이싱체결부재
152c : 통로 153 : 전동수단
153a : 구동풀리 153b : 종동풀리
153c : 타이밍벨트 160 : 회전구동부지지부
161 : 회전축안내관 162 : 하부베어링
163 : 안내관고정판 164 : 상부베어링
165 : 고정판결합판 167 : 안내관고정프레임
170 : 하우징고정블럭 180 : 브러쉬

Claims (5)

  1.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함체 형상의 하우징(110)과;
    상부가 개방되며 피처리분체가 수용되는 분체교반용기(120)와;
    하부에 상기 분체교반용기(1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결합부재(130)와;
    상기 용기결합부재(13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용기결합부재(130) 내부에 배치된 임펠러(143,145)를 회전구동시켜 상기 피처리분체가 교반되게 하는 교반구동부(140)와;
    상기 하우징(110)에 일정 각도 경사지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으로 노출된 선단이 상기 교반구동부(140)에 결합되는 회전축(152)과;
    상기 회전축(152)을 회전구동시켜 상기 교반구동부(140)와 상기 용기결합부재(130) 및 상기 분체교반용기(120)가 지면에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피처리분체가 교반되게 하는 경사회전구동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구동부(140)는,
    상기 분체교반용기(120)의 상면에 결합된 교반모터(141)와;
    상기 교반모터(141)의 교반모터구동축(141a)에 결합되며 상기 분체교반용기(120)의 상부까지 연장형성되는 교반축(142)을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143,145)는 상기 교반축(142)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경사임펠러(145)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경사임펠러(145)는 정지된 상태에서 분체교반용기(120) 내부의 피처리분체가 지면에 대해 갖는 경사각도에 반대되는 경사각도로 상기 교반축(142)에 결합되며,
    상기 임펠러(143,145)는 상기 교반축(142)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경사임펠러(143,145)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경사임펠러(143,145)는 상기 교반축(142)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152)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151)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에는 상기 회전모터(151)를 상기 회전축(152)과 동일한 경사각도로 지지하는 회전모터지지프레임(115)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모터(151)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152)으로 전달하는 전동수단(153)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반모터(141)가 고정된 하부가 상기 용기결합부재(130)의 상면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용기결합부재(130)의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52)과 고정결합되는 모터지지케이싱(147)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결합부재(13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경사임펠러(145)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분체교반용기(120) 내부의 피처리분체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상부경사임펠러(145)와 피처리분체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키는 이동제한판(14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교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면에는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11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교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결합부재(130)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교반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90133337A 2019-10-25 2019-10-25 분체교반장치 KR102182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337A KR102182429B1 (ko) 2019-10-25 2019-10-25 분체교반장치
KR1020200141830A KR102317994B1 (ko) 2019-10-25 2020-10-29 분체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337A KR102182429B1 (ko) 2019-10-25 2019-10-25 분체교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830A Division KR102317994B1 (ko) 2019-10-25 2020-10-29 분체교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429B1 true KR102182429B1 (ko) 2020-11-24

Family

ID=7367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337A KR102182429B1 (ko) 2019-10-25 2019-10-25 분체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4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7882A (zh) * 2021-01-27 2021-05-28 陆信光 一种环保型改性沥青生产装置及生产方法
CN114062095A (zh) * 2021-09-22 2022-02-18 北京星航机电装备有限公司 一种钛合金粉末检测预制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977B1 (ko) * 2006-01-24 2007-01-24 이건의 분체 교반장치
KR100866148B1 (ko) * 2008-07-22 2008-10-30 (주)세명 혼합기
JP4805319B2 (ja) * 2008-09-02 2011-11-02 フローテック株式会社 撹拌装置及び撹拌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977B1 (ko) * 2006-01-24 2007-01-24 이건의 분체 교반장치
KR100866148B1 (ko) * 2008-07-22 2008-10-30 (주)세명 혼합기
JP4805319B2 (ja) * 2008-09-02 2011-11-02 フローテック株式会社 撹拌装置及び撹拌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7882A (zh) * 2021-01-27 2021-05-28 陆信光 一种环保型改性沥青生产装置及生产方法
CN114062095A (zh) * 2021-09-22 2022-02-18 北京星航机电装备有限公司 一种钛合金粉末检测预制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429B1 (ko) 분체교반장치
JP5480392B2 (ja) 攪拌装置
KR102146123B1 (ko) 분체교반장치
JP3190993U (ja) 混合攪拌装置
KR102317994B1 (ko) 분체교반장치
KR20170055795A (ko)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 및 탈포기
KR100673977B1 (ko) 분체 교반장치
JP2008119603A (ja) 撹拌装置
JPH11155730A (ja) 自転公転斜軸撹はん付釜
JP6515390B2 (ja) ミキサーヘッド
US3659826A (en) Device for treating one or more substances in a vessel provided with at least one rotatable stirring member
JP2018093933A (ja) ミキサー
KR101271358B1 (ko) 자동 교반 용기
KR102093181B1 (ko) 혼합용 탈포 믹서기
JP2010240579A (ja) 粉体撹拌装置
JP2007245000A (ja) 撹拌装置
JP2006305441A (ja) 撹拌脱泡装置
JP2017185463A (ja) 撹拌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撹拌装置
JP2008259947A (ja) 食品用粉体混合ミキサー
CN107262351B (zh) 搅拌桶及搅拌装置
CN209901164U (zh) 一种化工材料搅拌装置
JP2005151812A (ja) 浮遊攪拌培養装置
CN101945602B (zh) 用于实现液体制备物的烹饪制备的家电设备
KR101157018B1 (ko) 교반장치
JPH09155172A (ja) 粉粒体撹拌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