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795A -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 및 탈포기 - Google Patents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 및 탈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795A
KR20170055795A KR1020150159020A KR20150159020A KR20170055795A KR 20170055795 A KR20170055795 A KR 20170055795A KR 1020150159020 A KR1020150159020 A KR 1020150159020A KR 20150159020 A KR20150159020 A KR 20150159020A KR 20170055795 A KR20170055795 A KR 20170055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evolving
rotary
rotat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0715B1 (ko
Inventor
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테크
Priority to KR1020150159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71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9/0001
    • B01F15/00435
    • B01F15/0074

Landscapes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교반 및 탈포장치는, 폭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공전회전판; 수직으로 세워진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공전회전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공전회전판과 일체로 자전하는 공전회전축; 일단이 상기 공전회전축의 중심부와 상기 공전회전판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공전회전축과 독립적으로 자전 가능한 자전회전축; 상기 공전회전판의 상면 중 상기 자전회전축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세워지되, 상기 자전회전축으로 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자전하는 한 쌍의 하부회전축; 상기 한 쌍의 하부회전축 상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헬리컬 유니버셜 조인트; 일단이 상기 헬리컬 유니버셜 조인트에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하부회전축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회전축; 및 상기 한 쌍의 상부회전축 상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 및 탈포기 {Speed adjustable stirring and defoaming device}
본 발명은 단일장치에서 다양한 분체와 액체를 혼합, 교반 및 탈포시키기 위하여 시료용기를 공전 및 자전시키는 장치로서, 시료용기를 안정적으로 공전 및 자전시킬 수 있으면서 시료용기의 공전속도와 자전속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교반 및 탈포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나 분체와 같은 피처리물을 섞고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피처리물을 용기에 담아 상기 용기를 공전시킴과 동시에 자전시킴으로써 상기 피처리물을 교반 및 탈포하는 방법 및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교반 및 탈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교반 및 탈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교반 및 탈포장치(1)는, 용기(2)를 자전시키는 수단 및 공전시키는 수단을 구비함과 함께, 용기(2)를 자전 및 공전시키는 경우와, 공전만 시키는 경우와의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용기를 회전시켜서 당해 용기 내에 수용된 단일 재료 및 혼합 재료의 교반 및 탈포의 적어도 한쪽(이하, 단지 '교반 및 탈포'라고 기재한다)을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의 교반 및 탈포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및 탈포되는 각종 재료를 수용 가능한 복수의 용기(2)와, 복수의 용기(2)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용기 홀더(11)와, 용기 홀더(11)를 공전시키는 공전 부재(12)와, 공전 부재(12)와 동축으로 회전 및 비회전의 전환이 가능하게 마련된 원형 부재(13)와, 공전 부재(12)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3)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용기 홀더(11)와 당해 용기 홀더(11)에 지지된 용기(2), 공전 부재(12), 및 원형 부재(13)가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설된다. 상기 용기 홀더(11)는, 외주부에 원환형상의 당접부(11a)를 가지며, 축받이(34)를 통하여 공전 부재(12)에 자전 가능하게 고정됨과 함께, 당접부(11a)가 원형 부재(13)의 외주부)와 맞닿도록 배설된다. 또한, 당접부(11a)에는, 마찰재가 배설된다. 예를 들면, 마찰재로서,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오링(31)이 사용된다. 또한 원형 부재(13)가 회전 불능한 상태로 전환이 되어 있는 경우, 공전 부재(12)가 공전할 때에, 용기 홀더(11)의 당접부(11a)와 원형 부재(13)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용기 홀더(11)가 자전한다. 따라서 용기 홀더(11) 및 당해 용기 홀더(11)에 지지된 용기(2)가 공전하고 또한 자전하는 작용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교반 및 탈포장치는, 용기(2)의 공전속도와 자전속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없으므로 교반 및 탈포 작업의 다양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용기(2)의 공전과 자전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용기(2)의 중심축에 별도의 벨트를 장착시키는 방안이 제안된바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용기(2)의 자전축이 경사지게 기울어져 있으므로 상기 벨트가 이탈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2-0098955 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종(異種) 물질이 수용되는 용기가 공전 및 자전 가능하되 용기의 공전과 자전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용기의 공전축과 자전축이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용기의 공전과 자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용기의 배열방향이 개선된 교반 및 탈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교반 및 탈포장치는, 폭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공전회전판; 수직으로 세워진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공전회전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공전회전판과 일체로 자전하는 공전회전축; 일단이 상기 공전회전축의 중심부와 상기 공전회전판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공전회전축과 독립적으로 자전 가능한 자전회전축; 상기 공전회전판의 상면 중 상기 자전회전축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세워지되, 상기 자전회전축으로 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자전하는 한 쌍의 하부회전축; 상기 한 쌍의 하부회전축 상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헬리컬 유니버셜 조인트; 일단이 상기 헬리컬 유니버셜 조인트에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하부회전축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회전축; 및 상기 한 쌍의 상부회전축 상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컵;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하부회전축은 상기 자전회전축을 중심으로 대향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한 쌍의 상부회전축은 상호 평행하되 끝단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공전회전판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하부회전축의 중단이 자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하부축 하우징과, 상기 상부회전축의 중단이 자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상부축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컵의 회전샤프트는 상기 상부회전축의 길이방향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회전축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회전축이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상부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되 상기 상부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상부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축 하우징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하운동캠과, 상기 상하운동캠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회전컵을 연결하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컵이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회전축의 외측면 중 상기 가이드브라켓과 회전컵 사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플랜지를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하부축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하부회전축을 둘러싸는 하부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축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상부회전축을 둘러싸는 상부베어링이 구비된다.
상기 공전회전축의 하단에는 공전구동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공전회전판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자전회전축의 상단에는 상측 자전구동풀리가 구비되며, 상기 공전구동풀리의 저면보다 하측으로 돌출된 자전회전축의 하단에는 하측 자전구동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축 하우징의 하단에는 상기 상측 자전구동풀리와 수평으로 벨트가 연결되어 고속회전이 가능한 컵회전풀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교반 및 탈포장치는, 이종(異種) 물질이 수용되는 용기가 공전 및 자전 가능하되 용기의 공전과 자전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 다양한 방식의 교반 및 탈포가 가능해지고, 용기의 공전축과 자전축이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용기의 공전과 자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전회전판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반 및 탈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 및 탈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공전회전판 상에 복수 개의 회전컵이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7은 공전회전판 상에 회전컵이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상부회전축에 회전컵이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교반 및 탈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 및 탈포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공전회전판 상에 복수 개의 회전컵이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교반 및 탈포장치는 액체나 분체와 같은 피처리물을 섞고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피처리물이 섞이는 컵의 공전과 자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되, 컵의 공전과 자전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고, 컵의 공전축과 자전축이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열됨으로써 컵의 공전과 자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전회전판(100)의 규격이 최소화되도록 복수 개의 컵 배열방향이 개선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교반 및 탈포장치는, 폭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공전회전판(100)과, 수직으로 세워진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공전회전판(100)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공전회전판(100)과 일체로 자전하는 공전회전축(110)과, 일단(본 실시예에서는 상단)이 상기 공전회전축(110)의 중심부와 상기 공전회전판(10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공전회전축(110)과 독립적으로 자전 가능한 자전회전축(200)과, 상기 공전회전판(100)의 상면 중 상기 자전회전축(20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세워지되 상기 자전회전축(200)으로 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자전하는 한 쌍의 하부회전축(300)과, 상기 한 쌍의 하부회전축(300) 상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헬리컬 유니버셜 조인트(400)와, 일단이 상기 헬리컬 유니버셜 조인트(400)에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하부회전축(3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 1에서는 좌상측 및 우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회전축(500)과, 상기 한 쌍의 상부회전축(500) 상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회전축(500)과 일체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컵(600)을 포함한다.
상기 공전회전판(100)이 공전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공전회전판(100) 상에 장착된 회전컵(600)은 공전회전판(100)을 중심으로 공전을 하게 되고, 자전회전축(200)이 자전되면 때 상기 자전회전축(20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은 하부회전축(300)이 자전하게 되고, 상기 하부회전축(300)과 일체로 회전되는 헬리컬 유니버셜 조인트(400)와 상부회전축(500)과 회전컵(600) 역시 자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반 및 탈포장치는, 회전컵(600)을 공전시키기 위한 공전회전축(110)과, 회전컵(600)을 자전시키기 위한 자전회전축(200)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바, 사용자는 회전컵(600)의 공전속도와 자전속도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조건으로 교반 및 탈포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교반 및 탈포장치는, 피처리물이 담겨지는 회전컵(600)이 공전회전판(100)의 회전중심 부위에 모이도록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회전컵(600)의 자전축이 되는 상부회전축(500)들이 상호 엇갈리도록 배열되고, 이에 따라 각 회전컵(600)들이 공전회전판(100)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된다. 즉, 상기 한 쌍의 하부회전축(300)은 상기 자전회전축(200)을 중심으로 대향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한 쌍의 상부회전축(500)은 상호 평행하되 끝단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회전컵(600)과 이에 결합된 회전축(더 명확하게는 하부회전축(300)과 헬리컬 유니버셜 조인트(400)와 상부회전축(500) 조립체)이 상호 엇갈리도록 배열되면, 공전회전판(100)의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교반 및 탈포장치의 소형화 및 제조원가 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전회전판(100)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자전회전축(200)의 상단에는 상측 자전구동풀리(220)가 구비되며, 상기 공전구동풀리의 저면보다 하측으로 돌출된 자전회전축(200)의 하단에는 하측 자전구동풀리(21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축 하우징(130)의 하단에는 상기 상측 자전구동풀리(220)와 벨트로 연결되는 컵회전풀리(310)가 구비된다. 이때, 상측 자전구동풀리(220)는 각각의 컵회전풀리(310)와 회전벨트(미도시)에 의해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 자전회전축(200)이 회전되면, 자전회전축(200)의 회전력은 각 컵회전풀리(310)로 전달되는바, 각 회전컵(600)이 모두 자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반 및 탈포장치는, 회전컵(600)을 자전시키기 위한 자전회전축(200)이 각각의 하부회전축(300) 아래에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공전회전판(100)의 회전축 상에 위치되므로(더 명확히는 공전회전축(110)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므로), 공전회전판(100)이 회전되더라도 위치가 변동되지 아니하고 제자리에서 자전하게 되는바, 각 회전컵(600)으로의 회전력 전달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전회전축(110)의 하단에는 공전구동풀리가 구비되어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공전회전축(110) 회전 구조는 상기에서 언급한 자전회전축(200) 회전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공전회전판(100) 상에 회전컵(600)이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상부회전축(500)에 회전컵(600)이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교반 및 탈포장치는, 자전회전축(200)의 회전력을 각 회전컵(600)으로 전달하기 위한 하부회전축(300)과 상부회전축(500)이 공전회전판(100) 상에서 안정적으로 자전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공전회전판(100)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120)과, 상기 하부회전축(300)의 중단이 자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120)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하부축 하우징(130)과, 상기 상부회전축(500)의 중단이 자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120)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상부축 하우징(140)이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축 하우징(130) 내부에는 상기 하부회전축(300)을 둘러싸는 하부베어링(132)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축 하우징(140) 내부에는 상기 상부회전축(500)을 둘러싸는 상부베어링(142)이 구비되는바, 상기 하부회전축(300)과 상부회전축(500)은 자전회전축(200)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자전하는 과정에서 어느 일측으로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현상 없이 안정적인 자전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한 쌍의 회전컵(600) 역시 안정적인 자전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회전컵(600)에 담겨진 피처리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섞일 수 있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컵(600)이 보다 다양한 패턴으로 움직이도록 즉, 회전컵(600)의 구동 자유도가 더욱 다양하게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교반 및 탈포장치는 회전컵(600)을 단순히 공전 및 자전만 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컵(600)의 회전샤프트는 상기 상부회전축(500)의 길이방향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회전축(50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회전축(500)이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상부회전축(500)과 일체로 회전되되 상기 상부회전축(5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부축 하우징(140)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하운동캠(710)과, 상기 상하운동캠(71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브라켓(720)과, 상기 가이드브라켓(720)과 상기 회전컵(600)을 연결하는 가이드핀(7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하운동캠(710)의 하단과 상부축 하우징(140)의 상단은 사인파 또는 물결패턴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상하운동캠(710)은 상부회전축(500)을 따라 회전될 때 승강을 반복하게 되고, 상기 상하운동캠(710)과 연결된 가이드브라켓(720), 가이드핀(730), 회전컵(600) 역시 승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컵(600)이 자전하는 동안 승강까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면, 상기 회전컵(600) 내에 담겨진 피처리물은 보도 효과적으로 섞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교반 및 탈포효과가 매우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도 캠 장치 설치로 회전컵(600)을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동력 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브라켓(720)과 회전컵(600)을 연결하는 가이드핀(730)은 상부회전축(500)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승강되어야 하는데, 상기 가이드핀(730)의 양단이 단순히 회전컵(600)과 가이드브라켓(720)에 결합되어 있으면 원심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핀(730)이 측방으로 탈거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교반 및 탈포장치는, 상기 가이드핀(730)이 회전컵(600)이나 가이드브라켓(720)으로부터 탈거되지 아니하고 상부회전축(500)과 일체로 회전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회전축(500)의 외측면 중 상기 가이드브라켓(720)과 회전컵(600) 사이에는 플랜지(51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730)은 상기 플랜지(510)를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핀(730)이 상부회전축(500)의 플랜지(510)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면, 상기 가이드핀(730)에 큰 원심력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가이드핀(730)은 측방으로 탈거되지 아니하고 길이방향으로의 왕복운동 즉, 승강만이 가능해지는바, 상기 회전컵(600)이 안정적으로 승강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컵(600)이 하강하면서 상부회전축(500)의 상단을 직접 타격하지 아니하도록, 상기 플랜지(510)와 회전컵(600) 사이에는 가이드블록(74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블록(740)이 추가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핀(730)은 가이드블록(740)을 관통하도록 장착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공전회전판 110 : 공전회전축
112 : 공전 회전 풀리 120 : 고정프레임
130 : 하부축 하우징 132 : 하부베어링
140 : 상부축 하우징 142 : 상부베어링
200 : 자전회전축 210 : 하측 자전구동풀리
220 : 상측 자전구동풀리 300 : 하부회전축
310 : 컵 회전 풀리 400 : 헬리컬 유니버셜 조인트
500 : 상부회전축 600 : 회전컵
710 : 상하운동캠 720 : 가이드브라켓
730 : 가이드핀 740 : 가이드블록

Claims (7)

  1. 폭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공전회전판;
    수직으로 세워진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공전회전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공전회전판과 일체로 자전하는 공전회전축;
    일단이 상기 공전회전축의 중심부와 상기 공전회전판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공전회전축과 독립적으로 자전 가능한 자전회전축;
    상기 공전회전판의 상면 중 상기 자전회전축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세워지되, 상기 자전회전축으로 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자전하는 한 쌍의 하부회전축;
    상기 한 쌍의 하부회전축 상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헬리컬 유니버셜 조인트;
    일단이 상기 헬리컬 유니버셜 조인트에 결합되되, 타단이 상기 하부회전축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회전축; 및
    상기 한 쌍의 상부회전축 상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및 탈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회전축은 상기 자전회전축을 중심으로 대향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한 쌍의 상부회전축은 상호 평행하되 끝단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및 탈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공전회전판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하부회전축의 중단이 자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하부축 하우징과,
    상기 상부회전축의 중단이 자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상부축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및 탈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컵의 회전샤프트는 상기 상부회전축의 길이방향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회전축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회전축이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상부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되 상기 상부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상부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축 하우징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하운동캠과,
    상기 상하운동캠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회전컵을 연결하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컵이 승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및 탈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회전축의 외측면 중 상기 가이드브라켓과 회전컵 사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플랜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및 탈포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축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하부회전축을 둘러싸는 하부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축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상부회전축을 둘러싸는 상부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및 탈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전회전축의 하단에는 공전구동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공전회전판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자전회전축의 상단에는 상측 자전구동풀리가 구비되며, 상기 공전구동풀리의 저면보다 하측으로 돌출된 자전회전축의 하단에는 하측 자전구동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축 하우징의 하단에는 상기 상측 자전구동풀리와 수평으로 벨트가 연결되어 고속회전이 가능한 컵회전풀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및 탈포장치.
KR1020150159020A 2015-11-12 2015-11-12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 및 탈포기 KR101790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020A KR101790715B1 (ko) 2015-11-12 2015-11-12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 및 탈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020A KR101790715B1 (ko) 2015-11-12 2015-11-12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 및 탈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795A true KR20170055795A (ko) 2017-05-22
KR101790715B1 KR101790715B1 (ko) 2017-11-20

Family

ID=5904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020A KR101790715B1 (ko) 2015-11-12 2015-11-12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 및 탈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7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6599A (zh) * 2018-01-02 2018-06-08 深圳市晶向科技有限公司 一种搅拌机及其搅拌方法
WO2021157822A1 (ko) * 2020-02-04 2021-08-12 주식회사 한테크 다축형 분말 혼합장치
KR20230039271A (ko) 2021-09-14 2023-03-21 주식회사 한테크 다축형 혼합장치
CN117398886A (zh) * 2023-11-16 2024-01-16 醴陵市浦口电瓷制造有限公司 一种陶瓷绝缘子制备的原料混合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871B1 (ko) * 2018-08-28 2020-05-26 주식회사 한테크 다축 회전이 가능한 혼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942B1 (ko) * 2003-05-29 2005-05-03 이건의 교반 및 탈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6599A (zh) * 2018-01-02 2018-06-08 深圳市晶向科技有限公司 一种搅拌机及其搅拌方法
WO2021157822A1 (ko) * 2020-02-04 2021-08-12 주식회사 한테크 다축형 분말 혼합장치
KR20230039271A (ko) 2021-09-14 2023-03-21 주식회사 한테크 다축형 혼합장치
CN117398886A (zh) * 2023-11-16 2024-01-16 醴陵市浦口电瓷制造有限公司 一种陶瓷绝缘子制备的原料混合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0715B1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715B1 (ko)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한 교반 및 탈포기
CN1113686C (zh) 三维运动式旋混装置
US5399013A (en) Mixing device
KR100671780B1 (ko) 실험용 교반장치
JP2021516607A (ja) 衛生混合器
US20180104662A1 (en) Mixer for fluid products
JP2009190026A (ja) 攪拌機
JP2010274171A (ja) 公転・自転撹拌機
JP2007190464A (ja) ミキサー
CN104258751B (zh) 一种适用于粘稠液体的混匀方法及装置
KR101723538B1 (ko) 교반·탈포 장치 및 교반·탈포 방법
JP4398451B2 (ja) 撹拌装置
CN211462884U (zh) 一种复合式物料搅拌设备
KR20190088206A (ko) 자력을 이용한 동력전달 구조를 구비하는 교반 및 탈포기
KR102182429B1 (ko) 분체교반장치
US3659826A (en) Device for treating one or more substances in a vessel provided with at least one rotatable stirring member
CN215139259U (zh) 实验试样容器振荡装置
JP2017185463A (ja) 撹拌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撹拌装置
CN113209884A (zh) 实验试样容器振荡装置
JP2010240579A (ja) 粉体撹拌装置
JP2007245000A (ja) 撹拌装置
JP2006305441A (ja) 撹拌脱泡装置
CN211358629U (zh) 一种高效均匀的涂料搅拌机
JP2003290642A (ja) 攪拌脱泡装置
KR20220095264A (ko) 원심력에 따른 시린지의 각도조절구조 및 공자전 조절이 가능한 혼련 및 탈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