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208B1 -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 - Google Patents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208B1
KR102182208B1 KR1020200042786A KR20200042786A KR102182208B1 KR 102182208 B1 KR102182208 B1 KR 102182208B1 KR 1020200042786 A KR1020200042786 A KR 1020200042786A KR 20200042786 A KR20200042786 A KR 20200042786A KR 102182208 B1 KR102182208 B1 KR 102182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nel
posture
user
posture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서우
Original Assignee
권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서우 filed Critical 권서우
Priority to KR102020004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시키도록 된 자세교정기구로서, 사용자의 등 부분에 배치되는 고정패널부와, 상기 고정패널부의 전면부에 일단이 힌지회동되게 체결되며, 사용자의 등 부분과 견갑골 부분을 감싸는 한쌍의 결착지지구로 구성된 결착부로 이루어져,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견갑골 외전과 내회전을 동시에 교정이 가능하게 되고, 굽은 어깨를 함께 교정시킬 수 있어 보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 { Posture correction device with double correction structure }
본 발명은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견갑골 외전과 내회전을 동시에 교정이 가능하게 되고, 굽은 어깨를 함께 교정시킬 수 있어 보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는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쁜 자세는 외모상의 문제인 동시에, 근골격계의 통증, 디스크 등 의학적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굽은등의 중요한 두 가지 특징은, 가슴 앞쪽에서 가로 방향으로 달리는 근육들의 길이가 가로 방향으로 짧아지는 것과, 등 뒤쪽에서 가로 방향으로 달리는 근육의 근력이 약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척추가 전방으로 굽고 어깨 또한 앞쪽으로 굽은 나쁜자세를 바른 자세로 교정하기 위한 자세교정벨트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한 자세교정밴드는 사용자의 척추나 척추주위의 등을 감싸는 등받이와 이 등받이의 상단양측에서 그 하부의 양측에 이르기까지 사용자의 어깨를 걸 수 있도록 연결된 어깨걸이밴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자세교정밴드의 종래기술을 보면, 공개번호 제10-2012-0116264호 '자세교정용 밴드'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등받이 밴드, 어깨걸이 밴드 및 허리 밴드로 이루어진 자세교정용 밴드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밴드 중단에 어깨걸이 조절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어깨걸이 밴드의 양단이 등받이 밴드 상단과 상기 어깨걸이 조절부 좌우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밴드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세교정벨트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견관절 내회전에 대한 교정효과가 미미한 문제점과 가슴이 펴진 상태에서 팔을 앞으로 뻗는 동작을 반복하면, 결과적으로 어깨를 앞으로 빼게 되어, 보상효과로 인한 견관절 내회전 악화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공개특허 제2012-011626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견갑골 외전과 내회전을 동시에 교정이 가능하게 되고, 굽은 어깨를 함께 교정시킬 수 있어 보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는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시키도록 된 자세교정기구로서, 사용자의 등 부분에 배치되는 고정패널부 및 상기 고정패널부의 전면부에 일단이 힌지회동되게 체결되며, 사용자의 등 부분과 견갑골 부분을 감싸는 한쌍의 결착지지구로 구성된 결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착지지구는 상기 고정패널부의 전면부에 힌지회동되게 체결되는 고정링부와, 상기 고정링부에 형성되며 견갑골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패널의 내측면에는 지지탄성완충패널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결착부에는 상기 결착지지구의 단부에 연결부재가 더 형성되고, 상기 결착부에는 상기 연결부재들을 연결하며 조임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와이어와, 상기 연결와이어들의 타단을 당기거나 풀어 조이는 조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착지지구는 타단에 걸림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지지부의 내측면에는 사용자의 견갑골 부분을 지지하도록 걸림탄성완충패널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부에는 상기 결착부의 결착지지구와 연결되도록 연결밴드들이 더 마련되고, 상기 고정패널부의 내측면에는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도록 고정탄성완충패널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결착부에는 상기 결착지지구들을 탄성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탄성형회전가압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형회전가압수단은 상기 결착지지구들의 외면에 형성되고 일면에 회동홈이 형성된 작동패널과, 상기 작동패널의 회동홈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링베어링과, 상기 회동홈의 링베어링에 끼움되어 회전되도록 회전축이 마련된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들을 상호 연결하는 탄성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착지지구들을 상기 탄성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고정패널부의 전면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견갑골 외전과 내회전을 동시에 교정이 가능하게 되고, 굽은 어깨를 함께 교정시킬 수 있어 보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정면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평면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정면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평면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정면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평면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정면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평면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자세교정기구라 명명함)는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부정한 상체의 자세를 교정시키도록 된 자세교정기구(10)로서, 이에 이와같은 자세교정기구(10)는 고정패널부(20)와 결착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패널부(20)는 사용자의 등 부분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패널부(20)는 사각의 패널구조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등부분에 전면부가 맞닿게 배치된다.
상기 고정패널부(20)는 합성수지재의 패널로 형성시키게 되며, 금속재의 패널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패널부(20)에는 배면부에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브라켓부(23)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또는 부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브라켓부(23)에는 상기 결착부(30)의 결착지지구(31)의 일단이 회전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결착부(30)는 상기 고정패널부(20)의 배면부에 형성되는 브라켓부(23)에 일단이 힌지회동되게 체결되며, 사용자의 등 부분과 팔의 상측 및 가슴쪽 견갑골 부분을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곡선지게 형성되는 한쌍의 결착지지구(31)로 구성된다.
상기 결착지지구(31)는 타단에 가슴쪽 견갑골부분에 걸림되어 지지하도록 걸림지지부(3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지지부(314)의 내측면에는 사용자의 가슴쪽 견갑골 부분을 지지하도록 걸림탄성완충패널(315)이 더 부착된다.
상기 결착지지구(31)는 도면에서와 같이 곡선지게 형성되어, 등부분과 팔의 상측 일부를 감싸게 되며, 타단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지지부(314)가 견갑골을 지지하도록 가슴과 근접된 위치에 걸림되게 배치된다.
상기 결착지지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금속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걸림탄성완충패널(315)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지지부(314)가 가압시 이물감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상기 결착지지구(31)들은 사용자의 어깨부분을 감싼 상태에서 후술될 연결와이어(312)들을 당기게 되면 상기 고정패널부(2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굽은 견갑골과 어깨 부분을 등쪽으로 회전시키면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굽은 가슴이 펴진 상태로 지지되어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착지지구(31)들의 외면을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연결밴드(21)로 연결하면서 부착하여, 상기 탄성연결밴드(21)의 탄성에 의해 상기 결착지지구(31)들이 상기 고정패널부(20)의 배면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어깨를 가압하여 가슴을 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착부(30)에는 상기 결착지지구(31)의 단부에 연결부재(311)가 더 형성되고, 상기 결착부(30)에는 상기 연결부재(311)들을 연결하며 조임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연결부재(311)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와이어(312)와, 상기 연결와이어(312)들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조임부재(3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311)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착지지구(31)의 외면에 부착되거나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311)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합성섬유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와이어(312)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311)에 부착 또는 묶음되어 고정되고, 상기 연결와이어(312)의 타단은 상기 조임부재(313)에 체결되어 조임부재(313)의 작동에 의해 연결와이어(312)의 타단을 당기거나 풀게 된다.
상기 조임부재(313)는 신발끈에 장착되어 신발끈을 고정시키는 통상의 freelock이며, 상기한 freelock 이외에 끈이나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것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조임부재(313)는 상기 고정패널부(20)의 배면부에 부착되는 회전축을 갖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연결와이어(312)의 타단이 부착되는 드럼부로 이루어지며, 드럼부의 회전에 의해 연결와이어(312)가 권취되거나 풀리면서, 상기 연결와이어(312)를 당기거나 풀수 있게 된다. 상기 드럼부에는 별도의 결속 또는 해정을 위한 락수단이 마련된다. 상기한 freelock은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기위해 사용되는 통상의 조임수단으로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르게는, 상기 조임부재(313)가 없는 경우 상기 연결와이어(312)들을 타단을 당겨 상기 결착지지구(31)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와이어(312)들의 타단을 묶어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르게는, 상기 조임부재(313)를 관통공들이 형성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을 갖는 하우징구조로 형성시키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조임부재(313)를 관통하며 배치되는 연결와이어(312)의 타단을 당긴 후 상기 조임부재(313)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압코일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재가 상기 연결와이어(312)를 가압하여 당겨진 와이어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패널부(20)에는 상기 결착부(30)의 결착지지구(31)와 연결되도록 연결밴드(21)들이 더 마련되고, 상기 고정패널부(20)의 내측면에는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도록 고정탄성완충패널(22)이 더 부착된다.
상기 연결밴드(21)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패널부(20)의 전면부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 일단이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패널부(20)의 전면부 상측에 고정된 연결밴드(21)들은 사용자의 어깨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걸림지지부(314)의 상측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패널부(20)의 전면부 하측에 고정된 연결밴드(21)들은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걸림지지부(314)의 하측에 부착되어, 상기 자세교정기구(1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착지지구(31)의 외면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결착지지구(31)에 전달되어, 상기 결착지지구(31)가 회전되면서 사용자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마찰 및 걸림되는 것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착지지구(31)를 상기 고정패널부(20)의 전면부에 힌지회동되게 체결되고 곡선지게 형성되는 링구조의 고정링부(316)와, 상기 고정링부(316)에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견갑골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패널(317)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팔로 상기 고정링부(316)를 관통시켜 상체에 착용되도록 함으로써, 구부정한 자세를 바르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패널(317)의 내측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지지탄성완충패널(318)을 더 부착시켜, 상기 지지탄성완충패널(318)의 탄성에 의해 상기 지지패널(317)이 피부를 가압시 이물감이 느껴지는 것을 완충시키게 되고,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링부(316)의 내측면에는 안내롤러들을 마련하여 사용자의 피부 및 의복과 마찰되거나 걸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착부(30)에는 상기 결착지지구(31)들을 탄성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탄성형회전가압수단(4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탄성형회전가압수단(40)은 상기 결착지지구(31)들의 외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일면에 회동홈(411)이 형성된 작동패널(41)과, 상기 작동패널(41)의 회동홈(411)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링베어링(42)과, 상기 회동홈(411)의 링베어링(42)에 끼움되어 회전되도록 회전축이 마련된 회전링(43)과, 상기 회전링(43)들을 상호 연결하는 탄성압축코일스프링(44)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착지지구(31)들을 상기 탄성압축코일스프링(44)의 압축된 탄성에 의해 상기 회전링(43)을 내측으로 당겨 고정패널부(20)의 전면부 방향으로 상기 결착지지구(31)들을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와이어(312)의 장력이 상실된 경우에도 상기 탄성압축코일스프링(44)의 탄성에 의해 지속적으로 상기 결착지지구(31)들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자세교정기구
20 : 고정패널부
21 : 연결밴드
22 : 고정탄성완충패널
23 : 브라켓부
30 : 결착부
31 : 결착지지구
311 : 연결부재
312 : 연결와이어
313 : 조임부재
314 : 걸림지지부
315 : 걸림탄성완충패널
316 : 고정링부
317 : 지지패널
318 : 지지탄성완충패널
40 : 탄성형회전가압수단
41 : 작동패널
411 : 회동홈
42 : 링베어링
43 : 회전링
44 : 탄성압축코일스프링

Claims (6)

  1.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시키도록 된 자세교정기구로서,
    사용자의 등 부분에 배치되는 고정패널부 및
    상기 고정패널부의 전면부에 일단이 힌지회동되게 체결되며, 사용자의 등 부분과 견갑골 부분을 감싸는 한쌍의 결착지지구로 구성된 결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착지지구는 상기 고정패널부의 전면부에 힌지회동되게 체결되는 고정링부와,
    상기 고정링부에 형성되며 견갑골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패널의 내측면에는 지지탄성완충패널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에는 상기 결착지지구의 단부에 연결부재가 더 형성되고,
    상기 결착부에는 상기 연결부재들을 연결하며 조임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와이어와,
    상기 연결와이어들의 타단을 당기거나 풀어 조이는 조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지지구는 타단에 걸림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지지부의 내측면에는 사용자의 견갑골 부분을 지지하도록 걸림탄성완충패널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부에는 상기 결착부의 결착지지구와 연결되도록 연결밴드들이 더 마련되고,
    상기 고정패널부의 내측면에는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도록 고정탄성완충패널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에는 상기 결착지지구들을 탄성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탄성형회전가압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형회전가압수단은,
    상기 결착지지구들의 외면에 형성되고 일면에 회동홈이 형성된 작동패널과,
    상기 작동패널의 회동홈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링베어링과,
    상기 회동홈의 링베어링에 끼움되어 회전되도록 회전축이 마련된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들을 상호 연결하는 탄성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착지지구들을 상기 탄성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고정패널부의 전면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
KR1020200042786A 2020-04-08 2020-04-08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 KR102182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786A KR102182208B1 (ko) 2020-04-08 2020-04-08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786A KR102182208B1 (ko) 2020-04-08 2020-04-08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208B1 true KR102182208B1 (ko) 2020-11-24

Family

ID=7367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786A KR102182208B1 (ko) 2020-04-08 2020-04-08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2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097B1 (ko) * 2020-12-02 2021-05-17 김승식 어깨 자세 교정장치
KR102538232B1 (ko) 2022-12-06 2023-05-31 주식회사 온도니즈발란스 척추를 정렬시킴으로써 자세교정이 개선되는 밴드
WO2023102619A1 (en) * 2021-12-11 2023-06-15 Kinetic Slings Pty Ltd Postural devices and muscle sling devices and methods for body mechanics treatm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3808A (ja) * 2004-05-14 2005-11-24 Alcare Co Ltd 鎖骨骨折用固定帯
KR20090043622A (ko) * 2007-10-30 2009-05-07 심길섭 어깨교정 장치 및 어깨교정 장치가 포함된 자세교정 장치
JP2009268839A (ja) * 2008-05-12 2009-11-19 Shibaura Institute Of Technology 肩甲骨鎖骨機構
KR20120116264A (ko) 2011-04-12 2012-10-22 박성진 자세교정용 밴드
CN208176616U (zh) * 2017-09-13 2018-12-04 刘中涛 一种颈椎疼痛科治疗器
KR20190068020A (ko) * 2017-12-08 2019-06-18 김주현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3808A (ja) * 2004-05-14 2005-11-24 Alcare Co Ltd 鎖骨骨折用固定帯
KR20090043622A (ko) * 2007-10-30 2009-05-07 심길섭 어깨교정 장치 및 어깨교정 장치가 포함된 자세교정 장치
JP2009268839A (ja) * 2008-05-12 2009-11-19 Shibaura Institute Of Technology 肩甲骨鎖骨機構
KR20120116264A (ko) 2011-04-12 2012-10-22 박성진 자세교정용 밴드
CN208176616U (zh) * 2017-09-13 2018-12-04 刘中涛 一种颈椎疼痛科治疗器
KR20190068020A (ko) * 2017-12-08 2019-06-18 김주현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097B1 (ko) * 2020-12-02 2021-05-17 김승식 어깨 자세 교정장치
WO2023102619A1 (en) * 2021-12-11 2023-06-15 Kinetic Slings Pty Ltd Postural devices and muscle sling devices and methods for body mechanics treatment
KR102538232B1 (ko) 2022-12-06 2023-05-31 주식회사 온도니즈발란스 척추를 정렬시킴으로써 자세교정이 개선되는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208B1 (ko)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
US7905851B1 (en) Patella brace
US7255679B2 (en) Shoulder brace
JP4792470B2 (ja) オフセットヒンジを有する整形外科用装具のフレーム
JP2651953B2 (ja) 調節自在の膝サポーター
US8920350B2 (en) Orthotic strapping system
JP2575524B2 (ja) 肢部支持・固定器
TW201302183A (zh) 整形加壓裝置
KR101811252B1 (ko) 허리 보호대
US1185744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osteoarthritis of the knee
JPS63109857A (ja) 下腕疾病処理用ブレ−ス
KR20110124846A (ko) 어깨 및 목의 근육 이완 및 자세 교정용 브레이스
US11179260B2 (en) Knee brac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0350514Y1 (ko) 허리보호대
JP4407850B2 (ja) 膝関節矯正ベルト
KR200490463Y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앞치마
KR200493612Y1 (ko) 신체 교정용 벨트
JPH1071162A (ja) 腰痛の予防及び緩和用の腰バンド
KR200318281Y1 (ko) 자세교정용 벨트
JP2003227014A (ja) サポータ
KR200448125Y1 (ko) 신축벨트
US11918500B1 (en) Hinged knee brace with double upper strap arrangement
KR102496198B1 (ko)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
KR102315826B1 (ko) 물리치료사용 손보호대
CN108839002B (zh) 穿戴式外骨骼肩部助力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