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612Y1 - 신체 교정용 벨트 - Google Patents

신체 교정용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612Y1
KR200493612Y1 KR2020190001055U KR20190001055U KR200493612Y1 KR 200493612 Y1 KR200493612 Y1 KR 200493612Y1 KR 2020190001055 U KR2020190001055 U KR 2020190001055U KR 20190001055 U KR20190001055 U KR 20190001055U KR 200493612 Y1 KR200493612 Y1 KR 200493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apping portion
coupling member
ring
outer overlapping
correction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076U (ko
Inventor
이극모
Original Assignee
(주)스타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타플러스 filed Critical (주)스타플러스
Priority to KR2020190001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12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0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0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체 교정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다리, 허리 등의 신체 일부를 감싸 고정하여 압박하도록 서로 중첩 고정되는 내중첩부와 외중첩부가 양단에 구비되는 압박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중첩부가 관통되는 제1고리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신체를 감싸 조이고자 하는 경우, 외중첩부 하면에 위치하는 내중첩부를 제1고리를 당김으로서 조임력을 향상시켜 교정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신체 교정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체 교정용 벨트{CORRECTION BELT}
본 고안은 신체 교정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다리, 허리 등의 신체 일부를 감싸 고정하여 압박하도록 서로 중첩 고정되는 내중첩부와 외중첩부가 양단에 구비되는 압박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중첩부가 관통되는 제1고리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신체를 감싸 조이고자 하는 경우, 외중첩부 하면에 위치하는 내중첩부를 제1고리를 당김으로서 조임력을 향상시켜 교정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신체 교정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신체의 일부 중 특히 다리는 어릴적부터 오랫동안 잘못된 자세로 인해 다리가 휘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다리가 휘게 되면 키가 작아지고 균형이 맞지 않아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외모적으로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이를 교정하기 위하여 수술을 하게 되는데, 수술 비용의 문제와 수술로 인한 후유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수술 후 잘못된 자세로 인하여 다시 다리가 휘어지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술이 아닌 별도의 교정기를 사용하여 다리를 교정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교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교정기에 대한 비용적 문제와, 휴대성이 저하되어 집에서밖에 사용을 못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손쉽게 다리를 교정하기 위한 밴드형식의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49298호 "휜다리 교정구"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에어망사로 이루어진 벨트형의 교정밴드(10)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망사는 바이오소재로 된 내측겉감(11)과 외측겉감(12)이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그 사이에 지지모(13)들이 촘촘하게 형성되고, 상기 교정밴드(10)에 체결고리(20)와 결합부재(30)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교정밴드(10)의 에어망사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무릎패드(40)가 구비되어, 통기가 잘 이루어져 땀을 원활하게 배출시켜 장시간 착용할 수 있고, 피부 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고안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5-0102651호 "다리 벌어짐을 교정하는 밴드 보형물"은 신축성이 있는 천 재질의 직사각형 형태의 본체로, 밸크로로 양 사이드를 연결하여 다리 등을 감싸 고정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을 살펴보면, 밴드 형식으로 교정하고자 하는 부위, 일 예로 다리 등을 감싸 압박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휜 다리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강한 조임력이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밴드 양측을 강하게 당겨 조임력을 강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밴드의 양측 중 안쪽, 즉 신체에 밀착되는 밴드를 당기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신체에 밀착되는 밴드의 단부는 그 위에 밴드의 다른 단부가 중첩됨에 따라 안쪽에 숨어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안쪽에 숨어있는 밴드를 잡고 당기기에는 위에 중첩되는 또 다른 밴드의 단부로 인해 홀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힘을 제대로 전달하기 어려우며, 중첩부위가 살짝 어긋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나아가 등록특허 제20-0317961호 "다리교정 밴드"는 신체부위와 접촉하는 측면 전면에 원적외선 발생물질이 코팅된 띠형상의 몸체와, 이 몸체의 반대측면에 부착되며, 일단에 버클이 결합되고, 버클에 끼워져 몸체가 신체부위를 압박하도록 하는 후크-루프(hook-loop) 방식의 결합부가 타단에 형성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결합부에 대응하는 몸체의 단부는 연장되어 결합부재가 압박하는 신체부위 사이에 끼워지는 다리교정 밴드가 개시된다. 이와 같이 착용함에 따라 몸체의 신체와 접촉하는 측면에 도포된 원적외선 발생물질에 의해 다량의 원적외선이 발생되고, 이 원적외선은 착용자의 해당 신체부위의 모세혈관을 확장하고 혈류를 촉진하여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한다. 이와 함께 전면에 도포된 음이온 발생물질로부터 발생되는 음이온에 의해 인체의 세포기능과 면역기능을 활성화하고 자율신경을 안정시켜 주게 된다. 또한, 무릎관절 사이를 탄성을 갖는 섬유재질의 몸체를 끼워줌으로써 밴드를 단단하게 죄더라도 착용자는 고통을 덜 받게 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20-0317961호는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보안하는 것으로, 고리에 몸체가 끼워져 반대방향으로 접힌 후 결합되는 방식으로, 힘을 전달하기에는 무리가 없으나, 이 또한 한 쪽방향으로만 조임력을 전달함에 따라 어린이나 노약자처럼 힘이 약한 사람들은 강한 조임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양단에 내중첩부와 외중첩부가 형성된 압박본체와, 이를 고정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중첩부에 상기 외중첩부가 관통되는 제1고리를 형성함으로서, 외중첩부를 당기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1고리를 잡고 당기면 내중첩부가 당겨져 보다 손쉽게 조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신체 교정용 벨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외중첩부에도 제2고리를 더 구비함으로서, 양손으로 각각의 고리를 잡고 당기면 보다 수월하게 신체를 압박압박할 수 있고, 조임의 강도를 자유자재로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 조임 강도의 수정도 한 번에 할 수 있는 신체 교정용 벨트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신체 교정용 벨트는
신체를 감싸 고정되도록 서로 중첩되는 내중첩부와 외중첩부가 형성된 압박본체;
상기 내중첩부 상면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외중첩부 하면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
상기 내중첩부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외중첩부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고리;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압박본체가 신체를 감싸면, 사용자가 제1고리와 외중첩부를 각각 신체를 조이는 방향으로 당겨 조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체 교정용 벨트는 양단에 내중첩부와 외중첩부가 형성된 압박본체와, 교정하고자 하는 신체를 감싸 조이는 경우 중첩되는 부분을 서로 고정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내중첩부 단부에는 상기 외중첩부가 관통될 수 있는 제1고리를 구비함에 따라, 제1고리를 잡고 당기면 내중첩부가 당겨져 보다 손쉽게 신체를 조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내중첩부가 가려짐에 따라 사용자가 내중첩부를 당기는데 어려움이 있엇으나, 상기 제1고리를 통하여 양손으로 외중첩부와 제1고리를 함께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고안되어, 보다 손쉽게 신체를 조일 수 있으며,
더욱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외중첩부에도 제2고리를 더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가 양손으로 각각의 고리를 잡고 당길 수 있도록 고안됨으로서, 힘이 약한 사용자 또한 보다 손쉽게 힘을 전달하여 신체를 조일 수 있어, 신체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 교정용 벨트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체 교정용 벨트의 실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 교정용 벨트의 변형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신체 교정용 벨트의 실시사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신체 교정용 벨트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본체(10)와 결합수단(20), 제1고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허리, 종아리, 허벅지 등 신체의 여러부위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다리를 교정하는 실시예를 대표로 한다.
우선 상기 압박본체(1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때 상기 압박본체(10)의 폭은 착용감 및 사용부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상기 압박본체(1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탄성력이 없는 섬유재질로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 때 상기 압박본체(10)의 양측에는 각각 내중첩부(11a)와 외중첩부(11b)가 형성되게 되는데, 엄밀히 말하면, 상기 내중첩부(11a)와 외중첩부(11b)는 상기 압박본체(10)의 양측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압박본체(10)와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 신체를 감싸면 상기 압박본체(10)의 양단부가 서로 중첩되고, 이 중첩된 부위를 고정함으로서 강한 조임력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 중첩된 부위를 기준으로 신체와 밀착되는 단부를 내중첩부(11a)라 지칭하고, 내중첩부(11a) 상면에 포개지는 부분을 외중첩부(11b)라 지칭하도록 하겠다.
여기서 상면과 하면은 도2에 도시된 도면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며, 일 실시예로, 도2의 내중첩부(11a)를 보면, 후술하는 제1결합부재(21)가 구비되는 면은 상면, 그 반대면을 하면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압박본체(10)가 신체를 감싸 조이는 경우, 중첩부가 형성되며, 이 때 상기 중첩부를 고정시켜 조임력을 유지하여야 하며,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별도의 결합수단(2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합수단(20)은 상기 내중첩부(11a) 상면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21)와 상기 외중첩부(11b) 하면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2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결합부재(21)와 제2결합부재(23)는 상호간에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일 예로, 상기 제1결합부재(21)와 제2결합부재(23)는 암밸크로와 수밸크로로 이루어져 상호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제1결합부재(21)가 형성된 부분과 제2결합부재(23)가 형성된 부분은 각각 전체 압박본체(10)의 길이(상기 외중첩부(11b)와 내중첩부(11a)를 포함한 길이를 말한다.)의 1/4에서 1/3 사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중첩부위를 넓혀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함이여, 이보다 더 길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암밸크로는 꺼끌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수밸크로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착용감을 위해, 상기 제1결합부재(21)가 암밸크로가 구비되고, 제2결합부재(23)가 수밸크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는 사용자에 따라 상기 제2결합부재(23)는 피부에 직접 밀착될 수도 있는 바, 이 때 암밸크로로 이루어진다면 사용자가 꺼끌거림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상기 결합수단(20)은 암밸크로와 수밸크로가 아닌 상호 다른 자성을 갖는 마그넷, 돌기와 홀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벨트의 구성을 통하여 신체를 조이는 경우, 사용자는 압박본체(10)의 양단부, 즉 내중첩부(11a)와 외중첩부(11b)를 잡고 당겨 강한 힘으로 신체를 조이게(압박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내중첩부(11a)가 외중첩부(11b) 내측(신체 방향)에 위치함에 따라 내중첩부(11a)를 잡고 당기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여 보다 손쉽게 신체를 조일 수 있도록 제1고리(1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리(13)는 상기 내중첩부(11a)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중첩부(11b)가 관통될 수 있는 제1고리(13)가 형성되게 된다.
우선, 상기 제1고리(13)(하기 설명하는 제2고리(15)도 마찬가지이다.)는 연질 재질의 끈, 경질재질의 고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외중첩부(11b)가 관통될 수 있는 제1관통공(131)이 형성되며,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제1고리(13)는 상기 압박본체(10) 단부에 박음질 등으로 마감부(17)를 형성하여, 이 마감부(17)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신체를 감싼 후, 상기 제1고리(13)에 외중첩부(11b)를 통과시키게 되며, 상기 제1고리(13)를 당기는 것은 상기 내중첩부(11a)를 당기는 것과 마찬가지여서, 보다 손쉽게 내중첩부(11a)를 당겨 조임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내중첩부(11a)와 외중첩부(11b)가 어긋나 고정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상기 제1관통공(131)은 상기 외중첩부(11b)가 통과되기 위하여, 그 직경(폭)(a)이 상기 외중첩부(11b)의 폭(b)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야 하며, 만약 작게 형성된다 하더라도 상기 압박본체(10)가 경질재질이 아님에 따라 통과는 할 수 있으나, 우그러짐이 발생하여 착용감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폭은 상기와 같이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 및 도2는 보다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외중첩부(11b) 단부에도 제1고리(13)와 동일하게 제2관통공(151)이 형성된 제2고리(15)를 더 구비한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서, 결과적으로 압박본체(10) 양단부에 각각 제1고리(13)와 제2고리(15)가 구비되는 형상이다.
즉, 이 경우 상기 압박본체(10)로 신체를 감싼 후, 상기 외중첩부(11b)를 제1고리(13)를 관통시킨 다음 사용자는 양손으로 제1고리(13)와 제2고리(15), 보다 정확하게는 제1고리(13)의 제1관통공(131)과, 제2고리(15)의 제2관통공(151)에 양손을 각각 끼워 잡고 서로 반대방향, 즉 신체를 조이는 방향으로 당기면 외중첩부(11b)와 내중첩부(11a)가 당겨져 신체를 적은 힘으로 보다 쉽고 강하게 조일 수 있어 신체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3은 내구성, 사용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강한 힘으로 제1고리(13) 및 제2고리(15)를 잡고 당기면, 상기 매듭부가 파손되거나, 우그러져 착용감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듭부, 즉 내중첩부(11a)의 단부 또는 외중첩부(11b)의 단부 또는 이들 모두에 심재(30)를 더 구비하여 단부가 우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심재(30)는 경질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휴지심과 같이 압축된 복수장의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신체 교정용 벨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압박본체 11a : 내중첩부
11b : 외중첩부 13 : 제1고리
131 : 제1관통공 15 : 제2고리
151 : 제2관통공
17 : 마감부 20 : 결합수단
21 : 제1결합부재 23 : 제2결합부재
30 : 심재

Claims (4)

  1. 신체를 감싸 고정되도록 서로 중첩되는 내중첩부(11a)와 외중첩부(11b)가 형성된 압박본체(10);
    상기 내중첩부(11a)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21)와, 상기 제1결합부재(21)에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외중첩부(11b)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23)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20);
    상기 내중첩부(11a)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외중첩부(11b)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131)이 형성된 제1고리(13);
    상기 외중첩부(11b) 단부에 구비되며, 제2관통공(151)이 형성된 제2고리(15);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압박본체(10)로 신체를 감싸면서 상기 외중첩부(11b)가 제1관통공(131)을 관통하도록 위치시킨 후, 사용자가 상기 제1고리(13) 및 제2고리(15)을 양손으로 각각 잡고 신체를 조이는 방향으로 당겨 조임력을 향상시킨 후, 상기 제2결합부재(23)를 제1결합부재(21)에 결합시켜 조임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교정용 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131)의 폭은 상기 내중첩부(11a)의 폭과 같거나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교정용 벨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중첩부(11b)의 단부 또는 내중첩부(11a)의 단부 또는 이들 모두에는 경질재질로 이루어지 심재(30)가 더 구비되어,
    조임력에 의해 압박본체 단부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교정용 벨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21)는 암밸크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합부재(23)는 수밸크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부가 신체에 직접 접촉될 수 있는 상기 제2결합부재(23)가 부드러운 재질인 수밸크로로 이루어짐에 따라, 신체에 밀착되었을 때에도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교정용 벨트.

KR2020190001055U 2019-03-15 2019-03-15 신체 교정용 벨트 KR200493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55U KR200493612Y1 (ko) 2019-03-15 2019-03-15 신체 교정용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55U KR200493612Y1 (ko) 2019-03-15 2019-03-15 신체 교정용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76U KR20200002076U (ko) 2020-09-23
KR200493612Y1 true KR200493612Y1 (ko) 2021-05-04

Family

ID=7266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055U KR200493612Y1 (ko) 2019-03-15 2019-03-15 신체 교정용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1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961Y1 (ko) * 2003-03-24 2003-06-28 주식회사 아이씨엠텍 다리교정 밴드
KR200423094Y1 (ko) 2006-05-23 2006-08-02 이승우 무릎 모음 밴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0331U (ja) * 2002-05-29 2002-12-06 アイメディア株式会社 O脚矯正用具
KR20150102651A (ko) * 2014-02-28 2015-09-07 김범 다리 벌어짐을 교정하는 밴드 보형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961Y1 (ko) * 2003-03-24 2003-06-28 주식회사 아이씨엠텍 다리교정 밴드
KR200423094Y1 (ko) 2006-05-23 2006-08-02 이승우 무릎 모음 밴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90331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76U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007327T3 (en) SACROILIACA BELTS AND COMPOSITION STRUCTURE
KR101723920B1 (ko) 어깨 및 상체 자세 교정이 가능한 압박 의류
KR20170131735A (ko) 허리보호용 복대
KR102020013B1 (ko) 스포츠 의류
KR200493612Y1 (ko) 신체 교정용 벨트
JP3037024U (ja) 骨盤調整バンド
TWM278409U (en) Adjustable type magnetic belt
JP6124233B1 (ja) サポートバンド
CN214340242U (zh) 一种双支撑包覆式加压膝部护套
US20180092782A1 (en) Elbow Compression Wrap and Corresponding Methods
JPH10295715A (ja) O脚矯正と脚痩せ器具
CN213310711U (zh) 一种便于调节的骨科用腿部关节固定装置
JP2007162192A (ja) 身体に装着されるサポーター
KR200448125Y1 (ko) 신축벨트
CN212522262U (zh) 一种用于臀肌筋膜挛缩术后保持膝关节并拢的捆绑垫
CN214340241U (zh) 一种进阶型前开口支撑膝部护套
JP3085018U (ja) 腰部装着護腰帯
KR200305905Y1 (ko) 복대 겸용 척추 교정용 벨트
US20220054348A1 (en) Wearable cubital tunnel syndrome prevention and treatment device
KR200265357Y1 (ko) 운동용 벨트
CN211023663U (zh) 一种髋关节防脱位固定枕
KR20030025725A (ko) 운동용 벨트
JP5202585B2 (ja) 静脈還流制限カフ
JP5357325B1 (ja) 加圧と指圧とストレッチができるサポータ及び衣類
JP2000116699A (ja) 美健脚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