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013B1 - 스포츠 의류 - Google Patents

스포츠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013B1
KR102020013B1 KR1020180072534A KR20180072534A KR102020013B1 KR 102020013 B1 KR102020013 B1 KR 102020013B1 KR 1020180072534 A KR1020180072534 A KR 1020180072534A KR 20180072534 A KR20180072534 A KR 20180072534A KR 102020013 B1 KR102020013 B1 KR 102020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unit
pressing unit
clothing
wid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만호
Original Assignee
(주)나무트레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무트레이드 filed Critical (주)나무트레이드
Priority to KR1020180072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0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89Plasters use for bracing or strapping
    • A61F2013/00493Plasters use for bracing or strapping tors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신체의 특정 부위를 압박하여 테이핑(Taping)요법의 효능을 가진 스포츠 의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의류의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부를 포함하여 신체의 특정 부위를 압박한다. 상기 폭 조절부는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의류의 한쪽에 마련되되,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의류와 함께 감쌀 수 있도록 길게 마련된 제1압박부와 상기 제1압박부의 전면과 후면이 접하여 고정하는 제3압박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포츠 의류{Sports apparel}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의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신체의 특정 부위를 압박하여 테이핑(Taping)요법의 효능을 가진 스포츠 의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테이핑 요법의 효능을 가진 스포츠 의류에 관한 것으로, 테이핑 요법은 부상 부위의 재발 방지, 부상예방, 재활치료, 부상 부위를 고정하고 압박시키기 위해 테이프나 붕대 등을 사용하여 붙이거나 감아주는 처치법이다. 테이핑 요법은 피부와 근육을 자극함으써 긴장한 근육을 이완시켜 통증을 완화시키고 부상 부위를 고정하고, 관절 가동범위를 제한하고, 근육의 압박, 인대와 건을 보강해주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4645호(2011.05.12. 공개, “허리 부위에 적용되는 리해빌리 테이핑 키트”)에는 허리 부위에 적용되는 리해빌리 테이핑 키트가 개시된다. 상기 키트는, 각각 통기성과 탄성 복원력을 구비하고 점착성을 갖는 면 재질의 제 1 내지 제 7 테이프; 및 상기 테이프를 각각 부착할 허리 부위의 제 1 내지 제 7 접착경로를 표시한 부착 설명도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 설명도에서, 상기 제 1 접착경로는 요추 통증 부위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하고, 상기 제 2 접착경로는 요추 하단부에서 시작하여 척추 방향을 따라 상부로 연장하고, 상기 제 3 접착경로는 상기 제 2 접착경로에서 우측으로 이격하여 나란히 연장하고, 상기 제 4 접착경로는 상기 제 2 접착경로에서 좌측으로 이격하여 나란히 연장하고, 상기 제 5 접착경로는 상기 제 1 접착경로의 아랫부분과 겹치고 상기 제 2 내지 제 4 접착경로를 가로지르도록 수평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 6 접착경로는 상기 제1 접착경로의 윗부분과 겹치고 상기 제 2 내지 제 4 접착경로를 가로지르도록 수평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7 접착경로는 상기 제 6 접착경로에서 상부로 이격하여 상기 제 2 내지 제 4 접착경로를 가로지르도록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표시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61424호(2014.05.21. 공개, “감각운동자극 의류 및 방법)에는 브라(90)를 포함한다. 브라는 앞부분과 뒷부분을 포함하고, 브라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제작된다. 의류는 또한 브라의 뒷부분에 부착되고 엘라스토머 재료로 제작되는 척추밴드(42)를 포함한다. 상기 척추밴드는 브라의 뒷부분을 가로질러 브라의 목 영역으로부터 브라의 허리부분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다. 사용시, 척추밴드는 착용자의 척추 위에 위치되며 척추밴드 밑의 착용자 피부의 일부분에 있는 피부신경 수용기를 자극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26516호(2014.03.05. 공개, “스포츠 의류 제품)에는 탄성적으로 신축성이 있는 섬유 직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기본 직물 구역과, 하나 이상의 압박 구역(1, 2, 4, 5, 6, 11)을 포함하는 피부 위에 착용하기 위한 스포츠 의류 제품(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박구역은 섬유 직물의 피부를 향한 측면에 제공되어 있는 리지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압박을 위한 수단들을 가진다. 상기 압박 구역(1, 2, 4, 5, 6, 11)은 반신체와 관련하여 몸통(20) 및/또는 상부 및/또는 하부 수족들(21,22, 23, 24)이 제공된 구역들에서 나뉘어져 비대칭으로 배치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의류의 착용시 신축성 소재에 의한 압박으로 발생하는 착용의 불편함을 억제하고, 착용자가 선택적으로 압박의 유/무 또는 압박 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포츠 의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츠 의류가 개시(disclosure)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포츠 의류는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의류의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부(100)를 포함하여 신체의 특정 부위를 압박한다.
상기 폭 조절부(100)는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의류의 한쪽에 마련되되,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의류와 함께 감쌀 수 있도록 길게 마련된 제1압박부(110)와 상기 제1압박부(110)의 전면과 후면이 접하여 고정하는 제3압박 고정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폭 조절부(100)는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의류의 한쪽에 마련된 제1압박부(110)와 상기 제1압박부(110)로 이동될 경우에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의류의 폭이 줄어들 수 있는 위치의 의류의 다른 한쪽에 마련되는 제2압박부(120) 및 상기 제1압박부(110)와 상기 제2압박부(120)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1압박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폭 조절부(100)는 상기 제1압박부(110)로 이동되는 제3압박부(140)를 더 포함하되, 제3압박부(140)는 상기 제2압박부(120)부에 의한 의류의 폭이 줄어드는 크기보다 더 줄어들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1압박 고정부(130)는 적어도 상기 제1압박부(110)에 제2압박부(120) 또는 제3압박부(14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폭 조절부(100)는 상기 제1압박부(1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압박부(120)보다 더 멀리 떨어진 위치에 마련된 제3압박부(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압박부(120)를 기준으로 상기 제1압박부(110)보다 더 멀리 떨어진 위치에 마련된 제4압박부(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압박부(140)와 제4압박부(150)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2압박 고정부(1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압박부(140)와 제4압박부(150) 및 제2압박 고정부(160)에 의해서 의복의 폭이 줄어드는 크기가 상기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 및 제1압박 고정부(130)에 의해서 줄어드는 크기보다 큰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압박 고정부(130) 또는 제2압박 고정부(160)는 적어도 벨크로 또는 지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포츠 의류는 또 다른 폭 조절부(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또 다른 폭 조절부(100)는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의류의 한쪽에 마련되되,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의류와 함께 감쌀 수 있도록 길게 마련된 제1압박부(110)와 상기 제1압박부(110)의 전면과 후면에 서로 결합되는 제3압박 고정부(17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포츠 의류의 폭 조절부(100)는 신체의 특정 부위를 구성하는 근육 또는 인대에 압박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더 마련되되, 적어도 신체의 팔과 등, 옆구리 및 허벅지에 마련된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포츠 의류는 의류에 심박측정기(200)가 더 마련되되, 상기 심박측정기(200)는 상기 신체의 심장 또는 겨드랑이가 위치하는 곳에 탈/부착되도록 마련된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포츠 의류는 상기 폭 조절부(100)의 해제를 통해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고, 상기 폭 조절부(100)의 고정을 통해서 특정 부위의 신체를 가압하여 테이핑 요법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포츠 의류는 제3압박부(140)가 제1압박부(110)로 이동되어 제1압박 고정부(130)에 의해서 고정됨으로써, 제2압박부(120)에 의한 압박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압박부(120) 또는 제3압박부(140)를 선택할 수 있는바, 사용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의류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압박 강도 및 압박방향을 근육 또는 인대의 형성방향 또는 위치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포츠 의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폭 조절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폭 조절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폭 조절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포츠 의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폭 조절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폭 조절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폭 조절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포츠 의류는 대략적으로 통상의 의류에 폭 조절부(100)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포츠 의류는 심박측정기(200)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포츠 의류를 도 1에 개시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포츠 의류는 크게 통상의 의류와 폭 조절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통상의 의류는 골프와 야구, 자전거, 등산 등의 통상의 의류이다.
상기 폭 조절부(100)는 상기 의류가 감싸는 신체의 특정 부위의 폭을 조절한다.
일례로, 도 4를 참조한 폭 조절부(100)는 크게 제1압박부(110)와 제3압박 고정부(170)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압박부(110)는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팔)를 감싸는 의류의 한쪽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압박부(110)는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팔)를 의류와 함께 감쌀 수 있도록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제3압박 고정부(170)는 상기 제1압박부(110)의 전면과 후면이 서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압박 고정부(170)는 통상의 벨크로(Velcro)로 마련될 수 있다. 제3압박 고정부(170)은 상기 제1압박부(110)의 전면에 벨크로의 후크(hook)가 마련되고, 상기 제1압박부(110)의 후면에 벨크로의 루프(loop)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폭 조절부(100)는 제1압박부(110)의 후면이 의류의 표면과 접하도록 의류에 감아 의류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의류에 감긴 제1압박부(110)의 전면에 제1압박부(110)의 후면이 중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폭 조절부(100)는 제1압박부(110)에 의해서 신체가 삽입되는 의류의 폭을 줄임으로써 신체의 특정 부위를 압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할 때에는 상기 폭 조절부(100)의 제3압박 고정부(170)를 해제하여 의류의 폭을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포츠 의류는 상기 폭 조절부(100)의 해제를 통해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고, 상기 폭 조절부(100)의 고정을 통해서 특정 부위의 신체를 가압하여 테이핑 요법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3압박 고정부(170)는 통상의 지퍼(Zipper)로 마련될 수 있다. 제3압박 고정부(170)는 제1압박부(110)의 전면에 지퍼의 톱니가 마련되고 그 전면의 톱니와 맞물리는 또 다른 톱니가 제1압박부(110)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1압박부(110)의 끝단에 상기 전면의 톱니와 맞물리는 또 다른 톱니가 마련될 수 있다. 제3압박 고정부(170)는 제1압박부(110)의 후면에 마련된 톱니에 상기 제1압박부(110)의 전면 또는 끝단에 마련된 톱니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압박부(110)에 마련된 톱니는 제1압박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를 마련하여 제1압박부(110)에 의한 압박 강도를 단계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제3압박 고정부(170)는 통상의 단추 및 줄로써 마련될 수도 있다.
다른 일례로, 도 1을 참조한 상기 폭 조절부(100)는 대략적으로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 및 제1압박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압박부(110)는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의류의 한쪽에 마련된다. 제1압박부(110)는 상기 의류에 이하 설명될 통상의 지퍼를 구성하는 톱니가 마련될 수 있도록 한다. 제1압박부(110)는 신체의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근육 또는 인대 등의 형성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압박부(120)는 상기 제1압박부(110)로 이동될 경우에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의류의 폭이 줄어들 수 있는 위치의 의류의 다른 한쪽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압박부(120)는 상기 제1압박부(110)와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다. 제2압박부(120)는 상기 제1압박부(110)로 이동될 경우,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 사이의 거리만큼 의복의 폭이 줄어들도록 한다. 제2압박부(120)는 상기 제1압박부(110)와 맞물리는 통상의 지퍼의 또 다른 톱니가 마련된다. 제1압박 고정부(130)는 상기 제1압박부(110)와 상기 제2압박부(120)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압박 고정부(130)는 통상의 지퍼(zipper)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압박 고정부(130)는 상기 제1압박부(110)에 지퍼를 구성하는 톱니가 마련되고, 상기 제2압박부(120)에 또 다른 톱니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압박부(110)에 마련된 톱니에 상기 톱니들이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퍼를 구성하는 결합부는 상기 제2압박부(120)에 마련된 톱니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압박 고정부(130)는 통상의 벨크로(Velcro)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폭 조절부(100)는 도 2에서처럼, 제3압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압박부(140)는 상기 제2압박부(120)부에 의해서 줄어드는 의류의 폭보다 더 크게 폭이 줄어들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3압박부(140)는 상기 제1압박부(1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압박부(120)와의 거리보다 더 멀리 떨어진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다. 제3압박부(140)는 상기에서 설명된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에서처럼 통상의 지퍼를 구성하는 톱니가 마련되는 것이고, 신체의 특정 부위에 구성된 근육 또는 인대 등의 형성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마련된다. 상기 제1압박 고정부(130)는 상기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 및 제3압박부(140)에 각각 지퍼(zipper)의 톱니가 마련되고, 도 3에서처럼 지퍼(zipper)의 결합부는 제1압박부(110)에 마련된 톱니에 마련되어 제2압박부(120) 또는 제3압박부(130)를 선택적으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압박부(140)는 상기 제1압박부(110)와의 거리가 상기 제2압박부(120)보다 더 멀게 됨으로써, 상기 제3압박부(140)가 상기 제1압박부(110)로 이동되어 상기 제1압박 고정부(130)에 의해서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압박부(120)에 의한 압박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압박부(120) 또는 제3압박부(140)를 선택할 수 있는바, 사용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의류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압박 강도 및 압박방향을 근육 또는 인대의 형성방향 또는 위치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1압박 고정부(130)의 지퍼를 구성하는 결합부는 제2압박부(120) 및 제3압박부(140)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지퍼를 구성하는 결합부는 상기 제2압박부(120)에 마련된 톱니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압박 고정부(130)는 통상의 벨크로(Velcro)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 3을 참조한 상기 폭 조절부(100)는 대략적으로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 제3압박부(140), 제4압박부(150), 제1압박 고정부(130) 및 제2압박 고정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압박부(110)는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의류의 한쪽에 마련된다. 제1압박부(110)는 신체의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근육 또는 인대 등의 형성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압박부(120)는 상기 제1압박부(110)로 이동될 경우에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의류의 폭이 줄어들 수 있는 위치의 의류의 다른 한쪽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압박부(120)는 상기 제1압박부(110)와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다. 제2압박부(120)는 상기 제1압박부(110)로 이동될 경우,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 사이의 거리만큼 의복의 폭이 줄어들도록 한다. 제1압박 고정부(130)는 상기 제1압박부(110)와 상기 제2압박부(120)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압박 고정부(130)는 통상의 지퍼(zipper)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압박 고정부(130)는 상기 제1압박부(110)에 지퍼를 구성하는 톱니가 마련되고, 상기 제2압박부(120)에 또 다른 톱니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압박부(110)에 마련된 톱니에는 상기 제2압박부(120)의 톱니가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하는 지퍼(zipper)의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3압박부(140)는 상기 제1압박부(1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압박부(120)보다 더 멀리 떨어진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다. 제3압박부(140)는 상기에서 설명된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에서처럼 통상의 지퍼를 구성하는 톱니가 마련되는 것이고, 신체의 근육 또는 인대의 형성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4압박부(150)는 상기 제2압박부(120)를 기준으로 상기 제1압박부(110)보다 더 멀리 떨어진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다. 제4압박부(150)는 상기에서 설명된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에서처럼 통상의 지퍼를 구성하는 톱니가 마련되는 것이고, 신체의 근육 또는 인대의 형성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압박 고정부(160)는 상기 제3압박부(140)와 상기 제4압박부(150)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압박 고정부(160)는 통상의 지퍼(zipper)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압박 고정부(160)는 상기 제3압박부(140)에 지퍼를 구성하는 톱니가 마련되고, 상기 제4압박부(150)에 또 다른 톱니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압박부(140)에 마련된 톱니에는 상기 제4압박부(150)의 톱니가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하는 지퍼(zipper)의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압박부(140)와 제4압박부(150) 및 제2압박 고정부(160)에 의해서 의복의 폭이 줄어드는 크기가 상기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 및 제1압박 고정부(130)에 의해서 의복의 폭이 줄어드는 크기보다 커짐으로써 압박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제1압박 고정부(130)는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 끝이 이미 결합된 상태로 마련되고, 제2압박 고정부(160)는 제3압박부(140)와 제4압박부(150)의 끝이 이미 결합된 상태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압박강도 또는 체형에 맞추어 의류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1압박 고정부(130) 또는 제2압박 고정부(160)는 통상의 벨크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한 스포츠 의류는 하나의 폭 조절부(100)와 또 다른 폭 조절부(100)의 조합으로 실시 될 수 있다. 하나의 폭 조절부(100)는 대략적으로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 및 제1압박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압박부(110)는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의류의 한쪽에 마련된다. 제1압박부(110)는 상기 의류에 이하 설명될 통상의 지퍼를 구성하는 톱니가 마련될 수 있도록 한다. 제1압박부(110)는 신체의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근육 또는 인대 등의 형성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압박부(120)는 상기 제1압박부(110)로 이동될 경우에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의류의 폭이 줄어들 수 있는 위치의 의류의 다른 한쪽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압박부(120)는 상기 제1압박부(110)와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다. 제2압박부(120)는 상기 제1압박부(110)로 이동될 경우,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 사이의 거리만큼 의복의 폭이 줄어들도록 한다. 제2압박부(120)는 상기 제1압박부(110)와 맞물리는 통상의 지퍼의 또 다른 톱니가 마련된다. 제1압박 고정부(130)는 상기 제1압박부(110)와 상기 제2압박부(120)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압박 고정부(130)는 통상의 지퍼(zipper)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압박 고정부(130)는 상기 제1압박부(110)에 지퍼를 구성하는 톱니가 마련되고, 상기 제2압박부(120)에 또 다른 톱니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압박부(110)에 마련된 톱니에 상기 톱니들이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폭 조절부(100)는 크게 제1압박부(110)와 제3압박 고정부(170)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압박부(110)는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팔)를 감싸는 의류의 한쪽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압박부(110)는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팔)를 의류와 함께 감쌀 수 있도록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제3압박 고정부(170)는 상기 제1압박부(110)의 전면과 후면이 서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압박 고정부(170)는 통상의 벨크로(Velcro)로 마련될 수 있다. 제3압박 고정부(170)은 상기 제1압박부(110)의 전면에 벨크로의 후크(hook)가 마련되고, 상기 제1압박부(110)의 후면에 벨크로의 루프(loop)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폭 조절부(100)는 제1압박부(110)의 후면이 의류의 표면과 접하도록 의류에 감아 의류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의류에 감긴 제1압박부(110)의 전면에 제1압박부(110)의 후면이 중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폭 조절부(100)는 제1압박부(110)에 의해서 신체가 삽입되는 의류의 폭을 줄임으로써 신체의 특정 부위를 압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또 다른 폭 조절부(100)는 상기에서 설명된 하나의 폭 조절부(100)와 겹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또 다른 폭 조절부(100)는 상기 하나의 폭 조절부(100)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스포츠 의류는 상기 폭 조절부(100)가 신체의 특정 부위를 구성하는 근육 또는 인대에 압박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더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신체의 팔과 등, 옆구리 및 허벅지에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포츠 의류에 도 1에서처럼, 통상의 심박측정기(20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심박측정기(200)는 상기 신체의 심장 또는 겨드랑이가 위치하는 곳에 탈/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에서 설명될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 사이에 위치하여 제1압박 고정부(130)에 의해서 고정 될 수도 있다. 상기 심박측정기(200)는 혈압 또는 체온측정기 또는 만보계 등으로 대체할 수도 있고,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심박측정기(200)가 상기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에 의한 설치될 경우 신체를 압박하는 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박측정기(200)를 신체에 완전 밀착시킴으로써 측정오류가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심박측정기(200)를 대체하여 신축성 있는 패드를 채용할 경우 충격에 의한 부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심박측정기(200)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스포츠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0 : 폭 조절부
110 : 제1압박부
120 : 제2압박부
130 : 제1압박 고정부
140 : 제3압박부
150 : 제4압박부
160 : 제2압박 고정부
170 : 제3압박 고정부
200 : 심박측정기

Claims (9)

  1. 스포츠 의류에 있어서,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의류의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부(100)를 포함하되,
    상기 폭 조절부(100)는
    제1압박부(1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압박부(120)보다 더 멀리 떨어진 위치에 마련된 제3압박부(140)와 제2압박부(120)를 기준으로 상기 제1압박부(110)보다 더 멀리 떨어진 위치에 마련된 제4압박부(150), 상기 제3압박부(140)와 제4압박부(150)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2압박 고정부(160) 및 상기 제3압박부(140)와 제4압박부(150) 및 제2압박 고정부(160)에 의해서 의복의 폭이 줄어드는 크기가 상기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 및 제1압박 고정부(130)에 의해서 줄어드는 크기보다 큰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압박 고정부(130) 또는 제2압박 고정부(160)는 적어도 벨크로 또는 지퍼 중 어느 하나이며,
    또 다른 폭 조절부(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또 다른 폭 조절부(100)는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감싸는 의류의 한쪽에 마련되되,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의류와 함께 감쌀 수 있도록 길게 마련된 제1압박부(110)와 상기 제1압박부(110)의 전면과 후면에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1압박부(110)의 전면에 벨크로의 후크(hook)가 마련되고, 상기 제1압박부(110)의 후면에 벨크로의 루프(loop)가 마련된 제3압박 고정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압박부(110)와 제2압박부(120) 사이에 심박측정기(200)를 더 포함하여, 제1압박 고정부(130)에 의해서 심박측정기(200)가 고정되어 신체를 압박하는 강도를 더욱 증대되면서 심박측정기(200)를 신체에 완전 밀착시킴으로써 측정오류가 억제되는 스포츠 의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72534A 2018-06-25 2018-06-25 스포츠 의류 Active KR102020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534A KR102020013B1 (ko) 2018-06-25 2018-06-25 스포츠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534A KR102020013B1 (ko) 2018-06-25 2018-06-25 스포츠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013B1 true KR102020013B1 (ko) 2019-11-04

Family

ID=6857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534A Active KR102020013B1 (ko) 2018-06-25 2018-06-25 스포츠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0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948B1 (ko) * 2022-03-30 2022-10-21 강철수 인공지능을 이용한 온습도 측정장치를 구비한 전력설비 최적제어시스템
KR20230000788U (ko) * 2021-10-14 2023-04-21 오광일 환부 압박용 조끼
KR102554531B1 (ko) * 2022-12-09 2023-07-12 주식회사 휴마스터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습 운전시 실내 습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4314U (ja) * 1996-08-02 1997-02-18 ▲文▼瑛 周 体重調整可能な服
KR20130125615A (ko) * 2012-05-09 2013-11-19 제일모직주식회사 신체활동정보 수집이 가능한 의류
KR20150029376A (ko) * 2013-09-10 2015-03-18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신체부분을 보호하는 기능성 패션 밴드
KR20180064375A (ko) * 2016-03-17 2018-06-14 판너 슈츠베클라이둥 게엠베하 구명조끼를 포함한 의복과 관련 지퍼배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4314U (ja) * 1996-08-02 1997-02-18 ▲文▼瑛 周 体重調整可能な服
KR20130125615A (ko) * 2012-05-09 2013-11-19 제일모직주식회사 신체활동정보 수집이 가능한 의류
KR20150029376A (ko) * 2013-09-10 2015-03-18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신체부분을 보호하는 기능성 패션 밴드
KR20180064375A (ko) * 2016-03-17 2018-06-14 판너 슈츠베클라이둥 게엠베하 구명조끼를 포함한 의복과 관련 지퍼배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88U (ko) * 2021-10-14 2023-04-21 오광일 환부 압박용 조끼
KR200497416Y1 (ko) 2021-10-14 2023-11-02 오광일 환부 압박용 조끼
KR102457948B1 (ko) * 2022-03-30 2022-10-21 강철수 인공지능을 이용한 온습도 측정장치를 구비한 전력설비 최적제어시스템
KR102554531B1 (ko) * 2022-12-09 2023-07-12 주식회사 휴마스터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습 운전시 실내 습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869B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102020013B1 (ko) 스포츠 의류
WO2013030610A1 (en) Device for improving the posture of a user
US7611477B2 (en) Toe lift strap
KR20190093057A (ko) 척추측만증 환자용 비대칭 척추보조기구
JP2024038436A (ja) 血流制限スポーツ衣料
EP2430931B1 (en) Technical clothes
CA3045084A1 (en) Body trunk supporter and wear provided with same
CN102068060B (zh) 动态腕部支具
JPH01214361A (ja) ベルト押さえ付膝蓋骨装具
CN202009716U (zh) 腕保护器
CN202277410U (zh) 一种防止手部挛缩的保护器具
KR101515757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KR101467143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CN211560574U (zh) 一种人体动态矫正穿戴外衣
CN209219294U (zh) 一种新型多功能护腰带
CN203860497U (zh) 护膝织物结构
JP2006141668A (ja) 筋膜の活性化機能を有するサポータ
KR101549871B1 (ko) 무릎 보호대
CN219679836U (zh) 一种双重加压护腰
CN112451337A (zh) 一种医疗用下肢辅助康复治疗装置
CN112022475A (zh) 一种基于磁振热治疗仪的慢性软组织损伤的护理装置
JP2021145711A (ja) 農業用アシストスーツ
JP6124233B1 (ja) サポートバンド
CN210809392U (zh) 一种护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