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232B1 - 척추를 정렬시킴으로써 자세교정이 개선되는 밴드 - Google Patents

척추를 정렬시킴으로써 자세교정이 개선되는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232B1
KR102538232B1 KR1020220168853A KR20220168853A KR102538232B1 KR 102538232 B1 KR102538232 B1 KR 102538232B1 KR 1020220168853 A KR1020220168853 A KR 1020220168853A KR 20220168853 A KR20220168853 A KR 20220168853A KR 102538232 B1 KR102538232 B1 KR 102538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elastic
support
pressur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희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도니즈발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도니즈발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도니즈발란스
Priority to KR1020220168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몸통부분에 착용하여 자세를 교정하도록 된 자세교정 밴드로서,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배치되는 지지밴드와 상기 지지밴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1체결밴드와 상기 지지밴드의 타측에 형성되는한쌍의 제2체결밴드로 이루어진 밴드본체와, 상기 제1체결밴드에 마련되는 내측암벨크로테잎과 상기 제2체결밴드에 마련되는 내측숫벨크로테잎으로 이루어진 내측체결부로 구성되어,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되고, 걸림지지부를 마련하여 착용한 밴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중으로 사용자의 몸통부분을 지지하여 자세교정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척추를 정렬시킴으로써 자세교정이 개선되는 밴드{BAND THAT IMPROVES POSTURE CORRECTION BY ALIGNING SPINE}
본 발명은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되고, 걸림지지부를 마련하여 착용한 밴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중으로 사용자의 몸통부분을 지지하여 자세교정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에 관한 것이다.
척추는 상체의 체중을 지탱하여 주는 신체의 중추로서, 모든 신경은 척추로 연결되어 신체의 각 기관, 근육 등을 조절한다. 그 외에도 척추는 상체를 구부렸다 펴는 역활을 수행하는 주요 관절의 하나로서도 기능하여 신체에서 중요한 역활을 수행한다.
그러나 일상에서 나쁜 습관으로 인하여 바르지 못한 자세를 가진 인구가 많음에 따라 척추, 어깨 등이 굽은 인구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노인층이나 성장기의 어린이 및 청소년 등의 계층이 문제된다. 한편 척추, 어깨 등이 휘어지거나 굽은 경우에는 허리디스크, 목디스크, 어깨 통증, 두통, 내장 질환 등 많은 질병과 신체이 상의 가져오게 되므로 바른 자세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치료방법 및 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척추가 전방으로 굽고 어깨 또한 앞쪽으로 굽은 나쁜자세를 바른 자세로 교정하기 위한 자세교정벨트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한 자세교정밴드는 사용자의 척추나 척추주위의 등을 감싸는 등받이와 이 등받이의 상단 양측에서 그 하부의 양측에 이르기까지 사용자의 어깨를 걸 수 있도록 연결된 어깨걸이밴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자세교정밴드의 종래기술을 보면, 공개번호 제10-2012-0116264호 '자세교정용 밴드'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등받이 밴드, 어깨걸이 밴드 및 허리 밴드로 이루어진 자세교정용 밴드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밴드 중단에 어깨걸이 조절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어깨걸이 밴드의 양단이 등받이 밴드 상단과 상기 어깨걸이 조절부 좌우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밴드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세교정벨트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착용과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2208호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 (2020.11.2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16264호 "자세교정용 밴드" (2012.10.2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되고, 걸림지지부를 마련하여 착용한 밴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중으로 사용자의 몸통부분을 지지하여 자세교정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몸통부분에 착용하여 자세를 교정하도록 된 자세교정 밴드로서,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배치되는 지지밴드와 상기 지지밴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1체결밴드와 상기 지지밴드의 타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2체결밴드로 이루어진 밴드본체와, 상기 제1체결밴드에 마련되는 내측암벨크로테잎과 상기 제2체결밴드에 마련되는 내측숫벨크로테잎으로 이루어진 내측체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세교정 밴드는 척추를 정렬시킴으로써 자세교정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자세교정 밴드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되고, 걸림지지부를 마련하여 착용한 밴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중으로 사용자의 몸통부분을 지지하여 자세교정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의 밴드본체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의 밴드본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의 탄성걸림쿠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의 이중탄성밴드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의 착용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의 인입돌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의 탄성형가압걸림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몸통부분에 착용하여 자세를 교정하도록 된 자세교정 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배치되는 지지밴드와 상기 지지밴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1체결밴드와 상기 지지밴드의 타측에 형성되는한쌍의 제2체결밴드로 이루어진 밴드본체; 및 상기 제1체결밴드에 마련되는 내측암벨크로테잎과 상기 제2체결밴드에 마련되는 내측숫벨크로테잎으로 이루어진 내측체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의 밴드본체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의 밴드본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의 탄성걸림쿠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의 이중탄성밴드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의 착용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의 인입돌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의 탄성형가압걸림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자세교정 밴드라 명명함)는 사용자의 몸통부분에 착용하여 자세를 교정하도록 된 자세교정 밴드(10)로서, 이에 이와 같은 자세교정 밴드(10)는 밴드본체(20)와 내측체결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밴드본체(20)는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배치되는 지지밴드(21)와 상기 지지밴드(21)의 일측에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박음질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제1체결밴드(22)와 상기 지지밴드(21)의 타측에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박음질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제2체결밴드(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밴드(21)와 상기 제1체결밴드(22) 및 상기 제2체결밴드(23)는 합성섬유재 또는 천연섬유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내측체결부(30)는 상기 제1체결밴드(22)의 전면에 부착되거나 박음질되어 고정되는 내측암벨크로테잎(31)과 상기 내측암벨크로테잎(31)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상기 제2체결밴드(23)의 배면에 부착되거나 박음질되어 고정되는 내측숫벨크로테잎(32)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밴드(21)를 사용자의 등부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밴드(22)로 하측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갈비뼈들을 포함한 배부분을 압박하며 감싼후, 상기 제 2체결밴드로 사용자의 배부분을 압박하며 감싸면서 상기 제1체결밴드(22)를 덮어, 상기 내측암벨크로테잎(31)에 상기 내측숫벨크로테잎(32)을 부착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몸통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자세교정 밴드(1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체결밴드(22)와 상기 제2체결밴드(23)가 한쌍을 이루며 형성되어, 재차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허리를 굽힐 경우 배부분에서 걸림되는 것을 완화시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밴드본체(20)에는 상기 내측체결부(30)를 지지하며 사용자의 몸통부분을 감싸도록 이중탄성밴드유닛(40)이 더 마련된다.
상기 이중탄성밴드유닛(40)은, 상기 지지밴드(21)의 배면부 중심부분이 중심부분이 박음질 또는 부착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탄성가압밴드(41)와, 상기 탄성가압밴드(41)에 마련되는 외측암벨크로테잎(421)과 외측숫벨크로테잎(422)으로 이루어진 외측체결부(42)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가압밴드(41)는 탄성을 갖는 합성섬유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외측암벨크로테잎(421)은 상기 탄성가압밴드(41)의 일단 전면에 박음질 또는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외측숫벨트로테잎은 상기 탄성가압밴드(41)의 타단 배면에 박음질 또는 부착되어, 상기 내측암벨크로테잎(31)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다.
즉, 사용자의 배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제1체결밴드(22)와 상기 체2체결밴드가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가압밴드(41)가 상기 제1체결밴드(22) 및 상기 제2체결밴드(23)를 덮으면서 탄성에 의해 압박하게 되고, 양단부가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자세교정 밴드(10)의 고정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키게 되고, 자세교정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체결밴드(22)에는 걸림지지부(50)가 더 마련된다.
상기 걸림지지부(50)는 상기 제1체결밴드(22)의 배면에 박음질되거나 부착되어 고정되는 걸림암벨크로테잎(51)과, 상기 걸림암벨크로테잎(51)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걸림숫벨크로테잎(521)이 부착된 탄성걸림쿠션(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걸림쿠션(52)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제1체결밴드(22)와 상기 제2체결밴드(23)가 사용자의 갈비뼈 하부를 포함한 배부분을 덮으면서 상호 연결시, 상기 탄성걸림쿠션(52)이 갈비뼈들 사이에 일부가 인입되어,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외력이나 보행시 상기 자세교정 밴드(10)가 이동되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걸림쿠션(52)에는 사용자의 의류 또는 피부와 맞닿는 전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인입돌부(53)가 일체로 더 형성된다.
상기 인입돌부(53)는 상기 탄성걸림쿠선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갈비뼈들 사이에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켜, 자세교정 밴드(10)가 이동되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걸림쿠션(52)의 전면에는 마찰걸림돌기들을 일체로 더 형성시켜, 사용자의 피부 또는 의류에 마찰 및 걸림되어 상기 탄성걸림쿠션(52)이 이동되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걸림쿠션(52)의 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걸림홈들을 더 형성시켜, 사용자의 피부 또는 의류에 마찰 및 걸림되어 상기 탄성걸림쿠션(52)이 이동되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밴드(21)에는 하단에 사용자의 엉덩이 상측을 지지하도록 한쌍의 지지돌출부(211)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도 더 형성되어, 엉덩이 상측에 상기 지지돌출부(211)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세교정 밴드(1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자세교정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걸림쿠션(52)에는 밴드본체(20)와 이중탄성밴드유닛(40)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형가압걸림고정수단(6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탄성형가압걸림고정수단(60)은, 상기 탄성걸림쿠션(52)의 일면에 형성되는 작동홈(61)과, 상기 작동홈(61)에 일단이 끼움되고 부착되어 고정되는 탄성가압코일스프링(62)과,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62)의 타단에 일면이 부착되어 고정되는 가압패널(63)과, 상기 가압패널(63)의 타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가압지지패널(64)과, 상기 케이블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상기 탄성가압지지패널(64)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걸림돌부(65)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62)과 상기 탄성가압지지패널(64)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돌부(65)가 사용자의 몸통 하측에 위치되는 갈비뼈들 사이에 인입되어, 상기 밴드본체(20)와 상기 이중탄성밴드유닛(40)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밴드(10)의 변형례(미도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밴드(10)의 변형례에서는 걸림돌부(65)에 배치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가압센서(미도시, 일 예로, 로드셀), 탄성걸림쿠션(52)에 내장된 전열기(미도시)와, 가압센서의 압력값을 수신하여 이에 따라 전열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가압코일스프링(62)은 40도 미만의 상온에서 압축되어 있다가 40도 이상이 되었을 때는 팽창하여 축 방향 길이가 늘어나는 입체나선형태의 Ni과 Ti를 이용한 이방향성 형상기억합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제어 유닛은 제1시간을 주기로 반복적으로 제1시간동안의 가압센서의 압력값의 평균값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제1시간동안의 가압센서의 압력값의 최소값이 제1특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걸림돌부(65)가 갈비뼈에 정상적으로 밀착되어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전열기를 작동시키지 않으며(이 경우, 탄성강압코일스프링은 압축상태), 제1시간동안 가압센서의 압력값의 최소값이 제1특정값 미만인 동시에 제1특정값보다 작은 제2특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걸림돌부(65)가 갈비뼈 사이에 정상적으로 밀착되지 않아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고 있으므로 전열기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이 경우, 탄성가압코일스프링은 팽창상태로 변형되어 사용자의 갈비뼈 사이에 밀착됨), 제1시간동안 가압센서의 압력값의 최소값이 제1특정값 미만인 동시에 제2특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걸림돌부(65)의 밀착 여부와 관계 없이 착용자에게 과호흡이 온 경우이므로 이 경우 걸림돌부(65)를 갈비뼈 사이에 밀착시키는 것은 위험할 수 있으므로 전열기를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자세교정 밴드
20 : 밴드본체
21 : 지지밴드
211 : 지지돌출부
22 : 제1체결밴드
23 : 제2체결밴드
30 : 내측체결부
31 : 내측암벨크로테잎
32 : 내측숫벨크로테잎
40 : 이중탄성밴드유닛
41 : 탄성가압밴드
42 : 외측체결부
421 : 외측암벨크로테잎
422 : 외측숫벨크로테잎
50 : 걸림지지부
51 : 걸림암벨크로테잎
52 : 탄성걸림쿠션
521 : 걸림숫벨크로테잎
53 : 인입돌부
60 : 탄성형가압걸림고정수단
61 : 작동홈
62 : 탄성가압코일스프링
63 : 가압패널
64 : 탄성가압지지패널
65 : 걸림돌부

Claims (1)

  1. 사용자의 몸통부분에 착용하여 자세를 교정하도록 된 자세교정 밴드로서,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배치되는 지지밴드와 상기 지지밴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1체결밴드와 상기 지지밴드의 타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2체결밴드로 이루어진 밴드본체; 및
    상기 제1체결밴드에 마련되는 내측암벨크로테잎과 상기 제2체결밴드에 마련되는 내측숫벨크로테잎으로 이루어진 내측체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에 있어서,
    상기 밴드본체에는 상기 내측체결부를 지지하며 사용자의 몸통부분을 감싸도록 이중탄성밴드유닛이 더 마련되고,
    상기 이중탄성밴드유닛은,
    상기 밴드본체의 배면부 중심부분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탄성가압밴드와,
    상기 탄성가압밴드에 마련되는 외측암벨크로테잎과 외측숫벨크로테잎으로 이루어진 외측체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체결밴드에는 걸림지지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걸림지지부는 상기 제1체결밴드의 배면에 형성되는 걸림암벨크로테잎과,
    상기 걸림암벨크로테잎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걸림숫벨크로테잎이 마련된 탄성걸림쿠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걸림쿠션에는 전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인입돌부가 일체로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밴드에는 하단에 사용자의 엉덩이 상측을 지지하도록 한쌍의 지지돌출부가 일체로 더 형성되며,
    상기 탄성걸림쿠션에는 밴드본체와 이중탄성밴드유닛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형가압걸림고정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형가압걸림고정수단은,
    상기 탄성걸림쿠션의 일면에 형성되는 작동홈과,
    상기 작동홈에 일단이 끼움되고 부착체결되어 고정되는 탄성가압코일스프링과,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의 타단에 일면이 부착되어 고정되는 가압패널과,
    상기 가압패널의 타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가압지지패널과,
    상기 탄성가압지지패널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돌부에 배치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가압센서와,
    상기 탄성걸림쿠션에 내장된 전열기와,
    상기 가압센서의 압력값을 수신하여 상기 전열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과 상기 탄성가압지지패널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돌부가 하측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갈비뼈들 사이에 인입되고, 특정 온도 미만에서 압축되어 있고, 특정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는 팽창하여 축 방향 길이가 늘어나는 입체나선형태의 이방향성 형상기억합금이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제1시간을 주기로 반복적으로 제1시간동안의 가압센서의 압력값의 평균값을 측정하여, 제1시간동안의 상기 가압센서의 압력값의 최소값이 제1특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전열기를 작동시키지 않아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이 압축 상태이고, 제1시간동안 상기 가압센서의 압력값의 최소값이 제1특정값 미만인 동시에 제1특정값보다 작은 제2특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전열기를 작동시켜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이 팽창 상태이고, 제1시간동안 상기 가압센서의 압력값의 최소값이 제1특정값 미만인 동시에 제2특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전열기를 작동시키지 않아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이 압축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지지 구조를 갖는 자세교정 밴드.
KR1020220168853A 2022-12-06 2022-12-06 척추를 정렬시킴으로써 자세교정이 개선되는 밴드 KR102538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853A KR102538232B1 (ko) 2022-12-06 2022-12-06 척추를 정렬시킴으로써 자세교정이 개선되는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853A KR102538232B1 (ko) 2022-12-06 2022-12-06 척추를 정렬시킴으로써 자세교정이 개선되는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232B1 true KR102538232B1 (ko) 2023-05-31

Family

ID=8654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853A KR102538232B1 (ko) 2022-12-06 2022-12-06 척추를 정렬시킴으로써 자세교정이 개선되는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2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710A (ja) * 2000-08-28 2002-03-05 Hiroaki Tsuji 腰痛サポーター
KR20120116264A (ko) 2011-04-12 2012-10-22 박성진 자세교정용 밴드
KR20160059130A (ko) * 2014-11-18 2016-05-26 서상구 허리 보호대용 의료기구
JP3204454U (ja) * 2016-03-15 2016-06-02 喜隆 小村 腰周り締付けベルト
WO2018101344A1 (ja) * 2016-11-30 2018-06-07 株式会社Poji 体幹サポータ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ウエア
KR102182208B1 (ko) 2020-04-08 2020-11-24 권서우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710A (ja) * 2000-08-28 2002-03-05 Hiroaki Tsuji 腰痛サポーター
KR20120116264A (ko) 2011-04-12 2012-10-22 박성진 자세교정용 밴드
KR20160059130A (ko) * 2014-11-18 2016-05-26 서상구 허리 보호대용 의료기구
JP3204454U (ja) * 2016-03-15 2016-06-02 喜隆 小村 腰周り締付けベルト
WO2018101344A1 (ja) * 2016-11-30 2018-06-07 株式会社Poji 体幹サポータ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ウエア
KR102182208B1 (ko) 2020-04-08 2020-11-24 권서우 이중 교정구조를 갖는 자세교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06486B (zh) 用于改善使用者姿势的装置
US55077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neck traction
KR102253097B1 (ko) 어깨 자세 교정장치
KR102538232B1 (ko) 척추를 정렬시킴으로써 자세교정이 개선되는 밴드
KR101852603B1 (ko) 허리 보호용 밸트
KR102376666B1 (ko) 허리 지지 교정벨트
CN102871786A (zh) 腰部和髋部用一体式束腰带
CN103402465B (zh) 颈部缓解装置及用于颈部缓解装置的帽子
KR20120116264A (ko) 자세교정용 밴드
JP4904416B2 (ja) シェイプアップ用下着
JP7365057B2 (ja) 姿勢矯正サポーター
CN211187687U (zh) 一种背部矫正装置
CN201542782U (zh) 一拉挺矫姿扩胸带
CN211704950U (zh) 一种仿生腰部辅助支撑穿戴装备
KR200279878Y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
RU2142244C1 (ru) Жилет, корректирующий осанку человека
JP3112564U (ja) 姿勢改善バンド
KR20130000452U (ko) 허리보호대
CN210044207U (zh) 穿戴式脊柱牵引器
JPH1071162A (ja) 腰痛の予防及び緩和用の腰バンド
KR102650500B1 (ko)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
CN209629302U (zh) 一种u型枕
CN211095037U (zh) 一种驼背矫正器
CN218303506U (zh) 适用于腰椎间盘突出症患者的病号服
CN2301184Y (zh) 保健矫姿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