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500B1 -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500B1
KR102650500B1 KR1020210111695A KR20210111695A KR102650500B1 KR 102650500 B1 KR102650500 B1 KR 102650500B1 KR 1020210111695 A KR1020210111695 A KR 1020210111695A KR 20210111695 A KR20210111695 A KR 20210111695A KR 102650500 B1 KR102650500 B1 KR 102650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arer
sides
area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9332A (ko
Inventor
한현정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11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5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9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6Corsets or girdles with 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2Elast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8Abdomin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12Component parts
    • A41C1/14Stays; Stee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는, 착용자의 상복부와 하복부 및 골반부의 전면을 감싸기 위한 전면원단; 상기 전면원단의 상단 양쪽에 각각 일체로 마련되는 브래지어부; 착용자의 등과 허리 및 둔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허리의 굽힘이 자유롭도록 가로 방향으로 제1 트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원단의 양쪽 가장자리와 재봉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면원단과 함께 착용자의 하체 일부와 상체 일부를 감싸기 위한 배면원단; 및 상기 전면원단과 배면원단의 양쪽 상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어깨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면원단에는, 착용자의 등 영역을 감싸는 등 지지원단; 상기 등 지지원단의 상부 양쪽에서 연장되어 양쪽 어깨에 착용하기 위한 한 쌍의 제2 어깨 착용부; 및 상기 등 지지원단과 상기 제2 어깨 착용부로부터 양쪽 전방으로 연장되어 양쪽 겨드랑이와 옆구리를 감싸면서 밑가슴 영역에서 서로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자세와 체형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G한다.

Description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BODY SHAPER FOR POSTURE CORRECTION}
본 발명은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성이 속옷 대신 착용하여 척수 후만증을 개선할 수 있고, 골반을 교정하여 바른 체형을 유지할 수 있는 체형 교정효과가 우수한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잘못된 자세는 척추 질환뿐만 아니라 체형 변화를 야기한다. 대표적으로 거북 목, 굽은 등, 휜 다리 등의 체형변화는 잘못된 자세로 인하여 발생한다. 또한 잘못된 자세로 인하여 비만까지 초래하는데 체형교정은 사후 교정이 매우 까다롭고 복잡하기 때문에 사전 예방이 최우선되어야 한다.
한편, 척추질환에 문제가 있는 시니어층(senior : 고령자)층은 비싼 수술비 때문에 주저하거나 포기하고 살았으나, 최근에는 시니어층의 경제력 증가로 적극 치료 및 보존 예방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일상형 자세교정 제품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여성 시니어 계층에서 수요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여성은 여성호르몬 때문에 허리 근육이 약하고 골다공증이 많기 때문이며 출산도 척추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요인이고, 퇴행성 척추 후만증은 나이 들면서 허리가 앞으로 구부러져 등이 튀어나온 상태를 말하며 허리뼈의 디스크가 변성되고 허리를 뒤로 젖히는 근육(요추 신전근)이 약해져 점점 앞으로 기우는 증상이다.
현대의 시니어들은 이러한 질병 치료 이외, 미적인 외형에도 관심이 높아, 치료와 예방이 되며 미적인 체형 보정(군살보정, 신체보정으로 인한 등신지수 상승, 동안체형, 가슴사이즈 확대 등)이 이루어지는 보정속옷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다.
이러한 보정 속옷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3718호(공고일 : 2014.07.25)에는 보정속옷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보정속옷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의 대부분을 커버하는 베이스 원단(26)과, 상기 베이스 원단(26)에 연결된 전면 좌측 및 우측 탄성부재(16,18)와, 상기 베이스 원단(26)에 연결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탄성부재(16,18) 보다 탄성력이 큰 좌측 및 우측 파워네트 안감(40,50)와, 상기 베이스 원단(26)은, 등원단부(11), 좌측 및 우측 어깨부(12,14), 좌측 및 우측 가슴부(13,15), 복부부(17) 및, 골반부(20)를 구비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파워네트 안감(40,50)은, 상기 등원단부(11)를 가로질러 어깨의 삼각근 부분부터 등부분을 감싸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어깨부(12,14)는 착용자의 삼각근을 감싸도록 일정한 경사를 갖고 일 단이 상기 등원단부(11)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슴부(13,15)와 연결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보정속옷은,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어깨 눌림 현상이나 어깨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보정속옷은 착용성을 강조함으로써 체형 보정 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3718호(공고일 : 2014.07.25)
본 발명의 목적은, 여성이 속옷 대신 착용하여 체형 보정과 자세교정을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착용자의 상복부와 하복부 및 골반부의 전면을 감싸기 위한 전면원단; 상기 전면원단의 상단 양쪽에 각각 일체로 마련되는 브래지어부; 착용자의 등과 허리 및 둔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허리의 굽힘이 자유롭도록 가로 방향으로 제1 트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원단의 양쪽 가장자리와 재봉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면원단과 함께 착용자의 하체 일부와 상체 일부를 감싸기 위한 배면원단; 및 상기 전면원단과 배면원단의 양쪽 상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어깨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면원단에는, 착용자의 등 영역을 감싸는 등 지지원단; 상기 등 지지원단의 상부 양쪽에서 연장되어 양쪽 어깨에 착용하기 위한 한 쌍의 제2 어깨 착용부; 및 상기 등 지지원단과 상기 제2 어깨 착용부로부터 양쪽 전방으로 연장되어 양쪽 겨드랑이와 옆구리를 감싸면서 밑가슴 영역에서 서로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자세와 체형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등 지지원단의 상단 중앙 영역과 하단 중앙 영역이 상기 배면원단의 상단 중앙과 하단 중앙에 재봉되어 일체화되거나, 부착수단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등 지지원단은, 착용자의 양쪽 견갑골을 제외한 등 상부영역을 감싸기 위한 'X'형 상부 밴드부; 및 착용자의 등 하부영역을 감싸기 위한 하부 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밴드부와 하부 밴드부는, 착용자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분할되어 제2 트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후크와 고리들을 구비하고, 5 - 15cm의 폭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밑가슴 영역과 상복부를 감싸면서 서로 체결되도록 구성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면원단에 등 지지원단과 제2 어깨 착용부 및 체결부로 이루어진 교정부재가 마련 됨으로써 여성이 속옷 대신 착용하는 것만으로 체형 보정과 자세교정이 동시에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등 지지원단에 양쪽의 견갑골을 제외한 부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X'형 상부 밴드부가 구비됨으로써 거북목을 교정하고 어깨를 양쪽으로 펼쳐 바른 체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면원단과 후면원단으로 허리와 둔부 및 복부를 압박함으로써 척추 후만증과 골반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면원단과 등 지지원단에 트임부가 형성됨으로써 착용자가 바디 쉐이퍼를 착용한 상태로 허리나 등을 굽히는 동작을 불편함이 없이 활동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디 쉐이퍼를 착용하고 교정부재를 체결하게 되면 전면원단과 배면원단으로 골반과 허리 및 복부를 감싸고, 체결부가 밑가슴을 상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힙업은 물론 바스트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허리둘레의 치수 감소 효과와 군살 보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바디 쉐이퍼는 착용이 용이하고 속옷의 기능과 자세 및 체형 보정의 기능을 갖음으로써 사용자의 착용성 및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세 보정이 필요한 대상자들(시니어 층)의 착용 순응도를 높여 자세교정, 척추질환, 체형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심미적 체형보정(군살제거, 노인성 척추후만증 개선, 등신지수 향상 등)등의 요소가 반영되어 시니어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보정속옷을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를 분해하여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 및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의 결합상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교정부재가 결합수단에 의해 배면원단에 탈부착되는 상태를 표현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를 분해하여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 및 정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의 결합상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100)는, 착용자의 상복부와 하복부 및 골반부의 전면을 감싸기 위한 전면원단(110)과, 전면원단(110)의 상단 양쪽에 각각 일체로 마련되는 브래지어부(120)와, 착용자의 등과 허리 및 둔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허리의 굽힘이 자유롭도록 가로 방향으로 제1 트임부(132)가 형성되며 전면원단(110)의 양쪽 가장자리와 재봉으로 연결되어 전면원단(110)과 함께 착용자의 하체 일부와 상체 일부를 감싸기 위한 배면원단(130)과, 전면원단(110)과 배면원단(130)의 양쪽 상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어깨 착용부(140)로 이루어진 본체와, 본체의 배면원단(13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착용자의 자세와 체형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바디 쉐이퍼(100)의 본체를 구성하는 전면원단(110)은, 바디 쉐이퍼(100)의 전면을 이루는 것으로, 착용자의 상복부와 하복부 및 골반부의 전면을 감싸기 위한 것이며, 신축성이 있는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1이나 2겹 또는 부위에 따라 다중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패턴을 연결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브래지어부(120)는, 전면원단(110)의 상단 양쪽에 각각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다.
본체의 배면을 구성하는 배면원단(130)은, 착용자의 등과 허리 및 둔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허리의 굽힘이 자유롭도록 가로 방향으로 제1 트임부(132)가 형성되며, 전술한 전면원단(110)의 양쪽 가장자리와 재봉으로 연결되어 전면원단(110)과 함께 착용자의 하체 일부와 상체 일부를 감싸기 위한 것이다. 배면원단(130)은 착용자의 등을 감싸는 상부원단(130A)과 허리 및 둔부를 감싸는 하부원단(130B)으로 이루어지고, 제1 트임부(132)에 의해 상,하부로 분리된 구조를 갖는다. 배면원단(130)에 제1 트임부(132)가 형성됨으로써, 착용자가 바디 쉐이퍼(100)를 착용하고 허리를 숙이더라도 하부원단(130B)이 딸려 올라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어서 착용자의 활동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
제1 어깨 착용부(140)는, 전면원단(110)과 배면원단(130)의 양쪽 상단부를 연결하여 착용자가 바디 쉐이퍼(100)를 어깨에 착용하기 위한 것이다.
교정부재(200)는, 본체의 배면원단(13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디 쉐이퍼(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추가로 착용하여 착용자의 자세와 체형을 교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교정부재(200)는, 착용자의 등 영역을 감싸는 등 지지원단(210)과, 등 지지원단(210)의 상부 양쪽에서 연장되어 양쪽 어깨에 착용하기 위한 한 쌍의 제2 어깨 착용부(220)와, 등 지지원단(210)과 제2 어깨 착용부(220)로부터 양쪽 전방으로 연장되어 양쪽 겨드랑이와 옆구리를 감싸면서 밑가슴 영역에서 서로 체결되는 체결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등 지지원단(210)은, 착용자의 양쪽 견갑골을 제외한 등 상부영역을 감싸기 위한 'X'형 상부 밴드부(212)와 착용자의 등 하부영역을 감싸기 위한 하부 밴드부(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밴드부(212)와 하부 밴드부(214)는 착용자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분할되어 상부 밴드부(212)와 하부 밴드부(214) 사이에 제2 트임부(215)가 형성된다.
'X'형 상부 밴드부(212)는, 가장 많은 움직임이 발생하는 어깨의 견갑골을 감싸지 않도록 'X'형으로 구성되어 양쪽에 견갑골 회피부(216)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깨의 움직임시 견갑골이 회피부(216)로 회피되므로 견갑골을 압박하지 않게 되어 불편함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등 지지원단(210)이 상부 밴드부(212)와 하부 밴드부(214)로 분할되어 그 사이에 제2 트임부(215)가 형성됨으로써 착용자가 교정부재(200)를 착용한 후 등을 굽히는 등의 활동을 하더라도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교정부재(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원단(130)에 재봉 등을 포함한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화된다. 즉, 등 지지원단(210)의 상단 중앙 영역이 배면원단(130)의 상단 중앙에 재봉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교정부재(200)가 배면원단(130)에 결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바디 쉐이퍼(100)의 본체와 교정부재(200)를 동시에 착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부재(200)는, 벨크로 테이프, 똑딱이 단추, 단추, 클립 등 등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250)에 의해 배면원단(13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즉, 등 지지원단(210)의 상부 밴드부(212) 상단 중앙 영역이 결합수단(250)에 의해 배면원단(130)의 상단 중앙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등 지지원단(210)의 하부 밴드부(214) 하단 중앙 영역이 결합수단(250)에 의해 배면원단(130)의 하단 중앙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교정부재(200)를 결합수단(250)을 이용하여 배면원단(130)에 탈부착시킬 수 있음으로써 교정부재(200)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교정부재(200)의 가압 체결부(230)는, 좌측 체결부(232)와 우측 체결부(234)으로 구성되고, 좌측 체결부(232)와 우측 체결부(234)의 상,하부 방향의 폭은 대략 5-15cm의 넓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좌측 체결부(232)와 우측 체결부(234)가 5-15cm의 넓이의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좌측 체결부(232)와 우측 체결부(234)를 체결하여 결합하면 착용자의 상복부와 밑가슴을 안정적으로 감싸 압박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체결부(232)에는 후크가 구비되고, 우측 체결부(234)에는 후크가 걸리기 위한 고리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반대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크와 고리는 다수개가 1조를 이루어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이러한 후크와 고리는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여러줄로 마련된다. 이는 좌측 체결부(232)와 우측 체결부(234)로 상복부와 밑가슴을 압박하는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용 바디쉐이퍼(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100)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본체의 제1 어깨 착용부(140)를 착용자의 양쪽 어깨에 걸쳐 착용한다.
본체를 착용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원단(110)과 배면원단(130)이 착용자의 하복부와 둔부(골반), 옆구리, 허리 및 상복부를 감싸면서 압박한다. 전면원단(110)과 배면원단(130)이 착용자의 상,하 복부와 둔부, 허리 및 옆구리를 감싸면서 압박하므로 힙업이 이루질 수 있고, 옆구리와 하복부의 군살이 한쪽으로 쏠리거나 쳐지지 않고 균일하게 퍼지게 되어 군살 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배면원단(130)의 중간부가 가로 방향으로 절개(또는 분할)되어 제1 트임부(132)가 형성됨으로써 착용자가 허리를 굽히는 등의 활동시 둔부를 감싸는 배면원단(130)의 하부영역이 상부로 딸려 올라가는 현상이 방지되어 착용자에게 원활한 활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본체의 착용이 완료되면, 배면원단(130)에 일체화된 교정부재(200)를 착용한다.
이를 위해서는 양쪽의 제2 어깨 착용부(220)를 양쪽 어깨에 착용한 후 체결부(230)의 좌측 체결부(232)와 우측 체결부(234)를 밑가슴 쪽으로 당겨 후크를 고리에 걸어 고정한다. 이때, 착용자의 체형 및 원하는 압박 강도에 따라 후크와 고리의 체결위치를 변경한다.
본체가 착용된 상태에서 교정부재(200)를 착용하게 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부재(200)의 "X"형 상부 밴드부(210)에 의해 양쪽 어깨가 펼쳐지면서 경추가 뒤로 당겨지게 되어 거북목이 교정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체결부(232)와 우측 체결부(234)가 체결되면서 겨드랑이 밑영역을 압박하면서 감싸고 상복부와 가슴밑을 압박하게 되므로 겨드랑이 밑영역의 군살이 처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가슴이 업되고 복부의 처진 군살이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교정부재(200)를 구비한 바디 쉐이퍼(100)를 속옷 대용으로 착용함으로써 체형 보정과 자세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X'형 상부 밴드부(212)가 착용자의 양쪽 어깨를 후방으로 당기고 체결부(230)가 밑가슴을 압박함으로써 착용자의 거북목이 교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른 체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바디 쉐이퍼 110 : 전면원단
120 : 브래지어부 130 : 배면원단
140 : 제1 어깨 착용부 200 : 교정부재
210 : 등 지지원단 212 : 상부 밴드부
214 : 하부 밴드부 230 : 체결부
232 : 좌측 체결부 234 : 우측 체결부
250 : 결합부재

Claims (5)

  1. 착용자의 상복부와 하복부 및 골반부의 전면을 감싸기 위한 전면원단; 상기 전면원단의 상단 양쪽에 각각 일체로 마련되는 브래지어부; 착용자의 등과 허리 및 둔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허리의 굽힘이 자유롭도록 가로 방향으로 제1 트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원단의 양쪽 가장자리와 재봉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면원단과 함께 착용자의 하체 일부와 상체 일부를 감싸기 위한 배면원단; 및 상기 전면원단과 배면원단의 양쪽 상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어깨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면원단에는,
    착용자의 등 영역을 감싸는 등 지지원단; 상기 등 지지원단의 상부 양쪽에서 연장되어 양쪽 어깨에 착용하기 위한 한 쌍의 제2 어깨 착용부; 및 상기 등 지지원단과 상기 제2 어깨 착용부로부터 양쪽 전방으로 연장되어 양쪽 겨드랑이와 옆구리를 감싸면서 밑가슴 영역에서 서로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자세와 체형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등 지지원단은,
    착용자의 양쪽 견갑골을 제외한 등 상부영역을 감싸기 위한 'X'형 상부 밴드부; 및 착용자의 등 하부영역을 감싸기 위한 하부 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밴드부와 하부 밴드부는 착용자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분할되어 상기 상부 밴드부와 하부 밴드부 사이에 제2 트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재는,
    상기 등 지지원단의 상단 중앙 영역과 하단 중앙 영역이 상기 배면원단의 상단 중앙과 하단 중앙에 재봉되어 일체화되거나, 부착수단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후크와 고리들을 구비하고, 5-15cm의 폭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밑가슴 영역과 상복부를 감싸면서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
KR1020210111695A 2021-08-24 2021-08-24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 KR102650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695A KR102650500B1 (ko) 2021-08-24 2021-08-24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695A KR102650500B1 (ko) 2021-08-24 2021-08-24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332A KR20230029332A (ko) 2023-03-03
KR102650500B1 true KR102650500B1 (ko) 2024-03-21

Family

ID=8551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695A KR102650500B1 (ko) 2021-08-24 2021-08-24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50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670B2 (ja) 1992-01-07 2000-12-11 株式会社シマノ ガイド着脱構造とその製造方法
JP3185546B2 (ja) * 1994-06-24 2001-07-11 株式会社明電舎 フォークリフトの昇降制御装置
JP2002129406A (ja) 2000-10-17 2002-05-09 Senko Shoji Kk ボディースーツ
JP2010094328A (ja) * 2008-10-17 2010-04-30 Kyoto Seni Kogyo:Kk 姿勢矯正装着具
KR101825403B1 (ko) 2016-08-17 2018-02-08 오경순 기능성 보정속옷
WO2019060241A1 (en) 2017-09-19 2019-03-28 lululemon athletica canada, inc. PRESSURE DISTRIBUTION UNDERWEAR WITH FASTENING SYSTEM
KR200493255Y1 (ko) * 2020-07-21 2021-03-02 (주)마스터피스 교정밴드를 구비한 체형 보정용 속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987A (ko) * 2002-07-31 2004-01-31 한상선 기능성 속옷
JP3115670U (ja) * 2005-08-11 2005-11-10 株式会社ルシアン バスト補整機能を備えた成型編みインナー
KR200473718Y1 (ko) 2012-12-24 2014-07-25 박정민 보정 속옷
JP3185546U (ja) * 2013-06-10 2013-08-22 株式会社新和 姿勢矯正具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670B2 (ja) 1992-01-07 2000-12-11 株式会社シマノ ガイド着脱構造とその製造方法
JP3185546B2 (ja) * 1994-06-24 2001-07-11 株式会社明電舎 フォークリフトの昇降制御装置
JP2002129406A (ja) 2000-10-17 2002-05-09 Senko Shoji Kk ボディースーツ
JP2010094328A (ja) * 2008-10-17 2010-04-30 Kyoto Seni Kogyo:Kk 姿勢矯正装着具
KR101825403B1 (ko) 2016-08-17 2018-02-08 오경순 기능성 보정속옷
WO2019060241A1 (en) 2017-09-19 2019-03-28 lululemon athletica canada, inc. PRESSURE DISTRIBUTION UNDERWEAR WITH FASTENING SYSTEM
KR200493255Y1 (ko) * 2020-07-21 2021-03-02 (주)마스터피스 교정밴드를 구비한 체형 보정용 속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332A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869B1 (ko) 기능성 브래지어
CN110638117B (zh) 适于进行体育运动的胸罩
US4538614A (en) Athletic garment
US7001240B1 (en) Brassieres
US20120078149A1 (en) Orthopedic Posture Brace
CN103906486B (zh) 用于改善使用者姿势的装置
KR200493255Y1 (ko) 교정밴드를 구비한 체형 보정용 속옷
US9615616B2 (en) Surgical convertible bra
US6537132B1 (en) Maternity brace
US20070037483A1 (en) Maternity belt
KR102167617B1 (ko) 자세교정벨트
KR20040093367A (ko) 컵이 있는 여성용 의류
JP2583476B2 (ja) ボディスーツ
KR102650500B1 (ko) 자세 교정용 바디 쉐이퍼
JP2875521B2 (ja) ボディシェイパー
JP5080672B1 (ja) 女性用姿勢矯正下着
JPH0975383A (ja) 姿勢矯正方法
CN113226227A (zh) 姿势矫正器具
JP2002235207A (ja) ハイウエストガードル
JP2905463B2 (ja) ウェストニッパー
CN213961823U (zh) 一种新型腰夹
JP4388003B2 (ja) カップ部を有する女性用下着
KR200366655Y1 (ko) 바디 슈츠
CN218515847U (zh) 一种用于矫正儿童坐姿的保健腹带
KR20120002087U (ko) 몸매 및 자세교정 란제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