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626B1 - 테일 게이트 윙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일 게이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테일 게이트 윙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일 게이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626B1
KR102181626B1 KR1020130164366A KR20130164366A KR102181626B1 KR 102181626 B1 KR102181626 B1 KR 102181626B1 KR 1020130164366 A KR1020130164366 A KR 1020130164366A KR 20130164366 A KR20130164366 A KR 20130164366A KR 102181626 B1 KR102181626 B1 KR 10218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 gate
vehicle
winglet
spoiler
inn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930A (ko
Inventor
권오진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626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테일 게이트 윙렛은 차량에서 테일 게이트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내부 패널들 및 상기 내부 패널들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테일 게이트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차량의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한 외부 패널들을 포함한다. 상기 윙렛이 상기 공기 저항을 줄이므로, 상기 차량의 주행 및 연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테일 게이트 윙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일 게이트 구조물{Tale gate winglet and tale gate structure having the winglet}
본 발명은 테일 게이트 윙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일 게이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또는 왜건 등의 해치백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구비되는 테일 게이트 윙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일 게이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 공기가 차체를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차량의 후미에서 소용돌이가 발생한다. 상기 소용돌이에 의해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력이 생긴다. 상기 반력에 의해서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가 저하되고, 그로 인해 연료의 소비가 가중됨으로써 주행 및 연료소비의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의 상측 후단이나 리어 게이트의 상부에 유선형의 스포일러를 장착한다. 상기 차량이 주행할 때 공기가 상기 차량의 스포일러를 따라 부드럽게 지나게 되므로 상기 공기의 소용돌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가 지나면서 상기 스포일러를 내리 누르게 되므로, 상기 차량의 접지력을 향상시켜 핸들링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포일러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상면을 지나는 공기에 의한 소용돌이는 방지가 가능하지만, 상기 차량의 측면을 지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차량의 후미에서 발생하는 소용돌이를 방지하기 어렵다. 상기 차량의 상면을 지나는 공기에 의한 소용돌이보다는 작지만, 상기 차량의 측면을 지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한 소용돌이에 의해서도 반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가 저하되고, 그로 인해 연료의 소비가 가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을 지나는 공기에 의한 소용돌이를 방지하기 위한 테일 게이트 윙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테일 게이트 윙렛을 포함하는 테일 게이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윙렛은 차량에서 테일 게이트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내부 패널들 및 상기 내부 패널들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테일 게이트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차량의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한 외부 패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외부 패널들은 상기 테일 게이트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비된 스포일러와 접촉하며 상기 스포일러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테일 게이트 윙렛은 상기 내부 패널의 상단, 상기 스포일러 및 상기 테일 게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제1 볼트와, 상기 내부 패널의 중단 및 상기 테일 게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클립 및 상기 내부 패널의 하단 및 상기 테일 게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제2 볼트로 이루어지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구조물은 차량의 후방을 개폐하기 위한 테일 게이트와, 상기 테일 게이트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차량을 하향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스포일러 및 상기 테일 게이트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한 윙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윙렛 및 테일 게이트 구조물은 테일 게이트의 양 측면에 윙렛을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측면을 지나는 공기에 의한 소용돌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용돌이로 인한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저하 및 연료 소비 증가를 방지하여 주행 및 연료소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윙렛은 두 개의 볼트와 하나의 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테일 게이트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윙렛의 장착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윙렛은 상기 테일 게이트에 구비된 스포일러와 접촉하면서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윙렛과 상기 스포일러 사이의 갭과 단차를 개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갭으로 공기가 지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테일 게이트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 게이트 윙렛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 윙렛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 윙렛을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 윙렛을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 윙렛을 C-C'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 윙렛을 D-D'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 게이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 게이트 윙렛 및 이를 갖는 테일 게이트 구조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 게이트 윙렛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 윙렛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 윙렛을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 윙렛을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 윙렛을 C-C'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 윙렛을 D-D'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테일 게이트 윙렛(100)은 차량의 테일 게이트(10)의 외측면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차량은 일반적인 차량이거나,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왜건(wagon) 등의 해치백(hatch-back) 차량일 수도 있다. 테일 게이트(10)의 중앙 부위에는 후면 글래스(20)가 구비되고, 테일 게이트(20)의 외측면 상부에는 스포일러(30)가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테일 게이트 윙렛(100)은 후면 글래스(20)의 양측면을 지지하면서 스포일러(30)의 양단과 각각 접촉할 수 있다.
테일 게이트 윙렛(100)은 내부 패널(110), 외부 패널(120) 및 체결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패널(110)은 한 쌍이 구비되며, 테일 게이트(1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내부 패널(110)은 대략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이때, 내부 패널(110)들은 후면 글래스(20)의 양 단부와 각각 접촉한다. 또한, 내부 패널(110)들의 상단부는 스포일러(30)의 양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외부 패널(120)도 한 쌍이 구비되며, 내부 패널(110)과 마찬가지로 대략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형태를 갖는다. 외부 패널(120)들은 내부 패널(110)과 각각 결합한다.
예를 들면, 외부 패널(120)들과 내부 패널(110)들은 각각 돌기 및 홈(미도시)을 가지며, 상기 돌기들이 상기 홈에 끼워짐으로써 외부 패널(120)들이 내부 패널(110)들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외부 패널(120)들은 내부 패널(110)들은 나사(미도시)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패널(120)들은 내부 패널(110)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외부 패널(120)들은 테일 게이트(10)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형상은 유선형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공기가 상기 차량의 측면을 지나 유선형의 외부 패널(120)을 따라 흐른다. 그러므로, 상기 차량의 측면을 지나는 공기에 의한 소용돌이 발생을 방지하여 상기 차량의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차량의 공기 저항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저하 및 연료 소비 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차량의 주행 및 연료소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외부 패널(120)들의 높이는 스포일러(30)의 높이와 같을 수 있다. 내부 패널(110)들의 상단부가 스포일러(30)의 양 단부와 접촉하므로, 내부 패널(110)들과 결합하는 외부 패널(120)들의 상단부도 스포일러(30)의 양단부와 접촉한다. 따라서, 외부 패널(120)들의 상단부는 스포일러(30)와 동일한 높이로 스포일러(30)에 밀착된다. 그러므로, 외부 패널(120)들은 스포일러(30)와 단차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패널(120)들은 스포일러(30)의 갭없이 밀착할 수 있으므로, 외적인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체결 부재(130)는 내부 패널(110)들을 테일 게이트(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볼트(132), 클립(134) 및 제2 볼트(136)를 포함한다.
제1 볼트(132)는 내부 패널(110)의 상단, 스포일러(30) 및 테일 게이트(10)를 체결한다. 구체적으로, 내부 패널(110)의 상단과 테일 게이트(10) 사이에 스포일러(30)가 위치한 상태에서 테일 게이트(10)의 배면으로부터 제1 볼트(132)를 체결한다. 따라서, 내부 패널(110)의 상단이 테일 게이트(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볼트(132)가 스포일러(30)와도 체결되므로, 스포일러(30)의 고정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클립(134)은 내부 패널(110)의 중단과 테일 게이트(10)를 체결한다. 구체적으로, 클립(134)은 내부 패널(110)의 중단 배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테일 게이트(10)의 삽입홀에 삽입된다. 클립(134)은 걸림턱을 가지며, 클립(134)이 삽입홀에 삽입된 후 상기 걸림턱이 상기 삽입홀에 걸리면서 내부 패널(110)이 테일 게이트(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볼트(136)는 내부 패널(110)의 하단과 테일 게이트(10)를 체결한다. 구체적으로, 내부 패널(110)의 하단과 테일 게이트(10)를 접촉한 상태에서 테일 게이트(10)의 배면으로부터 제2 볼트(132)를 체결한다. 따라서, 내부 패널(110)의 하단이 테일 게이트(10)에 고정될 수 있다.
내부 패널(110)이 체결 부재(130)에 의해 상단, 중단 및 하단의 세 지점이 테일 게이트(10)와 체결되므로, 내부 패널(110)이 단단하게 테일 게이트(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패널(110)과 결합하는 외부 패널(120)도 테일 게이트(10)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내부 패널(110)은 후면 글래스(20)의 양 측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테일 게이트(10)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내부 패널(110)은 테일 게이트(10)에 장착된 후면 글래스(20)를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테일 게이트 윙렛(100)의 조립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내부 패널(110)의 중단 배면에 돌출된 클립(134)을 테일 게이트(10)의 삽입홀에 삽입하여 내부 패널(110)을 테일 게이트(10)에 일차로 고정한다.
다음으로, 제1 볼트(132)를 테일 게이트(10)의 배면으로부터 테일 게이트(10), 스포일러(30) 및 내부 패널(110)의 상단을 관통하도록 체결한다. 따라서, 내부 패널(110)을 테일 게이트(10)에 이차로 고정한다.
이후, 제2 볼트(136)를 테일 게이트(10)의 배면으로부터 테일 게이트(10) 및 내부 패널(110)의 하단을 관통하도록 체결한다. 따라서, 내부 패널(110)을 테일 게이트(10)에 삼차로 고정한다.
제1 볼트(132), 클립(134) 및 제2 볼트(136)로 이루어진 체결 부재(130)에 의해 내부 패널(110)이 테일 게이트(10)에 고정되면, 외부 패널(120)을 내부 패널(110)에 결합함으로써 테일 게이트 윙렛(100)의 조립을 완료한다.
한편, 외부 패널(120)이 내부 패널(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외부 패널(120)을 내부 패널(110)에 결합하는 과정을 생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 게이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테일 게이트 구조물(200)은 테일 게이트(210), 스포일러(220) 및 윙렛(230)을 포함한다.
테일 게이트(210)는 차량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후면을 개폐한다. 상기 차량의 예로는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또는 왜건 등의 해치백 차량을 들 수 있다.
테일 게이트(210)는 중앙 부위에 후면 글래스(212)를 갖는다. 후면 글래스(212)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룸미러를 통해 상기 차량의 후방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하다.
스포일러(220)는 테일 게이트(210)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비된다. 스포일러(220)는 테일 게이트(210)로부터 유선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포일러(220)는 상기 차량이 주행할 때 상기 차량의 상면을 지나는 공기가 테일 게이트(210)에서 소용돌이 없이 부드럽게 지나도록 한다. 스포일러(220)가 상기 차량 상면을 지나는 공기의 소용돌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소용돌이에 의한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저하 및 연료의 소비 증가를 방지하여 주행 및 연료소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상면을 지나는 공기가 스포일러(220)를 내리 누르게 되다. 따라서, 스포일러(220)는 상기 차량을 하향시키는 힘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스포일러(220)는 상기 차량의 접지력을 향상시켜 핸들링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윙렛(230)은 테일 게이트(210)의 양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윙렛(230)은 스포일러(220)의 양단과 밀착되며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윙렛(230)은 내부 패널, 외부 패널 및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패널, 외부 패널 및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윙렛(2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 윙렛(100)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윙렛(230)은 상기 차량의 측면을 지나는 공기에 의한 소용돌이 발생을 방지하여 상기 차량의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차량의 공기 저항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저하 및 연료 소비 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차량의 주행 및 연료소비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윙렛(230)은 두 개의 볼트와 하나의 클립으로 이루어진 체결 부재에 의해 테일 게이트(2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윙렛(230)의 장착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윙렛(230)은 스포일러(220)와 접촉하면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므로, 윙렛(230)과 스포일러(220) 사이의 갭과 단차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갭으로 공기가 지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테일 게이트 구조물(200)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윙렛 및 이를 갖는 테일 게이트 구조물은 상기 윙렛을 이용하여 차량의 측면을 지나는 공기에 의한 소용돌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스포일러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상면을 지나는 공기에 의한 소용돌이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용돌이로 인한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 저하 및 연료 소비 증가를 방지하여 주행 및 연료소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상면을 지나는 공기가 상기 스포일러를 내리 누르게 되므로, 상기 스포일러는 상기 차량을 하향시키는 힘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차량의 접지력을 향상시켜 핸들링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30 : 윙렛 110 : 내부 패널
120 : 외부 패널 130 : 체결 부재
132 : 제1 볼트 134 : 클립
136 : 제2 볼트 200 : 테일 게이트 구조물
10, 210 : 테일 게이트 20, 212 : 글래스
30, 220 : 스포일러

Claims (4)

  1. 차량에서 테일 게이트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내부 패널들; 및
    상기 내부 패널들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테일 게이트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차량의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한 외부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패널들은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착된 후면 글래스의 양측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 윙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패널들은 상기 테일 게이트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비된 스포일러와 접촉하며 상기 스포일러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 윙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패널의 상단, 상기 스포일러 및 상기 테일 게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제1 볼트;
    상기 내부 패널의 중단 및 상기 테일 게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클립; 및
    상기 내부 패널의 하단 및 상기 테일 게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제2 볼트로 이루어지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패널의 조립시 상기 클립으로 상기 내부 패널의 중단을 상기 테일 게이트에 일차로 고정하고, 상기 제1 볼트로 상기 내부 패널의 상단을 상기 스포일러 및 상기 테일 게이트에 이차로 고정하고, 상기 제2 볼트로 상기 내부 패널의 하단을 상기 테일 게이트에 삼차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 윙렛.
  4. 차량의 후방을 개폐하기 위한 테일 게이트;
    상기 테일 게이트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차량을 하향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스포일러; 및
    상기 테일 게이트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한 윙렛을 포함하고,
    상기 윙렛은,
    상기 테일 게이트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내부 패널들; 및
    상기 내부 패널들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테일 게이트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차량의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한 외부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패널들은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착된 후면 글래스의 양측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 구조물.
KR1020130164366A 2013-12-26 2013-12-26 테일 게이트 윙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일 게이트 구조물 KR102181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366A KR102181626B1 (ko) 2013-12-26 2013-12-26 테일 게이트 윙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일 게이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366A KR102181626B1 (ko) 2013-12-26 2013-12-26 테일 게이트 윙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일 게이트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930A KR20150075930A (ko) 2015-07-06
KR102181626B1 true KR102181626B1 (ko) 2020-11-23

Family

ID=53788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366A KR102181626B1 (ko) 2013-12-26 2013-12-26 테일 게이트 윙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일 게이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6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1730A (ja) 2002-04-02 2003-10-15 Mamoru Furuichi リアスポイラー一体型の車両等後方部安全確認ミラー
JP2005247124A (ja) * 2004-03-04 2005-09-15 Nissan Motor Co Ltd 車体後部構造
JP2008087544A (ja) 2006-09-29 2008-04-17 Toyota Motor Corp 空気抵抗低減装置
JP2012254677A (ja) 2011-06-07 2012-12-27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後部構造
KR101302229B1 (ko) 2006-10-16 2013-09-02 (주)엘지하우시스 에어스포일러 일체형 플라스틱 재질의 자동차용 윈도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9847A (ja) * 1995-07-26 1997-02-10 Aichi Mach Ind Co Ltd バックドアスポイラーの取付構造
JPH11115830A (ja) * 1997-10-16 1999-04-27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空気抵抗低減装置
KR100320820B1 (ko) * 1999-12-28 2002-01-18 이계안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트림부재의 장착구조
KR20090044183A (ko) * 2007-10-31 2009-05-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테일게이트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1730A (ja) 2002-04-02 2003-10-15 Mamoru Furuichi リアスポイラー一体型の車両等後方部安全確認ミラー
JP2005247124A (ja) * 2004-03-04 2005-09-15 Nissan Motor Co Ltd 車体後部構造
JP2008087544A (ja) 2006-09-29 2008-04-17 Toyota Motor Corp 空気抵抗低減装置
KR101302229B1 (ko) 2006-10-16 2013-09-02 (주)엘지하우시스 에어스포일러 일체형 플라스틱 재질의 자동차용 윈도우
JP2012254677A (ja) 2011-06-07 2012-12-27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後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930A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6570B2 (en) Upper-body frame for vehicle
CN103582592A (zh) 车辆的后部结构
JP2018131082A (ja) 車両用ドアの外装構造
KR20090044183A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구조
CN206049828U (zh) 扰流板和车辆
KR102181626B1 (ko) 테일 게이트 윙렛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일 게이트 구조물
JP2009196435A (ja) リヤスポイラー構造
CN106143633B (zh) 车身侧围b柱连接结构
CN2834981Y (zh) 汽车车门外夹条总成
CN107933696A (zh) 前车身框式结构及汽车
CN203832571U (zh) 一种整体注塑中柱板
KR101985799B1 (ko) 마운팅 클립구조
KR101240707B1 (ko) 자동차용 부시 스토퍼 결합구조
CN209479585U (zh) 一种车门卡位结构
JP4955927B2 (ja) 車両用整流装置
JP2019026035A (ja) 車両のバックドア構造
CN204527315U (zh) 车架及车辆
CN202764897U (zh) 汽车后保险杠安装结构
CN210798608U (zh) 一种汽车玻璃升降器用前主导轨
CN203666405U (zh) 汽车仪表板本体中部支架
CN106005027B (zh) 车身骨架侧围总成
CN107379931A (zh) 车窗b柱辊压窗框、b柱辊压窗框总成和车辆侧门
CN209650211U (zh) 一种汽车用耐磨便于安装橡胶件
CN202623913U (zh) 汽车散热器立柱加强板
CN208344345U (zh) 车辆的顶部横梁组件和具有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