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166B1 -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166B1
KR102181166B1 KR1020187035222A KR20187035222A KR102181166B1 KR 102181166 B1 KR102181166 B1 KR 102181166B1 KR 1020187035222 A KR1020187035222 A KR 1020187035222A KR 20187035222 A KR20187035222 A KR 20187035222A KR 102181166 B1 KR102181166 B1 KR 102181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vehicle
wheels
drive uni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338A (ko
Inventor
푸진
Original Assignee
테크노로지스 재너두 래저너터리-소라-시스템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노로지스 재너두 래저너터리-소라-시스템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테크노로지스 재너두 래저너터리-소라-시스템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04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62D23/005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with integrated chassis in the whole shell, e.g. meshwork, tub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comprising more than one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60N2/012The seat support being a part of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25Mod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에 있어서, 섀시(10),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33,34), 및 복수의 서스펜션 시스템(71, 71)을 포함한다. 섀시(10)는, 섀시 본체(13)와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11, 12)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33, 34)은,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11, 12)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설치되고, 차륜(73, 74) 중 적어도 한쌍의 차륜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섀시 본체(13)는 차량의 제1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이고, 섀시 본체(13)에 드라이버 캐빈(131)이 마련되고,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11, 12)은, 차량의 제1 방향을 따라 섀시 본체(13)와 직렬로 연결되되, 제1 방향을 따라 각각 섀시 본체(13)의 제1 단 및 제2 단에 설치되고,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11, 12) 중 각각의 섀시 모듈 유닛은, 복수의 서스펜션 시스템(71, 72) 중 대응되는 서스펜션 시스템을 통해 차륜(73, 74) 중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과 연결된다. 당해 섀시는, 서로 다른 차종의 차량의 대규모 생산을 실현하기 용이하고, 차종을 변경하는 원가를 낮춘다.

Description

차량
본 발명은 교통수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7년 3월 6일 중국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1710128114.8인 중국 특허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자동차 차체는 통상적으로 모노코크 차체와 프레임 차체의 두 종류로 나뉜다. 프레임 차체를 갖는 자동차는, 강성 프레임 (섀시 빅 프레임이라고도 불림) 및 강성 프레임에 장착된 차체를 포함한다. 프레임 차체를 갖는 자동차에 있어서, 엔진, 전동 시스템의 일부, 차체 등 어셈블리 부재는 모두 서스펜션 장치에 의해 강성 프레임에 고정되고, 강성 프레임은 전리어 서스펜션 장치를 통해 차륜과 연결된다. 프레임 차체는 비교적 양호한 안정성과 안전성을 가지나, 프레임 차체의 자동차는, 비교적 육중하고, 질량이 크며, 높이가 높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트럭, 객차 및 오프로드카에 사용되고, 일부 리무진에도 응용된다.
모노코크 차체를 갖는 자동차는 강성 프레임을 갖지 않는다. 모노코크 차체는, 밑판, 루프, 및 밑판과 루프사이에 연결된 입주(vertical pillar)를 포함한다. 입주는, 자동차의 앞문의 앞쪽에 위치하는 A주, 자동차의 앞문과 뒷문사에 위치하는 B주, 및 뒷문의 뒤쪽에 위치하는 C주를 포함한다. 모노코크 차체의 밑판, 루프 및 입주는 하나의 일체 구조를 형성한다. 자동차의 엔진, 전륜을 장착하기 위한 프런트 서스펜션 장치, 후륜을 장착하기 위한 리어 서스펜션 장치 및 전동 시스템의 일부는 모두 모노코크 차체상에 장착된다. 모노코크 차체의 자동차는, 질량이 작고, 높이가 낮으며, 조립하기 용이하다는 등 이점을 갖는바, 대부분 세단이 모노코크 차체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모노코크 차체의 밑판과 루프는 모두 차체 구조 부재 및 차체 구조 부재상에 덮여진 차체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대부부의 차체 커버 부재 및 차체 구조 부재는 스탬핑 성형 공정을 채용하여 제조되고, 모노코크 차체의 치수 및 형상은 각 차체 구조 부재 및 차체 커버 부재의 치수 및 형상의 영향을 받는다. 이로 인해, 모노코크 차체의 자동차 모델을 바꿔야 할 때, 차체 구조 부재 및 차체 커버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스탬핑 다이를 변경해야 하는바, 따라서, 모노코크 차체의 치수 변경이 거액의 원가를 필요로 하게 된다.
본 개시는, 차량을 제공하여,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차량의 모델 변경에 필요한 원가가 높다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개시는 차량을 제공한다. 당해 차량은, 섀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 및 복수의 서스펜션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섀시는, 섀시 본체와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은, 상기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설치되고, 차륜 중 적어도 한쌍의 차륜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섀시 본체는 상기 차량의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이고, 상기 섀시 본체에 드라이버 캐빈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은, 상기 차량의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섀시 본체와 직렬로 연결되되,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각각 상기 섀시 본체의 제1 단 및 제2 단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 중 각각의 섀시 모듈 유닛은 상기 복수의 서스펜션 시스템 중 대응되는 서스펜션 시스템을 통해 상기 차륜 중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과 연결된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은 상기 섀시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 중 각각의 섀시 모듈 유닛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 중 하나의 구동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하우징에 스루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루홀은, 상기 차륜 중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을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 장치를 통과시키고; 상기 전동 장치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상기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과 연결되고, 상기 전동 장치의 상기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 중 상기 하나의 구동 유닛과 전동 협력하여, 상기 하나의 구동 유닛이 상기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을 구동하여 회전시키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 중 각각의 섀시 모듈 유닛의 양측에 모두 연결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서스펜션 시스템 중 상기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을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 시스템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대응되는 서스펜션 시스템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섀시 모듈 유닛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대응되는 서스펜션 시스템의 상기 섀시 모듈 유닛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상기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과 연결된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복수의 서스펜션 시스템 중 각각의 서스펜션 시스템은 복수의 로드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로드체 중 각각의 로드체의 제1 단은 상기 섀시 모듈 유닛과 연결되고, 각각의 로드체의 제2 단은 상기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로드체 중 적어도 하나의 로드체는 상기 차량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을 향해 경사진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로드체 중 각각의 로드체의 상기 제1 단과 연결된 복수의 제1 장착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1 장착부는 상기 전동 장치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로드체 중 각각의 로드체의 상기 제1 단은, 상기 복수의 제1 장착부 중 서로 다른 제1 장착부와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로드체의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경사각도가 서로 다르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차륜 중 각각의 차륜에 모두 복수의 제2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2 장착부는, 상기 차륜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각각 상기 복수의 로드체 중 각각의 로드체의 제2 단과 연결된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드라이버 캐빈은 상기 섀시 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심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드라이버 캐빈의 상방에 롤 케이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롤 케이지는 상기 섀시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롤 케이지는, 두개의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 두개의 경사 지지 로드 및 상기 두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구조 보강 로드를 포함하고, 두개의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는 평형이되 이격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구조 보강 로드의 양단은 각각 상기 두개의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의 전단 및 후단은 모두 상기 섀시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의 전단은 상기 드라이버 캐빈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의 후단은 상기 드라이버 캐빈의 후방에 위치하고; 각각의 상기 경사 지지 로드의 제1 단은, 상기 섀시 본체와 연결되되 상기 드라이버 캐빈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의 전단과 상기 제2 방향에서 이격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경사 지지 로드의 제2 단은 두개의 상기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 중 대응되는 하나와 연결된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섀시는, 상기 섀시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승객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객실은 상기 드라이버 캐빈보다 상기 섀시의 후단에 가깝되 상기 섀시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제3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연결부재는 상기 섀시 본체와 상기 승객실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연결부재는, 상기 섀시 본체와 연결된 제1 플레이트 바디, 상기 승객실과 연결된 제2 플레이트 바디,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바디와 상기 제2 플레이트 바디를 연결하는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바디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 바디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바디에, 상기 섀시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제1 볼트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바디와 상기 섀시 본체의 저부는 복수의 제1 볼트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 바디에, 상기 승객실을 연결하기 위한 제2 볼트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플레이트 바디와 상기 승객실의 저부는 복수의 제2 볼트를 통해 연결된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은,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 및 리어 섀시 모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차륜은 한쌍의 전륜 및 한쌍의 후륜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은, 프런트 구동 유닛 및 리어 구동 유닛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스펜션 시스템은,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 및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을 포함한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복수의 로드체 중 적어도 하나는 신축가능하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차량은 복수의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섀시 본체의 상기 제1 단 및 상기 제2 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단 및 상기 제2 단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섀시 본체에 전력 시스템 캐빈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력 시스템 캐빈내에 전력 시스템이 마련되며, 상기 전력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전력 시스템 캐빈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드라이버 캐빈의 후방에 위치하되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 중 하나의 완충부재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드라이버 캐빈과 이격되며, 상기 전력 시스템 캐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 시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전력 시스템은, 발전 시스템,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전력 전송 시스템 및 전력 제어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은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차량의 세로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차량의 가로방향이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복수의 제1 장착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위치한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복수의 제1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에 위치한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중 상기 하나의 구동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가 더 설치되어 있다.
선택가능하게, 상기 연결부재 중 각각의 연결부재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 중 상기 하나의 구동 유닛의 외측에 위치하되 상기 하나의 구동 유닛과 연결된다.
본 출원의 기술방안을 응용할 경우, 섀시는, 섀시 본체 및 각각 섀시 본체의 양단에 연결된 섀시 모듈 유닛 등 복수의 독립된 구성 유닛을 포함한다. 축거가 다른 차종을 생산해야 할 때, 섀시의 하나의 또는 복수의 구성 유닛을 변경하고 복수의 구성 유닛을 순차적으로 연결하기만 하면, 축거가 다른 섀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섀시는, 서로 다른 차종의 차량의 대규모 생산을 실현하기 용이하고, 차종을 변경하는 원가를 낮춘다.
본 개시의 실시예 또는 관련 기술에 따른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 또는 관련 기술의 설명에 사용해야 할 도면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당업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러한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레임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섀시의 리어 섀시 모듈 유닛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섀시와 승객실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섀시와 승객실이 서로 연결된 후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섀시와 승객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륜 및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런트 구동 유닛의 외부구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륜 및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구동 유닛 외부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재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구동 유닛 외부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재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기술방안을 명확하고도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니라는 것은 자명하다. 하기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사실상 단지 설명적인 것으로, 본 개시에 대한 어떠한 제한으로도 간주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들에 의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문에서의 "복수"는 둘 또는 둘 이상을 가리키고; "세로방향"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가리키고; "가로방향"은 차량의 너비 방향을 가리키고; "프런트"는 차의 헤드 방향을 가리키고, "리어"는 차의 테일 방향을 가리킨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레임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섀시(10) 및 섀시(10)에 설치된 차륜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섀시(10)는, 섀시 본체(13), 섀시 본체(13)의 전단에 연결된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 및 섀시 본체(13)의 후단에 연결된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을 포함한다. 섀시 본체(13)는 차량(1)의 세로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으로, 예를 들어, 선형상이다.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은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71)을 통해 전륜(73)과 연결된다.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은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72)을 통해 후륜(74)과 연결된다.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 및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 중 하나 또는 둘에는 구동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에 구동 유닛이 설치될 경우, 차량(1)은 전륜구동이고;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에 구동 유닛이 설치될 경우, 차량(1)은 후륜구동이다.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 및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에 모두 구동 유닛이 설치될 경우, 차량은 사륜구동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시된 차량(1)은 사륜구동인 것으로, 이 경우,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에 설치된 구동 유닛은 프런트 구동 유닛(33)으로 불리고, 리어 섀시 모듈 유닛(11)에 설치된 구동 유닛은 리어 구동 유닛(34)으로 불린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섀시(10)는 섀시 본체(13), 각각 섀시 본체(13)의 전후 양단에 연결된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 및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 등 복수의 독립된 구성 유닛을 포함하기 때문에, 축거가 다른 차종을 생산해야 할 때, 섀시(10)의 하나의 또는 복수의 구성 유닛을 변경하고 복수의 구성 유닛을 순차적으로 연결하기만 하면, 치수가 다른 섀시(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치로, 섀시 모듈 유닛상의 로커 암의 길이 및 서스펜션 시스템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차량의 윤거 및 지상고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섀시(10)는, 서로 다른 차종의 차량의 대규모 생산을 실현하기 용이하고, 차종을 변경하는 원가를 낮춘다.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은 제1 하우징(110)을 포함하고, 제1 하우징(110)에 제1 스루홀(111)이 설치되어 있고, 제1 스루홀(111)은 전륜(73)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전동 장치(61)를 관통시킨다. 제1 전동 장치(61)는 차량의 가로방향을 따라 제1 하우징(110)의 내부로부터 제1 하우징(11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제1 전동 장치(61)의 제1 하우징(11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전륜(73)과 연결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전동 장치(61)는 제1 전동축(61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10)은 내부에 제1 동력 캐빈(31)이 설치될 수 있고, 제1 동력 캐빈(31)은 전륜(73)을 구동하기 위한 프런트 구동 유닛(33)을 수용한다. 제1 하우징(110)에 프런트 구동 유닛(33)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가 더 설치되어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구동 유닛(33)의 외부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프런트 구동 유닛(33)은 제1 모터(331)를 포함한다. 제1 전동 장치(61)의 전륜(73)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프런트 구동 유닛(33)과 전동 협력하여, 프런트 구동 유닛(33)이 전륜(73)을 구동하여 회전시키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게, 프런트 구동 유닛(33)과 제1 전동 장치(61)사이에 감속기, 차동기 및 트랜스미션(미도시) 등이 더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의 양측에 모두 제1 연결부재(11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연결부재(112)는, 전륜(73)을 지지하기 위한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71)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112)는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71)은, 제1 연결부재(112)와 연결되고, 차량(1)의 가로방향을 따라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71)의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전륜(73)과 연결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륜 및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71)은 복수의 제1 로드체(711)를 포함하고, 제1 로드체(711)의 제1 단은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의 제1 연결부재(112)와 연결되고, 제1 로드체(711)의 제2 단은 전륜(73)과 연결된다. 적어도 일부 제1 로드체(711)는 차량의 가로방향에 대해 경사져, 삼각형 안정 구조를 형성한다.
제1 연결부재(112)에 복수의 제1 로드체(711)의 제1 단과 연결된 복수의 제1 장착부(115)가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장착부(115)는 제1 전동 장치(61)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복수의 제1 로드체(711)의 제1 단은, 서로 다른 제1 장착부(115)와 연결되어, 복수의 제1 로드체(711)의 차량(1)의 가로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가 다르도록 하고, 복수의 제1 로드체(711)의 제2 단과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사이의 수직거리 또한 달라지는바, 즉,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71)의 길이의 조절을 실현한다. 따라서, 두 전륜(73)간의 거리의 조절을 실현한다.
선택가능하게, 전륜(73)에, 복수의 제1 로드체(711)의 제2 단과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제2 장착부(731)가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제2 장착부(731)는 전륜(73)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복수의 제1 로드체(711)의 제2 단이 서로 다른 제2 장착부(731)와 연결되어, 제1 로드체(711)의 차량(1)의 가로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도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71)의 길이를 조절하고, 나아가 두 전륜(73)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이치로, 제1 로드체(711)의 양단 각각의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 및 전륜(73)과의 장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의 지상고 조정도 실현할 수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윤거를 변경하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의 길이는 조정가능하다. 나아가, 차량(1)의 지상고를 변경하도록, 차량(1)의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의 지상고도 조정가능하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의 섀시(10) 및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71)은, 간단한 조정을 거치기만 하면 서로 다른 지상고 및 서로 다른 윤거의 차량에 사용될 수 있다.
차량의 폭 및 지상고를 변경하도록, 차량의 섀시(10)는 서로 다른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71) 및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72)과 협력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으로, 따라서, 차량의 윤거 및 지상고를 변경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의 제1 하우징(110)의 정(頂)면의 높이는 앞에서 뒤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제1 하우징(110)의 정(頂)면과 섀시 본체(13)의 정(頂)면은 원활히 이행함으로써, 차량의 유선형 설계를 용이하게 한다. 선택가능하게, 제1 하우징(110)의 정(頂)면과 제1 하우징(110)의 측면은 원활히 이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섀시(10)의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 섀시 본체(13) 및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 등 복수의 구성 유닛의 재질은 모두 알루미늄 합금이다. 인접한 두 구성 유닛은, 용접, 리벳 연결 또는 볼트 연결의 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섀시(10)의 복수의 구성 유닛의 재질은 모두 탄소 섬유일 수 있고, 인접한 두 부재는 접착 또는 리벳 연결의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인접한 두 구성 유닛 중 하나의 재질은 탄소 섬유이고, 다른 하나의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이며, 서로 다른 재질의 인접한 두 구성 유닛은, 접착 또는 리벳 연결의 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섀시 본체(13)에 드라이버 캐빈(131)이 설치되어 있다. 섀시 본체(13)의 폭은 드라이버 캐빈(131)의 폭보다 약간만 더 크다. 섀시 본체(13)의 케이싱은 차량의 가로방향에서 이격 설치된 두개의 측벽(1310)을 포함하고, 두 측벽(1310)사이에 드라이버 캐빈(131)이 형성된다.
섀시 본체(13)에 전력 시스템 캐빈(132)이 더 설치되어 있고, 전력 시스템 캐빈(132)은, 차량의 전력 시스템 또는 다른 부품을 안착하기 위한 것이다. 전력 시스템은, 차량의 구동 유닛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 시스템은, 발전 시스템, 에너지 저장 시스템(예를 들어, 축전지), 전력 전송 시스템 및/또는 전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전력 시스템 캐빈(132)은, 드라이버 캐빈(131)의 후방에 위치하되 드라이버 캐빈(131)과 특정 거리를 갖는다. 이로 인해, 전력 시스템 캐빈(132)과 드라이버 캐빈(131)사이의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섀시 본체(13)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따라서, 차량의 축거를 변경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은 제2 하우징(122)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122)에 제2 스루홀(121)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스루홀(121)은 후륜(74)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전동 장치(62)를 관통시킨다. 제2 전동 장치(62)는 차량의 가로방향을 따라 제2 하우징(122)의 내부로부터 제2 하우징(122)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제2 전동 장치(62)의 제2 하우징(12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차량(1)의 후륜(74)과 연결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전동 장치(62)는 제2 전동축(620)을 포함한다.
제2 하우징(122)은 제2 동력 캐빈(32)을 포함하고, 제2 동력 캐빈(32)은, 후륜(74)을 구동하기 위한 리어 구동 유닛(34)을 수용한다. 리어 구동 유닛(34)은 제2 하우징(122)내에 설치된다. 제2 하우징(122)에, 리어 구동 유닛(34)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123)가 더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어 구동 유닛(34)은 제2 모터(341)를 포함한다. 제2 전동 장치(62)의 후륜(74)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리어 구동 유닛(34)과 전동 협력하여, 리어 구동 유닛(34)이 후륜(74)을 구동하여 회전시키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게, 리어 구동 유닛(34)과 제2 전동 장치(62)사이에, 감속기, 차동기 및 트랜스미션 등(미도시)이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구동 유닛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재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제2 연결부재(124)는 리어 구동 유닛(34)의 외부에 위치하되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의 양측에 설치되고, 제2 연결부재(124)는 복수의 제3 장착부(125)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3 장착부(125)는, 후륜(74)을 지지하기 위한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72)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72)의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에 가까운 일단은, 제2 연결부재(124)와 연결되고, 차량(1)의 가로방향을 따라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72)의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후륜(74)과 연결된다.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72)은 복수의 제2 로드체(721)를 포함하고, 제2 로드체(721)의 제1 단은 제2 연결부재(124)상의 복수의 제3 장착부(125)와 연결되고, 제2 로드체(721)의 제2 단은 후륜(74)과 연결된다. 적어도 일부 제2 로드체(721)는 차량(1)의 가로방향에 대해 경사져, 삼각형 안정 구조를 형성한다.
선택가능하게, 제2 로드체(721)의 제1 단과 연결된 복수의 제3 장착부(125)는 제2 하우징(122)에 설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3 장착부(125)는 제2 전동 장치(62)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복수의 제2 로드체(721)의 제1 단은, 서로 다른 제3 장착부(125)와 연결되어, 복수의 제2 로드체(721)의 차량(1)의 가로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가 다르도록 하고, 복수의 제2 로드체(721)의 제2 단과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사이의 수직거리 또한 달라지는바, 즉,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72)의 길이의 조절을 실현한다. 따라서, 두 후륜(74)간의 거리의 조절을 실현한다.
선택가능하게, 후륜(74)에, 복수의 제2 로드체(721)의 제2 단과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제4 장착부(741)가 설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4 장착부(741)는 후륜(74)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로드체(721)의 제2 단은 서로 다른 제4 장착부(741)와 연결되어, 제2 로드체(721)의 차량(1)의 가로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72) 의 길이를 조절하고, 나아가 두의 후륜(74)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치로, 제2 로드체(721) 의 양단 각각의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 및 후륜(74)과의 장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의 지상고 조정도 실현할 수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윤거를 변경하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72)의 길이는 조정가능하다. 나아가, 차량의 지상고를 변경하도록, 차량의 섀시(10)의 지상고도 조정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섀시(10) 및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72)은, 간단한 조정을 거치기만 하면 서로 다른 지상고 및 서로 다른 윤거의 차량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를 요약하면, 차량의 윤거를 변경하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의 길이는 조정가능하다.
차량의 섀시(10)는, 서로 다른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71) 및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72)과 협력하여, 차량의 폭 및 지상고를 변경할 수 있고, 따라서, 차량의 윤거 및 지상고를 변경시킨다.
선택가능하게,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71) 및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72)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로드체는 신축가능한 것으로,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71) 및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72)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가 조정가능하도록 한다.
도 1,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 캐빈(131)은 섀시 본체(13)의 케이싱으로 둘러싸인 챔버이고, 드라이버 캐빈(131)의 상단은 개구단이다.
차량이 주행하는 과정에서 전복되어 롤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 섀시는 드라이버 캐빈(131)의 상방에 덮여진 롤 케이지(2)를 더 포함하고, 롤 케이지(2)는 섀시 본체(13)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롤 케이지(2)는 차량에 의외의 사고가 날 때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롤 케이지(2)는, 평형이되 이격 설치된 두개의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21) 및 두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구조 보강 로드(22)를 포함한다. 구조 보강 로드(22)의 양단은 각각 두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21)와 연결된다.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21)의 전단 및 후단은 모두 섀시 본체(13)와 연결되고,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21)의 전단은 드라이버 캐빈(131)의 전방에 위치하고,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의 후단은 드라이버 캐빈(131)의 후방에 위치한다.
롤 케이지(2)는 두개의 경사 지지 로드(23)를 더 포함하고, 두 경사 지지 로드(23)의 제1 단은, 섀시 본체(13)와 연결되고, 드라이버 캐빈(131)의 전방에 위치하며,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21)의 전단과 차량의 가로방향에서 이격 설치된다. 두개의 경사 지지 로드(23)의 제2 단은, 두개의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21)와 각각 연결되어, 롤 케이지(2)의 구조 강도를 증가시킨다.
차량 섀시(10)는 섀시 본체(13)의 측부에 설치된 승객실(5)을 더 포함한다. 승객실(5)은 섀시 본체(13)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차량 섀시(10)는, 섀시(10)의 일측에 설치된 승객실(5)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각각 섀시(10)의 양측에 설치된 승객실(5)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당해 승객실은 화물칸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드라이버 캐빈(131)의 양측에 모두 승객실(5)이 설치되어 있다. 드라이버 캐빈(131)은 차량의 가로방향의 중부에 위치한다. 각각 드라이버 캐빈(131)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승객실(5)은 섀시 본체(13)에 대해 대칭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섀시(10)의 양측에 모두 승객실(5)이 설치되어 있고, 승객실(5)이 드라이버 캐빈(131)보다 섀시(10)의 후단에 가까움으로써, 승객실(5)이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섀시(10)의 섀시 본체(13)와 승객실(5)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섀시(10)의 섀시 본체(13)와 승객실(5)이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섀시 본체(13) 및 승객실(5)의 재질은 모두 알루미늄 합금이다. 섀시 본체(13)와 승객실(5)은, 리벳 연결, 용접 또는 볼트 연결 등 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선택가능하게, 섀시 본체(13) 및 승객실(5) 중 하나의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이고, 다른 하나의 재질은 탄소 섬유이다. 또는, 섀시 본체(13) 및 승객실(5)의 재질은 모두 탄소 섬유이다. 섀시 본체(13)와 승객실(5)은, 접착 또는 리벳 연결 등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섀시(10)는 섀시 본체(13)와 승객실(5)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8)를 더 포함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섀시의 섀시 본체(13)와 승객실(5)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8)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8)는 섀시(10)와 연결된 제1 플레이트 바디(81), 승객실(5)과 연결된 제2 플레이트 바디(82), 및 제1 플레이트 바디(81)와 제2 플레이트 바디(82)를 연결하는 수직 플레이트(83)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 바디(81)는 수직 플레이트(83)의 상단과 연결되고, 제2 플레이트 바디(82)는 수직 플레이트(83)의 하단과 연결된다.
제1 플레이트 바디(81)에, 섀시(10)를 연결하기 위한 제1 볼트 구멍(811)이 설치되어 있다. 제1 플레이트 바디(81)와 섀시(10)의 저부는 복수의 제1 볼트를 통해 연결된다.
제2 플레이트 바디(82)에, 승객실(5)을 연결하기 위한 제2 볼트 구멍(821)이 설치되어 있다. 제2 플레이트 바디(82)와 승객실(5)의 저부는 복수의 제2 볼트를 통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섀시(10)는, 섀시 본체의 전단에 연결된 프런트 완충부재(41) 및 섀시 본체의 후단에 연결된 리어 완충부재(42)를 더 포함하여, 차량에 의외의 충돌이 발생하였 때 차량 및 차량내의 운전자와 승객을 보호한다.
상기한 바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일 뿐, 본 개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의 정신 및 원칙내에서 이루어지는 임의의 수정, 균등 치환 및 개선 등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범위내에 속한다.
1: 차량, 10: 섀시, 11: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 110: 제1 하우징, 111: 제1 스루홀, 112: 제1 연결부재, 115: 제1 장착부, 12: 리어 섀시 모듈 유닛, 121: 제2 스루홀, 122: 제2 하우징, 123: 지지구조, 124: 제2 연결부재, 125: 제3 장착부, 13: 섀시 본체, 131: 드라이버 캐빈, 1310: 측벽, 132: 전력 시스템 캐빈, 2: 롤 케이지, 21: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 22: 구조 보강 로드, 23: 경사 지지 로드, 31: 제1 동력 캐빈, 32: 제2 동력 캐빈, 33: 프런트 구동 유닛, 331: 제1 모터, 34: 리어 구동 유닛, 341: 제2 모터, 41: 프런트 완충부재, 42: 리어 완충부재, 5: 승객실, 61: 제1 전동 장치, 610: 제1 전동축, 62: 제2 전동 장치, 620: 제2 전동축, 71: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 711: 제1 로드체, 72: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 721: 제2 로드체, 73: 전륜, 731: 제2 장착부, 74: 후륜, 741: 제4 장착부, 8: 연결부재, 81: 제1 플레이트 바디, 811: 제1 볼트 구멍, 82: 제2 플레이트 바디, 821: 제1 볼트 구멍, 83: 수직 플레이트.

Claims (20)

  1. 차량에 있어서,
    섀시 본체(13)와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11, 12)을 포함하는 섀시(10);
    상기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11, 12)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설치되고, 차륜(73, 74) 중 적어도 한쌍의 차륜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33, 34); 및
    복수의 서스펜션 시스템(71, 72);
    을 포함하고,
    상기 섀시 본체(13)는 상기 차량의 제1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이고,
    상기 섀시 본체(13)에 드라이버 캐빈(131)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11, 12)은, 상기 차량의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섀시 본체(13)와 직렬로 연결되되,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각각 상기 섀시 본체(13)의 제1 단 및 제2 단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11, 12) 중 각각의 섀시 모듈 유닛은 상기 복수의 서스펜션 시스템(71, 72) 중 대응되는 서스펜션 시스템을 통해 상기 차륜(73, 74) 중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11, 12)은, 프런트 섀시 모듈 유닛(11) 및 리어 섀시 모듈 유닛(12)을 포함하고,
    상기 차륜(73, 74)은 한쌍의 전륜(73) 및 한쌍의 후륜(74)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33, 34)은 프런트 구동 유닛(33) 및 리어 구동 유닛(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스펜션 시스템(71, 72)은 프런트 서스펜션 시스템(71) 및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11, 12)은 상기 섀시 본체(13)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11, 12) 중 각각의 섀시 모듈 유닛은 하우징(110, 122)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0, 12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33, 34) 중 하나의 구동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하우징(110, 122)에 스루홀(111, 12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루홀(111, 121)은, 상기 차륜(73, 74) 중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을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 장치(61, 62)를 통과시키고;
    상기 전동 장치(61, 62)의 상기 하우징(110, 12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상기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과 연결되고, 상기 전동 장치(61, 62)의 상기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33, 34) 중 상기 하나의 구동 유닛과 전동 협력하여, 상기 하나의 구동 유닛이 상기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을 구동하여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11, 12) 중 각각의 섀시 모듈 유닛의 양측에 모두 연결부재(112, 12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112, 124)는 상기 복수의 서스펜션 시스템(71, 72) 중 상기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을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 시스템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대응되는 서스펜션 시스템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섀시 모듈 유닛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대응되는 서스펜션 시스템의 상기 섀시 모듈 유닛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상기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섀시 모듈 유닛(11, 12) 중 각각의 섀시 모듈 유닛의 양측에 모두 연결부재(112, 12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112, 124)는 상기 복수의 서스펜션 시스템(71, 72) 중 상기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을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 시스템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대응되는 서스펜션 시스템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섀시 모듈 유닛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대응되는 서스펜션 시스템의 상기 섀시 모듈 유닛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상기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스펜션 시스템(71, 72) 중 각각의 서스펜션 시스템은 복수의 로드체(711, 721)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로드체(711, 721) 중 각각의 로드체의 제1 단은 상기 연결부재(112, 124)와 연결되고, 각각의 로드체의 제2 단은 상기 대응되는 한쌍의 차륜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로드체(711, 721) 중 적어도 하나의 로드체는 상기 차량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을 향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12, 124)는, 상기 복수의 로드체(711, 721) 중 각각의 로드체의 상기 제1 단과 연결된 복수의 제1 장착부(115, 125)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1 장착부(115, 125)는 상기 전동 장치(61, 62)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로드체(711, 721) 중 각각의 로드체의 상기 제1 단은, 상기 복수의 제1 장착부(115, 125) 중 서로 다른 제1 장착부와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로드체의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경사각도가 서로 다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73, 74) 중 각각의 차륜에 모두 복수의 제2 장착부(731, 741)가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2 장착부(731, 741)는, 상기 차륜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각각 상기 복수의 로드체(711, 721) 중 각각의 로드체의 제2 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캐빈(131)은 상기 섀시 본체(13)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심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드라이버 캐빈(131)의 상방에 롤 케이지(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롤 케이지(2)는 상기 섀시(1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롤 케이지(2)는, 두개의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21), 두개의 경사 지지 로드(23) 및 상기 두개의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21)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구조 보강 로드(22)를 포함하고, 두개의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21)는 평형이되 이격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구조 보강 로드(22)의 양단은 각각 상기 두개의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21)와 연결되고;
    상기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21)의 전단 및 후단은 모두 상기 섀시 본체(13)와 연결되고, 상기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21)의 전단은 상기 드라이버 캐빈(131)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21)의 후단은 상기 드라이버 캐빈(131)의 후방에 위치하고;
    각각의 상기 경사 지지 로드(23)의 제1 단은, 상기 섀시 본체(13)와 연결되되 상기 드라이버 캐빈(131)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21)의 전단과 상기 제2 방향에서 이격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경사 지지 로드(23)의 제2 단은 두개의 상기 아치형 막대모양 부재(21) 중 대응되는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10)는, 상기 섀시(10)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승객실(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객실(5)은, 상기 드라이버 캐빈(131)보다 상기 섀시(10)의 후단에 가깝되 상기 섀시 본체(13)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3 연결부재(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연결부재(8)는 상기 섀시 본체(13)와 상기 승객실(5)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연결부재(8)는, 상기 섀시 본체(13)와 연결된 제1 플레이트 바디(81), 상기 승객실(5)과 연결된 제2 플레이트 바디(82),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바디(81)와 상기 제2 플레이트 바디(82)를 연결하는 수직 플레이트(8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바디(81)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83)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 바디(82)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83)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바디(81)에, 상기 섀시 본체(13)를 연결하기 위한 제1 볼트 구멍(81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바디(81)와 상기 섀시 본체(13)의 저부는 복수의 제1 볼트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 바디(82)에, 상기 승객실(5)을 연결하기 위한 제2 볼트 구멍(82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플레이트 바디(82)와 상기 승객실(5)의 저부는 복수의 제2 볼트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2. 삭제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로드체(711, 721) 중 적어도 하나는 신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완충부재(41, 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41, 42)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섀시 모듈 유닛(11, 12)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섀시 본체(13)의 상기 제1 단 및 상기 제2 단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본체(13)에 전력 시스템 캐빈(132)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력 시스템 캐빈(132) 내에 전력 시스템이 마련되며, 상기 전력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33, 34)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전력 시스템 캐빈(132)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드라이버 캐빈(131)의 후방에 위치하되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41, 42) 중 하나의 완충부재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드라이버 캐빈(131)과 이격되며, 상기 전력 시스템 캐빈(13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33, 34)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 시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시스템은, 발전 시스템,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전력 전송 시스템 및 전력 제어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은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차량의 세로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차량의 가로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장착부(115, 125)는, 상기 연결부재(112, 124)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 122)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33, 34) 중 상기 하나의 구동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 (123)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12, 124) 중 각각의 연결부재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33, 34) 중 상기 하나의 구동 유닛의 외측에 위치하되 상기 하나의 구동 유닛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87035222A 2017-03-06 2017-08-02 차량 KR102181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128114.8 2017-03-06
CN201710128114.8A CN106672077A (zh) 2017-03-06 2017-03-06 车辆
PCT/CN2017/095697 WO2018161499A1 (zh) 2017-03-06 2017-08-02 车辆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338A KR20190004338A (ko) 2019-01-11
KR102181166B1 true KR102181166B1 (ko) 2020-11-23

Family

ID=5882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222A KR102181166B1 (ko) 2017-03-06 2017-08-02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65480B2 (ko)
EP (1) EP3536583B1 (ko)
JP (1) JP2019518652A (ko)
KR (1) KR102181166B1 (ko)
CN (1) CN106672077A (ko)
WO (1) WO2018161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0671B2 (en) 2012-09-20 2016-09-13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IT201600130313A1 (it) * 2016-12-22 2018-06-22 Automobili Lamborghini Spa Struttura portante di veicolo
CN106672077A (zh) * 2017-03-06 2017-05-17 至玥腾风科技投资集团有限公司 车辆
US11447188B2 (en) * 2017-11-22 2022-09-20 Piëch Design Ag Vehicle body platform for an automobile and automobile comprising such a vehicle body platform
KR102357311B1 (ko) 2020-03-20 2022-01-27 이세영 비계용 안전발판
DE102020121559A1 (de) * 2020-08-17 2022-02-17 RACEREBEL GmbH Modulares Modell eines Formelrennwagens, Fahrsimulator mit dem Modell
US11518206B2 (en) 2021-04-28 2022-1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figurable vehicle frames and associated methods
US11858571B2 (en) 2021-04-28 2024-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hassis with interchangeable performance packages and related methods
US11702162B2 (en) 2021-04-28 2023-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figurable vehicle chassis and associated methods
US11938802B2 (en) 2021-04-28 2024-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motorized wheel assemblies
US11866095B2 (en) 2021-04-28 2024-01-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position wheel assembly mounts
US11807302B2 (en) 2021-04-28 2023-1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calable vehicle platfor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9345A (ja) * 1996-04-30 2000-07-25 オートキネティ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ジュール式乗用車用フレーム
JP2006044400A (ja) * 2004-08-03 2006-02-16 Phiaro Inc 電気自動車用シャシフレーム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
JP2017036019A (ja) * 2015-08-14 2017-0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7923363V0 (it) * 1979-12-07 1979-12-07 Covini Ferruccio Carrozzeria a componenti modulari intercambiabili.
US4422685A (en) * 1981-07-06 1983-12-27 Bonfilio Paul F Modular chassis and body for motor vehicles
JPS6099156U (ja) * 1983-12-14 1985-07-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ロ−ルバ−構造
JP3196121B2 (ja) * 1991-11-28 2001-08-06 株式会社東京アールアンドデー 電気自動車
JPH05345511A (ja) * 1992-06-16 1993-12-2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車両走行安定装置
US5401056A (en) * 1994-03-11 1995-03-28 Eastman; Clayton Modular vehicle constructed of front, rear and center vehicular sections
DE29722344U1 (de) * 1997-12-18 1999-04-15 Ball Wilfried Chassis für Personenkraftwagen
US20040149500A1 (en) * 2003-02-05 2004-08-05 Chernoff Adrian B. Pre-engineered frame portion and method of use therefor
CN2647706Y (zh) * 2003-10-13 2004-10-13 上海燃料电池汽车动力系统有限公司 四轮驱动电动汽车双层框架型底架装置
GB0704966D0 (en) * 2007-03-15 2007-04-25 Murray Ian G Compact vehicle seatings arangement
US7908959B2 (en) * 2007-07-05 2011-03-22 Pavon John J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vehicle occupants
US8205703B2 (en) * 2008-12-29 2012-06-26 Hal-Tech Limited Deformable modular armored combat system
US8430196B2 (en) * 2008-12-29 2013-04-30 Hal-Tech Limited Deformable armored land vehicle
CA2717163A1 (en) * 2010-10-07 2012-04-07 Andrew Simon Mynheer Modular electric vehicle
DE102011051687B3 (de) * 2011-07-08 2012-10-25 Krauss-Maffei Wegmann Gmbh & Co. Kg Fahrzeug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Antriebsaggregats
US9045014B1 (en) * 2012-03-26 2015-06-02 Oshkosh Defense, Llc Military vehicle
US8641133B1 (en) * 2011-10-10 2014-02-04 Robert Joseph Scaringe High strength lightweight vehicle and an improve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9174686B1 (en) * 2012-02-22 2015-11-03 Oshkosh Defense, Llc Military vehicle
JP6104381B2 (ja) * 2013-06-21 2017-03-29 帝人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部材で形成されたモノコック構造の車体
EP3201069B1 (en) * 2014-09-29 2019-12-25 Bertezzolo, Matteo Adjustable chassis for a motor vehicle
CN105416099A (zh) * 2015-11-26 2016-03-23 合肥工业大学 一加四式新概念汽车
CN105438266A (zh) * 2016-01-21 2016-03-30 石宇 轮梁式全车身组合框架
CN206520655U (zh) * 2017-03-06 2017-09-26 至玥腾风科技投资集团有限公司 车辆
CN106672077A (zh) * 2017-03-06 2017-05-17 至玥腾风科技投资集团有限公司 车辆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9345A (ja) * 1996-04-30 2000-07-25 オートキネティ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ジュール式乗用車用フレーム
JP2006044400A (ja) * 2004-08-03 2006-02-16 Phiaro Inc 電気自動車用シャシフレーム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
JP2017036019A (ja) * 2015-08-14 2017-0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31533A1 (en) 2020-10-22
EP3536583B1 (en) 2021-04-14
EP3536583A1 (en) 2019-09-11
KR20190004338A (ko) 2019-01-11
EP3536583A4 (en) 2020-01-15
WO2018161499A1 (zh) 2018-09-13
JP2019518652A (ja) 2019-07-04
US11465480B2 (en) 2022-10-11
CN106672077A (zh)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166B1 (ko) 차량
JP7190269B2 (ja) 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支持装置
CN1055662C (zh) 机动车底盘
CN108357565B (zh) 用于电动机动车的前体结构和底盘
US10189428B1 (en)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a bumper assembly and a radiator assembly to a vehicle, a vehicle frame, and a vehicle
CN108290609B (zh) 后轴副车架以及具有这种后轴副车架的机动车
CN2774889Y (zh) 一种汽车副车架
CN202016512U (zh) 一种驾驶室后悬置装置
US11952039B2 (en) Vehicle frame for electric vehicle
CN113302114B (zh) 用于机动车辆的车身的结构框架
CN206520655U (zh) 车辆
CN215922334U (zh) 全地形车
EP4234368A1 (en) Vehicle-body front structure
CN116638958A (zh) 车体前部构造
CN116638959A (zh) 车体前部构造
CN116638957A (zh) 车体前部构造
CN116638956A (zh) 车体前部构造
CN112874641A (zh) 一种汽车驾驶室翻转机构
CN116638940A (zh) 车体前部构造
KR20220095272A (ko)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
CN116638946A (zh) 车体前部构造
CN116638942A (zh) 车体前部构造
CN116638944A (zh) 车体前部构造
BG3008U1 (bg) Автомобил с капковидна форма и променлива геометрия
JP2022143185A (ja) インパクトビームを有する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