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857B1 -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857B1
KR102180857B1 KR1020200099176A KR20200099176A KR102180857B1 KR 102180857 B1 KR102180857 B1 KR 102180857B1 KR 1020200099176 A KR1020200099176 A KR 1020200099176A KR 20200099176 A KR20200099176 A KR 20200099176A KR 102180857 B1 KR102180857 B1 KR 102180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affolding
post
frame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운
Original Assignee
이규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운 filed Critical 이규운
Priority to KR1020200099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6Scaffold with cantilevered sections, e.g. to accommodate overhangs or recesses in the facad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5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2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핸드레일이 연결되는 수직프레임과 상호 간 높이차를 갖게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평 연결되는 제1,2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발판프레임;과, 상기 제1,2지지프레임의 자유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각 지주에 발판프레임을 외팔보 형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각 지주에 결합된 발판프레임을 상호 간 연결하기 위해 각 발판프레임의 제1지지프레임 상부에 고정되는 가교부;와, 상기 가교부의 상부에 거치되는 발판부; 및 지상에서 발판부으로의 진입을 원활하게 하기 일측이 가교부에 거치되는 계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발판부과 계단부는 손쉽게 분해 조립되도록 걸림후크를 통해 상기 가교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회전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지주의 양측을 가압하는 제1,2가압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제1,2가압클램프는 걸림갈퀴가 2개로 분기된 형태로 하중을 분산시키고, 더불어 분기된 중앙을 기점으로 지주를 향해 만곡된 형태로 가압력이 떨어진다 하더라도 지주를 따라 하강하지 않고, 만곡된 형태에 의해 브레이킹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각 발판프레임은 고정수단에 의해 지주의 손상없이 지주의 높이방향을 따라 손쉽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A TEMPORARY GUARDRAIL ASSEMBLY FOR THE POSt}
본 발명은 지주의 손상없이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체하지 않고 지주에 가설된 상태에서 신속하게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한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수단을 통해 발판프레임을 지주에 고정하고 가교부를 발판프레임에 결속한 후 상기 발판부와 계단부는 별도의 결속없이 거치시켜 시공이 매우 간단하고, 더불어 발판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지주에 발판프레임을 고정할 경우 고정수단의 결속을 느슨하게 된다 하더라도 제1,2가압클램프의 만곡된 걸림갈퀴에 의해 지주를 따라 하강하지 않고 만곡된 형태에 의해 브레이킹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골구조물의 외벽 공사에서는 지주(H빔)에 근접되게 가설 발판을 설치한다.
특히 이러한 임시 가설 발판은 지주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 원형의 파이프를 격자형태로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파이프에 발판플레이트를 결합시켜 임시 가설 발판을 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가설 발판으로, 통상 건축용 비계 조립구조(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23788호)가 있는데, 이러한 종래 기술은 현장에서 작업자에 의해 용접과 클램프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됨에 따라 많은 자재가 필요하고, 인건비와 시공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설치 뿐만 아니라 분해가 어렵고, 공사구간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일일이 파이프 자재를 덧대어 재조립해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237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지주의 손상없이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체하지 않고 지주에 가설된 상태에서 신속하게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한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고정수단을 통해 발판프레임을 지주에 고정하고 가교부를 발판프레임에 결속한 후 상기 발판부와 계단부는 별도의 결속없이 거치시켜 시공이 매우 간단하고, 더불어 발판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지주에 발판프레임을 고정할 경우 고정수단의 결속을 느슨하게 된다 하더라도 제1,2가압클램프의 만곡된 걸림갈퀴에 의해 지주를 따라 하강하지 않고 만곡된 형태에 의해 브레이킹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핸드레일이 연결되는 수직프레임과 상호 간 높이차를 갖게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평 연결되는 제1,2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발판프레임;과, 상기 제1,2지지프레임의 자유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각 지주에 발판프레임을 외팔보 형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각 지주에 결합된 발판프레임을 상호 간 연결하기 위해 각 발판프레임의 제1지지프레임 상부에 고정되는 가교부;와, 상기 가교부의 상부에 거치되는 발판부; 및 지상에서 발판부으로의 진입을 원활하게 하기 일측이 가교부에 거치되는 계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발판부과 계단부는 손쉽게 분해 조립되도록 걸림후크를 통해 상기 가교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회전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지주의 양측을 가압하는 제1,2가압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제1,2가압클램프는 걸림갈퀴가 2개로 분기된 형태로 하중을 분산시키고, 더불어 분기된 중앙을 기점으로 지주를 향해 만곡된 형태로 가압력이 떨어진다 하더라도 지주를 따라 하강하지 않고, 만곡된 형태에 의해 브레이킹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각 발판프레임은 고정수단에 의해 지주의 손상없이 지주의 높이방향을 따라 손쉽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판부는 사각틀 형태로 연결된 제1틀프레임과, 상기 제1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발판플레이트와, 상기 제1틀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는 걸림후크로 구성되고, 상기 계단부는 상호 간 나란히 배치되는 제2틀프레임과, 상기 제2틀프레임의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결합되는 계단플레이트와, 상기 각 제2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걸림후크로 구성되고, 상기 각 발판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수직프레임에 힌지프레임이 중첩되게 힌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지주에는 힌지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스토퍼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발판프레임은 핸드레일이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수평결합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이격되게 연결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보강을 위해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보강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가교부는 상기 각 발판프레임의 제1지지프레임 상부에 고정되는 제1가교파이프와, 상기 발판프레임과 발판프레임을 가로질러 상기 각 제1가교파이프의 양측에 연결되는 제2가교파이프 또는 단일의 제1가교파이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제5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에 공구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소켓이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스크류와, 상기 회전스크류에 결합되어 지주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제1가압클램프와, 제2가압클램프로 구성되되, 상기 제1가압클램프는 상기 회전스크류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관과, 상기 스크류관에 일체로 결합되어 지주의 측벽에 이탈 없이 밀착되는 분기된 걸림갈퀴로 구성되고, 상기 제2가압클램프는 공구소켓의 이동에 의해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스크류에 관통 결합되는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에 일체로 결합되어 지주의 측벽에 이탈 없이 밀착되는 분기된 걸림갈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에 따르면, 고정수단을 통해 발판프레임을 지주에 고정하고, 가교부를 발판프레임에 결속한 후, 상기 발판부와, 계단부는 별도의 결속없이 거치시키면 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간단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발판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지주에 발판프레임을 고정할 경우, 고정수단의 결속을 느슨하게 된다 하더라도, 제1,2가압클램프의 만곡된 걸림갈퀴에 의해 지주를 따라 하강하지 않고, 만곡된 형태에 의해 브레이킹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회전스크류가 제1가압클램프에만 스크류 결합되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보다 편리하게 발판프레임을 지주에 신속히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판프레임과, 발판부와, 계단부 및 가교부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구조가 매우 간단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발판프레임 및 고정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발췌된 발판프레임이 지주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수직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힌지프레임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6은 지주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의 작동도,
도 7은 발판프레임의 제1지지프레임에 안착된 가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1에서 발췌된 계단부 및 발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가교부의 의해 발판프레임의 높이가 조절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발판프레임 및 고정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발췌된 발판프레임이 지주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수직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힌지프레임을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6은 지주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의 작동도이고, 도 7은 발판프레임의 제1지지프레임에 안착된 가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서 발췌된 계단부 및 발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가교부의 의해 발판프레임의 높이가 조절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주의 손상없이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체하지 않고 지주에 가설된 상태에서 신속하게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한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에서 언급된 지주(200)는 방음벽 H빔 또는 구조물의 기초를 이루는 H빔 또는 건축구조물의 외벽 프레임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100)는 크게 5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발판프레임(10)과, 고정수단(20)과, 가교부(30)와, 발판부(40) 및 계단부(50)로 구성된다.
상기 발판프레임(10)은 시설물의 지주(200)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발판프레임(10)은 핸드레일(112)이 연결되는 수직프레임(11)과 상호 간 높이차를 갖게 상기 수직프레임(11)에 수평 연결되는 제1,2지지프레임(12,1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발판프레임(10)은 연결프레임(14)과, 보강프레임(15)을 더 포함하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판프레임(10)의 수직프레임(11)은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연결고리(111)가 형성되어 로프 또는 금속봉 또는 금속관과 같은 핸드레일(112)을 연결시켜 작업자의 낙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지지프레임(12)은 상기 수직프레임(11)의 하단에 수평 연결되어 발판부(4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고, 더불어 상기 지주(200)에 발판프레임(10)을 1점 지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13)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2)과 연결프레임(14)을 매개로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상호 간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2)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상기 지주(200)에 발판프레임(10)을 2점 지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프레임(15)은 상기 수직프레임(11)과 제2지지프레임(13)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시켜 상기 수직프레임(11)과, 제1,2지지프레임(12,13)의 구조적인 강성을 보강시킬 수 있으로 기능한다.
한편 도 5와 같이, 상기 각 발판프레임(10) 중 어느 하나는 수직프레임(11)에 힌지프레임(113)이 중첩되게 힌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주(200)에는 힌지프레임(113)을 수평 방향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스토퍼(7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힌지프레임(113)은 발판부(40)가 연결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 수평방향으로 펼쳐 선택적으로 작업자의 진입을 방지하여 낙상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20)은 상기 제1,2지지프레임(12,13)의 자유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발판프레임(10)을 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지주(200)에 외팔보 형태로 임시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20)은 3 및 도 6과 같이, 상기 제1,2지지프레임(12,13)의 폭방향을 따라 관통 결합되는 회전스크류(21)와, 상기 상기 제1지지프레임(12) 또는 제2지지프레임(13)을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스크류(21)에 축설되는 가압클램프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스크류(21)는 일측에 공구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소켓(21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2) 또는 제2지지프레임(13)의 폭방향을 따라 관통 결합되어 발판프레임(1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가압클램프는 지주(200)의 양측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제1가압클램프(22)와, 제2가압클램프(23)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1가압클램프(22)는 회전스크류(21)에 스크류 결합되고, 제2가압클램프(23)는 회전스크류(21)에 관통 결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제1가압클램프(22)는 상기 회전스크류(21)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관(221)과, 상기 스크류관(221)에 일체로 결합되어 지주의 측벽에 이탈 없이 밀착되는 분기된 걸림갈퀴(R)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압클램프(23)는 공구소켓(211)의 이동에 의해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스크류(21)에 관통 결합되는 중공관(231)과, 상기 중공관(231)에 일체로 결합되어 지주의 측벽에 이탈 없이 밀착되는 분기된 걸림갈퀴(R)로 구성된다.
상기 제1,2가압클램프(22,23)의 걸림갈퀴(R)는 도 4의 (a)와 같이, 2개로 분기된 형태로 하중을 분산시키고, 분기된 중앙을 기점으로 지주를 향해 만곡된 형태로 가압력이 떨어진다 하더라도 지주(200)를 따라 하강하지 않고, 만곡된 형태에 의해 브레이킹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된 고정수단(20)은 도 6과 같이, 공구소켓(211)에 공구를 삽입하여 회전스크류(21)를 회전시키면, 회전스크류(21)가 스크류 결합에 의해 제1가압클램프(2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이동하는 회전스크류(21)의 공구소켓(211)이 제2가압클램프(23)를 지주(200)의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가압클램프(22) 역시 회전스크류(21)의 진행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지주(200)의 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20)은 회전스크류(21)가 제1가압클램프(22)에만 스크류 결합되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보다 편리하게 발판프레임(10)을 지주에 신속히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가교부(30)는 각 지주(200)에 결합된 발판프레임(10)을 상호 간 연결하기 위해 각 발판프레임(10)의 제1지지프레임(12) 상부에 별도의 클램프(미도시)를 통해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가교부(30)는 도 7과 같이, 상기 각 발판프레임(10)의 제1지지프레임(12) 상부에 고정되는 제1가교파이프(31)와, 상기 발판프레임(10)과 발판프레임(10)을 가로질러 상기 각 제1가교파이프(31)의 양측에 연결되는 제2가교파이프(32)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교부(30)는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원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 각형 파이프로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판부(40)는 도 8의 (b)와 같이, 사각틀 형태로 연결된 제1틀프레임(41)과, 상기 제1틀프레임(41)의 상부에 고정되는 발판플레이트(42)와, 상기 제1틀프레임(41)의 양측에 결합되는 걸림후크(H)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발판부(40)는 별도의 결속 없이 양단에 결합된 걸림후크(H)를 통해 가교부(30)인 제1가교파이프(31)에 거치되어 손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계단부(50)는 도 1과 같이, 지상에서 발판부(40)으로의 진입을 원활하게 하기 일측이 가교부(30)인 제1가교파이프(31)에 거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계단부(50)는 도 8의 (a)와 같이, 상호 간 나란히 배치되는 제2틀프레임(51)과, 상기 제2틀프레임(51)의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결합되는 계단플레이트(52)와, 상기 각 제2틀프레임(51)의 일측에 결합되는 걸림후크(H)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계단부(50) 역시 별도의 결속없이 걸림후크(H)를 통해 손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가교부(30)는 도 9와 같이, 제2가교파이프(32) 없이 제1가교파이프(31)로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가교파이프(32)의 간섭이 없어지기 때문에 선택되는 발판부(40)의 높이를 손쉽게 맞출 수 있다.
즉, 공사구간의 높이가 다를 경우, 도 10과 같이, 가교부(30)와, 발판부(40)의 해체 없이 해당 발판프레임(10)의 고정수단(20) 결속을 느슨하게 한 후, 발판부(40)가 거치된 상태에서 해당 발판프레임(10)의 들어올리거나 하강시켜 높이를 조절한 후, 고정수단(20)을 다시 견고히 고정시키면 손쉽게 발판부(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4의 (a)와 같이, 고정수단(20)의 결속을 느슨하게 한다 하더라도, 제1,2가압클램프(22,23)의 걸림갈퀴(R)는 분기된 중앙을 기점으로 지주를 향해 만곡된 형태로 가압력이 떨어진다 하더라도 지주(200)를 따라 하강하지 않고, 만곡된 형태에 의해 브레이킹되어 손쉽게 발판프레임(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주(200)의 손상없이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교부와, 발판부(40)를 해체하지 않고 지주(200)에 임시 가설된 상태에서 신속하게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각 발판프레임(10)의 제1,2지지프레임(12,13)에 고정수단(20)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각 지주(200)에 발판프레임(10)의 높이를 결정한 후 고정수단(20)을 통해 지주(200)에 발판프레임(10)을 외팔보 형태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각 발판프레임(10)의 제1지지프레임(12)에 가교부(30)를 고정한다.
그리고 걸림후크(H)를 통해 가교부(30)에 발판부(40)을 거치시킨다.
마지막으로 걸림후크(H)를 통해 가교부(30)에 계단부(50)를 거치시켜 시공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는 하기와 같은 차별적인 특징을 갖는다.
첫째: 고정수단(20)을 통해 발판프레임(10)을 지주(200)에 고정하고, 가교부(30)를 발판프레임(10)게 결속한 후, 상기 발판부(40)와, 계단부(50)는 별도의 결속없이 거치시키면 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간단한 특징이 있다.
둘째: 발판프레임(10)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지주(200)에 발판프레임(10)을 고정할 경우, 고정수단(20)의 결속을 느슨하게 된다 하더라도, 제1,2가압클램프(22,23)의 만곡된 걸림갈퀴(R)에 의해 지주(200)를 따라 하강하지 않고, 만곡된 형태에 의해 브레이킹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셋째: 상기 고정수단(20)은 회전스크류(21)가 제1가압클램프(22)에만 스크류 결합되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보다 편리하게 발판프레임(10)을 지주에 신속히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발판프레임(10)과, 발판부(40)와, 계단부(50) 및 가교부(30)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구조가 매우 간단한 특징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발판프레임 11: 수직프레임 111: 연결고리
112: 핸드레일 113: 힌지프레임
12: 제1지지프레임 13: 제2지지프레임
14: 연결프레임 15: 보강프레임
20: 고정수단 21: 회전스크류 211: 공구소켓
22: 제1가압클램프 221: 스크류관
23: 제2가압클램프 231: 중공관
R: 걸림갈퀴
30: 가교부 31: 제1가교파이프 32: 제2가교파이프
40: 발판부 41: 제1틀프레임 42: 발판플레이트
H: 걸림후크
50: 계단부 51: 제2틀프레임 52: 계단플레이트
H: 걸림후크
70: 스토퍼
100: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
200: 지주

Claims (5)

  1. 핸드레일(112)이 연결되는 수직프레임(11)과 상호 간 높이차를 갖게 상기 수직프레임(11)에 수평 연결되는 제1,2지지프레임(12,13)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발판프레임(10);
    상기 제1,2지지프레임의 자유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지면에ㅔ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각 지주(200)에 발판프레임(10)을 외팔보 형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20);
    상기 각 지주(200)에 결합된 발판프레임(10)을 상호 간 연결하기 위해 각 발판프레임(10)의 제1지지프레임(12) 상부에 고정되는 가교부(30);
    상기 가교부(30)의 상부에 거치되는 발판부(40); 및
    지상에서 발판부(40)으로의 진입을 원활하게 하기 일측이 가교부(30)에 거치되는 계단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발판부(40)과 계단부(50)는 손쉽게 분해 조립되도록 걸림후크(H)를 통해 상기 가교부(30)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수단(20)은 회전스크류(21)의 회전에 의해 지주(200)의 양측을 가압하는 제1,2가압클램프(22,23)로 구성되고,
    상기 제1,2가압클램프(22,23)는 걸림갈퀴(R)가 2개로 분기된 형태로 하중을 분산시키고, 더불어 분기된 중앙을 기점으로 지주(200)를 향해 만곡된 형태로 가압력이 떨어진다 하더라도 지주(200)를 따라 하강하지 않고, 만곡된 형태에 의해 브레이킹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각 발판프레임(10)은 고정수단(20)에 의해 지주(200)의 손상없이 지주(2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손쉽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판부(40)는 사각틀 형태로 연결된 제1틀프레임(41)과, 상기 제1틀프레임(41)의 상부에 고정되는 발판플레이트(42)와, 상기 제1틀프레임(41)의 양측에 결합되는 걸림후크(H)로 구성되고,
    상기 계단부(50)는 상호 간 나란히 배치되는 제2틀프레임(51)과, 상기 제2틀프레임(51)의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결합되는 계단플레이트(52)와, 상기 각 제2틀프레임(51)의 일측에 결합되는 걸림후크(H)로 구성되고,
    상기 각 발판프레임(10) 중 어느 하나는 수직프레임(11)에 힌지프레임(113)이 중첩되게 힌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지주(200)에는 힌지프레임(113)을 수평 방향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스토퍼(7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프레임(10)은 핸드레일(112)이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연결고리(111)가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1)과, 상기 수직프레임(11)의 하단에 수평결합되는 제1지지프레임(12)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12)과 연결프레임(14)을 매개로 상기 제1지지프레임(12)의 하부에 이격되게 연결되는 제1지지프레임(12)과, 보강을 위해 제1지지프레임(12)과 상기 수직프레임(11)을 연결하는 보강프레임(1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부(30)는 상기 각 발판프레임(10)의 제1지지프레임(12) 상부에 고정되는 제1가교파이프(31)와, 상기 발판프레임(10)과 발판프레임(10)을 가로질러 상기 각 제1가교파이프(31)의 양측에 연결되는 제2가교파이프(32) 또는 단일의 제1가교파이프(3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0)은 일측에 공구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소켓(211)이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스크류(21)와, 상기 회전스크류(21)에 결합되어 지주(200)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제1가압클램프(22)와, 제2가압클램프(23)로 구성되되,
    상기 제1가압클램프(22)는 상기 회전스크류(21)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관(221)과, 상기 스크류관(221)에 일체로 결합되어 지주의 측벽에 이탈 없이 밀착되는 분기된 걸림갈퀴(R)로 구성되고,
    상기 제2가압클램프(23)는 공구소켓(211)의 이동에 의해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스크류(21)에 관통 결합되는 중공관(231)과, 상기 중공관(231)에 일체로 결합되어 지주의 측벽에 이탈 없이 밀착되는 분기된 걸림갈퀴(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
KR1020200099176A 2020-08-07 2020-08-07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 KR102180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176A KR102180857B1 (ko) 2020-08-07 2020-08-07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176A KR102180857B1 (ko) 2020-08-07 2020-08-07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857B1 true KR102180857B1 (ko) 2020-11-19

Family

ID=7367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176A KR102180857B1 (ko) 2020-08-07 2020-08-07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85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3194B2 (en) 2016-06-24 2022-04-05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Modular ledger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306492B2 (en) 2016-06-24 2022-04-19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Load bearing components and safety deck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CN114961200A (zh) * 2022-07-04 2022-08-30 朱平平 一种用于建筑工程测量用的移动操作架
KR102477113B1 (ko) * 2021-12-27 2022-12-13 (주)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 현장 시공이 용이한 가설 발판 조립체
US11624196B2 (en) 2016-06-24 2023-04-11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Connector end fitting for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976483B2 (en) 2016-06-24 2024-05-07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Modular post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596Y1 (ko) * 2000-06-09 2000-11-01 윤종철 거푸집 작업용 발판 지지대
JP2001107555A (ja) * 1999-10-07 2001-04-17 Nishimatsu Constr Co Ltd 鋼柱用足場
KR200323788Y1 (ko) 2003-01-11 2003-08-19 주식회사 신영 건축용 비계 조립구조
JP3114414U (ja) * 2005-07-05 2005-10-27 信和サービス 株式会社 壁つなぎ取付具
KR20170119777A (ko) * 2016-04-19 2017-10-30 주식회사 블루폼 안전작업대 모듈
JP2019099993A (ja) * 2017-11-28 2019-06-24 エスアールジータカミヤ株式会社 仮設足場用角度可変梯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555A (ja) * 1999-10-07 2001-04-17 Nishimatsu Constr Co Ltd 鋼柱用足場
KR200201596Y1 (ko) * 2000-06-09 2000-11-01 윤종철 거푸집 작업용 발판 지지대
KR200323788Y1 (ko) 2003-01-11 2003-08-19 주식회사 신영 건축용 비계 조립구조
JP3114414U (ja) * 2005-07-05 2005-10-27 信和サービス 株式会社 壁つなぎ取付具
KR20170119777A (ko) * 2016-04-19 2017-10-30 주식회사 블루폼 안전작업대 모듈
JP2019099993A (ja) * 2017-11-28 2019-06-24 エスアールジータカミヤ株式会社 仮設足場用角度可変梯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3194B2 (en) 2016-06-24 2022-04-05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Modular ledger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306492B2 (en) 2016-06-24 2022-04-19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Load bearing components and safety deck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624196B2 (en) 2016-06-24 2023-04-11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Connector end fitting for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970873B2 (en) 2016-06-24 2024-04-30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Bearing plate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976483B2 (en) 2016-06-24 2024-05-07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Modular post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102477113B1 (ko) * 2021-12-27 2022-12-13 (주)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 현장 시공이 용이한 가설 발판 조립체
CN114961200A (zh) * 2022-07-04 2022-08-30 朱平平 一种用于建筑工程测量用的移动操作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857B1 (ko) 지주용 가설 발판 조립체
EP0408209A2 (en) Formwork system
JPH10280669A (ja) 足場ユニット
US2916245A (en) Adjustable scaffold bracket
CN111422758A (zh) 一种锥形钢桁架吊装卡具及吊装工艺
JP6889630B2 (ja) 階段開口部手摺および階段開口部手摺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KR102477113B1 (ko) 현장 시공이 용이한 가설 발판 조립체
JPH1150653A (ja) 足場板支持フレーム及びその取付・撤去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壁体の構築方法
US10526802B2 (en) Scaffold extensions
JPH1113274A (ja) ベント作業足場
KR100760332B1 (ko) 캔틸레버형 가설재, 이를 이용한 구조물 축조방법 및 이의해체방법
JP3111854B2 (ja) 建築物構築用ジャンピング足場の昇降ガイド機構
RU204002U1 (ru) Опор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JP2807776B2 (ja) 仮設手摺り用巾木装置
JPH08333884A (ja) 建築物構築作業用ジャンピング足場の渡り板機構
JP2992882B2 (ja) 梁型枠装置
JP2001288883A (ja) 枠組足場の先行手摺
JP3075475U (ja) 橋梁管路敷設用足場
JP3077559B2 (ja) 建築物構築用ジャンピング足場の支持機構
JP3546225B2 (ja) 建築構造物の構築方法
KR200175312Y1 (ko) 비계의 조립장치
JPH09256622A (ja) ケーソン用内足場とその架設方法および解体方法
KR20240042939A (ko)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KR20230054932A (ko) 인양시스템 일체식 낙하방지망 및 그 설치방법
JP2001132224A (ja) 吊り下げ足場の構築方法と構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