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939A -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939A
KR20240042939A KR1020220121823A KR20220121823A KR20240042939A KR 20240042939 A KR20240042939 A KR 20240042939A KR 1020220121823 A KR1020220121823 A KR 1020220121823A KR 20220121823 A KR20220121823 A KR 20220121823A KR 20240042939 A KR20240042939 A KR 20240042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emporary frame
vertical
vertical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장재
전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121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2939A/ko
Publication of KR20240042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받침부재가 기존의 시스템 동바리의 수직재에 형성된 날개부에 체결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뭉치 고정용 키(Key)를 사용하여 보강부재를 고정부재에 체결할 수 있어, 지지대 설치를 위한 별도의 수직재의 제작 없이 기존의 규격화된 시스템 동바리 수직재에 지지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시스템 동바리의 투입 양을 줄이고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가설프레임 수직재 날개부에 고정되며 타측이 제1 수직부재에 연결되어 작업발판이 설치되는 받침부재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제1 수직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가 받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보강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의 하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이 연결되며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보강부재의 타측이 연결되는 제1 수직부재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받침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며 하부가 상기 보강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 및 보강부재의 형태를 유지시키며 지지하는 제2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일측만이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에 고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SUPPORTS FOR WORK DECK OF SYSTEM SCAFFOLDING OR SYSTEM SUPPORT}
개시된 내용은 건축 공사 중 데크 플레이트 구조물의 시스템 동바리 시공할 때, 보의 설치 후 보의 양쪽 옆에 작업용 발판의 설치를 위한 지지대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되었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바리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콘크리트가 정해진 강도가 될 때까지 고정하중과 시공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받쳐주는 건축자재이다.
시스템 동바리는 수직재, 수평재 등의 각각의 부재를 정하여진 규격대로 공장에서 미리 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동바리인데, 규격이 정하여져 있다 보니 거푸집 중간에 보가 위치하는 경우 정하여진 규격의 시스템 동바리를 배치하고 여기에 작업용 발판을 설치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보의 양옆에 추가적인 수직재를 배치하지 않고 작업발판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작업발판 지지대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2348243호(2022.01.04. 등록)에는 거푸집에 설치되는 작업 발판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소재의 거푸집 작업 발판용 지지대의 폭을 필요에 따라 신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신장된 지지대의 넓어진 폭으로 2줄의 작업 발판을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의 시공 설치 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장된 작업 발판을 통해, 각종 장비 등을 적재할 수 있으며, 건축 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 및 낙하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지지대의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 작업발판 지지대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17-0124311호(2017.11.10. 공개)에는 복수 개의 삽입구멍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어있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직각으로 돌출되게 일측단부가 연결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타측 저면과 지지대의 하부에 일측 및 타측부가 각각 연결되는 보강대로 발판브라켓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발판브라켓이 개시된다.
그리고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205940호(2000.09.27. 등록)에는 그 일단에 채널형상의 끼움편이 마련되어 건물의 거푸집에 대략 직각방향으로 돌출 고정되는 제1 지지바아와, 그 일단이 이 제1 지지바아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그 타단부에 채널형상의 끼움편이 마련되어 상기 거푸집에 고정되는 제2 지지바아와, 상기 제1 지지바아의 상면에 설치되어 파이프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거푸집 작업용 발판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바아의 선단부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된 결합보스와, 이 결합보스에 상향 연장되도록 결합된 수직포스트와, 이 수직포스트의 소정 높이에 설치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안전장치에 의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작업용 발판지지대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작업발판 지지대들은 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수평재를 추가로 제작하고 시공하여야하기에 시공이 복잡해지고 추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2348243호(2022.01.04. 등록) 2.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17-0124311호(2017.11.10. 공개) 3.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205940호(2000.09.27. 등록)
받침부재가 기존의 시스템 동바리의 수직재에 형성된 날개부에 체결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뭉치 고정용 키(Key)를 사용하여 보강부재를 고정부재에 체결할 수 있어 시스템 동바리의 투입 양을 줄이고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킨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가설프레임(Frame) 수직재 날개부에 고정되며 타측이 제1 수직부재에 연결되어 작업발판이 설치되는 받침부재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제1 수직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가 받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보강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의 하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이 연결되며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보강부재의 타측이 연결되는 제1 수직부재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받침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며 하부가 상기 보강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 및 보강부재의 형태를 유지시키며 지지하는 제2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일측만이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에 고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재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 받침부재 본체와, 상기 받침부재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 날개부에 체결되는 제1 뭉치부재 및 상기 제1 뭉치부재 및 가설프레임 수직재 날개부에 체결되어 상기 받침부재를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에 고정시키는 제1 키(Key)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재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 보강부재 본체와, 상기 보강부재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고정부재 날개부에 체결되는 제2 뭉치부재 및 상기 제2 뭉치부재 및 고정부재 날개부에 체결되어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제2 키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재는, 일단으로부터 타단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단 방향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위치로부터 타단까지 상단 방향으로 사선으로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원호의 단면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의 외주면에 면 접촉되게 고정되는 고정부재 베이스(Base) 및 상기 고정부재 베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부재 날개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직부재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 및 상기 보강부재의 타측이 연결되는 제1 수직부재 본체 및 상기 제1 수직부재 본체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이 고정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수직부재 날개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수직부재는, 하부가 상기 보강부재의 절곡된 위치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받침부재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2 수직부재의 하부가 연결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직부재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에 용접, 나사체결, 키체결 및 이들의 혼합된 방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정 방법으로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에 고정시킨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는, 일반 구조용 탄소 강재,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열간 압연 강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에 의하여 받침부재가 기존의 시스템 동바리의 수직재에 형성된 날개부에 체결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뭉치 고정용 키(Key)를 사용하여 보강부재를 고정부재에 체결할 수 있어, 지지대 설치를 위한 별도의 수직재의 제작 없이 기존의 규격화된 시스템 동바리 수직재에 지지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스템 동바리의 투입 양을 줄이고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킨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의 사용상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의 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의 정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 및 고정부재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의 사용상태도이다.
건축공사 중 가설프레임을 시공할 때, 보를 설치한 후 보의 양옆에 작업용 발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추가로 가설프레임 수직재(20)를 설치하지 않고, 기 시공된 가설프레임 수직재(20)에 형성된 가설프레임 수직재 날개부(30)에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10)를 설치한 후 상기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10) 상에 작업발판(40)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설프레임 수직재(20)의 투입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시공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의 정면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1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받침부재(100), 보강부재(200), 고정부재(300), 제1 수직부재(400) 및 제2 수직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부재(100)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100)는 일측이 가설프레임 수직재 날개부(30)에 고정되며 타측이 제1 수직부재(4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100)에는 작업발판(4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받침부재 본체(110), 제1 뭉치부재(120) 및 제1 키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부재 본체(110)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뭉치부재(120)는 상기 받침부재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뭉치부재(120)는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 날개부(30)에 체결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키부재(130)는 상기 제1 뭉치부재(120) 및 가설프레임 수직재 날개부(30)에 체결되어 상기 받침부재(100)를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100)는 일측만이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2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20)에 고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작업발판(40)의 설치를 위하여 투입되는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20)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재(200)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200)는 일측이 고정부재(300)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제1 수직부재(4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200)는 상기 받침부재(100)가 받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강부재 본체(210), 제2 뭉치부재(220) 및 제2 키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강부재 본체(210)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뭉치부재(220)는 상기 보강부재 본체(2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뭉치부재(220)는 고정부재 날개부(320)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키부재(230)는 상기 제2 뭉치부재(220) 및 고정부재 날개부(32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키부재(230)는 상기 보강부재(200)를 상기 고정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재(200)는 일단으로부터 타단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단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200)는 절곡된 위치로부터 타단까지 상단 방향으로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200)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된 위치까지의 상기 보강부재(200)는 상기 받침부재(100)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200)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된 위치까지의 상기 보강부재(200)는 상기 받침부재(100)와 평행하지 않게 형성될 수 도 있다.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 및 고정부재의 사용상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받침부재(100)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20)의 하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보강부재(200)를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 베이스(310) 및 고정부재 날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재 베이스(310)는 원호의 단면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베이스(310)는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20)의 외주면에 면 접촉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 날개부(320)는 상기 고정부재 베이스(3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날개부(320)에는 상기 보강부재(200)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강부재(200)에 구비된 상기 제2 뭉치부재(220)가 먼저 상기 고정부재 날개부(32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2 키부재(230)를 상기 제2 뭉치부재(220) 및 상기 고정부재 날개부(320)에 체결시켜 상기 보강부재(200)를 상기 고정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20)에 용접, 나사체결, 키체결 및 이들의 혼합된 방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정 방법으로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용접 방법에 의하여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20)에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10)의 설치하기 위하여서는 상기 고정부재(300)가 용접된 가설프레임 수직재(20) 만을 사용하여야하기에 안정성은 높아지나 시공 편의성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0)는 나사체결 방법 또는 키체결 방법에 의하여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2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20)에 나사체결 또는 키체결을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등의 간단한 작업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300)를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20)에 고정시킬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직부재(400)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부재(400)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받침부재(100)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부재(400)에는 상기 받침부재(100)의 타측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보강부재(200)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직부재(4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수직부재 본체(410) 및 제1 수직부재 날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수직부재 본체(410)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부재 본체(410)에는 상기 받침부재(100)의 타측 및 상기 보강부재(200)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직부재 날개부(420)는 상기 제1 수직부재 본체(410)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받침부재(100)의 타측이 고정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부재 날개부(420)에는 가설프레임 수평재(미도시) 등이 고정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수직부재(500)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직부재(500)는 상부가 상기 받침부재(1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직부재(500)는 하부가 상기 보강부재(2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직부재(500)는 상기 받침부재(100) 및 보강부재(200)의 형태를 유지시키며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직부재(500)는 하부가 상기 보강부재(200)의 절곡된 위치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직부재(500)는 상부가 상기 받침부재(100)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2 수직부재(500)의 하부가 연결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직부재(500)는 상기 제1 수직부재(400)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10)는 일반 구조용 탄소 강재,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열간 압연 강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받침부재
110 : 받침부재 본체 120 : 제1 뭉치부재
130 : 제1 키부재
200 : 보강부재
210 ; 보강부재 본체 220 : 제2 뭉치부재
230 : 제2 키부재
300 : 고정부재
310 : 고정부재 베이스 320 : 고정부재 날개부
400 : 제1 수직부재
410 : 제1 수직부재 본체 420 : 제1 수직부재 날개부
500 : 제2 수직부재
10 :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20 : 가설프레임 수직재
30 : 가설프레임 수직재 날개부
40 : 작업발판

Claims (9)

  1.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가설프레임 수직재 날개부에 고정되며 타측이 제1 수직부재에 연결되어 작업발판이 설치되는 받침부재;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제1 수직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가 받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보강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의 하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이 연결되며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보강부재의 타측이 연결되는 제1 수직부재;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받침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며 하부가 상기 보강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 및 보강부재의 형태를 유지시키며 지지하는 제2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일측만이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에 고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 받침부재 본체;
    상기 받침부재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 날개부에 체결되는 제1 뭉치부재; 및
    상기 제1 뭉치부재 및 가설프레임 수직재 날개부에 체결되어 상기 받침부재를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에 고정시키는 제1 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 보강부재 본체;
    상기 보강부재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고정부재 날개부에 체결되는 제2 뭉치부재; 및
    상기 제2 뭉치부재 및 고정부재 날개부에 체결되어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제2 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일단으로부터 타단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단 방향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위치로부터 타단까지 상단 방향으로 사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원호의 단면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의 외주면에 면 접촉되게 고정되는 고정부재 베이스; 및
    상기 고정부재 베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부재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부재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 및 상기 보강부재의 타측이 연결되는 제1 수직부재 본체; 및
    상기 제1 수직부재 본체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이 고정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수직부재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부재는,
    하부가 상기 보강부재의 절곡된 위치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받침부재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2 수직부재의 하부가 연결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직부재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에 용접, 나사체결, 키체결 및 이들의 혼합된 방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정 방법으로 상기 가설프레임 수직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는,
    일반 구조용 탄소 강재,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열간 압연 강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KR1020220121823A 2022-09-26 2022-09-26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KR20240042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823A KR20240042939A (ko) 2022-09-26 2022-09-26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823A KR20240042939A (ko) 2022-09-26 2022-09-26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939A true KR20240042939A (ko) 2024-04-02

Family

ID=9071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823A KR20240042939A (ko) 2022-09-26 2022-09-26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293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940Y1 (ko) 2000-07-14 2000-12-01 윤종철 거푸집 작업용 발판지지대
KR20170124311A (ko) 2016-05-02 2017-11-10 윤성민 거푸집용 발판브라켓
KR102348243B1 (ko) 2021-07-28 2022-01-07 김경진 거푸집 작업 발판용 지지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940Y1 (ko) 2000-07-14 2000-12-01 윤종철 거푸집 작업용 발판지지대
KR20170124311A (ko) 2016-05-02 2017-11-10 윤성민 거푸집용 발판브라켓
KR102348243B1 (ko) 2021-07-28 2022-01-07 김경진 거푸집 작업 발판용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95007A1 (en) Safety barriers
US8919727B2 (en) Elevated floor and ceiling slab formwork system
JP6846098B2 (ja) 梁枠の取付構造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梁枠受け部材及び梁枠渡し部材
CN114412152A (zh) 高层集群项目大跨度悬挑结构施工工字钢脚手架的工法
EP2464802B1 (en) Edge protection system
JP6281015B1 (ja) 免震建物用仮設足場の耐震施工方法
CN117306831A (zh) 一种盘扣式脚手架搭设方法
US6799658B2 (en) Mobile outrigger scaffolding system
CN109914792B (zh) 一种地下车库梁模板施工方法
CN114341449A (zh) 用于模板支护的支柱头及其使用方法
KR20240042939A (ko)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KR20190108739A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200491378Y1 (ko) 안전 발판의 지지대 및 비계
EP3176349A1 (en) Anti-lifting coupling system
KR102289940B1 (ko)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CN113202281A (zh) 一种建筑模板操作平台
CN111042508A (zh) 一种高空超长悬挑支撑构件及其施工方法
KR200307607Y1 (ko)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KR102198600B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장치
JPH0754480A (ja) 枠組足場ならびにその組立、解体方法
WO2019126187A1 (e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JP3638761B2 (ja) H形枠組み足場
JP2018145783A (ja) パイプサポート支承具、支承構造及び支承方法
CN219100689U (zh) 一种适用于超高楼层附着式升降脚手架的附着结构
CN217461723U (zh) 施工现场装配式围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