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577B1 - 용접시스템 - Google Patents

용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577B1
KR102179577B1 KR1020200075463A KR20200075463A KR102179577B1 KR 102179577 B1 KR102179577 B1 KR 102179577B1 KR 1020200075463 A KR1020200075463 A KR 1020200075463A KR 20200075463 A KR20200075463 A KR 20200075463A KR 102179577 B1 KR102179577 B1 KR 102179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ing leg
booth
protrusion
pressing
pres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태광
Original Assignee
우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태광 filed Critical 우태광
Priority to KR102020007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60Ventilation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7Fume suction nozzles arranged on a closed or semi-closed surface, e.g. on a circular, ring-shaped or rectangular surface adjacent the area where fumes are produ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가공시스템에 있어서, 대상물이 위치되어 기 준비된 도장수단에 의하여 대상물을 도장시키기 위한 사각의 부스(10)를 포함하는 도장시스템을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대상물의 도장, 용접 등 각종 가공과정에 있어서 가공 룸(예 : 부스 등)을 별도로 마련하여 가공 룸 내부에서 제품의 가공을 수행하여 외부로 작업여파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과적인 작업현장의 운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접시스템{Welding system}
본 발명은 제품 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의 도장, 용접 등 각종 가공과정에 있어서 가공 룸(예 : 부스 등)을 별도로 마련하여 가공 룸 내부에서 제품의 가공을 수행하여 외부로 작업여파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과적인 작업현장의 운영이 이루어지며, 가공 룸 자체를 작업자의 편의와 작업 구조에 맞추어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내부적 또는 외부적 요인에 대한 내진과 충격을 효과적으로 저감시켜 안정적인 제품 가공시스템의 운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 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품에 대한 용접, 도장 등 각각의 가공을 수행함에 있어서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 공간 내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주변으로의 작업 여파가 노출되어 주변의 다른 작업자가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가공 룸을 제공하되, 가공 룸의 설치되는 높이와 설치되는 방식을 보다 탄력적이고 유연하게 설치하여 작업자가 일륙적인 위치에 설치되는 가공 룸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가공 룸을 작업자의 작업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가공 룸 자체의 구조적 안정성도 함께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을 만족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33678호
본 발명은, 대상물의 도장, 용접 등 각종 가공과정에 있어서 가공 룸(예 : 부스 등)을 별도로 마련하여 가공 룸 내부에서 제품의 가공을 수행하여 외부로 작업여파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과적인 작업현장의 운영이 이루어지며, 가공 룸 자체를 작업자의 편의와 작업 구조에 맞추어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내부적 또는 외부적 요인에 대한 내진과 충격을 효과적으로 저감시켜 안정적인 제품 가공시스템의 운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 가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품가공시스템에 있어서, 대상물이 위치되어 기 준비된 도장수단에 의하여 대상물을 도장시키기 위한 사각의 부스(10)를 포함하는 도장시스템을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품가공시스템에 있어서, 대상물이 위치되어 기 준비된 용접수단에 의하여 대상물을 용접시키기 위한 사각의 부스(10)를 포함하는 용접시스템을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 가공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제품에 대한 용접, 도장 등 각각의 가공을 수행함에 있어서 주변으로의 작업 여파가 노출되어 주변의 다른 작업자가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제품 가공을 수행하는 별도의 가공 룸을 제공하되, 가공 룸의 설치되는 높이와 설치되는 방식을 보다 탄력적이고 유연하게 설치하여 작업자가 일륙적인 위치에 설치되는 가공 룸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가공 룸을 작업자의 작업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로 구축할 수 있다.
셋째, 별도의 가공룸의 위치를 별도로 조정하여 설치하여 운용하는 과정에서 가공 룸 자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복하여, 내부적 또는 외부적 요인에 대한 내진과 충격을 효과적으로 저감시켜 안정적인 제품 가공시스템의 운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가공시스템의 용접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부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가공시스템의 도장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부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품 가공시스템의 용접 또는 도장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부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품 가공시스템의 용접 또는 도장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부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가공시스템의 용접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부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품가공시스템에 있어서, 대상물이 위치되어 기 준비된 도장수단에 의하여 대상물을 도장시키기 위한 사각의 부스(1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가공시스템의 도장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부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품가공시스템에 있어서, 대상물이 위치되어 기 준비된 용접수단에 의하여 대상물을 용접시키기 위한 사각의 부스(10)를 포함하는 용접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품 가공시스템의 용접 또는 도장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부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출입구(11)가 구비된 육면체 형상의 부스(10)와, 부스(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에 구성되는 이동바퀴(20)와, 부스(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창문을 통한 외기와 연통이 이루어지는 통풍관(30)과, 통풍관(30)의 입구측에 구성되어 담배연기를 외부로 강제 송풍시키는 환풍팬(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통풍관(30)은 길이 및 방향의 가변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 형태의 플렉시블 주름관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출입구(11)는 방풍 바람막이 형태 또는 도어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품 가공시스템의 부스는 실내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신속하게 1차 정화한 뒤 외부로 배출시킴으로 내부 작업에 따른 오염공기에 의한 피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통풍관(30)을 창문으로 연결 설치하여 외기와 연통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이 이루어지게 되며, 사용자가 출입구(11)를 통해 내부로 들어와서 흡연을 하게되면 흡연으로 인해 발생되는 담배연기가 공기정화(필터)를 거처 환풍팬(40)의 가동에 의해 강제로 통풍관(30)을 통해 흡수되어 창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제품 가공시스템의 부스는 부스(10) 하부에 이동바퀴(20)가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설치 위치의 자유로운 이동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제품 가공시스템의 부스의 실내 설치위치의 이동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품 가공시스템의 용접 또는 도장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부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대상물이 위치되어 기 준비된 도장수단에 의하여 대상물을 도장시키기 위한 사각의 부스(10); (혹은 대상물이 위치되어 기 준비된 도장수단에 의하여 대상물을 도장시키기 위한 사각의 부스(10);) 상기 부스(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지탱다리부(111); 상기 부스(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지탱다리부(112); 상기 부스(10)의 하부에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와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 사이에 구비되는 제3 지탱다리부(113); 상기 부스(10)의 하부에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와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 사이에 구비되는 제4 지탱다리부(114);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 외측에 구비되는 제1 리프트모듈부(131)와, 상기 제1 리프트모듈부(131)의 상부로 상승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사각의 부스(10)에 접촉하여 연동고정되는 제1 접촉모듈부(132)를 포함하는 제1 리프트부;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 외측에 구비되는 제2 리프트모듈부(133)와, 상기 제2 리프트모듈부(133)의 상부로 상승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사각의 부스(10)에 접촉하여 연동고정되는 제2 접촉모듈부(134)를 포함하는 제2 리프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촉모듈부(132)는 제1 돌출부(1321) 내지 제3 돌출부(1323)가 구비되어 상기 부스(10)의 일측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2 접촉모듈부(134)는 제4 돌출부(1341) 내지 제6 돌출부(1343)가 구비되어 상기 부스(10)의 타측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돌출부(1321) 내지 상기 제6 돌출부(1343)는 상기 부스(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기 모터회전에 기반하는 토크로 회전되어 상기 부스(10)의 내부공간 내주면에 대한 밀착고정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1 리프트모듈부(131)는,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부를 가압고정하기 위한 제1 가압수단(1312)과,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부를 가압고정하기 위한 제2 가압수단(1311)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압수단(1311)은 상기 제1 리프트모듈부(131)에서 상기 제1 가압수단(1312)의 상부로 위치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수단(1312)은 상기 부스(10)의 하부를 일부가 안착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리프트모듈부(133)는,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부를 가압고정하기 위한 제3 가압수단(1332)과,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부를 가압고정하기 위한 제4 가압수단(1331)을 포함한다. 상기 제4 가압수단(1331)은 상기 제2 리프트모듈부(133)에서 상기 제3 가압수단(1332)의 상부로 위치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4 가압수단(1331)은 상기 부스(10)의 하부를 일부가 안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리프트모듈부(131)는 상기 제1 돌출부(1321), 상기 제2 돌출부(1322), 상기 제3 돌출부(1323), 상기 제1 가압수단(1312), 상기 제2 가압수단(1311)이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촉모듈부(13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범위 유동시켜 걸림 고정에 의한 고정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2 리프트모듈부(133)는 상기 제4 돌출부(1341), 상기 제5 돌출부, 상기 제6 돌출부(1343), 상기 제3 가압수단(1332), 상기 제4 가압수단(1331)이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접촉모듈부(134)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범위 유동시켜 걸림 고정에 의한 고정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와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 사이에는 제1 보강가압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와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를 상호간에 고정시키며, 상기 제1 보강가압체는, 하부에 제1 구동하우징부(125)와, 상기 제1 구동하우징부(125)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1 유동체(115)와, 상기 제1 유동체(115)의 높이방향상에서 구비되며 양측으로 각각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와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에 삽입되는 제1 플레이트 패널부(1152)와, 상기 제1 유동체(115)의 상방 단부에 구비되며 양측으로 각각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와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에 삽입되는 제2 플레이트 패널부(115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체(115)는, 상기 제1 플레이트패널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 패널부(1151)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동하우징부(125)에서 기 설정되는 힘으로 승하강 구동되어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와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를 가압 홀딩시킨다.
이때, 상기 제4 지탱다리부(114)와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 사이에는 제2 보강가압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4 지탱다리부(114)와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를 상호간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2 보강가압체는, 하부에 제2 구동하우징부(126)와, 상기 제2 구동하우징부(126)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2 유동체(116)와, 상기 제2 유동체(116)의 높이방향상에서 구비되며 양측으로 각각 상기 제4 지탱다리부(114)와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에 삽입되는 제3 플레이트 패널부(1162)와, 상기 제2 유동체(116)의 상방 단부에 구비되며 양측으로 각각 상기 제4 지탱다리부(114)와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에 삽입되는 제4 플레이트 패널부(1161)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유동체(116)는, 상기 제3 플레이트 패널부(1162)와 상기 제4 플레이트 패널부(1161)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구동하우징부(126)에서 기 설정되는 힘으로 승하강 구동되어 상기 제4 지탱다리부(114)와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를 가압 홀딩시킨다.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와 상기 제4 지탱다리부(114) 사이에는 제3 보강가압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와 상기 제4 지탱다리부(114)를 상호간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3 보강가압체는, 하부에 제3 구동하우징부(127)와, 상기 제3 구동하우징부(127)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3 유동체(119)와, 상기 제3 유동체(119)의 높이방향상에서 구비되며 양측으로 각각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와 상기 제4 지탱다리부(114)에 삽입되는 제5 플레이트 패널부(1192)와, 상기 제3 유동체(119)의 상방 단부에 구비되며 양측으로 각각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와 상기 제4 지탱다리부(114)에 삽입되는 제6 플레이트 패널부(1191)가 구비된다.
상기 제3 유동체(119)는, 상기 제5 플레이트 패널부(1192)와 상기 제6 플레이트 패널부(1191)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3 구동하우징부(127)에서 기 설정되는 힘으로 승하강 구동되어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와 상기 제5 지탱다리부를 가압 홀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하우징부(125), 상기 제3 구동하우징부(127), 상기 제1 리프트모듈부(131), 상기 제2 리프트모듈부(133)의 하부에는 기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구동하우징부(125), 상기 제3 구동하우징부(127)는 상기 기저부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 리프트모듈부(131), 상기 제2 리프트모듈부(133)는 상기 기저부에 안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 패널부(1151), 상기 제3 플레이트 패널부(1162), 상기 제5 플레이트 패널부(1192)는 모터회전방식에 기반하여 둘레방향회전되며, 각기 삽입된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 내지 제4 지탱다리부(114) 상에서 제1 지탱다리부(111) 내지 제4 지탱다리부(114) 상호간에 대한 둘레방향 가압힘을 발생시키도록 회전힘을 가한다. 한편, 제1 접촉모듈부(132)의 상단에는 회동을 통해 부스(10)의 상부를 눌러 마감하여 하부로 누르거나, 혹은 내부외 외부의 방음 등을 위한 회동패널부(TL)가 구비된다. 여기서 이러한 회동패널부(TL)는 기본적으로 밀폐를 위한 것을 목적으로하되, 상기 부스(10)와 외부간의 연통, 흡기 등을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도록 일부 통공이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구성들에 있어 진퇴 승하강 부분의 구동은 기존의 실린더 타입 모듈과, 액츄에이터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회전부분에 대한 구동은 기존의 각종 모터수단을 통해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부스
111 : 제1 지탱다리부
112 : 제2 지탱다리부
113 : 제3 지탱다리부
114 : 제4 지탱다리부
131 : 제1 리프트모듈부
132 : 제1 접촉모듈부
133 : 제2 리프트모듈부
134 : 제2 접촉모듈부

Claims (2)

  1. 제품가공시스템에 있어서,
    대상물이 위치되어 기 준비된 용접수단에 의하여 대상물을 용접시키기 위한 사각의 부스(10)를 포함하는 용접시스템을 포함하되,
    대상물이 위치되어 기 준비된 도장수단에 의하여 대상물을 도장시키기 위한 사각의 부스(10);
    상기 부스(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지탱다리부(111);
    상기 부스(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지탱다리부(112);
    상기 부스(10)의 하부에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와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 사이에 구비되는 제3 지탱다리부(113);
    상기 부스(10)의 하부에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와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 사이에 구비되는 제4 지탱다리부(114);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 외측에 구비되는 제1 리프트모듈부(131)와, 상기 제1 리프트모듈부(131)의 상부로 상승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사각의 부스(10)에 접촉하여 연동고정되는 제1 접촉모듈부(132)를 포함하는 제1 리프트부;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 외측에 구비되는 제2 리프트모듈부(133)와, 상기 제2 리프트모듈부(133)의 상부로 상승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사각의 부스(10)에 접촉하여 연동고정되는 제2 접촉모듈부(134)를 포함하는 제2 리프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모듈부(132)는 제1 돌출부(1321) 내지 제3 돌출부(1323)가 구비되어 상기 부스(10)의 일측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2 접촉모듈부(134)는 제4 돌출부(1341) 내지 제6 돌출부(1343)가 구비되어 상기 부스(10)의 타측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돌출부(1321) 내지 상기 제6 돌출부(1343)는 상기 부스(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기 모터회전에 기반하는 토크로 회전되어 상기 부스(10)의 내부공간 내주면에 대한 밀착고정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1 리프트모듈부(131)는,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부를 가압고정하기 위한 하부의 제1 가압수단(1312)과,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부를 가압고정하기 위한 상부의 제2 가압수단(1311)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압수단(1311)은 상기 제1 리프트모듈부(131)에서 상기 제1 가압수단(1312)의 상부로 위치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수단(1312)은 상기 부스(10)의 하부를 일부가 안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리프트모듈부(133)는,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부를 가압고정하기 위한 제3 가압수단(1332)과,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부를 가압고정하기 위한 제4 가압수단(1331)을 포함하며,
    상기 제4 가압수단(1331)은 상기 제2 리프트모듈부(133)에서 상기 제3 가압수단(1332)의 상부로 위치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4 가압수단(1331)은 상기 부스(10)의 하부를 일부가 안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리프트모듈부(131)는 상기 제1 돌출부(1321), 상기 제2 돌출부(1322), 상기 제3 돌출부(1323), 상기 제1 가압수단(1312), 상기 제2 가압수단(1311)이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촉모듈부(13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범위 유동시켜 걸림 고정에 의한 고정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 리프트모듈부(133)는 상기 제4 돌출부(1341), 상기 제5 돌출부, 상기 제6 돌출부(1343), 상기 제3 가압수단(1332), 상기 제4 가압수단(1331)이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접촉모듈부(134)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범위 유동시켜 걸림 고정에 의한 고정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와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 사이에는 제1 보강가압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와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를 상호간에 고정시키며,
    상기 제1 보강가압체는,
    하부에 제1 구동하우징부(125)와,
    상기 제1 구동하우징부(125)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1 유동체(115)와,
    상기 제1 유동체(115)의 높이방향상에서 구비되며 양측으로 각각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와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에 삽입되는 제1 플레이트 패널부(1152)와,
    상기 제1 유동체(115)의 상방 단부에 구비되며 양측으로 각각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와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에 삽입되는 제2 플레이트 패널부(115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체(115)는,
    상기 제1 플레이트패널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 패널부(1151)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동하우징부(125)에서 기 설정되는 힘으로 승하강 구동되어 상기 제1 지탱다리부(111)와 상기 제3 지탱다리부(113)를 가압 홀딩시키며.
    상기 제4 지탱다리부(114)와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 사이에는 제2 보강가압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4 지탱다리부(114)와 상기 제2 지탱다리부(112)를 상호간에 고정시키는 용접시스템을 포함하는 제품가공시스템.
  2. 삭제
KR1020200075463A 2020-06-22 2020-06-22 용접시스템 KR102179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463A KR102179577B1 (ko) 2020-06-22 2020-06-22 용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463A KR102179577B1 (ko) 2020-06-22 2020-06-22 용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577B1 true KR102179577B1 (ko) 2020-11-16

Family

ID=73679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463A KR102179577B1 (ko) 2020-06-22 2020-06-22 용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5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678B1 (ko) 2017-07-26 2018-02-28 (주) 케이앤디건설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분사기기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04860B1 (ko) * 2019-03-22 2020-04-27 마이스터 주식회사 차종교환형 로봇캐리지 일체형 Co2 용접부스 및 그 용접부스를 이용한 용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678B1 (ko) 2017-07-26 2018-02-28 (주) 케이앤디건설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분사기기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04860B1 (ko) * 2019-03-22 2020-04-27 마이스터 주식회사 차종교환형 로봇캐리지 일체형 Co2 용접부스 및 그 용접부스를 이용한 용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577B1 (ko) 용접시스템
KR102199834B1 (ko) 도장 시스템
KR101161609B1 (ko) 환경친화형 도로용 공기정화 방음벽
JPH10246485A (ja) ダクト用換気扇
US10294670B1 (en) Architectural screen roof curbs
JP2501970Y2 (ja) ダクト用換気扇
JPH0454857B2 (ko)
JP4277188B2 (ja) 吸盤具及びそれを備えた吸着固定装置
CA2999828C (en) Work booth safety system for an automotive body repair shop
KR20170097483A (ko) 방향제가 분사되고 창틀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환풍기
KR200414634Y1 (ko) 페인팅 장치
JP3787794B2 (ja) 吹出口とダンパ−装置の一体支持装置
CN108756682A (zh) 一种建筑门窗安装结构
JP2003501643A (ja) 不浸透面をテストする装置及び方法
CN114556025B (zh) 用于安装到壁贯通开口中的建筑通风设备
JP3321874B2 (ja) 換気装置
JP2001004187A (ja) 換気装置の取替え方法及び換気装置
KR200303549Y1 (ko) 활성탄 흡착탑이 일체화된 이동식 도장실
JPS5834906Y2 (ja) 換気装置付庇
JP2528435Y2 (ja) 換気装置
JPH0351000Y2 (ko)
JP3731102B2 (ja) 換気装置
JP3098674U (ja) 塗装作業に於ける小型排気装置
JPS6027857Y2 (ja) ダクト用換気扇
JPS613611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