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678B1 -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분사기기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분사기기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678B1
KR101833678B1 KR1020170094498A KR20170094498A KR101833678B1 KR 101833678 B1 KR101833678 B1 KR 101833678B1 KR 1020170094498 A KR1020170094498 A KR 1020170094498A KR 20170094498 A KR20170094498 A KR 20170094498A KR 101833678 B1 KR101833678 B1 KR 101833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connector
agent
lane
inter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국
Original Assignee
(주) 케이앤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앤디건설 filed Critical (주) 케이앤디건설
Priority to KR102017009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perpendicular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ir rotating shafts
    • B01F27/212Construction of the shaft
    • B01F7/00125
    • B01F7/0068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 또는 세척제, 비드 등의 대상물을 오차 없이 공급하는 개별 라인의 구축으로 작업의 정확성이 확보될 수 있음은 물론 도색제와 경화제의 원활한 혼합이 실시될 수 있는 제반 구성요소 및 이와 관련한 차별화된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차선도색 작업 시 해당 작업성의 개선과 함께 작업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분사기기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터 운용에 의한 회전 움직임에 기인하여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을 실시하되, 주제와 경화제, 세척제의 구분 공급이 이루어지고, 모터와 일체화된 회전축(11)이 하향 인출되는 공급부재(10); 공급부재의 회전축(11)과 결부되고, 모터로부터 유발되는 회전 움직임을 전달받아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이 실행되는 교반부재(20); 교반부재를 내부 수용하여 조임부재(30)에 의해 공급부재와 일체화되는 수용관(4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분사기기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PAINT MIXING DEVICE FOR MARKING LAN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어 차선 도색과 관련한 일련의 작업을 구현하는 차선도색분사기기의 교반장치에 관한 기술사상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제와 경화제 또는 세척제, 비드 등의 대상물을 오차 없이 공급하는 개별 라인의 구축으로 작업의 정확성이 확보될 수 있음은 물론 도색제와 경화제의 원활한 혼합이 실시될 수 있는 제반 구성요소 및 이와 관련한 차별화된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차선도색 작업 시 해당 작업성의 개선과 함께 작업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분사기기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의 도색은 1줄 또는 2줄, 황색 또는 흰색, 실선 또는 파선의 3가지 요소를 조합하여 실시되고 있으며, 도료는 페인트를 사용하는 경우와 돌가루와 수지를 혼합한 융착식 도료 또는 액상의 도료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이액형 도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도로에는 주행방향을 구분하기 위한 황색의 띠형 중앙선 및 차량의 진행구간을 구분하는 백색의 띠형 주행차선이 기본적으로 도색되고, 이러한 띠형의 기본차선 상에는 졸음방지를 위한 돌출차선 및 야간차선 식별을 위한 일반형 글라스비드나 야간우천시의 차선식별을 위한 우천형 글라스비드가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색 후 차선의 신속한 경화를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소정의 경화제를 첨가하게 되고, 이러한 경화제 첨가로 인해 경화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므로 도색 작업 시 작업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교통체증 또한 해소할 수 있게 되는바, 사용상 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상기와 같이 차선을 도색하는 장치 및 공법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114호에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그 돌출차선도색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의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그 돌출차선도색공법은 차선도색차량의 주행시 띠형 차선을 도색해 주도록 하는 띠형 차선도색수단과 돌출형 차선을 도색해 주도록 하는 돌출형 차선도색수단 및 도색된 차선 상에 글라스비드를 살포해 주도록 하는 글라스비드 살포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관련한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황색도색제 공급라인 및 백색도색제 공급라인은 각각 믹서기의 상부 후방에 연결 설치되게 하고, 또 경화제 공급라인 및 세척제 공급라인은 각각 믹서기 후방에 연결 설치되게 하며, 띠형 차선도색기 및 돌출형 차선도색기는 각각 믹서기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게 하여 각각 선택된 도색제 및 경화제가 믹서기에 공급됨으로써 믹서기 통과 중 충분한 믹싱이 이루어지도록 한 뒤 띠형 차선도색기와 돌출형 차선도색기에 의해 토출되면서 차선 도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원하는 색상의 도색제가 믹서기에 공급되게 하고, 또 경화제 공급라인이 갖는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경화제가 믹서기에 공급되게 하면 선택된 색상의 도색제와 경화제가 믹서기 내에 공급되어 충분한 믹싱이 이루어진 상태로 각각 띠형 차선도색기와 돌출형 차선도색기에 의해 토출되면서 띠형 차선도색작업 및 돌출형 차선도색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믹서기를 포함한 종래 모든 기술사상에 의하면 단순히 도색제, 경화제 또는 세척제가 공급되는 통로만 형성된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경화제와 도색제의 혼합을 행함에 있어 해당 작업이 실로 만족할 정도로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 불량이 야기되는 등 보다 구체적인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6114호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그 돌출차선도색공법'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주제와 경화제의 내부 혼합이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실시될 수 있는 제반 구성요소를 채택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함에 있어 층간 회전 및 상하 요동하는 교반부재로 하여금 더욱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회전체를 구성함에 있어 모터 구동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하 요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터 구동에 의존하지 않고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 압력에 의해 독립적으로 회전 운용되면서 상하 요동할 수 있으며, 기타 선택적으로 일부 커넥터에만 키를 부가 채택함으로써 회전체의 회전 움직임을 개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분사기기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100)는 모터 운용에 의한 회전 움직임에 기인하여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을 실시하되, 주제와 경화제, 세척제의 구분 공급이 이루어지고, 모터와 일체화된 회전축(11)이 하향 인출되는 공급부재(10); 공급부재의 회전축(11)과 결부되고, 모터로부터 유발되는 회전 움직임을 전달받아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이 실행되는 교반부재(20); 교반부재를 내부 수용하여 조임부재(30)에 의해 공급부재와 일체화되는 수용관(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교반부재(20)는 수직선상으로 다단 결합되어 주제와 경화제의 하향 낙하로 인한 상하 요동이 층간 유도되면서 회전축(11)에 의한 회전 구동으로 주제와 경화제가 서로 혼합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위 교반부재(20)는 회전축(11)의 끼움을 허용하기 위한 인입홀(21-1)과, 커넥터(22)에 결부되는 나사산(21-2)이 하향 돌출되는 조절편(21); 조절편의 나사산(21-2)과 결부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1나사부(22-1)와, 상협하광 형상을 위한 단턱(22-3)과, 이웃하는 또 다른 제1나사부와의 결합을 위하여 하향 돌출 형성되는 제2나사부(22-2)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22); 커넥터의 단턱(22-3)을 수단으로 거치 수용되어 상하 탄성력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체(24); 탄성체와 커넥터 일단을 내부 수용하고, 탄성체 상단에 의해 지지되며, 공급부재로부터 하향 진입되는 주제 내지 경화제와 마찰하면서 회전 운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23);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위 회전체(23)는 조절편의 나사산(21-2) 또는 커넥터의 제2나사부(22-2) 및 이웃하는 타 커넥터의 제1나사부(22-1)를 내부 수용하는 바디(23-1)와, 바디 외면에서 서로 대응하는 수평선상으로 2개소 연장되고 각각의 일측 단부가 상향 절곡 형성되면서 주제와 경화제의 체류 시간이 증대되게 유도하는 믹싱가드(23-2)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제 저장조, 경화제 저장조, 세척제 저장조로부터 각각 기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따라 주제, 경화제, 세척조가 선택적으로 유도 공급되는 대상물 공급단계; 대상물 공급 시 모터 운용에 의한 회전축(11)의 구동으로 수용관(40) 내부의 교반부재(20)를 회전시키는 교반부재 구동단계; 수용관(40) 내부로 인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 유도하되,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하 연속해서 교차 배열된 수개의 믹싱가드(23-2) 상면으로 해당 대상물이 가격되고, 각각의 믹싱가드는 대상물로부터 유발되는 충격에 기인하여 탄성체(24)가 보유한 탄성으로 상하 요동하면서 대상물의 혼합을 실시하는 믹싱가드 요동단계; 믹싱가드(23-2) 상면으로 유입된 대상물이 각 믹싱가드의 절곡 형상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안내되어 하향 낙하한 후, 하방에 위치한 또 다른 믹싱가드와 반복하여 마찰 작용하면서 혼합되는 대상물 체류단계; 믹싱가드(23-2)와 수회 반복 마찰하면서 상하 및 측 방향 유동으로 혼합된 대상물을 외부로 분사시켜 차선 도색을 실행하는 대상물 배출단계; 차선 도색 완료 후 수용관(40) 내부로 세척제를 유입시켜 내부 세척을 실행하는 세척제 공급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층간 구분하여 믹싱가드를 교차 배열한 교반부재에 의해 주제와 경화제의 효율적인 혼합이 실시될 뿐 아니라 하나의 수직축 상에서 개별로 상하 요동하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수직 낙하하는 주제와 경화제를 더욱 확실하게 혼합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는 일정 구간을 상향으로 절곡 형성한 다수의 믹싱가드를 채택함에 따라 주제와 경화제가 마찰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며, 특히 믹싱가드가 보유한 형상으로부터 주제와 경화제의 특정 유동 경로가 확보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수평선상에서 체류시간이 현저하게 증대되는바, 보다 원활하고 정밀하게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할 수 있는 이점 또한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교반부재의 층간 조립 시 탄성체를 등간격 내장함으로써 주제와 경화제로부터 기인하는 물리적인 마찰 충격으로 인해 상하 움직임이 유발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교반부재의 구성을 상세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교반부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교반부재 상으로 주제와 경화제가 낙하함에 따른 제반 작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교반부재의 믹싱가드를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교반부재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를 장착한 차선도색기기.
도 11은 본 발명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는 시공 양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어 차트.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어 차선 도색과 관련한 일련의 작업을 구현하는 차선도색분사기기의 교반장치(100)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 또는 세척제, 비드 등의 대상물을 오차 없이 공급하는 개별 라인의 구축으로 작업의 정확성이 확보될 수 있음은 물론 도색제와 경화제의 원활한 혼합이 실시될 수 있는 제반 구성요소 및 이와 관련한 차별화된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차선도색 작업 시 해당 작업성의 개선과 함께 작업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분사기기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100)는 회전 움직임으로만 일관되던 기존과 달리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함에 있어 층간 회전과 함께 상하 요동하는 교반부재로 하여금 더욱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술사상이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것처럼 위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100)는 모터 운용에 의한 회전 움직임에 기인하여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을 실시하되, 주제와 경화제, 세척제의 구분 공급이 이루어지고 모터와 일체화된 회전축(11)이 하향 인출되는 공급부재(10)와, 공급부재의 회전축(11)과 결부되고 모터로부터 유발되는 회전 움직임을 전달받아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이 실행되는 교반부재(20)와, 교반부재를 내부 수용하여 조임부재(30)에 의해 공급부재와 일체화되는 수용관(40)으로 구분 구성된다.
특히 위 교반부재(20)는 본 발명의 주된 요부로, 수직선상으로 다단 결합되어 주제와 경화제의 하향 낙하로 인한 상하 요동이 층간 유도되면서 회전축(11)에 의한 회전 구동으로 주제와 경화제가 서로 혼합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3 내지 9에 상세 도시하였으며, 하기에서 상세 기술하기로 한다.
위 공급부재(10)는 주제, 경화제, 세척제 등의 이동통로로서 이러한 각 대상물을 하나의 공간으로 순차 투입시켜 차선 도색과 관련한 기능 발휘에 기여하는바, 차선도색기기와 유기적으로 결부되어 주제와 경화제 또는 세척제를 원활하게 구분 공급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차선도색분사기기라 함은 통상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한다.
즉 본 발명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100)가 적용되는 차선도색기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제(도색제) 저장조로부터 기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색상의 주제를 선택적으로 유도 공급하는 주제 공급라인과, 경화제 저장조 또는 세척제 저장조로부터 기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따라 경화제 또는 세척제를 선택적으로 유도 공급하는 첨가물 공급라인과, 공기 압축기(컴프레셔)와 연계 형성되어 기설정된 압력으로 에어 분사가 실시되는 에어 분사라인과, 도색된 차선에 글라스 비드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드 공급라인과, 각 공급라인으로부터 주제와 경화제, 세척제, 에어, 글라스 비드 등을 개별적으로 선택 운용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위 주제 공급라인은 백색 또는 황색으로 구분된 색상의 주제를 수용하여 도색 작업시 차선 등에 해당 색상을 부여하고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 예컨대 MMA수지와 무기분말 및 착색도료가 혼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주제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역류방지밸브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첨가물 공급라인은 경화제 또는 세척제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경화제 저장조 및 세척제 저장조로부터 연계 형성된 구성요소로, 해당 작업을 실시함에 있어 차선 도색 작업 시에는 경화제 저장조로부터 소정의 경화제를 유도 공급하는 역할이 수행되는 한편 도색 작업 후에는 도료 분사유닛을 비롯한 제반 구성요소의 내부 세척을 위하여 세척제 저장조로부터 소정의 세척제가 유도 공급되는 역할이 병행된다. 이때 세척제라 함은 통상의 신나(휘발물질) 등을 포함하며, 예컨대 도색제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은 각 98:2(+5)로 실시하거나 또는 작업 특성이나 용도에 따라 기타 상이한 비율로 실시될 수 있다.
위 에어 공급라인은 컴프레셔로부터 기인하는 에어를 일정 수준의 압력으로 외부 배출함으로써 도색 작업이 요구되는 지면에 대해 이물질 등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위 교반부재(20)는 도 3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1)의 끼움을 허용하기 위한 인입홀(21-1)과, 커넥터(22)에 결부되는 나사산(21-2)이 하향 돌출되는 조절편(21); 조절편의 나사산(21-2)과 결부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1나사부(22-1)와, 상협하광 형상을 위한 단턱(22-3)과, 이웃하는 또 다른 제1나사부와의 결합을 위하여 하향 돌출 형성되는 제2나사부(22-2)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22); 커넥터의 단턱(22-3)을 수단으로 거치 수용되어 상하 탄성력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체(24); 탄성체와 커넥터 일단을 내부 수용하고, 탄성체 상단에 의해 지지되며, 공급부재로부터 하향 진입되는 주제 내지 경화제와 마찰하면서 회전 운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23);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교반부재는 도면과 같이
Figure 112017122995358-pat00012
의 형상으로 일체화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관(40) 내부의 교반부재(20)로 유입되는 대상물을 주제와 경화제, 세척제로 구분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상 편의를 위해 예시적으로 제안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가령 주제와 경화제를 특정 비율로 미리 혼합한 후 제공되는 경우에는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 대상물이 수용관 내부에서 더욱 충분하게 교반될 수 있을 것이다.
위 조절편(21)은 공급부재(10)에 내장된 모터의 회전 움직임을 교반부재(20)로 전달하기 위한 제반 요소로, 회전체(23) 내부에서 커넥터(22)와 나사 결합되어 하나의 일체된 형상을 유지한다.
이를 위해 조절편(21) 하방에 형성한 나사산(21-2)은 회전체의 바디(23-1) 내부로 진입시킨 후 회전체 바디 내부로 상향 진입된 커넥터와 서로 결부되게 하는바, 해당 회전체(23)는 커넥터(22)에 거치된 탄성체(24)로 하여금 위치 구속된다.
위 커넥터(22)는 단턱(22-3)을 기점으로 상하 다른 직경의 공간으로 형성되고, 단턱 상방이 회전체의 바디(23-1) 내부로 위치됨에 따라 단턱 상에 거치되는 탄성체(24) 또한 회전체의 바디 내부에서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커넥터(22)는 전술한 것처럼 탄성체(24)를 포함한 단턱(22-3) 상방이 회전체(23) 내부에 은폐되므로 외부와의 간섭이 적극 배제될 뿐 아니라 조절편(21)의 나사산(21-2)과 제1나사부(22-1)의 상호 조립에 의하거나 또는 제2나사부(22-2)와 하향 이웃하는 타 커넥터의 제1나사부가 상호 조립되면서 수직선상으로 일체된 결합구조를 구축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위 단턱(22-3)의 두께를 구성함에 있어 탄성체(24) 두께에 비해 확대된 형태로 제공하여 탄성체 외주를 감싸는 회전체(23)와 서로 간섭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또한, 위 제1나사부(22-1)와 제2나사부(22-2)는 서로 동일한 피치 내지 길이로 제공되어야 하고, 제1나사부는 조절편의 나사산(21-2) 혹은 제2나사부와 조립되는 형태임에 따라 조절편(21)과 커넥터(22) 혹은 커넥터와 커넥터의 순차 결합으로 각 경계영역에서 회전체를 개별 개재한 상태로 일 방향 길이 연장될 수 있다.
위 회전체(23)는 주지한 것처럼 탄성체(24)에 의해 지지되면서 위치 고수될 수 있으며, 주제와 경화제의 유입으로 자체 상하 요동하거나 회전하면서 주제와 경화제의 원활한 혼합을 도모한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조절편의 나사산(21-2) 또는 커넥터의 제2나사부(22-2) 및 이웃하는 타 커넥터의 제1나사부(22-1)를 내부 수용하는 바디(23-1)와, 바디 외면에서 서로 대응하는 수평선상으로 2개소 연장되고 각각의 일측 단부가 상향 절곡 형성되면서 주제와 경화제의 체류 시간이 증대되게 유도하는 믹싱가드(23-2)를 포함한다.
위 바디(23-1)는 도 4와 같이 탄성체(24) 상단에 의해 맞물림 지지되는 내부 구조로 제공되고, 바디 상단으로 조절편(21) 혹은 커넥터(22)가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에서 타 커넥터와 내부 결속됨에 따라 수평선상 위치가 결정된다.
위 믹싱가드(23-2)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일 수 있으며, 수평 연장시킨 각 개소마다 상향 절곡된 형상을 구축함으로써 주제와 경화제의 이동 경로 제공은 물론 이에 의한 체류시간의 증대를 야기하므로 혼합 효율성에 기여하게 된다. 즉 주제와 경화제가 진입되면 도면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대로 이동 경로가 제공되는데, 이는 상향 절곡된 형상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절곡 형상에 의한 이동 방향이 변경되면서 바디 주변을 경유한 후 재차 절곡 형상에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더욱 효율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위 회전체(23)는 조절편의 나사산(21-2) 또는 커넥터의 제2나사부(22-2) 및 이웃하는 타 커넥터의 제1나사부(22-1)를 내부 수용하는 바디(23-1)와, 바디 외면에서 서로 대응하는 수평선상으로 2개소 연장되어
Figure 112017122995358-pat00013
의 모래시계 내지 나비넥타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반복 배열하되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 배열시켜 하향 낙하하는 주제 및 경화제를 통해 반복적으로 가격되는 믹싱가드(23-2)와, 믹싱가드 일단에서 상향 절곡 형성되어 주제와 경화제의 체류 시간이 증대되게 유도하는 제1절곡부(23-2-1)와, 주제와 경화제의 체류 시간이 증대될 수 있게 제1절곡부의 반대 방향에서 상향 절곡 형성되는 제2절곡부(23-2-2)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1·2절곡부가 제공하는 경사면으로 주제와 경화제를 수평 안내한 후 하향 낙하에 의해 하방의 또 다른 제1·2절곡부와 반복하여 마찰되면서 체류 시간 증대로 인한 혼합에 기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교반부재(20)는 주제와 경화제가 자유 낙하할 경우 특정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한편 탄성체(24)에 의한 상하 움직임이 유발되면서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을 적극 유도한다.
한편, 도 9는 교반부재(20)를 구성함에 있어 회전체(23)의 독립적인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소정의 베어링(식별번호 없음)이 더 장착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아울러 위 회전체(23)는 모터 운용에 의한 회전축(11)의 움직임을 전달받아 동일하게 회전 구동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키(미도시함)가 더 형성될 수 있는바, 이러한 키는 회전체의 바디(23-1) 하방과 중첩하는 커넥터(22) 외면으로 수직(직선 형태) 형성함으로써 상하 요동 움직임에 저해되지 않는 수준에서 회전 움직임을 도모하고, 커넥터 외면에 형성되는 키를 인입 수용할 수 있는 요홈(미도시함)이 회전체의 바디(23-1) 내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회전체(23)는 모터 구동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하 요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터 구동에 의존하지 않고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 압력에 의해 독립적으로 회전 운용되면서 상하 요동할 수 있으며, 기타 선택적으로 일부 커넥터(22)에만 키를 부가 채택함으로써 회전체의 회전 움직임을 개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는 시공 양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어 차트이다.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은 시공 양태를 순차 구분하여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물 공급단계(S10)]
위 대상물 공급단계(S10)는 차선 도색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제 저장조, 경화제 저장조, 세척제 저장조로부터 각각 기설정된 공급량과 압력에 따라 주제, 경화제, 세척조를 선택적으로 공급받는 단계이다.
이때 주제와 경화제를 동시 공급하여 수용관(40) 내부에서 교반부재(20)에 의해 혼합 유도한 후 배출하거나 또는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물을 수용관으로 유입시켜 교반부재에 의해 혼합 유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교반부재 구동단계(S20)]
위 교반부재 구동단계(S20)는 대상물 공급 시 모터 운용에 의한 회전축(11)의 구동으로 수용관(40) 내부의 교반부재(20)를 회전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단계는 수용관(40) 내부에서 대상물의 균일한 혼합을 위해 실시되고, 이때 회전축(11)의 회전 방향은 관성의 법칙을 고려하여 대상물이 쉽게 하향하지 않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가령 모터와 연계된 회전축(11)의 회전 시 대상물이 회전 반대 방향으로 쏠리면서 믹싱가드의 상향 절곡된 영역에 의해 쉽게 손실되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전개됨에 따라 충분히 교반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
[믹싱가드 요동단계(S30)]
위 믹싱가드 요동단계(S30)는 수용관(40) 내부로 인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 유도하되,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하 연속해서 교차 배열된 수개의 믹싱가드(23-2) 상면으로 해당 대상물이 가격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각각의 믹싱가드(23-2)는 대상물로부터 유발되는 충격에 기인하여 탄성체(24)가 보유한 탄성으로 상하 요동하면서 대상물의 혼합을 실시하게 된다.
위 믹싱가드(23-2)는 도 2 내지 3과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교차 배열되면서 대상물의 마찰 여부가 결정되는데, 그 운용 형태는 키(미도시함)를 적용하여 회전축(11)과 일체된 움직임이 실행되게 하거나 또는 믹싱가드가 개별 작동되게 할 수 있다.
[대상물 체류단계(S40)]
위 대상물 체류단계(S40)는 믹싱가드(23-2) 상면으로 유입된 대상물이 각 믹싱가드의 절곡 형상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체류 시간 증대로 인해 충분하게 혼합된 후, 하향 낙하할 수 있음을 지칭하는 단계이다.
추후 이러한 대상물은 하방에 위치한 또 다른 믹싱가드와 반복적으로 마찰하게 되고, 또 전술한 것과 같은 동일한 수평 이동이 수회 전개되는 등 하나의 믹싱가드 상에서 S자형으로 유동하면서 충분히 교반될 수 있다.
[대상물 배출단계(S50)]
위 대상물 배출단계(S50)는 믹싱가드(23-2)와 수회 반복 마찰하면서 상하 및 측 방향 유동으로 혼합된 대상물을 외부로 분사시켜 차선 도색을 실행하는 단계이다.
[세척제 공급단계(S60)]
위 세척제 공급단계(S60)는 차선 도색 완료 후 수용관(40) 내부로 세척제를 유입시켜 내부 세척을 실행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층간 구분하여 믹싱가드(23-2)를 교차 배열한 교반부재(20)에 의해 주제와 경화제의 효율적인 혼합이 실시될 뿐 아니라 하나의 수직축 상에서 개별로 상하 요동하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수직 낙하하는 주제와 경화제를 더욱 확실하게 혼합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100)는 일정 구간을 상향으로 절곡 형성한 다수의 믹싱가드(23-2)를 채택함에 따라 주제와 경화제가 마찰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며, 특히 믹싱가드가 보유한 형상으로부터 주제와 경화제의 특정 유동 경로가 확보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수평선상에서 체류시간이 현저하게 증대되는바, 보다 원활하고 정밀하게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할 수 있는 이점 또한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교반부재(20)의 층간 조립 시 탄성체(24)를 등간격 내장함으로써 주제와 경화제로부터 기인하는 물리적인 마찰 충격으로 인해 상하 움직임이 유발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10. 공급부재
20. 교반부재
30. 조임부재
40. 수용관
100. 교반장치

Claims (4)

  1. 주제와 경화제, 세척제의 구분 공급이 이루어지고, 모터와 일체화된 회전축(11)이 하향 인출되는 공급부재(10)와, 공급부재의 회전축(11)과 결부되고, 모터로부터 유발되는 회전 움직임을 전달받아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이 실행되는 교반부재(20)와, 교반부재를 내부 수용하여 조임부재(30)에 의해 공급부재와 일체화되는 수용관(40)을 포함하고, 위 교반부재(20)는 수직선상으로 다단 결합되어 주제와 경화제의 하향 낙하로 인한 상하 요동이 층간 유도되면서 회전축(11)에 의한 회전 구동으로 주제와 경화제가 서로 혼합되게 구성하는 교반장치에 있어서,
    위 교반부재(20)는 회전축(11)의 끼움을 허용하기 위한 인입홀(21-1)과, 커넥터(22)에 결부되는 나사산(21-2)이 하향 돌출되는 조절편(21); 조절편의 나사산(21-2)과 결부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1나사부(22-1)와, 상협하광 형상을 위한 단턱(22-3)과, 이웃하는 또 다른 제1나사부와의 결합을 위하여 하향 돌출 형성되는 제2나사부(22-2)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22); 커넥터의 단턱(22-3)을 수단으로 거치 수용되어 상하 탄성력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체(24); 탄성체와 커넥터 일단을 내부 수용하고, 탄성체 상단에 의해 지지되며, 공급부재로부터 하향 진입되는 주제 내지 경화제와 마찰하면서 회전 운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23);를 서로 일체화하여
    Figure 112017122995358-pat00014
    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위 회전체(23)는 조절편의 나사산(21-2) 또는 커넥터의 제2나사부(22-2) 및 이웃하는 타 커넥터의 제1나사부(22-1)를 내부 수용하는 바디(23-1)와, 바디 외면에서 서로 대응하는 수평선상으로 2개소 연장되어
    Figure 112017122995358-pat00015
    의 모래시계 내지 나비넥타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반복 배열하되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 배열시켜 하향 낙하하는 주제 및 경화제를 통해 반복적으로 가격되는 믹싱가드(23-2)와, 믹싱가드 일단에서 상향 절곡 형성되어 주제와 경화제의 체류 시간이 증대되게 유도하는 제1절곡부(23-2-1)와, 주제와 경화제의 체류 시간이 증대될 수 있게 제1절곡부의 반대 방향에서 상향 절곡 형성되는 제2절곡부(23-2-2)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1·2절곡부가 제공하는 경사면으로 주제와 경화제를 수평 안내한 후 하향 낙하에 의해 하방의 또 다른 제1·2절곡부와 반복하여 마찰되면서 체류 시간 증대로 인한 혼합에 기여하는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분사기기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94498A 2017-07-26 2017-07-26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분사기기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33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498A KR101833678B1 (ko) 2017-07-26 2017-07-26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분사기기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498A KR101833678B1 (ko) 2017-07-26 2017-07-26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분사기기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678B1 true KR101833678B1 (ko) 2018-02-28

Family

ID=6140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498A KR101833678B1 (ko) 2017-07-26 2017-07-26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분사기기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6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77B1 (ko) 2020-06-22 2020-11-16 우태광 용접시스템
KR102199834B1 (ko) 2020-06-22 2021-01-07 우태광 도장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5351A (ja) * 2002-04-12 2003-10-28 Taiyo Techno Kk 流動体混合装置
KR101757412B1 (ko) * 2016-01-12 2017-07-13 강형주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5351A (ja) * 2002-04-12 2003-10-28 Taiyo Techno Kk 流動体混合装置
KR101757412B1 (ko) * 2016-01-12 2017-07-13 강형주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77B1 (ko) 2020-06-22 2020-11-16 우태광 용접시스템
KR102199834B1 (ko) 2020-06-22 2021-01-07 우태광 도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678B1 (ko)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분사기기의 층간 요동형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6540395B2 (en) Dynamic mixer for dental impression compounds
CN206474027U (zh) 静态混合器
DE602004029372D1 (de) Einzeldosisspritze für ein mehrkomponentenmaterial
KR101443857B1 (ko) 이액형 차선 도색 장치 및 이액형 물질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36625B1 (ko) 차선 도색장치용 이액형 도료 믹싱장치
KR101603590B1 (ko) 이액형 도료 분사용 장치
KR101824053B1 (ko) 이액형 문자 또는 기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색방법
KR102170443B1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1554450B1 (ko) 이액형 도료의 혼합기능이 부여되는 차선도색분사기기
US5419496A (en) Water wand apparatus
KR101554451B1 (ko) 소형차선도색차량
KR101377013B1 (ko) 차선 도색 장치용 다액형 도료 믹서기
KR101183572B1 (ko) 도로 표지용 액상 도료 배합기
JP6864518B2 (ja) 散水装置および散水方法
JP6064273B2 (ja) 塗布ガン
KR20210005535A (ko) 스프레이 건 용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결합체
KR101487932B1 (ko) 이액형 차선 도색 방법
KR101167167B1 (ko) 페인트 저장장치
ATE376452T1 (de) Mischer mit reinigungsvorrichtung
JP2005246167A (ja) 多液混合装置
KR101566659B1 (ko)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
KR101549570B1 (ko) 이액형 노면표지용 도료 시공방법
KR101695414B1 (ko) 상온 경화형 도색 장치
KR101132326B1 (ko) 스프레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