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313B1 -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 - Google Patents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313B1
KR102179313B1 KR1020187015608A KR20187015608A KR102179313B1 KR 102179313 B1 KR102179313 B1 KR 102179313B1 KR 1020187015608 A KR1020187015608 A KR 1020187015608A KR 20187015608 A KR20187015608 A KR 20187015608A KR 102179313 B1 KR102179313 B1 KR 10217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
contact
wire
intermediate layer
composite p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5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278A (ko
Inventor
마르셀 클라인
디르크 되르너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80080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B32B17/10183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being not continuous, e.g. in edge regions
    • B32B17/10192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being not continuous, e.g. in edge regions patterned in the form of columns or gr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B32B17/10201Dielectric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76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metal wires
    • B32B17/10385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metal wires for ohmic resistance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8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ethylene 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1Heaters using laterally extending conductive material as conn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4Heaters using resistive wires or cables not provided for in H05B3/5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6Heaters using particular conn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기판(1) 및 커버 판유리(4), 및 기판(1)과 커버 판유리(4)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1개의 중간 층(3), 커버 판유리(4)와 중간 층(3)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1개의 가열 와이어(21) 및 적어도 2개의 버스 도체(22)를 포함하고, 여기서 가열 와이어(21)는 버스 도체(22)에 전압이 인가될 때 가열 와이어(21)를 통해 가열 전류가 흐를 수 있고 그에 의해 가열 와이어(21)가 가열될 수 있도록 버스 도체(22)에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연결되고, 여기서 적어도 1개의 가열 와이어(21)와 상이한 전기 전도성 접촉 와이어(6)가 기판(1)과 중간 층(3) 사이에 또는 커버 판유리(4)와 중간 층(3) 사이에 배열되고, 전기 전도성 접촉 와이어(6)의 적어도 1개의 영역이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형성하고,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이 적어도 1개의 접촉 영역(11) 및 적어도 1개의 연결 영역(13)을 가지며, 접촉 영역(11)이 연결 영역(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 영역(13)이 센서 전자장치(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여기서 접촉 와이어(6)가 정확히 1개의 연결 영역(13)에서 2개의 버스 도체(22) 중 하나에 갈바닉 연결된 것인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갖는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
본 발명은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 판유리 배열체, 복합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복합 판유리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비닐 부티랄(PVB) 필름으로 제조된 중간 층을 통해 함께 결합된 2개의 판유리, 예를 들어 외부 판유리 및 내부 판유리를 포함한다. DE10126869A1 또는 WO2005055667A2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는 예를 들어 가열 와이어가 구비되고, 자동차 공학에서 예를 들어 옆 창문 판유리로서 빈번히 이용된다. 가열 와이어는 열가소성 중간 층의 표면 내에 매립된다. 전형적으로, 가열 와이어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버스바가 제공된다. 적합한 버스바는 예를 들어 외부 전압원에 연결된 구리 호일의 스트립이다. 가열 와이어는 버스바 사이에서 연장되고, 그에 따라 전압 인가 후 가열 와이어를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고, 그에 의해 가열 작용이 얻어진다.
게다가, 스위칭 영역은 전극에 의해 또는 2개의 커플링된 전극의 배열에 의해 예를 들어 용량성 스위칭 영역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물체가 스위칭 영역에 접근할 때, 접지(ground)에 대한 표면 전극의 커패시턴스 또는 2개의 커플링된 전극에 의해 형성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변한다. 커패시턴스 변화는 회로 배열 또는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에 의해 측정되고, 문턱값을 초과할 때 스위칭 신호가 촉발된다. 용량성 스위치를 위한 회로 배열은 예를 들어 DE 20 2006 006 192 U1, EP 0 899 882 A1, US 6,452,514 B1, 및 EP 1 515 211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WO 2015/162107 A1로부터, 가열 와이어와 관련된 용량성 센서가 알려져 있고, 여기서는 용량성 센서가 가열 전류의 도입을 위해 버스바와 갈바닉 연결을 갖지 않는다. US 2013/0075383 A1은 창문 가열기 및 용량성 센서로 쓰이는 와이어 메쉬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 판유리에 간단하게 및 경제적으로 통합될 수 있고 판유리를 통한 시야를 아주 조금 방해하거나 또는 전혀 방해하지 않는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개선된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접촉 센서가 용량성 스위칭 영역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항 1에 따른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종속항으로부터 드러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차량 판유리, 예컨대 옆 판유리, 앞유리창, 뒷 창문, 또는 루프 패널이다. 그러나,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는 건축용 판유리 또는 가구, 예를 들어 냉장고, 냉동고, 또는 전기 가열기 또는 거울 요소에서의 글레이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열릴 수 있는 옆 창문용 옆 판유리이다. 이것은 차량 문 안으로 옆 판유리의 실질적으로 수직 변위에 의해 열릴 수 있고 다시 닫힐 수 있는 옆 창문을 의미한다.
복합 판유리 및 특히, 옆 판유리는 상부 에지, 하부 에지,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갖는다. 옆 판유리의 경우에, "상부 에지"는 설치된 위치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옆 판유리의 측부 에지를 나타낸다. "하부 에지"는 설치된 위치에서 지면 쪽으로 아래쪽으로 향하는 측부 에지를 나타낸다. "전방 에지"는 운전 방향에서 앞쪽으로 향하는 측부 에지를 나타낸다. "후방 에지"는 운전 방향에서 뒤쪽으로 향하는 측부 에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적어도
- 기판 및 커버 판유리, 및
- 기판과 커버 판유리 사이에서 면결합으로(areally) 배열된 적어도 1개의 중간 층,
- 커버 판유리와 중간 층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1개의 가열 와이어 및 적어도 2개의 버스바
를 포함하고, 여기서 가열 와이어가 버스바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되고 그에 따라 버스바에의 전압 인가 시 가열 와이어를 통해 가열 전류가 흐를 수 있고 그에 의해 가열 와이어가 가열될 수 있고,
여기서
- 전기 전도성 접촉 와이어가 기판과 중간 층 사이에 또는 커버 판유리와 중간 층 사이에 배열되고,
- 전기 전도성 접촉 와이어의 적어도 1개의 영역이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형성하고,
- 용량성 스위칭 영역이 적어도 1개의 접촉 영역 및 적어도 1개의 연결 영역을 가지며, 접촉 영역이 연결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 영역이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이다.
여기서, 접촉 와이어는 적어도 1개의 가열 와이어와 상이하다.
복합 판유리는 적어도 기판 및 커버 판유리를 포함한다. 기판 및 커버 판유리는 중간 층,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간 층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복합 판유리가 예를 들어 차량의 내부 공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하는 데 쓰이는 경우, 기판 또는 커버 판유리는 설치된 위치에서 내부 공간을 대면한다.
복합 판유리에서는, 적어도 1개의 가열 와이어가 중간 층의 표면 내에 매립된다. 가열 와이어는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 사이에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그의 단부에서 각 경우에 버스바 중 하나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된다. 버스바는 외부 전압원에 전기 전도성 및 특히, 갈바닉 연결되도록 의도되고, 그에 따라 버스바 사이에서 가열 와이어를 통해 전류가 흐른다. 전류는 가열 와이어 및 따라서, 전체 복합 판유리를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판유리는 편리하게 제빙될 수 있거나 또는 수분 응결을 없앨 수 있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버스바가 배열된 측부 에지로부터 버스바의 최대 거리는 3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2.5 c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 cm 미만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최대 거리는 복합 판유리의 측부 에지와 그를 대면하지 않는 버스바의 에지 사이에서 측정된다. 예에서는, 이 거리가 충분히 작고, 그에 따라 버스바가 차체 부품 및 전형적인 모터 차량 옆 창문의 밀봉 립(lip)에 의해 덮인 영역에서 전기 접촉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버스바는 측부 에지에 너무 가깝게 위치하지 않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으면 판유리의 결합이 방해받고 공기가 측부 에지를 통해 복합 판유리에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버스바가 배열된 측부 에지로부터 버스바의 최소 거리가 3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5 mm 초과이다. 이와 같이 하여 좋은 결과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최소 거리는 복합 판유리의 측부 에지와 그를 대면하는 버스바의 에지 사이에서 측정된다.
본 발명은 단일의 가열 와이어로 실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는 전형적으로 버스바 사이에서 연장된 복수의 가열 와이어를 갖는다. 버스바에 의해 모든 가열 와이어에 전류가 제공되고, 그 이유 때문에 외부 전력 공급원에 2개의 연결 케이블의 연결만 필요하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하나의 버스바가 측부 에지 중 하나를 따라서 배열되고, 다른 하나의 버스바가 대향하는 측부 에지를 따라서 배열된다. 옆 판유리의 예에서는, 측부 에지가 예를 들어 전방 에지일 것이고, 대향하는 측부 에지가 후방 에지일 것이다. 따라서, 옆 판유리의 이용가능한 비가시(nonvisible) 영역이 최적으로 이용된다.
이 방식으로, 가열 와이어가 일 측부 에지(전방 에지)로부터 대향하는 측부 에지(후방 에지)까지 가파른 굴곡 및 루프 없이 루트가 형성될 수 있고, 이것은 미적으로 매력있고, 가열 전력의 균질한 분배를 용이하게 하고, 국소 과열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가열 와이어가 제1 버스바에서부터 제2 버스바까지 가파른 굴곡 없이 연장될 수 있다. 복합 판유리 및 특히, 옆 창문의 복잡한 형상 때문에, 가열 효과를 전체 판유리에 가능한 한 균질하게 분배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가열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가 버스바 사이에서 완전히 직선으로 연장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굴곡된 상부 에지에 가까운 가열 와이어는 상부 에지에 맞춘 약간의 곡률을 갖는다.
별법으로, 가열 와이어는 또한 곡류형 코스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열 와이어가 제1 버스바에서부터 출발하여 제2 버스바의 부근으로 연장된다. 거기에서, 가열 와이어는 제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U-턴형으로 연장되어 다시 제1 버스바 부근으로 연장된다. 거기에서, 가열 와이어는 다시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U-턴형으로 연장되어 다시 제2 버스바로 연장된다. 가열 와이어는 이 지점에서 제2 버스바와 접촉하거나 또는 다시 한번 또는 여러 번 버스바 사이에서 곡류형으로 왔다갔다하면서 연장된 후에 제2 버스바와 접촉한다. 가열 와이어의 그러한 곡류형 루트 형성의 이점은 버스바의 직접 연결에 비해 가열 와이어의 길이를 늘인다는 데 있다. 주어진 인가 전압 및 가열 와이어의 주어진 두께 및 물질의 경우에 가열 전력이 바람직한 것보다 높을 때, 이 길이 늘이기에 의해 가열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두 버스바 모두가 복합 판유리의 동일한 측부 에지를 따라서 배열된다. 그래서, 가열 와이어가 제1 버스바에서부터 판유리를 가로질러서 제2 버스바까지 루프형으로 또는 곡류형으로 연장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복합 판유리를 통해 볼 때, 2개의 버스바가 중첩되게, 특히 합동을 이루게 배열된다. 쇼트를 피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2개의 버스바가 열가소성 중간 층의 상이한 측에 배열된다. 그래서, 가열 와이어는 열가소성 중간 층을 한 번 관통해서 루트가 형성되어야 한다.
별법으로, 또한, 2개의 버스바가 동일한 측부 에지를 따라서 배열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가소성 중간 층의 동일한 측에 배열될 수 있다. 그래서, 버스바가 중첩되게, 합동을 이루게, 또는 서로 옆에 배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첩되는 버스바 사이의 쇼트 또는 가열 와이어, 접촉 와이어 또는 주위 접촉 와이어, 공급선, 또는 버스바의 서로 간의 바람직하지 않은 접촉은 적절한 격리 조치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격리 조치 중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PI) 및/또는 폴리이소부틸렌(PIB)을 함유하고 10 ㎛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 전기 절연 필름의 형성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버스바가 전기 전도성 호일의 스트립으로서 구현된다. 전도성 호일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구리, 주석 도금 구리, 금, 은, 아연, 텅스텐, 및/또는 주석 또는 그의 합금,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리를 함유한다.
버스바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5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200 ㎛, 예를 들어 50 ㎛ 또는 100 ㎛이다. 이 두께를 갖는 전기 전도성 호일로 제조된 버스바는 실현하기가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유리한 전류 운반 용량을 갖는다.
버스바의 길이는 복합 판유리의 설계, 특히 버스바가 배열되는 에지의 길이 및 접촉될 가열 와이어의 수에 의존하고, 관련 분야 숙련가에 의해 개개의 경우에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스트립-형상의 버스바의 "길이"는 그것이 상이한 가열 와이어 또는 가열 와이어 구획과 통례적으로 접촉되는 그의 더 긴 치수를 의미한다.
버스바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2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10 mm이다. 이것으로, 가열 전력 면에서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눈에 띄지 않음 면에서 좋은 결과가 얻어진다.
버스바는 가열 와이어에 직접, 또는 예를 들어 납땜 컴파운드 또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연결 케이블과 외부 전력 공급원의 연결이 차량의 옆 판유리의 예에서는 측부 에지 중 하나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하부 에지의 영역에서 달성된다. 따라서, 연결 케이블이 차체 내에 감춰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복합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버스바에서부터 시작하여 하부 에지까지 연장된 적어도 1개의 공급선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각 버스바에 그러한 공급선이 제공된다. 공급선은 예를 들어 하부 에지까지 곧은 스트레치의 형태로 연장되어 거기에서(예를 들어, 하부 에지 상에 버스바의 투영 영역에서) 접촉될 수 있다. 공급선은 라미네이트 내에서, 즉, 하부 에지에 이르기 전에 이미 종결될 수 있고, 편평 도체에 의해 접촉될 수 있다. 별법으로, 공급선은 라미네이트 밖에서 외부 연결 케이블과 접촉하기 위해 하부 에지를 지나서 연장될 수 있다.
복합 판유리에서 공급선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호일의 스트립으로서 구현된다. 전도성 호일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구리, 주석 도금 구리, 금, 은, 아연, 텅스텐, 및/또는 주석 또는 그의 합금,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리를 함유한다. 호일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5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200 ㎛, 예를 들어 50 ㎛ 또는 100 ㎛이다. 공급선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2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10 mm이다. 유리하게는, 공급선은 버스바와 동일한 호일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가열 와이어, 접촉 와이어, 및/또는 주위 접촉 와이어가 알루미늄, 구리, 주석 도금 구리, 금, 은, 아연, 텅스텐, 및/또는 주석 또는 그의 합금,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리 및/또는 텅스텐을 함유한다. 이것은 가열 전력 및 용량성 스위칭 거동에 유리한데, 그 이유는 그러한 물질이 사이클형 가열로도 그의 특성이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가열 와이어, 접촉 와이어, 및/또는 주위 접촉 와이어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2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100 ㎛, 예를 들어 30 ㎛ 또는 70 ㎛이다. 따라서, 가열 와이어의 경우에, 좋은 가열 효과가 얻어진다. 추가로, 그러한 와이어는 시각적으로 눈에 띄지 않도록 충분히 얇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와이어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구리 및/또는 텅스텐을 함유하고, 가열 와이어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200 ㎛이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가열 와이어, 접촉 와이어, 및/또는 주위 접촉 와이어가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예컨대 폴리이미드로 제조된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쉬딩(sheathing) 또는 중합체 코팅을 갖는다. 쉬딩은 바람직하게는 착색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무광택-착색되고, 특히 흑색 또는 녹색이다. 그러한 쉬딩은 복합 판유리 내에서 가열 와이어, 접촉 와이어, 주위 접촉 와이어, 공급선, 버스바, 또는 다른 전기 전도성 구조 사이의 쇼트를 방지한다. 동시에, 그러한 쉬딩은 예를 들어 무피복 금속 와이어보다 덜 광반사성이고, 따라서 시각적으로 덜 눈에 띈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와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로 제조된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쉬딩, 예컨대 중합체 코팅을 갖는다.
버스바는 가열 와이어, 접촉 와이어, 또는 주위 접촉 와이어의 접촉되는 영역과 중간 층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필름 사이에 배열된다. 별법으로, 가열 와이어, 접촉 와이어, 또는 주위 접촉 와이어의 접촉되는 영역이 버스바와 중간 층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필름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버스바 대신에, 2개의 버스바가 이용될 수 있고, 버스바 사이에 가열 와이어, 접촉 와이어, 또는 주위 접촉 와이어의 접촉되는 영역이 샌드위치형으로 배열된다. 이 경우에, 개개의 버스바는 각 경우에서 단일의 버스바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더 낮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복합 판유리의 가열 전력이 적어도 250 W/㎡이다. 이것으로, 유리한 가열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적어도 1개의 전기 전도성 접촉 와이어가 기판과 중간 층 사이에 배열된다. 따라서, 접촉 와이어가 중간 층에 의해 가열 와이어 및 버스바로부터 분리되고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또한, 이 설계는 복합 판유리의 외부 표면 중 하나의 접촉 시 선택성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기판과 접촉하는 것이 커버 판유리와 접촉하는 것보다 더 큰 커패시턴스 변화를 야기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대안적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적어도 1개의 전기 전도성 접촉 와이어가 커버 판유리와 중간 층 사이에, 즉, 가열 와이어 및 버스바의 레벨에 배열된다. 교차하는 리드 및 와이어의 쇼트는 리드의 잘 만들어진 루트 형성에 의해,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쉬딩을 갖는 와이어 또는 전기 절연 필름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접촉 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형성한다. 용량성 스위칭 영역은 적어도 1개의 접촉 영역 및 적어도 1개의 연결 영역을 가지며, 여기서 접촉 영역은 연결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접촉 영역은 공급선 영역을 통해 연결 영역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영역은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촉 영역은 임의의 요망되는 형상을 취할 수 있고, 각각의 실시양태의 조건에 맞출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서는, 접촉 영역이 선형일 수 있고,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접촉 영역이 굴곡되고, 면적 A를 에워싼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영역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접촉 영역이 1 ㎠ 내지 2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9 ㎠의 면적 A를 갖는다. 접촉 영역의 길이 lB는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14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3 cm이다. 접촉 영역의 최대 폭 bB는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14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3 cm이다. 원칙적으로, 접촉 영역은 임의의 요망되는 형상의 윤곽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접촉 영역은 원형, 타원형, 물방울형, 또는 라운딩된 코너이다. 별법으로, 각이 있는 형상, 예를 들어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다른 유형의 사각형 또는 더 많은 각을 갖는 다각형이 가능하다.
공급선 영역의 길이 lZ는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70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3 cm 내지 8 cm이다. 공급선 영역의 폭 bZ는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1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2 mm이다. 공급선 영역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스트립형 또는 선형이고, 곧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연결 영역이 판유리의 외부 에지에 배열된다. 외부 에지로부터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 c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cm 미만이다. 이것은 연결 영역과 예를 들어 호일 도체의 전기적 접촉을 시각적으로 눈에 띄지 않는 흑색 임프린트 아래에 또는 커버링, 예를 들어 카메라 하우징으로 가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위칭 영역은 용량성 스위칭 영역이고, 다시 말해서, 스위칭 영역은 용량성 접촉 탐지를 위해 특수하게 구현된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스위칭 영역이 선형 전극을 형성한다. 대안적 실시양태에서는, 스위칭 영역의 접촉 영역이 어떤 면적을 에워싸고, 따라서 확대된 면형 활성 전극을 형성한다. 전극의 커패시턴스는 외부 용량성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에 의해 측정된다. 물체(예를 들어, 인체 또는 인체의 유전 상수와 유사한 유전 상수를 갖는 사물)가 전극 근처에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전극 위의 절연제 층과 접촉할 때, 전극의 커패시턴스는 접지에 대해 변한다. 특히, 절연제 층은 기판 또는 커버 판유리 자체를 포함한다. 커패시턴스 변화는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에 의해 측정되고; 문턱값을 초과할 때, 스위칭 신호가 촉발된다. 스위칭 영역은 전극의 형상 및 크기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 와이어가 정확하게 한 연결 영역에서 버스바 중 하나에, 특히 양 또는 음의 작동 전압에 연결된 버스바에 갈바닉 연결되고, 다시 말해서 접지 전위에 연결되지 않는다. 이것은 접촉 와이어가 다른 하나의 버스바에 갈바닉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실시양태에서는,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이 접촉 와이어에 갈바닉 연결된 버스바에 제1 입력부를 통해 연결되고, 접지 전위에 제2 입력부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닌 대안적 실시양태에서는, 접촉 와이어가 가열 와이어, 버스바 및 공급선으로 이루어진 가열 회로로부터 갈바닉 분리되고,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에 그 자신의 공급선을 통해 갈바닉 연결된다. 이 실시양태에서는,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이 접지 전위에 제2 입력부를 통해 연결된다.
방금 제시된 접지에 대한 커패시턴스 측정값 외에 추가로, 또한, 접촉 와이어와 또 다른 전기 전도성 영역 사이의 미분 커패시턴스 측정값도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접촉 와이어가 자유 단부를 가지며, 다시 말해서, 접촉 와이어가 자유롭게 끝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접촉 와이어가 적어도 1개의 가열 와이어와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을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접촉 와이어가 두 버스바 사이의 최단 거리, 특히 하나의 버스바에 연결 영역의 갈바닉 연결을 위한 연결점까지의 최단 거리의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에 걸쳐 연장된다. 접촉 와이어가 두 버스바 사이의 최단 거리, 특히 하나의 버스바에 연결 영역의 갈바닉 연결을 위한 연결점까지의 최단 거리의 적어도 6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에 걸쳐 연장된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접촉 와이어가 적어도 판유리 표면에 수직인 투영에서 (즉, 복합 판유리를 통과하는 투영에서) 2개의 바로 인접하는 가열 와이어 사이에 위치하고, 여기서 2개의 가열 와이어는 각 경우에 하나의 버스바에서부터 다른 하나의 버스바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특히 또 다른 가열 와이어와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을 하지 않거나 또는 와이어 전환(diversion) 또는 상이한 가열 와이어의 와이어 공급을 갖지 않는다. 특히, 2개의 가열 와이어는 네트(net) 또는 메쉬 형태로 구현되지 않는다. 접촉 와이어 및 적어도 1개의 가열 와이어는 중간 층의 동일한 측에 또는 중간 층의 상이한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인 복합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와이어의 바로 부근에 배열된 적어도 1개의 주위 접촉 와이어를 갖는다. 주위 접촉 와이어는 바람직하게는 그것이 복합 판유리를 통하는 투영에서 접촉 와이어의 접촉 영역을 둘러싸고, 특히 접촉 와이어의 접촉 영역과 완전히 접하도록 구현된다. 주위 접촉 와이어는 또 다른 연결 영역을 통해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합 판유리는 4개의 연결선에 의해 접촉된다: 용량성 스위칭 영역에 접촉 와이어를 위한 1개의 연결선, 주위 접촉 와이어를 위한 1개의 연결선, 및 가열 와이어의 전기 가열을 위한 버스바를 위한 2개의 연결선.
그러한 배열에서는, 용량성 스위칭 영역 및 주위 접촉 와이어가 서로 용량성 커플링되는 2개의 전극을 형성한다.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물체, 예를 들어 인체의 부위의 접근에 따라 변한다. 커패시턴스 변화는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에 의해 측정되고, 문턱값을 초과할 때, 스위칭 신호가 촉발된다. 감지 영역은 전극이 용량성 커플링되는 영역의 형상 및 크기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닌 대안적인 실시양태에서는, 가열 회로, 즉, 가열 와이어 및 버스바 뿐만 아니라 임의로, 공급선으로 이루어진 회로가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에 제2 전극으로서 연결된다. 접촉 와이어가 가열 회로로부터 갈바닉 격리된다. 다시 말해서, 가열 와이어 및 버스바가 주위 영역 또는 제2 전극으로서 작용한다. 이 경우, 이 제2 전극과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의 전기적 연결은 심지어 복합 판유리 밖에서, 예를 들어 공급선 또는 연결 케이블 중 하나의 영역에서 일어날 수 있고, 이것으로 버스바가 가열 기능을 위해 작동 전압에, 특히 접지선과 연결된다. 따라서, 주위 영역에 이르는 별도의 공급선이 제거되고, 전체 복합 판유리는 여전히 3개의 연결선, 즉 용량성 스위칭 영역에 이르는 접촉 와이어를 위한 1개의 연결선 및 버스바를 위한 2개의 연결선과 접촉되고, 여기서 버스바를 위한 연결선 중 하나가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의 제2 입력부에의 전기선 연결부로 쓰인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성 스위칭 영역 및 임의로, 주위 접촉 와이어, 뿐만 아니라 가열 회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에 통합된다. 따라서, 복합 판유리 상에 마운팅되어야 하는 스위치 또는 유사한 별도의 성분이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복합 판유리는 그의 표면 상에서 투시 영역에 배열되는 다른 성분을 갖지 않는다. 이것은 복합 판유리의 얇은 디자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복합 판유리를 통한 가시성을 아주 조금 방해한다는 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 및 연결 영역을 통해 용량성 스위칭 영역에 및 임의로, 또 다른 연결 영역을 통해 주위 접촉 와이어에 또는 가열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을 갖는 판유리 배열체를 포함한다.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은 용량성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배열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의 감도는 사람 손가락이 기판 상에서 접촉 영역을 접촉할 때는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이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고, 커버 판유리 상에서 접촉 영역을 접촉할 때는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이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지 않거나 또는 상이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도록 선택된다. 물론, 또한, 접촉 영역의 접촉은 다수의 손가락 또는 인체의 상이한 부위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접촉"은 측정 신호, 즉, 이 경우에는 커패시턴스의 측정가능한 변화를 초래하는 스위칭 영역과의 임의의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특히, 이것은 외부 표면 상에 접촉 영역의 직교 투영에 의해 얻는 구역에서 복합 판유리의 외부 표면의 접촉이다. 배열체 및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의 감도에 의존해서, 인체에 의한 외부 표면의 접근으로도 이미 스위칭 신호를 촉발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외부 표면 그 자체가 반드시 접촉될 필요는 없다. 인체가 단지 커패시터 배열체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장에 들어가서 충분히 큰 커패시턴스 변화를 야기해야 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접촉 영역과 기판의 외부 표면(IV) 사이의 표면 커패시턴스 cI가 접촉 영역과 커버 판유리의 외부 표면(I) 사이의 표면 커패시턴스 cA보다 크다.
표면 커패시턴스 cI 또는 cA는 접촉 영역과 기판의 외부 표면 또는 커버 판유리의 외부 표면 사이에 접촉 영역의 직교 투영으로부터 생기는 복합 판유리의 영역의 판형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로 정의되고, 결과적인 커패시턴스는 접촉 영역의 면적에 대해 정규화된다. 여기서, "외부 표면"이라는 용어는 바깥쪽으로, 즉 복합 판유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는 복합 판유리의 표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내부 표면"은 복합 판유리의 내부로 향하고 중간 층에 면결합으로 연결된 기판 또는 커버 판유리의 표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면 커패시턴스는 면적에 대해 정규화된, 접촉 영역에서부터 또는 접촉 영역에 의해 에워싸인 영역에서부터 복합 판유리의 각각의 외부 표면까지 전체 층 배열물(코팅)의 커패시턴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표면 커패시턴스 cI 대 표면 커패시턴스 cA의 비가 1.1:1 이상, 바람직하게는 1.2:1 이상이다. 그러한 비의 경우, 기판의 외부 표면의 접촉이 커버 판유리의 외부 표면의 접촉과 이미 잘 구별될 수 있다.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고, 각각의 용도의 요건에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신호는 양의 전압, 예를 들어 12 V를 의미할 수 있고, 스위칭 신호 없음은 예를 들어 0 V를 의미할 수 있고, 또 다른 스위칭 신호는 예를 들어 + 6 V를 의미할 수 있다. 스위칭 신호는 또한 CAN-Bus에 통례적인 전압 CAN_High 및 CAN_Low에 상응할 수 있고, 그것들 사이에서 전압 값에 의해 변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신호는 펄스화될 수 있고/거나 디지털 코딩될 수 있다.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의 감도는 간단한 실험과 관련해서 접촉 영역의 크기의 함수로서 및 기판, 중간 층 및 커버 판유리의 두께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러한 판유리 배열체의 특별한 이점은 스위칭 신호가 2개의 외부 표면 중 하나로부터 복합 판유리의 접촉 시에만 촉발될 수 있다는 데 있다. 모터 차량 창문에 판유리 배열체의 이용 및 기판 측이 차량 내부 방향에 있도록 복합 판유리의 설치의 경우, 예를 들어, 라미네이팅된 안전 유리에 통례적인 판유리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경하지 않으면서, 외부로부터 개개인에 의해 스위칭 작동을 촉발하는 것 또는 비 또는 앞유리창 와이퍼의 움직임에 의한 스위칭 작동의 의도하지 않은 촉발을 신뢰할만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관련 분야 기술자에게 예상 밖이었고 놀라운 것이었다.
방금 서술된 판유리 배열체와 조합해서 또는 그 대신에,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의 감도는 사람 손가락이 기판 및/또는 커버 판유리 상에서 접촉 영역을 접촉할 때는 스위칭 신호가 출력되고, 기판 및/또는 커버 판유리 상에서 공급선 영역을 접촉할 때는 스위칭 신호가 출력되지 않거나 또는 상이한 스위칭 신호가 출력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의 감도는 간단한 실험과 관련해서 접촉 영역의 크기의 함수로서 및 기하학적 구조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제조 및 이용 조건 하에서 열적으로 및 화학적으로 안정할 뿐만 아니라 치수적으로 안정한 모든 전기 절연 기판이 기판 및 커버 판유리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기판"이라는 용어는 판유리-형상 기판 또는 기판 판유리를 의미한다.
기판 및/또는 커버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특히 바람직하게는 편평 유리, 플로트 유리, 석영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소다 석회 유리, 또는 맑은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강직성 맑은 플라스틱,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기판 및/또는 커버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차량의 옆 판유리, 앞유리창 또는 뒷 창문으로서 판유리의 용도 또는 높은 광 투과율이 요망되는 다른 용도의 경우에 투명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투명"은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70% 초과의 투과율을 갖는 판유리를 의미한다. 그러나, 운전자의 교통 관련 시야에 위치하지 않는 판유리의 경우, 예를 들어 루프 패널의 경우, 또한 투과율이 훨씬 더 낮을 수 있고, 예를 들어 5% 초과일 수 있다.
기판 (판유리) 및/또는 커버 판유리의 두께는 폭넓게 다를 수 있고, 따라서 개개의 경우의 요건에 이상적으로 맞출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량 유리에는 1.0 mm 내지 25 mm, 바람직하게는 1.4 mm 내지 2.5 mm의 표준 두께가 이용되고, 가구, 가전 및 건물, 특히 전기 가열기에는 4 mm 내지 25 mm의 표준 두께가 이용된다. 판유리의 크기는 폭넓게 다를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용도의 크기에 의해 지배된다. 기판 및 임의로, 커버 판유리는 예를 들어 자동차 공학 및 건축 부문에서 200 ㎠ 내지 20 ㎡의 통례적인 면적을 갖는다.
복합 판유리는 임의의 3 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 차원 형상은 음영 구역을 갖지 않고, 그에 따라 그것은 예를 들어 캐소드 스퍼터링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판은 평면형이거나 또는 하나의 공간 방향 또는 복수의 공간 방향에서 약간 또는 크게 굴곡된다. 특히, 평면형 기판이 이용된다. 기판 및 커버 판유리는 무색일 수 있거나 또는 착색될 수 있다.
기판 및/또는 커버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특히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의 상대 유전율 εr,1/4를 갖는다. 그러한 상대 유전율의 경우, 커버 판유리의 외부 표면에 비해 기판의 외부 표면을 통해 접촉 표면에 접촉하는 것 사이에 특히 좋은 차별화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기판 및/또는 커버 판유리는 적어도 1개의 중간 층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중간 층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다. 중간 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PVB),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함유한다. 그러나, 또한, 중간 층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PE),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 아세테이트 수지, 캐스팅 수지, 아크릴레이트, 플루오르화된 에틸렌 프로필렌,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및/또는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그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함유한다. 중간 층은 1개의 필름 또는 하나 위에 또 다른 하나가 배열된 복수의 필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25 mm 내지 1 mm, 전형적으로 0.38 mm 또는 0.76 mm이다. 다시 말해서, 중간 층은 1개의 또는 복수의 필름으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중간 층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일 수 있고, 라미네이팅 후 기판, 커버 판유리 및 임의의 다른 중간 층을 서로 접착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특히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중간 층이 접착제로 제조된 접착 층으로서 구현되고, 이 접착 층을 이용하여 캐리어 필름이 기판 상에 접착 결합된다. 이 경우, 중간 층은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필름의 치수를 갖는다.
중간 층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특히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2.9의 상대 유전율을 갖는다. 그러한 상대 유전율의 경우, 커버 판유리의 외부 표면에 비해 기판의 외부 표면을 통해 접촉 표면에 접촉하는 것 사이에 특히 좋은 차별화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기판" 및 "커버 판유리"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2개의 판유리를 구별하기 위해 선택된다. 기하학적 배열에 관한 설명은 그 용어와 관련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가 예를 들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를 분리하기 위해 개구에, 예를 들어 차량 또는 건물의 개구에 제공될 때, 기판은 내부 쪽으로 또는 외부 환경 쪽으로 향할 수 있다.
접촉 와이어 및/또는 주위 접촉 와이어를 위한 전기 공급선은 바람직하게는 호일 도체 또는 가요성 호일 도체 (편평한 도체, 편평한 밴드 도체)로서 구현된다. "호일 도체"라는 용어는 두께보다 폭이 상당히 더 큰 전기 도체를 의미한다. 그러한 호일 도체는 예를 들어 구리, 주석도금 구리, 알루미늄, 은, 금 또는 그의 합금을 함유하거나 또는 그로 제조된 스트립 또는 밴드이다. 호일 도체는 예를 들어 2 mm 내지 16 mm의 폭 및 0.03 mm 내지 0.1 mm의 두께를 갖는다. 호일 도체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를 기재로 하는 절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쉬딩을 가질 수 있다. 판유리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의 접촉에 적합한 호일 도체는 예를 들어 불과 0.3 mm의 총 두께를 갖는다. 그러한 얇은 호일 도체는 개개의 판유리 사이에서 열가소성 중간 층에 수월하게 매립될 수 있다. 호일 도체 스트립에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된 다수의 전도성 층이 위치할 수 있다.
별법으로, 얇은 금속 와이어가 또한 전기 공급선으로 이용될 수 있다. 금속 와이어는 특히 구리, 텅스텐, 금, 은 또는 알루미늄 또는 이 금속 중 적어도 2종의 합금을 함유한다. 합금은 또한 몰리브데넘, 루테늄,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또는 백금을 함유할 수 있다.
접촉 와이어 및/또는 주위 접촉 와이어의 연결 영역과 전기 공급선 사이의 전기선 연결부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달성되고, 이것은 연결 영역과 공급선 사이에 신뢰할만한 내구성 있는 전기선 연결부를 가능하게 한다. 별법으로, 또한, 클램프 연결이 라미네이팅 과정에 의해 슬라이딩에 대비해 단단히 정착되기 때문에, 전기선 연결부는 클램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별법으로, 공급선은 또한 연결 영역 상에 예를 들어 금속-함유, 특히 은-함유, 전기 전도성 인쇄 페이스트에 의해 인쇄될 수 있다. 별법으로, 전기선 연결부는 납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는 광 조사 수단 및 광 편향 수단을 갖는다. 광 조사 수단 및 광 편향 수단은 기판 내에 또는 기판 상에 및/또는 커버 판유리 또는 중간 층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조사 수단은 적어도 1개의 광원, 바람직하게는 LED 또는 OLED를 포함한다. 특별한 이점은 작은 치수 및 낮은 전력 소모에 있다.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파장 범위는 예를 들어 실용적 또는 미적 고려에 기초하여 가시광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광 조사 수단은 특히 광을 안내하기 위한 광학 요소, 바람직하게는 반사기 및/또는 도광부, 예를 들어 유리 섬유 또는 중합체 광학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조사 수단은 기판 또는 커버 판유리의 임의의 위치에, 특히 기판 또는 커버 판유리의 측부 에지 상에 또는 기판 또는 커버 판유리의 중앙의 작은 함몰부 내에 배열될 수 있다.
광 편향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입자, 도트 격자, 스티커, 피착물, 노치, 절개, 선 격자, 임프린트 및/또는 스크린 프린트를 포함하고, 그로부터 기판에서 또는 커버 판유리에서 수송되는 광을 탈커플링하는 데 적합하다.
광 편향 수단은 기판 또는 커버 판유리의 높이에서 임의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광 편향 수단은 접촉 영역의 영역에 또는 접촉 영역의 바로 이웃하는 부근에 배열되고, 따라서 그렇지 않으면 거의 보이지 않는 접촉 영역의 신속한 발견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야간에 또는 어둠 속에서 특히 유리하다.
별법으로, 광은 기판, 중간 층 또는 커버 판유리 상에 배열된 도광부를 통해 접촉 영역으로 루트가 형성될 수 있고, 접촉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별법으로 또는 조합해서, 광 편향 수단과 함께 광 조사 수단은 판유리 상의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용량성 스위칭 영역의 스위칭 상태, 예를 들어 전기적 기능이 켜져 있는지 또는 꺼져 있는지를 보고할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대안적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접촉 영역이 직접적으로 표시가능하거나 또는 능동 광원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발광 다이오드 (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백열등, 또는 다른 능동 발광체, 예컨대 발광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형광 또는 인광 물질에 의해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또 다른 대안적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접촉 영역이 투명 기판, 중간 층 또는 커버 판유리 상의 착색된, 바람직하게는 백색 또는 흑색, 임프린트, 예를 들어 스크린프린트에 의해 표시된다. 이것은 접촉 영역이 내구성 있게 및 전압원과 관계없이 표시된다는 특별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임프린트는 발광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형광 또는 인광 물질을 함유할 수 있고/거나 발광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는 가열 와이어에 의해 달성되는 가열 기능 외에 추가로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복합 판유리가 적외 스펙트럼에 대한 반사 코팅을 갖는다. 그러한 코팅은 부식 및 기계적 충격으로부터 코팅을 보호하기 위해 외부 판유리 또는 내부 판유리의 표면 상에, 바람직하게는 중간 층을 대면하는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별법으로, 코팅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제조된 코팅된 열가소성 필름 형태로 복합물에 도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코팅된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제1 열가소성 결합 필름과 제2 열가소성 결합 필름 사이에 배열된다. IR-반사 코팅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1개의 전기 전도성 층을 갖는다. 또한, 코팅은 시트 저항을 조절하거나,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거나 또는 반사를 감소시키는 데 기여하는 유전 층을 가질 수 있다. 전도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은 또는 전기 전도성 산화물(투명 전도성 산화물, TCO), 예컨대 인듐 주석 산화물(ITO)을 함유한다. 전도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10 nm 내지 200 nm의 두께를 갖는다. 전도도를 개선하고 동시에 높은 투명성을 갖기 위해, 코팅은 적어도 1개의 유전 층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복수의 전기 전도성 층을 가질 수 있다. 전도성 코팅은 예를 들어 2개, 3개, 또는 4개의 전기 전도성 층을 함유할 수 있다. 전형적인 유전 층은 산화물 또는 질화물, 예를 들어 규소 질화물, 규소 산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아연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10 mm의 폭을 갖는 둘레의 에지 영역에 코팅이 제공되지 않도록 복합 판유리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전도성 코팅은 부식 방지와 관련해서 유리한 위치인 중간 층 내부에서 주위 분위기와의 접촉으로부터 보호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합 판유리는 또한 다른 비코팅된 영역,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창 또는 통신 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면결합으로 구현된 전기 전도성 코팅은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거동의 비대칭성을 증가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 전도성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접촉 영역으로부터 볼 때 스위칭이 달성될 외부 표면을 대면하지 않는 평면에 배열된다.
특히 옆 판유리로서의 복합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적어도 1개의 접촉 와이어가 1개의 측부 에지, 특히 옆 판유리의 상부 에지 부근에 배열된다. 바로 인접하는 측부 에지까지의 접촉 와이어의 접촉 영역의 거리는 2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 cm 미만이다. 접촉 와이어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은 예를 들어 이동가능한 복합 판유리의 접촉 센서로 쓰일 수 있고 이동 메카니즘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스위칭 신호 촉발시 복합 판유리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것은 특히 옆 판유리의 경우에 닫히는 창문 판유리와 정지해 있는 창문 프레임 사이에 신체 부위의 갇힘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하다. 그래서, 용량성 스위칭 영역은 끼임 방지 센서로 쓰인다.
추가로, 본 발명은 적어도
(a) 중간 층을 크기에 맞춰 절단하고,
(b) 중간 층의 표면 상에 2개의 버스바 및 적어도 1개의 가열 와이어를 가열 와이어가 2개의 버스바 모두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되게 장착하고,
중간 층의 표면 상에 적어도 1개의 접촉 와이어를 장착하고,
(c) 기판, 가열 와이어, 버스바 및 접촉 와이어를 갖는 중간 층, 및 커버 판유리의 스택 배열물을 제조하고,
(d) 스택 배열물을 라미네이팅하여 복합 판유리를 제조하는 것
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중간 층은 적어도 1개의 필름 형태로 제공된다.
버스바, 가열 와이어, 및 접촉 와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 층 상에 장착되는 동안에 또는 중간 층 상에 장착되기 전에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가열된다.
특히, 버스바의 마운팅은 배치에 의해 달성될 뿐만 아니라 접착 결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버스바의 가열은 예를 들어 납땜 인두기로 달성된다. 가열에 의해, 열가소성 중간 층이 약간 용융되고 따라서 버스바에 결합될 것이다.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40℃이다.
납땜 인두기를 이용하는 대신, 또한, 버스바를 중간 층 상에 플로터(plotter) 및 가열된 휠(wheel)을 이용해 장착하거나 또는 버스바를 중간 층의 표면 내에 매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열 와이어가 2개의 버스바 사이에 샌드위치형으로 배열될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부 버스바(즉, 중간 층 상에 배치할 때 중간 층으로부터 더 먼 버스바)가 더 높은 온도, 예를 들어 300℃ 내지 360℃로 고착된다.
가열 와이어, 접촉 와이어, 및/또는 주위 접촉 와이어의 장착은 바람직하게는 이른바 "플로터"로 달성된다. 여기서, 가열 와이어, 접촉 와이어, 또는 주위 접촉 와이어는 로봇 팔로 이동되고 스풀로부터 풀린다. 가열 와이어, 접촉 와이어, 또는 주위 접촉 와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장착 동안에 가열되고, 그에 따라 열가소성 중간 층이 용융되어 가열 와이어, 접촉 와이어, 또는 주위 접촉 와이어에 결합한다. 특히, 가열 와이어, 접촉 와이어, 또는 주위 접촉 와이어는 중간 층의 표면 내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침투해야 하고, 그에 따라 그것은 중간 층의 표면 내에 매립된다.
라미네이팅에 의한 복합 유리의 제조는 관련 분야 기술자에게 그 자체가 알려진 통례적인 방법, 예를 들어 오토클레이브 방법, 진공 백 방법, 진공 링 방법, 캘린더 방법, 진공 라미네이터, 또는 그의 조합으로 달성된다. 기판 및 커버 판유리의 결합은 통례적으로 열, 진공, 및/또는 압력의 작용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육상, 공중 또는 수상 이동을 위한 수송 수단의 차량 창문으로서, 특히 모터 차량에서 옆 판유리, 앞유리창, 뒷 창문 또는 루프 패널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용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열릴 수 있는 옆 창문용 옆 판유리로 이용된다. 이것은 차체 문 안으로 옆 판유리의 실질적으로 수직 변위에 의해 열리고 다시 닫힐 수 있는 옆 창문을 의미한다.
그러나,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는 건축용 판유리 또는 가구, 예를 들어 냉장고, 냉동고, 또는 전기 가열기 또는 거울 요소의 글레이징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는, 육상, 공중 또는 수상 이동을 위한 수송 수단 또는 모터 차량에서 앞유리창, 뒷 창문, 옆 창문, 루프 패널 또는 기능성 개별 피스로서 사용되거나, 가구, 가전 및 건물에서 빌트-인 성분으로서 사용되거나, 전기 가열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도면 및 범례적 실시양태와 관련해서 상세히 서술된다. 도면은 개략적 표현이고, 정확한 척도로 나타낸 것이 아니다. 도면은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실시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A'를 따라 절단된 복합 판유리의 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B-B'를 따라 절단된 복합 판유리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대안적 실시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A'를 따라 절단된 복합 판유리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B-B'를 따라 절단된 복합 판유리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또 다른 대안적 실시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A-A'를 따라 절단된 복합 판유리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B-B'를 따라 절단된 복합 판유리의 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3a의 세부사항의 확대도이다.
도 3e는 도 3a의 세부사항의 확대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또 다른 대안적 실시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A-A'를 따라 절단된 복합 판유리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B-B'를 따라 절단된 복합 판유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양태의 흐름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100)의 실시양태의 평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101)를 묘사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100)는 예를 들어 모터 차량의 옆 판유리로 구현된다. 옆 판유리는 옆 판유리를 내림으로써 열릴 수 있는 승용차의 옆 창문용으로 의도된다. 복합 판유리(100)는 전방 에지(V), 후방 에지(H), 상부 에지(O), 및 하부 에지(U)를 갖는다. 에지는 이동 방향에서 설치된 위치에 따라 불린다.
도 1b는 도 1a의 A-A'를 따라서 절단된 복합 판유리(100)의 단면을 묘사하고, 도 1c는 도 1a의 B-B'를 따라서 절단된 복합 판유리(100)의 단면을 묘사한다.
복합 판유리(100)는 중간 층(3)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기판(1) 및 커버 판유리(4)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기판(1)은 옆 판유리의 내부 판유리이고, 커버 판유리(4)는 복합 판유리(100)의 외부 판유리이다. 평면도는 기판(1)의 외부 표면(IV)에 겨냥한다. 기판(1) 및 커버 판유리(4)는 예를 들어 소다 석회 유리로 제조되고, 예를 들어 각 경우에 2.1 mm의 두께를 갖는다. 중간 층(3)은 예를 들어 0.76 mm의 두께를 갖는 폴리비닐 부티랄(PVB) 필름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8개의 가열 와이어(21)가 커버 판유리(4) 쪽으로 향하는 중간 층(3)의 표면 내에 매립된다. 가열 와이어(21)는 예를 들어 구리 또는 텅스텐으로 제조되고, 30 ㎛의 두께를 갖는다. 각 가열 와이어(21)는 제1 버스바(22)(여기서는 왼쪽에 묘사됨) 및 제2 버스바(22)(여기서는 오른쪽에 묘사됨)에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버스바(22)는 두께가 예를 들어 100 ㎛이고 폭이 예를 들어 7 mm인 구리 호일의 스트립으로 구현된다. 전압이 예를 들어 전압원(25)에 의해 버스바(22)에 인가될 때, 전류가 가열 와이어(21)를 통해 흘러서 가열 작용을 야기한다. 전압은 14 V의 통례적인 모터 차량 온보드 전압, 또는 또한, 예를 들어 42 V 또는 48 V의 전압일 수 있다.
제1 버스바(22)는 예를 들어 옆 판유리의 후방 에지(H)를 따라서 연장되고, 제2 버스바(22)는 예를 들어 전방 에지(V)를 따라서 연장된다. 제1 버스바(22)는 전기 가열로 예를 들어 14 V의 양의 작동 전압에 연결되고, 제2 버스바(22)는 기준 접지에 연결된다. 버스바가 연장되는 에지로부터 버스바의 최대 거리는 예를 들어 2 cm이다. 그러한 버스바(22)는 심지어 옆 창문의 열린 상태에서도 관찰자에게 보이지 않는다. 대신, 버스바(22)는 차체 부품 및 전형적인 옆 창문의 밀봉 립에 의해 덮인다. 최소 거리는 예를 들어 6 mm이다. 이 거리는 라미네이트의 안정성 붕괴 및 공기 침투를 방지하는 데 충분하다.
추가로, 복합 판유리(100)는 2개의 공급선(23)을 갖는다. 각 공급선(23)은 버스바(22)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하부 에지(U)까지 직선으로 연장되고, 여기서 공급선(23)은 연결 케이블(26)에 의해 외부 전력 공급원(24)에 접촉될 수 있다.
가열 와이어(21)와 버스바(22) 사이의 전기선 연결부(20)는 예를 들어 납땜에 의해 달성된다. 가열 와이어가 보통 전기 전도성 쉬딩을 가지기 때문에, 이 쉬딩은 접촉 과정 전에 또는 접촉 과정 동안에 제거된다.
게다가, 전기 전도성 접촉 와이어(6)가 커버 판유리(4)와 중간 층(3) 사이에 배열된다. 접촉 와이어(6)는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30 ㎛의 직경을 갖는 구리 또는 텅스텐 와이어로 제조된다. 이 예에서는, 접촉 와이어(6)가 가열 와이어(21)에 평행하게 2개의 인접하는 가열 와이어(21) 사이에 배열된다.
접촉 와이어(6)는 1개의 연결 영역(13)을 가지며, 연결 영역(13)에서 접촉 와이어(6)가 전기선 연결부(20)를 통해, 예를 들어 땜납 조인트를 통해 제1 버스바(22)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된다. 접촉 와이어(6)는 연결 영역(13) 밖에서 접촉 영역(11)을 갖는다. 접촉 영역(11)은 예를 들어 판유리의 길이의 대략 70%에 걸쳐 연장된다. 물론, 접촉 와이어(6)의 길이 및 형상은 개개의 경우의 각각의 요건에 맞출 수 있다. 접촉 와이어(6)는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형성한다.
이 범례적 실시양태에서,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의 전기 접촉은 제1 버스바(22)를 통해 달성되고, 제1 버스바(22)는 공급선(23) 및 연결 케이블(26)을 통해 전력 공급원(24) 및 동시에,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14)의 제2 입력부는 기준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열 와이어(21) 및 접촉 와이어(6)는 예를 들어 무광택 녹색 또는 무광택 흑색의 전기 절연 쉬딩을 갖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예를 들어 빛을 특히 잘 반사할 수 있는 무피복 금속 와이어보다 시각적으로 덜 눈에 띄기 때문이다. 이것은 가열 와이어(21) 및 접촉 와이어(6)가 심지어 중첩될 수 있고 닿을 수 있으며 전기 쇼트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추가의 이점을 갖는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인 복합 판유리(100)의 회로 배열(101)의 실시양태를 묘사한다. 복합 판유리(100)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도 1a의 복합 판유리(100)에 상응하고, 그에 따라 이하에서는 차이점만 다룬다.
도 2b는 도 2a의 A-A'를 따라서 절단된 복합 판유리(100)의 단면을 묘사하고, 도 2c는 도 2a의 B-B'를 따라서 절단된 단면을 묘사한다. 도 2a의 복합 판유리(100)는 접촉 와이어(6)가 제1 버스바(22)에 전기 전도적으로(갈바닉) 연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1a의 복합 판유리(100)와 상이하다. 다시 말해서,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형성하는 접촉 와이어(6)와 가열 와이어(21), 버스바(22) 및 그것을 전력 공급원(24)에 연결하는 선으로 이루어진 가열 회로 사이에 갈바닉 연결이 없다.
이 예에서는, 접촉 와이어(6)가 전기 절연 쉬딩을 가지며, 갈바닉 연결 없이 제1 버스바(22)와 교차한다. 그래서, 접촉 와이어(6)의 연결 영역(13)이 제1 버스바(22) 밖에서 공급선과 접촉되고, 공급선은 연결 케이블(26)을 통해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14)의 제1 입력부에 연결된다.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14)의 제2 입력부는 기준 접지를 통해 제2 버스바(22) 및 따라서, 가열 회로에 전기 전도성(갈바니) 연결된다. 따라서, 가열 와이어(21) 및 버스바(22)로 이루어진 가열 회로 전체, 특히, 접촉 와이어(6)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된 가열 와이어(21)가 미분 커패시턴스 측정을 위한 제2 전극을 형성한다.
물론, 접촉 와이어(6)는 또한 기판(6)과 중간 층(3) 사이에 배열될 수 있거나 또는 교차 영역에서 추가의 (국소) 중간 층에 의해 버스바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기 절연 쉬딩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는 않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100)의 회로 배열(101)의 대안적 실시양태를 묘사한다. 복합 판유리(100)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도 2a의 복합 판유리(100) 및 회로 배열(101)에 상응하고, 그에 따라 이하에서는 차이점만 다룬다.
도 3b는 도 3a의 A-A'를 따라서 절단된 복합 판유리(100)의 단면을 묘사하고, 도 3c는 도 3a의 B-B'를 따라서 절단된 복합 판유리(100)의 단면을 묘사한다. 도 3c는 주위 접촉 와이어(15)의 확대도를 묘사하고, 도 3d는 접촉 와이어(6)의 확대된 세부사항을 묘사한다.
도 3a의 복합 판유리(100)는 접촉 와이어(6)가 접촉 영역(11)에서 직선으로 구현되지 않고 오히려 한 단부에서 예를 들어 5 cm의 에지 길이를 갖는 정사각형의 윤곽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도 2a의 복합 판유리(100)와 상이하다. 접촉 영역(11)은 접촉 와이어(6)의 직선 구역의 공급선 영역(12)을 통해 연결 영역(13)에 연결된다. 접촉 와이어(6)의 연결 영역(13)은 전기선 연결부(20)를 통해 연결 케이블(26)을 통해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14)에 연결된다. 이 예에서는 접촉 영역(11)이 25 ㎠의 정사각형 면적(A)을 에워싼다. 이 구성에 의해, 접촉 영역(11)의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의 감도가 상당히 증가된다.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14)은 접촉 영역(11)에서 복합 판유리(100)의 표면 중 하나의 접촉 시에만 스위칭 신호가 촉발되고, 공급선 영역(12)을 통해 복합 판유리(100)의 표면을 접촉할 때는 스위칭 신호가 촉발되지 않도록 간단한 방식으로 튜닝될 수 있다.
추가의 임의적인 범례적 실시양태로서, 도 3a의 복합 판유리(100)는 전기 전도성 주위 접촉 와이어(15)를 갖는다. 주위 접촉 와이어(15)는 직선 구역 및 정사각형-형상 구역을 갖는다. 예를 들어 10 cm의 에지 길이를 갖는 정사각형-형상 구역이 복합 판유리(100)의 큰 표면을 통해 본 투영에서 정사각형-형상 접촉 영역(11)을 둘러싼다. 이 예에서, 주위 접촉 와이어(15)는 교차하는 가열 와이어(21)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 절연 쉬딩을 갖는다. 물론, 또한, 주위 접촉 와이어(15)는 복합 판유리(100)의 상이한 높이에, 예를 들어 기판(1)과 중간 층(3) 사이에 배열될 수 있거나, 또는 또 다른 중간 층 또는 전기 절연 필름에 의해 가열 와이어(21)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여기에 나타낸 예에서는, 주위 접촉 와이어(15)가 한 단부에서 제1 버스바(22)에 전기선 연결부(20)를 통해 갈바닉 연결된다. 게다가, 접촉 영역(11) 둘레의 바로 이웃하는 영역에 배열된 주위 접촉 와이어(15)에 의해,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의 감도가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대안적인 복합 판유리(100)의 회로 배열(101)의 실시양태를 묘사한다. 복합 판유리(100)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도 3a의 복합 판유리(100) 및 회로 배열(101)에 상응하고, 그에 따라 이하에서는 차이점만 다룬다.
도 4b는 도 4a의 A-A'를 따라서 절단된 복합 판유리(100)의 단면을 묘사하고, 도 4c는 도 4a의 B-B'를 따라서 절단된 복합 판유리(100)의 단면을 묘사한다.
도 3a의 접촉 와이어(6)와 대조적으로, 여기서는 접촉 와이어(6)가 접촉 영역(11)에서 원형으로 구현된다. 원은 예를 들어 8 cm의 직경을 갖는다. 게다가, 접촉 영역(11)은 (복합 판유리(100)의 큰 면적을 통해 본 투영에서) 2개의 바로 인접하는 가열 와이어(21)와 중첩된다. 도 4c에서 분명히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범례적 실시양태에서는 접촉 와이어(6)가 기판(1)과 중간 층(3) 사이에 배열된다. 게다가, 가열 와이어(6)는 예를 들어 커버 판유리(4)와 중간 층(3) 사이에 배열된다. 이것은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의 선택성을 증가시킨다. 다시 말해서, 기판(1)을 통해 복합 판유리(100)의 외부 표면(IV)에 접촉할 때,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턴스 변화가 커버 판유리(4)를 통해 복합 판유리(100)의 외부 표면(I)에 접촉할 때보다 더 크다.
도 5는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범례적 실시양태의 흐름도를 묘사한다.
1: 기판
3: 중간 층
4: 커버 판유리
6: 접촉 와이어
10: 용량성 스위칭 영역
11: 접촉 영역
12: 공급선 영역
13: 연결 영역
14: 용량성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
15: 주위 접촉 와이어
20: 전기선 연결부
21: 가열 와이어
22: 버스바
23: 버스바(22)의 공급선
24: 전력 공급원
26: 연결 케이블
100: 복합 판유리
101: 판유리 배열체
A: 접촉 영역(11)의 면적
A-A': 절단선
B-B': 절단선
I: 커버 판유리(4)의 외부 표면
IV: 기판(1)의 외부 표면
H: 복합 판유리(100)의 후방 에지
O: 복합 판유리(100)의 상부 에지
V: 복합 판유리(100)의 전방 에지
U: 복합 판유리(100)의 하부 에지

Claims (15)

  1.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갖는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100)이며,
    - 기판(1) 및 커버 판유리(4)와,
    - 기판(1) 및 커버 판유리(4)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1개의 중간 층(3)과,
    - 커버 판유리(4) 및 중간 층(3)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가열 와이어(21) 및 적어도 2개의 버스바(22)를 포함하고,
    가열 와이어(21)는 버스바(22)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되어, 버스바(22)에 전압의 인가시 가열 전류가 가열 와이어(21)를 통해 흐를 수 있어서, 가열 와이어(21)가 가열될 수 있고,
    - 복수의 가열 와이어(21)와 상이한 전기 전도성 접촉 와이어(6)가, 기판(1) 및 중간 층(3) 사이에 또는 커버 판유리(4) 및 중간 층(3) 사이에 배열되고,
    - 전기 전도성 접촉 와이어(6)의 적어도 1개의 영역이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형성하고,
    -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은 적어도 1개의 접촉 영역(11) 및 적어도 1개의 연결 영역(13)을 가지며, 접촉 영역(11)은 연결 영역(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 영역(13)은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접촉 와이어(6)가 정확히 1개의 연결 영역(13)에서 2개의 버스바(22) 중 하나에 갈바닉 연결되고,
    접촉 와이어(6)가 자유 단부를 갖고,
    접촉 와이어(6)가 가열 와이어(21)와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을 하지 않고,
    접촉 와이어(6)가 적어도 판유리 표면에 수직인 투영에서 2개의 바로 인접하는 가열 와이어(21) 사이에 위치하고, 2개의 가열 와이어(21)의 각각은 하나의 버스바(22)부터 다른 하나의 버스바(22)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합 판유리(100).
  2. 제1항에 있어서,
    접촉 와이어(6)가 2개의 버스바(22) 사이의 최단 거리의 적어도 10%, 적어도 20%, 적어도 30%, 적어도 40%, 또는 적어도 50%에 걸쳐 연장되는,
    복합 판유리(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주위 접촉 와이어(15)가, 기판(1) 및 중간 층(2) 사이에 또는 커버 판유리(4) 및 중간 층(2) 사이에 배열되는,
    복합 판유리(10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촉 영역(11)이 공급선 영역(12)을 통해 연결 영역(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공급선 영역(12)이 1 cm 내지 70 cm의 길이 lZ 또는 1 cm 내지 8 cm의 길이 lZ를 갖는,
    복합 판유리(100).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촉 영역(11)이, 1 ㎠ 내지 200 ㎠의 면적(A) 또는 1 ㎠ 내지 50 ㎠의 면적(A)을 포함하거나, 직사각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 원형, 타원형, 물방울형 형태 또는 라운딩된 코너를 갖는,
    복합 판유리(100).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간 층(3)이, 투명하거나, 폴리비닐 부티랄(PVB)을 함유 또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로 제조되거나, 2 내지 4의 상대 유전율 εr,3 또는 2.1 내지 2.9의 상대 유전율 εr,3을 갖는,
    복합 판유리(100).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판(1) 또는 커버 판유리(4)가, 유리, 편평 유리, 플로트 유리, 석영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소다 석회 유리, 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하거나, 2 내지 8의 상대 유전율 εr,1/4 또는 6 내지 8의 상대 유전율 εr,1/4을 갖는,
    복합 판유리(100).
  8. -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복합 판유리(100)와,
    - 접촉 와이어(6)의 연결 영역(13)에 갈바닉 연결된 용량성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14)을 포함하는,
    판유리 배열체(101).
  9. 제8항에 있어서,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14)의 감도가, 사람 손가락이 기판(1)의 외부 표면(IV) 상에서 접촉 영역(11)을 접촉할 때는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14)이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고, 커버 판유리(4)의 외부 표면(I) 상에서 접촉 영역(11)을 접촉할 때는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14)이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지 않거나 또는 상이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도록 선택되는,
    판유리 배열체(101).
  10. 제8항에 있어서,
    접촉 영역(11)이 공급선 영역(12)을 통해 연결 영역(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공급선 영역(12)이 1 cm 내지 70 cm의 길이 lZ 또는 1 cm 내지 8 cm의 길이 lZ를 갖고,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14)의 감도가, 사람 손가락이 기판(1)의 외부 표면(IV) 또는 커버 판유리(4)의 외부 표면(I) 상에서 접촉 영역(11)을 접촉할 때는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14)이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고, 기판(1)의 외부 표면(IV) 또는 커버 판유리(4)의 외부 표면(I) 상에서 공급선 영역(12)을 접촉할 때는 센서 전자장치 시스템(14)이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지 않거나 또는 상이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도록 선택되는,
    판유리 배열체(101).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용량성 스위칭 영역(10)을 갖는 복합 판유리(100)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a) 중간 층(3)을 크기에 맞춰 절단하고,
    (b) 중간 층(3)의 표면 상에 2개의 버스바(22) 및 제1 중간 층(3)의 표면 상에 복수의 가열 와이어(21)를 장착하고, 가열 와이어(21)는 2개의 버스바(22) 모두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되고, 중간 층(3)의 표면 상에 접촉 와이어(6)를 장착하고,
    (c) 기판(1)과, 가열 와이어(21), 버스바(22) 및 접촉 와이어(6)를 갖는 중간 층(3)과, 커버 판유리(4)의 스택 배열물을 제조하고,
    (d) 스택 배열물을 라미네이팅하여 복합 판유리(100)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100)를 제조하는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복합 판유리(100)이며,
    복합 판유리(100)는, 육상, 공중 또는 수상 이동을 위한 수송 수단 또는 모터 차량에서 앞유리창, 뒷 창문, 옆 창문, 루프 패널 또는 기능성 개별 피스로서, 가구, 가전 및 건물에서 빌트-인 성분으로서, 전기 가열기로서 사용되는,
    복합 판유리(100).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87015608A 2015-11-06 2016-11-07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 KR102179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93394 2015-11-06
EP15193394.2 2015-11-06
PCT/EP2016/076885 WO2017077128A1 (de) 2015-11-06 2016-11-07 Elektrisch beheizbare verbundscheibe mit kapazitivem schaltberei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278A KR20180080278A (ko) 2018-07-11
KR102179313B1 true KR102179313B1 (ko) 2020-11-16

Family

ID=5447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608A KR102179313B1 (ko) 2015-11-06 2016-11-07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694587B2 (ko)
EP (1) EP3372051B1 (ko)
JP (1) JP6717956B6 (ko)
KR (1) KR102179313B1 (ko)
CN (1) CN107113924B (ko)
BR (1) BR112018008477B1 (ko)
CA (1) CA3002304A1 (ko)
ES (1) ES2819511T3 (ko)
HU (1) HUE051236T2 (ko)
MX (1) MX2018005579A (ko)
PL (1) PL3372051T3 (ko)
RU (1) RU2696979C1 (ko)
WO (1) WO2017077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6024105A2 (pt) * 2014-04-24 2017-08-15 Saint Gobain vidraça com uma superfície de comutação iluminada e uma função de aquecimento
JP6807186B2 (ja) * 2016-08-24 2021-01-0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サイドガラス
EP3571045A1 (en) 2017-01-20 2019-11-27 Pilkington Group Limited Laminated gla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80263081A1 (en) * 2017-03-10 2018-09-13 Rosemount Aerospa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istance heating elements
EP3631607B1 (de) * 2017-05-24 2021-06-23 Saint-Gobain Glass France Verbundglasscheib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6869882B2 (ja) * 2017-12-21 2021-05-12 株式会社ニフコ 面状発熱体、および、車両用ウインドシールド装置
GB2574640B (en) 2018-06-13 2020-12-02 Ford Global Tech Llc A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a window
CN109677240A (zh) * 2018-12-21 2019-04-26 苏州蓝沛光电科技有限公司 电加热汽车挡风玻璃装置及其制作方法
RU201080U1 (ru) * 2020-09-25 2020-11-26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Конструкция узла проводов обогреваемого оконного стекл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230405975A1 (en) * 2020-10-01 2023-12-21 Saint-Gobain Glass France Composite pane
CN113840408B (zh) * 2021-09-22 2022-05-20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车窗总成及车辆
DE102022126124A1 (de) * 2022-10-10 2024-04-11 Webasto SE Glasscheibenvorrichtung sowie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34939A (ko) * 1962-07-16 1900-01-01
US3895433A (en) * 1972-10-31 1975-07-22 Gen Electric Electrically heated transparent panel
FR2263368B2 (ko) 1973-04-12 1978-03-24 Saint Gobain
FR2250329A5 (ko) 1973-10-31 1975-05-30 Saint Gobain
US4132881A (en) * 1973-12-12 1979-01-02 Societa Italiana Vetro Siv S.P.A. Electrically heated vehicle window having plural moisture sensing probes
US5798499A (en) * 1994-07-08 1998-08-25 Asahi Glass Company Ltd. Electrically heating windshield glas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thermal distribution
DE19727220C2 (de) 1997-06-26 1999-08-26 Captron Elect Gmbh Schaltungsanordnung für einen kapazitiven Schalter
WO2000044018A1 (en) * 1999-01-26 2000-07-27 Harald Philipp Capacitive sensor and array
DE10018276A1 (de) * 2000-04-13 2001-10-25 Saint Gobain Sekurit D Gmbh Verbundscheibe
DE10126869A1 (de) 2001-06-01 2002-12-19 Saint Gobain Sekurit D Gmbh Elektrisch beheizbare Scheibe
FR2859525B1 (fr) 2003-09-09 2006-06-02 Delphi Tech Inc Commutateur capacitif glissant
DE10356607A1 (de) 2003-12-01 2005-06-30 Bäumler, Peter Beheizbare Glasscheibe
US8664570B2 (en) * 2004-10-04 2014-03-04 Guardian Industries Corp. Vehicle window having bus bar(s) of conductive black frit
US7200921B2 (en) * 2005-02-04 2007-04-10 Automotive Components Holdings,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ed windshield
FR2888082B1 (fr) 2005-06-30 2007-08-24 Saint Gobain Vitrage chauffant feuillete ayant un confort de vision ameliore
US20070194216A1 (en) * 2006-02-21 2007-08-23 Exatec, Llc Printable controls for a window assembly
DE202006006192U1 (de) 2006-04-18 2006-07-27 Captron Electronic Gmbh Türbetätigungstaster
GB0705120D0 (en) * 2007-03-16 2007-04-25 Pilkington Group Ltd Vehicle glazing
JP5469747B2 (ja) 2009-07-21 2014-04-16 ピーピージー・インダストリーズ・オハイ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航空機透明体用改良型バス・バー・システム
JP5889404B2 (ja) * 2011-06-10 2016-03-22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安全機能を備えた加熱可能な合わせガラス
KR20130032659A (ko) * 2011-09-23 2013-04-02 삼성전기주식회사 투명발열장치
JP2015162107A (ja) * 2014-02-27 2015-09-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データ 対応関係抽出装置、対応関係抽出方法、対応関係抽出プログラム
ES2794100T3 (es) * 2014-04-24 2020-11-17 Saint Gobain Luna eléctricamente calentable con zona de conmutación
BR112016024105A2 (pt) * 2014-04-24 2017-08-15 Saint Gobain vidraça com uma superfície de comutação iluminada e uma função de aquecimento
EA033461B1 (ru) * 2014-07-01 2019-10-31 Saint Gobain Нагреваемое многослойное боковое стекло
CN106465486B (zh) * 2014-12-16 2019-12-03 法国圣戈班玻璃厂 可电加热的天线片材以及对此的制造方法
ES2901893T3 (es) * 2016-05-23 2022-03-24 Saint Gobain Vidrio laminado con una disposición sensora y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a hoja de vidrio laminado con disposición sensor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제 공개특허공보 제2015-162107호(2015.10.29. 공개)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38678A (ja) 2018-12-27
US10694587B2 (en) 2020-06-23
MX2018005579A (es) 2018-08-01
RU2696979C1 (ru) 2019-08-08
BR112018008477A2 (pt) 2018-11-06
HUE051236T2 (hu) 2021-03-01
JP6717956B6 (ja) 2020-08-05
US20180176995A1 (en) 2018-06-21
CA3002304A1 (en) 2017-05-11
ES2819511T3 (es) 2021-04-16
CN107113924A (zh) 2017-08-29
JP6717956B2 (ja) 2020-07-08
EP3372051B1 (de) 2020-08-05
BR112018008477B1 (pt) 2022-09-20
PL3372051T3 (pl) 2020-12-14
EP3372051A1 (de) 2018-09-12
WO2017077128A1 (de) 2017-05-11
CN107113924B (zh) 2021-06-01
KR20180080278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313B1 (ko)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
KR102179326B1 (ko)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를 갖는 판유리 어셈블리
US10949004B2 (en) Lighting laminated glazing with a capacitive touch sensitive device and a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manufacturing
US10525673B2 (en) Composite pane with a capacitive switching zone
JP6894930B2 (ja) 容量性タッチ感知装置及び発光ダイオードによるタッチ制御グレージング並びにその製造
US11214042B2 (en) Pane arrangement comprising a composite pane having an extended capacitive switching region
KR102035948B1 (ko) 저-e 코팅 및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판유리를 포함하는 판유리 배열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