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659A - 투명발열장치 - Google Patents

투명발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659A
KR20130032659A KR1020110096393A KR20110096393A KR20130032659A KR 20130032659 A KR20130032659 A KR 20130032659A KR 1020110096393 A KR1020110096393 A KR 1020110096393A KR 20110096393 A KR20110096393 A KR 20110096393A KR 20130032659 A KR20130032659 A KR 20130032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electrode
heat generating
transparent heat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6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2659A/ko
Priority to US13/332,302 priority patent/US20130075383A1/en
Publication of KR20130032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7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multiple electrically connected resistive elements or resistive zo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1Heaters using laterally extending conductive material as conn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4Heating means manufactured by using nanotechnology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발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투명발열장치는, 윈도우의 일측부에 위치되어 열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윈도우의 성에 또는 김을 제거 및 방지하는 투명발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투명발열장치{TRANSPARENT HEATTING DEVICE}
본 발명은 투명발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의 윈도우에는 내부와 외부의 기온차로 인해 성에가 생기게 되는데, 이는 운전 시야를 방해하게 되어 이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보통 전방 유리는 자동차의 히터 작동에 따른 온풍을 전방 유리에 분출하여 해빙하게 되고, 후방은 온풍 벤트를 연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열선을 사용한 발열장치를 동작시켜 후방 유리를 해빙시킨다.
여기서, 종래의 열선을 사용한 발열장치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뒷유리의 양측 윗쪽에 각각 터미널을 각각 형성시키고 이 단면적으로부터 아랫방향으로 길게 루트패턴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루트 패턴을 따라서 루트패턴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히팅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열선을 사용한 발열장치로 인가되는 전원은 터미널로부터 각 루트패턴으로 그리고 이 루트패턴으로부터 각 히팅패턴에 인가되어 성에를 녹여주는 열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종래의 열선을 사용한 발열장치는 투명하지 않아서, 자동차의 전방 또는 측면 유리에 설치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외관상 미감이 안좋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열선을 사용한 발열장치는 전원이 터미널에 집중되어 유리에 위치된 성에의 제거를 고르게 녹여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을 발생시켜 윈도우의 성에 또는 김서림을 제거 및 방지하는 장치를 투명하게 형성한 투명발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발열장치는,윈도우의 일측부에 위치되어 열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윈도우의 성에 또는 김을 제거 및 방지하는 투명발열부를
또한, 상기 투명발열부는 금속재질의 메시패턴으로 형성된 투명발열전극을 포함하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발열부는 상기 투명발열전극이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투명필름을 더 포함하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필름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투명필름을 상기 윈도우에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발열전극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크롬(Cr), 니켈(Ni), 타이타늄(Ti), 팔라듐(Pd), 몰리브덴(Mo), 산화구리(Cu2O, CuO),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은(AgO), 산화크롬(CrOx), 산화타이타늄(TiO2), 산화팔라듐(PdO), 산화몰리브덴(MoO3)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발열전극은 동박이 메시패턴으로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발열전극은 표면이 흑화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발열부는 상기 투명발열전극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터미널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전극은 일자형 바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발열장치는, 상기 투명발열전극은 상기 윈도우에 다수의 열 또는 행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전극은 다수의 열 또는 행으로 형성된 상기 투명발열전극에 각각 연결되도록 연장형성된 다수의 연결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발열장치는, 상기 투명발열전극은 제1 투명발열전극 및 제2 투명발열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필름은 제1 투명필름 및 제2 투명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투명필름 및 상기 제2 투명필름의 일면에 상기 제1 투명발열전극 및 상기 제2 투명발열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발열부는, 상기 제1 투명필름 및 상기 제2 투명필름의 일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투명발열전극 및 상기 제2 투명발열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터미널 전극 제2 터미널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을 발생시키 윈도우의 성에 제거 또는 김서림을 제거 및 방지 하는 장치를 투명하게 형성하여 시야확보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발열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발열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발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발열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발열장치는, 윈도우(10)의 일측부에 위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투명발열부(100)를 포함한다. 이때, 투명발열부(100)는 투명발열전극(140)을 포함하여, 윈도우(10)의 표면에 형성된 성에 또는 김을 제거 및 방지한다. 또한, 투명발열부(100)는 투명발열전극(140)이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투명필름(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윈도우(10)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다 상세히 윈도우(10)는 자동차의 전방 유리, 후방 유리 또는 측면 유리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0)가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윈도우(10)는 주택의 창문 또는 욕실의 거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투명발열전극(140)은 금속재질의 메시패턴(Mesh Pattern)으로 형성된다. 이때, 투명발열전극(140)을 투명하게 하기 위하여 투명발열전극(140)의 선폭은 7μm이하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투명발열전극(140)의 선폭이 7μm이하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투명발열전극(140)은 투명필름(120)에 형성되어 윈도우(10)의 일측부에 부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투명발열전극(140)이 투명필름(120)에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윈도우(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투명발열전극(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명발열전극(140)은 윈도우(10) 또는 투명필름(120)의 일면 또는 양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투명필름(120)은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콘은 Polydimethylsiloxane, Polymethylhydrosiloxane, Polymethylphenylsiloxane 및 Polydiphenylsilox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투명필름(120)을 실리콘으로 형성함으로써, 투명필름(120)은 소정 강도 이상의 지지력을 갖아 투명발열전극(1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착성을 갖으므로 추가적인 접착물질 없이도 투명필름(120)에 직접 투명 발열전극(14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명발열장치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투명필름(120)에 반드시 추가적인 접착물질이 없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투명필름(120)과 투명발열전극(140)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투명필름(120)에 프라이머 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필름(120)의 재질이 실리콘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또는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투명필름(120)의 일면에 접착층(150)이 형성되어 투명필름(120)을 윈도우(10)에 접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투명발열전극(14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되, 예를 들어 금(Au),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크롬(Cr), 니켈(Ni), 타이타늄(Ti), 팔라듐(Pd), 몰리브덴(Mo), 산화구리(Cu2O, CuO),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은(AgO), 산화크롬(CrOx), 산화타이타늄(TiO2), 산화팔라듐(PdO), 산화몰리브덴(MoO3)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투명발열전극(140)은 메시패턴의 금속박으로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투명발열전극(140)의 형성은 예를 들어 포토 레지스트(photo resist), 은염 처리 또는 롤투롤(roll to roll)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투명발열전극(140) 형성방법이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포토 레지스트 방법으로 투명발열전극(140)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먼저 금속박을 윈도우(10) 또는 투명필름(120)에 적층시키고, 드라이 필름(Dry Film)을 금속박의 상부에 적층시킨다. 그리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드라이 필름을 노광시키면, 드라이 필름은 선택적으로 경화된다. 또한, 드라이 필름을 선택적으로 경화시켰으므로, 드라이 필름 중 경화되지 않은 부분을 탄산나트륨(Na2CO3) 또는 탄산칼륨(K2CO3)등의 현상액으로 용해시켜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드라이 필름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패터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라이 필름의 개구부를 통해서 노출된 금속박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패터닝함으로써 금속재질의 메시패턴 투명발열전극(1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투명발열전극(140)을 형성하는 포토 레지스트 방법이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은염 처리 방법으로 투명발열전극(140)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은염(銀鹽) 에멀젼(emulsion)을 윈도우(10) 또는 투명필름(120)에 도포시키고, 은염 에멀젼에 선택적으로 노광을 주면 금속은이 선택적으로 남아 패턴이 형성됨에 따라, 금속재질의 메시패턴 투명발열전극(140)이 형성된다. 이때, 은염은 예를 들어 염화은(Silver chloride, AgC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롤투롤(roll to roll) 방법으로 투명발열전극(140)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은(Ag) 나노 잉크를 스크린 인쇄 등으로 윈도우(10) 또는 투명필름(120)에 메시형태로 패턴 인쇄(DPT: Direct Printing Technology)하여 금속재질의 메시패턴 투명발열전극(140)을 형성한다.
한편, 금속박으로는 예를 들어 동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동박을 메시패턴으로 패터닝하여 투명발열전극(140)을 형성하는 경우, 투명발열전극(140)의 표면에는 흑화처리(127)가 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흑화처리(127)란 투명발열전극(140)(동박)의 표면을 산화시켜 Cu2O 또는 CuO을 석출시키는 것으로, Cu2O는 갈색을 띄므로 브라운 옥사이드(Blown Oxide)라 하고, CuO는 흑색을 띄므로 블랙 옥사이드(Black Oxide)라 한다. 따라서, 투명발열전극(140)의 표면을 흑화처리(127)함으로써, 투명발열전극(140)에 광이 반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투명발열장치(100)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투명발열부(100)는 투명발열전극(140)의 가장자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 전극(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터미널 전극(130)은 투명발열전극(140)과 동일한 성분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 불과한 것이고, 터미널 전극(130)은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 그라비아 인쇄법(Gravure Printing) 또는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 등을 이용하여 투명발열전극(140)과 별도로 인쇄할 수 있다. 이때, 터미널 전극(130)의 재료로는 전기 전도도가 뛰어난 은 페이스트(Ag paste) 또는 유기은으로 조성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 터미널 전극(130)은 투명발열전극(140)의 양단에 연결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투명발열전극(140)의 일단에만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터미널 전극(130)은 투명발열전극(140)의 가장자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투명발열전극(140)으로 전기를 공급한다. 이때, 터미널 전극(130)은 직사각형의 일자형 바(bar)형태로 한 쌍으로 형성되어 투명발열전극(140)의 양측에 위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전극(130)의 형태 및 위치가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터미널 전극(130)은 전원공급수단 및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부(160)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발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예를 들어 자동차의 윈도우(10)의 표면에 형성된 성에 또는 김을 본 발명의 투명발열장치를 통해 제거 또는 방지하기 위하여, 전원 제어부(160)에서 터미널 전극(130)으로 전기를 공급하면, 터미널 전극(130)을 통해 투명발열전극(140)으로 전기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투명발열전극(140)에서 저항열이 발생하여 윈도우(10)의 표면에 형성된 성에를 녹여 제거하거나 김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발열전극(140)의 선폭은 7μm이하의 금속재질의 메시패턴으로 형성되어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투명발열전극(140)이 윈도우(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윈도우(10)의 전체 표면에 형성된 성에를 고루게 녹여 제거하거나 김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발열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발열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구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발열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투명발열장치에서, 투명발열부(200)는 투명발열전극(240) 및 투명발열전극(240)과 연결되는 터미널 전극(230)을 포함하되, 터미널 전극(230)이 투명발열전극(240)의 가장자리 양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투명발열전극(240)은 윈도우(10) 또는 투명필름(220)에 다수로 형성된다. 이때, 투명발열전극(240)이 일정높이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의 열 또는 행으로 패터닝될 수 있되, 본 발명의 투명발열전극(240)의 패터닝 형태가 다수의 열 또는 행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터미널 전극(230)이 상기 다수로 패터닝된 투명발열전극(240)의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다수의 연결단자(231)가 연장형성된다. 이로 인해, 터미널 전극(230)이 전원 제어부(260)를 통해 공급받는 전기를 다수의 연결단자(231)를 통해 다수의 투명발열전극(240)으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윈도우(10) 또는 윈도우에 부착되는(10) 투명필름(220)의 다수의 열 또는 행으로 패터닝된 투명발열전극(240)에서 저항열이 발생되어 윈도우(10)에 형성된 성에 또는 김을 제거 및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투명발열전극(240)이 윈도우(10) 또는 투명필름(220)의 선택된 부분에만 패터닝되어 윈도우(10)의 성에 또는 김을 제거 및 방지하기 위한 전기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발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발열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일 실시예 및 상기 도 3에 나타난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구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발열장치를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투명발열장치는, 윈도우(10)의 일측부에 위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투명발열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투명발열부(300)는 투명발열전극을 포함하되, 투명발열전극이 제1 투명발열전극(340) 및 제2 투명발열전극(37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투명발열부(300) 투명발열전극이 형성되는 투명필름을 더 포함하되, 투명필름이 제1 투명필름(320) 및 제2 투명필름(36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투명발열전극(340) 및 제2 투명발열전극(370)은 금속재질의 메시형태로 형성되어, 제1 투명필름(320) 및 제2 투명필름(360)의 일면에 각각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투명발열전극(340) 및 제2 투명발열전극(370)이 제1 투명필름(320) 및 제2 투명필름(360)에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투명발열전극(340) 및 제2 투명발열전극(370)이 윈도우(10)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투명필름(320)의 상측면에 제1 투명발열전극(340)이 패터닝되어 형성되고, 제2 투명필름(360)의 하측면에 제2 투명발열전극(370)이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투명발열전극(340) 및 제2 투명발열전극(37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1 터미널 전극(330) 및 제2 터미널 전극(380)이 제1 투명필름(320) 및 제2 투명필름(360)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1 터미널 전극(330)은 제1 투명발열전극(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터미널 전극(380)은 제2 투명발열전극(3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터미널 전극(330) 또는 제2 터미널 전극(380)을 통해 제1 투명발열전극(340) 또는 제2 투명발열전극(370)으로 전기가 각각 공급되면, 제1 투명발열전극(340) 또는 제1 투명발열전극(340)에서 저항열이 발생하여 윈도우(10)의 표면에 형성된 성에를 녹여 제거하거나 김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제1 투명발열전극(340) 및 제2 투명발열전극(370)은 각각 구동전극 및 센싱전극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터치 입력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전극인 제2 투명발열전극(370)은 입력수단이 터치시 신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부(도1 참조, 160)에서 터치좌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제2 터미널 전극(380)은 센싱전극인 제2 투명발열전극(37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아울러, 제1 투명발열전극(340) 및 제2 투명발열전극(370)이 형성된 제1 투명필름(320) 및 제2 투명필름(360) 사이에 스페이서(350)가 형성된다. 이때, 스페이서(350)는 제1 투명필름(320) 및 제2 투명필름(360)을 접착시키는 동시에, 각각의 투명필름에 형성된 제1 투명발열전극(340) 및 제2 투명발열전극(370)을 상호 절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페이서(35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절연성과 접착성을 모두 겸비한 광학 투명 접착제(OCA)를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투명필름(320)의 하측면에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윈도우(10)에 본 발명의 투명발열장치(300)를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투명필름(320) 또는 제2 투명필름(360) 중 어느 하나의 투명필름에 투명 디스플레이가 형성되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케이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윈도우 100,200,300 : 투명발열부
120,220 : 투명필름 130,230 : 터미널 전극
140,240 : 투명발열전극 150 : 접착층
160,260 : 전원 제어부 231 : 연결단자
320 : 제1 투명필름 330 : 제1 터미널 전극
340 : 제1 투명발열전극 350 : 스페이서
360 : 제2 투명필름 370 : 제2 투명발열전극
380 : 제2 터미널 전극

Claims (12)

  1. 윈도우의 일측부에 위치되어 열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윈도우의 성에 또는 김을 제거 및 방지하는 투명발열부;를 포함하는 투명발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발열부는 금속재질의 메시패턴으로 형성된 투명발열전극;을 포함하는 투명발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명발열부는 상기 투명발열전극이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투명필름;을 더 포함하는 투명발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명발열부는 상기 투명필름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투명필름을 상기 윈도우에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투명발열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명발열전극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크롬(Cr), 니켈(Ni), 타이타늄(Ti), 팔라듐(Pd), 몰리브덴(Mo), 산화구리(Cu2O, CuO),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은(AgO), 산화크롬(CrOx), 산화타이타늄(TiO2), 산화팔라듐(PdO), 산화몰리브덴(MoO3)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명발열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명발열전극은 동박이 메시패턴으로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투명발열장치.
  7. 청구항 6 있어서,
    상기 투명발열전극은,
    표면이 흑화처리되는, 투명발열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명발열부는 상기 투명발열전극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터미널 전극을 더 포함하는 투명발열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전극은 일자형 바형태로 형성되는 투명발열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투명발열전극은 상기 윈도우에 다수의 열 또는 행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전극은 다수의 열 또는 행으로 형성된 상기 투명발열전극에 각각 연결되도록 연장형성된 다수의 연결단자를 더 포함하는 투명발열장치.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명발열전극은 제1 투명발열전극 및 제2 투명발열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필름은 제1 투명필름 및 제2 투명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투명필름 및 상기 제2 투명필름의 일면에 상기 제1 투명발열전극 및 상기 제2 투명발열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투명발열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투명발열부는,
    상기 제1 투명필름 및 상기 제2 투명필름의 일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투명발열전극 및 상기 제2 투명발열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터미널 전극 제2 터미널 전극;을 더 포함하는 투명발열장치.
KR1020110096393A 2011-09-23 2011-09-23 투명발열장치 KR20130032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393A KR20130032659A (ko) 2011-09-23 2011-09-23 투명발열장치
US13/332,302 US20130075383A1 (en) 2011-09-23 2011-12-20 Transparent he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393A KR20130032659A (ko) 2011-09-23 2011-09-23 투명발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659A true KR20130032659A (ko) 2013-04-02

Family

ID=47910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393A KR20130032659A (ko) 2011-09-23 2011-09-23 투명발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75383A1 (ko)
KR (1) KR20130032659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148B1 (ko) * 2013-12-04 2015-01-22 주식회사 세일하이텍 자동차용 투명 발열체 필름 제조 방법
KR20150128445A (ko) * 2014-05-09 2015-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열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발열장치
KR20160029311A (ko) * 2014-09-05 2016-03-15 주식회사 디케이티 터치패널의 메탈 메시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7188554A1 (ko) * 2016-04-29 201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의 제조방법
WO2017188553A1 (ko) * 2016-04-29 201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WO2017217627A1 (ko) * 2016-06-16 2017-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5465A (ko) * 2017-04-13 2018-10-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열 장치
KR20200020571A (ko) * 2018-08-16 2020-02-26 주식회사 제이마이크로 공기층과 결합된 투명 히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22518A (ko) * 2019-04-18 2020-10-28 송기현 면상발열체 및 이를 채용한 차량용 온열시트
WO2021054615A1 (ko) * 2019-09-16 2021-03-25 박상구 마름모형 발열체
KR20210069565A (ko) * 2019-12-03 2021-06-11 안소윤 면상발열체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온열찜질장치
KR20220007942A (ko) * 2020-07-13 2022-01-20 안소윤 온도전달매체를 이용한 건식 족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7863B2 (ja) * 2013-09-20 2017-05-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面状発熱体、車両用窓および面状発熱体の製造方法
US20160249413A1 (en) * 2015-02-23 2016-08-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parent planar heater
CA3002307A1 (en) * 2015-11-06 2017-05-11 Saint-Gobain Glass France Pane arrangement having a heatable composite pane having a capacitive switching region
PL3372051T3 (pl) * 2015-11-06 2020-12-14 Saint-Gobain Glass France Ogrzewana elektrycznie szyba zespolona z pojemnościowym obszarem przełączeniowym
JP6759764B2 (ja) * 2016-06-30 2020-09-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通電加熱パネル、及び乗物
US10466392B1 (en) * 2016-08-26 2019-11-05 Apple Inc. Systems with textured light-scattering films
US10296213B1 (en) 2017-11-08 2019-05-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table vehicle keypad assembly and keypad heating method
TWI766178B (zh) 2018-07-30 2022-06-01 日商旭化成股份有限公司 導電性膜、及使用其之導電性膜捲筒、電子紙、觸控面板、及平面顯示器
JP7180305B2 (ja) * 2018-11-19 2022-1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ウィンドウガラス加熱装置
FR3111603B1 (fr) * 2020-06-19 2022-08-05 Alstom Transp Tech Ensemble de pare-brise pour véhicule dépourvu d’essuie-glace et véhicule associ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8093B2 (en) * 2005-07-08 2009-04-14 Guardian Industries Corp. Vehicle window with de-icing feature and method
KR101004912B1 (ko) * 2008-03-17 2010-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148B1 (ko) * 2013-12-04 2015-01-22 주식회사 세일하이텍 자동차용 투명 발열체 필름 제조 방법
KR20150128445A (ko) * 2014-05-09 2015-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열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발열장치
KR20160029311A (ko) * 2014-09-05 2016-03-15 주식회사 디케이티 터치패널의 메탈 메시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7188554A1 (ko) * 2016-04-29 201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의 제조방법
WO2017188553A1 (ko) * 2016-04-29 201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US11178730B2 (en) 2016-04-29 2021-11-16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ing element
US10796818B2 (en) 2016-04-29 2020-10-06 Lg Chem., Ltd. Heating element
US10964445B2 (en) 2016-06-16 2021-03-30 Lg Chem, Ltd. Hea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17217627A1 (ko) * 2016-06-16 2017-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5465A (ko) * 2017-04-13 2018-10-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열 장치
KR20200020571A (ko) * 2018-08-16 2020-02-26 주식회사 제이마이크로 공기층과 결합된 투명 히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22518A (ko) * 2019-04-18 2020-10-28 송기현 면상발열체 및 이를 채용한 차량용 온열시트
WO2021054615A1 (ko) * 2019-09-16 2021-03-25 박상구 마름모형 발열체
KR20210069565A (ko) * 2019-12-03 2021-06-11 안소윤 면상발열체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온열찜질장치
KR20220007942A (ko) * 2020-07-13 2022-01-20 안소윤 온도전달매체를 이용한 건식 족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75383A1 (en)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2659A (ko) 투명발열장치
US9483132B2 (en) Touch window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1217591B1 (ko) 정전용량 터치 센서
US20160370916A1 (en) Electrode sheet for capacitance-type touch panel
JP2012104093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25279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01570A (ko) 터치패널
US20140210749A1 (en) Touch panel
CN102750025A (zh) 触控装置的制作方法
US20150346874A1 (en) Touch sensor
TWI525515B (zh) 透光性導電結構
KR101878858B1 (ko) 입력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5020723A (ja) 乗り物用ガラス装置
KR10132565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제조방법
KR20130011267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전극 형성방법
KR101469146B1 (ko)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KR20130049036A (ko) 터치패널센서
JP2012088956A (ja) センサー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96256B1 (ko)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TW201007653A (en) Ultra-thin LED display
KR101573377B1 (ko) 메쉬 형태의 그라운드 전극을 갖는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17157184A (ja) 静電容量センサーとその製造方法、静電容量センサー付き成形品
KR101391306B1 (ko) 인쇄법을 적용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터치 스크린 패널
JP7296547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
CN220087506U (zh) 多层薄膜电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