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534B1 -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534B1
KR102178534B1 KR1020180089234A KR20180089234A KR102178534B1 KR 102178534 B1 KR102178534 B1 KR 102178534B1 KR 1020180089234 A KR1020180089234 A KR 1020180089234A KR 20180089234 A KR20180089234 A KR 20180089234A KR 102178534 B1 KR102178534 B1 KR 102178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formation
medical record
microphon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960A (ko
Inventor
천정범
Original Assignee
스마트케어웍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케어웍스(주) filed Critical 스마트케어웍스(주)
Priority to KR1020180089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5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행위에 대한 의무기록을 자동 생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시경으로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의사의 음성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이 전달하는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STT(Speech To Text) 변환을 요청하는 음성처리 에이전트 및 상기 음성정보를 STT 변환한 정보인 STT 데이터를 외부 음성인식엔진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외부 음성인식엔진으로부터 수신한 STT 데이터로부터 생성한 텍스트(Text) 형식의 예비 리포트를 의무기록엔진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의무기록엔진이 상기 예비 리포트를 이용하여 의무기록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의무기록 생성/제어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을 이용하여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의사가 발음하는 음성에 음성인식기술을 적용하여 의무기록을 자동 생성할 수 있고, 의사의 음성정보중에서 의무기록 작성에 필요한 사항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STT(Speech To Text) 변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음성인식을 위한 정보 처리량을 줄이고 생성되는 의무기록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AUTOMATICALLY GENERATING SYSTEM OF MEDICAL RECORD}
본 발명은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의사가 발음하는 음성에 음성인식기술을 적용하여 의무기록을 자동 생성할 수 있고, 의사의 음성정보중에서 의무기록 작성에 필요한 사항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STT(Speech To Text) 변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음성인식을 위한 정보 처리량을 줄이고 생성되는 의무기록의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의원이나 보건소 등의 각종 의료기관에서는 진료 및 치료와 관련하여 발생되는 전후 업무사항이나 환자의 진료/치료 기록과 같은 관련 의료 정보를 체계적으로 유지/관리하여 의료행위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의료기관에서는 의사나 간호사 등의 의료인이 환자를 진료하고, 치료하는 과정에서 관련 의료 정보들을 진료기록카드와 같은 차트에 기록하거나,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에 직접 입력하도록 하는 전자 차트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진료기록카드와 같은 차트에 정보를 직접 수기로 기록하는 진료기록 카드의 경우에는 계속해서 기록용지가 공급되어야 하고, 각 개인별로 일일이 진료기록카드가 할당되어야 한다. 또한, 진료기록카드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고, 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유지, 관리하기 위하여 진료기록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타기록매체에 다시 옮겨 적거나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료기록카드 형태의 차트는 환자의 진료/치료과정에서 활용되기 위해서 특정 환자에 해당되는 차트를 수시로 필요로 하는 장소로 일일이 이동시켜 전달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이러한 불편함 이외에 의사는 진료행위를 수행하는 도중에 해당 진료행위에 관한 기록을 하거나, 진료행위 도중에 기록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진료행위를 완료한 이후 자신의 기억에 의존하여 해당 진료행위에 관한 기록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진료행위 기록이 부정확해지거나 불충분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기록업무와 관련한 의사의 업무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의사가 내시경과 같이 고도의 집중력을 요구하는 의료기구를 이용하여 진료행위를 하는 경우, 의사는 두손으로 내시경을 파지하여 내시경 검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진료행위 도중의 기록업무 수행은 불가능하며, 내시경 검사 이후에 의사의 기억에 의존한 진료기록의 정확도는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료기록을 상세하게 남기는 것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의료분쟁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으나, 의사의 과중한 업무량을 감안하면 상세한 진료기록을 남기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5273호(공개일자: 2005년 05월 17일, 명칭: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환자 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2669호(공개일자: 2013년 12월 30일, 명칭: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트 정보의 수기 입력 방법)
본 발명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의사가 발음하는 음성에 음성인식기술을 적용하여 의무기록을 자동 생성할 수 있는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의사의 음성정보중에서 의무기록 작성에 필요한 사항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STT(Speech To Text) 변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음성인식을 위한 정보 처리량을 줄이고 생성되는 의무기록의 품질을 높이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시경을 이용한 의료행위에 대한 의무기록을 자동 생성하는 시스템으로서, 내시경으로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의사의 음성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이 전달하는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STT(Speech To Text) 변환을 요청하는 음성처리 에이전트 및 상기 음성정보를 STT 변환한 정보인 STT 데이터를 외부 음성인식엔진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외부 음성인식엔진으로부터 수신한 STT 데이터로부터 생성한 텍스트(Text) 형식의 예비 리포트를 의무기록엔진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의무기록엔진이 상기 예비 리포트를 이용하여 의무기록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의무기록 생성/제어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의사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성처리 에이전트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전달받는 의사의 음성정보에 미리 설정된 항목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항목정보가 포함된 음성정보를 상기 외부 음성인식엔진으로 전송하여 STT 변환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무기록 생성/제어 에이전트는, 상기 외부 음성인식엔진으로부터 수신한 STT 데이터를 상기 항목정보와 상기 항목정보에 종속하는 의료행위정보로 구분하여 상기 예비 리포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무기록 생성/제어 에이전트는, 다양한 종류의 의무기록엔진의 구성정보에 대응하는 예비 리포트의 구성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구성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식별된 의무기록엔진에 대응하는 예비 리포트를 특정하고, 상기 외부 음성인식엔진으로부터 수신한 STT 데이터를 상기 항목정보와 상기 항목정보에 종속하는 의료행위정보로 구분하여 특정된 예비 리포트의 구성정보에 대응하도록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무기록 생성/제어 에이전트는, 상기 예비 리포트를 확인한 의사가 상기 예비 리포트에 구비된 의무기록생성 요청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예비 리포트를 의무기록엔진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의무기록엔진이 상기 예비 리포트를 참조하여 상기 항목정보와 상기 의료행위정보로 구분된 의무기록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의 전원이 턴온(turn on)된 상태에서 상기 의사가 미리 설정된 호출음을 발음하는 경우, 상기 음성처리 에이전트는 상기 마이크로폰과의 통신 채널이 생성되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의 전원이 턴온(turn on)된 상태에서 상기 의사가 미리 설정된 종료음을 발음하거나, 상기 마이크로폰의 전원이 턴온 상태에서 턴오프(turn off)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음성처리 에이전트는 상기 마이크로폰과의 통신 채널이 단절되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을 이용하여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의사가 발음하는 음성에 음성인식기술을 적용하여 의무기록을 자동 생성할 수 있는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시경을 이용하여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의사의 음성정보중에서 의무기록 작성에 필요한 사항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STT(Speech To Text) 변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음성인식을 위한 정보 처리량을 줄이고 생성되는 의무기록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은 마이크로폰(10), 음성처리 에이전트(20) 및 의무기록 생성/제어 에이전트(40)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폰(10)은 내시경으로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의사의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후술하는 음성처리 에이전트(20)롤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0)은 의사가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마이크로폰(10)은 목 거치형, 핀 마이크 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의사는 두손으로 내시경을 파지하여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동시에 의무기록 생성을 위한 음성을 발음할 수 있다.
도 3에는, 의사가 목에 거치할 수 있는 목 거치형으로 구성된 마이크로폰(10)이 예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0)의 전원이 턴온(turn on)된 상태에서 의사가 미리 설정된 호출음을 발음하는 경우, 음성처리 에이전트(20)는 마이크로폰(10)과의 통신 채널이 생성되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0)의 전원이 턴온(turn on)된 상태에서 의사가 미리 설정된 종료음을 발음하거나, 마이크로폰(10)의 전원이 턴온 상태에서 턴오프(turn off)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음성처리 에이전트(20)는 마이크로폰(10)과의 통신 채널이 단절되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의사는 내시경을 이용하여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여 수집될 수 있는 다양한 음성들 중에서 의무기록 작성에 필요한 음성정보만이 수집되도록 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STT(Speech To Text) 변환 과정에서의 정보 처리량을 줄이는 한편, 불필요한 사항들이 배제된 의무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0)과 음성처리 에이전트(20)는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음성처리 에이전트(20)는 마이크로폰(10)이 전달하는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외부 음성인식엔진(30)으로 STT(Speech To Text) 변환을 요청한다. 음성처리 에이전트(20)과 음성인식엔진(30)은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음성처리 에이전트(20)는, 마이크로폰(10)을 통해 전달받는 의사의 음성정보에 미리 설정된 항목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항목정보가 포함된 음성정보를 외부 음성인식엔진(30)으로 전송하여 STT 변환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목정보는 의무기록 작성에 필요한 항목명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음성처리 에이전트(20)는, 항목정보 없이 수집되는 불필요한 음성정보, 즉, 의무기록 작업에 불필요한 음성정보에 대해서는 STT 변환을 요청하지 않음으로써, STT(Speech To Text) 변환 과정에서의 정보 처리량을 줄이는 한편, 불필요한 사항들이 배제된 의무기록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의무기록 생성/제어 에이전트(40)는 외부 음성인식엔진(30)으로부터 음성정보를 STT 변환한 정보인 STT 데이터를 수신하고, 외부 음성인식엔진(30)으로부터 수신한 STT 데이터로부터 생성한 텍스트(Text) 형식의 예비 리포트를 의무기록엔진(50)으로 전달함으로써, 의무기록엔진(50)이 예비 리포트를 이용하여 의무기록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의무기록 생성/제어 에이전트(40)는, 1) 다양한 종류의 의무기록엔진(50)의 구성정보에 대응하는 예비 리포트의 구성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구성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의무기록엔진(50)을 식별하고, 2) 식별된 의무기록엔진(50)에 대응하는 예비 리포트를 특정하고, 3) 외부 음성인식엔진으로부터 수신한 STT 데이터를 항목정보와 상기 항목정보에 종속하는 의료행위정보로 구분하여 특정된 예비 리포트의 구성정보에 대응하도록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무기록 생성/제어 에이전트(40)는, 외부 음성인식엔진(30)으로부터 수신한 STT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항목정보와 이 항목정보에 종속하는 의료행위정보로 구분하여 예비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예비 리포트를 확인한 의사가 예비 리포트에 구비된 의무기록생성 요청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한하여, 예비 리포트를 의무기록엔진(50)으로 전달함으로써, 의무기록엔진(50)이 상기 예비 리포트를 참조하여 항목정보와 의료행위정보로 구분된 의무기록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추가로 참조하면, 단계 S110에서는, 전원이 턴온(turn on)된 상태의 마이크로폰(10)이 의사의 초기 호출음을 인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호출음에 대한 데이터는 마이크로폰(10)에 내장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10)은 수집한 의사의 발음이 이 호출음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115에서, 음성처리 에이전트(20)와의 통신 채널을 생성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폰(10)과의 통신 채널이 생성된 경우, 단계 S120에서, 음성처리 에이전트(20)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마이크로폰(10)이 전달하는 음성정보에 대한 STT 변환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면상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마이크로폰(10)의 전원이 턴온(turn on)된 상태에서 의사가 미리 설정된 종료음을 발음하거나, 마이크로폰(10)의 전원이 턴온 상태에서 턴오프(turn off)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음성처리 에이전트(20)는 마이크로폰(10)과의 통신 채널이 단절되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는, 마이크폰이 내시경을 이용하여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의사의 음성정보를 수집하여 음성처리 에이전트(20)로 전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40에서는, 음성처리 에이전트(20)가 마이크로폰(10)으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음성처리 에이전트(20)는, 마이크로폰(10)을 통해 전달받는 의사의 음성정보에 미리 설정된 항목정보가 포함된 경우, 이 음성정보는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성처리 에이전트(20)는, 단계 S150에서, 상기 항목정보가 포함된 음성정보를 외부 음성인식엔진(30)으로 전송하여 STT 변환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음성처리 에이전트(20)는, 마이크로폰(10)을 통해 전달받는 의사의 음성정보에 미리 설정된 항목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 음성정보는 무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STT 변환 요청 과정은 수행되지 않는다.
단계 S160, 단계 S170에서는, 외부의 음성인식엔진(30)이 음성처리 에이전트(20)로부터 요청받은 음성정보에 대한 STT 변환을 수행하고, STT 데이터를 의무기록 생성/제어 에이전트(40)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80에서는, 의무기록 생성/제어 에이전트(40)가, 외부 음성인식엔진(30)으로부터 수신한 STT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항목정보와 이 항목정보에 종속하는 의료행위정보로 구분하여 예비 리포트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90에서는, 예비 리포트를 확인한 의사가 예비 리포트에 구비된 의무기록생성 요청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의무기록 생성/제어 에이전트(40)가, 예비 리포트를 의무기록엔진(50)으로 전달하면서 의무기록 생성을 요청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00에서는, 의무기록엔진(50)이 예비 리포트를 참조하여 항목정보와 의료행위정보로 구분된 의무기록을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을 이용하여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의사가 발음하는 음성에 음성인식기술을 적용하여 의무기록을 자동 생성할 수 있는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시경을 이용하여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의사의 음성정보중에서 의무기록 작성에 필요한 사항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STT(Speech To Text) 변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음성인식을 위한 정보 처리량을 줄이고 생성되는 의무기록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10: 마이크로폰
20: 음성처리 에이전트
30: 음성인식엔진
40: 의무기록 생성/제어 에이전트
50: 의무기록엔진

Claims (7)

  1. 내시경으로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의사의 음성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이 전달하는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STT(Speech To Text) 변환을 요청하는 음성처리 에이전트; 및
    상기 음성정보를 STT 변환한 정보인 STT 데이터를 외부 음성인식엔진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외부 음성인식엔진으로부터 수신한 STT 데이터로부터 생성한 텍스트(Text) 형식의 예비 리포트를 의무기록엔진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의무기록엔진이 상기 예비 리포트를 이용하여 의무기록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의무기록 생성/제어 에이전트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처리 에이전트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전달받는 의사의 음성정보에 미리 설정된 항목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항목정보가 포함된 음성정보를 상기 외부 음성인식엔진으로 전송하여 STT 변환을 요청하고,
    상기 의무기록 생성/제어 에이전트는, 상기 외부 음성인식엔진으로부터 수신한 STT 데이터를 상기 항목정보와 상기 항목정보에 종속하는 의료행위정보로 구분하여 상기 예비 리포트를 생성하되, 다양한 종류의 의무기록엔진의 구성정보에 대응하는 예비 리포트의 구성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구성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식별된 의무기록엔진에 대응하는 예비 리포트를 특정하고, 상기 외부 음성인식엔진으로부터 수신한 STT 데이터를 상기 항목정보와 상기 항목정보에 종속하는 의료행위정보로 구분하여 특정된 예비 리포트의 구성정보에 대응하도록 기록하는,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의사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무기록 생성/제어 에이전트는,
    상기 예비 리포트를 확인한 의사가 상기 예비 리포트에 구비된 의무기록생성 요청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예비 리포트를 의무기록엔진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의무기록엔진이 상기 예비 리포트를 참조하여 상기 항목정보와 상기 의료행위정보로 구분된 의무기록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의 전원이 턴온(turn on)된 상태에서 상기 의사가 미리 설정된 호출음을 발음하는 경우, 상기 음성처리 에이전트는 상기 마이크로폰과의 통신 채널이 생성되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의 전원이 턴온(turn on)된 상태에서 상기 의사가 미리 설정된 종료음을 발음하거나, 상기 마이크로폰의 전원이 턴온 상태에서 턴오프(turn off)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음성처리 에이전트는 상기 마이크로폰과의 통신 채널이 단절되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
KR1020180089234A 2018-07-31 2018-07-31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 KR102178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234A KR102178534B1 (ko) 2018-07-31 2018-07-31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234A KR102178534B1 (ko) 2018-07-31 2018-07-31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960A KR20200013960A (ko) 2020-02-10
KR102178534B1 true KR102178534B1 (ko) 2020-11-13

Family

ID=6962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234A KR102178534B1 (ko) 2018-07-31 2018-07-31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7170A (zh) * 2020-12-01 2021-02-23 山东勤成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病历生成方法及装置
KR102623753B1 (ko) * 2020-12-30 2024-01-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성 인식을 이용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314564B1 (ko) * 2021-03-08 2021-10-19 주식회사 덴컴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461871B1 (ko) * 2022-07-29 2022-11-01 솔닥 주식회사 비대면 진료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문장 데이터 증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0906A (ja) * 2006-08-08 2008-02-21 Micronics Kk 電子カルテシステム、診察情報取得装置、および電子カルテ処理方法
JP4832770B2 (ja) * 2005-02-15 2011-12-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273A (ko) 2003-11-10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환자 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479961B1 (ko) 2012-06-20 2015-01-08 (주)포인트닉스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트 정보의 수기 입력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2770B2 (ja) * 2005-02-15 2011-12-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支援システム
JP2008040906A (ja) * 2006-08-08 2008-02-21 Micronics Kk 電子カルテシステム、診察情報取得装置、および電子カルテ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960A (ko) 202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534B1 (ko)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
CN109003648B (zh) 口腔门诊语音电子病历生成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2149319B (zh) 阿尔茨海默氏症认知使能器
US10657960B2 (en) Interactive system, terminal, method of controlling dialog, an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function as interactive system
KR20200049254A (ko) 채팅로봇이 탑재되어 고객의 니즈에 따라 의료상담이 가능한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04259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21238445A1 (zh) 身份信息的统一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KR20180055234A (ko) 음성을 이용한 치과진료 시스템
US11862302B2 (en) Automated transcription and documentation of tele-health encounters
WO2020004556A1 (ja) 患者アセスメント支援装置、患者アセスメント支援方法、記録媒体
JP2007052738A (ja) プラント監視装置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80147439A1 (en) User recognition/identification via speech for a personal health system
JP6922178B2 (ja) 音声認識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JP7457287B2 (ja) 看護師業務支援端末、看護師業務支援システム、看護師業務支援方法、および看護師業務支援プログラム
JP2021064284A (ja) 認知機能評価システム、認知機能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99801B2 (ja) 医療支援システム
US20030097253A1 (en) Device to edit a text in predefined windows
CN115083557A (zh) 一种医疗文案记录智能生成系统及方法
JP2018200622A (ja) メンタルヘルス対策支援システム及びメンタルヘルス対策支援方法
CN111028937A (zh) 一种实时远程听诊方法及系统
JP2018101249A (ja) ロボット、ロボットシステム、サーバ、情報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5699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190267002A1 (en) Intelligent system for creating and editing work instructions
JP2020144648A (ja) 患者情報表示装置、患者情報表示システム、患者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49273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