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259A -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259A
KR20220004259A KR1020200081857A KR20200081857A KR20220004259A KR 20220004259 A KR20220004259 A KR 20220004259A KR 1020200081857 A KR1020200081857 A KR 1020200081857A KR 20200081857 A KR20200081857 A KR 20200081857A KR 20220004259 A KR20220004259 A KR 20220004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intelligence
patient
doctor
treatmen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주
최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앤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앤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앤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81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4259A/ko
Publication of KR20220004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은, 의사와 환자 간의 원격 영상 진료 서비스를 개시하는 단계; 환자로부터의 음성을 인식하여 환자 대화를 획득하는 단계; 의료정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 대화를 이용한 인공지능 진료를 수행하는 단계; 및 인공지능 진료에 대한 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edical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원격진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인터넷 및 통신기기의 사용이 편리해짐에 따라, 다양한 맞춤형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의료분야에서의 온라인 서비스로서 원격진료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는 대부분 단순한 예약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최근에는 영상전송기술 등의 발달로 인해 의사와 환자간의 화상진료를 수행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에는 인공지능(AI) 기술이 다양한 산업에 접목되고 있는 추세인데, 인공지능은 인간이 고유하게 보유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인지능력, 추론능력, 학습능력, 이해능력 등이 가능한 기계나 소프트웨어(SW)로 만들어진 지능을 말한다. 지능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컴퓨터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방법을 연구하는 과학 분야를 통칭한다. 주로 패턴인식, 전문가 시스템, 자연어 처리, 기계 학습 및 자동제어 기술이 포함된다.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술, 전통 의료산업 결합을 통해 개발된 시스템으로, 대량의 의료 데이터 및 전문 문헌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증상에 근거한 문제 발견이 가능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8980 (등록일자 2020년03월09일) 사용자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의사와 환자간의 원격진료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의료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사와 환자 간의 원격 영상 진료 서비스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환자로부터의 음성을 인식하여 환자 대화를 획득하는 단계; 의료정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 대화를 이용한 인공지능 진료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공지능 진료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환자에게 제공되는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일측은 상기 의사와의 진료 서비스를 위한 영역으로, 다른 일측은 상기 인공지능 진료를 위한 영역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사로부터의 음성을 인식하여 의사 대화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사 대화에 따른 의사 진료 내용과 상기 인공지능 진료에 따른 인공지능 진료 내용을 비교하여 일치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일치율에 대한 정보가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지능 진료의 내용과 상기 의사의 진료 내용의 차이를 기반으로 추천질문사항을 생성하고, 상기 환자가 상기 의사에게 질문하는데 이용하도록 상기 추천질문사항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치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추천질문사항의 생성 및 제공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치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의사에 대한 진료이력정보로서 반영하여 저장하며, 차후 환자 고객에게 의사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상기 진료이력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사와의 진료 서비스를 위한 영역과 상기 인공지능 진료를 위한 영역의 사이즈 비율을 일정 시간 주기마다 상기 일치율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의사와 환자 간에 통신망을 통한 원격 영상 진료 서비스를 위한 원격진료 처리부; 상기 환자로부터의 음성을 인식하여 환자 대화를 획득하는 음성인식부; 의료정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 대화를 이용한 인공지능 진료를 수행하는 인공지능부; 및 상기 인공지능 진료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음성인식부는 상기 의사로부터의 음성을 인식하여 의사 대화를 획득하며, 상기 의사 대화에 따른 의사 진료 내용과 상기 인공지능 진료에 따른 인공지능 진료 내용을 비교하여 일치율을 산출하는 진료비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일치율에 대한 정보가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지능부는, 상기 인공지능 진료의 내용과 상기 의사의 진료 내용의 차이를 기반으로 추천질문사항을 생성하고, 상기 환자가 상기 의사에게 질문하는데 이용하도록 상기 추천질문사항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상기 의사와의 진료 서비스를 위한 영역과 상기 인공지능 진료를 위한 영역의 사이즈 비율을 일정 시간 주기마다 상기 일치율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사와 환자간의 원격진료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진료서비스뿐 아니라 다양한 의료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의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과 의사 진료의 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추천질문 제공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UI)을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환자단말(10), 의사단말(20) 및 서비스 시스템(30)를 포함한다.
환자단말(10)은 원격진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즉, 환자)이 구비한 단말장치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개인PC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하되,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망을 통한 통신기능, 영상촬영기능(예로 카메라 등) 등을 구비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 모든 컴퓨팅 장치일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자명하게 될 것이다. 환자는 환자단말(10)을 이용하여 서비스 시스템(30)에 접속하여 의사와의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의사단말(20)은 의사가 보유한 단말장치로서, 이하에서는 개인용PC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하며, 마찬가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사는 의사단말(20)을 이용하여 서비스 시스템(30)에 접속하여 환자와의 원격 진료를 수행한다.
서비스 시스템(30)은 환자와 의사간의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원격 진료 서비스는 영상으로 환자와 의사간에 마치 서로 가까이 있듯이 서로 얼굴을 확인하며 진료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로서,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30)은 도면과 같이 빅데이터로서 의료정보DB(32)를 참조하여, 인공지능 진료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
이하, 서비스 시스템(30)에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 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의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UI)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을 먼저 참조하면, 서비스 시스템(30)은 의사와 환자 간의 원격 영상 진료 서비스를 개시하면(S310), 환자로부터의 음성을 인식하여 환자 대화를 획득한다(S320).
즉, 본 실시예에서는 환자와 의사간의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진료 서비스가 개시되면, 환자로부터의 음성을 인식(즉, 환자의 말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함으로써 환자 대화를 획득한다. 일례로 환자의 말을 모두 텍스트로서 변환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의료정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 대화를 이용한 인공지능 진료를 수행하고(S330), 인공지능 진료에 대한 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한다(S340).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는 의사와의 원격 진료 서비스가 진행되면, 자신의 말에 대한 인공지능 의사에 의한 진료 서비스까지도 동시에 제공받는 것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예를 들면, 환자가 [3일전부터 열이 나는 것 같고, 기침이 좀 있습니다]라는 말을 했다면, 그에 따른 의사의 답변 또는 질문이 있을 것이며, 이때에 인공지능 진료정보로서 [최근 A형 독감이 기승하고 있습니다. 단순 감기가 아닐 수 있습니다]라는 정보를 환자에게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추후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일례에 따른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 6을 참조하면, 원격 진료 서비스에 따른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의사와의 진료를 위한 영역(610)과 인공지능 진료를 위한 영역(6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하나의 화면을 통해 의사와의 원격진료와 함께 동시에 인공지능에 의한 진료까지도 서비스 받게 된다.ㄹ
이러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30)의 구성을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시스템(30)은 통신부(210), 인공지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하되, 제어부(230)는 기능에 따라 원격진료 처리부(231), 음성인식부(232), 진료비교부(233) 및 인터페이스부(234)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환자단말 및 의사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원격 서비스를 위한 통신수단이다. 통신부(210)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공지능부(220)는 인공지능 진료 서비스를 위한 수단으로써, 인공지능부(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DB형태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를 이용한 의료정보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진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 인공지능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므로, 인공지능으로 진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제어부(230)는 환자와 의사간의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동시에 인공지능부를 이용한 인공지능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30)의 원격진료 처리부(231)는 의사와 환자 간에 통신망을 통한 원격 영상 진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원격진료 처리부(231)는 의사단말과 환자단말간의 영상통화 서비스(즉, 의사단말로부터의 영상정보를 환자단말로 실시간 제공하고, 마찬가지로 환자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정보를 의사단말로 실시간 제공)를 제공하며, 또한 채팅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원격진료 처리부(231)는 의료정보DB(32)를 참조하여 환자의 의료정보(기존 의료받은 이력 등)를 의사가(또는 환자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원격진료 처리부(231)는 의사가 환자에게 원활한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다른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음성인식부(232)는 의사와 환자간의 대화에서 환자로부터의 음성을 인식하여 환자 대화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음성인식 기술은 네비게이션, 통역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므로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인식부(232)는 환자대화뿐 아니라 의사의 말을 인식한 의사대화를 획득한다.
인터페이스부(234) 상술한 바와 같은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일례로 인터페이스부(234)는 인공지능 진료에 대한 정보를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화면 일측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진료비교부(233)는 의사 대화에 따른 의사 진료 내용과 인공지능 진료에 따른 인공지능 진료 내용을 서로 비교한다. 비교 결과로서 일치율이 산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일치율에 대한 정보는 환자에게 제공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인공지능 진료 영역의 일측에 일치율(621)이 표시된다. 물론 이는 예시일뿐이며, 일치율은 의사 진료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또한 반드시 텍스트로서 표시될 필요는 없으며 그래프 등의 이미지로도 표시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과 의사 진료의 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추천질문 제공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와 의사간의 원격 영상 진료 서비스의 진행에 따른 의사의 음성을 인식하여 의사대화를 획득하고(S410), 획득된 의사 대화에 따른 의사 진료와 인공지능 진료를 서로 비교하여 일치율을 산출한다(S420). 일치 여부는 진료와 관계된 중요 진키워드(예를 들어, 감기, 비염, 목부음 등)의 일치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그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키워드가 10개일 때, 동일한 키워드가 9개이면 일치율은 90%로 산출된다.
산출된 일치율은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 내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S430).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일치율의 이용 예시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일치율을 산출하면(S510),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520).
일치율이 임계값 이상이면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일치율만을 표시하고(S530), 임계값 미만인 경우엔 인공지능 진료와 의사 진료 내용의 차이를 기반으로 추천질문사항을 생성한다(S540). 예를 들어, 인공지능 진료는 질병이 [감기]인 경우를 기반으로 하는데 비해, 의사 진료가 [비염]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 [목이 부었는지 확인해주시겠어요] 또는 [감기는 아닐까요?] 등 환자가 직접 의사에게 질문 또는 의견을 제시할 추천질문사항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추천질문사항에 대한 정보가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S55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질문항목(622)을 실시간으로 표시해줌으로써, 환자가 적극적으로 의사에게 보다 정확한 진료를 위한 질문들을 수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환자는 인공지능 진료의 도움을 받으면서 의사 진료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양질의 진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일치율 여부와 상관없이 추천질문사항을 생성할 수도 있으나, 일치율이 높다는 것은 인공지능 진료와 의사 진료가 유사하다는 것으로 일반적인 질병일 확률이 높으므로 이때에는 질문 사항을 추천하지 않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만 추천질문사항의 생성 및 제공을 처리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비스 시스템(30)은 상술한 일치율에 대한 정보를 의사에 대한 진료이력정보로서 반영하여 저장하며(즉, 각 의사에 대한 정보를 관리함), 차후 환자 고객에게 의사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진료이력정보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일치율이 높은 의사의 우선순위를 높게 하거나, 일치율에 대한 정보를 환자 고객에게 노출하여, 환자고객이 의사를 선택할 때 참고자료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의사 진료 영역(610)과 인공지능 진료 영역(620)으로 구분하는데, 일례에 따르면 의사 진료 영역과 인공지능 진료 영역의 사이즈 비율을 일정 시간 주기마다 일치율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에는 1:1의 사이즈 비율을 갖되, 5분이 경과된 시점부터 5분 단위로 일치율을 확인하고, 80%를 기준으로 80%이상이면 의사 진료 영역 대비 인공지능 영역의 비율을 1.2:0.8의 비율로, 80% 미만이면 1:1의 비율로 설정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환자단말
20 : 의사단말
30 : 서비스 시스템

Claims (12)

  1. 의사와 환자 간의 원격 영상 진료 서비스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환자로부터의 음성을 인식하여 환자 대화를 획득하는 단계;
    의료정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 대화를 이용한 인공지능 진료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공지능 진료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자에게 제공되는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일측은 상기 의사와의 진료 서비스를 위한 영역으로, 다른 일측은 상기 인공지능 진료를 위한 영역으로 구성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의사로부터의 음성을 인식하여 의사 대화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사 대화에 따른 의사 진료 내용과 상기 인공지능 진료에 따른 인공지능 진료 내용을 비교하여 일치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일치율에 대한 정보가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진료의 내용과 상기 의사의 진료 내용의 차이를 기반으로 추천질문사항을 생성하고, 상기 환자가 상기 의사에게 질문하는데 이용하도록 상기 추천질문사항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일치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추천질문사항의 생성 및 제공을 처리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치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의사에 대한 진료이력정보로서 반영하여 저장하며,
    차후 환자 고객에게 의사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상기 진료이력정보를 이용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의사와의 진료 서비스를 위한 영역과 상기 인공지능 진료를 위한 영역의 사이즈 비율을 일정 시간 주기마다 상기 일치율에 따라 변경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9. 의사와 환자 간에 통신망을 통한 원격 영상 진료 서비스를 위한 원격진료 처리부;
    상기 환자로부터의 음성을 인식하여 환자 대화를 획득하는 음성인식부;
    의료정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 대화를 이용한 인공지능 진료를 수행하는 인공지능부; 및
    상기 인공지능 진료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부는 상기 의사로부터의 음성을 인식하여 의사 대화를 획득하며,
    상기 의사 대화에 따른 의사 진료 내용과 상기 인공지능 진료에 따른 인공지능 진료 내용을 비교하여 일치율을 산출하는 진료비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일치율에 대한 정보가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부는, 상기 인공지능 진료의 내용과 상기 의사의 진료 내용의 차이를 기반으로 추천질문사항을 생성하고, 상기 환자가 상기 의사에게 질문하는데 이용하도록 상기 추천질문사항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환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상기 의사와의 진료 서비스를 위한 영역과 상기 인공지능 진료를 위한 영역의 사이즈 비율을 일정 시간 주기마다 상기 일치율에 따라 변경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
KR1020200081857A 2020-07-03 2020-07-03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04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857A KR20220004259A (ko) 2020-07-03 2020-07-03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857A KR20220004259A (ko) 2020-07-03 2020-07-03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259A true KR20220004259A (ko) 2022-01-11

Family

ID=7935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857A KR20220004259A (ko) 2020-07-03 2020-07-03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425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183B1 (ko) 2022-03-16 2022-08-04 (주)코레시옹비탈레 의사의 선택적 진료 수락을 통한 의사-환자 비대면 진료 시스템
KR102429181B1 (ko) 2022-03-07 2022-08-04 (주)코레시옹비탈레 선택적 채널 형성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KR102429182B1 (ko) 2022-03-16 2022-08-04 (주)코레시옹비탈레 환자의 증상 정보에 따른 선택적 의사 매칭이 가능한 비대면 진료 시스템
KR102451457B1 (ko) 2022-03-18 2022-10-07 (주)코레시옹비탈레 의사-환자의 선택적 매칭을 통한 비대면 진료 상담 결제 시스템
KR102466587B1 (ko) 2022-04-01 2022-11-14 (주)코레시옹비탈레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CN116805531A (zh) * 2023-08-24 2023-09-26 安徽通灵仿生科技有限公司 一种儿科远程医疗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980B1 (ko) 2019-04-19 2020-03-13 이정의 사용자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980B1 (ko) 2019-04-19 2020-03-13 이정의 사용자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181B1 (ko) 2022-03-07 2022-08-04 (주)코레시옹비탈레 선택적 채널 형성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KR102429183B1 (ko) 2022-03-16 2022-08-04 (주)코레시옹비탈레 의사의 선택적 진료 수락을 통한 의사-환자 비대면 진료 시스템
KR102429182B1 (ko) 2022-03-16 2022-08-04 (주)코레시옹비탈레 환자의 증상 정보에 따른 선택적 의사 매칭이 가능한 비대면 진료 시스템
KR102451457B1 (ko) 2022-03-18 2022-10-07 (주)코레시옹비탈레 의사-환자의 선택적 매칭을 통한 비대면 진료 상담 결제 시스템
KR102466587B1 (ko) 2022-04-01 2022-11-14 (주)코레시옹비탈레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CN116805531A (zh) * 2023-08-24 2023-09-26 安徽通灵仿生科技有限公司 一种儿科远程医疗系统
CN116805531B (zh) * 2023-08-24 2023-12-05 安徽通灵仿生科技有限公司 一种儿科远程医疗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4259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7316453B2 (ja) オブジェクト推薦方法及び装置、コンピュータ機器並びに媒体
CN106650261A (zh) 智能问诊方法、装置和系统
US20140278506A1 (en) Automatically evaluating and providing feedback on verbal communications from a healthcare provider
JP6625614B2 (ja) 医療製品サポートプラットフォーム
CN110852695A (zh) 任务审批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11645561B2 (en) Question answering system influenced by user behavior and text metadata generation
CN111933239A (zh) 数据处理的方法及装置、系统、存储介质
US11616740B2 (en) Invoking chatbot in online communication session
US20170004288A1 (en) Interactive and multimedia medical repor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2303426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ticket management and resolution
CN110377733A (zh) 一种基于文本的情绪识别方法、终端设备及介质
US11797080B2 (en) Health simulator
EP41386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procedure preparation
KR20110060039A (ko) 대화형 로봇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6762125A (zh) 环境协作智能系统和方法
CN115661907A (zh) 一种生物特征识别方法及系统
WO2019155887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200402153A1 (en) Negotiation device
US20230274818A1 (en) Image analysis and insight generation
JP2021064284A (ja) 認知機能評価システム、認知機能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908143B2 (en) Dialog call-flow optimization
RU2755781C1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е рабочее место оператора и способ е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интерактивной поддержки сессии обслуживания клиента
US11837341B1 (en) Secured messaging service with customized near real-time data integration
US202103986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intake of patient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