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273B1 -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273B1
KR102249273B1 KR1020190160252A KR20190160252A KR102249273B1 KR 102249273 B1 KR102249273 B1 KR 102249273B1 KR 1020190160252 A KR1020190160252 A KR 1020190160252A KR 20190160252 A KR20190160252 A KR 20190160252A KR 102249273 B1 KR102249273 B1 KR 102249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management server
application
termina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아
양서림
박찬미
심해인
김서라
장혜원
김종운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0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61H2201/5012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using the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모듈,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소리를 녹음하는 마이크, 소리를 발산하는 스피커 및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단말기 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통신하되 기억장치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녹음된 음성을 관리서버에 녹음하되 이를 QR코드와 매칭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카메라 및 스피커 등을 제어하여 단말기에서 촬영된 QR코드와 매칭되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여 시각장애인들이 동시간이나 동장소에 있지 않더라도 시각장애인들이 다른 이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VOICE RECORDING METHOD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서버 또는 단말기 내의 링크주소가 입력된 QR코드를 활용하여, 외부서버 또는 단말기에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각장애는 생리학 또는 신경학적인 원인으로 시각에 이상이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위와 같은 상태인 사람들을 시각장애인이라고 일컫는다. 이때 시각장애는 근시, 원시, 난시 등 눈의 이상으로 발생되는 중심시력장애와, 눈에는 이상이 없더라도 뇌로 연결된 시각 피질 손상으로 나타나는 중추성 시력 장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처럼 일반적으로 시각장애는 가벼운 시력 이상도 포함되는 용어이지만,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은 시력이 현저히 낮거나 완전히 보이지 않는 상태인 이들을 일컫는다.
현대의 시각장애인들은 대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대상에 형성된 점자를 이용하여 대상의 정보를 판별한다. 이때 점자는 6점 또는 8개의 돌출된 점으로 자음/모음을 형성하여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시각장애인이 점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서 각 점자의 점형들이 나타내는 뜻을 미리 숙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국내의 많은 시각장애인들이 점자를 올바르게 해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8개의 점형은 하나의 자음/모음만을 나타내므로 많은 정보를 표출하기도 어렵고, 담긴 정보를 인지하는 시간 또한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점자는 시각장애인용 문자에 관한 것으로, 평평한 판상에 돌출된 점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들이 대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일반적으로는 총 6개의 점을 통해 총 63개의 서로 다른 점형을 만들고,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단어가 연속적으로 나열되어 문장으로 형성된다.
또한 시각장애인의 지팡이를 이용하여 방향지시핀과 접촉한 사용자의 신체부위나 소리 등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 10-2034283호(“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및, 문서 또는 점자의 형상을 통해 음성으로 내용을 안내해주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46207호(“점자 출력 장치”) 등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보다 많은 정보를 시각장애인에게 전달하도록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주지된 기술들은, 주어진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기술에만 치중되어 있으며, 시각장애인이 대상에 자신만의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은 포함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들은 비시각장애인들이 시각장애인들로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만 국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34283 B1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KR 10-1946207 B1 (“점자 출력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를 통해 QR코드를 생성/스캔하고, QR코드 상에 실시간 녹음된 음성파일의 링크주소가 저장되어, 시각장애인이 남긴 음성녹음 및 QR코드를 통해 다른 이들이 대상 물체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신모듈,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소리를 녹음하는 마이크, 소리를 발산하는 스피커 및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단말기 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통신하되 기억장치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에 있어서, A)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일정한 출력영역을 갖는 QR코드 생성 및 QR코드 스캔이 포함된 제1모드 출력화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B1) 상기 제1모드가 출력된 터치 디스플레이에 QR코드 생성이 형성된 출력영역으로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B2)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QR코드 생성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가 기억장치의 링크주소와 연계된 QR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B3)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마이크가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B4) 마이크에서 소리가 녹음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에서 녹음된 소리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가 QR코드와 연계된 기억장치의 링크주소에 녹음된 소리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2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단말기의 카메라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QR코드의 링크주소가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되면, 상기 관리서버는 QR코드 생성을 생략하되, 촬영된 QR코드를 기억장치와 연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단계 이후, 상기 제1모드가 출력된 터치 디스플레이에 QR코드 스캔이 형성된 출력영역으로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카메라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카메라에서 QR코드가 촬영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QR코드의 이미지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수신받은 QR코드와 연계된 기억장치 링크주소에 녹음된 소리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소리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B4단계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주변기기를 검색하되, 주변기기가 검색되면 인쇄 또는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3단계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제2모드 출력화면 신호를 전송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모드는, QR코드 저장, 녹음가동/중단, 제1모드로의 변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모드의 상기 QR코드 생성 및 QR코드 스캔 각각의 출력영역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의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의 어플리케이션;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음성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의 기억장치의 링크주소가 형성된 QR코드 및 상기 QR코드의 외측에 배치되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QR코드 라벨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QR코드 라벨지는 전면에는 QR코드 및 돌출부가 형성되고 후면은 스티커로 형성되며, 상기 QR코드 라벨지의 돌출부는 단어 또는 문장을 나타내는 점자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은, 시각장애인이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자신의 목소리로 정보를 기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들의 주관적인 생각들을 대상에 담을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들이 다른 이의 도움 없이도 대상의 세부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들은 기존 점자를 이용하여 단순한 정보만을 제공받는 것에서 벗어나,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세부정보까지도 제공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들이 점자를 해독하지 못하여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들이 QR코드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용이하도록, QR코드와 돌출부가 형성된 QR코드 라벨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들이 스티커 형인 QR코드 라벨지를 제품에 붙이거나, 붙여진 QR코드를 자신의 단말기로 촬영하는 것이 보다 수월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표출되는 제1모드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모드에서 QR생성이 입력된 경우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모드에서 QR생성이 입력된 경우에 따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모드에서 QR스캔이 입력된 경우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모드에서 QR스캔이 입력된 경우에 따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변기기와 연결된 시스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가 형성된 QR코드 라벨지를 이용한 시스템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의 구성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표출되는 제1모드의 예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단말기(1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100)과, 상기 어플리케이션(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단말기(10)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관리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는 터치 패널과 영상 디스플레이가 함께 형성된 터치 디스플레이(또는 멀티터치 디스플레이), 외부의 소리를 녹음하는 마이크, 외부로 발산하는 스피커 및,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10)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TV 등의 스마트기기로 형성되거나, 상술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기기로 형성되거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마이크, 스피커 및 카메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어플리케이션(100)이 설치된 본체와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데이터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00)은, 상기 단말기(10)의 제어모듈과 접속 및 구성들에 대한 제어 권한을 할당받을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 및 관리서버(200)는 각각 통신모듈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통신모듈을 통해 서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100)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마이크 및 카메라에서 입력된 정보들을 처리하거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로 처리된 정보들을 출력하고, 상기 관리서버(200)와의 접속을 통해 관련 정보들을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일정한 출력영역을 갖는 제1모드 출력화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모드 출력화면 신호에 대한 기본 화면 구성은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저장장치에 저장되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작동 시에 표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드는, 크게 QR생성 및 QR스캔 기능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QR생성 및 QR스캔은 각각 터치 디스플레이에서 일정 영역에 표출되도록 하되, 상기 QR생성 및 QR스캔이 표출된 영역으로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각 기능과 연결된 단계로 이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되는 도 4 및 도 5에서는 출력되는 제1모드의 QR생성으로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를, 도 6 및 도 7에서는 출력되는 제1모드의 QR스캔으로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1모드의 QR생성 및 QR스캔 출력영역이 기 설정되는 일정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의 휴대성이 포함되는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QR생성 및 QR스캔 각각의 출력영역의 크기는 터치 디스플레이의 전체 출력화면의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QR생성 및 QR스캔 각각의 최대 크기는 전체 출력화면의 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를 지참한 시각장애인은 손에 지참한 단말기의 일단 또는 타단을 터치하여, QR생성 또는 QR스캔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모드에서 QR생성이 입력된 경우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모드에서 QR생성이 입력된 경우에 따른 예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때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보다 명확히 설명한다.
도 5-(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단말기(100) 상에 제1모드의 QR생성 및 QR스캔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1모드가 출력된 터치 디스플레이에서 QR생성(QR코드 생성)이 형성된 출력영역으로 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터치 디스플레이는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도 5-(b)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QR생성은 다양한 프로세스를 통해 운용될 수 있다.
제1프로세스는, 관리서버의 기억장치의 링크주소가 내장된 QR코드가 사용자 주변에 있는 경우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제1모드의 QR생성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를 실행하여 외부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에 비치된 QR코드에 대한 촬영이 성공하면, 마이크가 실행되어 외부의 소리를 녹음토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를 통한 소리의 녹음이 완료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QR코드와 매칭되는 관리서버 또는 관리서버의 기억장치로 녹음된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제2프로세스는, 관리서버와 접속되는 별도의 QR코드가 발행되지 않은 상태 또는 해당 단말기에 호환되지 않는 것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제1모드의 QR생성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서버로 QR코드를 생성해달라는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서버에서 기억장치 내 리소스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할당하는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말기의 기 등록여부나 어플리케이션으로 접속되는 아이디를 확인하는 과정 등을 통해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에서 기억장치 리소스 할당에 대한 허가가 이루어지면, 이와 연계되는 QR코드가 생성되어 상기 단말기로의 송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QR코드를 수신 받으면, 마이크가 실행되어 외부의 소리를 녹음토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를 통한 소리의 녹음이 완료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받은 QR코드와 매칭되는 관리서버 또는 관리서버의 기억장치로 녹음된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제3프로세스는, 상술한 제1프로세스 및 제2프로세스를 혼합한 것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서 QR생성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카메라를 우선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QR코드가 관리서버에서 발행된 QR코드인 경우에는 제1프로세스를 따라 운용되고,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QR코드가 관리서버에서 발행된 QR코드가 아닌 경우나 QR코드가 촬영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2프로세스를 따라 운용될 수 있다.
제4프로세스는, 상술한 제1프로세스 내지 제3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으로, 터치 디스플레이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거하자면, 1번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제1프로세스로, 2번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제2프로세스로, 3번 이상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제3프로세스로 운용될 수 있다.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면, QR생성 신호가 입력된 후, 마이크가 실행되면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로 제2모드에 대한 출력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는 제2모드에 대한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모드는, QR코드 저장, 녹음가동/중단, 제1모드로의 변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QR코드 저장은 현재 녹음된 소리를 앞서 매칭한 QR코드가 링크한 관리서버의 기억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QR코드 저장은 녹음가동 후에 활성화되거나, 녹음중단 이후에 활성화될 수 있으며, 여기서 활성화란 터치 디스플레이에 터치신호가 입력시 QR코드 저장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모드에서 QR스캔이 입력된 경우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모드에서 QR스캔이 입력된 경우에 따른 예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때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보다 명확히 설명한다.
도 7-(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단말기(100) 상에 제1모드의 QR생성 및 QR스캔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1모드가 출력된 터치 디스플레이에서 QR스캔(QR코드 스캔)이 형성된 출력영역으로 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터치 디스플레이는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서 입력된 신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카메라를 실행하여 외부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된 카메라에서 외부의 QR코드가 촬영될 수 있다.
이어 촬영된 QR코드는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된 음성파일과 매칭될 수 있으며, 매칭된 음성파일은 상기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전송된 음성파일은 도 7-(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가 실행된 이후 설정 시간 내에 QR코드가 인식되지 않거나, 인식된 QR코드가 관리서버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이를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QR코드가 다른 서버 또는 사이트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관리서버로 QR코드 정보를 전달하여 연결된 다른 서버 또는 사이트가 정당한지 여부를 확인받고, 확인되었다는 메시지가 회신된 경우에는 해당 서버 또는 사이트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8은 주변기기와 연결된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에서 녹음된 음성파일이 상기 관리서버 상에서 저장되었고, 이와 접속되는 QR코드가 단말기로 수신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주변기기를 검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주변기기가 검색되면, 해당 주변기기의 정보에 따라 고유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접속 가능한 주변기기가 다른 단말기인 경우에는 QR코드에 대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접속 가능한 주변기기가 인쇄장치인 경우에는 생성된 QR코드에 대한 인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에 접속된 인쇄장치는 인쇄 신호를 전송받으면, 관련 신호에 따라 QR코드를 인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9는 점자가 형성된 QR코드 라벨지를 이용한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술한 어플리케이션(100) 및 관리서버(200)와 더불어, 상기 관리서버(200)의 기억장치의 링크주소가 형성된 QR코드(20)와 상기 QR코드(20)의 외측에 배치되어 돌출된 돌출부(21)를 포함하는 QR코드 라벨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QR코드 라벨지(300)는 전면에 QR코드(20) 및 돌출부(21)가 형성되고 후면은 스티커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QR코드 라벨지(300)는 복수개가 라젤용지(30) 상에 임시적으로 접착된 상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QR코드 라벨지(300)를 떼어 자신이 붙이고 싶은 대상에 접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1)는 상기 QR코드(20)의 외측 모서리 전부에 형성되거나, 외측 모서리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돌출부(21)를 탐지하면서 QR코드(20)의 위치를 가늠하기에, 보다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QR코드 라벨지(300)의 돌출부(21)는 단어 또는 문장을 나타내는 점자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QR코드 라벨지(300)에 형성된 점자는, 해당 QR코드에 대한 간략한 정보가 기입될 수 있다. 일예로는, 해당 QR코드를 촬영하여 녹음할 수 있는 시간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녹음시간이 할당된 다수의 QR코드를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소리가 이미 QR코드의 링크주소 상에 저장되어, 상기 QR코드 주변의 점자는 저장된 소리의 분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분류는 저장된 파일이 다양한 동물들 중 하나의 소리로 동물의 종을 나타내거나, 교육용 또는 안내용으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간략한 소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10 : 단말기 20 : QR코드
21 : 돌출부 30 : 라벨용지
100 : 어플리케이션 200 : 관리서버
300 : QR코드 라벨지

Claims (6)

  1. 통신모듈,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소리를 녹음하는 마이크, 소리를 발산하는 스피커 및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단말기 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하되 기억장치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에 있어서,
    A)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일정한 출력영역을 갖는 QR코드 생성 및 QR코드 스캔이 포함된 제1모드 출력화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B1) 상기 제1모드가 출력된 터치 디스플레이에 QR코드 생성이 형성된 출력영역으로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B2)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단말기의 카메라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서 QR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QR코드가 상기 관리서버에서 발행된 QR코드인 경우, 하기 B3) 단계 및 B4)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QR코드가 상기 관리서버에서 발행된 QR코드가 아니거나 상기 카메라에서 QR코드를 촬영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QR코드 생성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가 기억장치의 링크주소와 연계된 QR코드를 생성하여 단말기로 송신한 후, 하기 B3) 단계 및 B4)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B3)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마이크가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B4) 마이크에서 소리가 녹음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에서 녹음된 소리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가 QR코드와 연계된 기억장치의 링크주소에 녹음된 소리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
    C1) 상기 제1모드가 출력된 터치 디스플레이에 QR코드 스캔이 형성된 출력영역으로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C2)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카메라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C3) 카메라에서 QR코드가 촬영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QR코드의 이미지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수신받은 QR코드와 연계된 기억장치의 링크주소에 녹음된 소리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C4)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소리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90160252A 2019-12-04 2019-12-04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 KR102249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252A KR102249273B1 (ko) 2019-12-04 2019-12-04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252A KR102249273B1 (ko) 2019-12-04 2019-12-04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273B1 true KR102249273B1 (ko) 2021-05-06

Family

ID=75916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252A KR102249273B1 (ko) 2019-12-04 2019-12-04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2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3998A (ko) * 2011-05-02 2012-11-12 주식회사 유엑스씨 큐알코드 생성 및 큐알코드 출력 프로그램과 이를 통해 출력된 큐알코드를 활용한 학습방법
KR20130139716A (ko) * 2012-06-13 2013-12-23 휴텍 주식회사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40136587A (ko) * 2013-05-20 2014-12-01 디에스글로벌 (주) 사운드 스토리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946207B1 (ko) 2018-08-28 2019-02-08 장민희 점자 출력 장치
KR102034283B1 (ko) 2018-11-08 2019-10-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3998A (ko) * 2011-05-02 2012-11-12 주식회사 유엑스씨 큐알코드 생성 및 큐알코드 출력 프로그램과 이를 통해 출력된 큐알코드를 활용한 학습방법
KR20130139716A (ko) * 2012-06-13 2013-12-23 휴텍 주식회사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40136587A (ko) * 2013-05-20 2014-12-01 디에스글로벌 (주) 사운드 스토리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946207B1 (ko) 2018-08-28 2019-02-08 장민희 점자 출력 장치
KR102034283B1 (ko) 2018-11-08 2019-10-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46541A1 (en) Apparatus for assisting visually impaired persons to identify persons and objects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US100959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pret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N104361274B (zh) 一种基于视频识别的身份认证方法及其系统
JP6392374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の操作方法
CN100358358C (zh) 视频电话手语翻译辅助装置及应用其的手语翻译系统
KR20090105531A (ko) 카메라센서로 찍은 문서 이미지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
EP3255871B1 (en) Recording of sound information and document annotations during a meeting.
US10020848B2 (en)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through interaction of users with objects
CN110875993A (zh) 带交互代理功能的图像形成系统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KR101879273B1 (ko)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 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102249273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
CN110972123A (zh) 实现无线连接的方法、硬件及计算机介质
CN111611812B (zh) 翻译成盲文
JP201504113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614007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85172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machine-readable visual markers to provide environmental context for communications
KR20200045821A (ko) 전자의무기록에 기반하여 대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4121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743999B1 (ko) 컨텐츠 검증 단말기, 시스템 및 그 것들의 제어방법
JP2006304066A (ja) 遠隔会議に用いられるサーバ、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タ、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65251B1 (ko) 지능형 점자 번역장치
JP2009151654A (ja) Icカード発行システム
JP6923029B1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表示方法
KR101915182B1 (ko) 환경 변화에 강건한 인식을 위한 인지정보처리 플랫폼
JP2023169448A (ja) 生活を支援する方法、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