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999B1 - 컨텐츠 검증 단말기, 시스템 및 그 것들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검증 단말기, 시스템 및 그 것들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999B1
KR101743999B1 KR1020160087647A KR20160087647A KR101743999B1 KR 101743999 B1 KR101743999 B1 KR 101743999B1 KR 1020160087647 A KR1020160087647 A KR 1020160087647A KR 20160087647 A KR20160087647 A KR 20160087647A KR 101743999 B1 KR101743999 B1 KR 101743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emotional
terminal
verification system
satisf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희
김문지
송은정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7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06F17/275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gebra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그 등 웹 상에 게시되어 있는 다양한 리뷰 데이터들의 감정을 분석하여 통계를 낼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정 테마에 대한 리뷰 데이터의 통계를 내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테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크롤러, 상기 갱신된 감성단어 집합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리뷰 데이터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만족도 분석기, 및 사전 구축기를 포함하되, 상기 사전 구축기는, 상기 리뷰 데이터들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 리스트를 획득하고, 기설정된 감성단어 집합에 기초하여 상기 단어 리스트에 대한 단어 그래프를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단어 그래프에 기초하여, 상기 감성단어 집합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텐츠 검증 단말기, 시스템 및 그 것들의 제어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VERIFICATION CONTEN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리뷰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컨텐츠를 검증할 수 있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특히 이동 단말기의 경우,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다양한 정보 추천 TV 콘텐츠의 등장과 함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한 상호교환도 활발해졌다. 사람들은 TV 프로그램에서 추천해준 콘텐츠에 대한 이용후기 및 의견 등을 개인의 블로그, 트위터 등의 SNS를 통해 작성하고 공유한다. 그러나 여러 SNS 리뷰들에서 TV프로그램에서 추천된 콘텐츠가 실제와는 다르게 과장되었다는 의견이 제기되면서 사람들은 TV 추천 콘텐츠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었다. 특히 맛집 추천 콘텐츠들의 경우, 맛집 프로그램에서 추천된 맛집을 방문한 사람들의 불만 후기가 SNS를 통해 공유되면서 맛집 추천 프로그램이 공익의 정보를 제공하기 보다는 음식점을 홍보하는 광고에 가깝다는 우려와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렇게 TV 추천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사람들의 불신이 증가함에 따라,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진실성과 공정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줄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웹 상에 흩어져 있는 컨텐츠들 중 연관성이 있는 것들을 수집하여, 컨텐츠들의 진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특정 테마에 대한 리뷰 데이터의 통계를 내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테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크롤러; 상기 갱신된 감성단어 집합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리뷰 데이터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만족도 분석기; 및 사전 구축기를 포함하되, 상기 사전 구축기는, 상기 리뷰 데이터들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 리스트를 획득하고, 기설정된 감성단어 집합에 기초하여 상기 단어 리스트에 대한 단어 그래프를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단어 그래프에 기초하여, 상기 감성단어 집합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특정 테마에 대한 리뷰 데이터의 통계를 내기 위한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뷰 데이터들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기설정된 감성단어 집합에 기초하여 상기 단어 리스트에 대한 단어 그래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단어 그래프에 기초하여, 상기 감성단어 집합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감성단어 집합에 기초하여 상기 리뷰 데이터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증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인터넷을 통하여 무분별하게 쏟아지는 컨텐츠들의 진위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조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어 리스트(알고리즘의 입력)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또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단말기(100)와 다른 단말기(100) 사이, 또는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기 내 정보,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단말기(100)와 다른 단말기(100) 사이, 또는 단말기(100)와 다른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단말기 내 정보,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히 맛집 추천 콘텐츠들의 경우, 맛집 프로그램에서 추천된 맛집을 방문한 사람들의 불만 후기가 SNS를 통해 공유되면서 맛집 추천 프로그램이 공익의 정보를 제공하기 보다는 음식점을 홍보하는 광고에 가깝다는 우려와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렇게 TV 추천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사람들의 불신이 증가함에 따라,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진실성과 공정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TV 추천 콘텐츠가 시청자들에게 공정하고 진실성 있는 정보를 제공해주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TV 추천 콘텐츠와 관련된 대용량의 SNS 리뷰데이터를 하둡 맵리듀스를 이용해 분석한다.
맵리듀스(MapReduce)는 구글에서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분산 병렬 컴퓨팅에서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하여 2004년 발표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를 의미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페타바이트 이상의 대용량 데이터를 신뢰도가 낮은 컴퓨터로 구성된 클러스터 환경에서 병렬 처리를 지원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이 프레임워크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Map과 Reduce라는 함수 기반으로 주로 구성된다.
아파치 하둡(Apache Hadoop, High-Availability Distributed Object-Oriented Platform)은 대량의 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큰 컴퓨터 클러스터에서 동작하는 분산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프리웨어 자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 원래 너치의 분산 처리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아파치 루씬의 하부 프로젝트이다. 분산처리 시스템인 구글 파일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HDFS: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과 맵리듀스를 구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오피니언 마이닝을 활용하여 작성자들의 감성의견을 추출하고, 이를 통계적 기법에 적용시켜 TV 추천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를 도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TV 추천 콘텐츠 중 맛집 추천 콘텐츠를 대상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결과 화면으로 설계하여 시청자 및 TV프로그램 관계자가 분석의 결과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게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조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체 시스템은 대용량의 SNS 리뷰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크롤러(210, Data Crawler), 수집된 데이터를 형태소 단위의 표현으로 분류하기 위한 형태소 분석기(220, Korean Lexical Analyzer), 콘텐츠 특징별 감성사전을 구축하기 위한 사전구축기(230), 리뷰데이터의 오피니언 마이닝을 통해 만족도를 도출하기 위한 감성분석기와 마지막으로 사용자에게 분석결과를 보여주는 결과화면출력기(240)으로 나뉜다. 형태소는 의미의 최소단위로써, 더 이상 분석 불가능한 가장 작은 의미 요소를 말한다. 형태소의 분석이란, 형태소를 비롯하여, 어근, 접두사/접미사, 품사(POS, part-of-speech) 등 다양한 언어적 속성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시스템 각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데이터 크롤러(210)에서는 분석의 대상이 될 콘텐츠를 선정하고, 이를 키워드로 하여 웹 사이트로부터 대량의 리뷰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파싱해 온다. 이렇게 파싱된 대량의 리뷰데이터들은 형태소 분석 단계를 거쳐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230)에 병렬 저장되며, 저장된 데이터들은 첫 번째로 MapReduce기반의 사전 구축기(231, Sentiment Dictionary Builder) 에 의해 극성이 분류되어 사전데이터(233)로 구축된다. 이하, 콘텐츠 별 감성 사전을 구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별 감성 사전 구축
리뷰데이터의 정확한 감성분석을 위해서는 각 도메인에 맞는 감성사전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목표하는 콘텐츠의 만족도 분석은 다양한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만족도 분석이므로 콘텐츠의 도메인이 정해지면(예를 들어, 맛집 정보 등) 그에 따라 자동적으로 감성사전이 구축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콘텐츠 별 감성사전을 구축하기 위하여 그래프 기반 특정분야 감성사전 구축 방법을 활용한다.
하기 수학식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단어 그래프의 정의로 그래프의 정점은 단어, 간선은 단어와 단어 사이의 관계로 정의한다.
Figure 112016066974643-pat00001
상술한 그래프(graph)란, 일반적인 의미의 그래프가 아니라, 연결되어 있는 객체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자료 구조로서의 그래프를 의미한다.
그래프는 정점(vertex)과 간선(edge)들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정점은 여러가지 특성을 가질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하고, 간선을 이러한 정점들 간의 관계(연관성)를 의미한다. 간선의 종류에 따라 그래프는 무방향 그래프와 방향 그래프로 구분된다. 무방향 그래프의 간선은 간선을 통해서 양방향으로 갈수 있음을 나타내며 정점 A와 정점 B를 연결하는 간선은 (A,B)와 같이 정점의 쌍으로 표현한다. (A,B)와 (B,A)는 동일한 간선이 된다. 방향 그래프는 간선에 방향성이 존재하는 그래프로서 도로의 일방통행길과 마찬가지로 간선을 통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갈수 있음을 나타낸다. 정점 A에서 정점 B로만 갈 수 있는 간선은 <A,B>로 표시한다. 방향 그래프에서 <A,B>와 <B,A>는 서로 다른 간선이다.
간선에 가중치를 할당하게 되면, 간선의 역할이 두 정점간의 연결 유무뿐만 아니라 연결 강도까지 나타낼 수 있으므로 보다 복잡한 관계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간선에 비용이나 가중치가 할당된 그래프를 가중치 그래프 또는 네트워크라고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간선의 개수만을 카운팅하여 반영하기 때문에 간선 자체의 가중치는 반영하지 않지만,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중치를 반영하여 반영하는 실시예 역시 가능할 것이다.
그래프에서 인접 정점이란 간선에 의해 직접 연결된 정점을 뜻한다. 무방향 그래프에서 정점의 차수는 그 정점에 인접한 정점의 수를 말한다. 무방향 그래프에 존재하는 정점의 모든 차수를 합하면 그래프의 간선 수의 2배가 된다. 이는 하나의 간선이 두개의 정점에 인접하기 때문이다. 방향 그래프에서는 외부에서 오는 간선의 수를 진입 차수라 하고 외부로 향하는 간선의 수를 진출 차수라 한다.
수학식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단어 그래프의 정의로 그래프의 정점은 단어, 간선은 단어와 단어 사이의 관계(연관성)로 정의한다. 수학식 1의 정점 집합 V는 감성을 알고 있는 소수의 감성단어 집합(시드(seed) 집합)과 감성을 알지 못하는 단어집합의 두 개의 하위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 그래프에서 간선의 가중치는 두 정점 사이의 밀접도인 PMI(Point-wise Mutual Information)의 값으로 계산된다. PMI값은 두 단어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므로 그 값이 0보다 작으면 두 정점사이의 관계가 없다고 판단되어 간선이 정의되지 않는다.
단어 그래프를 구성하는 모든 단어의 감성을 추론하기 위해 Label propagation 방법을 이용한다.
Figure 112016066974643-pat00002
즉, 한 단어의 감성은 다른 인접 단어들로부터 전달받은 감성의 가중평균(weight average)으로 계산된다. 이때, 가중평균의 가중치는 인접한 단어들과의 밀접도를 일반화한 확률값을 사용한다.
Figure 112016066974643-pat00003
Figure 112016066974643-pat00004
s i : 단어 x i 가 가지는 감성
Figure 112016066974643-pat00005
A i : 단어 x i 와 인접한 단어들(PMI 값이 0 이상인) 단어들의 집합 (i∈A i )
t ij : 단어 x i x j 사이의 일반화된 밀접도(가중치)
수학식 3은 x i x j 사이의 밀접도를 일반화 하는 식이고 수학식 4는 이를 밀접도로 사용하여 단어 x i 의 감성 s i 를 계산 하는 식이다.
각 단어의 감성은 수학식 4를 통해 특정 값에 수렴 할 때 까지 반복되어 계산된다.
이런식으로 처음에 감성 단어 집합(seed 단어들)의 감성으로부터 감성이 전파되어 감성을 모르는 단어들의 감성을 구해 단어 그래프를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정의를 기반으로 하여 단어 그래프를 생성 한 후, 그래프 내에서 감성 추론식을 통해 모든 단어의 감성을 구해 단어사전을 생성한다. 한편, 간선의 수가 많다는 것은 그 단어와 관계를 맺는 단어의 수가 많다는 뜻으로, 도메인 내에서 많은 단어들과 밀접성을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SEED 집합의 단어들은 간선의 수가 다른 어휘들보다 항상 많게 나타나는데, 지속적으로 누적되는 데이터들 속에서 기존 시드들의 간선의 수보다 더 많거나 비슷한 간선의 수를 가진 단어가 나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갱신되는 단어 그래프 속에서 기존 SEED 단어들보다 간선의 수를 많이 가지게 되는, 즉 다른 단어들과의 밀접성이 기존의 SEED보다 많은 단어들을 시드 단어집합에 갱신(즉, 이렇게 갱신된 단어 집합을 추가 감성단어 집합)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화된 유행어, 신조어를 포함한 단어사전 구축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두 번째로는 MapReduce기반의 만족도 분석기(232)에 의해 입력된 리뷰데이터의 감성이 분석된다. 이하,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콘텐츠 만족도 분석
리뷰데이터로부터 콘텐츠의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리뷰데이터에 대한 세밀한 감성분석이 핵심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리뷰에 나타나 있는 감성표현단어들에 중점을 두고,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끔 기존의 알고리즘들을 확장하여 콘텐츠 만족도 도출을 위한 감성분석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설계한 알고리즘에서는 감정 표현 단어의 의미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부사어 규칙, 부정어 규칙을 적용하여 극성 분석을 세밀화 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감성분석 시 극성의 결과만을 도출한다는 한계를 보완하여 도출된 극성 결과 값을 통계적 기법에 적용하여 만족도를 계산하였다. 만족도의 계산은 특정 대상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측정하는 통계적 기법인 리커트 5점 척도[10]를 사용하였으며, 알고리즘의 결과로 나온 긍정 / 부정의 극성값들은 리커트 5점 척도에 적용되어 매우만족(5) > 만족(4) > 보통(3) > 불만족(2) > 매우불만족(1)의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이하, 구체적으로 도 3의 알고리즘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알고리즘의 입력데이터는 형태소단위의 단어 리스트 (W[])로 구성된 하나의 리뷰데이터이며, 단어 리스트내의 모든 단어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축한 감성사전과 매칭 되어 감성 분석이 이루어진다. 또한 알고리즘 내의 스코어 함수에 의해 긍정어휘는 +1의 값을, 부정어휘는 -1의 값을 갖게 되며(line:6) 극성 분석의 세밀화를 위해 부사에 가중치(weight)를 두어 각 감성의 정도가 깊어지게 하였다(line:4). 예를 들어, "정말", "너무"와 같은 강한 강도의 강조 부사어에는 2의 weight값을, "조금?, “약간”과 같은 약한 강도의 부사어에는 0.5의 weight값을 주고. "안"과 같은 부정부사어에는 -1의 weight값을 주었다. 한편 "않다"와 같은 부정동사가 나올 경우에는 기존의 극성 값이 반대 극성으로 바뀌므로 -1의 값을 곱해 스택에 저장되게 하였다(line:7-8). 이렇게 계산 된 알고리즘내의 모든 감성 값들은 스택형태의 자료구조에 의해 관리되며, 모든 단어의 감성분석이 완료되면 스택 내에 저장되어있는 양수 값들은 긍정 극성의 합을 저장하는 SL positives 에(line:12), 음수 값 들은 부정 극성 합에 절대 값을 주어 SL negatives 에(line:13) 저장되고, 결과적으로 이들은 리커트 5점 척도(line:14)에 적용되어 만족도를 도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어 리스트(알고리즘의 입력)의 예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뷰 데이터의 형태소가 분석되면, 이를 기초로 형태소 단위의 단어를 선별할 수 있다.
도 4는 형태소단위로 알고리즘에 들어 올 수 있는 하나의 입력 단어 리스트 예이며, 자세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v는 동사(verb), a는 형용사(adjective), N은 명사(Noun)를 의미할 수 있다.
먼저 감성어휘의 대상이 되지 않는 나머지 단어들을 제외한 "V:맛있다", "a:너무, V:맛있다", "V:맛있다, V:않다" 가 분석의 대상(즉, 동사와 형용사)이 되며 여기서 V: 맛있다는 1의 긍정 값으로 스택에 저장되게 되고, a:너무, V:맛있다 는 1의 긍정 값에 강한 강도의 2의 가중치가 곱해져 2의 긍정 값으로 스택에 저장되게 된다. 반면 V:맛있다, V:않다는 1의 긍정 값에 부정동사인 V:않다 의 출현으로 -1의 부정 값으로 스택에 저장 된다. 결과적으로 스택내의 양수 값들은 모두 더해져 3의 값이 SL positives 에 저장되고, 음수 값들은 모두 더해진 후 절대 값이 적용되어 SL negatives 에 1의 값이 저장된다. 이들은 최종적으로 리커트 척도에 적용되어 5점 만점에 3점의 만족도를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제 적용한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hadoop-2.6.0 버전이 설치된 1대의 Master서버와 2대의 Slave 서버를 기반으로 구현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에는 맛집 콘텐츠를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고, TV프로그램에서 방영된 맛집 1,163개의 정보를 기반으로 약 6GB의 리뷰데이터를 수집하여 실험에 활용하였다. 또한 리뷰의 형태소분석은 국민대학교 연구실에서 제공하는 KLT 형태소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맛집 리뷰 오피니언마이닝을 위한 감성사전 구축을 위해서는 먼저 감성단어 집합(시드 단어 집합)을 기설정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감성단어로 음식점과 관련해 감성이 분명한 10개의 단어를 골라 감성단어로 기설정하였다. 하기 표 1은 처음에 정의된 기설정된 감성단어 집합(시드집합)이다. 이러한 감성단어는 각 테마별로 사용자가 직접 지정할 수도 있지만, 특정 테마에 상관 없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감성단어일 수도 있다.
Figure 112016066974643-pat00006
다음으로는 형태소 분석과정을 거친 리뷰데이터들 중 형용사, 동사, 명사와 품사가 나오지 않는 어휘(신조어나 은어가 될 가능성이 있는 단어)를 추출한 후, 감성어휘가 아닌 단어들 예를 들면 "이다", "가다"와 불용어들은 따로 전 처리를 하였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해 단어그래프를 구성하고, 그래프를 통해 감성단어를 중심으로 감성을 추론한 뒤, 이를 토대로 단어사전을 하기 표 2와 같이 구축 하였다.
Figure 112016066974643-pat00007
표 2는 갱신된 감성단어 집합과 간선의 수를 나타낸다. 감성단어 집합의 갱신은 구축된 단어그래프와 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제안한 방법을 토대로 시드집합을 갱신하였다. 초기 감성단어 집합인 표 1과 상기 갱신된 표2를 비교해 보았을때, 표 2에서 "깔끔하다", "다양", "추천", "아쉽다?, “짜다”, "느끼하다" 등의 어휘들이 감성단어 집합에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추가된 어휘들은 단어 그래프 생성시에 초기 기설정된 감성단어 집합의 각 극성에서 가장 낮은 간선의 수를 가지고 있는 긍정감정어휘 "친절하다" 17047개 , 부정감정어휘 "남기다"의 10248개의 간선의 수보다 높은 간선의 수를 가지고 있으므로 도메인 내에서 많은 단어들과 밀접 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어 시드집합에 포함되었다. 즉, 상기 기설정된 감성단어 집합에서의 가장 낮은 간선 개수보다 높은 간선 개수를 가지는 단어를 상기 감성단어 집합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갱신은 긍정감정어휘와 부정감정어휘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감성단어 집합을 갱신할 수 있는 이유는, 감성단어와 연관성이 큰 단어(간선 개수가 많은 단어)는 역시 감성단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또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단말기(100)에 의해서 수행되는 단계들로 설명하나, 시스템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S501 단계에서 단말기(100)는, 특정 제품이나 특정 장소(레스토랑이나 호텔 등)등의 테마를 지정하기 위한 키워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팔색 삼겹살집'이라는 키워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단말기(100)는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크롤링(수집)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되는 데이터들은, 개인 블로그에 업로드되어 있는 키워드 관련 게시글이나 웹 페이지 형식으로 게시되어 있는 글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팔색 삼겹살집'이라는 키워드에 대응하여, '팔색 삼겹살집'에 대한 리뷰를 작성해 놓은 개인 블로그 게시글들을 수집할 수 있을 것이다.
S503 단계에서 단말기(100)는, 상기 수집한 게시글들의 형태소를 분석한다. 형태소의 분석 시 상술한 바와 같이 KLT 형태소 분석기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분석된 형태소 중 형용사, 동사, 명사와 품사가 나오지 않는 어휘(신조어나 은어가 될 가능성이 있는 단어)를 추출한 후, 감성어휘가 아닌 단어들 예를 들면 "이다", "가다"와 불용어들은 따로 전 처리를 하여 단어 리스트(W[])를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단어 리스트는 상기 도 3과 함께 설명한 알고리즘의 입력으로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3에서의 알고리즘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기설정된 감성단어 집합을 그대로 이용하지 않고, 단어 그래프를 통하여 감성단어 집합을 지속적으로 갱신하도록 제안한다.
S505 단계에서 단말기(100)는 기설정된 감성단어 집합에 기초하여 단어 그래프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설정된 감성단어 집합은 상술한 예시에서 표 1에 대응된다.
S506 단계에서 단말기(100)는 구성된 단어 그래프에 기초하여 감성단어 집합을 갱신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구성된 단어 그래프 중에서 간선 개수가 소정 값 이상인 단어들을 감성단어 집합으로 포함되도록 갱신할 수 있다. 즉, 기존 감성단어 집합에 감성단어를 더 추가하는 방식으로 갱신할 수 있을 것이다.
S507 단계에서 단말기(100)는 갱신된 감성단어 집합에 기초하여 만족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분석되는 만족도는 상기 도 3과 함께 설명된 알고리즘의 출력으로서, 리커트 5점 척도의 값일 것이다.
S508 단계인 마지막 시각화 단계에서는 리뷰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석결과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분석된 만족도는 다양한 그래프 형태로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원그래프(601) 형태나, 막대 그래프(602) 형태 혹은 그냥 테이블 형태(603)으로도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Claims (16)

  1. 특정 테마에 대한 리뷰 데이터의 통계를 내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테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크롤러;
    갱신된 감성단어 집합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리뷰 데이터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만족도 분석기; 및
    사전 구축기를 포함하되,
    상기 사전 구축기는,
    상기 리뷰 데이터들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 리스트를 획득하고,
    기설정된 감성단어 집합에 기초하여 상기 단어 리스트에 대한 단어 그래프를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단어 그래프에 기초하여, 상기 감성단어 집합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그래프는, 정점(vertex)이 단어, 간선(edge)이 단어와 단어 사이의 연관성으로 정의되는 그래프인,
    컨텐츠 검증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구축기는 감성단어 집합을 갱신하는데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감성단어 집합에서의 가장 낮은 간선 개수보다 높은 간선 개수를 가지는 단어를 상기 감성단어 집합에 포함시키는,
    컨텐츠 검증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구축기는 상기 단어 리스트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상기 리뷰 데이터의 형태소를 분석하고,
    상기 형태소가 분석된 리뷰 데이터에서 형태소 단위의 단어를 선별하는,
    컨텐츠 검증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족도 분석기가 상기 만족도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리커트 척도에 기초한 5단계로 평가하는,
    컨텐츠 검증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만족도 분석기가 상기 만족도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상기 갱신된 감성단어 집합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한 단어 리스트에서 감성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감성단어들 각각에 감성포인트를 지정하며,
    긍정어휘에 대한 감성포인트를 합산한 긍정합산값(SL positives ) 및 부정어휘에 대한 감성포인트를 합산한 부정합산값(SL negatives )을 산출하되,
    상기 만족도는 상기 긍정합산값(SL positives )과 부정합산값(SL negatives )에 기초하여 평가되는,
    컨텐츠 검증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커트 척도는,
    Figure 112016066974643-pat00008

    에 의해서 산출되는
    컨텐츠 검증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긍정어휘에 대한 감성포인트는 양수이고, 상기 부정어휘에 대한 감성포인트는 음수인,
    컨텐츠 검증 시스템.
  9. 특정 테마에 대한 리뷰 데이터의 통계를 내기 위한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뷰 데이터들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기설정된 감성단어 집합에 기초하여 상기 단어 리스트에 대한 단어 그래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단어 그래프에 기초하여, 상기 감성단어 집합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감성단어 집합에 기초하여 상기 리뷰 데이터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증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그래프는, 정점(vertex)이 단어, 간선(edge)이 단어와 단어 사이의 연관성으로 정의되는 그래프인,
    컨텐츠 검증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감성단어 집합에서의 가장 낮은 간선 개수보다 높은 간선 개수를 가지는 단어를 상기 감성단어 집합에 포함시키는,
    컨텐츠 검증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리뷰 데이터의 형태소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형태소가 분석된 리뷰 데이터에서 형태소 단위의 단어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증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만족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리커트 척도에 기초한 5단계로 평가하는,
    컨텐츠 검증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만족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감성단어 집합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한 단어 리스트에서 감성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감성단어들 각각에 감성포인트를 지정하는 단계;
    긍정어휘에 대한 감성포인트를 합산한 긍정합산값(SL positives ) 및 부정어휘에 대한 감성포인트를 합산한 부정합산값(SL negatives )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만족도는 상기 긍정합산값(SL positives )과 부정합산값(SL negatives )에 기초하여 평가되는,
    컨텐츠 검증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커트 척도는,
    Figure 112016066974643-pat00009

    에 의해서 산출되는
    컨텐츠 검증 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긍정어휘에 대한 감성포인트는 양수이고, 상기 부정어휘에 대한 감성포인트는 음수인,
    컨텐츠 검증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60087647A 2016-07-11 2016-07-11 컨텐츠 검증 단말기, 시스템 및 그 것들의 제어방법 KR101743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647A KR101743999B1 (ko) 2016-07-11 2016-07-11 컨텐츠 검증 단말기, 시스템 및 그 것들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647A KR101743999B1 (ko) 2016-07-11 2016-07-11 컨텐츠 검증 단말기, 시스템 및 그 것들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999B1 true KR101743999B1 (ko) 2017-06-20

Family

ID=5928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647A KR101743999B1 (ko) 2016-07-11 2016-07-11 컨텐츠 검증 단말기, 시스템 및 그 것들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9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377A (ko) 2017-12-22 2019-07-0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KR20220128513A (ko) * 2021-03-11 2022-09-21 (주)펜타웍스 리뷰 분석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2863A1 (en) 2009-09-28 2014-01-09 Ebay Inc. System and method for topic extraction and opinion min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2863A1 (en) 2009-09-28 2014-01-09 Ebay Inc. System and method for topic extraction and opinion min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377A (ko) 2017-12-22 2019-07-0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KR20220128513A (ko) * 2021-03-11 2022-09-21 (주)펜타웍스 리뷰 분석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522673B1 (ko) * 2021-03-11 2023-04-19 (주)펜타웍스 리뷰 분석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6827B2 (ja) 情報推薦方法及び情報推薦装置、端末、サーバ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353975B2 (en) Terminal, server and event suggesting methods thereof
US1059332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10326380A1 (en)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versation topic
CN109918669B (zh) 实体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70090370A (ko) 리뷰 데이터 분석 방법, 이를 이용한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KR20180096183A (ko) 다국어 처리를 수행하는 인공 지능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017513115A (ja) ユーザーの明示宣言に基づく個別化された推薦
US20160019280A1 (en) Identifying question answerers in a question asking system
CN111552888A (zh) 内容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787814A (zh) 指代解析
CN113515942A (zh) 文本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555102A (zh) 媒体标题识别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9000920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3254684A (zh) 一种内容时效的确定方法、相关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Felix et al. Mobile sensing for behavioral research: A component-based approach for rapid deployment of sensing campaigns
CN111538830A (zh) 法条检索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1743999B1 (ko) 컨텐츠 검증 단말기, 시스템 및 그 것들의 제어방법
CN107807940B (zh) 信息推荐方法和装置
EP3835995A1 (en) Method and device for keyword extraction and storage medium
KR20180046431A (ko) 성인의 인터넷중독 스크리닝을 위한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인터넷 과의존 분류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5081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287665A1 (en) Voice recognition system
CN113762585B (zh) 数据的处理方法、账号类型的识别方法及装置
CN113486260A (zh) 互动信息的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