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753B1 - 음성 인식을 이용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을 이용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753B1
KR102623753B1 KR1020200187241A KR20200187241A KR102623753B1 KR 102623753 B1 KR102623753 B1 KR 102623753B1 KR 1020200187241 A KR1020200187241 A KR 1020200187241A KR 20200187241 A KR20200187241 A KR 20200187241A KR 102623753 B1 KR102623753 B1 KR 102623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electronic chart
chart
format
tex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5581A (ko
Inventor
송인석
박정수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7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7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5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4Form filling; Me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4Segmentation; Word boundary det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음성 인식을 이용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 및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가 개시된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치과 진료 시에 발화된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데이터 생성부, 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치과 의무 기록에 최적화된 SOAP(subjective, objective, assessment, plan) 형식의 각 항목에 대응되는 치과 용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추출된 치과 전문 용어에 기초하여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하는 치과 전자 차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인식을 이용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ENTAL ELECTRONIC CHART USING SPEECH RECOGNITION}
아래 실시예들은 음성 인식을 이용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진의 음성을 인식하고 텍스트로 변환하여 의료 기록 차트에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기술이 등장하였다. 종래의 기술은 의과 용어를 사전에 학습하여, 의과 용어와 관련된 차트를 작성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치과 및 의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SOAP(subjective, objective, assessment, plan) 형태의 차트를 기록하는 데에는 불편함이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치과 및 의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SOAP 형태의 차트를 기록하는 것에 최적화된, 음성 인식 기반의 자동 차트 작성 기술을 발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치과 진료 시에 발화된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데이터 생성부; 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치과 의무 기록에 최적화된 SOAP(subjective, objective, assessment, plan) 형식의 각 항목에 대응되는 치과 용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치과 전문 용어에 기초하여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하는 치과 전자 차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치과 용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치과 용어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SOAP 형식에 포함된 각 항목에 대응되도록 분류할 수 있다.
상기 각 항목은, 주관적 소견(subjective; S), 객관적 소견(objective; O), 평가(assessment; A) 및 계획(plan; 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 용어는, 치아 식별 번호, 치과 관련 증상 및 치과 전문 용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부는, 상기 치과 전자 차트에 포함된 서식에 상기 텍스트 데이터 및 상기 추출된 치과 용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입할 수 있다.
상기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부는, 상기 치과 용어에 기초하여, 상기 치과 전자 차트에 포함된 체크 박스에 대한 체크 여부를 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치과 전자 차트는, SOAP 형식에 기반한 서식을 포함하고, 상기 서식은, 표, 드롭 박스, 체크 박스, 선택 버튼 및 텍스트 기입 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상기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한 후에, 상기 생성된 치과 전자 차트에 기입된 내용 중 오인식된 부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치과 전자 차트의 기입된 내용을 교정하는 교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은 치과 진료 시에 발화된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치과 의무 기록에 최적화된 SOAP(subjective, objective, assessment, plan) 형식의 각 항목에 대응되는 치과 용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치과 전문 용어에 기초하여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치과 용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치과 용어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SOAP 형식에 포함된 각 항목에 대응되도록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항목은, 주관적 소견(subjective; S), 객관적 소견(objective; O), 평가(assessment; A) 및 계획(plan; 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 용어는, 치아 식별 번호, 치과 관련 증상 및 치과 전문 용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치과 전자 차트에 포함된 서식에 상기 텍스트 데이터 및 상기 추출된 치과 용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치과 용어에 기초하여, 상기 치과 전자 차트에 포함된 체크 박스에 대한 체크 여부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 전자 차트는, SOAP 형식에 기반한 서식을 포함하고, 상기 서식은, 표, 드롭 박스, 체크 박스, 선택 버튼 및 텍스트 기입 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은 상기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한 후에, 상기 생성된 치과 전자 차트에 기입된 내용 중 오인식된 부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치과 전자 차트의 기입된 내용을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과 및 치과에서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SOAP 형태에 최적화된 전자 차트 생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진이 치과 진료를 수행하는 중에 발화한 음성을 자동으로 차트에 기록해주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진이 진료 또는 치료를 하고 있어 직접 차트에 의료 기록을 입력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차트에 환자의 상태를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진이 손에 장갑을 끼고 있고,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으며, 진료를 보며 차트를 작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진료 후에 차트를 작성하게 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진료 기록의 및 오기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진이 진료를 보면서도 진료 기록을 정확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여, 진료 기록의 정확성 및 동시성을 확보하여 의무 기록의 객관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진이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차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3a 내지 도 4b는 치아 식별 번호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전자 차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시스템은 의료진이 치과 진료를 보는 동안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포함된 내용을 치과 전자 차트에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시스템은 인식한 음성에 기초하여 치과 및 의과에서 이용되는 SOAP(subjective, objective, assessment, plan) 형식의 차트에 최적화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시스템은 인식한 음성으로부터 치과 용어를 식별하고, 식별된 치과 용어를 SOAP 형식으로 구조화하여 치과 전자 차트에 입력시킬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시스템은 의료진의 음성을 일반 차트 또는 치과에 특화된 치과 차트에 포함된 서식에 맞는 형태로 치과 전자 차트에 기록할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시스템은 진료 기록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자동으로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하여 진료 기록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진료 기록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SOAP 형태의 일반적인 차트 서식 및 관습적/국제표준 치식 표기 방식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인식 기술을 통해, 보다 범용적이고 표준화되고 편리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시스템은 치과 전자 차트에 의료 기록을 입력하는 것에 최적화된 치과 음성 인식 기술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110)는 진료 중에 의료진(120)이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110)는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치과 진료에서 유의미한 치과 용어를 추출할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110) 추출한 치과 용어 및 텍스트 데이터를 치과 전자 차트에 포함된 서식에 적합 맞게 기입 또는 표시하여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210)에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치과 진료 시에 발화된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내장 또는 외장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의료진이 진료를 보거나 치료를 하는 중에 발화한 음성을 수집하고 수집한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220)에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델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고, 기계 학습을 통해 계속해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델은 자동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델은 국내 의료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고, 의학전사적 특징이 반영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 모델은 다양한 진료과 및 검사기법 별로 사용되는 국영문이 혼재된 의학용어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델은 새로운 의료 전문 용어에 대한 업데이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을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델은 특정 병원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델은 영상 전송 시스템(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PACS),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EMR) 등과 같은 HIS(hospital information service)에 연동되어 음성 인식에 필요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단계(230)에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치과 의무 기록에 최적화된 SOAP 형식의 각 항목에 대응되는 치과 용어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치과 용어를 식별하고, 식별된 치과 용어 및 텍스트 데이터를 SOAP 형식에 포함된 각 항목에 대응되도록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항목은 주관적 소견(subjective; S), 객관적 소견(objective; O), 평가(assessment; A) 및 계획(plan; 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관적 소견은 주호소(chief complaint), 현병력(history of present illness), 과거 병력(past medical history) 및 과거 수술력(past surgical history)을 포함할 수 있다. 객관적 소견은 바이탈(vitals), 건강 검진(physical exam), 정골 구조 검사(osteopathic structural exam) 및 실험 수치(tests and lab values)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는 감별진단(Differential diagnosis)을 포함할 수 있고, 계획은 환자의 계획을 포함할 수 있다. SOAP 형식은 보편적인 의무 기록의 차팅 방식에 최적화되어 있을 수 있다.
치과 용어는 치아 식별 번호, 치과 관련 증상 및 치과 전문 용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치아 식별 번호는 치식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치아 식별 변호는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4b와 같을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치아의 상악/하악과 좌/우를 나타내기 위해 치아를 사분면으로 표시할 수 있고, 각 사분면은 연속된 숫자 또는 문자로 표현될 수 있다. 도 3a는 영구치 표기법으로, 시계 방향 순으로 왼쪽 위, 왼쪽 아래, 오른쪽 아래 및 오른쪽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b는 유치 표기법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FDI(federation dentaire international) 시스템으로, 국제 치과 연맹 표기법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영구치와 유치 모두 두 자릿수의 숫자를 부여할 수 있다. 10의 자리 숫자는 각 사분면을 나타낼 수 있고, 1의 자리 숫자는 치아를 지칭할 수 있다. 도 4a는 영구치 표기법으로, 10의 자리 숫자는 1 내지 4로 상하좌우를 나타낼 수 있고, 1의 자리 숫자는 1 내지 8로 전치부 내지 구치부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b는 유치 표기법으로, 10의 자리 숫자는 5 내지 8로 상하좌우를 나타내고, 1의 자리 숫자는 1 내지 5로 전치부 내지 구치부를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단계(240)에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추출된 치과 전문 용어에 기초하여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치과 전자 차트에 포함된 항목들 중에서 추출된 각각의 치과 전문 용어 및 주요 표현에 대응되는 항목을 식별하고, 식별된 항목의 서식에 기초하여 치과 전문 용어 및 주요 표현을 반영할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치과 전자 차트에 포함된 서식에 텍스트 데이터 및 추출된 치과 용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입할 수 있다. 또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치과 용어에 기초하여, 치과 전자 차트에 포함된 체크 박스에 대한 체크 여부를 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치과 전자 차트는, SOAP 형식에 기반한 서식을 포함할 수 있다. 서식은, 표, 드롭 박스, 체크 박스, 선택 버튼 및 텍스트 기입 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한 후에, 생성된 치과 전자 차트에 기입된 내용 중 오인식된 부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치과 전자 차트의 기입된 내용을 교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전자 차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존과의 차트 서식을 포함하는 전자 차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음성 데이터가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치과 용어를 전자 차트 내 표의 빈 칸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추출된 치과 용어에 기초하여 전자 차트 내 체크 박스에 대한 체크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과의 차트 서식을 포함하는 전자 차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일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화된 치주질환 차트일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음성 데이터가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치과 용어 또는 수치를 전자 차트 내 표의 빈 칸에 입력할 수 있고 수치의 등락을 표시할 있다. 또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추출된 치과 용어에 기초하여 전자 차트 내 체크 박스에 대한 체크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식에 포함된 드롭 박스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 치과 전자 차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음성 데이터가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치과 용어 또는 수치에 기초하여 해당되는 치아 이미지에 각 치아에 대한 특이 사항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음성 데이터가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치과 용어를 전자 차트 내 빈 칸에 입력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과의 차트 서식을 포함하는 전자 차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일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음성 데이터가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호소에 대한 입력란에 환자의 주호소에 대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 차트에 환자의 현병력, 통증이 발생한 위치, 및 통증의 양상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가 생성한 치과 전자 차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치과 전자 차트를 교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의료진이 발화한 실제 음성과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 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초진 차트의 서식을 포함하는 전자 차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SOAP 형식에 기초하여 의료진이 발화한 음성에 포함된 치식, 치과 관련된 증상, 치과 전문 용어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한 내용을 텍스트 또는 구조화된 형식으로 공통 초진 차트의 서식을 포함하는 전자 차트에 입력할 수 있다. 참조번호(910)은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가 인식한 치과 진료와 관련된 내용을 구조화된 서식에 자동으로 작성한 것일 수 있다. 참조번호(920)은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가 인식한 음성의 내용을 전사한 것일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의료진의 음성을 그대로 텍스트화 하여 전자 차트에 입력할 수 있고, 의료진의 음성을 전자 차트에 포함된 서식에 맞게 변환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차트의 서식을 포함하는 전자 차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구조화된 턱관절 차트의 서식에 의료진의 음성에 포함된 수치를 텍스트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는 구조화된 턱관절 차트의 서식에 의료진의 음성에 대응되는 보기 또는 체크 박스를 체크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1100)은 음성 데이터 생성부(1110), 변환부(1120), 추출부(1130) 및 치과 전자 차트 생성부(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치과 저자 차트 생성 장치(11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음성 데이터 생성부(1110)는 치과 진료 시에 발화된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변환부(1120)는 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추출부(1130)는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치과 의무 기록에 최적화된 SOAP 형식의 각 항목에 대응되는 치과 용어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부(1130)는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치과 용어를 식별하고, 식별된 치과 용어 및 텍스트 데이터를 SOAP 형식에 포함된 각 항목에 대응되도록 분류할 수 있다.
치과 전자 차트 생성부(1140)는 추출된 치과 전문 용어에 기초하여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부(1140)는 치과 전자 차트에 포함된 서식에 텍스트 데이터 및 추출된 치과 용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입할 수 있다. 또한,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부(1140)는 치과 용어에 기초하여, 치과 전자 차트에 포함된 체크 박스에 대한 체크 여부를 결정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1100)는 교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정부(미도시)는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한 후에, 생성된 치과 전자 차트에 기입된 내용 중 오인식된 부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치과 전자 차트의 기입된 내용을 교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1100: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
1110: 음성 데이터 생성부 1120: 변환부
1130: 추출부 1140: 치과 전자 차트 생성부

Claims (17)

  1.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치과 진료 시에 의료진이 발화한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데이터 생성부;
    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치과 의무 기록에 최적화된 SOAP(subjective, objective, assessment, plan) 형식의 각 항목에 대응되는 치과 용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치과 용어에 기초하여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하는 치과 전자 차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과 용어는,
    치아 식별 번호, 치과 관련 증상 및 치과 전문 용어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음성 데이터로부터 식별된 상기 치과 용어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주관적 소견(subjective; S), 객관적 소견(objective; O), 평가(assessment; A) 및 계획(plan; P)의 SOAP 형식에 포함된 각 항목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분류하고,
    상기 치과 전자 차트 생성부는,
    상기 SOAP 형식에 기반한 서식의 치과 전자 차트에 상기 치과 용어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가 변환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상기 치과 용어 또는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치과 용어 또는 상기 수치에 대응하는 상기 치과 전자 차트에 포함된 치아 이미지에 환자의 각각의 치아에 대한 특이 사항을 표시하고, 상기 추출된 치과 용어에 기초하여 상기 SOAP 형식에 기반한 서식의 치과 전자 차트에 포함된 체크 박스에 대한 체크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체크 박스에 체크 여부를 표시한 상기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하는,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전자 차트 생성부는,
    상기 치과 전자 차트에 포함된 서식에 상기 텍스트 데이터 및 상기 추출된 치과 용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입하는,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식은,
    표, 드롭 박스, 체크 박스, 선택 버튼 및 텍스트 기입 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한 후에, 상기 생성된 치과 전자 차트에 기입된 내용 중 오인식된 부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치과 전자 차트의 기입된 내용을 교정하는 교정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 전자 차트 생성 장치.
  9. 제1항,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0.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에 있어서,
    치과 진료 시에 의료진이 발화한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치과 의무 기록에 최적화된 SOAP(subjective, objective, assessment, plan) 형식의 각 항목에 대응되는 치과 용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치과 용어에 기초하여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치과 용어는,
    치아 식별 번호, 치과 관련 증상 및 치과 전문 용어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데이터로부터 식별된 상기 치과 용어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주관적 소견(subjective; S), 객관적 소견(objective; O), 평가(assessment; A) 및 계획(plan; P)의 SOAP 형식에 포함된 각 항목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SOAP 형식에 기반한 서식의 치과 전자 차트에 상기 치과 용어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음성 데이터가 변환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상기 치과 용어 또는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치과 용어 또는 상기 수치에 대응하는 상기 치과 전자 차트에 포함된 치아 이미지에 환자의 각각의 치아에 대한 특이 사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치과 용어에 기초하여 상기 SOAP 형식에 기반한 서식의 치과 전자 차트에 포함된 체크 박스에 대한 체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박스에 체크 여부를 표시한 상기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치과 전자 차트에 포함된 서식에 상기 텍스트 데이터 및 상기 추출된 치과 용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식은,
    표, 드롭 박스, 체크 박스, 선택 버튼 및 텍스트 기입 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전자 차트를 생성한 후에,
    상기 생성된 치과 전자 차트에 기입된 내용 중 오인식된 부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치과 전자 차트의 기입된 내용을 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
KR1020200187241A 2020-12-30 2020-12-30 음성 인식을 이용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623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241A KR102623753B1 (ko) 2020-12-30 2020-12-30 음성 인식을 이용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241A KR102623753B1 (ko) 2020-12-30 2020-12-30 음성 인식을 이용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581A KR20220095581A (ko) 2022-07-07
KR102623753B1 true KR102623753B1 (ko) 2024-01-11

Family

ID=8239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241A KR102623753B1 (ko) 2020-12-30 2020-12-30 음성 인식을 이용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954B1 (ko) 2023-04-20 2024-01-18 주식회사 덴컴 치과용 음성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649996B1 (ko) * 2023-07-04 2024-03-22 주식회사 덴컴 치과용 차트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9083A (ja) * 2003-11-14 2005-06-09 Hitachi Medical Corp 電子カルテ入力支援装置
JP2015035099A (ja) 2013-08-08 2015-02-19 株式会社東芝 電子カルテ作成装置
US20180130558A1 (en) 2008-11-12 2018-05-10 Softech, Inc. Dental charting system
KR101952106B1 (ko) 2017-11-03 2019-02-26 주식회사 셀바스에이아이 전자의무기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55225B1 (ko) * 2017-11-03 2019-03-08 주식회사 셀바스에이아이 전자의무기록 서비스의 편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76793B1 (ko) 2019-07-04 2020-02-12 주식회사 포시에스 음성을 통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 음성을 통한 전자문서 작성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507A (ko) * 2001-09-21 2003-03-29 정용석 음성인식을 이용한 의료전자차트 작성시스템
KR20180055234A (ko) * 2016-11-16 2018-05-25 (주)라우기술 음성을 이용한 치과진료 시스템
KR102178534B1 (ko) * 2018-07-31 2020-11-13 스마트케어웍스(주) 의무기록 자동 생성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9083A (ja) * 2003-11-14 2005-06-09 Hitachi Medical Corp 電子カルテ入力支援装置
US20180130558A1 (en) 2008-11-12 2018-05-10 Softech, Inc. Dental charting system
JP2015035099A (ja) 2013-08-08 2015-02-19 株式会社東芝 電子カルテ作成装置
KR101952106B1 (ko) 2017-11-03 2019-02-26 주식회사 셀바스에이아이 전자의무기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55225B1 (ko) * 2017-11-03 2019-03-08 주식회사 셀바스에이아이 전자의무기록 서비스의 편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76793B1 (ko) 2019-07-04 2020-02-12 주식회사 포시에스 음성을 통한 전자문서 제공 방법, 음성을 통한 전자문서 작성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 Schloss 외, "Towards an Automated SOAP Note: Classifying Utterances form Medical Conversations", arXiv, arXiv:2007.08749v3. (2020.07.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581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64589B (zh) 使用手动用户反馈进行实体识别和链接系统和方法
CN104350494B (zh) 向报告提供帮助的方法、装置和系统
CN110827941B (zh) 电子病历信息校正方法及系统
US11610678B2 (en) Medical diagnostic aid and method
KR102623753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치과 전자 차트 생성 방법 및 장치
CN110675951A (zh) 智能化的疾病诊断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与可读介质
CN110442840B (zh) 序列标注网络更新方法、电子病历处理方法及相关装置
CN109003648B (zh) 口腔门诊语音电子病历生成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477320B (zh) 治疗效果预测模型的构建系统、治疗效果预测系统及终端
CN106251865A (zh) 一种基于语音识别的医疗健康记录自动填写方法
CN109524121A (zh) 医疗文件处理方法与装置
WO2021151302A1 (zh) 基于机器学习的药品质控分析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8320808A (zh) 病历分析方法和装置、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613220A (zh) 基于语音识别交互的病理信息登记录入装置及其方法
CN111627512A (zh) 一种相似病历的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9032704A (ja) 表データ構造化システムおよび表データ構造化方法
CN115458113A (zh) 一种病历生成方法、系统、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0609910A (zh) 医学知识图谱构建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180055234A (ko) 음성을 이용한 치과진료 시스템
WO2020004556A1 (ja) 患者アセスメント支援装置、患者アセスメント支援方法、記録媒体
Zhang et al. Development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 for dental charting
CN115048937A (zh) 医疗文本纠错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7225401B2 (ja) 医療支援装置、その作動方法及び医療支援プログラム並びに医療支援システム
JP2006302057A (ja) 医療音声情報処理装置、及び医療音声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2735543A (zh) 医学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