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093B1 - 스텝 모터 및 차량용 지침 계기 - Google Patents

스텝 모터 및 차량용 지침 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093B1
KR102178093B1 KR1020197018979A KR20197018979A KR102178093B1 KR 102178093 B1 KR102178093 B1 KR 102178093B1 KR 1020197018979 A KR1020197018979 A KR 1020197018979A KR 20197018979 A KR20197018979 A KR 20197018979A KR 102178093 B1 KR102178093 B1 KR 102178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locking
mounting surface
rotating body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329A (ko
Inventor
다츠야 사사키
겐 데라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90084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K35/6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1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 H02K37/1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37/14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22Pointers, e.g. settable poin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094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0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variable reluctance type
    • H02K37/04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variable reluctance type with rotors situated within the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24Structural association with auxiliary mechanica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B60K2360/33
    • B60K2360/691
    • B60K2360/698

Abstract

스텝 모터(6)는, 회전체(4)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 본체(63)와, 모터 본체를 수용하고 있는 모터 케이싱(60)과, 모터 케이싱을 보유 지지하는 모터 기판(64)을 구비한다. 모터 기판은, 모터 케이싱을 통해 모터 본체가 실장되는 실장면(640)과, 실장면과는 반대측의 걸림 고정 면(641)과, 실장면 및 걸림 고정 면 사이를 관통하고 있는 걸림 고정 구멍(642)을 갖는다. 모터 케이싱은, 걸림 고정 암(615)과, 걸림 고정 훅(616, 2616)을 갖는다. 걸림 고정 암은, 실장면 및 걸림 고정 면에 대해 비스듬히 연신된 탄성 변형 상태로 걸림 고정 구멍에 삽입된다. 걸림 고정 훅은, 실장면 및 걸림 고정 면에 대해 비스듬히 넓어지는 맞닿음면(616a, 2616a)을 형성하고 있고, 모터 기판에 있어서 걸림 고정 면 및 걸림 고정 구멍이 이루는 걸림 고정 코너부(644)에 맞닿음면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모터 기판에 걸림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텝 모터 및 차량용 지침 계기
본 출원은, 2017년 4월 13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제2017-79884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스텝 모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스텝 모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지침 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스텝 모터는,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차량 상태값을 지시하는 회전 지침을 회전체로 하여, 스텝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10771호 공보
본 개시는, 스텝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또한, 차량용 지침 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에 있어서의 스텝 모터는,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킨다. 상기 스텝 모터는, 상기 회전체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 본체와, 상기 모터 본체를 수용하고 있는 모터 케이싱과, 상기 모터 케이싱을 보유 지지하는 모터 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모터 기판은, 상기 모터 케이싱을 통해 상기 모터 본체가 실장되는 실장면과, 상기 실장면과는 반대측의 걸림 고정 면과, 상기 실장면 및 상기 걸림 고정 면 사이를 관통하고 있는 걸림 고정 구멍을 갖는다.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기 실장면 및 상기 걸림 고정 면에 대해 비스듬히 연신된 탄성 변형 상태로 상기 걸림 고정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걸림 고정 암을 갖는다.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기 실장면 및 상기 걸림 고정 면에 대해 비스듬히 넓어지는 맞닿음면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모터 기판에 있어서 상기 걸림 고정 면 및 상기 걸림 고정 구멍이 이루는 걸림 고정 코너부에 상기 맞닿음면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 기판에 걸림 고정되어 있는 걸림 고정 훅을 더 갖는다.
본 개시에 대한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더 명확해진다. 그 도면은,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용 지침 계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스텝 모터를 포함한 차량용 지침 계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스텝 모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스텝 모터의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스텝 모터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스텝 모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IX-IX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스텝 모터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걸림 고정 암 및 걸림 고정 훅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스텝 모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복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성의 일부분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 당해 구성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하여 설명한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명시하고 있는 구성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아도 복수의 실시 형태의 구성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
상술한 특허문헌 1의 개시 기술에서는, 회전체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 본체와, 모터 본체를 수용하고 있는 모터 케이싱과, 모터 케이싱을 보유 지지하는 모터 기판을, 스텝 모터가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모터 기판은, 모터 케이싱을 통해 모터 본체가 실장되는 실장면과, 반대측의 걸림 고정 면과, 이들 양면의 사이를 관통하고 있는 걸림 고정 구멍을 갖고 있다. 또한 모터 케이싱은, 탄성 변형 상태로 모터 기판의 걸림 고정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걸림 고정 암과, 모터 기판에 의해 걸림 고정되어 있는 걸림 고정 훅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터 케이싱을 통한 모터 기판에의 모터 본체의 실장 구조에 의해 내진 강도를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개시 기술에서는, 모터 기판의 양면에 대한 수직 방향을 따라 걸림 고정 암이 걸림 고정 구멍 내면에 맞닿아 있음과 함께, 동 기판의 양면에 대한 평행 방향을 따라 걸림 고정 훅이 걸림 고정 면에 맞닿아 있다. 이에 의해, 걸림 고정 암이 탄성 변형된 상태가 됨으로써, 걸림 고정 구멍 내면에 대한 걸림 고정 암의 맞닿음 개소에서는 평행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는 한편, 걸림 고정 면에 대한 걸림 고정 훅의 맞닿음 개소에서는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맞닿음 상태하에서, 특히 평행 방향의 필요 하중을 작용시키려면, 걸림 고정 암의 길이를 평행 방향을 따라 확보해야 해, 소형화가 저해되어 버린다고 하는 우려가 있었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차량용 지침 계기(1)는, 차량 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다. 차량용 지침 계기(1)는, 표시 부재(2), 회전 지침(4) 및 스텝 모터(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시인측」이라 함은, 차량 내에 있어서 운전석 위의 탑승자에 의해 계기(1)의 표시가 시인되는 측을 의미하고, 「시인 반대측」이라 함은, 당해 「시인측」과는 반대측을 의미한다.
표시 부재(2)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광성 기재에 차광성 인쇄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평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표시 부재(2)의 일면인 표시면(2a)은, 시인측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부재(2)에 있어서 차광성 인쇄층이 개구된 부분은, 「차량 상태값」을 표시하기 위해 회전 지침(4)의 회전 방향으로 배열되는 숫자 및 눈금을, 지표(20)로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차량 상태값」은 도 1과 같이 차속값이지만, 차량에 관련된 예를 들어 엔진 회전수 등의 물리량이어도 된다. 또한, 표시 부재(2)에 있어서 차광성 인쇄층이 개구된 부분은, 경고를 발하기 위한 경고 램프(21)를 회전 지침(4)의 회전축(41) 주위에 형성하고 있다.
「회전체」로서의 회전 지침(4)은, 아크릴 수지 등의 투광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지침 본체(40) 및 회전축(41)을 갖고 있다. 지침 본체(40)는, 전체적으로 가늘고 긴 침상을 나타내고, 표시 부재(2)의 표시면(2a)보다 시인측에 배치되어 있다. 지침 본체(40)는, 지표(20)가 나타내는 「차량 상태값」을, 선단(40a)에 의해 회전 위치에 따라서 지시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41)은, 지침 본체(40)의 기단(40b)으로부터 시인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전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회전축(41)은, 표시 부재(2)에 있어서 양면(2a, 2b) 사이를 관통하는 지침 구멍(22)에 삽입되어 있다. 회전축(41)은, 표시 부재(2)의 배면(2b)보다 시인 반대측에서 스텝 모터(6)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텝 모터(6)는, 회전축(41)의 축선인 회전 중심선(C) 주위로 회전 지침(4)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지침 본체(40)에 의한 상기한 지시를 실현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텝 모터(6)는, 표시 부재(2)의 배면(2b)보다 시인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스텝 모터(6)는, 모터 케이싱(60), 모터 본체(63), 모터 기판(64) 및 광원(65, 66)을 구비하고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케이싱(60)은 한 쌍의 케이스 부재(61, 62)를 조합하여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중공형을 나타내고 있다. 각 케이스 부재(61, 62)는,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m-PPE) 등의 차광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케이스 부재(61, 62)는, 각각의 개구 에지부(610, 620)끼리를 겹친 상태에서, 스냅핏 끼워 맞춤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각 케이스 부재(61, 62)는, 지침 본체(40)의 회전 중심선(C) 상에서 저부(611, 621)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612, 622)을 갖고 있다. 제1 케이스 부재(61)는, 표시 부재(2)의 시인 반대측에서 배면(2b)과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제2 케이스 부재(62)는, 제1 케이스 부재(61)보다 시인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기판(64)은, 유리 에폭시 기판 등의 프린트 기판에 금속 배선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평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모터 기판(64)은, 모터 케이싱(60)보다 시인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 기판(64)의 시인측의 일면인 실장면(640)은,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실장면(640)에는, 모터 케이싱(60) 및 광원(65, 66)이 보유 지지되어 있다.
도 2∼도 5,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본체(63)는, 모터 케이싱(6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터 기판(64)의 실장면(640)에는, 모터 본체(63)가 모터 케이싱(60)을 통해 실장되어 있다. 모터 본체(63)는, 구동원(D), 감속 기구(R) 및 회전 출력 기구(O)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원(D)은, 요크(630)와 2상 코일(631a, 631b)과 마그네트 로터(632)를 조합하여 이루어져, 지침 본체(40)의 회전 중심선(C)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벗어나 배치되어 있다. 요크(630)는, 철 등의 자성 금속 재료에 의해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고, 모터 케이싱(60)에 고정되어 있다. 요크(630)는, 내주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자극(630a, 630b)을 갖고 있다. 한쪽 자극(630a)에는, A상의 코일(631a)이 권취 장착되고, 또한 다른 쪽 자극(630b)에는, B상의 코일(631b)가 권취 장착되어 있다. A, B 각 상의 코일(631a, 631b)은, 모터 케이싱(60) 중 제2 케이스 부재(62)를 관통하는 통과 구멍을 통해, 모터 기판(64)의 금속 배선층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마그네트 로터(632)는, 페라이트 등의 자성 금속 재료에 의해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자극(630a, 630b)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요크(630)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마그네트 로터(632)는, 지침 본체(40)의 회전 중심선(C)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해지도록, 모터 케이싱(60)에 의해 레이디얼 지지이면서 스러스트 지지되어 있다. 마그네트 로터(632)의 외주부에는, 자극으로서의 N, S극이 회전 방향으로 교대로 착자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동원(D)에 있어서 A, B 각 상의 코일(631a, 631b)에는, 모터 기판(64)의 금속 배선층을 통해 외부의 제어 회로로부터, 서로 위상의 90도 어긋난 교류 신호가 인가된다. 이에 의해, 각각의 코일(631a, 631b)에 발생하는 교류 자속은, 요크(630)로부터 마그네트 로터(632)의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당해 로터(632)를 소정의 회전 위치까지 구동하게 된다.
감속 기구(R)는, 마그네트 기어(634)와 아이들 기어(635)와 피니언 기어(636)를 조합하여 이루어지고, 지침 본체(40)의 회전 중심선(C)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벗어나 배치되어 있다. 마그네트 기어(634)는, 폴리아세탈 수지(POM) 등의 경질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평 기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마그네트 기어(634)는, 마그네트 로터(632)와 함께 일체 회전 가능해지도록, 모터 케이싱(60)에 의해 레이디얼 지지이면서 스러스트 지지되어 있다.
아이들 기어(635)와 피니언 기어(636)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등의 경질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동축 상에 형성되고, 각각 평 기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아이들 기어(635)와 피니언 기어(636)는, 지침 본체(40)의 회전 중심선(C)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선 주위로 일체 회전 가능해지도록, 모터 케이싱(60)에 의해 레이디얼 지지이면서 스러스트 지지되어 있다. 아이들 기어(635)는, 마그네트 기어(634)에 맞물림으로써, 당해 기어(634)의 회전을 감속한다.
도 2∼도 5,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출력 기구(O)는, 출력축(637)과 출력 기어(638)와 회전 스토퍼(639)를 조합하여 이루어져, 지침 본체(40)의 회전 중심선(C) 상에 배치되어 있다. 출력축(637)과 출력 기어(638)와 회전 스토퍼(639)는, 폴리아세탈 수지(POM) 등의 경질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출력축(637)과 출력 기어(638)와 회전 스토퍼(639)는, 지침 본체(40)의 회전 중심선(C) 주위로 일체 회전 가능해지도록, 모터 케이싱(60)에 의해 레이디얼 지지이면서 스러스트 지지되어 있다.
출력축(637)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나타내고 있다. 출력축(637)의 중심 구멍(637a)에는, 회전 지침(4) 중 회전축(41)이 동축 상에 압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출력축(637)은, 회전 지침(4)과 함께 회전 중심선(C)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당해 지침(4)에 회전 구동력을 출력한다. 출력 기어(638)는, 출력축(637)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넓어지는 평 기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출력 기어(638)는, 감속 기구(R) 중 피니언 기어(636)에 맞물림으로써, 당해 기어(636)의 회전을 감속한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모터 본체(63)에서는, 구동원(D)으로부터 감속 기구(R)의 감속 작용을 거침으로써 증대된 회전 구동력이, 회전 출력 기구(O)로부터 회전 지침(4)에 부여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스토퍼(639)는, 출력 기어(638)로부터 시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회전 스토퍼(639)는, 회전 지침(4)의 회전 범위를 결정하는 양측의 한계 위치에서, 모터 케이싱(60)의 고정 스토퍼에 의해 걸림 고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 출력 기구(O)로부터 회전 지침(4)에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어도, 당해 지침(4)이 회전 범위 밖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도 2,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체 조명 광원(65)은, 제2 케이스 부재(62)의 관통 구멍(622) 내에서 지침 본체(40)의 회전 중심선(C) 상에 배치되고, 모터 기판(64)의 실장면(640)에 실장되어 있다. 회전체 조명 광원(65)은, LED(Light Emitting Diode)를 주체로 하여 이루어져, 모터 기판(64)의 금속 배선층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회전체 조명 광원(65)은, 금속 배선층을 통해 외부의 제어 회로로부터 통전됨으로써 발광한다. 회전체 조명 광원(65)이 발한 광은, 제2 케이스 부재(62)의 관통 구멍(622) 및 출력축(637)의 중심 구멍(637a)을 통과하여 회전 지침(4)의 회전축(41)에 입사됨으로써, 동 지침(4)의 지침 본체(40)로 유도된다. 이에 의해, 회전 지침(4)이 모터 본체(63)를 통해 조명됨으로써, 지침 본체(40)가 발광한 상태에서 시인된다.
도 2,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조명 광원(66)은, 제2 케이스 부재(62)의 주위에 복수 배치되고, 모터 기판(64)의 실장면(640)에 실장되어 있다. 각 표시 조명 광원(66)은, LED를 주체로 하여 이루어져, 모터 기판(64)의 금속 배선층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각 표시 조명 광원(66)은, 금속 배선층을 통해 외부의 제어 회로로부터 각각 필요 경고 시에 통전됨으로써, 발광한다. 표시 조명 광원(66)이 발한 광은, 모터 케이싱(60)의 주위를 통과하여 표시 부재(2)에 입사된다. 이에 의해, 표시 부재(2)가 직접적으로 조명됨으로써, 필요 경고 시에는 경고 램프(21)가 발광한 상태에서 시인된다.
표시 조명 광원(66)은, 모터 기판(64)의 실장면(640) 상에서 모터 케이싱(60)에 가급적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모터 케이싱(60) 내에서 표시 조명 광원(66)측으로부터 표시 부재(2)측으로의 광로(L)(도 7 참조)를 적정하게 개방하기 위해, 동 케이싱(60) 중 제1 케이스 부재(61)에는, 도 2, 도 3, 도 6∼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모따기부(613)가 마련되어 있다. 각 모따기부(613)는 제1 케이스 부재(61)에 있어서 저부(611)로부터 측벽부(614)에 걸쳐 모따기 형성되어 있다. 각 모따기부(613)는, 회전 중심선(C)과 실장면(640)에 대해 비스듬해지는 평면 형상(즉, 경사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각 모따기부(613)는, 시인측일수록 회전 중심선(C)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실장 구조)
다음으로, 도 2, 도 4, 도 6, 도 8∼도 13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의 실장 구조(8)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6,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장 구조(8)에서는, 회전 중심선(C)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또한 구동원(D) 및 감속 기구(R)를 실질적으로 통과하지 않는 일 직경 방향이, 기준 방향(B)으로서 정의되어 있다.
도 2, 도 6, 도 8∼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기판(64)은, 실장면(640)과 함께, 걸림 고정 면(641) 및 걸림 고정 구멍(642)을 갖고 있다. 걸림 고정 면(641)은, 모터 기판(64)에 있어서 실장면(640)과는 반대측이 되는 시인측의 면으로서, 동 면(640)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걸림 고정 구멍(642)은, 회전 중심선(C) 상의 회전체 조명 광원(65)을 기준 방향(B)에서 사이에 두는 양측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각 걸림 고정 구멍(642)은, 모터 기판(64)에 있어서 실장면(640) 및 걸림 고정 면(641) 사이를, 그들 양면(640, 641)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관통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각 걸림 고정 구멍(642)은, 회전 중심선(C)을 따라 스트레이트한 직사각형 구멍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각 걸림 고정 구멍(642)은 걸림 고정 면(641)과의 사이에서 능선 형상의 걸림 고정 코너부(644)를, 종단면에서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2, 도 3, 도 6, 도 8∼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케이싱(60) 중 제1 케이스 부재(61)는, 걸림 고정 암(615) 및 걸림 고정 훅(616)의 세트를 일체로 갖고 있다. 걸림 고정 암(615) 및 걸림 고정 훅(616)은, 회전 중심선(C) 상의 회전체 조명 광원(65)을 기준 방향(B)에서 사이에 두는 양측에, 각각 1세트씩 마련되어 있다. 즉, 걸림 고정 암(615) 및 걸림 고정 훅(616)의 세트는, 기준 방향(B)을 따르는 가상 평면(A)(도 6, 도 9, 도 10 참조) 상에서, 회전체 조명 광원(65)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도 6, 도 8∼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걸림 고정 암(615)은, 1단계로 굴곡되는 직사각형 횡단면의 탄성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 고정 암(615)의 기부(615a)는, 제1 케이스 부재(61)에 있어서 측벽부(614)로부터 시인 반대측으로 비스듬히 돌출되어 있다. 각 걸림 고정 암(615)의 탄성 암부(615b)는, 제1 케이스 부재(61)에 있어서 기부(615a)로부터 굴곡되어, 시인 반대측으로 비스듬히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각 걸림 고정 암(615)에서는, 탄성 암부(615b)가 각각 대응하는 걸림 고정 구멍(642)에 시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시인 반대측으로 뚫고 나가고 있다. 이에 의해, 탄성 암부(615b)가 회전 중심선(C)과 모터 기판(64)의 양면(640, 641)에 대해 비스듬히 연신되어 대응 걸림 고정 구멍(642)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는 각 걸림 고정 암(615)은, 기부(615a)를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 변형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각 걸림 고정 암(615)은, 대응 걸림 고정 구멍(642)에의 삽입 상태하에서, 시인 반대측일수록 기준 방향(B)의 외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각 걸림 고정 훅(616)은, 제1 케이스 부재(61)에 있어서 동일 세트의 걸림 고정 암(615)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된 갈고리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도 8, 도 9,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걸림 고정 훅(616)은, 맞닿음면(616a) 및 대향면(616b)을 형성하고 있다.
각 걸림 고정 훅(616)에 있어서 맞닿음면(616a)은, 동일 세트의 탄성 암부(615b)에 있어서 기준 방향(B)의 외측을 향하는 경사면(615c)으로부터 굴곡되어, 시인 반대측이면서 당해 외측의 대향면(616b)을 향해 신전되어 있다. 각 걸림 고정 훅(616)의 맞닿음면(616a)은, 회전 중심선(C)과 모터 기판(64)의 양면(640, 641)에 대해 비스듬해지는 평면 형상(즉, 경사면 형상)으로 확대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각 걸림 고정 훅(616)에서는, 동일 세트 걸림 고정 암(615)의 대응 걸림 고정 구멍(642)에의 삽입 상태하에서, 맞닿음면(616a)이 시인 반대측일수록 기준 방향(B)의 외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걸림 고정 훅(616)에 있어서 맞닿음면(616a)이 모터 기판(64)의 양면(640, 641)과 이루는 경사 각도 θa는, 동일 세트의 걸림 고정 암(615)에 있어서 경사면(615c)이 그들 양면(640, 641)과 이루는 경사 각도 θb보다 작은 각도,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상적으로 45°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각 걸림 고정 훅(616)에서는, 도 6, 도 8, 도 9,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대응하는 걸림 고정 구멍(642)이 모터 기판(64)에서 걸림 고정 면(641)과 이루는 걸림 고정 코너부(644)에 대해, 맞닿음면(616a)이 실질적으로 선 접촉 상태에서 맞닿아 있다. 이에 의해 각 걸림 고정 훅(616)은, 탄성 변형된 동일 세트 걸림 고정 암(615)이 발생하는 복원력을,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는 걸림 고정 코너부(644)에 부여한다. 이에 의해, 맞닿음면(616a)이 대응 걸림 고정 코너부(644)에 맞닿는 맞닿음 개소에서는, 모터 기판(64)의 양면(640, 641)에 대해 평행한 평행 방향 X(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준 방향(B)과 실질적으로 일치)와 수직인 수직 방향 Y에 각각 필요 하중 Fx, Fy가 작용함으로써, 각 걸림 고정 훅(616)이 모터 기판(64)에 걸림 고정되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각 걸림 고정 훅(616)에서는, 맞닿음면(616a)이 동일 세트의 걸림 고정 암(615) 및 대향면(616b)의 각각과의 경계부(616c, 616d) 사이가 되는 중간부에서 대응 걸림 고정 코너부(644)와 맞닿는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도 8, 도 9,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각 걸림 고정 훅(616)에 있어서 대향면(616b)은, 맞닿음면(616a)으로부터 굴곡되어 기준 방향(B)의 외측으로 신전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걸림 고정 훅(616)의 대향면(616b)은, 맞닿음면(616a)을 사이에 두고 동일 세트 걸림 고정 암(615)의 탄성 암부(615b)과는 반대측에서, 모터 기판(64)의 걸림 고정 면(641)과 대향하는 평면 형상으로 확대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각 걸림 고정 훅(616)에서는, 동일 세트 걸림 고정 암(615)의 대응 걸림 고정 구멍(642)에의 삽입 상태하에서, 이상적으로는 대향면(616b)이 소정 간극(616e)을 두고 걸림 고정 면(64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대향한다.
도 8∼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케이싱(60) 중 제2 케이스 부재(62)는 회전 중심선(C) 상의 회전체 조명 광원(65) 주위의 복수 개소에 분산되어, 둑 돌기(624)를 갖고 있다. 각 둑 돌기(624)는, 기준 방향(B)을 따르는 가상 평면(A)(도 9, 도 10 참조) 상 및 근방을 피하여, 회전체 조명 광원(65) 주위에서는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둑 돌기(624)는, 제2 케이스 부재(62)의 저부(621)로부터 시인 반대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돌출 선단면(624a)을, 모터 기판(64)의 실장면(640)과 면 접촉 가능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각 둑 돌기(624)는, 회전 중심선(C) 주위로 연신되는 원호 벽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각 둑 돌기(624)는, 실장면(640)에 대해 면 접촉 상태로 맞닿아 있다. 이에 의해, 회전 중심선(C) 주위의 주위 방향에 인접하는 둑 돌기(624)끼리는, 도 8,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부(621)와 모터 기판(64)에 끼워지는 공간으로서의 간극(625)을 상호간에 두고 있다.
도 2, 도 8,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케이싱(60) 중 제2 케이스 부재(62)는, 회전 중심선(C) 상의 회전체 조명 광원(65)을 기준 방향(B)에서 사이에 두는 양측에, 각각 위치 결정 돌기(626)를 하나씩 갖고 있다. 각 위치 결정 돌기(626)는, 모터 기판(64)의 두께 이상으로써, 제2 케이스 부재(62)의 저부(621)로부터 시인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각 위치 결정 돌기(626)는, 회전 중심선(C)을 따라 스트레이트한 원기둥 핀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모터 기판(64)은, 회전 중심선(C) 상의 회전체 조명 광원(65)을 기준 방향(B)에서 사이에 두는 양측에서 각각 위치 결정 돌기(626)와 대응하는 개소에, 위치 결정 구멍(646)을 하나씩 갖고 있다. 각 위치 결정 구멍(646)은, 모터 기판(64)에 있어서 실장면(640) 및 걸림 고정 면(641) 사이를, 그들 양면(640, 641)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관통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각 위치 결정 구멍(646)은, 회전 중심선(C)을 따라 스트레이트한 원통 구멍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 위치 결정 구멍(646)에는, 각각 대응하는 위치 결정 돌기(626)가 동축 상에 끼워 맞춤 삽입됨으로써, 제2 케이스 부재(62)가 모터 기판(64)에 위치 결정되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상으로부터, 위치 결정 기능을 발휘하는 위치 결정 돌기(626) 및 위치 결정 구멍(646)의 세트는, 회전 중심선(C) 상의 회전체 조명 광원(65)을 기준 방향(B)에서 사이에 두는 양측에, 각각 1세트씩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8,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 돌기(626) 및 위치 결정 구멍(646)의 세트는, 기준 방향(B)에서 대응하는 측에 있는 걸림 고정 암(615) 및 걸림 고정 훅(616)의 세트보다 내측에, 회전체 조명 광원(65)과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와 더불어, 본 실시 형태의 위치 결정 돌기(626)는, 둑 돌기(624) 사이의 간극(625) 중, 기준 방향(B)을 따르는 가상 평면(A)(도 10 참조) 상에 위치한 간극(625a)에, 위치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다.
(작용 효과)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모터 케이싱(60)에 있어서 모터 기판(64)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 훅(616)은, 동 기판(64)의 실장면(640) 및 걸림 고정 면(641)에 대해 비스듬히 넓어지는 맞닿음면(616a)을, 동 기판(64)에서 걸림 고정 면(641) 및 걸림 고정 구멍(642)이 이루는 걸림 고정 코너부(644)에, 맞닿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모터 기판(64)의 실장면(640) 및 걸림 고정 면(641)에 대해 비스듬히 연신된 탄성 변형 상태가 되도록 걸림 고정 암(615)을 걸림 고정 구멍(642)에 삽입함으로써, 걸림 고정 코너부(644)에 대한 맞닿음면(616a)의 맞닿음 개소에서는, 그들 양면(640, 641)에 대한 평행 방향 X와 수직 방향 Y에 각각 필요 하중 Fx, Fy를 작용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모터 케이싱(60)을 통한 모터 기판(64)에의 모터 본체(63)의 실장 구조(8)에 의해 내진 강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는, 걸림 고정 암(615)의 길이를 평행 방향 X를 따라 확보할 필요성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실장 구조(8)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비스듬히 연신되는 걸림 고정 암(615)의 길이는, 평행 방향 X 및 수직 방향 Y의 각 필요 하중 Fx, Fy를 내진 강도의 확보에 필요한 정도까지 억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에 의하면, 맞닿음 상태를 이루는 맞닿음면(616a)이나 걸림 고정 코너부(644)의 제조 공차에 기인한 하중 변동이 작게 억제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내진 강도 확보를 위한 설계가 용이해진다.
여기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걸림 고정 훅(616)에 있어서 맞닿음면(616a)을 사이에 두고 걸림 고정 암(615)과 반대측에서는, 대향면(616b)이 형성되어 모터 기판(64)의 걸림 고정 면(641)과 대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면, 걸림 고정 암(615)이 걸림 고정 구멍(642)으로부터 탈출하려고 해도, 대향면(616b)이 걸림 고정 면(641)에 걸림 고정되어 당해 탈출이 규제됨으로써, 걸림 고정 코너부(644)에 대한 맞닿음면(616a)의 맞닿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소형화된 실장 구조(8)에 의해 내진 강도를 확보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걸림 고정 암(615) 및 대향면(616b)의 각각과 맞닿음면(616a)의 경계부(616c, 616d) 사이에서 맞닿음면(616a)이 걸림 고정 코너부(644)와 맞닿음으로써, 평행 방향 X와 수직 방향 Y의 양쪽에 확실하게 필요 하중 Fx, Fy를 작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소형화된 실장 구조(8)에 의해 양방향 X, Y의 내진 강도를 확보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모터 기판(64)의 양면(640, 641)에 대해 45°의 경사 각도 θa를 이루어 확대되는 맞닿음면(616a)이 경계부(616c, 616d) 사이에서 걸림 고정 코너부(644)와 맞닿음으로써, 평행 방향 X와 수직 방향 Y으로는 실질적으로 동일 정도의 크기의 필요 하중 Fx, Fy를 작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평행 방향 X의 진동과 수직 방향 Y의 진동의 양쪽에 대한 내진 강도를, 소형화된 실장 구조(8)에 의해 보증하여, 내구성 향상 효과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모터 기판(64)의 실장면(640)에는, 모터 케이싱(60)과 함께 회전체 조명 광원(65)이 실장된다. 그러므로, 발광한 회전체 조명 광원(65)에 의한 회전 지침(4)의 조명은, 내진 강도가 확보될 수 있었던 실장 구조(8)에 의해 모터 케이싱(60)을 통해 모터 기판(64)에 실장된 모터 본체(63)를 통해 실현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소형의 실장 구조(8)를 유효 활용하여, 회전 지침(4)의 조명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준 방향(B)에서 회전체 조명 광원(65)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서는 각각, 걸림 고정 암(615) 및 걸림 고정 훅(616)의 세트에 의한 기능이 발휘될 수 있으므로, 내구성 향상 효과 및 소형화 효과의 촉진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준 방향(B)에서 회전체 조명 광원(65)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서는 각각, 모터 케이싱(60)의 위치 결정 돌기(626)와, 모터 기판(64)의 위치 결정 구멍(646)이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모터 케이싱(60)이 모터 기판(64)에 위치 결정된다. 이것에 의하면, 내진 강도의 확보를 양측의 걸림 고정 암(615) 및 걸림 고정 훅(616)의 세트에 의해 달성하는 것과는 분리하여, 모터 본체(63)에 대한 회전체 조명 광원(65)의 위치 정렬을 당해 양측의 위치 결정 돌기(626) 및 위치 결정 구멍(646)의 세트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내구성 향상 효과 및 소형화 효과의 촉진과는 독립시켜, 조명 상태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준 방향(B)에서 회전체 조명 광원(65)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서는 각각, 위치 결정 돌기(626) 및 위치 결정 구멍(646)의 세트가 걸림 고정 암(615) 및 걸림 고정 훅(616)의 세트보다 회전체 조명 광원(65)에 근접 배치됨으로써, 모터 기판(64)에 대한 모터 케이싱(60)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높일 있다. 이것에 의하면, 모터 본체(63)에 대해 회전체 조명 광원(65)을 정확하게 위치 정렬할 수 있으므로, 조명 상태 안정화 효과의 촉진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모터 케이싱(60)에 있어서 회전체 조명 광원(65) 주위의 복수 개소에 분산 돌출된 둑 돌기(624)는, 모터 기판(64)의 실장면(640)과 면 접촉함으로써, 상호간에 간극(625)을 둔다. 이것에 의하면, 복수 개소의 둑 돌기(624)를 면 접촉 상태의 실장면(640)에 압박 접촉시켜 수직 방향 Y의 진동에 대한 내진 강도를 높이면서, 그들 둑 돌기(624) 사이의 간극(625)을 통해 회전체 조명 광원(65)의 열을 발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진동 기인의 내구성뿐만 아니라, 열 기인의 내구성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준 방향(B)에서 회전체 조명 광원(65)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서는 각각, 위치 결정 돌기(626)가 둑 돌기(624) 사이의 간극(625)을 유효 활용하여 배치되므로, 소형화의 촉진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회전 지침(4)에 의해 지시되는 차량 상태값을 표시하는 표시 부재(2)는, 모터 기판(64)의 실장면(640)에 실장된 표시 조명 광원(66)의 발광에 의해 조명된다. 여기서, 표시 조명 광원(66)과 동일한 실장면(640)에 실장되는 모터 케이싱(60)에서는, 당해 광원(66)측으로부터 표시 부재(2)측으로의 광로(L)를 개방하도록, 모따기부(613)가 모따기 형성된다. 이것에 의하면, 표시 조명 광원(66)을 모터 케이싱(60)에 근접 배치하여 소형화를 촉진하면서도, 당해 광원(66)으로부터의 광이 모터 케이싱(60)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피하여 표시 부재(2)의 조명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실장 구조(2008)에 있어서 각 걸림 고정 훅(2616)의 맞닿음면(2616a)은, 미소(예를 들어 100㎛ 사이즈 등)한 요철이 부여된 주름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주름면 형상의 맞닿음면(2616a)에서는, 경계부(616c, 616d) 사이에서 대응 걸림 고정 코너부(644)와 맞닿음으로써, 평행 방향 X와 수직 방향 Y의 양쪽에 필요 하중 Fx, Fy를 작용시키는 당해 맞닿음 개소가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하면, 평행 방향 X의 진동과 수직 방향 Y의 진동의 양쪽에 대한 내진 강도를, 소형화된 실장 구조(2008)에 의해 보증하여, 내구성 향상 효과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개시의 복수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그것들의 실시 형태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형태 및 조합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예 1에서는, 각 걸림 고정 훅(616, 2616)에 대향면(616b)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변형예 2에서는, 걸림 고정 암(615) 및 대향면(616b)의 각각과 맞닿음면(616a, 2616a)의 경계부(616c, 616d) 중 한쪽에서, 맞닿음면(616a, 2616a)을 걸림 고정 코너부(644)에 맞닿게 해도 된다. 변형예 3에서는, 모터 기판(64)의 양면(640, 641)에 대해 45°미만 또는 45°초과의 경사 각도 θa를 이루어 넓어지도록, 맞닿음면(616a, 2616a)을 형성해도 된다.
변형예 4에서는, 모터 본체(63)와는 상이한 개소를 경유하여 회전 지침(4)을 조명하도록, 회전체 조명 광원(65)을 배치해도 된다. 변형예 5에서는, 회전체 조명 광원(65)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변형예 6에서는, 걸림 고정 암(615) 및 걸림 고정 훅(616)의 3세트 이상을, 회전 중심선(C) 상의 회전체 조명 광원(65) 주위로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등간격 등으로 배치해도 된다.
변형예 7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돌기(626)를 모터 기판(64)에 마련하는 한편, 위치 결정 구멍(646)을 모터 케이싱(60)에 마련해도 된다. 변형예 8에서는, 위치 결정 돌기(626) 및 위치 결정 구멍(646)의 세트를, 기준 방향 B에서 걸림 고정 암(615) 및 걸림 고정 훅(616)의 세트보다 회전체 조명 광원(65)으로부터 이격시켜 배치해도 된다. 변형예 9에서는, 위치 결정 돌기(626) 및 위치 결정 구멍(646)의 3세트 이상을, 회전 중심선(C) 상의 회전체 조명 광원(65) 주위로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등간격 등으로 배치해도 된다. 변형예 10에서는, 위치 결정 돌기(626) 및 위치 결정 구멍(646)의 세트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변형예 11에서는, 위치 결정 돌기(626) 및 위치 결정 구멍(646)의 세트를, 둑 돌기(624) 사이의 간극(625(625a))을 피하여 배치해도 된다. 변형예 12에서는, 둑 돌기(624)를 마련하지 않고, 제2 케이스 부재(62)의 저부(621)를 직접 모터 기판(64)의 실장면(640)과 맞닿게 해도 된다.
변형예 13에서는, 제1 케이스 부재(61)에 모따기부(613)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변형예 14에서는, 표시 조명 광원(66)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변형예 15에서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등, 차량용 지침 계기(1) 이외의 장치에 본 개시를 적용하여, 당해 장치의 「회전체」를 스텝 모터(6)에 의해 회전 구동시켜도 된다.
변형예 16에서는, 모터 기판(64)의 양면(640, 641)에 대해, 걸림 고정 암(615)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신시켜도 된다. 변형예 17에서는, 모터 기판(64)의 걸림 고정 면(641)과 걸림 고정 구멍(642)의 내면과 양쪽에 대해 맞닿는 구성으로, 걸림 고정 훅(616)을 변형시켜도 된다.
상술한 스텝 모터(6)는, 회전체(4)를 회전 구동시킨다. 스텝 모터(6)는, 회전체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 본체(63)와, 모터 본체를 수용하고 있는 모터 케이싱(60)과, 모터 케이싱을 보유 지지하는 모터 기판(64)을 구비한다. 모터 기판은, 모터 케이싱을 통해 모터 본체가 실장되는 실장면(640)과, 실장면과는 반대측의 걸림 고정 면(641)과, 실장면 및 걸림 고정 면 사이를 관통하고 있는 걸림 고정 구멍(642)을 갖는다. 모터 케이싱은, 걸림 고정 암(615)과, 걸림 고정 훅(616, 2616)을 갖는다. 걸림 고정 암(615)은, 실장면 및 걸림 고정 면에 대해 비스듬히 연신된 탄성 변형 상태로 걸림 고정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걸림 고정 훅(616, 2616)은, 실장면 및 걸림 고정 면에 대해 비스듬히 넓어지는 맞닿음면(616a, 2616a)을 형성하고 있고, 모터 기판에 있어서 걸림 고정 면 및 걸림 고정 구멍이 이루는 걸림 고정 코너부(644)에 맞닿음면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모터 기판에 걸림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은, 스텝 모터(6)와, 회전체로서 차량 상태값을 지시하는 회전 지침(4)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모터 케이싱에 있어서 모터 기판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 훅은, 동 기판의 실장면 및 걸림 고정 면에 대해 비스듬히 넓어지는 맞닿음면을, 동 기판에서 걸림 고정 면 및 걸림 고정 구멍이 이루는 걸림 고정 코너부에 맞닿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모터 기판의 실장면 및 걸림 고정 면에 대해 비스듬히 연신된 탄성 변형 상태가 되도록 걸림 고정 암을 걸림 고정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걸림 고정 코너부에 대한 맞닿음면의 맞닿음 개소에서는, 그들 양면에 대한 평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각각 필요 하중을 작용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모터 케이싱을 통한 모터 기판에의 모터 본체의 실장 구조에 의해 내진 강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는, 걸림 고정 암의 길이를 평행 방향을 따라 확보할 필요성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실장 구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당해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게다가, 다양한 조합이나 형태, 나아가 그것들에 1요소만,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Claims (17)

  1. 회전체(4)를 회전 구동시키는 스텝 모터(6)이며,
    상기 회전체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 본체(63)와,
    상기 모터 본체를 수용하고 있는 모터 케이싱(60)과,
    상기 모터 케이싱을 보유 지지하는 모터 기판(64)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 기판은,
    상기 모터 케이싱을 통해 상기 모터 본체가 실장되는 실장면(640)과,
    상기 실장면과는 반대측의 걸림 고정 면(641)과,
    상기 실장면 및 상기 걸림 고정 면 사이를 관통하고 있는 걸림 고정 구멍(642)을 갖고,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기 실장면 및 상기 걸림 고정 면에 대해 비스듬히 연신된 탄성 변형 상태로 상기 걸림 고정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걸림 고정 암(615)과,
    상기 실장면(640) 및 상기 걸림 고정 면(641)에 대해, 상기 실장면(640)으로부터 상기 걸림 고정 면(641)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스텝 모터(6)의 회전축(41)의 축선인 회전 중심선(C)보다 회전축(4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넓어지는 맞닿음면(2616a)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모터 기판에 있어서 상기 걸림 고정 면 및 상기 걸림 고정 구멍이 이루는 걸림 고정 코너부(644)에 상기 맞닿음면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 기판에 걸림 고정되어 있는 걸림 고정 훅(616, 2616)을 갖고,
    상기 걸림 고정 훅은,
    상기 맞닿음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걸림 고정 암과는 반대측에, 상기 걸림 고정 면과 대향하는 대향면(616b)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맞닿음면은,
    상기 걸림 고정 암 및 상기 대향면의 각각과 상기 맞닿음면의 경계부(616c, 616d) 사이에서 상기 걸림 고정 코너부와 맞닿도록, 주름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텝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본체를 통해 상기 회전체를 조명하도록, 상기 실장면에 실장되어 발광하는 회전체 조명 광원(65)을 더 구비하는, 스텝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기 걸림 고정 암 및 상기 걸림 고정 훅의 세트를, 기준 방향(B)에서 상기 회전체 조명 광원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 각각 갖는, 스텝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싱 및 상기 모터 기판 중 한쪽은,
    상기 기준 방향에서 상기 회전체 조명 광원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 각각, 위치 결정 돌기(626)를 갖고,
    상기 모터 케이싱 및 상기 모터 기판의 다른 쪽은,
    상기 기준 방향에서 상기 회전체 조명 광원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 각각, 상기 위치 결정 돌기와의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모터 케이싱을 상기 모터 기판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구멍(646)을 갖는, 스텝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돌기 및 상기 위치 결정 구멍의 세트는, 상기 기준 방향에서 상기 걸림 고정 암 및 상기 걸림 고정 훅의 세트보다 상기 회전체 조명 광원에 근접 배치되어 있는, 스텝 모터.
  6. 회전체(4)를 회전 구동시키는 스텝 모터(6)이며,
    상기 회전체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 본체(63)와,
    상기 모터 본체를 수용하고 있는 모터 케이싱(60)과,
    상기 모터 케이싱을 보유 지지하는 모터 기판(64)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 기판은,
    상기 모터 케이싱을 통해 상기 모터 본체가 실장되는 실장면(640)과,
    상기 실장면과는 반대측의 걸림 고정 면(641)과,
    상기 실장면 및 상기 걸림 고정 면 사이를 관통하고 있는 걸림 고정 구멍(642)을 갖고,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기 실장면 및 상기 걸림 고정 면에 대해 비스듬히 연신된 탄성 변형 상태로 상기 걸림 고정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걸림 고정 암(615)과,
    상기 실장면(640) 및 상기 걸림 고정 면(641)에 대해, 상기 실장면(640)으로부터 상기 걸림 고정 면(641)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스텝 모터(6)의 회전축(41)의 축선인 회전 중심선(C)보다 회전축(4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넓어지는 맞닿음면(616a, 2616a)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모터 기판에 있어서 상기 걸림 고정 면 및 상기 걸림 고정 구멍이 이루는 걸림 고정 코너부(644)에 상기 맞닿음면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 기판에 걸림 고정되어 있는 걸림 고정 훅(616, 2616)을 갖고,
    상기 모터 본체를 통해 상기 회전체를 조명하도록, 상기 실장면에 실장되어 발광하는 회전체 조명 광원(65)을 더 구비하고,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기 걸림 고정 암 및 상기 걸림 고정 훅의 세트를, 기준 방향(B)에서 상기 회전체 조명 광원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 각각 갖고,
    상기 모터 케이싱 및 상기 모터 기판 중 한쪽은,
    상기 기준 방향에서 상기 회전체 조명 광원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 각각, 위치 결정 돌기(626)를 갖고,
    상기 모터 케이싱 및 상기 모터 기판 중 다른 쪽은,
    상기 기준 방향에서 상기 회전체 조명 광원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 각각, 상기 위치 결정 돌기와의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모터 케이싱을 상기 모터 기판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구멍(646)을 갖고,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기 실장면과 면 접촉하도록, 상기 회전체 조명 광원 주위의 복수 개소에 분산되어 돌출되어 있는 둑 돌기(624)를, 상호간에 간극(625)을 두고 더 갖고,
    상기 위치 결정 돌기는, 상기 간극에 배치되어 있는, 스텝 모터.
  7. 회전체(4)를 회전 구동시키는 스텝 모터(6)이며,
    상기 회전체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 본체(63)와,
    상기 모터 본체를 수용하고 있는 모터 케이싱(60)과,
    상기 모터 케이싱을 보유 지지하는 모터 기판(64)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 기판은,
    상기 모터 케이싱을 통해 상기 모터 본체가 실장되는 실장면(640)과,
    상기 실장면과는 반대측의 걸림 고정 면(641)과,
    상기 실장면 및 상기 걸림 고정 면 사이를 관통하고 있는 걸림 고정 구멍(642)을 갖고,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기 실장면 및 상기 걸림 고정 면에 대해 비스듬히 연신된 탄성 변형 상태로 상기 걸림 고정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걸림 고정 암(615)과,
    상기 실장면(640) 및 상기 걸림 고정 면(641)에 대해, 상기 실장면(640)으로부터 상기 걸림 고정 면(641)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스텝 모터(6)의 회전축(41)의 축선인 회전 중심선(C)보다 회전축(4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넓어지는 맞닿음면(616a, 2616a)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모터 기판에 있어서 상기 걸림 고정 면 및 상기 걸림 고정 구멍이 이루는 걸림 고정 코너부(644)에 상기 맞닿음면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 기판에 걸림 고정되어 있는 걸림 고정 훅(616, 2616)을 갖고,
    상기 모터 본체를 통해 상기 회전체를 조명하도록, 상기 실장면에 실장되어 발광하는 회전체 조명 광원(65)을 더 구비하고,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기 실장면과 면 접촉하도록, 상기 회전체 조명 광원 주위의 복수 개소에 분산되어 돌출되어 있는 둑 돌기(624)를, 상호간에 간극(625)을 두고 더 갖는, 스텝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기 걸림 고정 암 및 상기 걸림 고정 훅의 세트를, 기준 방향(B)에서 상기 회전체 조명 광원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 각각 갖는, 스텝 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싱 및 상기 모터 기판 중 한쪽은,
    상기 기준 방향에서 상기 회전체 조명 광원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 각각, 위치 결정 돌기(626)를 갖고,
    상기 모터 케이싱 및 상기 모터 기판 중 다른 쪽은,
    상기 기준 방향에서 상기 회전체 조명 광원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 각각, 상기 위치 결정 돌기의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모터 케이싱을 상기 모터 기판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구멍(646)을 갖는, 스텝 모터.
  10.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돌기 및 상기 위치 결정 구멍의 세트는, 상기 기준 방향에서 상기 걸림 고정 암 및 상기 걸림 고정 훅의 세트보다 상기 회전체 조명 광원에 근접 배치되어 있는, 스텝 모터.
  11.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고정 훅은,
    상기 맞닿음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걸림 고정 암과는 반대측에, 상기 걸림 고정 면과 대향하는 대향면(616b)을 형성하고 있는, 스텝 모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면은,
    상기 걸림 고정 암 및 상기 대향면의 각각과 상기 맞닿음면의 경계부(616c, 616d) 사이에서 상기 걸림 고정 코너부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는, 스텝 모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면(2616a)은, 주름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텝 모터.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면은,
    상기 실장면 및 상기 걸림 고정 면에 대해 45°의 경사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스텝 모터.
  1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텝 모터(6)와,
    상기 회전체로서 차량 상태값을 지시하는 회전 지침(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지침 계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값을 표시하는 표시 부재(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텝 모터는,
    상기 표시 부재를 조명하도록, 상기 실장면에 실장되어 발광하는 표시 조명 광원(66)을 더 구비하고,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기 표시 조명 광원(66)측으로부터 상기 표시 부재(2)측으로의 광로(L)를 개방하도록, 모따기 형성된 모따기부(613)를 더 갖는, 차량용 지침 계기.
  17. 회전체(4)를 회전 구동시키는 스텝 모터(6)이며,
    상기 회전체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 본체(63)와,
    상기 모터 본체를 수용하고 있는 모터 케이싱(60)과,
    상기 모터 케이싱을 보유 지지하는 모터 기판(64)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 기판은,
    상기 모터 케이싱을 통해 상기 모터 본체가 실장되는 실장면(640)과,
    상기 실장면과는 반대측의 걸림 고정 면(641)과,
    상기 실장면 및 상기 걸림 고정 면 사이를 관통하고 있는 걸림 고정 구멍(642)을 갖고,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기 실장면 및 상기 걸림 고정 면에 대해 비스듬히 연신된 탄성 변형 상태로 상기 걸림 고정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걸림 고정 암(615)과,
    상기 실장면(640) 및 상기 걸림 고정 면(641)에 대해, 상기 실장면(640)으로부터 상기 걸림 고정 면(641)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스텝 모터(6)의 회전축(41)의 축선인 회전 중심선(C)보다 회전축(4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넓어지는 맞닿음면(616a, 2616a)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모터 기판에 있어서 상기 걸림 고정 면 및 상기 걸림 고정 구멍이 이루는 걸림 고정 코너부(644)에 상기 맞닿음면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 기판에 걸림 고정되어 있는 걸림 고정 훅(616, 2616)을 갖는 스텝 모터와,
    상기 회전체로서 차량 상태값을 지시하는 회전 지침(4)과,
    상기 차량 상태값을 표시하는 표시 부재(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텝 모터는,
    상기 표시 부재를 조명하도록, 상기 실장면에 실장되어 발광하는 표시 조명 광원(66)을 더 구비하고,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기 표시 조명 광원(66)측으로부터 상기 표시 부재(2)측으로의 광로(L)를 개방하도록, 모따기 형성된 모따기부(613)를 더 갖는, 차량용 지침 계기.
KR1020197018979A 2017-04-13 2018-03-05 스텝 모터 및 차량용 지침 계기 KR102178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9884 2017-04-13
JP2017079884A JP6652102B2 (ja) 2017-04-13 2017-04-13 ステップモータ及び車両用指針計器
PCT/JP2018/008209 WO2018190027A1 (ja) 2017-04-13 2018-03-05 ステップモータ及び車両用指針計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329A KR20190084329A (ko) 2019-07-16
KR102178093B1 true KR102178093B1 (ko) 2020-11-12

Family

ID=6379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979A KR102178093B1 (ko) 2017-04-13 2018-03-05 스텝 모터 및 차량용 지침 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337387A1 (ko)
JP (1) JP6652102B2 (ko)
KR (1) KR102178093B1 (ko)
WO (1) WO2018190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7995B2 (ja) * 2016-10-21 2021-04-1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バーの固定構造、およびモータ
JP6733593B2 (ja) * 2017-04-13 2020-08-05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テップモータ及び車両用指針計器
JP7264924B2 (ja) * 2021-02-12 2023-04-25 矢崎総業株式会社 投影装置
FR3139251A1 (fr) * 2022-08-26 2024-03-01 Sonceboz Automotive Sa Motoréducteur à compacité amélior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777A (ja) 1999-07-30 2001-02-16 Nippon Seiki Co Ltd 計器装置
JP2004248356A (ja) 2003-02-12 2004-09-02 Calsonic Kansei Corp モータの取付け構造
WO2006120515A1 (fr) 2005-05-12 2006-11-16 Societe Industrielle De Sonceboz S.A. Actionneur pour indicateurs de mesures
JP2012220442A (ja) 2011-04-13 2012-11-12 Yazaki Corp 計器ユニットの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8264B2 (ja) 2004-01-20 2010-01-1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777A (ja) 1999-07-30 2001-02-16 Nippon Seiki Co Ltd 計器装置
JP2004248356A (ja) 2003-02-12 2004-09-02 Calsonic Kansei Corp モータの取付け構造
WO2006120515A1 (fr) 2005-05-12 2006-11-16 Societe Industrielle De Sonceboz S.A. Actionneur pour indicateurs de mesures
JP2012220442A (ja) 2011-04-13 2012-11-12 Yazaki Corp 計器ユニットの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027A1 (ja) 2018-10-18
US20190337387A1 (en) 2019-11-07
KR20190084329A (ko) 2019-07-16
JP6652102B2 (ja) 2020-02-19
JP2018179768A (ja)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093B1 (ko) 스텝 모터 및 차량용 지침 계기
CN110073581B (zh) 步进马达以及车辆用指针仪表
US7023123B2 (en) Motor and panel meter incorporating same
US11474353B2 (en) Head-up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virtual image
US11639104B2 (en) Indicator instrument for vehicle
US11274730B2 (en) Step motor and indicator instrument for vehicle
WO2016166980A1 (ja) 1軸回転アクチュエーター
JP4572694B2 (ja) 表示装置
JP5594823B2 (ja) 指針ユニット
JP3350928B2 (ja) 計器装置
JP5090286B2 (ja) プロジェクタ用絞り装置
JP5448970B2 (ja) 制動バネ、ギア、および計器ユニット
JP6561878B2 (ja) 1軸回転アクチュエーター
JP5418483B2 (ja) 車両用メータ
JP5599262B2 (ja) ギア、および計器ユニット
JP5524706B2 (ja) 計器ユニット
JP2001059750A (ja) 計器装置の文字板と導光板との取付構造
JP2012032244A (ja) 計器用指針、及び計器
JP2019151318A (ja) 駆動装置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2118008A (ja) 計器の照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