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021B1 - 스태커 크레인 및 그를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태커 크레인 및 그를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021B1
KR102176021B1 KR1020180105412A KR20180105412A KR102176021B1 KR 102176021 B1 KR102176021 B1 KR 102176021B1 KR 1020180105412 A KR1020180105412 A KR 1020180105412A KR 20180105412 A KR20180105412 A KR 20180105412A KR 102176021 B1 KR102176021 B1 KR 102176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istics
product
logistics product
unit
produc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292A (ko
Inventor
김영종
이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80105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0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warehouses, storage areas or other installations for storing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2Heat or fir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스태커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물류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각 층마다 물류품이 적재되는 선반이 복수개 마련되는 복수의 층을 구비하는 적재타워; 적재타워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물류품을 상하 방향을 따라 승하강시키는 리프팅유닛; 적재타워의 복수의 층에 각각 위치하되 물류품을 인입 및 인출시키기 위하여 각각 해당 층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스태커 크레인; 및 리프팅유닛이 해당 층에 도달한 때 리프팅유닛과 스태커 크레인 상호간 물류품을 전달하기 위하여 각 해당 층에서 스태커 크레인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달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태커 크레인 및 그를 구비하는 물류시스템{Stacker crane and Material flow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태커 크레인 및 그를 구비하는 물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물류품의 입출고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류품의 입출고 처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 및 그를 구비하는 물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란 원래 물적 유통의 줄임말이었으나 그 의미가 확장되어 물적 유통의 대상이 되는 물류품의 시간적 가치와 공간적 가치를 창출하는 제반 활동을 의미한다.
최근 온라인 유통이 급증하면서, 각 물류품들의 물동량이 증대되고 있으며, 물류품 유통 산업의 활성화에 따라서 효율적인 물류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즉 물류품의 입고 및 출고의 처리 속도를 단축 시켜 시간적 가치를 증대시키고, 물퓨품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보관 및 적재하여 물류품 저장의 공간적 가치를 증대시키는 것이 기업 경영의 경쟁력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시 말해, 기업 경영에 있어 물류 관리는 비용절감의 수단뿐만 아니라, 고객서비스 극대화를 통한 경쟁력 향상의 차별화된 전략적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물류시스템의 효율화를 통한 물류품 처리 속도의 고속화와 물류품을 고속으로 처리하는 경우의 속도 유지의 안정성 및 물류의 대량 보관시 안전성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물류품 처리 속도 고속화 및 물류품 보관 안전성 확보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동시에 여러 화물을 처리하는데서 발생할 수 있는 양적 한계 및 낮은 처리 속도로 인한 물동량 저하의 문제점, 그리고 다수의 물류품을 동시에 처리하는 경우의 물류품 처리 속도 안정성 유지 및 다수의 물류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물류품 보관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020351호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2015.02.26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물류품의 입출고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류품의 입출고 처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높아진 물류품 처리 용량에서도 안정적으로 물류품의 입출고가 가능하며, 물류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 및 그를 구비하는 물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 층마다 물류품이 적재되는 선반이 복수 개 마련되는 복수의 층을 구비하는 적재타워; 상기 적재타워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물류품을 상하 방향을 따라 승하강시키는 리프팅유닛; 상기 적재타워의 복수의 층에 각각 위치하되 상기 물류품을 인입 및 인출시키기 위하여 각각 해당 층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스태커 크레인; 및 상기 리프팅유닛이 해당 층에 도달한 때 상기 리프팅유닛과 상기 스태커 크레인 상호간 상기 물류품을 전달하기 위하여 각 해당 층에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유닛은, 상기 물류품을 입고시키기 위한 입고 리프터; 및 상기 입고 리프터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물류품을 출고시키기 위한 출고 리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입고 리프터와 상기 출고 리프터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선반은 해당 층에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고 리프터와 연결되어 상기 입고 리프터로 상기 물류품을 전달하는 입고 컨베이어; 및 상기 출고 리프터와 연결되어 상기 출고 리프터로부터 상기 물류품을 전달받는 출고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유닛은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홈 컨베이어유닛이며, 상기 홈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입고 리프터와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고 리프터로부터 상기 물류품을 전달받는 입고용 홈 컨베이어; 및 상기 출고 리프터와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출고 리프터로 상기 물류품을 전달하는 출고용 홈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입고용 홈 컨베이어 및 상기 출고용 홈 컨베이어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선반은 해당 층에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상기 입고용 홈 컨베이어에 적재된 상기 물류품을 로딩하며,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상기 출고용 홈 컨베이어로 상기 물류품을 언로딩할 수 있다.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상기 선반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주행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주행유닛; 및 상기 주행유닛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물류품이 보관되는 공간인 물류품 보관 공간이 형성되되 미리 결정된 신호에 따라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을 개방하거나 차폐하는 물류품 보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은, 상기 주행유닛에 지지되며, 상기 물류품을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으로 인입시키거나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으로부터 인출시키는 물류품 인입인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류품 인입인출부는,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물류품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선반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지지플레이트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 슬라이딩 모듈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부에 밀착되어 이동되는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을 상하 방향을 따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up/down) 구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은,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으로 상기 물류품을 인입시키거나 상기 물류품을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개구부가 형성되는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 및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물류품 보관유닛 도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 도어부는, 상기 물류품에서 발생한 화재의 타 물류품으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화(防火)용 셔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화(防火)용 셔터 모듈은,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권취롤; 및
상기 권취롤을 정, 역회전시켜 사용 시에는 펼쳐지도록 하고, 미사용 시에는 권취롤에 감아 보관되는 롤 타입 스크린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물류품에서 발생한 화재를 소화(消火)시키는 물류품 소화(消火)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류품 소화(消火)유닛은, 소화수를 저장하는 소화수 저장용 탱크를 구비하되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는 소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물류품이 적재되는 선반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주행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주행유닛; 및 상기 주행유닛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물류품이 보관되는 공간인 물류품 보관 공간이 형성되되 미리 결정된 신호에 따라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을 개방하거나 차폐하는 물류품 보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은, 상기 주행유닛에 지지되며, 상기 물류품을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으로 인입시키거나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으로부터 인출시키는 물류품 인입인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류품 인입인출부는,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물류품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선반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지지플레이트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 슬라이딩 모듈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부에 밀착되어 이동되는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을 상하 방향을 따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up/down) 구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은,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으로 상기 물류품을 인입시키거나 상기 물류품을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개구부가 형성되는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 및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물류품 보관유닛 도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 도어부는,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 모듈은,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권취롤; 및 상기 권취롤을 정, 역회전시켜 사용 시에는 펼쳐지도록 하고, 미사용 시에는 권취롤에 감아 보관되는 롤 타입 스크린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 모듈은, 상기 물류품에서 발생한 화재의 타 물류품으로의 확산을 방지하는 방화(防火)용 셔터 모듈일 수 있다.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물류품에서 발생한 화재를 소화(消火)시키는 물류품 소화(消火)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류품 소화(消火)유닛은, 소화수를 저장하는 소화수 저장용 탱크를 구비하되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는 소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물류품의 입출고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류품의 입출고 처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높아진 물류품 처리 용량에서도 안정적으로 물류품의 입출고가 가능하며, 물류품을 안전하게 입출고 및 보관할 수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물류시스템의 물류품이 입고되는 측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물류시스템의 물류품이 출고되는 측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물류시스템의 스태커 크레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태커 크레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스태커 크레인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스태커 크레인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물류시스템의 물류품이 입고되는 측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물류시스템의 물류품이 출고되는 측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시스템(1)은 적재타워(100)와, 리프팅유닛(200)과,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 300)과, 전달유닛(400)과, 입고 컨베이어(500)와, 출고 컨베이어(60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물류품(B)이라 함은 운반할 수 있는 물품의 총칭을 뜻한다.
적재타워(100)는 각 층마다 물류품(B)이 적재되는 선반(110)이 복수 개 마련되는 복수의 층을 구비한다. 도면에는 물류품(B)이 단순한 블록(block) 구조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편의상 도시한 것일 뿐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선반(110)은 적재타워(100)의 해당 층에서 스태커 크레인(30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물류품(B)의 적재 효율을 높이고, 스태커 크레인(300)의 물류품(B)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물동량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리프팅유닛(200)은 적재타워(1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물류품(B)을 상하 방향을 따라 승하강시키며, 입고 리프터(210)와, 출고 리프터(220)를 포함한다.
입고 리프터(210)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품(B)을 입고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며, 출고 리프터(220)는, 도 1 및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입고 리프터(210)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물류품(B)을 출고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입고 리프터(210)와 출고 리프터(220)는 스태커 크레인(30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효율적으로 물류품(B)을 입고 시키거나 출고 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의 물류시스템의 스태커 크레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스태커 크레인의 정면도이이며, 도 6은 도 4의 스태커 크레인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스태커 크레인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300)은,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타워(100)의 복수의 층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위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300)은, 도 4 내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유닛(300a)과, 물류품 보관유닛(300b)과, 업/다운(up/down) 구동유닛(300c)과, 물류품 소화(消火)유닛(300d)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300)은, 적재타워(100)의 복수의 층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므로, 효율적으로 선반(110)에 물류품(B)을 입고시키거나 선반(110)에서 물류품(B)을 출고시킬 수 있고, 물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300)은 적재타워(100)의 해당 층마다 이동가능하게 복수 개 마련되어 효율적으로 각 층의 물류품(B)을 동시에 입고 또는 출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물류품(B)의 입고 속도 및 출고 속도를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300)은, 입고용 홈 컨베이어(410)에 적재된 물류품(B)을 로딩하며, 출고용 홈 컨베이어(420)로 물류품(B)을 언로딩하는데 이에 대하여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주행유닛(300a)은 선반(110)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주행 레일(L) 상에서 주행한다. 즉 주행유닛(300a)은 주행 레일(L) 상에서 왕복 주행가능하게 마련되므로 물류품(B)을 선반(110)에 입고시키는 경우 주행 레인(L) 상에서 효율적으로 입고 대상 물류품(B)을 입고시키기 위한 선반(110)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선반(110)에서 물류품(B)을 출고시키는 경우에도 출고 대상 물류품(B)의 위치로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 물류품(B)의 입고 시간 및 출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물류품 보관유닛(300b)은 주행유닛(300a)에 결합되고 내부에 물류품(B)이 보관되는 공간인 물류품 보관 공간(S)이 형성된다. 따라서 주행유닛(300a)의 주행 시에도 물류품(B)을 흔들림없이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보관하고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품 보관유닛(300b)은 제어유닛(700)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신호에 따라 물류품 보관 공간(S)을 개방하거나 차폐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어유닛(700) 외에 다른 장치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신호에 따라 물류품 보관 공간(S)을 개방하거나 차폐할 수 있다.
한펴,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품 보관유닛(300b)은,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310b)와, 물류품 보관유닛 도어부(320b)와, 물류품 인입인출부(33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품 보관유닛(300b)은, 물류품(B)의 물류품 보관 공간(S)의 인입 및 인출 시에는 물류품 보관 공간(S)을 개방한다. 따라서 물류품 보관유닛(300b)은 안정적으로 물류품(B)의 물류품 보관 공간(S)으로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물류품(B)에 화제 등이 발생되는 경우와 같이, 특정 물류품(B)에 대하여 격리가 필요한 경우, 미리 결정된 신호에 따라 물류품 보관 공간(S)을 차폐한다. 따라서 격리가 필요한 물류품(B)을 물류품 보관 공간(S)에 효율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다. 즉 화재 등이 발생한 물류품(B)을 효율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으므로, 화재 등이 발생한 물류품(B)과 화재 등이 발생하지 않은 다른 물류품(B)을 분리하여 화재 등이 발생하지 않은 물류품(B)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310b)에는 물류품 보관 공간(S)으로 물류품(B)을 인입시키거나 물류품(B)을 물류품 보관 공간(S)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물류품 보관유닛 도어부(320b)는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310b)에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으며, 방화(防火)용 셔터 모듈(321b)을 포함한다.
방화(防火)용 셔터 모듈(321b)은 물류품(B)에서 발생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물류품(B)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310b)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개구부를 개폐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防火)용 셔터 모듈(321b)은 개구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권취롤(1321b)과, 권취롤(1321b을 정, 역회전시켜 사용 시에는 펼쳐지도록 하고, 미사용 시에는 권취롤(1321b)에 감아 보관되는 롤 타입 스크린 셔터(2321b)를 포함한다.
한편, 물류품 인입인출부(330b)는 주행유닛(300a)에 지지되며, 물류품(B)을 물류품 보관 공간(S)으로 인입시키거나 물류품 보관 공간(S)으로부터 인출시키며, 지지플레이트(331b)와, 지지플레이트 슬라이딩 모듈(332b)을 포함한다.
지지플레이트(331b)는 물류품 보관 공간(S)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마련되어 물류품(B)을 지지한다.
지지플레이트 슬라이딩 모듈(332b)은 지지플레이트(331b)에 결합되어 지지플레이트(331b)를 선반(110)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부에 밀착되어 이동되는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1332b)와,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1332b)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2332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 슬라이딩 모듈(332b)은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1332b)와,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2332b)를 통하여 지지플레이트(331b)를 선반(110)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므로, 지지플레이트(331b)를 선반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를 늘리 수 있고, 복수의 선반(110)을 구비하는 적재타워(100) 상에서도 효율적으로 물류품(B)을 선반(110)으로 입고시키거나, 선반(110)에서 출고시킬 수 있다.
업/다운(up/down) 구동유닛(300c)은 물류품 보관유닛(300b)에 결합되어 물류품 보관유닛(300b)을 상하 방향을 따라 업/다운(up/down) 구동시킨다. 즉 업/다운(up/down) 구동유닛(300c)은 각 층에 복수 개 마련된 스태커 크레인(300)의 물류품 보관유닛(300b)을 개별적으로 업/다운(up/down)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적재타워(100)의 각 층에 복수 개 마련되는 선반(110)의 개별 층으로 동시에 물류품(B)을 입고시키거나 출고시킬 수 있고, 물류품(B)의 입고 및 출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물류품 소화(消火)유닛(300d)은 물류품 보관 공간(S)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물류품(B)에서 발생한 화재를 소화(消火)시키며, 소화수를 저장하는 소화수 저장용 탱크를 구비하되 물류품 보관유닛(300b)의 상부에 마련되는 소화기(310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품 소화(消火)유닛(300d)은, 물류품 보관 공간(S)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물류품(B)에 화재 등이 발생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물류품(B)의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전달유닛(400)은 리프팅유닛(200)이 해당 층에 도달한 때 리프팅유닛(200)과 스태커 크레인(300) 상호간 물류품(B)을 전달하기 위하여 각 해당 층에서 스태커 크레인(3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전달유닛(400)은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홈 컨베이어유닛(400)이다.
홈 컨베이어유닛(400)은, 입고 리프터(210)와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입고 리프터(210)로부터 물류품(B)을 전달받는 입고용 홈 컨베이어(410)와, 출고 리프터(220)와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출고 리프터(220)로 물류품(B)을 전달하는 출고용 홈 컨베이어(420)를 포함하고, 스태커 크레인(300)을 사이에 두고 입고용 홈 컨베이어(410) 및 출고용 홈 컨베이어(420)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입고 컨베이어(500)는 입고 리프터(210)와 연결되어 입고 리프터(210)로 물류품(B)을 전달하며, 출고 컨베이어(600)는 출고 리프터(220)와 연결되어 출고 리프터(220)로부터 물류품(B)을 전달받아 효율적으로 물류품(B)의 이동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물류시스템(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류품(B)은,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입고 컨베이어(500)으로 입고되어 입고 리프터(210)로 전달된다. 입고 리프터(210)는 물류품(B)이 적재될 적재타워(100)의 적재 층으로 물류품(B)을 업/다운(up/down)시킨다. 물류품(B)이 적재될 적재타워(100)의 적재 층에서 입고 리프터(210)는 입고용 홈 컨베이어(410)로 물류품(B)을 전달하고, 입고용 홈 컨베이어(41)는 입고 리프터(210)으로부터 물류품(B)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스태커 크레인(300)은 입고용 홈 컨베이어(410)에 적재된 물류품(B)을 로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태커 크레인(300)은 물류품(B)을 물류품 보관 공간(S)으로 로딩하여 적재타워(1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선반(110) 중 물류품(B)이 적재될 선반(110)을 향하여 이동한다. 스태커 크레인(300)은 선반(110)에 인접하게 마련된 주행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주행유닛(300a)으로 주행 되며, 효율적으로 물류품(B)이 적재될 선반(110)을 향하여 주행 될 수 있다.
물류품 인입인출부(330b)는 물류품(B)이 적재될 선반(110)으로 물류품(B)을 인입시킨다. 지지플레이트(331b)는 물류품(B)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물류품(B)이 적재될 선반(110)을 향하여 슬라이딩 된다. 이때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1332b)는 지지플레이트(331b)의 일측부에 밀착되어 지지플레이트(331b)를 선반(110)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며,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2332b)는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1332b)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지지플레이트(331b)의 이동거리를 효율적으로 향상키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류품 인입인출부(330b)는 물류품(B)이 적재된 선반(110)으로부터 물류품(B)을 인출하여 출고킬 수 있다. 이때 물류품 인입인출부(330b)의 물류품(B) 출고 방식은 물류품(B)이 적재된 선반에서 물류품(B)을 출고시켜 물류품 보관 공간(S)에 보관하며, 주행유닛(300a)은 출고용 홈 컨베이어(420)를 향하여 주행한다.
스태커 크레인(300)은 출고용 홈 컨베이어(420)로 물류품(B)을 언로딩하며, 출고용 홈 컨베이어(420)는 출고 리프터(220)와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출고 리프터(220)로 물류품(B)을 전달한다. 또한, 출고용 리프터(220)는 물류품(B)을 업/다운(up/down) 구동시켜 물류품(B)을 출고 컨베이어(600)로 전달하여 출고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품 보관유닛 도어부(320b)는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310b)에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폐한다. 즉 물류품 보관유닛 도어부(320b)는 물류품(B)의 물류품 보관 공간(S)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경우 개방되어 있어 효율적으로 물류품(B)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물류품(B)에 화재 등이 발생하여 격리가 필요한 경우 전술한 물류품(B)의 출고 방식에 따라 적재타워(100)의 선반(110) 상에 적재된 물류품(B)을 출고하여 물류품 보관 공간(S0으로 인입시킨 뒤 물류품 보관유닛 도어부(320b)를 통하여 개구부를 폐쇄하여 화재 등이 발생하지 않은 물류품(B)과 화재 등이 발생한 물류품(B)을 격리시킨다.
이와 같은 물류품 보관유닛 도어부(320b)의 개구부 개폐 동작의 컨트롤을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에는 도 4처럼 제어유닛(700)이 갖춰진다.
제어유닛(700)은 물류품(B)에 화재 등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물류품 보관유닛 도어부(320b)의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유닛(700)은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는 본 실시예에서 적재타워(100)로부터 물류품(B)의 화재 발생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물류품 보관유닛 도어부(320b)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는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된다. 메모리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다.
서포트 회로는 중앙처리장치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물류품 보관유닛 도어부(320b)는 물류품(B)에서 발생한 화재의 타 물류품(B)으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310b)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화(防火)용 셔터 모듈(321b)을 포함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은데, 방화(防火)용 셔터 모듈(321b)은 화재가 발생한 물류품(B)이 물류품 보관 공간(S)에 보관되어 타 물류품(B)과 격리가 필요한 경우 개구부를 폐쇄한다. 이때, 권취롤(1321b)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롤 타입 스크린(2321b)이 개구부를 폐쇄하여, 화재가 발생하여 격리가 필요한 물류품(B)을 타 물류품(B)과 격리시킨다. 또한, 소화기(310d)는 화재가 발생한 물류품(B)의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시스템(1)은, 화재가 발생한 물류품(B)을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타 물류품(B)과 격리시켜 연쇄적인 화재 등을 방지하고, 화재가 발생한 물류품(B)의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으므로, 물류품(B)의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물류품의 입출고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류품의 입출고 처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높아진 물류품 처리 용량에서도 안정적으로 물류품의 입출고가 가능하며, 물류품을 안전하게 입출고 및 보관할 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물류시스템 100 : 적재타워
200 : 리프팅유닛 210 : 입고 리프터
220 : 출고 리프터 300 : 스태커 크레인
300a : 주행유닛 300b : 물류품 보관유닛
300c : 업/다운(up/down) 구동유닛 300d : 물류품 소화(消火)유닛
400 : 전달유닛 500 : 입고 컨베이어
600 : 출고 컨베이어

Claims (27)

  1. 각 층마다 물류품이 적재되는 선반이 복수 개 마련되는 복수의 층을 구비하는 적재타워;
    상기 적재타워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물류품을 상하 방향을 따라 승하강시키는 리프팅유닛;
    상기 적재타워의 복수의 층에 각각 위치하되 상기 물류품을 인입 및 인출시키기 위하여 각각 해당 층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스태커 크레인; 및
    상기 리프팅유닛이 해당 층에 도달한 때 상기 리프팅유닛과 상기 스태커 크레인 상호간 상기 물류품을 전달하기 위하여 각 해당 층에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상기 선반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주행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주행유닛; 및
    상기 주행유닛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물류품이 보관되는 공간인 물류품 보관 공간이 형성되되 미리 결정된 신호에 따라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을 개방하거나 차폐하는 물류품 보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은,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으로 상기 물류품을 인입시키거나 상기 물류품을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개구부가 형성되는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물류품에서 발생한 화재의 타 물류품으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화(防火)용 셔터 모듈을 구비하는 물류품 보관유닛 도어부; 및
    상기 주행유닛에 지지되며, 상기 물류품을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으로 인입시키거나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으로부터 인출시키는 물류품 인입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유닛은,
    상기 물류품을 입고시키기 위한 입고 리프터; 및
    상기 입고 리프터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물류품을 출고시키기 위한 출고 리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입고 리프터와 상기 출고 리프터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선반은 해당 층에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 리프터와 연결되어 상기 입고 리프터로 상기 물류품을 전달하는 입고 컨베이어; 및
    상기 출고 리프터와 연결되어 상기 출고 리프터로부터 상기 물류품을 전달받는 출고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유닛은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홈 컨베이어유닛이며,
    상기 홈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입고 리프터와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고 리프터로부터 상기 물류품을 전달받는 입고용 홈 컨베이어; 및
    상기 출고 리프터와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출고 리프터로 상기 물류품을 전달하는 출고용 홈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입고용 홈 컨베이어 및 상기 출고용 홈 컨베이어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선반은 해당 층에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상기 입고용 홈 컨베이어에 적재된 상기 물류품을 로딩하며,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상기 출고용 홈 컨베이어로 상기 물류품을 언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품 인입인출부는,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물류품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선반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지지플레이트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 슬라이딩 모듈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부에 밀착되어 이동되는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을 상하 방향을 따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up/down)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防火)용 셔터 모듈은,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권취롤; 및
    상기 권취롤을 정, 역회전시켜 사용 시에는 펼쳐지도록 하고, 미사용 시에는 권취롤에 감아 보관되는 롤 타입 스크린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물류품에서 발생한 화재를 소화(消火)시키는 물류품 소화(消火)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품 소화(消火)유닛은,
    소화수를 저장하는 소화수 저장용 탱크를 구비하되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는 소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
  17. 물류품이 적재되는 선반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주행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주행유닛; 및
    상기 주행유닛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물류품이 보관되는 공간인 물류품 보관 공간이 형성되되 미리 결정된 신호에 따라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을 개방하거나 차폐하는 물류품 보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은,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으로 상기 물류품을 인입시키거나 상기 물류품을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개구부가 형성되는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되, 상기 물류품에서 발생한 화재의 타 물류품으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 본체부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화(防火)용 셔터 모듈을 구비하는 물류품 보관유닛 도어부; 및
    상기 주행유닛에 지지되며, 상기 물류품을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으로 인입시키거나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으로부터 인출시키는 물류품 인입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품 인입인출부는,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물류품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선반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지지플레이트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 슬라이딩 모듈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부에 밀착되어 이동되는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을 상하 방향을 따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up/down)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22. 삭제
  23. 삭제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모듈은,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권취롤; 및
    상기 권취롤을 정, 역회전시켜 사용 시에는 펼쳐지도록 하고, 미사용 시에는 권취롤에 감아 보관되는 롤 타입 스크린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25. 삭제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품 보관 공간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물류품에서 발생한 화재를 소화(消火)시키는 물류품 소화(消火)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품 소화(消火)유닛은,
    소화수를 저장하는 소화수 저장용 탱크를 구비하되 상기 물류품 보관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는 소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
KR1020180105412A 2018-09-04 2018-09-04 스태커 크레인 및 그를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KR102176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412A KR102176021B1 (ko) 2018-09-04 2018-09-04 스태커 크레인 및 그를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412A KR102176021B1 (ko) 2018-09-04 2018-09-04 스태커 크레인 및 그를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292A KR20200027292A (ko) 2020-03-12
KR102176021B1 true KR102176021B1 (ko) 2020-11-06

Family

ID=6980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412A KR102176021B1 (ko) 2018-09-04 2018-09-04 스태커 크레인 및 그를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337A (ko) 2021-12-22 2023-06-29 삼성물산 주식회사 스태커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적재대차 운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156B1 (ko) * 2021-05-20 2023-03-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1차 소화 기능을 가지는 스태커 크레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재 진압 물류 시스템
KR102630003B1 (ko) * 2021-05-20 2024-01-2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화재 진압 물류 시스템 및 물류 시스템의 화재 진압 방법
KR102547920B1 (ko) * 2021-06-30 2023-06-2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셀 전달방법
KR102669833B1 (ko) * 2021-12-20 2024-05-2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전기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
CN115557135B (zh) * 2022-08-08 2024-06-07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杭州供电公司 一种用于高压互感器智能检定的专用仓储
KR102600223B1 (ko) * 2023-09-04 2023-11-08 이정용 순차식 양방향 순환 수직 리프터
CN117800003B (zh) * 2024-02-29 2024-05-14 吴江市兰天织造有限公司 一种智能仓储输送装置及其输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7404A (ja) * 1985-03-22 1986-09-27 Hitachi Ltd 自動倉庫システム
JPS6216901A (ja) * 1985-07-16 1987-01-26 Kao Corp 物品の取扱い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26414A (ja) * 1994-07-11 1996-01-30 Kamiuchi Denki Seisakusho:Kk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のパレット雑品収納装置
JP3024540B2 (ja) * 1996-02-27 2000-03-21 鹿島建設株式会社 立体自動倉庫のラック
JP4674080B2 (ja) * 2004-12-14 2011-04-20 株式会社ダイフク スライド式のフォーク装置
KR20150020351A (ko) 2013-08-12 2015-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대차를 이용한 화물 운반 시스템 및 방법
JP6521063B2 (ja) * 2015-05-01 2019-05-29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倉庫及び懸垂式スタッカクレーン
KR20170140968A (ko) * 2016-06-14 2017-12-2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물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337A (ko) 2021-12-22 2023-06-29 삼성물산 주식회사 스태커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적재대차 운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292A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021B1 (ko) 스태커 크레인 및 그를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KR101859756B1 (ko) 다층 자동 창고
US20200031577A1 (en) Robotic inventory handling
KR101259966B1 (ko) 물품 수납 설비
JP2022500333A (ja) 送達サイトおよび送達方法
JP5630668B2 (ja) 物品保管設備
US20240025641A1 (en) Automated shuttle systems for multi-depth storage racks
JP2004277167A (ja) 自動倉庫における複数台運用のスタッカクレーンのバックアップ方法
JP7206955B2 (ja) 自動倉庫制御装置及び自動倉庫におけるクレーンの出庫制御方法
JP2013178903A (ja) 二次電池処理設備
KR20210011677A (ko) 입출고 보관 자동화 시스템
JP6740634B2 (ja) 自動倉庫
JP5700251B2 (ja) 自動倉庫設備
JP2023129564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2007045544A (ja) 自動倉庫における荷の落下防止装置
JP2002160806A (ja) 物品収納設備
KR102309683B1 (ko)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JP6657661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2013245057A (ja) 自動倉庫
JP2004345838A (ja) 自動倉庫におけるスタッカクレーンの運転方法
KR100751567B1 (ko) 전동랙 및 스태커 크레인을 이용한 입출고 장치 및 방법
JP2020026318A (ja) 自動倉庫システム、情報取得装置
KR102669835B1 (ko) 쐐기형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수직 반송 장치
KR19990014445U (ko) 튜브이송장치
KR102055596B1 (ko) 이동식 물류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