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683B1 -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683B1
KR102309683B1 KR1020210064775A KR20210064775A KR102309683B1 KR 102309683 B1 KR102309683 B1 KR 102309683B1 KR 1020210064775 A KR1020210064775 A KR 1020210064775A KR 20210064775 A KR20210064775 A KR 20210064775A KR 102309683 B1 KR102309683 B1 KR 102309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warehouse
storage
box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재
임민지
임소민
김항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피씨소프트
김경재
임민지
임소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피씨소프트, 김경재, 임민지, 임소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피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210064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85Check-in, check-o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with data re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제품이 수용되는 보관 박스와 각각의 제품을 단품으로 보관하는 창고를 각각 구비하여 대량 출고 또는 소량 출고에 따라 적절하게 출고할 수 있도록 하며, 창고에 보관중인 제품의 회전 효율을 높여 불필요한 제품을 보관함으로써 발생하는 창고의 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제품이 수용되는 보관 박스가 보관되는 보관 창고와, 내부에 제품이 수용되는 유통 박스가 보관되는 유통 창고와, 상기 보관 창고와 유통 창고를 연결하는 공급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관 창고의 일측에는 상기 보관 박스에 수용된 다수의 제품을 소분하여 상기 유통 박스에 수용하는 소분 처리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공급 컨베이어는 상기 소분 처리부에 처리된 상기 유통 박스를 상기 유통 창고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machine learning automated warehouse system}
본 발명은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제품이 수용되는 보관 박스와 각각의 제품을 단품으로 보관하는 창고를 각각 구비하여 대량 출고 또는 소량 출고에 따라 적절하게 출고할 수 있도록 하며, 창고에 보관중인 제품의 회전 효율을 높여 불필요한 제품을 보관함으로써 발생하는 창고의 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제의 발달로 효율적인 물류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자동창고에 관한 기술 또한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창고는 다수, 다종의 화물(M)을 공간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적재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화물(M)의 이적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송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창고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창고 시스템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창고 시스템은, 화물(M)이 적재되는 적재선반(11)이 각층에 종방향(Y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되고 다단으로 적층된 한 쌍의 다층랙(10)과, 한 쌍의 다층랙(10) 사이의 통로에 마련되어 종방향(Y방향)으로 주행하는 이송셔틀(20)과, 한 쌍의 다층랙(10)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화물(M)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30)과, 다층랙(10)과 승강유닛(30) 사이에 마련되며 각층에 설치되어 화물(M)을 임시 보관하는 버퍼유닛(40)과, 승강유닛(30)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승강유닛(30)에 화물(M)을 공급하거나 승강유닛(30)으로부터 화물(M)을 공급받는 입출고 컨베이어(5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창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물(M)의 입고 명령에 따라 화물(M)을 적재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입출고 컨베이어(50)에 의해 화물(M)이 승강유닛(30)으로 이송되고, 승강유닛(30)은 화물(M)이 적재될 해당 적재선반(11)이 있는 층으로 화물(M)을 상승시키고, 화물(M)을 버퍼유닛(40)에 임시보관한다.
그리고, 이송셔틀(20)이 한 쌍의 다층랙(10)에 마련된 복수의 적재선반(11) 사이에서 종방향(Y방향)으로 주행하며 버퍼유닛(40)에 보관된 화물(M)을 최종 보관위치인 해당 적재선반(11)으로 이송한 후 적재한다.
그리고, 화물(M)의 출고 명령에 따라 화물(M)을 출고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이송셔틀(20)이 한 쌍의 다층랙(10)에 마련된 복수의 적재선반(11) 사이에서 종방향(Y방향)으로 주행한 후 해당 적재선반(11)에 적재된 화물(M)을 버퍼유닛(40)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버퍼유닛(40)으로 이송된 화물(M)은 승강유닛(30) 및 입출고 컨베이어(50)를 통해 출고된다.
그런데, 이렇한 종래의 자동 창고 시스템은 화물을 큰 박스에 포장한 상태로 보관하게 되고, 출고시에도 큰 박스 상태로 출고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물건을 보관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어 큰 박스에 포장된 제품을 단품 또는 소량으로 구매하는 구매자에게 직접 발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단품 또는 소량으로 제품을 발송하여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장소에서 박스를 해체한 후, 발송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해체된 박스의 나머지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장소를 확보하여야 하므로 장소 확보를 위한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등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76717호(2016.11.10.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큰 부피로 형성되어 내부에 다수개의 제품이 포장되는 보관 박스를 보관하는 보관 창고와 보관 박스에 포장된 각 제품을 소분하여 개별적으로 보관하는 유통 창고가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대량 출고시에는 보관 창고에서 출고하도록 하고, 소량 출고시에는 유통 창고에서 출고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 맞도록 제품을 출고할 수 있는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관 창고 및 유통 창고를 제어하는 관제실에 설치된 제어 장치는 머신러닝 기법으로 학습됨으로써, 설정된 기간 동안 유통 창고에서 출고되는 각 제품의 정보를 통하여 현재 유통 창고에 보관 중인 제품의 양을 적절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보관 중인 제품의 회전 효율을 높여 불필요한 제품을 보관함에 따른 창고의 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제품이 수용되는 보관 박스가 보관되는 보관 창고와, 내부에 제품이 수용되는 유통 박스가 보관되는 유통 창고와, 상기 보관 창고에 보관된 제품을 상기 유통 창고로 이동시키는 공급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관 창고의 일측에는 상기 보관 박스에 수용된 다수의 제품을 소분하여 상기 유통 박스에 수용하는 소분 처리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공급 컨베이어는 상기 소분 처리부에 처리된 상기 유통 박스를 상기 유통 창고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관 창고는 상기 보관 박스가 적재되는 보관 선반과, 상기 보관 선반의 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관 박스가 입고 또는 출고되는 입출고부와, 상기 보관 선반 사이에 설치되는 전후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전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보관 선반에 상기 보관 박스를 적재하거나, 상기 보관 선반으로부터 상기 보관 박스를 인출하는 스태커 크레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관 선반의 전부와 후부에는 좌우 이송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좌우 이송장치는 상기 전후 가이드 레일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 가이드 레일과, 상기 좌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되 상부에 상기 보관 박스를 적재하는 이동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유통 창고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통 박스를 공급받는 유통 입고부와, 상기 유통 입고부를 통하여 공급받은 상기 유통 박스를 적재하는 유통 선반과, 상기 유통 선반에 적재된 유통 박스를 출고하기 위한 유통 출고부와, 상기 유통 선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통 입고부 및 유통 출고부와 연결되는 이송 레일과,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유통 박스를 상기 유통 선반에 적재하거나, 상기 유통 선반으로부터 인출하는 이송 로봇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통 선반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유통 입고부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유통 박스가 일시적으로 대기하는 입고 대기부와, 상기 유통 출고부로 상기 유통 박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대기하는 출고 대기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통 입고부와 유통 출고부는 상기 유통 박스를 공급받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장치와,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일측 단부에는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유통 선반의 높이에 맞도록 승하강하는 승강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통 창고에 설치되는 유통 출고부와 소분 처리부를 연결하는 회수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유통 출고부는 상기 유통 박스에 수용된 제품은 출고시키고, 제품이 제거된 유통 박스를 상기 회수 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머신러닝 기법으로 학습된 인공지능이 설치되는 제어 장치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보관 창고 및 유통 창고에 보관되고 출고되는 제품의 정보를 수집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 제품의 입출고 상황을 통하여 상기 유통 창고에 보관할 각 제품의 최소수량과 최대 수량을 설정하고 상기 유통 창고에 보관된 제품의 수량이 최소 수량 미만이 되면 자동으로 상기 보관 창고에서 해당 제품을 상기 유통 창고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보관 창고의 입출고를 제어하는 입출고부에 구비된 리더기를 통하여 획득한 보관 박스의 바코드 정보를 통하여 상기 보관 박스에 수용된 제품을 인식하고, 상기 보관 창고 내에서의 상기 보관 박스의 보관 장소를 할당하거나 출고되는 제품의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소분 처리부에 구비되는 리더기를 통하여 획득한 제품의 바코드 정보를 통하여 상기 제품을 인식하고, 상기 유통 창고 내에서의 상기 제품의 보관 장소를 할당하며, 상기 유통 창고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통 출고부의 리더기를 통하여 획득한 제품의 바코드 정보를 통하여 출고되는 제품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보관 박스에는 다수의 제품의 보관되고, 상기 유통 박스는 상기 보관 박스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보관 박스에 수용된 상기 다수의 제품을 소분한 단품 또는 소량의 제품을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큰 부피로 형성되어 내부에 다수개의 제품이 포장되는 보관 박스를 보관하는 보관 창고와 보관 박스에 포장된 각 제품을 소분하여 개별적으로 보관하는 유통 창고가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대량 출고시에는 보관 창고에서 출고하도록 하고, 소량 출고시에는 유통 창고에서 출고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 맞도록 제품을 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관 창고 및 유통 창고를 제어하는 관제실에 설치된 제어 장치는 머신러닝 기법으로 학습됨으로써, 설정된 기간 동안 유통 창고에서 출고되는 각 제품의 정보를 통하여 현재 유통 창고에 보관 중인 제품의 양을 적절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보관 중인 제품의 회전 효율을 높여 불필요한 제품을 보관함에 의한 창고의 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창고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창고 시스템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의 평면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의 평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내부에 제품이 수용되는 보관 박스(510)가 보관되는 보관 창고(100)와 내부에 제품이 수용되는 유통 박스(520)가 보관되는 유통 창고(200)와 상기 보관 창고(100)와 유통 창고(200)를 연결하는 공급 컨베이어(4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관 박스(510)는 다수의 제품이 수용되는 비교적 큰 박스로서 하나의 보관 박스(510)에 다량의 제품을 수용함으로써,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상기 유통 박스(520)는 상기 보관 박스(51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단품 또는 소량의 제품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관 창고(100)의 일측에는 상기 보관 박스(510)에 수용된 다수의 제품을 소분하여 단품 또는 소량의 제품을 상기 유통 박스(520)에 수용하도록 하는 소분 처리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분 처리부(300)는 상기 보관 창고(100)로부터 공급받은 보관 박스(510)가 적재되는 작업대(310)와 상기 작업대(3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단부가 상기 공급 컨베이어(410)에 연결되는 작업 컨베이어(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대(310)에는 작업자 또는 로봇이 위치하여 상기 작업대(310)에 적재된 보관 박스(510)를 해체하여 내부에 수용된 제품을 단품 또는 소량으로 분류하여 상기 작업 컨베이어(3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유통 박스(520)에 적재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410)는 상기 작업 컨베이어(320)로부터 공급받은 유통 박스(520)를 상기 유통 창고(200)로 공급하여 유통 창고(200)에서 소분된 상태로 제품을 보관하게 됨으로써, 단품 또는 소량으로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을 발송하여야 할 경우에는 상기 유통 창고(200)로부터 제품을 출고하도록 하고, 대량으로 제품을 발송하여야 할 경우에는 상기 보관 창고(100)로부터 제품을 출고하도록 하여 다양한 상황에 맞도록 제품을 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컨베이어(320)의 상부에는 비전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비전 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유통 박스(520)의 내측에 제품이 수용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유통 박스(520)의 내부에 제품이 수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 컨베이어(320)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빈 유통 박스(520)가 유통 창고(200)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관 창고(100)는 상기 보관 박스(510)가 적재되는 보관 선반(120)과 상기 보관 창고(100)의 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관 박스(510)가 입고 또는 출고되는 입출고부(110)와 상기 보관 선반(120) 사이에 설치되는 전후 가이드 레일(135)과 상기 전후 가이드 레일(135)을 따라 이동하는 스태커 크레인(1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관 선반(120)은 다수개가 병렬로 설치되는데, 상기 스태커 크레인(130)은 상기 보관 선반(120) 사이에 설치된 상기 전후 가이드 레일(135)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입출고부(110)를 통하여 입고된 보관 박스(510)를 상기 보관 선반(120)에 적재하거나, 상기 보관 선반(120)으로부터 상기 보관 박스(510)를 인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관 선반(120)은 다단으로 설치되어 보다 많은 보관 박스(510)를 적재할 수 있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130) 역시 보관 박스(510)를 이동시키는 포크부(132)가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각 단에 보관 박스(510)를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관 선반(120)의 전부와 후부에는 각각 좌우 이송장치(140)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좌우 이송장치(140)는 상기 전후 가이드 레일(135)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 가이드 레일(142)과 상기 좌우 가이드 레일(14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플레이트(1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144)의 상면에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입출고부(110)의 상면에도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입출고부(110)에 입고된 보관 박스(510)를 상기 이동 플레이트(144)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 플레이트(144)는 상기 좌우 가이드 레일(142)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보관 선반(1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입출고 대기부(124)로 보관 박스(510)를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입출고 대기부(124)에 위치한 보관 박스(510)는 상기 스태커 크레인(130)이 보관 선반(120)의 보관하기 위하여 할당된 섹션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출고시에는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되어 상기 입출고부(110)를 통하여 보관 박스(510)를 출고시키게 되며, 상기 보관 선반(120)의 타측 단부에는 소분 대기부(122)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소분 대기부(122)는 상기 소분 처리부(300)로 이동될 보관 박스(510)가 일시적으로 보관된다.
여기서, 상기 소분 대기부(122)는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후술할 제어 장치(미도시)에 의해 소분 처리부(300)에 빈 섹션이 감지될 경우, 상기 좌우 이송장치(140)의 이송 플레이트(144)로 상기 소분 대기부(122)에 대기 중인 보관 박스(510)를 이동시킨 후, 이송 플레이트(144)가 소분 처리부(300)이 비어 있는 작업대(310)로 이동하여 보관 박스(510)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통 창고(200)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4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통 박스(520)를 공급받는 유통 입고부(210)와 상기 유통 입고부(210)를 통하여 공급받은 상기 유통 박스(520)를 적재하는 유통 선반(220)과 상기 유통 선반(220)에 적재된 유통 박스(520)를 출고하기 위한 유통 출고부(240)와 상기 유통 선반(220)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 레일(232)과 상기 이송 레일(232)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 로봇(2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통 선반(220)은 다수개가 병렬로 설치되며, 상기 유통 선반(220)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이송 레일(232)은 양측 단부가 상기 유통 입고부(210) 또는 유통 출고부(240)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통 선반(22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상기 유통 입고부(21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유통 박스(520)가 일시적으로 대기하는 입고 대기부(222)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유통 선반(22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는 상기 유통 출고부(240)로 상기 유통 박스(520)를 공급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대기하는 출고 대기부(22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통 입고부(210)와 유통 출고부(240)는 상기 유통 박스(520)를 공급받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장치(214,244)와 상기 컨베이어 장치(214,244)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승강 유닛(212,2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 유닛(212,242)은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유통 선반(220)의 각단의 높이에 맞도록 승하강하는 승강부(212a,242a)와 상기 승강부(212a,242a)의 측부에 설치되는 지지부(212b,24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212b,242b), 입고 대기부(222) 및 출고 대기부(224)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구동되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유통 박스(520)가 용이하게 상기 유통 선반(220)에 적재될 수 있고, 유통 선반(220)에 적재된 유통 박스(520)가 용이하게 유통 출고부(240)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유통 입고부(210)로 공급된 유통 박스(520)는 컨베이어 장치(214)에 의해 지지부(212b)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지지부(212b)는 유통 선반(220)에서 할당된 부분의 단에 위치하는 입고 대기부(222)로 이동되며, 이렇게 이동된 유통 박스(520)는 상기 이송 로봇(230)에 의해 유통 선반(220)의 할당된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유통 선반(220)에서 이송 로봇(230)에 의해 상기 출고 대기부(224)로 이동된 유통 박스(520)는 지지부(242b)를 경유하여 상기 유통 출고부(240)의 컨베이어 장치(244)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유통 출고부(240)와 소분 처리부(300)를 연결하는 회수 컨베이어(42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유통 출고부(240)의 단부에는 작업자 또는 작업 로봇이 위치하여 유통 출고부(240)를 구성하는 컨베이어 장치(244)에 의해 단부로 이동된 유통 박스(520)의 내부에 수용된 제품을 인접한 위치에 대기하고 있는 출고 트레이(미도시)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자 또는 작업 로봇은 상기 유통 박스(520)의 내부에 수용된 제품을 인출한 후, 제품이 제거된 유통 박스를 상기 회수 컨베이어(420)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회수 컨베이어(420)에 의해 내부가 빈 유통 박스(520)를 소분 처리부(300)로 이동시켜 재활용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각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 장치는 별도로 설치되는 관제실(미도시)에 위치하게 되며 관리자가 직접 제어할 수도 있고, 머신러닝 기법으로 학습된 인공지능을 통하여 자동으로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보관 창고(100) 및 유통 창고(200)에 보관되고 출고되는 제품의 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데, 상기 제어 장치(미도시)는 설정된 기간 동안 제품의 입출고 상황 정보를 통하여 상기 유통 창고(200)에 보관할 각 제품의 최소수량과 최대 수량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유통 창고(200)에 보관된 제품의 수량이 최소 수량 미만이 되면 자동으로 상기 보관 창고(100)에서 해당 제품을 상기 유통 창고(200)로 소분하여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보관 창고(100)의 입출고를 제어하는 상기 입출고부(110)에 구비된 리더기(미도시)를 통하여 획득한 보관 박스(510)의 바코드 정보를 통하여 상기 보관 박스(510)에 수용된 제품을 인식하고, 상기 보관 창고(100) 내에서의 상기 보관 박스(510)의 보관 장소를 할당하거나 보관 창고(100)에서 직접 출고되는 제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소분 처리부(300)에 구비되는 리더기(미도시)를 통하여 획득한 제품의 바코드 정보를 통하여 상기 제품을 인식하고, 상기 유통 창고(200) 내에서의 상기 제품의 보관 장소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유통 창고(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통 출고부(240)의 리더기(미도시)를 통하여 획득한 제품의 바코드 정보를 통하여 출고되는 제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보관 창고(100) 및 유통 창고(200)에 보관되는 모든 제품의 정보와 입출고되는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정보가 축적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기간동안 각각의 제품의 수요를 확인할 수 있어 미리 그에 대비할 수 있어 신속하게 출고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보관 창고(100) 및 유통 창고(200)에 보관 중인 제품의 회전 효율을 높여 불필요한 제품을 보관함에 의한 창고의 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제품이 수용되는 보관 박스와 각각의 제품을 단품으로 보관하는 창고를 각각 구비하여 대량 출고 또는 소량 출고에 따라 적절하게 출고할 수 있도록 하며, 창고에 보관중인 제품의 회전 효율을 높여 불필요한 제품을 보관함으로써 발생하는 창고의 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00 : 보관 창고 110 : 입출고부
120 : 보관 선반 130 : 스태커 크레인
140 : 좌우 이송장치 200 : 유통 창고
210 : 유통 입고부 220 : 유통 선반
230 : 이송 로봇 240 : 유통 출고부
300 : 소분 처리부 310 : 작업대
320 : 작업 컨베이어 410 : 공급 컨베이어
420 : 회수 컨베이어 510 : 보관 박스
520 : 유통 박스

Claims (11)

  1. 내부에 제품이 수용되는 보관 박스가 보관되는 보관 창고와,
    내부에 제품이 수용되는 유통 박스가 보관되는 유통 창고와,
    상기 보관 창고에 보관된 제품을 상기 유통 창고로 이동시키는 공급 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관 창고의 일측에는 상기 보관 박스에 수용된 다수의 제품을 소분하여 상기 유통 박스에 수용하는 소분 처리부가 더 설치되되, 상기 공급 컨베이어는 상기 소분 처리부에 처리된 상기 유통 박스를 상기 유통 창고로 이동시키며,
    상기 보관 박스에는 다수의 제품의 보관되고, 상기 유통 박스는 상기 보관 박스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보관 박스에 수용된 상기 다수의 제품을 소분한 단품 또는 소량의 제품을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창고는 상기 보관 박스가 적재되는 보관 선반과,
    상기 보관 창고의 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관 박스가 입고 또는 출고되는 입출고부와,
    상기 보관 선반 사이에 설치되는 전후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전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보관 선반에 상기 보관 박스를 적재하거나, 상기 보관 선반으로부터 상기 보관 박스를 인출하는 스태커 크레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선반의 전부와 후부에는 좌우 이송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좌우 이송장치는 상기 전후 가이드 레일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 가이드 레일과,
    상기 좌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되 상부에 상기 보관 박스를 적재하는 이동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 창고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통 박스를 공급받는 유통 입고부와,
    상기 유통 입고부를 통하여 공급받은 상기 유통 박스를 적재하는 유통 선반과,
    상기 유통 선반에 적재된 유통 박스를 출고하기 위한 유통 출고부와,
    상기 유통 선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통 입고부 및 유통 출고부와 연결되는 이송 레일과,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유통 박스를 상기 유통 선반에 적재하거나, 상기 유통 선반으로부터 인출하는 이송 로봇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 선반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유통 입고부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유통 박스가 일시적으로 대기하는 입고 대기부와,
    상기 유통 출고부로 상기 유통 박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대기하는 출고 대기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 입고부와 유통 출고부는 상기 유통 박스를 공급받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장치와,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일측 단부에는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유통 선반의 높이에 맞도록 승하강하는 승강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 창고에 설치되는 유통 출고부와 소분 처리부를 연결하는 회수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유통 출고부는 상기 유통 박스에 수용된 제품은 출고시키고, 제품이 제거된 유통 박스를 상기 회수 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각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머신러닝 기법으로 학습된 인공지능이 설치되는 제어 장치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보관 창고 및 유통 창고에 보관되고 출고되는 제품의 정보를 수집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 제품의 입출고 상황을 통하여 상기 유통 창고에 보관할 각 제품의 최소수량과 최대 수량을 설정하고 상기 유통 창고에 보관된 제품의 수량이 최소 수량 미만이 되면 자동으로 상기 보관 창고에서 해당 제품을 상기 유통 창고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보관 창고의 입출고를 제어하는 입출고부에 구비된 리더기를 통하여 획득한 보관 박스의 바코드 정보를 통하여 상기 보관 박스에 수용된 제품을 인식하고, 상기 보관 창고 내에서의 상기 보관 박스의 보관 장소를 할당하거나 출고되는 제품의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소분 처리부에 구비되는 리더기를 통하여 획득한 제품의 바코드 정보를 통하여 상기 제품을 인식하고, 상기 유통 창고 내에서의 상기 제품의 보관 장소를 할당하며,
    상기 유통 창고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통 출고부의 리더기를 통하여 획득한 제품의 바코드 정보를 통하여 출고되는 제품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11. 삭제
KR1020210064775A 2021-05-20 2021-05-20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KR102309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775A KR102309683B1 (ko) 2021-05-20 2021-05-20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775A KR102309683B1 (ko) 2021-05-20 2021-05-20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683B1 true KR102309683B1 (ko) 2021-10-08

Family

ID=78115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775A KR102309683B1 (ko) 2021-05-20 2021-05-20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13647A1 (zh) * 2022-11-29 2024-06-06 中轻长泰(长沙)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立体储存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302A (ko) * 1997-04-10 1998-11-25 무라타쥰이치 피킹시스템
KR101676717B1 (ko) 2014-12-04 2016-11-1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자동창고 시스템
KR20180036087A (ko) * 2016-09-30 2018-04-09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화물 반출입시스템
KR101998384B1 (ko) * 2019-02-27 2019-07-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물류시스템
KR102096358B1 (ko) * 2019-12-27 2020-04-02 김형우 창고물류 자동입고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302A (ko) * 1997-04-10 1998-11-25 무라타쥰이치 피킹시스템
KR101676717B1 (ko) 2014-12-04 2016-11-1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자동창고 시스템
KR20180036087A (ko) * 2016-09-30 2018-04-09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화물 반출입시스템
KR101998384B1 (ko) * 2019-02-27 2019-07-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물류시스템
KR102096358B1 (ko) * 2019-12-27 2020-04-02 김형우 창고물류 자동입고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13647A1 (zh) * 2022-11-29 2024-06-06 中轻长泰(长沙)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立体储存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4004B2 (ja) 注文調達及び保管ユニットの補充の方法
JP6679678B2 (ja) 保管設備からの運搬ユニット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JP7082047B2 (ja) 注文処理エリアを有する倉庫内で注文を処理する方法
RU2689597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задания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дл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пункта подготовки
US8494673B2 (en) Warehous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7007271B2 (ja) 選別ステーションにおいて所望の順序で保管ユニットを保管設備から利用可能にすることによる注文調達方法
CN113978993B (zh) 料箱调度方法、装置、调度设备、仓储系统及存储介质
KR20180010999A (ko) 물품 재배열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물품 보관 설비
KR20160141843A (ko) 창고 및 창고용 운반 트럭
JP2016526519A (ja) 選別ステーションで保管ユニットを調製することによる注文調達方法
WO2021227375A1 (zh) 一种库存系统以及货品存取方法
KR102542851B1 (ko) 포장 스테이션에서 원하는 순서로 저장 시설로부터 사용 가능한 저장 유닛을 만듬으로써 주문을 이행하는 방법
KR102465387B1 (ko) 물품 적재 설비
JP2007210773A (ja) 荷の保管処理設備
JP2023531658A (ja) 倉庫設備の運用方法
KR102309683B1 (ko)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US10138059B2 (en) Integrated supply chain building
JP7206955B2 (ja) 自動倉庫制御装置及び自動倉庫におけるクレーンの出庫制御方法
JP2006321595A (ja) 仕分け方法及び仕分け装置
JP7152087B1 (ja) レーザー切断ピッキング及び製品パレット載置全自動システム
JP6657661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7408892B2 (ja) 物品出庫システム
JP7275602B2 (ja) 自動倉庫制御装置及び自動倉庫のクレーン割付方法
JP6562511B2 (ja) 自動倉庫の保管棚割付システム
JPH09216705A (ja) 自動倉庫の入庫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