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035B1 - 항당뇨용 보리면 - Google Patents

항당뇨용 보리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035B1
KR102175035B1 KR1020180013860A KR20180013860A KR102175035B1 KR 102175035 B1 KR102175035 B1 KR 102175035B1 KR 1020180013860 A KR1020180013860 A KR 1020180013860A KR 20180013860 A KR20180013860 A KR 20180013860A KR 102175035 B1 KR102175035 B1 KR 102175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ley
dough
noodles
gluca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572A (ko
Inventor
박충무
윤현서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3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0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3/145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8Yeas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34Beta-Gluca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당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곡물 가루 및 항당뇨 조성물을 포함하며, 혈당 조절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은 향미와 식감을 높이고, 곡물 가루의 함량을 90중량% 이상으로 함유하면서도 별도의 효소나 합성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혈당 조절 효과가 우수하고,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혈중 지방 감소 효과가 우수한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당뇨용 보리면
본 발명은 항당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곡물 가루를 다량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임에도 불구하고 식감이 매우 뛰어나며, 항당뇨용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체중 조절 및 혈당 조절 효능이 우수한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 결핍 및 조직에서의 인슐린 작용성 저하에 기인하는 고혈당과 이에 수반 되는 대사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인류문명의 발달에 따른 식이 형태와 생활양식의 변화로 인해 비만 인구와 함께 증가추세에 있는 제 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litus)은 인슐린의 분비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제 1형 당뇨병(Type 1 Diabetes Mellitus)과는 달리 인슐린 저항성이 주요한 병태 생리학적 특징이다. 인슐린 저항성은 유전적인 요인과 함께 말초조직에서 인슐린 감수성을 감소시키는 식이 형태나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 스 등의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슐린 민감성의 감소는 비만과 매우 높은 연관성을 가지며, 비만 상태에서의 염증 반응이 인슐린 민감성을 감소시킨다는 연구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현재 제 2형 당뇨병 치료제로서, 인슐린 분비능을 증가시키는 sulfonlurea 계통의 약물이 있고, 인슐린 작용력을 향상시키는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PPAR-γ) agonist인 pioglitazone과 rosiglitazone의 약물이 있다. 이 밖에도 간에서 당신생 합성을 감소시키는 Metformin 계통의 약물, 탄수화물의 소화흡수를 방해하여 식후 혈당의 상승을 방지하는 acarbose 계통의 약물이 있다.
이러한 약물 중에서도 Metformin은 다른 경구용 혈당강하제에 비해 저혈당 및 체중증가 등의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어 현재 제2형 당뇨병 환자의 1차적인 약물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Metformin은 이의 염산염으로서 글루코파지 (GLUCOPHAGE: 등록상표명, Bristol-Myers Squibb Company)의 정제 형태로 시판되고 있다. 시 판되고 있는 글루코파지 정제는 500 mg, 850 mg, 또는 1000 mg의 염산 Metformin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투여는 효능 및 내성의 양 측면을 고려하여 하루에 2,550 mg의 최대 요구 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Metformin은 French lilac의 주요성분으로 1957년부터 유럽에서 사용되어 왔고, 미국에서는 1994년부터 사용이 허가되었으나 작용기전은 비교적 최근에 밝혀졌다. 이제까지 알려진 대표적인 작용기전은 세포의 에너지 조절에 관여하는 AMP-activated protein kinase(AMPK)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간에서 당신생 작용을 억제하고 근육 및 간에서 지방산 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Metformin의 혈당 저하작용에는 AMPK의 인산화 상위 kinase인 LKB1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LKB1에 의해 transcriptional co-activator인 TORC2의 인산화를 통한 당신생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Metformin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으로서, 복용 환자의 20 내지 30 %에서, 식욕 감퇴, 복부 팽만감, 구역, 설사 등이 보고된바 있다. 또한, 드물게 젖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이로 인해 신질환, 간질환, 저산소증, 심각한 감염, 알코올중독증 등이 동반된 경우에는 주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부작용은 최소 및/또는 지속 용량을 감소시키거나 투약 횟수를 줄이거나 다른 약제와 병용 투여하는 방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당뇨병의 악화를 막기 위해서는 식사조절과 체중 관리 등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항상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일상적인 식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연스럽게 섭취함으로써 예방효과를 비롯하여 치료에도 유효한 작용을 갖는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KR 10-2016-0119920 A1 (특허 문헌 2) KR 10-1331199 B1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 가루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로, 향미 및 식감을 높이면서도, 항당뇨 효과를 가지는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혈당 조절 효과가 우수하고,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혈중 지방 감소 효과가 우수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은 곡물 가루 및 항당뇨 조성물을 포함하며, 혈당 조절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곡물 가루는 가공된 식품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항당뇨 조성물은 베타글루칸이며, 상기 베타글루칸은 효모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효모는 맥주 효모(Brewer's yeast), 빵 효모(Baker's yeast) 및 영양 효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이질풀 추출물, 벽오동 추출물, 우내자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1) 베타 글루칸 및 물을 희석하여 조반죽용 용매를 제조하는 조반죽용 용매 제조단계; 2) 곡물을 수분함량이 15중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고, 건조된 곡물을 분쇄하여 곡물 가루를 제조하는 곡물 가루 제조 단계; 3) 상기 2) 단계의 곡물 가루 및 상기 1) 단계의 조반죽용 용매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조반죽을 제조하는 조반죽 제조단계; 4) 상기 3) 단계의 조반죽을 성형 후, 숙성시켜 숙성반죽을 제조하는 제1 숙성단계; 5) 상기 4) 단계의 제1 숙성반죽에 정제염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곡물 가루 반죽을 제조하는 곡물 가루 반죽 제조단계; 6) 상기 4) 단계의 곡물 가루 반죽을 숙성시키는 제2 숙성단계; 7) 상기 6) 단계의 숙성된 곡물 가루 반죽을 압연하여 가공 성형하는 단계; 및 8) 상기 7) 단계의 가공 성형 단계 이후, 숙성시키는 제3 숙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물 가루는 보리 가루일 수 있다.
상기 1) 단계의 조반죽용 용매는 이질풀 추출물, 벽오동 추출물, 우내자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당뇨용 면류는 상기 항당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은 곡물 가루 및 항당뇨 조성물을 포함하며, 혈당 조절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곡물 가루는 가공된 식품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가공된 식품의 형태는 면류, 죽, 떡 등으로 곡물 가루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식품의 형태는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공된 식품은 면류로 한정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면류에 한정되지 않고, 곡물 가루로 제조할 수 있는 식품의 형태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곡물 가루는 쌀 가루, 밀 가루, 보리 가루 등을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보리 가루이며,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곡물 가루 중 보리 가루를 면류의 형태로 제조하며, 제조된 보리 면류에 항당뇨용 조성물을 포함시켜, 혈당 조절 효과를 더욱 상승시키고자 한다. 즉, 종래 보리는 혈당 조절 효과가 우수하였으나, 여기에 항당뇨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시켜, 보리 및 항당뇨 조성물의 혼합 사용에 따른 상승 작용으로 혈당 조절 효과가 더욱 상승한다.
본 발명에서의 보리 면류는 보리 가루를 포함하며, 보리의 함량이 90 중량%이상으로, 보리가 가지는 영양학적 우수성 또는 다이어트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밀가루 등 다른 곡물과 기타 합성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으면서도 보리의 함량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된 면류가 높은 식감과 기호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보리를 포함하는 면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보리 면류는 그 거친 식감으로 인해, 기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식품 조성물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기호성을 높이고, 항당뇨는 더욱 상승시키고자 한다.
상기 보리의 함량을 높인 보리 면류는 그 자체로 항당뇨 효과가 우수하지만, 항당뇨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보리 및 항당뇨 조성물의 혼합 사용에 따른 상승 작용으로 인해 항당뇨 효과가 우수한 항당뇨용 면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항당뇨 조성물은 베타글루칸이며, 상기 베타글루칸은 효모로부터 추출한 베타글루칸이다. 상기 효모로부터 추출한 베타글루칸은 웰뮨이라고도 불리운다.
상기 베타글루칸 (β-glucan)은 세균, 버섯, 효모및 곡물 소스로부터 얻어지는 면역 조절자 (i隱 une modulators)로 알려져있고, 다당류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글루코스 (glucose) 중합체 (polymers)는 특정 병원성 세균 및 균류 (fungi) 세포벽의 성분이다. 베타글루칸은 베타 -1,6-연계된 결사슬 (side chain)에 상관없이 베타- 1,3-연계된 베타 -D-글루코피래노실 (glucopyranosyl) 유니트 (units)로 이루어져있고 균류 세포벽 성분을 보존하고, 주요 PAMPs 중 하나로 인식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상기 베타글루칸은 항당뇨 등의 효과뿐만 아니라, 하기의 보리를 주원료로 포함하는 면류와 잘 어우러지면서 풍분한 향미와 식감을 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이질풀 추출물, 벽오동 추출물, 우내자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리 면류는 베타글루칸, 이질풀 추출물, 벽오동 추출물 및 우내자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각 성분의 혼합 사용에 따른 상승 작용으로 인해, 항당뇨 효과가 더욱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이질풀(Geranium thunbergii Siebold & Zucc.)은 들이나 산기슭에 자라는 다년초로 길이 50cm 정도 뻗으며 위로 퍼진 털이 있다. 잎은 대생하고 손바닥모양으로 3 내지 5개로 갈라지며 양면에 흑색 무늬가 있고 표면에 누운 털이 있다. 꽃은 연한 홍색으로 8 내지 9월에 2개의 소화경이 갈라져 각각 1개의 꽃이 달린다. 열매는 삭과로 5개로 갈라져서 위로 말리며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많은 양의 타닌과 케르세틴이 들어 있어 소염·지혈·수렴·살균 작용이 있다. 민간에서는 대장 카타르·이질·위궤양·십이지장궤양 등에 약 재로 사용하고, 한방에서는 현초(玄草)라고 하며 지사제로 쓴다. 한국·일본·타이완에 분포한다.
상기 벽오동 나무(Firmiana simplex, Chinese Parasol Tree)는 중국 ·인도차이나 ·타이완 및 류큐[琉球] 원산이다. 전라도와 경상도에서 가로수로 심고 있으며 경기도에서도 곳에 따라 월동이 가능하다.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아욱목 벽오동과의 낙엽교목이며 저지대의 길가에 서식한다. 높이 15m 정도로 굵 은 가지가 벌어지고 나무껍질은 녹색이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넓으며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서는 모여 달리고 가장자리가 3 내지 5개로 갈라지며, 톱니의 길이와 너비가 16 내지 25cm이다. 잎자루는 잎보다 길다. 꽃은 6, 7월에 연한 노란색으로 피고 원추꽃차례[圓錐花序]를 이루며 단성화이다. 하나의 꽃이삭에 암꽃과 수꽃이 달린 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뒤로 젖혀지며 꽃잎은 없다. 합쳐진 수술대 끝에 10 내지 15개의 꽃밥이 달린다. 열매는 삭과 (殼果)로 성숙하기 전에 5개로 갈라져서 둥근 종자가 겉에 나타난다. 종자는 소염작용, 거담작용, 해열작용을 한다. 뿌리를 달인 즙은 종기를 치료하고 잎으로 만든 세척제는 등창이나 상처에 효과가 있다. 잎과 씨의 알코올 추출액은 근육의 긴장도를 높여준다. 정신적, 육체적 피로, 병후쇠약에 흥분약으로 쓴다. 씨를 해열제, 염증약으로 쓰며 어린이들의 머리칼이 희여질 때 머리칼을 검게 한는 약을 달여 먹인다. 같은 목적에서 껍질 또는 열매즙으로 머리를 감긴다. 또한 어린이들이 입안이 헐때에도 쓴다. 나무껍질에는 점액질이 많아 종이 생산용 풀로도 쓴다.
상기 우내자는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Thunb., Autumn olive)로, 산기슭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3 내지 4m이고 가시가 있으며 어린 가지는 은백색 또는 갈색이다.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이고 둔두 또는 짧은 점첨두이며 톱니가 없고 뒷면에 은백색 비늘털이 밀생한다. 꽃은 연한 황색으로 5 내지 6월에 새가지 잎겨드랑이에 1 내지 7개가 산형으로 달린다. 열매는 둥글고 비늘 모양의 털로 덮여 있다.
본 발명의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보리 면류는 90 중량% 이상 보리를 주 성분으로 하며, 소량의 베타글루칸, 이질풀 추출물, 벽오동 추출물 및 우내자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당뇨 효과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풍부한 향미 및 식감을 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보리 90 내지 95 중량%; 베타글루칸 1 내지 5 중량%; 이질풀 추출물 0.5 내지 2 중량%; 벽오동 추출물 0.5 내지 2 중량% 및 우내자 추출물 0.5 내지 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 의하는 경우, 각 성분의 혼합 사용에 따른 상승 작용으로 항당뇨 활성의 상승 효과가 가장 높아질 수 있고, 보리가루와 혼합 시, 최적의 비율로 우수한 향미 및 식감을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1) 베타 글루칸 및 물을 희석하여 조반죽용 용매를 제조하는 조반죽용 용매 제조단계; 2) 곡물을 수분함량이 15중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고, 건조된 곡물을 분쇄하여 곡물 가루를 제조하는 곡물 가루 제조 단계; 3) 상기 2) 단계의 곡물 가루 및 상기 1) 단계의 조반죽용 용매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조반죽을 제조하는 조반죽 제조단계; 4) 상기 3) 단계의 조반죽을 성형 후, 숙성시켜 숙성반죽을 제조하는 제1 숙성단계; 5) 상기 4) 단계의 제1 숙성반죽에 정제염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곡물 가루 반죽을 제조하는 곡물 가루 반죽 제조단계; 6) 상기 4) 단계의 곡물 가루 반죽을 숙성시키는 제2 숙성단계; 7) 상기 6) 단계의 숙성된 곡물 가루 반죽을 압연하여 가공 성형하는 단계; 및 8) 상기 7) 단계의 가공 성형 단계 이후, 숙성시키는 제3 숙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항당뇨용 면류의 제조 방법으로, 1) 베타글루칸 및 물을 희석하여 조반죽용 용매를 제조하는 조반죽용 용매 제조단계; 2) 보리를 수분함량이 15중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고, 건조된 보리를 분쇄하여 보리 가루를 제조하는 보리가루 제조 단계; 3) 상기 2) 단계의 보리가루를 1000 내지 2000 mesh의 입경크기를 가지는 제1 보리가루; 300 내지 800 mesh의 입경크기를 가지는 제2 보리가루 및 100 내지 300 mesh의 입경크기를 가지는 제3 보리가루로 분류하는 보리가루 분류 단계; 4) 상기 3) 단계의 제1 보리가루 및 상기 1) 단계의 조반죽용 베타글루칸을 혼합하고, 50 내지 90℃를 유지하면서 1500 내지 5500RPM으로 교반하여, 제1 조반죽을 제조하는 제1 조반죽 제조단계; 5) 상기 4) 단계의 제1 조반죽에 상기 3) 단계의 제2 보리가루를 혼합하고, 30 내지 50℃를 유지하면서 1000 내지 3500RPM 으로 교반하면서 제2 조반죽을 제조하는 제2 조반죽 제조단계; 6) 상기 제2 조반죽에 대하여 상기 제3 보리가루를 혼합하고, 15 내지 40℃를 유지하면서 300 내지 1000RPM으로 교반하여 제3 조반죽을 제조하는 제3 조반죽 제조단계; 7) 상기 6) 단계의 제3 조반죽을 성형 후, 15 내지 25℃에서, 10 내지 30 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1 숙성반죽을 제조하는 제1 숙성단계; 8) 상기 7) 단계의 제1 숙성반죽에 정제염을 혼합하고, 50 내지 80℃를 유지하면서 800 내지 2000RPM 이상으로 교반하면서, 보리가루 반죽을 제조하는 보리가루 반죽 제조단계; 9) 상기 8) 단계의 보리가루 반죽을 종이로 감싸고, 성형한 이후, 10 내지 25℃에서, 18 내지 72시간 동안 보리가루 반죽을 숙성시키는 제2 숙성단계; 10) 상기 9) 단계의 숙성된 보리가루 반죽을 압연하여 제1 면대를 형성하는 제1 면대 제조단계; 11) 상기 제1 면대를 다시 뭉쳐 반죽 형태로 제조 후, 압연하여 제2 면대를 제조하는 제2 면대 제조단계; 12) 상기 11) 단계의 제2 면대를 5 내지 10℃를 유지하면서 40 내지 80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제3 숙성단계; 13) 상기 12) 단계의 제3 숙성단계를 거친 제2 면대를 50 내지 99중량%의 에탄올에 침지한 뒤 건조시키는 에탄올 침지 단계; 및 14) 상기 13) 단계의 에탄올 침지 단계를 거친 제2 면대를 5 내지 10℃를 유지하면서 24 내지 72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제4 숙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반죽용 용매 제조 단계는 베타글루칸과 물을 희석 시에 이질풀 추출물, 벽오동 추출물 및 우내자 추출물을 혼합하여 조반죽용 용매를 제조할 수 있다. 조반죽은 입자의 크기가 큰 보리 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반죽의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조반죽용 용매 제조 단계는 물에 베타글루칸, 이질풀 추출물, 벽오동 추출물 및 우내자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로, 동일한 함량으로 포함되어 혼합된다. 이에, 전체 중량 대비 베타글루칸 2 내지 5 중량%; 이질풀 추출물 0.5 내지 2 중량%; 벽오동 추출물 0.5 내지 2 중량%; 우내자 추출물 0.5 내지 2 중량% 및 나머지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반죽용 천연 추출물을 상기 범위로 희석하지 않으며, 제1 조반죽이 잘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에 보리 함량이 높은 면 자체를 만들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추출물이 최소 값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천연 추출물의 혼합 사용에 따른 항당뇨 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향미 상승효과도 거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 추출물이 최대 값을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보리 면류의 보리 함량이 감소하여 보리 면류 고유의 식감이 저해되고, 항당뇨 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보리가루 제조단계에서 보리는 수분함량이 15% 이하가 되어야 한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수분이 함유된 경우 분쇄 및 보리가루를 입경별 로 분류하는 것이 원할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 분쇄는 보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을 말하며, 상기 분쇄방법은 압착밀링, 볼밀 등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분쇄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제1 보리가루는 1000 내지 2000 mesh의 입경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미세한 입자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1 보리가루는 상대적으로 작은 입경으로 보리 가루가 물에 혼화될 때 보리 가루 입자가 물과 맞닿는 표면적을 넓 혀 점도와 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보리가루는 반죽의 초기 점도 와 탄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하다.
상기 제1 보리가루가 1000 mesh 미만의 입경을 가지는 경우 보리가 루 입자가 물과 맞닿는 표면적이 감소하여 보리의 낮은 점성과 탄성으로 전체적으 로 반죽이 잘 뭉쳐지지 않기 때문에 높은 보리 함량을 가지는 면을 제조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진다. 반면, 상기 제1 보리가루가 2000 mesh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보리가루가 물에 분산되면서 각 입자의 응집력에 의해 뭉쳐지기 때문에 입자의 형 태가 고르게 형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과 제1 보리가루 입자 간의 분산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1 보리가루가 2000 mesh를 초과하는 경우 반죽의 점성과 탄성이 오히려 감소하게 되는 문제를 가진다.
상기 제2 보리가루는 300 내지 800 mesh의 입경크기를 가지는데, 상기 제2 보리 가루는 상기 제1 보리가루에 의해서 만들어진 제1 조반죽에 포함되면 서 반죽의 점도를 높이게 된다. 제2 보리가루 반죽이 300 mesh 미만인 경우 보리가 루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상기 제1 조반죽에 고르게 분산되면서 점도를 높일 수가 없고, 오히려 제1 조반죽의 점성을 낮추고, 각 입자가 따로 분산되어 반 죽의 탄력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반면, 제2 보리가루가 800 mesh를 초과하는 경우 입자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제1 조반죽에서 일면 달라붙어 분산되지 않기 때문에 제2 보리가루를 사용하여 제1 조반죽의 점성을 높이는 효과를 낼 수가 없다.
상기 제3 보리가루는 100 내지 300 mesh의 입경크기를 가진다. 상기 제3 보리가루는 상대적으로 큰 입경으로 보리가 가지고 있는 향미와 식감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하며, 제2 조반죽에 포함되면서 반죽의 점성을 보다 높여줄 수 있다.
상기 제3 보리가루가 100 mesh 미만으로 포함된 경우 입경이 너무 크기 때문에 반죽이 잘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최종 결과물이 면이 잘 끊어져 탄 력을 가지지 못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300 mesh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면에 상대적으로 큰 입자가 낼 수 있는 보리의 향미와 식감을 높이는 효과가 미미할 뿐 만 아니라, 제2 조반죽의 수분을 순간적으로 흡수하면서 반죽의 점성을 오히려 낮 추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발하는 조반죽은 면을 제조하기 위해 만든 반죽 이전에 숙성을 위하여 만들어진 초기 만죽을 의미한다.
상기 제1 보리가루, 제2 보리가루 및 제3 보리가루를 한꺼번에 혼합 한 뒤 물에 혼화시켜 반죽을 제조하는 경우 점성이 거의 없어 면을 제조하기 어렵고, 설사 제조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면이 상당히 잘 끊어지며 탄력이 없기 때문에 식감이 낮아지는 문제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1 조반죽 제조 단계를 통하여 기본반죽을 먼저 만들어야 한다. 상기 제1 조반죽 제조 단계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인 50 내지 90 ℃에서 진행되 어야 하는데, 제1 보리가루가 순간적으로 팽창하면서 보다 높은 표면으로 물과 맞 닿으면서 초기 점성을 부여하여 반죽을 만들기 위함이다. 따라서 온도가 50 ℃ 미 만인 경우 보리입자가 팽창하면서 넒은 표면적으로 물과 혼화되어 점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낼 수 없고, 90 ℃ 초과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 의해 점성이 부 여되지 않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조반죽은 1500 내지 5500 RPM으로 상대적으로 빠르게 교반시켜야 반죽의 초기 점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1500 RPM 미만으로 교반하 는 경우에는 반죽의 초기 점성 부여가 어렵기 때문에 제1 조반죽이 잘 만들어지지 않으며, 5500 RP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교반속도가 너무 빨라 초기 분 산에는 유리하지만 빠른 교반으로 보리가루와 물의 혼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반죽의 점성이 오히려 떨어지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제2 조반죽 제조단계는 상기 제1 조반죽에 직접 상기 제2 보리가루를 혼합하여 조반죽의 점성을 증진시키는 과정이다. 따라서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조반죽 제조단계에 비하여 온도를 낮추어야 하며, 일정한 반죽이 만 들어진 뒤에 점성을 높이는 과정이기 때문에 교반기의 RPM도 낮추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조반죽 제조단계에서 30 ℃ 미만의 온도를 유지하는 경 우 제1 조반죽의 점도가 급격하게 높아지면서 상기 제2 보리가루가 제1 조반죽에 잘 섞이지 않아 점성을 높아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온도를 50℃를 초과 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 의해 제1 조반죽의 점도가 증가하지 않으므로 제2 보리가루의 혼합에 의한 반죽의 점도 증가효과를 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2 조반죽 제조단계에서 1000 RPM 미만으로 교반하는 경우 제 1 조반죽에서 상기 제2 보리가루가 잘 분산되지 않는 문제가 생기며, 3500 RP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은 회전 수에 의해 제1 조반죽에 잔존하는 수분에 의해 제2 보리가루가 혼화되는 것을 방해하여 반죽의 점성이 증가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제3 조반죽 제조단계는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보리가루로 제조되는 면에 대한 보리의 향미와 식감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큰입자가 상기 제2 조반죽에 엉기면서 전체적으로 반죽의 점도를 높여주고, 제조된 면을 삶았을 때 팽창하면서 면의 탄력을 높여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조반죽 단계는 15 내지 40 ℃를 유지하면서 300 내 지 1000 RPM 이상으로 교반하는데, 상기 제3 조반죽 단계의 온도가 15 ℃ 미만인 경우 제2 조반죽의 점도이 급격히 높아지면서 상기 제3 보리가루와 잘 섞이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고, 40 ℃를 초과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제2 조반죽의 점도가 낮아지 면서 상대적으로 입경이 큰 상기 제3 보리가루가 상기 제2 조반죽에 고정되지 못하 고 계속 움직이게 되어 반죽의 점도와 탄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 제3 조반죽은 제1 보리가루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리가 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2 보리가루 10 내지 30 중량부 및 제3 보리가루 1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된 것이다.
상기 제2 보리가루가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제1 조반죽 에 대한 점도 향상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으며,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보리가루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반죽의 질감을 저하시키고, 오히려 반죽의 점도를 낮추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3 보리가루가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 3 보리가루 사용에 따른 보리의 향미와 식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낼 수 없고, 이 후 면을 삶으면서 팽창에 의한 면의 탄력상승효과를 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반면, 제3 보리가루가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2 조반죽에서 상기 제3 보 리가루 입자를 고정시킬 수가 없어, 전체적으로 점성이 낮아져 면으로 만들기가 어 렵다는 문제가 있다.
제1 숙성단계는 반죽의 점성을 높이고 반죽에 포함된 보리가루 간에 결합력을 높여 제조되는 면의 점성과 탄력을 부여하는 과정이다.
상기 제1 숙성단계는 먼저 제3 조반죽을 성형 후, 숙성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성형 공정은 보다 구체적으로 압축 틀에 삽입한 뒤 압착 하는 과정을 진행하는데, 상기 압착과정을 통하여 반죽에 포함된 물이 배출되고, 배출된 물 중 일정부만 다시 반죽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반죽의 점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물의 이동과정에서 혼화력을 높여줄 수 있다.
상기 제1 숙성단계는 빛이 들지 않는 응달에서 15 내지 25 ℃를 유지하면서 진행된다. 상온에서 숙성 공정을 진행하며, 이를 통하여 반죽의 점도를 높이고 그 과정에서 보리 입자 간 강한 결합으로 탄력성이 좋은 면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보리가루 반죽 제조단계는 밀가루 반죽 등에 비하여 결합력과 점성이 낮은 보리가루 반죽에 점성을 높이는 과정으로, 상기 제3 조반죽에 정제염 이 포함되면서, 반죽에 포함된 보리입자 간에 결합력을 높여 반죽의 점성과 탄력을 높여주게 된다.
상기 보리가루 반죽 제조단계 정제염이 혼합시키면서 보리가루 반죽 이 만들어지는데, 이 때 반죽 표면으로 일정량의 수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숙성단계는 상기 보리가루 반죽을 종이로 감싸 뒤 압축 틀에서 압착합으로써, 상기 보리가루 반죽의 과포함된 수분을 전부 제거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수분의 함량이 높아 반죽의 점성이 떨어지고, 숙성에 의한 반죽의 점성 및 탄력 상승 효과를 낼 수가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숙성 단계는 보리가루 반죽으로 삼지닥 나무의 표면을 감싸며, 상기 보리가루 반죽의 표면은 종이로 감싼 이후 숙성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종이는 상기 압착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함이며, 삼지닥 나무는 제2 숙성 공정 과정에서 보리가루 반죽 내에 삼지닥 나무의 유효 성분이 흡수되어, 반죽의 점성 및 탄력 상승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함이다.
삼지닥나무(Edgeworthia chrysantha Lindl)는 높이는 1 내지 2m이고, 가지는 굵으며 황색을 띤 갈색이고 보통 3개로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8 내지 15cm의 넓은 바소꼴 또는 바소꼴이며 막질(膜質)이고 양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양면에 털이 있고, 앞면은 밝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한편 꽃은 3 내지 4월에 잎보다 먼저 노란 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둥글게 모 여서 달리며 꽃자루가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길이가 12 내지 14mm 이며 겉에 흰색 잔털이 있고 끝이 4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타원 모양이고 안쪽이 노란 색이며, 8개의 수술이 통부에 2줄로 달리고, 암술은 1개이다.
한편, 상기 제2 숙성단계는 10 내지 25℃에서, 18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되는데 이는 점성을 최대한 높여 입자간의 결합을 높이기 위함이다.
면대란, 막대기 형태 등의 면 모양을 갖춘 것을 말하며, 면대 제조 단계는 반죽을 면의 형태로 제조 또는 성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면대 제조단계는 2번 이상에 걸쳐 진행해야 하는데, 보리가루 면의 경우 탄력과 점성이 낮기 때문에 1번의 면대 제조단계에 의하는 경우 면대로 성형 하기 어렵고, 반죽에 잔존하는 공기에 의하여 면의 탄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면대 제조단계는 숙성된 보리가루 반죽을 25 내지 45 ℃로 가열하면서 압연함으로서 제1 면대를 형성하게 한다. 온도를 25 내지 45 ℃로 유지해야 높은 점성이 유지되면서 압연에 의한 면대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온도가 25 ℃ 미만인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높아 압연 과정에서 면이 갈라지거 나 굵기가 일정하게 만들어지지 않을 수 있고, 45 ℃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지고, 공기가 유입될 수 있어 면의 탄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제1 면대를 제조한 이후, 다시 뭉쳐 반죽 형태로 제조 후, 압연하여 제2 면대를 제조하는 제2 면대를 제조한다.
상기 제2 면대 제조단계는 상기 제1 면대 제조단계 보다 높은 온도인 60 내지 70 ℃로 제1 면대를 가열하면서 압연과정을 통하여 제2 면대를 형성하 게 하는데, 이 두 번의 압연과정을 통하여 면의 굵기가 일정하고 표면에 갈라짐이 없는 면을 만들 수 있다. 온도가 60 ℃ 미만인 경우 반죽 내의 공기 제거 및 보리 입자 간의 결합력 상승 효과가 미비한 문제가 있고, 반대로 온도가 70 ℃를 초과하는 경우 면 자체의 점성과 탄력이 급격히 낮아지는 문제가 생긴다.
상기 제3 숙성단계는 제2 면대의 최종 형상 안에서 각 입자의 결합력을 높이고, 제2 면대 제조과정에서 높였었던 온도를 급격히 낮추면서 면대에 포 함된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면의 점성과 탄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 침지 단계에 의하는 경우 면대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식감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면대 표면의 수분이 제거되면서 면의 탄력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제4 숙성단계는 상기 에탄올 침지 단계에 의해 표면이 고르게 되고, 표면의 수분이 제거된 상태에서 그 면대 내부의 보리입자 간에 점성을 한층 더 높여 보리가루 면의 낮은 점성의 한번 더 높여줌으로써 실질적으로 쫄깃한 면발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에탄올은 미역, 질경이 및 칡을 침지한 뒤 그 여액을 분리한 것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에탄올은 50 내지 99중량% 에탄올 100 중량부에 대 하여 상기 미역 100 내지 200 중량부, 질경이 30 내지 80 중량부 및 칡 100 내지 200 중량부를 침지한 뒤 10 내지 30 시간 뒤에 그 여액을 분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여액을 사용하는 경우 보리가루 면의 탄력이 훨씬 높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표면의 부드러운 느낌과 면대 내부의 탄력으로 상당히 우수한 식감을 낼 수 있다.
상기 에탄올 침지 단계 이후, 제2 면대의 표면을 식물성 오일을 이용하여 도포 후, 제4 숙성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홍화씨유, 코코넛 오일, 로즈힙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홍화씨유, 코코넛 오일 및 로즈힙 오일을 1:1:1 내지 1:1:0.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혼합 오일을 제2 면대의 표면에 도포한 이후, 제4 숙성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을 제2 면대의 표면에 도포하는 경우, 면의 표면이 외부 공기층과 단절되어 면의 탄력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식물성 오일이 면의 내부에 스며들어, 보리 가루 입자간의 결합력을 높여 면의 식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베타글루칸 등의 천연 추출물의 혼합에 따른 향미를 억제시켜, 기호성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은 항당뇨 효과가 우수한 곡물을 다수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효소나 합성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고, 우수한 식감 및 향미를 제공하여, 기호성 높은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혈당 조절 효과가 우수하고,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혈중 지방 감소 효과가 우수한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군의 체중 변화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군의 혈당 변화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군의 경구 당부하 검사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군의 IFN-γ 농도 변화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군의 AST 및 ALT 변화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군의 Triglyceride 및 cholesterol 변화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천연 추출물의 제조]
1. 베타글루칸(GC)
효모 추출 β-glucan은 Transfer point (Little Mountain, SC, USA)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 이질풀 추출물(AE)의 제조
이질풀을 건조한 이후, 건조된 이질풀을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시료 1000g에 10배 분량의 3차 증류수를 넣고 환류하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고 원심분리하여 여과(Whatman paper No. 4)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이질풀 열수 추출물의 회수율은 각각 30%였다.
3. 천연 추출물의 제조
벽오동(TE) 및 우내자(UE)를 상기 이질풀 추출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열수 추출물로 제조하였다.
4. 조반죽용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베타글루칸(GC), 이질풀 추출물(AE), 벽오동 추출물(TE), 및 우내자 추출물(UE)을 하기 표 1과 같은 방식으로 물과 희석시켜 조반죽용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JX1 JX2 JX3 JX4 JX5 JX6 JX7
GC 2.5 5 1 2.5 3 5 10
AE - - 1 0.5 1 2 5
TE - - 1 0.5 1 2 5
UE - - 1 0.5 1 2 5
(단위 중량%, 나머지는 모두 물이다.)
[제조예 2: 보리면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보리를 포함하는 보리면류의 제조방법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보리면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단계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보리를 포함하는 보리면류의 제조방법의 순서에 따라 진행하였다.
공정
TI1 S1: 건조된 보리(수분함량 13중량% 이하)를 분쇄하여 보리 가루를 제조.
S2: 제1 보리가루(1000 내지 2000 mesh), 제2 보리가루(300 내지 800 mesh) 및 제3 보리가루(100 내지 300 mesh)로 분류.
S3: 제1 보리가루+ JX1의 조반죽용 천연 추출물, 50 내지 90 ℃, 1500 내지 5500 RPM 교반(제1 조반죽)
S4: 제1 조반죽 + 제2 보리가루, 30 내지 50 ℃, 1000 내지 3500 RPM 교반(제2 조반죽)
S5: 제2 조반죽 + 제3 보리가루, 15 내지 40 ℃, 300 내지 1000 RPM 교반(제3 조반죽)
<S3 ~ S5에서 제1 보리가루:제2 보리가루:제3 보리가루 = 100:20:3>
S6: 제3 조반죽 압착, 15 내지 25 ℃, 10 내지 30 시간 숙성
S7: 숙성된 제3 조반죽+정제염, 50~80℃, 800 내지 2000 RPM 교반(보리가루 반죽)
S8: 보리가루 반죽을 종이로 감싼 뒤 압착, 10 내지 25 ℃, 18 내지 72 시간 숙성
S9: 25 내지 45 ℃ 압연(제1면대 제조)
S10: 60 내지 70 ℃ 압연(제2면대 제조)
S11: 제2 면대를 5 내지 10 ℃, 10 내지 80 시간 숙성
S12: 제2 면대 50 내지 99중량% 에탄올에 침지
S13: 제2 면대 5 내지 10 ℃, 18 내지 72 시간 숙성
TI2 S3 단계에서 JX1 대신 JX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보리면을 제조하였다.
TI3 S3 단계에서 JX1 대신 JX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보리면을 제조하였다.
TI4 S3 단계에서 JX1 대신 JX4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보리면을 제조하였다.
TI5 S3 단계에서 JX1 대신 JX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보리면을 제조하였다.
TI6 S3 단계에서 JX1 대신 JX6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보리면을 제조하였다.
TI7 S3 단계에서 JX1 대신 JX7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보리면을 제조하였다.
TI8 S12 단계 이후, 홍화씨유, 코코넛 오일 및 로즈힙 오일을 1:1:1의 비율로 혼합한 식물성 오일을 도포한 이후, S13 단계를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 TI6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TI9 S12 단계 이후, 홍화씨유, 코코넛 오일 및 로즈힙 오일을 1:1:0.5의 비율로 혼합한 식물성 오일을 도포한 이후, S13 단계를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 TI6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TI10 S12 단계 이후, 홍화씨유를 도포한 이후, S13 단계를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 TI6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TI11 S12 단계 이후, 코코넛 오일을 도포한 이후, S13 단계를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 TI6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TI12 S12 단계 이후, 로즈힙 오일을 도포한 이후, S13 단계를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 TI6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TI13 S2: 제1 보리가루(1000 내지 2000 mesh)로 분류하고, S3 내지 S5 과정을 생략하고, S6에서 제1 조반죽을 압착 및 숙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TI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TI14 S3 내지 S5 과정을 생략하고, 제1 보리가루:제2 보리가루:제3 보리가루 = 100:20:3를 혼합한 뒤 물을 섞어 50 ~ 90 ℃, 1500 ~ 5500 RPM 교반하여 반죽을 생성하고 S6에서 상기 반죽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TI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TI15 S6 단계를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 TI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TI16 S7 단계를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 TI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TI17 S8 단계를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 TI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TI18 S10 단계를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 TI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TI19 S12 단계를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 TI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항 당뇨 효과 실험]
1. 동물, 식이 준비 및 당뇨 유발
실험동물은 ICR계 6주령 웅성 흰쥐 48마리를 샘타코(주)에서 구입하여 동의대학교 실험동물센터에서 stainless steel cage에 2마리씩 1주일 동안 고형 배합사료와 물로 적응시킨 후 평균 체중 30g인 내외인 것을 난괴법에 따라 각 실험군당 8마리씩 5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처음 4주동안은 고지방/고탄수화물식을 위해 45% kcal%fat이 포함된 식이를 공급하였다. 식이는 중앙동물실험(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표 3과 같이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보리면대조군, β-glucan 대조군(5%), 보리면+β-glucan 2.5, 5%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식이 조성은 AIN-93을 기준(Reeves et al., J Nutr, 1993)으로 조제하였고, β-glucan 첨가량은 식이 무게의 2.5, 5%로 첨가하였다.
실험군 식이 조성
음성대조군 정상 동물 + 보통 식이
양성대조군 당뇨 동물 + 보통 식이
보리면 대조군 당뇨 동물 + 보리면 식이
β-glucan 5% 대조군 당뇨 동물 + β-glucan 5% 포함 식이
보리면+ β-glucan 2.5% 실험군(TI1) 당뇨 동물 + TI1 식이
보리면+ β-glucan 5% 실험군(TI2) 당뇨 동물 + TI2 식이
당뇨유발은 Koji H.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Koji H et al., Biol. Pharm. Bull. 2006). 즉, 20시간 절식시킨 동물에 1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streptozotocin (dissolved in 50 mM citrate buffer(pH 4.5), STZ, Sigma, St. Louis, MO, USA)을 복강에 주사하여 실험적으로 당뇨를 유발하였다. 당뇨 유발의 확인은 STZ 주사 24시간 후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량이 300 mg/dL 이상이면 당뇨 유발로 간주하였다. 사육실 환경온도는 18±2℃, 조명은 12시간 주기(08:00~20:00)로 조절하였으며, 물과 식이는 제한 없이 공급하였다.
2. 실험 방법
혈액 및 장기 적출
실험동물은 사양시험 종료 후 12시간 절식시킨 후 이산화탄소로 가볍게 마취한 다음 개복하여 혈액을 채취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시켜 혈청을 분리하여 분석 항목 측정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간을 적출하여 인산완충용액(phosphate buffer saline, PBS)로 세척한 다음 수분을 제거하고 조직학적 분석을 위해 10% formalin에 고정하였다.
경구 당부하 검사(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실험종료 1일 전에 12시간 이상 절식시킨 후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공복시 혈당을 측정한 후 glucose (1 g/kg BW) 용액을 강제식이시키고 60분, 120분에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 측정기(Accu-check, Roche Diagnostics, Manheim, Germany)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혈액내 interferon-γ 측정
보리면과 β-glucan의 면역조절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혈액 내 인터페론의 농도를 ELISA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ouse IFN-γ ELISA kit은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혈액 내 간기능 & 지질 수치 측정
간기능 지표를 분석하기 위하여 혈액 내 AST, ALT, triglyceride와 total cholesterol을 Mindray BS120 제품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실험 결과
체중 변화
도 2에 따르면, 고지방/고탄수화물식이를 진행한 4주 동안은 동물의 체중이 평균 38g 전후로 늘어났으나 당뇨 유발후 2주 동안 체중이 급격하게 줄어 당뇨유발 2주차에는 음성대조군이 36g을 유지한 반면 양성대조군은 평균 18.3g, 보리면대조군은 21g, β-glucan 대조군은 18.8g, 보리면+β-glucan 2.5% 군(TI1)은 23.8, 보리면+β-glucan 5% 군(TI2)은 24.8g의 몸무게를 보였다.
이 결과로 미루어보아 체중감소는 양성대조군, β-glucan 대조군, 보리면대조군, 보리면+β-glucan 2.5%군(TI1), 보리면+β-glucan 5%군(TI2), 음성대조군 순서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그리고, β-glucan 대조군과 보리면+β-glucan 군과의 비교시 β-glucan의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β-glucan만 식이시킨 동물보다 보리면과 같이 β-glucan을 식이시킨 경우 체중의 변화가 크지 않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보리면과 β-glucan을 같이 식이한 동물은 당뇨에 의한 체중감소가 β-glucan만을 식이한 군보다 적어 건강보호 효과가 더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혈당 변화
20시간 절식시킨 동물에 streptozotocin을 복강투여한 결과 혈당수치는 도 3에서와 같이 모든 실험군에서 300 mg/dl 이상을 보여 당뇨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식이를 2주동안 투여하면서 혈당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양성대조군과 β-glucan대조군은 각각 428, 414 mg/dl를 보여 혈당조절에 큰 효과를 보이지 못한 반면 보리면대조군은 313 mg/dl를 보여 보리자체의 혈당조절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보리면과 β-glucan 2.5%군(TI1)에서는 284 mg/dl, β-glucan 5%군(TI2)에서는 296 mg/dl를 보여 β-glucan의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보리면과 β-glucan을 동시에 식이할 경우 혈당조절효과가 더 강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경구 당부하 검사 결과
12시간 이상 절식시킨 후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공복시 혈당을 측정한 후 glucose (1 g/kg BW) 용액을 강제식이시키고 60분, 120분에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을 분석한 결과 도 4와 같았다. 양성대조군과 β-glucan대조군은 1시간, 2시간의 혈당수치가 각각 573, 563 mg/dl과 553, 561 mg/dl로 나타나 혈당조절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보리면대조군은 431, 372 mg/dl로 혈당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특히 보리면+β-glucan 2.5%군(TI1)은 424, 339 mg/dl, β-glucan 5%군(TI2)은 434, 351 mg/dl의 혈당수치를 보여 β-glucan의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보리면과 β-glucan을 동시에 식이하였을 경우 혈당조절능이 더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IFN-γ 농도
도 5에 따르면, Streptozotocin에 의해 당뇨가 유발된 양성대조군에서 음성대조군의 동물보다 적은 양의 IFN-γ가 생산되었으나 보리 대조군과 β-glucan 대조군에서는 정상과 유사하거나 조금 더 많은 양의 사이토카인이 생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보리면과 β-glucan을 동시에 식이한 경우에는 보리와 β-glucan을 단독 식이하였을 때보다 훨씬 더 강하게 IFN-γ를 생산하였고, 이는 β-glucan의 농도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 기능 분석 결과
도 6에 따르면, 간기능 분석 결과 당뇨유발군에서는 AST와 ALT의 수치가 높게 나타났고 보리대조군에서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β-glucan을 처리한 군에서 AST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간기능 개선 효과는 보이지 않았으나 ALT는 유의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보리와 β-glucan을 동시에 식이한 군에서는 유의한 수준의 AST와 ALT 수치의 개선이 나타났고, β-glucan의 농도에 따라 비례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혈중 지방 분석 결과
도 7의 총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을 분석한 결과 당뇨 유발에 의해 triglyceride와 cholesterol 모두 증가하였고, 보리의 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β-glucan 단독 식이군에서도 triglyceride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cholesterol은 그렇지 않았다. 특히, 보리와 β-glucan을 같이 식이한 군에서는 β-glucan만을 처리한 군보다 훨씬 더 강한 지질 강하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농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 통계
모든 실험결과는 SPSS/PC+ package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비교하여 Duncan 다중범위 분석에 의해 각 실험 군 간의 유의성을 p<0.0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실험예 2: 조반죽용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류의 항 당뇨 효과 실험]
조반죽용 천연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당뇨 효과를 미리 확인한 TI2 보리면과 비교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비교 시험 결과를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지수를 이용하였다. 즉, TI2 보리면의 혈당 지수 측정 결과 및 혈중 지방 분석 결과를 지수 5로 고정하고, 상기 혼합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결과를 이와 비교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항당뇨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TI2 TI3 TI4 TI5 TI6 TI7
혈당 지수 5 3 5 5 8 5
혈중 지방 5 2 4 6 8 5
(단위 지수)
상기 표 4에 따르면, TI2에 비해, TI4 내지 TI6에서 동등 또는 우수한 혈당 지수 및 혈중 지방 감소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조반죽용 천연 추출물의 제조 시, 베타글루칸만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이질풀 추출물, 벽오동 추출물 및 우내자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각 추출물의 혼합 사용에 따른 상호작용에 의해 항당뇨 효과가 더욱 상승한다고 할 것이다.
[실험예 3: 제조방법의 차이에 따른 보리면의 적합 시험]
실험번호 TI1, TI13 내지 19와 같이 제조된 면류의 적합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면류 적합테스트는 면대 형성, 표면, 면의 강도를 유관으로 평가하여 면이 완성된 것인지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평가 비고
TI1 적합 면대 형성, 면의 굵기 일정, 표면 갈라짐 거의 없음, 강도 보통
TI13 부적합 면대 형성 불가
TI14 부적합 면대 형성 불가
TI15 다소 부적합 면대 형성, 면의 굵기 불규칙, 표면 갈라짐 많음, 강도 낮음
TI16 부적합 끊어진 면대 형성, 면의 굵기 불규칙, 표면 갈라짐 많음, 강도 매우 낮음
TI17 부적합 끊어진 면대 형성, 면의 굵기 불규칙, 표면 갈라짐 많음, 강도 매우 낮음
TI18 부적합 끊어진 면대 형성, 면의 굵기 불규칙, 표면 갈라짐 많음, 강도 매우 낮음
TI19 다소 부적합 면대 형성, 면의 굵기 불규칙, 표면 갈라짐 많음, 강도 매우 낮음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경우 면대 자체가 형성되지 않거나 끊어진 면대가 만들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보리 자체가 가지는 점성이 상당히 낮아 본 발명에서 따른 보리를 포함하는 보리면류의 제조방법에 의하지 않는 경우 면대 자체가 형성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관능성 평가]
TI 2 내지 12의 보리면을 삶아 식용이 가능한 상태로 제조하였다. 기호성 평가를 위하여 무작위로 선정한 30인이 삶은 보리면에 대한 향미, 식감 및 기호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1 내지 10의 범위로 정해진 지수로 요청하였으며, 평균 값을 산정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점수가 높을수록 기호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향미 식감 기호성
TI2 4.4 4.4 4.3
TI3 4.4 4.6 4.5
TI4 7.2 7.4 7.3
TI5 7.1 7.4 7.4
TI6 7.5 7.3 7.4
TI7 5.2 5.1 5.2
TI8 9.1 8.9 8.9
TI9 9.4 9.3 9.2
TI10 6.8 7.2 7.0
TI11 7.0 7.3 7.1
TI12 6.8 7.1 7.2
상기 표 6에 따르면, TI4 내지 TI6 및 TI8 내지 TI12에서 전반적으로 향미, 식감 및 기호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TI8 및 TI9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리를 포함하는 보리면류의 제조방법에 의하는 경우 밀가루 기타 다른 곡물을 혼합하거나 기타 효소 또는 합성첨가제를 혼합하지 않고, 거의 보리만을 사용하여 탄력 있는 면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기호성을 가지는 보리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보리 가루 및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보리면으로,
    상기 보리면은 1000 내지 2000메쉬로 분쇄된 제1 보리가루, 300 내지 800 메쉬로 분쇄된 제2 보리가루, 100 내지 300 메쉬로 분쇄된 제3 보리가루 및 조반죽용 천연 추출물을 혼합한 조반죽을 숙성하고, 이를 압연한 것이며,
    상기 조반죽용 천연 추출물은 베타글루칸 5 중량%, 이질풀 추출물 2중량%, 벽오동 추출물 2중량% 및 우내자 추출물 2중량% 및 나머지 물을 포함하는
    혈당 조절 효과가 우수한
    항당뇨용 보리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13860A 2018-02-05 2018-02-05 항당뇨용 보리면 KR102175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860A KR102175035B1 (ko) 2018-02-05 2018-02-05 항당뇨용 보리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860A KR102175035B1 (ko) 2018-02-05 2018-02-05 항당뇨용 보리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572A KR20190094572A (ko) 2019-08-14
KR102175035B1 true KR102175035B1 (ko) 2020-11-05

Family

ID=6762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860A KR102175035B1 (ko) 2018-02-05 2018-02-05 항당뇨용 보리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551A (ko) 2019-08-02 2021-0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4891A (ja) * 2003-09-30 2005-04-21 Ichimaru Pharcos Co Ltd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
JP2009013146A (ja) * 2007-07-02 2009-01-22 Takehito Kono 糖尿病治療組成物
JP2009263655A (ja) * 2008-03-31 2009-11-12 Adeka Corp βグルカン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377A (ko) * 2002-04-03 2003-10-10 김고정 노루궁뎅이버섯을 함유한 곡물가루
KR101301668B1 (ko) * 2011-04-28 2013-08-29 송명의 흰찰쌀보리를 이용한 기능성 냉면
KR101331199B1 (ko) 2012-05-22 2013-11-20 재단법인 전주생물소재연구소 항당뇨 활성이 우수한 식재를 이용한 비빔밥의 제조방법
KR20160119920A (ko) 2015-04-06 2016-10-17 전라남도(농업기술원장) 동부 및 돼지감자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및 항당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4891A (ja) * 2003-09-30 2005-04-21 Ichimaru Pharcos Co Ltd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
JP2009013146A (ja) * 2007-07-02 2009-01-22 Takehito Kono 糖尿病治療組成物
JP2009263655A (ja) * 2008-03-31 2009-11-12 Adeka Corp βグルカン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ma Patel. et al, `Plant genus Elaeagnus: underutilized lycopene and linoleic acid reserve with permaculture potential', Fruits journal, 2015, Vol.70, No.4, 191-19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572A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3504B2 (ja) 発毛促進、脱毛緩和及び改善、血糖調節、胃腸障害の症状緩和及び改善用健康補助食品
KR100649128B1 (ko) 매실을 주재료로 한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49628B1 (ko) 유자분말 포함 강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강정
KR100591539B1 (ko)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KR101859899B1 (ko) 보리 및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75035B1 (ko) 항당뇨용 보리면
Calle et al. Aroids as underexplored tubers with potential health benefits
KR100923043B1 (ko) 한방생약 혈압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503208B1 (ko)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KR20170133934A (ko) 아로니아가 함유된 기능성 누룽지 가공식품의 제조 방법
CN102987402B (zh) 一种均衡营养的高原天然植物食品及其制备方法
KR102115012B1 (ko) 보리를 포함하는 당뇨 환자의 식이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68116A (ko) 까마중과 며느리배꼽을 함유한 술의 제조방법
KR20090075343A (ko) 항당뇨 한방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92715B1 (ko) 의이인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927435B1 (ko) 당뇨병 개선 및 완화용 환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974285B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01773248A (zh) 以桑籽粉为有效成分的调节血糖保健食品
KR100912589B1 (ko) 매실-솔잎 혼합조성물 및 매실-송순 혼합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811210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 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05272456A (ja) 血糖値降下剤又は便通改善剤
KR102475113B1 (ko) 혈당 강하 효능이 우수한 인공미와 면류 조성물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인공미 및 면류
KR102316029B1 (ko) 점도가 낮은 결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
CN110269186A (zh) 香蒿保健锅巴
CN104137999B (zh) 一种瘦身减肥的食疗组合物和辅料制得的保健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