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551A -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551A
KR20210015551A KR1020190094572A KR20190094572A KR20210015551A KR 20210015551 A KR20210015551 A KR 20210015551A KR 1020190094572 A KR1020190094572 A KR 1020190094572A KR 20190094572 A KR20190094572 A KR 20190094572A KR 20210015551 A KR20210015551 A KR 20210015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eat sink
battery pack
pack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은아
서성원
유재민
문정오
이윤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94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5551A/ko
Priority to US17/623,711 priority patent/US20220247010A1/en
Priority to EP20850728.5A priority patent/EP3989337A4/en
Priority to JP2022502154A priority patent/JP7334326B2/ja
Priority to PCT/KR2020/010216 priority patent/WO2021025410A1/ko
Priority to CN202080048394.1A priority patent/CN114128018A/zh
Publication of KR20210015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01M10/6568Liquids characterised by flow circuits, e.g. loops, located externally to the cells or cell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91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Cleaning battery or cell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며,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 유로가 마련된 히트 싱크 유닛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크러쉬 빔, 크러쉬 빔과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을 지지하는 팩 트레이 및 팩 트레이에 구비되며, 냉각수 등의 유출 시 냉각수를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복수 개의 드레인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제품 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 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5V이다.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배터리 팩에 요구되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먼저 구성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배터리 팩이나 배터리 랙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은 다양한 전압과 용량 요구 조건 등에 따라, 이러한 배터리 랙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전력 저장 장치를 구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배터리 팩의 경우, 최근 들어, 대용량의 배터리 팩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밀도를 높이면서 보다 더 슬림하고 컴팩트한 사이즈를 갖는 배터리 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대용량의 배터리 팩의 경우, 냉각 성능 또한 중요하기에, 높은 냉각 효율을 갖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냉각 효율 및 에너지 밀도를 모두 높일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 효율 및 에너지 밀도를 모두 높일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각수 유출 시 배터리 모듈 내부로의 냉각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 팩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며,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 유로가 마련된 히트 싱크 유닛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러쉬 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러쉬 빔과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을 지지하는 팩 트레이; 및 상기 팩 트레이에 구비되며, 상기 냉각수 등의 유출 시 상기 냉각수를 상기 배터리 팩의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복수 개의 드레인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홀은, 각각의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러쉬 빔 사이 공간의 저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러쉬 빔 사이 공간에는, 각각의 배터리 모듈의 상측에 마련되는 히트 싱크 유닛의 냉각수 유출 시, 상기 냉각수를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홀 측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하측을 지지하며, 내부에 상기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 유로가 마련된 하부 히트 싱크; 및 상기 하부 히트 싱크와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상측을 지지하며, 내부에 상기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 유로가 마련된 상부 히트 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은,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상기 하부 히트 싱크와 상기 상부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상기 히트 싱크 유닛; 및 상기 하부 히트 싱크와 상기 상부 히트 싱크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러쉬 빔을 마주 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홀과 마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 가이드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 가이드 슬릿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 가이드 슬릿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가이드 슬릿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가이드 슬릿은,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홀의 개수와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자동차로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냉각 효율 및 에너지 밀도를 모두 높일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냉각수 유출 시 배터리 모듈 내부로의 냉각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터리 팩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배터리 팩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배터리 팩의 냉각수 유출 시 유출된 냉각수의 배터리 모듈 내부 유입을 방지하는 드레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배터리 팩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배터리 팩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배터리 팩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배터리 팩의 냉각수 유출 시 유출된 냉각수의 배터리 모듈 내부 유입을 방지하는 드레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터리 팩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배터리 팩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팩(10)은, 배터리 모듈(100), 크러쉬 빔(200), 팩 트레이(300), 드레인 홀(400) 및 가이드 유로(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10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00)은, 각각, 배터리 셀(110), 히트 싱크 유닛(130, 140) 및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10)은, 이차 전지로서, 파우치형 이차 전지, 각형 이차 전지 또는 원통형 이차 전지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 셀(110)이 파우치형 이차 전지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상기 배터리 셀(110)은,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 셀(11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히트 싱크 유닛(130, 140)은,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10)을 냉각시키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10)의 상측 및 하측을 커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트 싱크 유닛(130, 140)은,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10)의 상측 및 하측을 별도의 추가 부재 없이 각각 직접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히트 싱크 유닛(130, 140)이 상기 배터리 셀들(110)의 상하측을 별도의 매개 부재 없이 직접 커버하기에, 배터리 모듈(100)의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배터리 모듈(100)의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히트 싱크 유닛(130, 140)이 상기 배터리 셀들(110)의 상하측에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 셀들(110)의 상하측을 각각 직접적으로 커버하기에, 상기 배터리 셀들(110)의 냉각 효율 또한 현저히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히트 싱크 유닛(130, 140)은, 상부 히트 싱크(130) 및 하부 히트 싱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트 싱크(130)는, 상기 하부 히트 싱크(140)와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10)의 상측을 직접적으로 커버하면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상부 히트 싱크(130)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 셀들(110)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 유로(13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히트 싱크(140)는, 상기 적어도 하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110)의 하측을 직접적으로 커버하면서 지지하며, 후술하는 팩 트레이(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하부 히트 싱크(140)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 셀들(110)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 유로(14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50)는, 상기 상부 히트 싱크(130)와 상기 하부 히트 싱크(14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히트 싱크(130) 및 상기 하부 히트 싱크(140)와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셀들(110)을 패키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50)의 적어도 하나는 후술하는 크러쉬 빔(200)과 마주 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크러쉬 빔(200)과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크러쉬 빔(200)은,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00) 사이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00)의 사이드 플레이트(150)를 마주 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크러쉬 빔(200)은,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크러쉬 빔(200)의 상기 배터리 팩(10)의 외부에서 충격 등이 발생할 때, 상기 배터리 모듈(100) 측으로의 충격 전달을 방지하거나 또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상기 팩 트레이(300)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0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러쉬 빔(2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팩 트레이(300)는, 후술하는 자동차(1)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홀(400)은, 상기 팩 트레이(300)에 구비되며, 상기 히트 싱크 유닛(130, 140)으로부터 냉각수 등의 유출 시, 상기 냉각수를 상기 배터리 팩(10)의 외부로 내보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드레인 홀(40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홀(400)은, 각각의 배터리 모듈(10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러쉬 빔(200) 사의 공간의 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로(500)는, 각각의 배터리 모듈(10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러쉬 빔(200)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 유로(500)는, 각각의 배터리 모듈(100)의 상측에 마련되는 히트 싱크 유닛(130), 즉, 상기 상부 히트 싱크(130)의 냉각수 유출 시, 상기 냉각수를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홀(400)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팩(10)의 냉각수 유출 시 유출된 냉각수의 배터리 모듈(100) 내부의 배터리 셀들(110) 측으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드레인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도 5는 도 1의 배터리 팩의 냉각수 유출 시 유출된 냉각수의 배터리 모듈 내부 유입을 방지하는 드레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팩(10)에서, 외부 충격 등이 발생 시, 구체적으로, 상기 크러쉬 빔(200)이 커버하지 못하는 부분에서 상기 외부 충격 등이 발생했을 때, 특히, 상기 히트 싱크 유닛(130, 140)의 상기 상부 히트 싱크(130)가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 히트 싱크(130)의 파손 시, 상기 상부 히트 싱크(130) 내의 냉각 유로(135) 내의 냉각수가 상기 상부 히트 싱크(130) 밖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출된 냉각수가 상기 배터리 모듈(100) 내부의 상기 배터리 셀들(110)로 유입될 경우, 해당 배터리 모듈(100)을 포함한 전체 배터리 팩(10)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유출된 냉각수를 상기 배터리 팩(10)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상부 히트 싱크(130)의 상기 냉각 유로(135) 내의 냉각수가 상기 상부 히트 싱크(130) 밖으로 유출되면, 상기 가이드 유로(500)를 통해, 상기 냉각수를 신속히 상기 드레인 홀(400) 측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배터리 팩(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유로(500) 및 상기 드레인 홀(400)을 통해, 상기 히트 싱크 유닛(130, 140)의 냉각수가 유출되더라도, 유출된 냉각수를 신속히 배터리 팩(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상기 냉각수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상기 배터리 모듈(100)이나 또는 전체 배터리 팩(1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배터리 팩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배터리 팩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6의 배터리 팩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20)은, 앞선 실시예의 상기 배터리 모듈(10)과 유사하므로, 이하,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앞선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모듈(20)은, 배터리 모듈(105), 크러쉬 빔(200), 팩 트레이(300), 드레인 홀(400) 및 가이드 유로(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105)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05)은, 각각, 복수 개의 배터리 셀(110), 히트 싱크 유닛(130, 140) 및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110) 및 상기 히트 싱트 유닛(130, 140)은,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60)에는, 드레인 가이드 슬릿(1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가이드 슬릿(165)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6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드레인 가이드 슬릿(165)은,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레인 가이드 슬릿(165)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가이드 슬릿(165)은, 후술하는 복수 개의 드레인 홀(400)과 마주 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복수 개의 드레인 홀(400)의 개수와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크러쉬 빔(200) 및 상기 팩 트레이(300)는,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드레인 홀(400)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팩 트레이(3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홀(400)은,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가이드 슬릿(165)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가이드 슬릿(165)의 개수와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로(500)는,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팩(20)의 냉각수 유출 시 유출된 냉각수의 배터리 모듈(105) 내부의 배터리 셀들(110) 측으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드레인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도 10은 도 6의 배터리 팩의 냉각수 유출 시 유출된 냉각수의 배터리 모듈 내부 유입을 방지하는 드레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팩(20)에서, 상기 상부 히트 싱크(130)의 파손 시, 앞선 실시예와 같이, 상기 상부 히트 싱크(130) 내의 냉각 유로(135) 내의 냉각수가 상기 상부 히트 싱크(130) 밖으로 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상부 히트 싱크(130)의 상기 냉각 유로(135) 내의 냉각수가 상기 상부 히트 싱크(130) 밖으로 유출되면, 상기 가이드 유로(500) 뿐만 아니라 상기 드레인 가이드 슬릿들(165)을 통해서도 상기 냉각수를 상기 드레인 홀(400) 측으로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레인 가이드 슬릿들(165) 및 상기 가이드 유로(500)를 통해 상기 유출된 냉각수의 상기 배터리 팩(20) 외부로의 배출을 보다 더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자동차(1)는, 앞선 실시예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팩(10, 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자동차(1)는,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타 상기 배터리 팩(10, 20)을 연료원으로 구비하는 자동차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1)는, 앞선 실시예의 상기 배터리 팩(10, 20)을 포함하기에, 앞선 실시예의 상기 배터리 팩(10, 20)의 장점을 모두 포함하는 자동차(1)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10, 20)은 상기 자동차(1) 이외에도 상기 배터리 팩(10, 20)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전력 저장 장치나 기타 다른 장치나 기구 등에도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냉각 효율 및 에너지 밀도를 모두 높일 수 있는 배터리 팩(10, 20) 및 이러한 배터리 팩(10, 20)을 포함하는 자동차(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냉각수 유출 시 배터리 모듈(100, 105) 내부로의 냉각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10, 20) 및 이러한 배터리 팩(10, 20)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자동차
10: 배터리 팩
20: 배터리 팩
100: 배터리 모듈
105: 배터리 모듈
110: 배터리 셀
130: 히트 싱크 유닛
135: 냉각 유로
140: 히트 싱크 유닛
145: 냉각 유로
150: 사이드 플레이트
160: 사이드 플레이트
165: 드레인 가이드 슬릿
200: 크러쉬 빔
300: 팩 트레이
400: 드레인 홀
500: 가이드 유로

Claims (10)

  1. 배터리 팩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며,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 유로가 마련된 히트 싱크 유닛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러쉬 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러쉬 빔과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을 지지하는 팩 트레이; 및
    상기 팩 트레이에 구비되며, 상기 냉각수 등의 유출 시 상기 냉각수를 상기 배터리 팩의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복수 개의 드레인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홀은,
    각각의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러쉬 빔 사이 공간의 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러쉬 빔 사이 공간에는,
    각각의 배터리 모듈의 상측에 마련되는 히트 싱크 유닛의 냉각수 유출 시, 상기 냉각수를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홀 측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하측을 지지하며, 내부에 상기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 유로가 마련된 하부 히트 싱크; 및
    상기 하부 히트 싱크와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상측을 지지하며, 내부에 상기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 유로가 마련된 상부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은,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상기 하부 히트 싱크와 상기 상부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상기 히트 싱크 유닛; 및
    상기 하부 히트 싱크와 상기 상부 히트 싱크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러쉬 빔을 마주 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홀과 마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 가이드 슬릿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 가이드 슬릿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가이드 슬릿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가이드 슬릿은,
    상기 복수 개의 드레인 홀의 개수와 대응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190094572A 2019-08-02 2019-08-02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210015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572A KR20210015551A (ko) 2019-08-02 2019-08-02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7/623,711 US20220247010A1 (en) 2019-08-02 2020-08-03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EP20850728.5A EP3989337A4 (en) 2019-08-02 2020-08-03 BATTERY PACK AND VEHICLE WITH BATTERY PACK
JP2022502154A JP7334326B2 (ja) 2019-08-02 2020-08-03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PCT/KR2020/010216 WO2021025410A1 (ko) 2019-08-02 2020-08-03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202080048394.1A CN114128018A (zh) 2019-08-02 2020-08-03 电池组和包括电池组的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572A KR20210015551A (ko) 2019-08-02 2019-08-02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551A true KR20210015551A (ko) 2021-02-10

Family

ID=74503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572A KR20210015551A (ko) 2019-08-02 2019-08-02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47010A1 (ko)
EP (1) EP3989337A4 (ko)
JP (1) JP7334326B2 (ko)
KR (1) KR20210015551A (ko)
CN (1) CN114128018A (ko)
WO (1) WO202102541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2960A (zh) * 2022-07-25 2022-10-11 广州穗景客车制造有限公司 一种高压动力电池包
WO2023121278A1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포스코 열관리 가능한 배터리팩
WO2023149628A1 (ko) * 2022-02-07 2023-08-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의 조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46750A1 (en) * 2019-11-18 2021-05-20 Bollinger Motors Llc Electric automotive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8221B2 (ja) * 2007-08-27 2010-07-21 豊田合成株式会社 組電池装置
JP2010118497A (ja) * 2008-11-13 2010-05-27 Furukawa-Sky Aluminum Corp ルーバー付きフィンを備えた熱交換器
DE112010004703T5 (de) * 2009-12-07 2012-11-08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Schaufelbagger
CN103201895B (zh) * 2010-11-16 2015-09-0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的冷却构造
JP2013030275A (ja) * 2011-07-26 2013-02-07 Sumitomo Heavy Ind Ltd 蓄電装置、及び蓄電装置を搭載した作業機械
KR101589996B1 (ko) * 2013-06-07 2016-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상 냉매 유출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1649154B1 (ko) * 2014-02-24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유로를 가지는 배터리팩
WO2017033412A1 (ja) * 2015-08-27 2017-03-02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システムを備える電動車両
CN110337735B (zh) * 2017-02-15 2022-03-1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池组、电子设备、车辆、电动工具以及电力储存系统
KR102065099B1 (ko) * 2017-04-04 2020-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크래쉬 빔과 배수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KR102270234B1 (ko) * 2017-12-12 2021-06-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크로스 빔을 내장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175035B1 (ko) 2018-02-05 2020-11-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항당뇨용 보리면
CN111106280B (zh) * 2019-08-27 2021-05-2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278A1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포스코 열관리 가능한 배터리팩
WO2023149628A1 (ko) * 2022-02-07 2023-08-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의 조립 방법
CN115172960A (zh) * 2022-07-25 2022-10-11 广州穗景客车制造有限公司 一种高压动力电池包
CN115172960B (zh) * 2022-07-25 2023-07-25 广州穗景客车制造有限公司 一种高压动力电池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28018A (zh) 2022-03-01
WO2021025410A1 (ko) 2021-02-11
EP3989337A1 (en) 2022-04-27
EP3989337A4 (en) 2022-11-02
JP7334326B2 (ja) 2023-08-28
US20220247010A1 (en) 2022-08-04
JP2022541009A (ja)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0117B2 (ja) クラッシュビーム及び排水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パック
EP3675274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EP3291360B1 (en)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uch battery pack
KR102207881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204302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EP3361555B1 (en)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KR102112716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210015551A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256604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459180B1 (ko) 리튬 이차전지의 냉각방법 및 냉각시스템
US11196120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102184753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1456500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KR102061292B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JP7150034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該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KR102097086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210007244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067709B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210044099A (ko)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7379720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JP2023528523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KR20220101475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10015550A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13678308A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102449201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