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897B1 - 툴 매거진 장치 - Google Patents

툴 매거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897B1
KR102173897B1 KR1020140007615A KR20140007615A KR102173897B1 KR 102173897 B1 KR102173897 B1 KR 102173897B1 KR 1020140007615 A KR1020140007615 A KR 1020140007615A KR 20140007615 A KR20140007615 A KR 20140007615A KR 102173897 B1 KR102173897 B1 KR 102173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port
elastic member
storage plate
magazin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536A (ko
Inventor
차창섭
Original Assignee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897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1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 B23Q3/157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rotating or circulating storing means
    • B23Q3/15724Chain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26Storage devices; Drive mechanisms therefor
    • B23Q2003/15532Storage devices; Drive mechanisms therefor the storage device including tool pots, adapto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23Q2003/15541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 B23Q2003/155425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pivotable
    • B23Q2003/155432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pivotable about different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23Q2003/15541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 B23Q2003/155425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pivotable
    • B23Q2003/155435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pivotable and linearly movable
    • B23Q2003/155439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pivotable and linearly movable along the pivoting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툴 매거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공부가 형성되어 공구를 수납하는 복수의 공구 포트와, 상기 복수의 공구 포트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을 포함하는 툴 매거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은 상기 복수의 공구 포트를 각각 수납하는 몸체부와 상기 공구 포트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구 포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구 포트는 상기 탄성부재와 대향하는 일면에 상기 탄성부재가 계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툴 매거진 장치{APPARATUS FOR TOOL MAGAZIN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매거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기계의 공작물의 가공시 필요한 공구를 수납하는 툴 매거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툴 매거진 장치는 공작기계에 구비되며 공작물의 가공시 필요한 복수의 공구를 수납한다.
또한, 툴 매거진 장치는 체인 또는 벨트를 이용하여 수납된 공구를 이동시킨다. 즉, 복수의 공구가 체인 또는 벨트를 따라 이동되며 공구 이송장치에 의해 선택되어 공작기계의 스핀들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툴 매거진 장치는 공구를 수납하는 공구 포트와 공구 포트를 지지하는 포트 수납 모듈을 포함한다.
하지만, 툴 매거진 장치의 포트 수납 모듈은 툴 매거진 장치 내에서의 공구 이동시 공구 포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여 공구 포트가 이탈되어 작업자가 다치거나 공구 포트가 낙하되어 공구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공구 포트로부터 공구를 탈거할 때, 툴 매거진 장치는 공구를 파지시키는 별도의 언클램핑 치구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구를 수납하는 공구 포트를 효과적을 지지할 수 있는 포트 지지 모듈을 포함한 툴 매거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부가 형성되어 공구를 수납하는 복수의 공구 포트와 상기 복수의 공구 포트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을 포함하는 툴 매거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은 상기 복수의 공구 포트를 각각 수납하는 몸체부와, 상기 공구 포트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구 포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구 포트는 상기 탄성부재와 대향하는 일면에 상기 탄성부재가 계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일측이 개구되며 상기 복수의 공구 포트를 각각 지지하는 제1 수납부가 형성된 제1 수납 플레이트와, 일측이 개구되며 상기 복수의 공구 포트를 각각 지지하는 제2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납 플레이트의 일면과 서로 대향 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 수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납 모듈은 상기 제1 수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수납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과 이격되며 상기 제1 수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수납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에 상기 탄성부재가 계합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공구 포트가 상기 제1 수납부 및 상기 제2 수납부로 가압되도록 편심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구는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생크부와, 상기 생크부와 이격되며 공작물을 가공하는 가공부, 그리고 상기 생크부와 상기 가공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공구 포트의 개방된 일단부와 접촉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구 포트는 일단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함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툴 매거진 장치는 상기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을 서로 연결하여 폐루프를 형성하는 연결 링크와,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연결 링크를 회전시키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의해 회전된 상기 연결 링크의 이동을 지지하는 종동휠과, 상기 스프로킷과 상기 종동휠를 지지하는 바디 프레임과, 상기 바디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직선 가이드, 그리고 상기 바디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로킷또는 상기 종동휠에 의한 상기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의 곡선 이동을 안내하는 곡선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툴 매거진 장치의 포트 지지 모듈은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있어 공구를 수납하는 공구 포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트 수납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구 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포트 수납 모듈에 지지된 공구 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공구와 공구가 수납된 공구 포트의 결합을 나타낸 일부 숨은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 장치(10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툴 매거진 장치(101)는 몸체부(230)와 탄성부재(240)를 포함하는 포트 수납 모듈(200)과, 공구(50)를 수납하는 중공부(110)와 걸림홈(120)이 형성된 공구 포트(100)를 포함한다.
또한, 툴 매거진 장치(101)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가공시 필요한 복수의 공구(50)를 수납한다.
포트 수납 모듈(200)은 복수로 형성되며 각각의 공구 포트(100)를 지지한다.
또한, 포트 수납 모듈(200)은 공구 포트(100)를 지지하는 몸체부(230)와 탄성부재(240)를 포함한다.
몸체부(230)는 공구 포트(100)를 수납한다. 구체적으로, 몸체부(230)는 공구 포트(100)의 외주면을 지지한다. 즉, 몸체부(230)는 중공부(110)에 공구(50)를 수납한 공구 포트(100)를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2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23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구 포트(10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240)는 몸체부(230)에 수납된 공구 포트(100)의 외주면의 일측과 대향하는 몸체부(23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 탄성부재(240)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공구 포트(100)는 복수로 형성되어 각각의 공구(50)를 수납 한다. 또한, 공구 포트(100)는 중심부에 중공부(110)가 형성되고, 일단부가 개방된 중공형의 실린더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구 포트(10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구 포트(100)는 일단부가 개방되어 공구(50)를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며 공구(50)가 수용되는 중공부(110)가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에 걸림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20)은 포트 수납 모듈(200)에 설치된 탄성부재(240)와 대향하는 공구 포트(10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홈(120)은 공구 포트(100) 외주면의 중심에 형성되고, 공구 포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걸림홈(120)은 단면이 약 "V"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홈(120)에는 탄성부재(240)가 계합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240)는 걸림홈(120)에 계합되며 공구 포트(100)를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 장치(101)의 포트 수납 모듈(200)은, 앞서 서술한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납부(211)가 형성된 제1 수납 플레이트(210)와, 제2 수납부(221)가 형성된 제2 수납 플레이트(220)를 포함하는 몸체부(230)와, 연결핀(250), 그리고 브래킷(26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30)는 제1 수납부(211)가 형성된 제1 수납 플레이트(210)와 제2 수납부(221)가 형성된 제2 수납 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납 플레이트(210)는 평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납 플레이트(210)에는 일측이 개구되어 공구 포트(100)를 출입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수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납 플레이트(210)의 제1 수납부(211)는 공구 포트(100)의 외주면의 일부와 접촉하며 공구 포트(100)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수납 플레이트(210)에는 약"ㄷ"자 형으로 일측이 개구된 제1 수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납 플레이트(220)는 평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납 플레이트(220)에는 일측이 개구되어 공구 포트(100)를 출입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수납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납 플레이트(220)는 제1 수납 플레이트(210)의 일면과 대향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수납 플레이트(220)는 제1 수납 플레이트(2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수납 플레이트(220)의 제2 수납부(221)는 제1 수납 플레이트(210)의 제1 수납부(211)와 마찬가지로 공구 포트(100)의 외주면의 일부와 접촉하며 공구 포트(100)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일예로, 제2 수납 플레이트(220)에는 제1 수납 플레이트(210)의 제1 수납부(211)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2 수납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구 포트(100)는 제1 수납부(211) 및 제2 수납부(221)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연결핀(250)은 제1 수납 플레이트(210)와 제2 수납 플레이트(22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연결핀(250)은 제1 수납 플레이트(210)와 제2 수납 플레이트(2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수납 플레이트(210)와 제2 수납 플레이트(220)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키며 제1 수납 플레이트(210)와 제2 수납 플레이트(220)를 연결한다.
또한, 연결핀(250)은 제1 수납 플레이트(210)와 제2 수납 플레이트(220) 사이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 장치(101)는, 앞서 서술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을 연결하는 연결 링크(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링크(280)는 연결핀(25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 링크(280)는 하나의 포트 수납 모듈(200)에 형성된 연결핀(250) 및 상기 하나의 포트 수납 모듈(200)과 이웃하게 배치된 포트 수납 모듈(200)에 형성된 연결핀(250)에 결합되어, 하나의 포트 수납 모듈(200)과 이웃하는 포트 수납 모듈(200)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링크(280)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은 폐루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 링크(280)에 의해 포트 수납 모듈(200)과 이웃한 포트 수납 모듈(200)이 서로 연결되어 체인(chain)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브래킷(260)은 제1 수납 플레이트(210)와 제2 수납 플레이트(220)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핀(25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래킷(260)은 연결 링크(280)와 결합되는 연결핀(250) 보다 제1 수납부(211) 및 제2 수납부(221)의 개구된 일측과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브래킷(260)은 탄성부재(24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240)의 일단은 브래킷(260)과 결합되어 지지되고, 탄성부재(240)의 타단은 걸림홈(1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240)는 외팔보 형태로 브래킷(26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포트 수납 모듈(200)은 결합부재(2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261)는 탄성부재(240)의 일단을 브래킷(260)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 장치(101)의 탄성부재(2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구 포트(100)가 가압되도록 편심력을 제공할 수 있다.
걸림홈(120)에 탄성부재(240)가 계합되는 경우, 탄성부재(240)는 공구 포트(100)를 제1 수납부(211)의 개구된 일측 및 제2 수납부(221)의 개구된 일측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홈(120)에 계합되는 탄성부재(240)의 타단에는 절곡부(2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곡부(241)는 걸림홈(12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절곡될 수 있다.
V형으로 형성된 걸림홈(120)의 절곡 중심은 탄성부재(240)에 형성된 절곡부(241)의 절곡 중심 보다 상대적으로 제1 수납부(211) 및 제2 수납부(221)의 개구된 일측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240)의 절곡부(241)는 걸림홈(120)에 계합되고, V형의 걸림홈(120)중 제1 수납부(211) 및 제2 수납부(221)의 개구된 일측과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하는 걸림홈(120)의 일면을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240)의 절곡부(241)는 V형의 걸림홈(120) 중 제1 수납부(211)의 개구된 일측 및 제2 수납부(221)의 개구된 일측과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한 일면을 가압함으로 제1 수납부(211) 및 제2 수납부(221)의 개구된 일측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편심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공구 포트(100)는 탄성부재(240)의 절곡부(241)에 의해 상기 걸림홈(120)의 일면이 가압되어 포트 수납 모듈(200)로부터 이탈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포트 수납 모듈(200)은 보조 연결핀(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연결핀(270)은 제1 수납 플레이트(210) 및 제2 수납 플레이트(2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연결핀(270)은 연결핀(250) 보다 제1 수납부(211)의 개구된 일측 및 제2 수납부(221)의 개구된 일측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40)의 절곡부(241)는 보조 연결핀(270)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툴 매거진 장치(101)에 수납되는 공구(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크부(51)와, 가공부(52), 그리고 지지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생크부(shank)(51)는 공구 포트(100)에 형성된 중공부(110)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크부(51)가 중공부(110)에 삽입되어 공구(50)를 공구 포트(100)에 수납시킬 수 있다.
가공부(52)는 공작물과 직접 접촉되며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공부(52)에는 절삭팁(tip)과 같은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는 날카로운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구(50)의 일단에는 생크부(51)가 형성되고, 공구(50)의 타단에는 가공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3)는 중공부(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공구 포트(100)의 개방된 일단부와 접촉하여 공구(50)를 지지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53)는 중공부(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생크부(51)만 중공부(110)에 삽입되고, 가공부(52)는 중공부(110)에 삽입되지 않도록 공구(50)를 공구 포트(100)에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53)는 도시되지 않은 공구 교환 장치에 의해 공구(50)가 교환될 때 파지되는 공구(50)의 생크부(51)와 가공부(52) 사이에 형성된 일영역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 장치(101)의 공구 포트(100)는, 앞서 서술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130)는 지지부(53)의 일면과 대향하는 공구 포트(100)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지지부(53)의 일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함몰부(130)는 공구 포트(100)의 일단부와 단차져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30)에는 일자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시켜 공구 포트(100)에 수납된 공구(50)를 탈거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구 포트에 수납된 공구를 탈거 시키기 위해 종래와 같이 별도의 언클램핑 치구를 활용하는 것과는 상이하게, 사용자는 별도의 언클램핑 치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함몰부(130)에 작업장에 배치된 일자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시켜 공구 포트(100)에 수납된 공구(50)를 탈거 시킬 수 있다.
또한, 함몰부(130)는, 앞서 서술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수납부(211)의 개구된 일측 및 제2 수납부(221)의 개구된 일측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 장치(101)의 공구 포트(100)는, 앞서 서술한 도 3 및 앞서 서술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구 포트(100)의 외주면 중 제1 수납부(211)의 개구된 일측 및 제2 수납부(221)의 개구된 일측과 대향하는 일면은 곡면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홈(120)이 형성된 일측면과 이웃한 공구 포트(100)의 일면에는 제1 수납부(211)의 개구된 일측 및 제2 수납부(221)의 개구된 일측과 대향하며 곡면을 가지는 곡면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곡면부(140)는 공구 포트(100)의 일면이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 장치(101)는, 앞서 서술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 프레임(10)과, 스프로킷(21)과 종동휠(22) 및 구동모터(23)를 포함하는 구동부재(20)와, 곡선 가이드(60), 그리고 직선 가이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프레임(10)는 구동부재(20)와, 포트 수납 모듈(200)과, 구동부재(20), 곡선 가이드(60), 그리고 직선 가이드(70)가 설치되며 이를 지지할 수 있다.
구동부재(20)는 스프로킷(21)과, 종동휠(22), 그리고 구동모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23)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스프로킷(21)은 구동모터(23)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스프로킷(21)은 외주면에 형성된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도시된 스프로킷 홈에 연결핀(250)이 삽입되어 연결 링크(280)에 의해 체인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종동휠(22)은 스프로킷(21)과 이격되며 바디 프레임(10) 상에 설치되고, 체인형의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이 스프로킷(2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종동휠(22)은 별도의 구동부재에 의한 구동력 없이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의 회전을 지지하며 회전될 수 있다.
곡선 가이드(60)와 직선 가이드(70)는 제1 수납부(211)의 개구된 일측 및 제2 수납부(221)의 개구된 일측으로부터 공구 포트(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체인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의 직선 및 곡선 이동을 안내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직선 가이드(70)는 스프로킷(21)과 종동휠(22) 사이에 설치되어 체인형의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선 가이드(70)는 몸체부(230)의 제1 수납부(211)의 개구된 일측과 제2 수납부(221)의 개구된 일측과 대향하도록 바디 프레임(10)에 설치될 수 있다.
곡선 가이드(60)는 스프로킷(21)의 외주면 및 종동휠(22)의 외주면과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체인형의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의 방향 전환시 발생할 수 있는 공구 포트(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곡선 가이드(60)는 스프로킷(21) 또는 종동휠(22)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의 제1 수납부(211)의 개구된 일측과 제2 수납부(221)의 개구된 일측과 대향하도록 바디 프레임(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곡선 가이드(60)는 복수로 형성되어 스프로킷(21)의 외주면 중 종동휠(22)의 외주면과 상대적으로 멀게 형성된 스프로킷(21)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종동휠(22)의 외주면 중 스프로킷(21)의 외주면과 상대적으로 멀게 형성된 종동휠(22)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곡선 가이드(60)와 직선 가이드(70)는 체인형의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을 감싸며 바디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체인형의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의 직선 이동 및 곡선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즉, 곡선 가이드(60)는 체인형의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의 회전 방향이 전환되는 체인형의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 양단의 곡선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납부(211)의 개구된 일측 및 제2 수납부(221)의 개구된 일측과 대향하는 공구 포트(100)의 일면에 곡면부(140)가 형성되면, 곡선 가이드(60)와의 접촉면적이 선접촉을 이룰 수 있어 좁은 접촉 면적으로 공구 포트(10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구 포트(100)와 곡선 가이드(60)와의 접촉면적에 의한 마찰을 방지하며 효과적으로 곡선 가이드(60)에 의해 회전 운동이 지지될 수 있다.
즉, 툴 매거진 장치(101)는 곡선 가이드(60)와 공구 포트(100)에 형성된 곡면부(140)에 의해 효과적으로 회전 운동을 지지할 수 있고, 공구 포트(100)의 처짐을 방지하여 체인형의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의 회전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 장치(101)의 포트 수납 모듈(200)은 탄성부재(240)를 구비하여 공구 포트(10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240)가 공구 포트(100)에 형성된 걸림홈(120)에 계합되어 제1 수납부(211)의 개구된 일측 및 제2 수납부(221)의 개구된 일측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어 포트 수납 모듈(200)로부터 공구 포트(10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바디 프레임 20: 구동부재
21: 스프로킷 22: 종동휠
23: 구동모터 50: 공구
51: 생크부 52: 가공부
53: 지지부 60: 곡선 가이드
70: 직선 가이드 100: 공구 포트
101: 툴 매거진 장치 110: 중공부
120: 걸림홈 130: 함몰부
140: 곡면부 200: 포트 수납 모듈
210: 제1 수납 플레이트 211: 제1 수납부
220: 제2 수납 플레이트 221: 제2 수납부
230: 몸체부 240: 탄성부재
241: 절곡부 250: 연결핀
260: 브래킷 261: 결합부재
270: 보조 연결핀 280: 연결 링크

Claims (5)

  1. 중공부(110)가 형성되어 공구(50)를 수납하는 복수의 공구 포트(100)와, 상기 복수의 공구 포트(100)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을 포함하는 툴 매거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은 상기 복수의 공구 포트(100)를 각각 수납하는 몸체부(230)와, 상기 공구 포트(10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2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구 포트(1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4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구 포트(100)는,
    상기 탄성부재(240)와 대향하는 일면에 상기 공구 포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240)가 계합 가능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120)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120)이 형성된 상기 공구 포트(10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은 상기 몸체부(230)에 지지되며,
    상기 공구 포트(100)는 일단부에 상기 공구 포트(100)의 외주부와 상기 중공부(110)가 연통되며 상기 걸림홈(1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함몰 형성된 함몰부(130)
    를 포함하는 툴 매거진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몸체부(230)는,
    일측이 개구되며 상기 복수의 공구 포트(100)를 각각 지지하는 제1 수납부(211)가 형성된 제1 수납 플레이트(210); 및
    일측이 개구되며 상기 복수의 공구 포트(100)를 각각 지지하는 제2 수납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납 플레이트(210)의 일면과 서로 대향 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 수납 플레이트(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납 모듈(200)은,
    상기 제1 수납 플레이트(210)와 상기 제2 수납 플레이트(220)를 연결하는 연결핀(250); 및
    상기 연결핀(250)과 이격되며 상기 제1 수납 플레이트(210)와 상기 제2 수납 플레이트(22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240)를 지지하는 브래킷(260)
    을 더 포함하는 툴 매거진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걸림홈(120)에 상기 탄성부재(240)가 계합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240)는 상기 공구 포트(100)가 상기 제1 수납부(211) 및 상기 제2 수납부(221)로 가압되도록 편심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 매거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공구(50)는,
    상기 중공부(110)에 삽입되는 생크부(51);
    상기 생크부(51)와 이격되며 공작물을 가공하는 가공부(52); 및
    상기 생크부(51)와 상기 가공부(5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공구 포트(100)의 개방된 일단부와 접촉되는 지지부(53)를 더 포함하는 툴 매거진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을 서로 연결하여 폐루프를 형성하는 연결 링크(280);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3);
    상기 구동모터(23)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연결 링크(280)를 회전시키는 스프로킷(21);
    상기 스프로킷(21)에 의해 회전된 상기 연결 링크(280)의 이동을 지지하는 종동휠(22)
    상기 스프로킷(21)과 상기 종동휠(22)를 지지하는 바디 프레임(10);
    상기 바디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직선 가이드(70); 및
    상기 바디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로킷(21) 또는 상기 종동휠(22)에 의한 상기 복수의 포트 수납 모듈(200)의 곡선 이동을 안내하는 곡선 가이드(60)
    를 더 포함하는 툴 매거진 장치.
KR1020140007615A 2014-01-22 2014-01-22 툴 매거진 장치 KR102173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615A KR102173897B1 (ko) 2014-01-22 2014-01-22 툴 매거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615A KR102173897B1 (ko) 2014-01-22 2014-01-22 툴 매거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536A KR20150087536A (ko) 2015-07-30
KR102173897B1 true KR102173897B1 (ko) 2020-11-04

Family

ID=5387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615A KR102173897B1 (ko) 2014-01-22 2014-01-22 툴 매거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8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614A (ko) 2020-04-01 2021-10-12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툴 보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4272A (ja) * 2001-09-18 2003-04-03 Okuma Corp 工具マガジン
JP2003136357A (ja) * 2001-10-31 2003-05-14 Kushida Kogyo Kk ツール保持具取付装置
JP5081489B2 (ja) * 2007-04-19 2012-11-28 オークマ株式会社 工具ポッ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7466A (ja) * 1997-09-05 1999-03-23 Hitachi Seiki Co Ltd 工具マガジ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4272A (ja) * 2001-09-18 2003-04-03 Okuma Corp 工具マガジン
JP2003136357A (ja) * 2001-10-31 2003-05-14 Kushida Kogyo Kk ツール保持具取付装置
JP5081489B2 (ja) * 2007-04-19 2012-11-28 オークマ株式会社 工具ポッ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536A (ko)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8250B (zh) 夾緊機構
US10245692B2 (en) Chain-type tool magazine
JP2006102887A (ja) ワーククランプ装置
JP2017164830A (ja) チェーン分解機
KR102173897B1 (ko) 툴 매거진 장치
CN205734531U (zh) 一种电机夹持工装及电机夹持工装台
EP2620253B1 (en) Machine tool with a grip arm
KR102165418B1 (ko) 툴 매거진 시스템
KR20120052007A (ko) 스크라이버 홀더
EP2620251B1 (en) Machine tool with a tool magazine
CN208895622U (zh) 一种夹具及具有其的加工中心
US8075001B2 (en) Chuck and rotary orienting device
KR101526790B1 (ko) 디버링 공구
TWI581915B (zh) 鏈帶螺絲用螺絲起子之螺絲導引件
KR102113886B1 (ko) 공작기계
JP2014124736A (ja) エンドエフェクター
TWI516338B (zh) Drilling fixture
WO2002058870A1 (fr) Element de maintien et dispositif de mandrin
CN215239305U (zh) 定位夹持装置
CN219542413U (zh) 一种钢材切割夹具
CN110434880B (zh) 夹具及移料机器人
CN219444837U (zh) 光学元件夹持器及光学元件夹持工装
JP7280049B2 (ja) チャック装置
TW201325816A (zh) 微型鑽針研磨機之夾持裝置
JP7135247B2 (ja) チャ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