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798B1 -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보강공법 - Google Patents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보강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3798B1 KR102173798B1 KR1020200077400A KR20200077400A KR102173798B1 KR 102173798 B1 KR102173798 B1 KR 102173798B1 KR 1020200077400 A KR1020200077400 A KR 1020200077400A KR 20200077400 A KR20200077400 A KR 20200077400A KR 102173798 B1 KR102173798 B1 KR 1021737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undation
- existing
- new
- brace
- new found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title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316 preloa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746 Structural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0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8—Foundations inserted underneath existing buildings or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c 및 도 1d는 종래 선재하공법 시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의 작용도 및 구성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를 이용한 기초보강방법의 순서도이다.
130: 수평긴장장치 131: 정착장치
132: 수평긴장재 140: 가새형 버팀구조
141: 상부힌지고정대 142: 하부힌지고정대
143: 길이조정가새 144: 채널부재
145: 힌지판 146: 길이조정수단
147: 확장단부플랜지
150: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
151: 슬라이딩지지판 152: 슬라이딩판
153: 측방고정판 154: 하부슬라이딩판
155,156: 상부 및 하부가이드지지블록
157: 베이스플레이트 158: 슬라이딩부
159: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의 힌지판
200: 기존구조물 210: 기존 말뚝
220: 기존 기초 230: 기존 수직부
240: 기존 슬래브 250: 기존보강보
A1: 연결측면 A2: 상면
A3: 배면
Claims (14)
- 지하구조물인 기존 기초(220)와 접하지 않고 분리되어 지반에 시공되는 신설 기초(120);
상기 기존 기초(220) 상부에 형성된 기존보강보(250)를 포함하는 기존 구조물(200)이 연결되는 상부 연결지점으로부터 양 측방으로 벌어져 신설 기초(120)의 하부지점으로 연장되어 경사구조로 형성된 가새형 버팀구조(140);
및 상기 신설 기초(120) 상부의 가새형 버팀구조(140)와 연결되어, 도입시킨 수평긴장력(V)의 경사반력(V2)이 기존 구조물(200)이 연결되는 상부 연결지점에 상향반력(V3)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신설 기초에 하향반력(V1)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존 및 증축하중으로 기존 기초(220)와 기존 말뚝(210)에 발생되는 하중을 신설 기초(120)와 신설 말뚝(110)으로 전이시킬 수 있는 수평긴장장치(1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새형 버팀구조(140)는, 상부 연결지점으로서 기존 구조물(200)과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된 상부힌지고정대(141); 상기 양 상부힌지고정대(141)의 하단에 양 측방으로 각각 벌어지도록 연장되는 길이조정가새(143); 및 상기 길이조정가새(143)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힌지고정대(142);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힌지고정대(142)를 통해 가새형 버팀구조(140)는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150)에 연결되도록 하는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긴장력(V)의 하향반력(V1)이 신설 기초(120)와 신설 기초 하부에 시공된 신설 말뚝(110)에 도입되고 수평긴장력(V)의 경사반력(V2)이 기존 구조물(200) 상부 연결지점에 하향반력(V1) 보다 큰 상향반력(V3)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존 기초(220)와 기존 말뚝(210)에 작용하는 하중이 경감되도록 하는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설 기초(120)와 기존 기초(220)가 서로 접하는 연결측면(A1)에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는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15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150)는,
기존 기초(220)에 고정 설치된 슬라이딩지지판(151); 상기 슬라이딩지지판(151)의 배면(A3)에 접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판(152); 및 상기 슬라이딩판(152)이 슬라이딩지지판(151)과 접하여 슬라이딩이 되도록 슬라이딩판(152)의 양 측단을 슬라이딩지지판(151)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면서, 신설 기초(120)에 일체화되어 거동하는 양 측방고정판(153);을 포함하여,
수평긴장력(V)에 의한 신설 기초(120)에 작용하는 회전력이 신설 기초(120)의 수직이동으로 가이드하여 상쇄되도록 하는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설 기초(120) 상면(A2)에 수평방향으로 작동하는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15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150)는,
신설 기초(120)의 상면에 중앙부에는 슬라이딩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슬라이딩부(158)가 형성된 하부슬라이딩판(154);
상기 하부슬라이딩판(154)의 돌출된 슬라이딩부(158)에 끼워지는 저면끼움홈이 저면에 형성되며, 슬라이딩부(158) 상으로 가이드 되면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 가이드지지블록(156);
상기 하부 가이드지지블록(156) 상면에 수평긴장재(1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긴장재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된 상부 가이드지지블록(155);을 포함하여,
수평긴장재(132)는 상기 상부 및 하부가이드지지블록(155,156)의 긴장재홈에 삽입되도록 세팅되어 긴장 및 정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긴장장치(130)는,
기존 수직부(230)의 수평관통홀(231)을 관통하여 신설 기초(120) 상면(A2)에 형성된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150)의 상부 및 하부가이드지지블록(155,156) 사이에 수평으로 연장 설치된 수평긴장재(132); 및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150)의 상부 및 하부 가이드지지블록들(155,156)의 배면(A3)에 위치하여 상기 수평긴장재(132)를 긴장 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131);를 포함하여,
신설 기초(120)에 하향반력(V1)이 도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새형 버팀구조(140)에 경사반력(V2)이 도입되어 기존 구조물(200)이 연결되는 상부 연결지점에 상향반력(V3)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존 기초로부터 신설 기초로 하중을 전이시키고, 하중전이를 시기를 달리하여 반복, 추가를 통해 하중전이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설 기초(120)는,
지반에 종방향으로 독립기초 형태로 다수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하거나, 지반에 종방향으로 연속된 줄기초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힌지고정대(141)는,
가새형 버팀구조(140) 상단을 기존 구조물(200)과 힌지 형태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보강보(250)의 하단을 관통하는 수평볼트에 의하여 기존보강보(250)의 저면을 감싸 고정 설치된 채널부재(144)에 길이조정가새(143)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판(145)이 삽입되어 힌지로 연결하는 양 힌지판(145)으로 형성되는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정가새(143)는,
철골부재의 상면과 하면에 확장단부플랜지(147)를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 확장단부플랜지에 힌지판(145)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힌지판(145)이 기존보강보(250)와 신설 기초(120)의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150) 사이에 양 힌지판(145)에 삽입되어 힌지 연결되도록 하는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힌지고정대(142)는,
가새형 버팀구조(140) 하단을 신설 기초(120)와 힌지 형태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설 기초(1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150)의 상부가이드지지블록(155) 상면에 형성된 양 힌지판 사이에 삽입되는 힌지판(145)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정가새(143)는,
상부힌지고정대(141)와 하부힌지고정대(142) 사이에 연결되는 경사부재로서 철골부재를 이용하되, 중앙에는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스크류잭을 포함하는 길이조정수단(146)이 더 설치되는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 - (a) 지하구조물인 기존 기초(220)와 접하지 않고 분리되도록 지반(G)에 신설 기초(120)를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신설 기초(120)와 기존 기초(220)가 서로 접하는 연결측면(A1)에, 기존 기초(220)에 고정 설치된 슬라이딩지지판(151); 상기 슬라이딩지지판(151)의 배면(A3)에 접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판(152); 및 상기 슬라이딩판(152)이 슬라이딩지지판(151)과 접하여 슬라이딩이 되도록 슬라이딩판(152)의 양 측단을 슬라이딩지지판(151)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면서, 신설 기초(120)에 일체화되어 거동하는 양 측방고정판(153);을 포함하여, 수평긴장력(V)에 의한 신설 기초(120)에 작용하는 회전력이 신설 기초(120)의 수직이동으로 가이드하여 상쇄되도록 하는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150)를 설치하는 단계;
(c) 신설 기초(120) 상면(A2)에 형성된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150)의 상부 및 하부가이드지지블록(155,156) 사이에 수평으로 연장 설치된 수평긴장재(132);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150)의 상부 및 하부가이드지지블록들(155,156)의 배면(A3)에 위치하여 상기 수평긴장재(132)를 긴장 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131);를 포함하여, 수평긴장력(V)에 의한 신설 기초(120)에 작용하는 회전력이 신설 기초(120)의 수평이동으로 가이드하여 상쇄되도록 하는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150)를 설치하는 단계;
(d) 기존보강보(250)를 포함하는 기존 구조물(200)이 연결되는 상부 연결지점으로부터 양 측방으로 벌어져 신설 기초(120)의 하부지점으로 연장되어 경사구조로 가새형 버팀구조(140)를 설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신설 기초(120) 상부에 가새형 버팀구조(140)와 연결되어, 도입시킨 수평긴장력(V)의 경사반력(V2)이 기존 구조물(200) 상부 연결지점에 상향반력(V3)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신설 기초에는 하향반력(V1)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존 기초에 작용하는 기존 및 증축하중을 신설 기초(120)로 전이될 수 있도록 하는 수평긴장장치(13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평긴장장치(130)와 일체로 함께 형성시키는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를 이용한 기초보강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수평긴장장치(130)는,
기존 수직부(230)의 수평관통홀(231)을 관통하여 신설 기초(120) 상면(A2)에 형성된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150)의 상부 및 하부가이드지지블록(155,156) 사이에 수평으로 연장 설치된 수평긴장재(132); 신설 기초 회전제어장치(150)의 상부 및 하부가이드지지블록들(155,156)의 배면(A3)에 위치하여 상기 수평긴장재(132)를 긴장 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131);를 포함하여, 도입시킨 수평긴장력(V)의 경사반력(V2)이 기존 구조물(200) 상부 연결지점에 상향반력(V3)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신설 기초에는 하향반력(V1)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존 기초(220)에 작용하는 기존 및 증축하중을 신설 기초(120)로 전이될 수 있도록 하고, 수평긴장력을 시기를 달리하여 반복, 추가를 통해 하중전이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를 이용한 기초보강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가새형 버팀구조(140)는 상부힌지고정대(141)와 하부힌지고정대(142) 사이에 연결되는 경사부재로서 철골부재를 이용하되, 중앙에는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스크류잭을 포함하는 길이조정수단(146)이 더 설치되는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를 이용한 기초보강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7400A KR102173798B1 (ko) | 2020-06-24 | 2020-06-24 |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보강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7400A KR102173798B1 (ko) | 2020-06-24 | 2020-06-24 |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보강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3798B1 true KR102173798B1 (ko) | 2020-11-04 |
Family
ID=73571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7400A Active KR102173798B1 (ko) | 2020-06-24 | 2020-06-24 |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보강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3798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49929A (zh) * | 2020-06-17 | 2020-09-11 | 中电投工程研究检测评定中心有限公司 | 一种连接件拉拔承载力试验装置 |
CN114016764A (zh) * | 2021-11-25 | 2022-02-08 | 中冶京诚工程技术有限公司 | 托柱基础改造用的装置 |
KR20230059565A (ko) * | 2021-10-26 | 2023-05-03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포스트텐션을 이용한 하중 전이 시스템 |
KR20230161007A (ko) * | 2022-05-17 | 2023-11-27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포스트텐션을 이용한 수직 증축용 하중 전이 시스템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83661A (ja) | 1996-10-21 | 1998-07-14 | Kenzo Murakami | 構造物の持ち上げ方法、その方法に用いるジャッキ係合構造およびブラケット |
JPH10200382A (ja) | 1997-01-13 | 1998-07-31 | Rohm Co Ltd | 低電圧駆動の電圧制御発振回路 |
JPH11181793A (ja) * | 1997-12-24 | 1999-07-06 | Taisei Corp | 構造物基礎の補強構造 |
JP2003336402A (ja) * | 2002-05-20 | 2003-11-28 | Takenaka Komuten Co Ltd | 既設建物の支持荷重移載工法 |
KR20110055154A (ko) * | 2009-11-19 | 2011-05-25 |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 제진형 가새장치 |
KR101187170B1 (ko) * | 2012-03-21 | 2012-09-28 |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 |
KR101494260B1 (ko) | 2013-12-11 | 2015-02-17 | (주)골든엔지니어링 | 말뚝의 선행하중 재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행하중 재하방법 |
KR101732132B1 (ko) | 2015-02-12 | 2017-05-04 | 이기환 | 추가파일 시공방법 |
-
2020
- 2020-06-24 KR KR1020200077400A patent/KR10217379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83661A (ja) | 1996-10-21 | 1998-07-14 | Kenzo Murakami | 構造物の持ち上げ方法、その方法に用いるジャッキ係合構造およびブラケット |
JPH10200382A (ja) | 1997-01-13 | 1998-07-31 | Rohm Co Ltd | 低電圧駆動の電圧制御発振回路 |
JPH11181793A (ja) * | 1997-12-24 | 1999-07-06 | Taisei Corp | 構造物基礎の補強構造 |
JP2003336402A (ja) * | 2002-05-20 | 2003-11-28 | Takenaka Komuten Co Ltd | 既設建物の支持荷重移載工法 |
KR20110055154A (ko) * | 2009-11-19 | 2011-05-25 |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 제진형 가새장치 |
KR101187170B1 (ko) * | 2012-03-21 | 2012-09-28 |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 |
KR101494260B1 (ko) | 2013-12-11 | 2015-02-17 | (주)골든엔지니어링 | 말뚝의 선행하중 재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행하중 재하방법 |
KR101732132B1 (ko) | 2015-02-12 | 2017-05-04 | 이기환 | 추가파일 시공방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49929A (zh) * | 2020-06-17 | 2020-09-11 | 中电投工程研究检测评定中心有限公司 | 一种连接件拉拔承载力试验装置 |
KR20230059565A (ko) * | 2021-10-26 | 2023-05-03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포스트텐션을 이용한 하중 전이 시스템 |
KR102573805B1 (ko) * | 2021-10-26 | 2023-08-31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포스트텐션을 이용한 하중 전이 시스템 |
CN114016764A (zh) * | 2021-11-25 | 2022-02-08 | 中冶京诚工程技术有限公司 | 托柱基础改造用的装置 |
KR20230161007A (ko) * | 2022-05-17 | 2023-11-27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포스트텐션을 이용한 수직 증축용 하중 전이 시스템 |
KR102680217B1 (ko) * | 2022-05-17 | 2024-07-01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포스트텐션을 이용한 수직 증축용 하중 전이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73798B1 (ko) |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에 의한 하중전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보강공법 | |
CN108130910B (zh) | 一种主动控制基坑位移的支撑系统及其设计方法 | |
US9822506B2 (en) | Construction system for subway station | |
KR100890455B1 (ko) | 가시설 중량을 이용한 중력식 하중재하 장치, 이를 이용한프리플렉스 합성 거더의 제조 방법 및 장치 | |
CN108265618B (zh) | 一种高架桥柱墩基础地下逆向增层施工方法 | |
KR101527782B1 (ko) | 합성형 교량의 변위관리 및 반전합성 경사지보공 설치방법 | |
KR100633795B1 (ko) | 장지간 조립식 띠장의 정착장치 | |
CN108951642A (zh) | 一种上跨既有隧道的防基坑隆起的加固结构及施工方法 | |
KR102173800B1 (ko) | 신설 기초에 회전제어장치를 구비한 하중전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보강방법 | |
CN110424246A (zh) | 一种大跨径系杆拱桥引桥顶升系统及顶升施工方法 | |
KR102134927B1 (ko) | 하중제어가 가능한 선재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보강방법 | |
KR100746593B1 (ko) | 지지선과 선행하중 버팀보를 이용한 가설 토류벽 지지공법 | |
KR100808939B1 (ko) |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 |
KR102511485B1 (ko) | 군말뚝을 포함하는 건축토목용 집단시설의 양단 지지력을 이용하는 횡방향 지지력 도입 장치 및 이의 설치와 흙막이 가시설 시공 방법 | |
CN114482607B (zh) | 钢筋砼筒仓内壁加装钢板层的施工方法 | |
CN116145744A (zh) | 一种基于托换桩的顶升纠偏工法 | |
US10947694B2 (en) | Preloading apparatus for adjusting load and method of reinforcing foundation using the same | |
CN114922196A (zh) | 一种超长分布式收缩补偿混凝土支撑结构及施工方法 | |
CN111305233B (zh) | 一种轴力补偿式预应力鱼腹式基坑钢支撑结构及其施工方法 | |
CN115596505A (zh) | 一种梁板型隧底结构及其抗底鼓变形方法和整治施工方法 | |
CN113982625A (zh) | 一种防止松软土中地铁隧道沉降的加固装置和方法 | |
KR102134926B1 (ko) | 가새형 버팀구조와 수평긴장장치를 이용한 기초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보강방법 | |
KR100617395B1 (ko) | 기둥 인상을 통한 건물보수시스템 | |
CN222100876U (zh) | 提高支护结构抗弯能力的装置 | |
JP7504377B2 (ja) | ホーム柵基礎構造及びホーム柵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7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