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500B1 - 치과 임플란트 및 틀니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 임플란트 및 틀니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500B1
KR102173500B1 KR1020180140176A KR20180140176A KR102173500B1 KR 102173500 B1 KR102173500 B1 KR 102173500B1 KR 1020180140176 A KR1020180140176 A KR 1020180140176A KR 20180140176 A KR20180140176 A KR 20180140176A KR 102173500 B1 KR102173500 B1 KR 102173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rance
information
denture
implant
notification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177A (ko
Inventor
조민영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5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치과 임플란트 및 틀니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은, 데스크에서 내원한 환자의 수진자 정보를 조회하여 임플란트 및 틀니 시술에 대한 보험 대상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임플란트 및 틀니 별 보험 대상자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데스크 화면에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정보 알림 아이콘은 환자가 임플란트 보험 대상자임을 알려주는 임플란트 보험정보 알림 아이콘과, 틀니 보험 대상자 여부를 알려주는 틀니 보험정보 알림 아이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 임플란트 및 틀니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insurance beneficiary information of dental implants and dentures}
본 발명은 데이터 분석 및 관리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부에서는 환자가 만 65세 이상인 경우 치과 임플란트(최대 2개 치아, 무치악적용 제외) 및 틀니(부분틀니, 완전틀니) 치료비의 30%만 본인이 부담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환자가 보험 임플란트 대상자인지 보험 틀니 대상자인지를 매번 수동으로 조회한다. 따라서, 환자의 말만 믿고 보험 임플란트 또는 틀니 진료에 대한 상담 및 치료계획을 다 세웠다가, 치료 전 데스크에서 실제로 수진자 조회를 해보니 이미 혜택을 받은 환자인 경우가 많다.
보험 임플란트 보험 청구는 1~3단계로, 부분틀니는 1~6단계, 완전틀니는 1~5단계로 나뉘어져 있다. 해당 진료는 각 단계별로 순차적으로 보험 청구를 해야 한다. 하지만 진료 기간이 길어서 중간에 청구를 누락하여 삭감을 당하거나 재청구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보험 적용 대상자를 직관적이면서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보험청구 업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 및 틀니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은, 데스크에서 내원한 환자의 수진자 정보를 조회하여 임플란트 및 틀니 시술에 대한 보험 대상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임플란트 및 틀니 별 보험 대상자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데스크 화면에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정보 알림 아이콘은 환자가 임플란트 보험 대상자임을 알려주는 임플란트 보험정보 알림 아이콘과, 틀니 보험 대상자 여부를 알려주는 틀니 보험정보 알림 아이콘을 포함한다.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환자가 보험 임플란트 대상자이면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을 활성화하고 이미 보험 적용을 통해 장착된 임플란트 개수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환자가 보험 틀니 대상자이면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을 활성화하고 이미 보험 적용을 통해 장착된 틀니 부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 개수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활성화된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 옆에 장착된 임플란트 개수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틀니 부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활성화된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 내에 장착된 틀니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치과용 통합 관리 프로그램의 데스크 메뉴에 진입하여 사용자로부터 수진자 조회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진자 조회 요청에 따라 보험공단에 수진자 조회를 요청하여 보험 대상자 여부를 포함한 수진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수진자 정보에 기반하여 환자가 보험 적용된 틀니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 보험 적용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을 활성화하여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와, 획득된 수진자 정보에 기반하여 환자가 보험 적용된 임플란트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 보험 적용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을 활성화하여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은, 데스크 화면에서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된 정보 알림 아이콘을 대상으로 사용자로부터 선택신호를 입력받으면 임플란트 및 틀니 진료의 각 단계별 보험 청구정보를 검색하여 보험 청구일자와 중간의 누락 여부를 포함한 보험 청구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은, 단계별 보험 청구정보 검색결과에 따라 임플란트 및 틀니 진료의 각 단계별로 중간에 보험청구가 누락된 단계가 있는 경우 보험청구 누락을 알리기 위해 해당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은, 데스크 화면에서 임플란트 정보 알림 아이콘 위에 마우스가 올려지는 사용자 동작을 감지하여 현재 장착되어 있는 임플란트의 치아번호와 장착 날짜 정보를 포함한 툴 팁을 제공하는 단계와, 데스크 화면에서 틀니 정보 알림 아이콘 위에 마우스가 올려지는 사용자 동작을 감지하여 현재 장착되어 있는 틀니의 위치와 장착 날짜 정보를 포함한 툴 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은, 진료실에서 수신자 조회를 하지 않아도 이전 환자 내원 시 저장된 수진자 정보를 검색하여 전자차트 화면에 보험 대상자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차트 화면에서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진료실에서 전자차트 메뉴 진입 시, 이전 환자 내원 시 기록된 보험 임플란트 및 보험 틀니 진료정보를 포함한 수진자 정보를 자동으로 조회하여 전자차트 화면에 보험 대상자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와, 진료실에서 전자차트 메뉴 진입 시, 자동으로 조회된 수진자 정보로부터 임플란트 및 틀니의 보험청구 내역을 확인하여 전자차트에 다음 단계 진료계획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은,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고객관계관리 메뉴에 진입하는 단계와, 진입된 고객관계관리 메뉴에서, 수진자 조회를 통해 조회되어 저장되어 있던 보험 대상자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여 보험 대상자임을 알려주는 단계와, 보험 대상자 리스트에 포함되는 소정의 보험 대상자에 진료 혜택을 권유하는 진료 홍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은,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화면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을 표시하며, 보험 대상자 여부를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정보 알림 아이콘을 표시하는 출력부와,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며, 수진자 조회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데스크에서 내원한 환자의 수진자 정보를 조회하여 임플란트 및 틀니 시술에 대한 보험 대상자 여부를 확인하고 임플란트 및 틀니 별 보험 대상자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데스크 화면에 임플란트 보험 대상자 및 틀니 보험 대상자 여부가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화면정보를 구성하고 구성된 화면정보를 출력부에 전송하는 제어부와,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명령과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수진자 조회 결과에 따라 환자가 보험 임플란트 대상자이면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활성화된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과 이미 보험 적용을 통해 장착된 임플란트 개수정보를 포함한 화면정보를 구성하고, 보험 틀니 대상자이면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활성화된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과 이미 보험 적용을 통해 장착된 틀니 부위 정보를 포함한 화면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는,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된 정보 알림 아이콘을 대상으로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임플란트 및 틀니 진료의 각 단계별 보험 청구정보를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따라 보험 청구일자와 중간의 누락 여부를 포함한 보험 청구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부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단계별 보험 청구정보 검색결과에 따라 임플란트 및 틀니 진료의 각 단계별로 중간에 보험청구가 누락된 단계가 있는 경우 보험청구 누락을 알리기 위해 해당 정보 알림 아이콘이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화면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는, 진료실에서 전자차트 메뉴 진입 시, 이전 환자 내원 시 기록된 보험 임플란트 및 보험 틀니 진료정보를 포함한 수진자 정보를 자동으로 조회하여 전자차트 화면에 보험 대상자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 알림 아이콘이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화면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진료실에서 전자차트 메뉴 진입 시, 자동으로 조회된 수진자 정보로부터 임플란트 및 틀니의 보험청구 내역을 확인하여 전자차트에 다음 단계 진료계획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고객관계관리 메뉴에 진입하면, 진입된 고객관계관리 메뉴에서 수진자 조회를 통해 조회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보험 대상자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출력부에 제공하여 보험 대상자임을 알려주고, 통신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보험 대상자 리스트의 지정된 보험 대상자에 진료 혜택을 권유하는 진료 홍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 및 틀니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보험 적용 대상자를 직관적이면서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치과에서 이미 보험 임플란트 시술 또는 보험 틀니 시술을 받은 환자를 해당 정보 알림 아이콘만으로 구분하여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정보 알림 아이콘을 이용하여 환자의 보험 적용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중복으로 보험 임플란트 또는 틀니 시술을 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보험청구 업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청구 시 중간 단계를 누락하고 입력했을 경우, 정보 알림 아이콘을 깜빡이며 알려줌에 따라 정보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차트 화면 진입 시, 당일 수진자 조회를 하지 않았을 경우 자동으로 수진자 조회가 되어 해당 환자가 보험 임플란트 대상자 또는 보험 틀니 대상자임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차트 메뉴 진입 시, 자동으로 조회된 수진자 정보로부터 임플란트 및 틀니의 보험청구 내역을 확인하여 전자차트에 다음 단계 진료계획을 제공하여 진료 계획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보험 임플란트 또는 틀니 대상자이지만 아직 혜택을 받지 않은 환자를 CRM 대상자로 자동 분류하여 해당 대상자들에게 진료를 권유함에 따라 만 65세 이상 임플란트 또는 틀니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을 유치하여 치과의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스크 메뉴에서의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메뉴에서의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RM 메뉴에서의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데스크 메뉴 진입 시 보험 대상자 알림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데스크 메뉴 진입 시 보험 대상자 알림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알림 아이콘의 표시 유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진료 메뉴 진입 시 보험 대상자 알림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CRM 메뉴 진입 시 보험 대상자 정보 제공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1)는 치과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치과 환자를 대상으로 정보 알림 아이콘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및 틀니 보험 대상자인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알려준다.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함에 따라 보험 대상자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정보 알림 아이콘은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과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을 포함한다. 아이콘은 시각 인터페이스로서, 다른 시각 인터페이스로 대체될 수 있다.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것은, 정보 알림 아이콘의 색상, 깜박거림, 헤드라인 처리, 크기 확대, 아이콘 내 문자나 그림 변화 등 사용자가 눈으로 변화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정부에서 만 65세 이상일 경우, 치과 임플란트(최대 2개 치아, 무치악적용 제외) 및 틀니(부분틀니, 완전틀니) 치료비의 30%만 본인이 부담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정보 알림 아이콘을 이용하여 보험 임플란트 대상자 여부 및 보험 틀니 대상자 여부를 쉽고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면, 만 65세 이상 임플란트 또는 틀니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을 유치하여 치과의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진자 조회만을 통해 해당 환자가 보험 임플란트 대상자 또는 보험 틀니 대상자임을 손쉽게 파악하고, 보험 대상자 중에 아직 혜택을 받지 못한 대상자에게 보험 임플란트 또는 보험 틀니를 권유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치과에서는 이미 보험 임플란트 시술 또는 보험 틀니 시술을 받은 환자를 해당 정보 알림 아이콘만으로 구분하여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의료진이 환자의 말만 믿고 보험 임플란트 또는 틀니 진료에 대한 상담 및 치료계획을 다 세웠는데, 치료를 위해 실제로 수진자 조회를 해보니 이미 혜택을 받은 환자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보 알림 아이콘을 이용하여 환자의 보험 적용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중복으로 보험 임플란트 또는 틀니 시술을 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1)는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이 설치 및 실행되며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가진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다. 사용자 단말은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서버에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화면정보를 구성한 후 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이 화면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은 환자의 내원 및 접수로부터 예진, 진료, 수납, 보험청구 및 병원관리 등 다양한 치과 업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치과 업무 관리 소프트웨어이다.
이하,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의 구성에 대해 후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1)는 입력부(10), 제어부(12), 출력부(14), 통신부(16) 및 저장부(18)를 포함한다.
출력부(14)는 제어부(12)로부터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화면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보험 대상자 여부를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정보 알림 아이콘을 표시한다. 출력부(14)는 제어부(12)로부터 화면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입력부(1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메뉴 진입 조작신호, 수진자 정보 요청신호, 확인 또는 변경 신호 등을 입력받는다.
제어부(12)는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조작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수진자 조회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데스크에서 내원한 환자의 수진자 정보를 조회하여 임플란트 및 틀니 시술에 대한 보험 대상자 여부를 확인한다. 임플란트 및 틀니 별 보험 대상자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데스크 화면에 임플란트 보험 대상자 및 틀니 보험 대상자 여부가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화면정보를 구성하고 구성된 화면정보를 출력부(14)에 전송한다. 저장부(18)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명령과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가 저장되며, 통신부(16)는 정보를 송수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는 수진자 조회 결과에 따라 환자가 보험 임플란트 대상자이면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활성화된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과 이미 보험 적용을 통해 장착된 임플란트 개수정보를 포함한 화면정보를 구성한다. 이때, 임플란트 개수정보는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 옆에 장착된 임플란트 개수를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보험 틀니 대상자이면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활성화된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과 이미 보험 적용을 통해 장착된 틀니 부위 정보를 포함한 화면정보를 구성한다. 이때 틀니 부위 정보는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 내에 장착된 틀니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는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된 정보 알림 아이콘을 대상으로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임플란트 및 틀니 진료의 각 단계별 보험 청구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결과에 따라 보험 청구일자와 중간의 누락 여부를 포함한 보험 청구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부(14)에 전송한다. 출력부(14)를 통해 보험 청구현황 정보가 출력되며, 사용자는 그간의 보험청구 현황과 함께 보험청구 누락 여부를 알 수 있다. 제어부(12)는 단계별 보험 청구정보 검색 결과에 따라 임플란트 및 틀니 진료의 각 단계별로 중간에 보험청구가 누락된 단계가 있는 경우, 보험청구 누락을 알리기 위해 해당 정보 알림 아이콘이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화면정보를 구성한다. 출력부(14)는 누락됨을 알리는 정보 알림 아이콘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정보 알림 아이콘을 5번 깜박깜박거리는 설정을 통해 사용자에 보험정보를 알린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는 진료실에서 전자차트 메뉴 진입 시, 이전 환자 내원 시 기록된 보험 임플란트 및 보험 틀니 진료정보를 포함한 수진자 정보를 자동으로 조회하여 전자차트 화면에 보험 대상자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 알림 아이콘이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화면정보를 구성한다. 이 경우는 진료실에서 수신자 조회를 하지 않아도 이전 환자 내원 시 저장부(18)에 저장해두었던 수진자 정보를 자동 검색하여 정보 알림 아이콘을 표시하는 방법이다. 나아가, 제어부(12)는 진료실에서 전자차트 메뉴 진입 시, 자동으로 조회된 수진자 정보로부터 임플란트 및 틀니의 보험청구 내역을 확인하여 전자차트에 다음 단계 진료계획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에 틀니 1단계 진료를 완료한 환자의 경우, 이번에 2단계 진료를 해야 한다는 알림 메시지를 띄워 준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는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이하 'CRM'이라 칭함) 메뉴에 진입하면, 진입된 CRM 메뉴에서 사용자 요청 시 수진자 조회를 통해 조회되어 저장부(18)에 저장해두었던 보험 대상자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출력부(14)에 제공하여 보험 대상자임을 알려준다. 이때, 통신부(16)는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의해 보험 대상자 리스트의 지정된 보험 대상자에 진료 혜택을 권유하는 진료 홍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스크 메뉴에서의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1)는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데스크 메뉴에 진입한다(S200). 데스크에서 데스크 메뉴를 통해 내원한 환자의 수진자 정보를 조회하여 임플란트 및 틀니 시술에 대한 보험 대상자 여부를 확인한다(S210). 이어서, 임플란트 및 틀니 별 보험 대상자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데스크 화면에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한다(S220). 정보 알림 아이콘은 임플란트 환자가 보험 대상자임을 알려주는 임플란트 보험정보 알림 아이콘과, 틀니 보험 대상자 여부를 알려주는 틀니 보험정보 알림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알림 아이콘 표시 단계(S220)에서,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1)는 환자가 보험 임플란트 대상자이면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을 활성화하고 이미 보험 적용을 통해 장착된 임플란트 개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보험 틀니 대상자이면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을 활성화하고 이미 보험 적용을 통해 장착된 틀니 부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임플란트 개수정보 표시는, 활성화된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 옆에 장착된 임플란트 개수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틀니 부위 정보 표시는, 활성화된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 내에 장착된 틀니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알림 아이콘 표시 단계(S22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1)는 치과용 통합 관리 프로그램의 데스크 메뉴에 진입하여 사용자로부터 수진자 조회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수진자 조회 요청에 따라 보험공단에 수진자 조회를 요청하여 보험 대상자 여부를 포함한 수진자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수진자 정보에 기반하여 환자가 보험 적용된 틀니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 보험 적용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을 활성화하여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한다. 획득된 수진자 정보에 기반하여 환자가 보험 적용된 임플란트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 보험 적용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을 활성화하여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은, 데스크 화면에서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된 정보 알림 아이콘을 대상으로 사용자로부터 선택신호를 입력받으면 임플란트 및 틀니 진료의 각 단계별 보험 청구정보를 검색하여 보험 청구일자와 중간의 누락 여부를 포함한 보험 청구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별 보험 청구정보 검색결과에 따라 임플란트 및 틀니 진료의 각 단계별로 중간에 보험청구가 누락된 단계가 있는 경우 보험청구 누락을 알리기 위해 해당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은,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1)는 데스크 화면에서 정보 알림 아이콘 위에 마우스가 올려지는 사용자 동작(over)을 감지하면 세부보험정보를 툴 팁으로 제공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 정보 알림 아이콘 위에 마우스가 올려지면, 현재 장착되어 있는 임플란트의 치아번호와 장착 날짜 정보를 포함한 툴 팁을 제공한다. 다른 예로, 데스크 화면에서 틀니 정보 알림 아이콘 위에 마우스가 올려지는 사용자 동작을 감지하면, 현재 장착되어 있는 틀니의 위치와 장착 날짜 정보를 포함한 툴 팁을 제공한다. 툴 팁은 임플란트 정보 알림 아이콘 또는 틀니 정보 알림 아이콘에 오버랩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메뉴에서의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진료실에서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전자차트 메뉴에 진입한다(S300). 그리고 진료실에서 수신자 조회를 하지 않아도 이전 환자 내원 시 저장된 수진자 정보를 자동 검색하여 전자차트 화면에 보험 대상자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한다(S310). 진료실에서 전자차트 메뉴 진입 시, 이전 환자 내원 시 기록된 보험 임플란트 및 보험 틀니 진료정보를 포함한 수진자 정보를 자동으로 조회하여 전자차트 화면에 보험 대상자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자동으로 조회된 수진자 정보로부터 임플란트 및 틀니의 보험청구 내역을 확인하여 전자차트에 다음 단계 진료계획을 표시한다(S32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RM 메뉴에서의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CRM 메뉴에 진입한다(S400). 진입된 CRM 메뉴에서 수진자 조회를 통해 조회되어 저장되어 있던 보험 대상자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여 보험 대상자임을 알려준다(S410). 나아가, 보험 대상자 리스트에 포함되는 소정의 보험 대상자에 진료 혜택을 권유하는 진료 홍보 메시지를 전송한다(S42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데스크 메뉴 진입 시 보험 대상자 알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데스크 메뉴에 진입하면, 사용자, 예를 들어 치과 직원이 수진자 조회 버튼(510)을 클릭한다. 그러면, 해당 환자의 보험공단 수진자 조회 팝업 창(520)이 화면에 표시된다. 보험공단 수진자 조회 팝업 창(520)에는 보험공단으로부터 수신된 보험정보가 표시된다. 수진자 조회를 통해 환자가 만 65세 이상 노인이어서 틀니 보험 대상자 또는 임플란트 보험 대상자인 경우 보험공단 수진자 조회 팝업 창(520)의 하단에 틀니 보험정보와 임플란트 보험정보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틀니 보험의 경우 상악, 하악 등의 보험정보를 알려주며, 임플란트의 경우 임플란트 시술 횟수에 따른 보험정보를 알려준다. 사용자가 보험공단 수진자 조회 팝업 창(520)에서 정보 변경/확인 버튼(530)을 클릭하면, 보험정보 확인 팝업 창(540)이 실행된다.
보험정보 확인 팝업 창(540)은 수진자 조회를 통해 변경된 보험정보가 있을 경우 변경 이력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변경 전 보험정보에는 수진자 조회 이전 마지막 저장된 보험정보가 표시되고, 변경 후 보험정보에는 현재 수진자 조회로 획득한 보험정보가 표시된다.
보험정보 확인 팝업 창(540)에서 사용자가 추가 버튼(550)을 클릭하면, 변경 후 보험정보(=보험공단 수진자 조회 팝업 창(520)에서 조회됐던 정보)를 틀니 시술정보(560) 및 임플란트 시술정보(570)에 갱신한다. 사용자가 닫기 버튼(550)을 클릭하면, 틀니 시술정보(560) 및 임플란트 시술정보(570)는 변경되지 않는다.
틀니 시술정보(560) 및 임플란트 시술정보(570)는 수진자 조회 후 변경된 정보가 갱신된다. 환자가 보험 틀니를 장착하고 있을 경우, 보험 틀니 정보(560)가 갱신되고 틀니 보험정보 알림 아이콘(562)이 활성화된다. 환자가 보험 임플란트를 장착하고 있을 경우, 보험 임플란트 정보(570)가 갱신되고 임플란트 보험정보 알림 아이콘(572)이 활성화된다.
사용자가 틀니 보험정보 알림 아이콘(562) 위에 마우스를 놓으면(over), 툴 팁(580)으로 보험 틀니의 틀니 장착 위치와 장착일자 정보가 표시된다. 유사하게, 임플란트 보험정보 알림 아이콘(572) 위에 사용자가 마우스를 놓으면(over), 툴 팁(580)으로 보험 임플란트의 시술 위치와 시술날짜 정보가 표시된다. 툴 팁(580)은 정보 알림 아이콘(562, 572)에 오버랩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데스크 메뉴 진입 시 보험 대상자 알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데스크 메뉴에 들어가서, 수진자 조회 버튼(610)을 클릭하면, 해당 환자의 보험정보가 조회되어 정보 알림 아이콘(620)이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된다. 정보 알림 아이콘(620)은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과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을 포함한다. 환자가 보험 임플란트 대상자이면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을 활성화하여 표시하고, 틀니 임플란트 대상자이면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을 활성화하여 표시한다.
사용자가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620)을 클릭하면, 급여 틀니, 임플란트 현황 팝업 창(630)이 표시된다. 급여 틀니, 임플란트 현황 팝업 창(630)에는 급여 틀니, 임플란트의 단계별 보험 청구일자가 표시된다. 보험 청구가 되지 않은 단계는 '누락'이라 기재됨에 따라, 사용자가 누락된 보험을 청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보험 임플란트 청구는 1~3단계로, 부분 틀니는 1~6단계, 완전 틀니는 1~5단계로 나뉘어져 있다. 해당 진료는 각 단계별로 순차적으로 보험 청구해야 한다. 각 청구 단계 중 청구가 누락된 단계가 있는 경우, 해당 정보 알림 아이콘을 깜박거리며 사용자에 보험정보를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중간에 청구가 누락된 경우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누락된 보험을 청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알림 아이콘의 표시 유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의 옆에 이미 보험 적용을 통해 장착된 임플란트 개수정보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된 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의 숫자 0은 보험 임플란트 대상자이고 0개 임플란트 식립을 의미하고, 숫자 1은 보험 임플란트 대상자이고 1개 임플란트 식립을 의미하며, 숫자 2는 보험 임플란트 대상자이고 2개 임플란트 식립을 의미한다.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 내에는 이미 보험 적용을 통해 장착된 틀니 부위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 내 치아의 위치에 따라 장착한 틀니가 상악인지 하악인지 전악인지 등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진료 메뉴 진입 시 보험 대상자 알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환자의 이전 내원일자에 이미 보험 임플란트, 틀니 진료정보를 입력 및 기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차트 메뉴(810)에 진입하면, 자동으로 보험 대상자 아이콘(820)이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된다. 보험 대상자 아이콘(820) 표시와 함께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위한 알림 메시지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에는 "3단계를 입력하겠습니까?" 등의 알림 창(830)이 표시된다.
이전 보험 틀니 정보를 입력한 치아번호에 다음 단계 진료가 프로그레스 노트(progress note)(840)에 기록된다. 프로그레스 노트(840)에는 입력한 진료기록이 표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CRM 메뉴 진입 시 보험 대상자 정보 제공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CRM 메뉴(910)에 들어가서, 보험 임플란트 및 틀니 대상자 검색 메뉴(920)를 클릭하면, 수진자 정보 조회 시 저장되어 있던 보험 임플란트 및 틀니 대상자 리스트(930)가 표시된다. 이때, 보험 임플란트 및 틀니 대상자들은 보험 대상자이면서 아직 진료 혜택을 받지 않았거나 진료 단계가 남은 환자들이다. 보험 임플란트 및 틀니 대상자 리스트(930)에는 환자명, 차트번호, 연락처 정보, 최종 진료일, 최종 진료내역, 대상자 여부 정보, SMS 수신 동의 여부 정보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가 보험 임플란트 및 틀니 대상자 리스트(930)에서 소정의 환자를 선택한 후 SMS 버튼(940)을 클릭하면 해당 사용자의 연락처로 보험 임플란트 및 틀니 진료 홍보 메시지가 전송된다. 도 9에서는 SMS 메시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홍보 메시지 전송방법은 SMS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수단을 통해 전달할 수 있으면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데스크에서 내원한 환자의 수진자 정보를 조회하여 임플란트 및 틀니 시술에 대한 보험 대상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임플란트 및 틀니 별 보험 대상자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데스크 화면에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보험 대상자에 대해 보험청구 누락 여부를 포함하여 임플란트 및 틀니 진료의 각 단계별 보험 청구정보 현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정보 알림 아이콘은 환자가 임플란트 보험 대상자임을 알려주는 임플란트 보험정보 알림 아이콘과, 틀니 보험 대상자 여부를 알려주는 틀니 보험정보 알림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환자가 보험 임플란트 대상자이면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을 활성화하고 이미 보험 적용을 통해 장착된 임플란트 개수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환자가 보험 틀니 대상자이면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을 활성화하고 이미 보험 적용을 통해 장착된 틀니 부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개수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활성화된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 옆에 장착된 임플란트 개수를 숫자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틀니 부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활성화된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 내에 장착된 틀니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치과용 통합 관리 프로그램의 데스크 메뉴에 진입하여 사용자로부터 수진자 조회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진자 조회 요청에 따라 보험공단에 수진자 조회를 요청하여 보험 대상자 여부를 포함한 수진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수진자 정보에 기반하여 환자가 보험 적용된 틀니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 보험 적용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을 활성화하여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획득된 수진자 정보에 기반하여 환자가 보험 적용된 임플란트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 보험 적용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을 활성화하여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단계별 보험 청구정보 현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데스크 화면에서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된 정보 알림 아이콘을 대상으로 사용자로부터 선택신호를 입력받으면 임플란트 및 틀니 진료의 각 단계별 보험 청구정보를 검색하여 보험 청구일자와 중간의 누락 여부를 포함한 보험 청구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은
    단계별 보험 청구정보 검색결과에 따라 임플란트 및 틀니 진료의 각 단계별로 중간에 보험청구가 누락된 단계가 있는 경우 보험청구 누락을 알리기 위해 해당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은
    데스크 화면에서 임플란트 정보 알림 아이콘 위에 마우스가 올려지는 사용자 동작을 감지하여 현재 장착되어 있는 임플란트의 치아번호와 장착 날짜 정보를 포함한 툴 팁을 제공하는 단계; 및
    데스크 화면에서 틀니 정보 알림 아이콘 위에 마우스가 올려지는 사용자 동작을 감지하여 현재 장착되어 있는 틀니의 위치와 장착 날짜 정보를 포함한 툴 팁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은
    진료실에서 수신자 조회를 하지 않아도 이전 환자 내원 시 저장된 수진자 정보를 검색하여 전자차트 화면에 보험 대상자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전자차트 화면에서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진료실에서 전자차트 메뉴 진입 시, 이전 환자 내원 시 기록된 보험 임플란트 및 보험 틀니 진료정보를 포함한 수진자 정보를 자동으로 조회하여 전자차트 화면에 보험 대상자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진료실에서 전자차트 메뉴 진입 시, 자동으로 조회된 수진자 정보로부터 임플란트 및 틀니의 보험청구 내역을 확인하여 전자차트에 다음 단계 진료계획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11. 데스크에서 내원한 환자의 수진자 정보를 조회하여 임플란트 및 틀니 시술에 대한 보험 대상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임플란트 및 틀니 별 보험 대상자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데스크 화면에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고객관계관리 메뉴에 진입하는 단계;
    진입된 고객관계관리 메뉴에서, 수진자 조회를 통해 조회되어 저장되어 있던 보험 대상자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여 보험 대상자임을 알려주는 단계; 및
    보험 대상자 리스트에 포함되는 소정의 보험 대상자에 진료 혜택을 권유하는 진료 홍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정보 알림 아이콘은 환자가 임플란트 보험 대상자임을 알려주는 임플란트 보험정보 알림 아이콘과, 틀니 보험 대상자 여부를 알려주는 틀니 보험정보 알림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12.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화면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을 표시하며, 보험 대상자 여부를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정보 알림 아이콘을 표시하는 출력부;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며, 수진자 조회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데스크에서 내원한 환자의 수진자 정보를 조회하여 임플란트 및 틀니 시술에 대한 보험 대상자 여부를 확인하고 임플란트 및 틀니 별 보험 대상자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데스크 화면에 임플란트 보험 대상자 및 틀니 보험 대상자 여부가 정보 알림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화면정보를 구성하고 구성된 화면정보를 출력부에 전송하는 제어부;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명령과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보험청구 누락 여부를 포함하여 임플란트 및 틀니 진료의 각 단계별 보험 청구정보 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수진자 조회 결과에 따라 환자가 보험 임플란트 대상자이면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활성화된 임플란트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과 이미 보험 적용을 통해 장착된 임플란트 개수정보를 포함한 화면정보를 구성하고,
    보험 틀니 대상자이면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활성화된 틀니 보험 정보 알림 아이콘과 이미 보험 적용을 통해 장착된 틀니 부위 정보를 포함한 화면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된 정보 알림 아이콘을 대상으로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임플란트 및 틀니 진료의 각 단계별 보험 청구정보를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따라 보험 청구일자와 중간의 누락 여부를 포함한 보험 청구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단계별 보험 청구정보 검색결과에 따라 임플란트 및 틀니 진료의 각 단계별로 중간에 보험청구가 누락된 단계가 있는 경우 보험청구 누락을 알리기 위해 해당 정보 알림 아이콘이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화면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진료실에서 전자차트 메뉴 진입 시, 이전 환자 내원 시 기록된 보험 임플란트 및 보험 틀니 진료정보를 포함한 수진자 정보를 자동으로 조회하여 전자차트 화면에 보험 대상자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 알림 아이콘이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화면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진료실에서 전자차트 메뉴 진입 시, 자동으로 조회된 수진자 정보로부터 임플란트 및 틀니의 보험청구 내역을 확인하여 전자차트에 다음 단계 진료계획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
  18.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화면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을 표시하며, 보험 대상자 여부를 시각적으로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정보 알림 아이콘을 표시하는 출력부;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며,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고객관계관리 메뉴에 진입하면, 진입된 고객관계관리 메뉴에서 수진자 조회를 통해 조회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보험 대상자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출력부에 제공하여 보험 대상자임을 알려주는 제어부;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명령과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보험 대상자 리스트의 지정된 보험 대상자에 진료 혜택을 권유하는 진료 홍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 대상자 알림 장치.
KR1020180140176A 2018-11-14 2018-11-14 치과 임플란트 및 틀니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KR102173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176A KR102173500B1 (ko) 2018-11-14 2018-11-14 치과 임플란트 및 틀니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176A KR102173500B1 (ko) 2018-11-14 2018-11-14 치과 임플란트 및 틀니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177A KR20200056177A (ko) 2020-05-22
KR102173500B1 true KR102173500B1 (ko) 2020-11-03

Family

ID=7091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176A KR102173500B1 (ko) 2018-11-14 2018-11-14 치과 임플란트 및 틀니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975B1 (ko) * 2020-09-14 2022-10-2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 보험 청구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 업무 관리장치
KR102574227B1 (ko) * 2021-03-12 2023-09-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의료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KR102484283B1 (ko) * 2021-12-16 2023-01-04 주식회사 덴컴 치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851B1 (ko) * 2013-04-18 2013-08-29 국민건강보험공단 수진자 자격조회 시스템 및 방법, 및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010A (ko) * 2009-05-29 2010-12-08 (주)바텍이우홀딩스 치과용 전자차트 시스템 및 그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851B1 (ko) * 2013-04-18 2013-08-29 국민건강보험공단 수진자 자격조회 시스템 및 방법,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177A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0368B2 (en) Health care prescription synchronization between patient and health care provider
KR101769480B1 (ko) 병원 진료 예약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102173500B1 (ko) 치과 임플란트 및 틀니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US20180280784A1 (en) Physical therapy management system
CN105830072A (zh) 将用户角色和用于呈现临床信息、音频、视频和通信控制的情境感知算法进行组合以安全地捕获护理员注意力、减少信息过载并且优化工作流和决策支持的独特方法
US20200326406A1 (en) Clinic Wait-Time Visibility and Reservations
KR102314889B1 (ko)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2182579B1 (ko) 전자차트와 치과용 프로그램 간 연동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치과용 보험청구 시스템
CA2943272C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 veterinary practice
US20210313053A1 (en)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227833B1 (ko) 진료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354002B1 (ko) 전자차트 조회방법 이를 위한 전자차트 제공장치
US201302900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patient specific content
JP2015069578A (ja) 患畜用電子カルテ装置における処理方法、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患畜用電子カルテ装置
TW201701224A (zh) 看診順序安排方法、系統與一電腦可讀取儲存裝置
US20130151271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care coordination in healthcare
JP2018136834A (ja) 病院情報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220145558A (ko)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
JP6827727B2 (ja) 病院情報システム
Lamber et al. Message-based patient guidance in day-hospital
US201302185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patient specific content at a point of care
KR102194047B1 (ko) 재료구입 신고 자동 알람 기능을 제공하는 치과 보험 청구 방법 및 그 장치
KR102382541B1 (ko) 고객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501273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information update based on procedure preference information
US20200075147A1 (en) Remote controlled digital system that connects patient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