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889B1 -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889B1
KR102314889B1 KR1020190143401A KR20190143401A KR102314889B1 KR 102314889 B1 KR102314889 B1 KR 102314889B1 KR 1020190143401 A KR1020190143401 A KR 1020190143401A KR 20190143401 A KR20190143401 A KR 20190143401A KR 102314889 B1 KR102314889 B1 KR 102314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information
screen
electronic chart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6673A (ko
Inventor
유희정
최석우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3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8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Abstract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는,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 사용 시 치료계획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고 의무기록지 입력 및 예약 등록 시 치료정보에서 필요한 정보를 가져와 자동으로 제공함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하면서 체계적인 치료 및 고객관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 {Method for proving electronic chart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분석 및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 및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는 환자의 내원 및 접수로부터 현재증상, 치료, 수납, 보험청구 및 병원 관리 등 다양한 치과 업무를 관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차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차트 제공 시, 오늘 시행한 치료 입력, 다음 치료에 대한 정보 입력, 예약정보 입력 등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입력해야만 하므로 입력 과정이 복잡하다. 이로 인해 사용에 불편함이 따르고 업무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예약 등록 시 사용자가 다음 번 시행할 치료를 정확히 알지 못해 고객의 불만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 사용 시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체계적인 치료 및 고객관리가 가능한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자차트 제공방법은, 치료계획 별로 치료순서가 정의된 치료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상태에서, 환자 선택입력 후 전자차트를 실행하는 단계와, 전자차트 실행 시 환자의 치료계획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획득된 치료계획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치료순서를 가지는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치료순서에 따라 치료가 시행되면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로부터 의무기록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치료정보는 치료계획에 따라 치료순서대로 사전에 설정된 치료진행 단계, 내원간격 및 소요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계획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단계에서,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과 연동된 상담 프로그램에서 치료계획을 수립 후 기입하면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의 전자차트에 치료계획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치료정보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순서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치료정보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순서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치료정보 화면에서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치료가 시행되지 않은 치료순서의 치료정보와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치료정보 화면에서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마지막 치료순서의 뒷 순서로 배치하는 단계와, 치료정보 화면에서 다음 치료 시 시행할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다른 치료정보와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다수의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 해당하는 치료순서의 소요시간은 합산하고 내원간격은 상대적으로 긴 치료에 맞추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의무기록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에서, 치료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치료정보로부터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아번호 및 치료내역을 획득한 후, 획득한 치아번호 및 치료내역을 의무기록지에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치료내역은 처치(Treatment: Tx), 주요호소증상(Chief Complaint: CC), 메모(Memo), 현재증상(Present illness: PI), 상병(Diagnosis: Dx), 처방(Prescription: R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의무기록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에서, 치료정보 화면과 의무기록지 화면 사이의 소정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치료정보 화면에 보여지는 치료순서들의 정렬과는 반대의 정렬순서로 치료내역들을 의무기록지에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의무기록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에서, 치료정보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치료순서의 항목을 선택 입력 받는 조작신호를 치료가 시행된 것으로 판단하여 선택된 치료순서의 의무기록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의무기록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에서, 치료순서에 따라 동일한 치료일자에 다수의 치료가 시행되면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내역을 동시에 의무기록지에 입력할 수 있다.
전자차트 제공방법은, 예약 등록 시 다음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로부터 예약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약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다음 치료순서의 치료진행 단계 및 치아번호를 예약등록 화면의 예약내용 및 치아번호에 각각 표시하고, 다음 치료순서의 소요시간을 예약등록 화면의 예약된 치료 시 소요시간으로 표시하며, 다음 치료순서의 내원간격을 이용하여 다음 치료순서의 예약가능 일시를 계산하고 계산된 예약가능 일시를 예약등록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제공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출력부와,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며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부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치료계획 별로 치료순서가 정의된 치료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상태에서, 환자 선택입력 후 전자차트를 실행하는 전자차트 실행부와, 전자차트 실행 시 환자의 치료계획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치료계획 제공부와, 치료계획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치료순서를 가지는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치료정보 제공부와, 치료순서에 따라 치료가 시행되면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로부터 의무기록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의무기록지 제공부를 포함한다.
치료정보는 치료계획에 따라 치료순서대로 사전에 설정된 치료진행 단계, 내원간격 및 소요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의무기록지 제공부는, 치료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치료정보로부터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아번호 및 치료내역을 획득한 후, 획득한 치아번호 및 치료내역을 의무기록지에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치료내역은 처치(Treatment: Tx), 주요호소증상(Chief Complaint: CC), 메모(Memo), 현재증상(Present illness: PI), 상병(Diagnosis: Dx), 처방(Prescription: R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차트 제공장치는, 예약 등록 시 다음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로부터 예약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예약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 사용 시 치료계획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고, 의무기록지 입력 및 예약 등록 시 치료정보에서 필요한 정보를 가져와 자동으로 제공함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하면서 체계적인 치료와 고객관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치료정보를 분석하여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로부터 의무기록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치료계획 입력 시 미리 설정된 치료정보를 의무기록지 입력 시 연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무기록지에 치아번호와 치료내역을 수동으로 기입하는 단계가 생략되므로, 의무기록지 작성 업무가 간단화되어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실수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치료정보를 분석하여 다음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로부터 예약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다음 치료내용, 치료시기 및 소요시간 등이 예약등록 화면으로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치과 직원이 다음 번 시행할 치료를 정확히 알 수 있으므로 의사에게 확인하는 절차가 생략되어, 치과 직원의 실수로 예약이 잘 못 잡히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제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계획 별 치료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제공장치의 치료정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제공장치의 의무기록지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제공장치의 예약등록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예약등록 화면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제공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제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으며,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가진다.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고, 서버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과 서버에 일부 기능들이 각각 분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화면정보를 구성한 후 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이 화면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치과 의사, 치과 직원 등일 수 있다. 사용자는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저장된 내용을 조회할 수 있고, 치료를 목적으로 조회된 정보를 파악한 후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은 보험청구 프로그램, 영상진단 프로그램, 교정진단 프로그램, 상담 프로그램 등 다양하다. 각 프로그램은 동일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서로 상이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보험청구 프로그램은 환자의 내원 및 접수로부터 현재증상, 치료, 수납, 보험청구 및 병원 관리 등 다양한 치과 업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치과 업무 관리 소프트웨어이다. 보험청구 프로그램을 통해 전자차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진단 프로그램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진단하는 소프트웨어이다. 교정진단 프로그램은 교정치료 및 악교정 수술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로서, 촬영 영상으로 교정진단 등의 각종 분석을 할 수 있다. 상담 프로그램은 다양한 환자의 상담을 통해 치료계획을 수립한다.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은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용 업무 통합관리 프로그램은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연동된 다른 프로그램 아이콘이 생성되고, 해당 아이콘을 마우스 클릭하는 사용자 동작을 통해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프로그램 화면 내에서 보험청구 프로그램, 영상진단 프로그램, 교정진단 프로그램 및 상담 프로그램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입력부(10), 제어부(12), 출력부(14), 통신부(16) 및 저장부(18)를 포함한다.
출력부(14)는 제어부(12)로부터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의 화면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입력부(1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의 메뉴 진입 조작신호, 편집 요청신호 등을 입력 받는다.
제어부(12)는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를 관리하고 정보를 출력부(14)에 전송하여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는 전자차트 메뉴를 설정 및 관리한다. 전자차트의 경우, 제어부(12)가 관리하는 정보로서, 환자정보는 전자차트의 명칭을 나타내는 차트 명칭 정보, 환자의 아이디, 성명, 생년월일, 성별, 차트의 생성일, 차트의 최종 수정일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들이 전자차트 제공장치(1)의 화면 내 지정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전자차트 메뉴를 설정한다. 제어부(12)는 환자 치아의 치료와 관련한 치료정보를 입력하거나 관련된 사항을 조회하기 위한 아이콘, 메뉴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화면을 출력부(14)에 전송한다. 출력부(14)는 구성된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는 전자차트 실행 시 전자차트 화면을 구성하는데, 전자차트 화면은 치료정보 화면, 의무기록지(Progress Note) 화면, 영상 화면 및 예약등록 화면 등으로 구성된다.
치료정보 화면에 표시되는 치료정보는 치료계획에 따라 일련의 치료순서를 가지는데, 사전에 설정된다. 치료정보는 치료순서 별로 치료진행 단계, 내원간격 및 소요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계획은 치료종류, 치료방법, 치료재료 등과 관련되는 것으로,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과 연동된 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 이를 획득하여 전자차트에 자동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치료계획 별 치료정보의 예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의무기록지 화면에 표시되는 의무기록지 정보는 치료 수행 시 생성되는 치료내용으로서, 치료일자에 치료한 치아번호 및 치료내역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무기록지 입력 시, 치료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치료정보로부터 의무기록지 입력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한 정보를 의무기록지에 자동으로 입력한다. 일반적으로 의무기록지는 치료 시 사용자가 직접 기입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치료일자에 시행한 치료에 대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치아번호를 선택하고, 처치(Treatment: Tx) 버튼을 선택하여 처치 내역을 수동으로 입력한다.
그러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로부터 의무기록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의무기록지 자동 생성'은 의무기록지에 치료내용이 자동으로 입력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치료계획 입력 시 미리 설정된 치료정보를 의무기록지 입력 시 연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무기록지에 치아번호와 치료내역을 수동으로 기입하는 단계가 생략될 수 있으며, 체계적인 진료와 고객관리가 가능하다.
예약등록 화면에 표시되는 예약정보는 예약내용, 예약된 치료 시 소요시간, 예약일시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약등록 시, 치료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치료정보로부터 예약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한 정보를 예약등록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예약정보는 치료 완료 이후 다음 번 치료를 위해 사용자가 직접 기입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다음 번 시행할 치료를 선택하고, 예약시기, 소요시간 등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한다. 그러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치료 예약 등록 시 다음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로부터 예약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다음 치료내용, 치료시기 및 소요시간 등이 예약등록 화면으로 연동되어 정확하고 체계적인 환자관리가 가능하다. 숙련되지 않은 치과 직원의 경우 다음 번 시행할 치료를 몰라 의사에게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며, 치과 직원의 실수로 예약이 잘 못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치과 업무 프로그램에서 다음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로부터 예약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함에 따라, 치과 직원이 다음 번 시행할 치료를 정확히 알 수 있으므로 의사에게 확인하는 절차가 생략되며, 치과 직원의 실수로 예약이 잘 못 잡히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저장부(18)는 제어부(12) 실행을 위한 명령 및 제어부(12) 실행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가 저장된다. 저장부(18)에 저장되는 정보는 치료계획 정보, 치료정보, 의무기록지 정보, 예약정보 등이 있다. 통신부(16)는 정보를 외부와 송수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는 사전 설정부(121), 전자차트 실행부(122), 치료계획 제공부(123), 치료정보 제공부(124), 의무기록지 제공부(125) 및 예약정보 제공부(126)를 포함한다.
사전 설정부(121)는 치료계획 별로 치료순서가 정의된 치료정보를 사전에 설정한다. 치료정보 사전 설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전자차트 실행부(122)는 환자 선택입력 후 전자차트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 내 전자차트 메뉴에 대한 마우스 클릭 등의 사용자 동작을 감지하면 전자차트를 실행할 수 있다.
치료계획 제공부(123)는 전자차트 실행 시 환자의 치료계획을 획득하여 제공한다.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과 연동된 상담 프로그램에서 치료계획을 수립 후 기입하면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 의 전자차트 내 치료정보 화면에 치료계획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치료정보 제공부(124)는 치료계획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치료순서를 가지는 치료정보를 제공한다. 치료정보 제공부(124)는 치료정보 제공 시 다수의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 각 치료순서의 소요시간은 합산하고 내원간격은 상대적으로 긴 치료에 맞출 수 있다.
치료정보 제공부(124)는 치료정보 제공 시 정렬기능 및 편집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정렬기능은 치료정보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순서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한 기능이다. 편집기능은 치료정보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정보 삭제, 변경 및 추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다.
치료정보 제공부(124)는 치료정보 제공 시 치료정보 화면에서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정보 제공부(124)는 의무기록지 제공부(125)를 통해 의무기록지 화면에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의무기록지 정보가 입력되면 치료정보 화면에서 해당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치료정보 화면에서 다음 치료 시 시행할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시각적 구분은 해당 치료정보에 소거 선을 표시하는 방법, 강조하는 강조 선을 추가로 표시하는 방법,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방법,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방법, 다른 치료정보와는 분리시켜 표시하는 방법, 다른 치료정보와 색상, 모양 등을 다르게 표시하는 방법 등 다양하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의무기록지 제공부(125)는 치료순서에 따라 치료가 시행되면 치료정보를 분석하여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로부터 의무기록지를 생성한 후 이를 제공한다.
의무기록지 제공부(125)는 치료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치료정보로부터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아번호 및 치료내역을 획득한 후, 획득한 치아번호 및 치료내역을 의무기록지에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치료내역은 처치(Treatment: Tx), 주요호소증상(Chief Complaint: CC), 메모(Memo), 현재증상(Present illness: PI), 상병(Diagnosis: Dx), 처방(Prescription: R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의무기록지 화면의 치료내역은 치료정보의 치료진행 단계 정보에서 획득할 수 있다.
의무기록지 제공부(125)는 치료정보 화면과 의무기록지 화면 사이의 소정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치료정보 화면에 보여지는 치료순서들의 정렬과는 반대의 정렬순서로 치료내역들을 의무기록지에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정보 화면에는 마지막 치료순서의 치료단계부터 첫 치료순서의 치료단계 순으로 역순으로 보여지는 경우, 의무기록지 화면에는 첫 치료순서의 치료에 따른 치료내역부터 다음 치료순서의 치료에 따른 치료내역 순으로 차례대로 보여진다.
의무기록지 제공부(125)는 치료정보 화면에서 입력부(10)로부터 소정의 치료순서의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수신하면 치료가 시행된 것으로 판단하여 선택된 치료순서의 의무기록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동일한 치료일자에 다수의 치료가 시행된 경우, 치료정보 화면에서 입력부(10)로부터 해당하는 치료순서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수신하면,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내역을 동시에 의무기록지에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예약정보 제공부(126)는 예약 등록 시 치료정보를 분석하여 다음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로부터 예약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예약정보 제공부(126)는 다음 치료순서의 치료진행 단계 및 치아번호를 예약등록 화면의 예약내용에 표시한다. 또한, 다음 치료순서의 소요시간을 예약등록 화면의 예약된 치료 시 소요시간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다음 치료순서의 내원간격을 이용하여 예약가능 일시를 계산하여 계산된 예약가능 일시를 예약등록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5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계획 별 치료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치료정보 화면에 표시되는 치료정보는 치료계획에 따라 치료순서를 가지며, 치료순서 별로 치료진행 단계(Step), 내원간격(Interval) 및 소요시간(Time)을 포함한다. 치료계획은 치료종류, 치료방법, 치료재료 등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계획은 대분류(Sub1), 중분류(Sub2), 소분류(Sub3)로 분류될 수 있는데, 도 2에서는 대분류(Sub1)의 예로 '보철'을, 중분류(Sub2)의 예로 '크라운'을, 소분류(Sub3)의 예로 '골드, 포세린, 지르코니아, 지르코니아'를 도시하고 있다. 대분류(Sub1)의 다른 예로, '보존, 치주, 외과, 임플란트, 교정' 등이 있을 수 있다.
치료진행 단계(Step)는 소분류가 '골드'인 경우, '①단계; Prep + Impression, 임시치아 접착, ②단계; 임시접착, ③단계; 영구접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내원간격(Interval)은 이전 치료진행 단계의 치료일자로부터 현재 치료진행 단계의 치료일자까지의 간격을 의미하는데, 일(Day: D), 달(Month: M), 년(Year: Y) 단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소요시간(Time)은 현재 치료진행 단계를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는데, 시(Hour: H), 분(Min: M) 단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 각 치료순서의 소요시간(Time)은 합산하고 내원간격(Interval)은 상대적으로 긴 치료에 맞추도록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1 단계가 '소요시간(Time): 30분, 내원간격(Interval): 4D'이고, 2-2 단계가 '소요시간(Time): 60분, 내원간격(Interval): 1W'이며, 2-1 단계와 2-2 단계를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 이를 합쳐 2 단계를 생성하고, 2 단계의 소요시간은 90분(30분+60분)로, 내원간격은 1W(1W > 4D)로 조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제공장치의 치료정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환자 선택입력(예를 들어, 김환자(1), 40세, 남) 후 전자차트를 실행하면, 환자의 치료계획(310)과, 치료계획(310)에 따른 치료순서(320), 치료진행 단계(330), 내원간격(340) 및 소요시간(350) 등이 치료정보 화면(30)에 표시된다. 전자차트 실행은 사용자가 치과 업무 프로그램의 전자차트 메뉴(20)에 대한 마우스 클릭 등과 같은 사용자 동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치료계획(310)은 예를 들어, '46 오스템임플란트(기성, PFM, Cr) / 27 Gold Crown S'일 수 있다. 여기서, '46, 27'은 치아번호를 의미한다. 치료계획(310)이 획득되면, 치료계획(310)에 맞춘 치료순서(320), 치료진행 단계(330), 내원간격(340) 및 소요시간(350)을 포함하는 치료정보가 자동으로 치료정보 화면(30)에 표시된다. 치료정보는 치료계획 별로 사전에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치료 패턴이나 선호도 등에 따라 수동으로 조작하여 수정할 수 있다. 치료진행 단계(330)는 치료순서대로 치료할 치아번호와 진행내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1번 치료순서'의 치료진행 단계(330)는 '46번 진단 및 수술 전 처치'와, '27번 Gold Cr Prep & Impression' 이다. 여러 치료를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 해당하는 치료순서의 소요시간은 합산하고 내원간격은 상대적으로 긴 치료에 맞춰 표시될 수 있다.
정렬 인터페이스(360)는 치료정보 화면(30)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치료순서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편집 인터페이스(370)는 치료정보 화면(30)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치료정보 삭제, 변경 및 추가 등의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제공장치의 의무기록지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자차트 메뉴 실행 시, 치료정보 화면(30)과 함께 의무기록지 화면(40)이 표시된다. 도 4에서는 소정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치료정보 화면(30)이 좌측 상단에 표시되고, 의무기록지 화면(40)이 좌측 하단에 표시되어 있으나, 화면 레이아웃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도 가능하다.
의무기록지 화면(40)에는 치료일자(410), 치아번호(420) 및 치료내역(430)을 포함하는 치료내용이 입력되며, 사용자가 이를 조회할 수 있다. 치료내역(430)은 처치(Treatment: Tx), 주요호소증상(Chief Complaint: CC), 메모(Memo), 현재증상(Present illness: PI), 상병(Diagnosis: Dx), 처방(Prescription: Rx)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의무기록지의 치료내용은 사전에 정의된 치료계획 별 치료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처치(Treatment: Tx) 정보의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진행 단계가 '진단 및 수술 전 처리' 인 경우, '임플란트 진단 및 치료 계획 - 1회, Surgical Stent 제작 - 1회, 파노라마 촬영 - 1회, CT 종영 - 1회, Prophylaxis - 1회, Scaling 1회'이다. 주요호소증상(Chief Complaint: CC)의 예로, '충치겹침. 이가 시려요. 잇몸이 붓고 피가 나요.'가 있고, 메모(Memo)의 예로 '원장님 사모님 대학교 동기라고 하심. 부모님 임플란트 문의하심.' 등이 있다. 현재증상(Present illness: PI) 정보의 예로서, '치아 우식, 치아 파절' 있고, 상병(Diagnosis: Dx)의 예로서, '비가역적 치수염'이 있다.
치료를 시행한 경우, 사용자가 치료정보 화면(30)에서 치료가 시행된 소정의 치료정보, 예를 들어 1번 치료순서의 치료진행 단계(381)를 클릭하면, 선택된 1번 치료순서의 치료내역이 의무기록지 화면(40)에 자동으로 입력된다. 일반적으로 의무기록지 작성을 위해서는 치료 시행 이후 사용자가 치아번호를 선택하고, 처치(Treatment: Tx)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내용을 입력하는 등 치료내역을 직접 입력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치료계획에 따른 치료정보를 이용하여 의무기록지를 자동으로 생성함에 따라 전술한 사용자의 치료내역 입력 과정이 불필요하다.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치료정보 화면(30)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치료순서의 항목을 선택하면 치료가 시행된 것으로 판단하여 선택된 치료순서의 의무기록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정보 화면(30)에서 사용자가 1번 치료순서(382)의 치료진행 단계를 선택하면 1번 치료순서(382)의 치료가 시행된 것으로 판단하여 선택된 1번 치료순서(382)의 치료내역이 의무기록지 화면(40)에 자동으로 입력한다.
의무기록지 화면(40) 제공 시, 치료순서에 따라 동일한 치료일자에 다수의 치료가 시행된 경우,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내역을 동시에 의무기록지에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정보 화면(30)에서 사용자가 1번 치료순서(382)를 선택하면 치료일자(2019-06-10)에 '46번 진단 및 수술 전 처치'와, '27번 Gold Cr Prep & Impression', 두 가지에 대한 치료내역이 의무기록지 화면(40)에 자동으로 입력된다.
의무기록지 화면(40)에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의무기록지 정보가 입력되면, 치료정보 화면(30)에서 해당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 치료순서와 2번 치료순서의 치료내역이 의무기록지 화면(40)에 자동으로 입력 되면, 치료정보 화면(30)에서 1번 치료순서와 2번 치료순서의 치료정보가 소거 선과 색상을 다르게 하여 표시된다(382). 다른 예로, 치료정보 화면(30)에서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마지막 치료순서의 뒷 순서로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료가 시행된 치료진행 단계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의미기록지 화면(40)에 보여지는 치료내역들의 정렬순서는, 치료정보 화면(30)과 의무기록지 화면(40) 사이의 소정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치료정보 화면(30)에 보여지는 치료순서들의 정렬과 반대의 정렬순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정보 화면(30)에는 마지막 치료순서의 치료단계(도 4의 7단계)부터 첫 치료순서의 치료단계(도 4의 1단계) 순으로 역순으로 보여지는 경우, 의무기록지 화면(40)에는 첫 치료순서(도 4의 1단계)의 치료(2019-06-10)에 따른 치료내역부터 다음 치료순서의 치료에 따른 치료내역 순으로 차례대로 보여진다.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치료정보 화면(30)에서 다음 치료 시 시행할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번 내원 시 시행할 치료에 해당하는 치료순서의 치료정보에 대해 'Next' (383) 등을 표기하여 사용자가 다음 번 치료진행 단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치료정보 화면(30)에서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마지막 치료순서의 뒷 순서로 배치할 수 있다.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는 맨 뒤로 보내는 회전 형식 등으로 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제공장치의 예약등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예약등록 화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예약등록 화면(50)은 환자정보, 이름/차트번호, 연락처, 최근 치료내역, 최근 예약내역, 최근 리콜내역, 예약정보를 포함한다. 예약정보는 예약일시(510), 소요시간(520), 담당의사, 예약내용(530), 치아번호(540) 등을 포함한다. 예약등록 화면(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차트 화면에서 새로운 윈도우 형태로 팝업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1번째, 2번째 치료순서에 대한 치료 완료 이후 예약등록 메뉴를 클릭하여 치료예약 등록 시 다음 치료순서(3번째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로부터 예약정보를 생성하여 예약등록 화면(5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치료정보 화면(30) 내 다음 치료순서(3번째 치료순서)의 치료진행 단계(수술 후 1주 Check-up, Cr-Final Setting) 및 치아번호(46번, 27번)를 예약등록 화면(50)의 예약내용(530) 및 치아번호(540)에 각각 표시하고, 치료정보 화면(30) 내 다음 치료순서의 소요시간(45분)을 예약등록 화면(50)의 예약된 치료 시 소요시간(520)으로 표시하며, 치료정보 화면(30) 내 다음 치료순서의 내원간격(1W)을 이용하여 예약가능 일시를 계산하고 계산된 예약가능 일시(510)를 예약등록 화면(50)에 표시한다. 예약등록 화면(50)에서 사용자가 직접 예약정보를 수정할 수도 있다.
예약등록 화면(50)에 자동으로 다음 번 치료의 치료내용과 소요시간 및 내원간격 등이 표시됨에 따라, 예약등록 시 치과 직원이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환자관리를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차트 제공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치료계획 별로 치료순서가 정의된 치료정보를 사전에 설정한다(S710). 치료정보 사전 설정 예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바 있다. 이어서,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환자 선택입력 후 전자차트를 실행한다(S720).
이어서,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전자차트 실행 시 환자의 치료계획을 획득하여 제공한다(S730). 치료계획 획득 및 제공 단계(S730)에서,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과 연동된 상담 프로그램에서 치료계획을 수립 후 기입하면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의 전자차트에 치료계획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획득된 치료계획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치료순서를 가지는 치료정보를 제공한다(S740). 치료정보는 치료계획에 따라 치료순서대로 사전에 설정된 치료진행 단계, 내원간격 및 소요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정보 제공 단계(S740)에서,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치료정보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순서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순서를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치료정보 제공 단계(S740)에서,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치료정보 화면에서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치료가 시행되지 않은 치료순서의 치료정보와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치료정보 화면에서 다음 치료 시 시행할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다른 치료정보와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치료정보 화면에서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마지막 치료순서의 뒷 순서로 배치할 수 있다.
치료정보 제공 단계(S740)에서,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다수의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 해당하는 치료순서의 소요시간은 합산하고 내원간격은 상대적으로 긴 치료에 맞추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치료순서에 따라 치료가 시행되면, 치료정보를 분석하여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로부터 의무기록지를 생성한 후 이를 제공한다(S750). 이때, '의무기록지 생성'은 의무기록지에 치료내용이 자동으로 입력되는 것을 의미한다.
의무기록지 생성 및 제공 단계(S750)에서,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치료정보로부터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아번호 및 치료내역을 획득하여 의무기록지에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치료내역은 처치(Treatment: Tx), 주요호소증상(Chief Complaint: CC), 메모(Memo), 현재증상(Present illness: PI), 상병(Diagnosis: Dx), 처방(Prescription: R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의무기록지 생성 및 제공 단계(S750)에서,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치료정보 화면과 의무기록지 화면 사이의 소정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치료정보 화면에 보여지는 치료순서들의 정렬과는 반대의 정렬순서로 치료내역들을 의무기록지에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의무기록지 생성 및 제공 단계(S750)에서,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치료정보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치료순서의 항목을 선택 입력 받는 조작신호를 치료가 시행된 것으로 판단하여 선택된 치료순서의 의무기록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치료순서에 따라 동일한 치료일자에 다수의 치료가 시행되면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내역을 동시에 의무기록지에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예약 등록 시 치료정보를 분석하여 다음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로부터 예약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제공한다(S760).
예약정보 생성 및 제공 단계(S760)에서, 전자차트 제공장치(1)는 다음 치료순서의 치료진행 단계 및 치아번호를 예약등록 화면의 예약내용 및 치아번호에 각각 표시하고, 다음 치료순서의 소요시간을 예약등록 화면의 예약된 치료 시 소요시간으로 표시하며, 다음 치료순서의 내원간격을 이용하여 예약가능 일시를 계산하고 계산된 예약가능 일시를 예약등록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자차트 제공방법에 있어서,
    치료계획 별로 치료순서가 정의된 치료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상태에서, 환자 선택입력 후 전자차트를 실행하는 단계;
    전자차트 실행 시 환자의 치료계획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단계;
    획득된 치료계획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치료순서를 가지는 치료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치료순서에 따라 치료가 시행되면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의무기록지에 연계하여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의무기록지에 연계하여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치료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치료정보로부터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아번호 및 치료내역을 획득한 후, 획득한 치아번호 및 치료내역을 의무기록지에 자동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차트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치료정보는
    치료계획에 따라 치료순서대로 사전에 설정된 치료진행 단계, 내원간격 및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차트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치료계획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과 연동된 상담 프로그램에서 치료계획을 수립 후 기입하면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의 전자차트에 치료계획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차트 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치료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치료정보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순서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치료정보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순서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차트 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치료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치료정보 화면에서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치료가 시행되지 않은 치료순서의 치료정보와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치료정보 화면에서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마지막 치료순서의 뒷 순서로 배치하는 단계; 및
    치료정보 화면에서 다음 치료 시 시행할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다른 치료정보와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차트 제공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치료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다수의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 해당하는 치료순서의 소요시간은 합산하고 내원간격은 상대적으로 긴 치료에 맞추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차트 제공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치료내역은 처치(Treatment: Tx), 주요호소증상(Chief Complaint: CC), 메모(Memo), 현재증상(Present illness: PI), 상병(Diagnosis: Dx), 처방(Prescription: R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차트 제공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의무기록지에 연계하여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치료정보 화면과 의무기록지 화면 사이의 소정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치료정보 화면에 보여지는 치료순서들의 정렬과는 반대의 정렬순서로 치료내역들을 의무기록지에 정렬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차트 제공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의무기록지에 연계하여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치료정보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치료순서의 항목을 선택 입력 받는 조작신호를 치료가 시행된 것으로 판단하여 선택된 치료순서의 의무기록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차트 제공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의무기록지에 연계하여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치료순서에 따라 동일한 치료일자에 다수의 치료가 시행되면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내역을 동시에 의무기록지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차트 제공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차트 제공방법은
    예약 등록 시 다음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로부터 예약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차트 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예약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하는 단계는
    다음 치료순서의 치료진행 단계 및 치아번호를 예약등록 화면의 예약내용 및 치아번호에 각각 표시하고,
    다음 치료순서의 소요시간을 예약등록 화면의 예약된 치료 시 소요시간으로 표시하며,
    다음 치료순서의 내원간격을 이용하여 다음 치료순서의 예약가능 일시를 계산하고 계산된 예약가능 일시를 예약등록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차트 제공방법.
  13. 화면을 표시하는 출력부;
    사용자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및
    치과용 업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며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부에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치료계획 별로 치료순서가 정의된 치료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상태에서, 환자 선택입력 후 전자차트를 실행하는 전자차트 실행부;
    전자차트 실행 시 환자의 치료계획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치료계획 제공부;
    치료계획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치료순서를 가지는 치료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표시하는 치료정보 제공부; 및
    치료순서에 따라 치료가 시행되면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의무기록지에 연계하여 출력부를 통해 자동으로 표시하는 의무기록지 제공부; 를 포함하며,
    의무기록지 제공부는
    치료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치료정보로부터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아번호 및 치료내역을 획득한 후, 획득한 치아번호 및 치료내역을 출력부를 통해 의무기록지에 자동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차트 제공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치료정보는
    치료계획에 따라 치료순서대로 사전에 설정된 치료진행 단계, 내원간격 및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차트 제공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치료내역은 처치(Treatment: Tx), 주요호소증상(Chief Complaint: CC), 메모(Memo), 현재증상(Present illness: PI), 상병(Diagnosis: Dx), 처방(Prescription: R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차트 제공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전자차트 제공장치는
    예약 등록 시 다음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로부터 예약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예약정보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차트 제공장치.
KR1020190143401A 2019-11-11 2019-11-11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2314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401A KR102314889B1 (ko) 2019-11-11 2019-11-11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401A KR102314889B1 (ko) 2019-11-11 2019-11-11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673A KR20210056673A (ko) 2021-05-20
KR102314889B1 true KR102314889B1 (ko) 2021-10-19

Family

ID=7614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401A KR102314889B1 (ko) 2019-11-11 2019-11-11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8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400B1 (ko) 2022-05-16 2023-08-29 김민애 치과병원 업무관리 시스템
KR20230157658A (ko) 2022-05-10 2023-11-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소프트웨어의 환자 관리 화면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918B1 (ko) * 2021-08-30 2023-09-27 박상일 치과의 진료서비스와 계속구강건강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WO2023080702A1 (ko) * 2021-11-04 2023-05-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진료기록 작성 자동화 및 치과 보험심사 자동화를 위한 방법 및 자동화된 치아차트 및 치과치료확인서 생성 및 검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546A (ko) * 2001-03-07 2002-09-13 (주)메디코텍 치과용 통합 진단 시스템
KR20130014884A (ko) * 2011-08-01 2013-02-12 주식회사지니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658A (ko) 2022-05-10 2023-11-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소프트웨어의 환자 관리 화면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KR102572400B1 (ko) 2022-05-16 2023-08-29 김민애 치과병원 업무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673A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889B1 (ko)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
US105294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ntal treatment recommendations
US6736776B2 (en) Method for diagnosing and interpreting dental conditions
US804109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on of retinal changes
US20160210424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 medical treatment plan
US20060173858A1 (en) Graphical medical data acquisition system
US11776677B2 (en) Computer vision-based analysis of provider data
US20210134440A1 (en) Dental image analysis and treatment planning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engine
CN106469255B (zh) 医疗信息的整合处理方法
US99283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programming of data entry workflows between system developers, end users, and third party developers
WO2007081757A9 (en) Total dentist
WO2009008889A1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and operating a dental practice
US11837334B2 (en) Whole-life, medication management, and ordering display system
KR102173500B1 (ko) 치과 임플란트 및 틀니 보험 대상자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KR102354002B1 (ko) 전자차트 조회방법 이를 위한 전자차트 제공장치
JP2012143528A (ja) 口腔内撮影表示システム
US20080091469A1 (en) System for prescribing customized medical procedures
US20150006193A1 (en) Creating a personalized patient pathway
WO2021062335A1 (en) Intelligent, individualized medical and image management system
KR20210116947A (ko) 치과용 전자 동의서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 업무 관리장치
KR20210064923A (ko) 치과용 동의서 관리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 업무 관리장치
KR20210155867A (ko)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538637B1 (ko)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및 치과 업무 관리장치
KR102369100B1 (ko) 멀티 파노라마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장치
KR20230097247A (ko)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