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637B1 -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및 치과 업무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및 치과 업무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637B1
KR102538637B1 KR1020210032238A KR20210032238A KR102538637B1 KR 102538637 B1 KR102538637 B1 KR 102538637B1 KR 1020210032238 A KR1020210032238 A KR 1020210032238A KR 20210032238 A KR20210032238 A KR 20210032238A KR 102538637 B1 KR102538637 B1 KR 102538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information
pore
scree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7652A (ko
Inventor
최예실
유희정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63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및 치과 업무 관리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및 치과 업무 관리장치는,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 사용 시 환자의 미리 입력된 진료정보를 기공 의뢰서에 자동으로 연계하여 표시함에 따라 기공 의뢰서 작성시간을 단축하고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및 치과 업무 관리장치 {Method for managing dental supplies form and a dental practice management system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데이터 분석 및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 및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는 환자의 내원 및 접수부터 현재증상 관리, 진료, 수납, 보험청구 및 병원 관리 등 다양한 치과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고 있다.
치과 업무 중 기공물 의뢰 및 도착 관리는 매일 반복되는 일상 업무로서, 치과에서는 기공물 제작 의뢰를 위한 기공 의뢰서 작성과 납품요구 확인을 위한 기공 장부 관리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7-0103489 (2017년09월13일 공개)
일 실시 예에 따라,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 사용 시 진료정보를 연동하여 기공 의뢰서를 신속하게 작성하고, 체계적인 기공 의뢰서 의뢰 및 기공물 도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및 치과 업무 관리장치를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은, 환자 진료 시 전자차트의 진료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사용자 요청에 의해 기공물 제작 의뢰를 위한 기공 의뢰서를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된 기공 의뢰서에 상기 입력된 진료정보를 자동으로 연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진료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음영(Shade) 정보 입력 호출 유무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음영 정보 입력 호출이 설정되어 있으면 음영 정보 입력 화면을 제공하여 음영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와, 음영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된 음영 정보를 진료정보에 자동으로 입력 및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음영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음영 입력이 필요한 리스트를 치아 모양 및 치아 방향에 맞춰 표시하는 단계와, 음영 정보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치아영역을 부위 별로 분할하는 단계와, 분할된 부위 별로 음영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으로 연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기공 의뢰서 호출 시 기공 의뢰서 및 진료정보 연계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기공 의뢰서 및 진료정보가 연계 설정되어 있으면 진료정보에서 기공 의뢰서 작성을 위해 필요한 치식, 기공물 종류, 음영 정보 및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이를 기공 의뢰서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은, 기공 의뢰서들의 전송 및 미전송 처리상태를 알려주는 기공 의뢰서 관리정보를 기공물 관리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공 의뢰서 관리정보는, 기공 의뢰서 전송상태를 요약해서 보여주는 기공 의뢰서 전송 요약정보와, 기공 의뢰서 별 세부내역을 보여주는 기공 의뢰서 전송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고, 기공 의뢰서 전송 요약정보는 미리 설정된 기간의 기공 의뢰서의 총 건수, 전송된 건수, 미전송된 건수 및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기공 의뢰서 전송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은, 선택된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기공 의뢰서가 전송되면 예약내역에 기공물이 의뢰되었음을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은, 기공 의뢰된 기공물의 도착 및 미도착 처리상태를 알려주는 기공물 관리정보를 기공물 관리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공물 관리정보는 기공물 도착상태를 요약해서 보여주는 기공물 도착 요약정보와, 기공물 별 세부내역을 보여주는 기공물 도착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고, 기공물 도착 요약정보는 미리 설정된 기간의 기공물의 총 건수, 도착된 건수, 미도착된 건수 및 도착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은, 기공물 도착 처리 시 예약내역에 기공물이 도착되었음을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은, 기공물 버튼 설정을 통하여 진료정보에 입력된 기공물 종류를 포함한 수가정보와 기공물 버튼의 기공물 종류, 버튼 명, 추가항목, 코드매핑, 납품 요구일, 음영(Shade) 입력 유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연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업무 관리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출력부와,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와,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며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부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기공물 제작 의뢰를 위한 기공 의뢰서 작성 시에, 기공 의뢰서에 환자 진료 시 입력된 전자차트의 진료정보를 자동으로 연계하여 반영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 사용 시 진료정보를 연동해 기공 의뢰서를 신속하게 작성하고, 체계적인 기공 의뢰서 의뢰 및 기공물 도착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하면서 진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업무 관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가관리 설정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hade 정보 입력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hade 정보 입력화면에서의 Shade 정보 입력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hade 정보 입력 시 전자차트 진료내역에 Shade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공 의뢰서 작성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공 의뢰서 작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늘의 기공물 대시보드 내 기공 의뢰서 관리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공물 관리화면에서 기공 의뢰서 전송 선택 시 예약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늘의 기공물 대시보드 내 기공물 도착 관리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공물 관리화면에서 기공물 도착 선택 시 예약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공물 버튼 설정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위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업무 관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과 업무 관리장치(1)는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Practice Management System: PMS) 소프트웨어(이하, 'PMS 소프트웨어'라 칭함)를 설치 및 실행할 수 있으며,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가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른 PMS 소프트웨어는 PMS를 기반으로 환자의 내원/접수부터 각종 영상진단 및 데이터 확보, 진단 및 진료계획, 진료, 진료 후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유기적으로 연동하는 원스톱 디지털 덴티스트리(One Stop Digital Dentistry) 솔루션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치과 업무 관리장치(1)는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고, 서버 형태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과 서버에 일부 기능들이 각각 분산된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화면정보를 구성한 후 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이 화면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치과 의사, 치과 직원, 데스크, 상담실, 경영자 등일 수 있다. 사용자는 PMS 소프트웨어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저장된 내용을 조회할 수 있고, 진료를 목적으로 조회된 정보를 파악한 후 진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PMS 소프트웨어는 업무 통합 관리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PMS 소프트웨어 화면 내에서 보험청구 소프트웨어, 영상진단 소프트웨어, 수술 가이드 제작 소프트웨어, 교정진단 소프트웨어, CAD 소프트웨어, 치과 환자 상담 소프트웨어 등의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유기적으로 연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폭 넓은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PMS 소프트웨어는 데스크 메뉴, 전자차트 메뉴, 고객관계관리(Consu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이하 ‘CRM’이라 칭함) 메뉴, 수납 메뉴, 예약 메뉴, 청구 메뉴 등을 제공한다. 이 중 데스크 메뉴는 전신질환(Medical Alert) 정보 기능, 환자정보 기능, 개인정보제공 동의 기능, 데스크 뷰어 기능 등을 제공한다. 전신질환 기능을 통해 환자의 전신병력을 이력 하거나 확인할 수 있고, 전신병력 히스토리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차트 메뉴는 진료순서 제공 기능, 파노라마 뷰어 기능, 전신질환 정보 기능, 환자의 영상 썸네일 제공 기능, 내역 설명 기능 등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전자차트의 진료내역과 기공 의뢰서를 연계하는 기능에 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과 업무 관리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부(10)는 기공물 작성 및 기공물 관리를 위해 필요한 환자의 데이터를 획득한다.
입력부(16)는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소프트웨어의 메뉴 진입 조작신호, 편집 요청신호 등을 입력 받는다. 입력부(16)는 PMS 소프트웨어 또는 PMS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다른 소프트웨어를 통해 환자의 진료계획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PMS 소프트웨어의 데스크 화면 또는 진료실의 전자차트 화면에서 환자의 진료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환자의 환자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14)는 PMS 소프트웨어를 통해 치과 업무를 수행하고, 수행 시 생성되는 정보를 관리하고 정보를 출력부(18)에 전송하여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전자차트 메뉴를 설정 및 관리한다. 전자차트의 경우, 제어부(14)가 관리하는 정보로서, 전자차트의 명칭을 나타내는 차트 명칭 정보, 환자의 아이디, 성명, 생년월일, 연령, 성별, 차트의 생성일, 차트의 최종 수정일 등을 포함한다.
전자차트 화면은 진료순서 화면, 의무기록지(Progress Note) 화면, 영상 화면 및 예약등록 화면 등으로 구성된다. 진료순서 화면에 표시되는 진료정보는 진료계획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진료정보는 진료진행 단계, 진료진행 단계 별 내원간격 및 소요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의무기록지 화면에 표시되는 진료정보는 진료 수행 시 생성되는 진료내용으로서, 진료일자에 진료한 치아번호 및 진료내역을 포함한다. 진료내역은 처치(Treatment: Tx), 주요 호소 증상(Chief Complaint: CC), 메모(Memo), 현재 증상(Present illness: PI), 상병(Diagnosis: Dx), 처방(Prescription: R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의무기록지의 진료정보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료일자에 시행한 진료에 대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치아번호를 선택하고, 처치(Treatment: Tx) 버튼을 선택하여 처치 내역을 수동으로 입력한다. 의무기록지의 진료정보는 자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진료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진료정보로부터 의무기록지 입력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한 정보를 의무기록지에 자동으로 입력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의무기록지에 치아번호와 진료내역을 수동으로 입력하는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기공물 제작 의뢰를 위한 기공 의뢰서 작성 시에, 기공 의뢰서에 진료정보를 자동으로 연계하여 반영한다. 진료정보는 환자 진료 시 전자차트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는데, 기공 의뢰서 작성 시에 먼저 입력된 진료정보를 읽어 들인 후 기공 의뢰서에 이를 기록함에 따라, 기공 의뢰서 작성 시간을 단축시키며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기공 의뢰서와 연동되는 진료정보는 치식, 기공물 종류, 음영(Shade, 이하 'Shade'라 칭함) 정보,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hade 정보의 예는 도 5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작성된 기공 의뢰서들을 대상으로 전송 및 미전송된 처리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기공소 등으로부터 납품 받을 기공물 리스트를 표시하고 도착 및 미도착된 기공물에 대한 처리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서의 전송 및 미전송된 처리상태 정보와 도착 및 미도착된 처리상태 정보를 하나의 대시보드 형태로 요약하여 사용자에 보여줄 수 있다.
입력부(16)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기공 의뢰서 제작을 위한 사용자 조작신호, Shade 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조작신호, 기공 의뢰서 관리를 위한 사용자 조작신호, 기공물 관리를 위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입력부(16)의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진료정보 삭제, 변경 및 추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정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다.
출력부(18)는 제어부(14)로부터 소프트웨어의 화면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18)는 기공 의뢰서 화면, 기공 의뢰서를 관리하기 위한 화면, 기공물을 관리하기 위한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2)에는 제어부(14)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된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저장부(12)에는 사용자가 기공 의뢰서를 작성 또는 수정하였을 때, 작성 또는 수정된 기공 의뢰서 정보가 해당 환자의 환자정보와 함께 매칭되어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환자 진료 시 전자차트의 진료정보를 입력한다(S210). 진료정보는 수동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가 자동으로 진료정보를 생성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진료정보 입력 단계(S210)에서, 소프트웨어는 Shade 정보 입력 호출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Shade 정보 입력 호출이 설정되어 있으면 Shade 정보 입력 화면을 제공하여 Shade 정보를 입력 받는다. 이때, Shade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된 Shade 정보를 진료정보에 자동으로 입력 및 표시한다. Shade 정보 입력을 위해 소프트웨어는 Shade 입력이 필요한 리스트를 치아 모양 및 치아 방향에 맞춰 표시하고, Shade 정보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치아영역을 부위 별로 분할한 후 분할된 부위 별로 Shade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기공물 제작 의뢰를 위한 기공 의뢰서를 호출(S220) 하고, 호출된 기공 의뢰서에 입력된 진료정보를 자동으로 연계하여 표시한다(S230).
자동으로 연계하여 표시하는 단계(S23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는 기공 의뢰서 호출 시 기공 의뢰서 및 진료정보 연계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기공 의뢰서 및 진료정보가 연계 설정되어 있으면 진료정보에서 기공 의뢰서 작성을 위해 필요한 치식, 기공물 종류, Shade 정보 및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이를 기공 의뢰서에 반영한다.
나아가, 소프트웨어는 기공물 관리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240).
기공물 관리 화면 제공 단계(S240)에서, 소프트웨어는 기공 의뢰서들의 전송 및 미전송 처리상태를 알려주는 기공 의뢰서 관리정보를 기공물 관리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기공 의뢰서 관리정보는 기공 의뢰서 전송상태를 요약해서 보여주는 기공 의뢰서 전송 요약정보와, 기공 의뢰서 별 세부내역을 보여주는 기공 의뢰서 전송 리스트를 포함하고, 기공 의뢰서 전송 요약정보는 미리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오늘, 일 주, 한 달)의 기공 의뢰서의 총 건수, 전송된 건수, 미전송된 건수 및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선택에 의해 기공 의뢰서 전송방식을 선택하고, 소정의 기공 의뢰서 전송방식을 사용하여 기공 의뢰서가 전송되면, 예약내역에 기공물이 의뢰되었음을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기공물 관리 화면 제공 단계(S240)에서, 소프트웨어는 기공 의뢰된 기공물의 도착 및 미도착 처리상태를 알려주는 기공물 관리정보를 기공물 관리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기공물 관리정보는 기공물 도착상태를 요약해서 보여주는 기공물 도착 요약정보와, 기공물 별 세부내역을 보여주는 기공물 도착 리스트를 포함하고, 기공물 도착 요약정보는 미리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오늘, 일 주, 한 달)의 기공물의 총 건수, 도착된 건수, 미도착된 건수 및 도착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공물 도착 처리 시 예약내역에 기공물이 도착되었음을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은 기공물 버튼 설정을 통하여 진료정보에 입력된 기공물 종류를 포함한 수가정보와 기공물 버튼의 기공물 종류, 버튼 명, 추가항목, 코드매핑, 납품 요구일, Shade 입력 유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연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가관리 설정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수가관리 설정화면(31)에서 사용자 선택을 통해 기공 의뢰서 및 진료정보 연계여부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수가관리 설정화면(31)에서 사용자가 고급 설정 버튼(32)을 선택하면, 소프트웨어는 수가 고급 설정 팝업 화면(33)을 제공한다. 수가 고급 설정 팝업 화면(33)에서 사용자가 기공 의뢰서 아이콘(34)을 선택하면, 추후 사용자가 기공 의뢰서(70) 호출 시에, 기공 의뢰서(70)에 진료정보가 자동으로 연계되어 표시한다. 기공 의뢰서(70)와 연계되는 진료정보는 치식, 기공물 종류, Shade 정보, 영상 정보 등이 있다. 환자 진료 시 기 입력된 진료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에서 자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수가관리 설정화면(31)에서 사용자 선택을 통해 Shade 정보 입력 호출 유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가관리 설정화면(31)에서 사용자가 고급 설정 버튼(32)을 선택하면, 소프트웨어는 수가 고급 설정 팝업 화면(33)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수가 고급 설정 팝업 화면(33)의 2차 진료 선택 메뉴(35)에서 'Shade taking'을 선택하면, 추후 Shade taking 선택된 진료내역 입력 시에 Shade 정보 입력화면(42)이 제공된다. Shade taking(셰이드 테이킹)은 치아 보철물의 색상을 선택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수가관리 설정화면(31)에서 제공되는 설정 값은 기초 데이터에 포함되어 기본 값(default)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수정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hade 정보 입력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hade taking(41) 선택된 진료내역(60) 입력 시에 Shade 정보 입력화면(42)이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hade 정보 입력화면에서의 Shade 정보 입력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Shade 정보 입력화면(42)에서 Shade 정보 입력이 필요한 리스트를 치아 모양 및 치아 방향(상, 하악)에 맞춰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Shade 정보 입력화면(42)은 치아 별로 치아영역 분할 아이콘(전체, 2분할, 3분할), 투명층 선택 아이콘, 절단 선택 아이콘, 절단+인접 선택 아이콘, Shade 종류 선택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치아영역 분할 아이콘 선택을 통해 치아영역의 부위들을 분할하고, Shade 종류 선택 아이콘을 통해 분할된 부위 별로 Shade 종류(색상)를 선택할 수 있다. Shade 종류(색상)는 선택된 치아 방향(상, 하악)과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21 All Ceramic Cr(421)의 치아영역 분할 예와, #36 Zirconia Cr(422)의 Shade 종류 선택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hade 정보 입력 시 전자차트 진료내역에 Shade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hade 정보 입력화면(42)에서 Shade 정보가 입력되면, 소프트웨어는 전자차트의 진료내역(60)에 Shade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Shade 정보 입력화면(42)에서 Shade 정보 "#21 전체 A2 / 투명층 절단, #22 절단 A2, 중간 A2, 치경 A3 / 투명층 절단+인접"을 입력하고 저장하기를 선택하면, 전자차트 진료내역(60)에 해당 정보가 치아번호 순으로 자동으로 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공 의뢰서 작성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수가관리 설정화면에서 기공 의뢰서가 선택된 경우, 기공 의뢰서 버튼(71) 선택 등을 통해 기공 의뢰서 화면(70)을 호출하면, 기공 의뢰서 화면(70)의 기공 의료내역(72)에 진료정보가 자동으로 연계된 상태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기공 의료내역(72)에 자동으로 연계되는 진료정보는 치식(예: #21, #22), 기공물 종류(예: All Ceramic Cr), Shade 정보(#21 전체 A2 / 투명층 절단, #22 절단 A2, 중간 A2, 치경 A3 / 투명층 절단+인접),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공 의뢰서 화면에서 기공 의뢰서 내용을 수정, 추가, 삭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공 의뢰서 작성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수가관리 설정화면에서 기공 의뢰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가 기공물 관리 메뉴(81) 선택 등을 통해 기공물 관리 화면(80)을 호출하면, 소프트웨어는 기공물 관리 화면(80)을 통해 의뢰서 작성 대시보드(82)를 제공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의뢰서 작성 대시보드(82)를 통해 의뢰서를 작성할 또는 의뢰서가 작성된 환자 리스트(83)를 표시할 수 있다. 환자 리스트(83)에는 작성상태, 즉 작성 완료/작성 대기 정보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환자 리스트(83)에서 작성 대기 상태의 환자를 선택하면, 기공 의뢰내역(84)에 진료정보(치식, 기공물 종류, Shade 정보, 영상)가 연계되어 작성대기 상태로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기공 의뢰내역(84)을 확인 또는 수정한 후 저장하면, 작성대기 상태에서 작성 완료 상태로 전환된다. 사용자는 환자 리스트(83)에서 작성 완료 상태의 환자를 선택하여 기공 의뢰내역을 확인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늘의 기공물 대시보드 내 기공 의뢰서 관리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기공물 관리 메뉴(81) 선택 등을 통해 기공물 관리 화면(80)을 호출하면, 소프트웨어는 기공물 관리 화면(80)을 통해 오늘의 기공물 대시보드(91)를 제공할 수 있다. 오늘의 기공물 대시보드(91)는 기공 의뢰서 관리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기공 의뢰서 관리정보는 기공 의뢰서 전송상태를 요약해서 보여주는 기공 의뢰서 전송 요약정보(92)와, 기공 의뢰서 별 세부내역을 보여주는 기공 의뢰서 전송 리스트(93)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공 의뢰서 전송 요약정보(92)에서는 오늘의 기공 의뢰서의 총 건수/전송된 건수/미전송된 건수, 전송률을 표시하며, 전송률은 %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뢰서 전송 총 4건 / 전송 3건 / 미전송 1건, 전송률 75%'를 표시한다. 도 9에서는 기간을 '오늘'로 한정하고 있으나, 일 주, 한 달 등 미리 설정된 기간으로 대체 가능하다.
기공 의뢰서 전송 리스트(93)에서는 기공 의뢰서 별로 전송 상태인지 미전송 상태인지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기공 의뢰서 전송방식(94)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E-mail 전송, 파일로 내보내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기공 의뢰서 전송방식(94)은 모든 기공 의뢰서에 대해 일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공물 관리화면에서 기공 의뢰서 전송 선택 시 예약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9의 기공물 관리 화면(80)에서 기공 의뢰서를 전송 처리하면, 전송 처리된 내역은 예약화면(100)에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공 의뢰서 전송 아이콘(102)으로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전송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데스크/상담실/경영자 등이 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늘의 기공물 대시보드 내 기공물 도착 관리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기공물 관리 메뉴(81) 선택 등을 통해 기공물 관리 화면(80)을 호출하면, 기공물 관리 화면은 오늘의 기공물 대시보드(91)에서 기공물 도착 관리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기공물 도착 관리정보는 기공물 도착상태를 요약해서 보여주는 기공물 도착 요약정보(110)와, 기공물 별 세부내역을 보여주는 기공물 도착 리스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공물 도착 요약정보(110)에서는 오늘의 기공물의 총 건수/도착된 건수/미도착된 건수, 도착률을 표시하며, 도착률은 %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공물 도착 총 2건 / 도착 1건 / 미도착 1건 / 도착률 50%'를 표시한다. 도 11에서는 기간을 '오늘'로 한정하고 있으나, 일 주, 한 달 등 미리 설정된 기간으로 대체 가능하다.
기공물 도착 리스트(112)에서는 기공물 별로 도착 상태인지 미도착 상태인지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기공물 도착 관리정보를 통해 납품 받을 기공물 리스트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일괄 기공물 도착처리 버튼(114) 선택을 통해 일괄 기공물 도착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공물 관리화면에서 기공물 도착 선택 시 예약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11의 기공물 관리화면(80)에서 기공물 도착을 선택하면, 도착 처리된 기공물은 예약화면(100)에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공물 도착 아이콘(120)으로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기공물 도착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데스크/상담실/경영자 등이 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공물 버튼 설정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기공물 버튼 설정을 통하여 진료내역에 입력된 수가정보(기공물 종류)와 기공물 버튼의 정보를 연계한다. 예를 들어, 기공 의뢰서(70)의 설정 버튼(130) 선택을 통해 기공물 설정 화면(131)에 진입하고, 기공물 설정 화면(131)에서 기공물 버튼(132)의 정보와 진료내역의 수가정보(133) 연계를 설정할 수 있다. 기공물 버튼(132)의 정보는 기공물 종류, 버튼 명, 추가항목, 코드매핑, 납품 요구일, Shade 입력 유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공물 버튼(132)의 정보와 진료내역의 수가정보(133)가 연계된 경우, 기공 의뢰서 호출 시 기공물 버튼(132)이 선택된 상태로 호출되고, 기공물 버튼(132)에 설정된 설정 값(추가항목, 납품 요구일, Shade 입력 유무 등)을 유지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치과 업무 관리장치를 이용한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에 있어서, 치과 업무 관리장치가
    환자 진료 시 전자차트 화면에서 전자차트의 진료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사용자 요청에 의해 기공물 제작 의뢰를 위한 기공 의뢰서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된 기공 의뢰서에 상기 입력된 진료정보를 자동으로 연계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함에 따라, 전자차트 화면에서 진료정보가 입력되면, 별도로 호출한 기공 의뢰서에 기 작성된 전자차트의 진료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진료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음영(Shade) 정보 입력 호출 유무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음영 정보 입력 호출이 설정되어 있으면 음영 정보 입력 화면을 제공하여 음영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음영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된 음영 정보를 진료정보에 자동으로 입력 및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음영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음영 입력이 필요한 리스트를 치아 모양 및 치아 방향에 맞춰 표시하는 단계;
    음영 정보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치아영역을 부위 별로 분할하는 단계; 및
    분할된 부위 별로 음영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으로 연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기공 의뢰서 호출 시 기공 의뢰서 및 진료정보 연계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기공 의뢰서 및 진료정보가 연계 설정되어 있으면 진료정보에서 기공 의뢰서 작성을 위해 필요한 치식, 기공물 종류, 음영 정보 및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이를 기공 의뢰서에 반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은
    기공 의뢰서들의 전송 및 미전송 처리상태를 알려주는 기공 의뢰서 관리정보를 기공물 관리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기공 의뢰서 관리정보는
    기공 의뢰서 전송상태를 요약해서 보여주는 기공 의뢰서 전송 요약정보와, 기공 의뢰서 별 세부내역을 보여주는 기공 의뢰서 전송 리스트를 포함하고,
    기공 의뢰서 전송 요약정보는 미리 설정된 기간의 기공 의뢰서의 총 건수, 전송된 건수, 미전송된 건수 및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기공 의뢰서 전송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은
    선택된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기공 의뢰서가 전송되면 예약내역에 기공물이 의뢰되었음을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은
    기공 의뢰된 기공물의 도착 및 미도착 처리상태를 알려주는 기공물 관리정보를 기공물 관리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기공물 관리정보는
    기공물 도착상태를 요약해서 보여주는 기공물 도착 요약정보와, 기공물 별 세부내역을 보여주는 기공물 도착 리스트를 포함하고,
    기공물 도착 요약정보는 미리 설정된 기간의 기공물의 총 건수, 도착된 건수, 미도착된 건수 및 도착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은
    기공물 도착 처리 시 예약내역에 기공물이 도착되었음을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은
    기공물 버튼 설정을 통하여 진료정보에 입력된 기공물 종류를 포함한 수가정보와 기공물 버튼의 기공물 종류, 버튼 명, 추가항목, 코드매핑, 납품 요구일, 음영(Shade) 입력 유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연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13. 화면을 표시하는 출력부;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며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부에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기공물 제작 의뢰를 위한 기공 의뢰서 작성 시에, 기공 의뢰서에 환자 진료 시 전자차트 화면에서 입력된 전자차트의 진료정보를 자동으로 연계하여 반영하되, 전자차트 화면에서 진료정보가 입력되면, 별도로 호출한 기공 의뢰서에 기 작성된 전자차트의 진료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업무 관리장치.
KR1020210032238A 2021-03-11 2021-03-11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및 치과 업무 관리장치 KR102538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238A KR102538637B1 (ko) 2021-03-11 2021-03-11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및 치과 업무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238A KR102538637B1 (ko) 2021-03-11 2021-03-11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및 치과 업무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652A KR20220127652A (ko) 2022-09-20
KR102538637B1 true KR102538637B1 (ko) 2023-05-31

Family

ID=8344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238A KR102538637B1 (ko) 2021-03-11 2021-03-11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및 치과 업무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6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343B1 (ko) * 2014-11-28 2016-05-11 주식회사 피스티스 치과 병의원과 치과 기공소의 공정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489A (ko) 2016-03-04 2017-09-13 김태환 인터넷을 이용한 치과용 맞춤형 제조법
KR102632026B1 (ko) * 2017-02-02 2024-01-31 가부시키가이샤 디에스아이 지시서 발행 시스템, 지시서 발행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343B1 (ko) * 2014-11-28 2016-05-11 주식회사 피스티스 치과 병의원과 치과 기공소의 공정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652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03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hysician referrals
JP6907253B2 (ja) 会議支援システム、会議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294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ntal treatment recommendations
US80415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organizational efficiencies to deliver health care in an ambulatory health care setting
CN103337047B (zh) 会议准备装置及会议准备方法
WO2009008889A1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and operating a dental practice
US20070282636A1 (en) Document Deficiency and Workflow Management System
US20160210424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 medical treatment plan
KR102314889B1 (ko)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2354002B1 (ko) 전자차트 조회방법 이를 위한 전자차트 제공장치
KR102538637B1 (ko)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및 치과 업무 관리장치
WO2017173029A1 (en) Multi-dimensional timeline system for integrated treatment viewing, planning and coordination
JP6699115B2 (ja) 診療支援システム
US20070098243A1 (en) Smart destination image routing system
JP2013186651A (ja) 会議支援装置、会議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151271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care coordination in healthcare
JP2003058680A (ja) 業務管理システム
WO2008144676A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organizational efficiencies to deliver health care in an ambulatory health care setting
KR100452111B1 (ko) 치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75451B1 (ko)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Noll et al. Enhancing HIV Patient Support Through Telehealth: Exploring Design Solutions
JP6214506B2 (ja) 読影依頼振分装置、読影依頼振分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読影依頼振分プログラム
JP7381589B2 (ja) 病理画像管理システム
US202304192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hysician Referrals
JP2006318221A (ja) 医療管理システム、医療管理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