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867A -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867A
KR20210155867A KR1020200073193A KR20200073193A KR20210155867A KR 20210155867 A KR20210155867 A KR 20210155867A KR 1020200073193 A KR1020200073193 A KR 1020200073193A KR 20200073193 A KR20200073193 A KR 20200073193A KR 20210155867 A KR20210155867 A KR 20210155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patient
information
treatment inform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희정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3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5867A/ko
Publication of KR20210155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은,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 사용 시 신규 환자의 치료계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기본으로 제공하되, 그 이전에 동일한 환자정보를 가진 환자의 수정된 치료정보가 검색되면 검색된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환자의 상황에 따른 맞춤형 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proving patient-specific treatment information}
본 발명은 데이터 분석 및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 및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는 환자의 내원 및 접수로부터 현재증상, 치료, 수납, 보험청구 및 병원 관리 등 다양한 치과 업무를 관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전자차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차트 제공 시, 오늘 시행한 치료 입력, 다음 치료에 대한 정보 입력, 예약정보 입력 등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입력해야만 하므로 입력 과정이 복잡하다. 특히, 환자의 치료계획에 따라 치료순서를 일일이 입력하는 것은 사용에 불편함이 따르고 업무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임플란트와 같이 치료의 변동이 큰 진료를 하는 경우 매번 치료단계를 추가 또는 삭제하거나, 소요시간 및 내원간격을 수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 사용 시 환자 맞춤형으로 치료순서를 가진 치료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은, 신규 환자의 치료계획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신규 환자의 환자정보를 확인하여, 신규 환자와 동일한 환자정보를 가진 기존 환자를 대상으로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와 다르게 치료순서를 수정한 치료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정보가 검색되면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치료정보는, 치료계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치료진행 단계, 치료진행 단계 별 내원간격 및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료순서이며, 환자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수정 가능하다.
환자정보는 환자의 연령, 성별, 치료부위, 부가수술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치료부위는 상악, 하악, 전치부 및 구치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치료정보를 수정한 기존 환자와 동일한 치료부위를 치료하는 신규 환자의 진료 시 동일한 치료부위를 치료한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수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치료정보를 수정한 기존 환자와 동일 범주의 연령을 가진 신규 환자의 진료 시 동일 범주의 연령을 가진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은, 신규 환자의 치료계획 획득 이전에 기존 환자의 치료정보를 학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기존 환자의 치료정보를 학습하는 단계는, 기존 환자의 치료계획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치료계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공된 치료정보를 대상으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치료정보를 수정하는 단계와, 수정된 치료정보를 환자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는, 치료정보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순서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치료정보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순서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정된 치료정보를 환자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미리 환자정보를 치료부위, 환자 연령 및 성별로 분류한 상태에서, 치료정보 수정 시 수정된 치료정보를 분류된 치료부위, 연령 및 성별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치료계획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단계에서,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다른 소프트웨어에서 치료계획을 수립 후 기입하면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전자차트에 치료계획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은,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정보가 검색되지 않으면, 획득된 치료계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출력부와,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와,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며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부에 전송하는 제어부와, 치료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치료계획을 획득한 신규 환자의 환자정보와 동일한 환자정보를 가진 기존 환자가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와 다르게 치료순서를 수정한 치료정보가 있는지를 검색하고,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정보가 검색되면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한다.
제어부는 신규 환자의 치료계획 획득 이전에 기존 환자의 치료정보를 학습하되, 기존 환자의 치료계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치료정보를 대상으로 입력받은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정보가 수정되면, 수정된 치료정보를 환자정보와 매칭하여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 사용 시 치료계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되 환자의 연령, 성별, 치료부위 등의 환자정보에 따라 환자 맞춤형으로 치료순서를 수정하여 치료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환자의 치료상황에 최적의 치료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하면서 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 치료 시 환자의 치료부위와 부가수술 여부, 연령에 따른 골질에 따라 치료진행 단계, 치료진행 단계 별 내원간격 및 소요시간 등의 치료순서가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상악은 하악에 비해 골 유착 기간이 오래 걸리며, 골질이 나쁜 경우 또한 치료기간은 길어진다. 이 경우, 정형화된 치료순서를 수정해야 하는데, 미리 정의된 치료순서와 다르게 사용자가 치료순서를 수정한 경우, 그 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추후 동일한 환자정보(연령, 성별, 치료부위 등)을 가진 신규 환자 진료 시 수정된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환자의 다양한 상황(연령, 성별, 치료부위 등)에 적합한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정보 제공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정보 수정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위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장치(1)는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Practice Management System: PMS) 소프트웨어(이하, 'PMS 소프트웨어'라 칭함)를 설치 및 실행할 수 있으며,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가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른 PMS 소프트웨어는 PMS, 즉, 실무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환자의 내원/접수부터 각종 영상진단 및 데이터 확보, 진단 및 치료계획, 치료, 치료 후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유기적으로 연동하는 원스톱 디지털 덴티스트리(One Stop Digital Dentistry) 솔루션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장치(1)는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고, 서버 형태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과 서버에 일부 기능들이 각각 분산된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화면정보를 구성한 후 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이 화면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치과 의사, 치과 직원 등일 수 있다. 사용자는 PMS 소프트웨어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저장된 내용을 조회할 수 있고, 치료를 목적으로 조회된 정보를 파악한 후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PMS 소프트웨어는 업무 통합 관리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PMS 소프트웨어 화면 내에서 보험청구 소프트웨어, 영상진단 소프트웨어, 수술 가이드 제작 소프트웨어, 교정진단 소프트웨어, CAD 소프트웨어, 치과 환자 상담 소프트웨어 등의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유기적으로 연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폭 넓은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PMS 소프트웨어는 데스크 메뉴, 전자차트 메뉴, 고객관계관리(Consu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이하 ‘CRM’이라 칭함) 메뉴, 수납 메뉴, 예약 메뉴, 청구 메뉴 등을 제공한다. 이 중 데스크 메뉴는 전신질환(Medical Alert) 정보 기능, 환자정보 기능, 개인정보제공 동의 기능, 데스크 뷰어 기능 등을 제공한다. 전신질환 기능을 통해 환자의 전신병력을 이력 하거나 확인할 수 있고, 전신병력 히스토리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차트 메뉴는 치료순서 제공 기능, 파노라마 뷰어 기능, 전신질환 정보 기능, 환자의 영상 썸네일 제공 기능, 내역 설명 기능 등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전자차트 메뉴 진입을 통한 치료순서 제공 기능에 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장치(1)는 입력부(10), 제어부(12), 출력부(14), 통신부(16) 및 저장부(18)를 포함한다.
입력부(1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소프트웨어의 메뉴 진입 조작신호, 편집 요청신호 등을 입력 받는다. 입력부(10)는 PMS 소프트웨어 또는 PMS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다른 소프트웨어를 통해 환자의 치료계획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PMS 소프트웨어의 데스크 화면 또는 진료실의 전자차트 화면에서 환자의 치료계획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환자의 환자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환자정보는 전자차트의 명칭을 나타내는 차트 명칭 정보, 환자의 아이디, 성명, 생년월일, 연령, 성별, 차트의 생성일, 차트의 최종 수정일, 치료부위, 부가수술 여부 등을 포함한다. 치료부위는 상악, 하악, 전치부 및 구치부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환자 연령은 20-40대, 50대 이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골 유착 기간이 더 길어진다.
제어부(12)는 PMS 소프트웨어를 통해 치과 업무를 수행하고, 수행 시 생성되는 정보를 관리하고 정보를 출력부(14)에 전송하여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는 전자차트 메뉴를 설정 및 관리한다. 전자차트의 경우, 제어부(12)가 관리하는 정보로서, 전자차트의 명칭을 나타내는 차트 명칭 정보, 환자의 아이디, 성명, 생년월일, 연령, 성별, 차트의 생성일, 차트의 최종 수정일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들이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장치(1)의 화면 내 지정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전자차트 메뉴를 설정한다. 제어부(12)는 환자 치아의 치료와 관련한 치료정보를 입력하거나 관련된 사항을 조회하기 위한 아이콘, 메뉴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환자의 치료계획을 획득하여 제공한다. 치료계획은 치료종류, 치료방법, 치료재료 등과 관련되는 것으로, PMS 소프트웨어 또는 PMS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다른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 이를 획득하여 전자차트에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전자차트 진입 시 전자차트 화면을 구성하는데, 전자차트 화면은 치료정보 화면, 의무기록지(Progress Note) 화면, 영상 화면 및 예약등록 화면 등으로 구성된다. 치료정보 화면에 표시되는 치료정보는 치료계획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치료정보는 치료진행 단계, 치료진행 단계 별 내원간격 및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치료순서 정보이다. 치료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수정 가능하다.
제어부(12)는 기본적으로 치료계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를 가지는 치료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는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 치료 시 환자의 치료부위와 부가수술 여부, 연령에 따른 골질에 따라 치료진행 단계, 치료진행 단계 별 내원간격 및 소요시간 등의 치료순서가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상악은 하악에 비해 골 유착 기간이 오래 걸리며, 골질이 나쁜 경우 또한 치료기간은 길어진다. 이 경우,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를 사용자에 의해 수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는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와 다르게 사용자가 치료순서를 수정한 경우, 그 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추후 동일한 환자정보(연령, 성별, 치료부위 등)를 가진 신규 환자 진료 시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그대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환자의 다양한 상황(연령, 성별, 치료부위 등)에 적합한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치료정보 제공 시 다수의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 각 치료순서의 소요시간은 합산하고 내원간격은 상대적으로 긴 치료에 맞출 수 있다.
의무기록지 화면에 표시되는 의무기록지 정보는 치료 수행 시 생성되는 치료내용으로서, 치료일자에 치료한 치아번호 및 치료내역을 포함한다.
출력부(14)는 제어부(12)로부터 소프트웨어의 화면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14)는 치료정보 제공 시 정렬기능 및 편집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정렬기능은 치료정보 화면에서 치료순서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정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부(10)의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순서를 정렬하는 기능이다. 편집기능은 치료정보 화면에서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편집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부(10)의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정보 삭제, 변경 및 추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정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치료진행 단계를 삭제, 변경 및 추가할 수 있고, 치료진행 단계 별 소요시간 및 내원간격을 변경할 수 있다.
출력부(14)는 치료정보 제공 시 치료정보 화면에서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식별 가능한 시각정보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무기록지 화면에 치료가 시행된 치료순서의 의무기록지 정보가 입력되면 치료정보 화면에서 해당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치료정보 화면에서 다음 치료 시 시행할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시각적 구분은 해당 치료정보에 소거 선을 표시하는 방법, 강조하는 강조 선을 추가로 표시하는 방법,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방법,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방법, 다른 치료정보와는 분리시켜 표시하는 방법, 다른 치료정보와 색상, 모양 등을 다르게 표시하는 방법 등 다양하다.
통신부(16)는 정보를 외부와 송수신한다. 저장부(18)는 제어부(12) 실행을 위한 명령 및 제어부(12) 실행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가 저장된다. 저장부(18)에 저장되는 정보는 치료계획 정보, 치료정보, 의무기록지 정보, 예약정보, 환자정보 등이 있다. 특히,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8)에는 사용자가 환자의 치료정보를 수정하였을 때, 수정된 치료정보가 해당 환자의 환자정보와 함께 매칭되어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환자의 치료계획을 수립(S210)하고, 전자차트에 진입(S220) 하면, 환자의 수립된 치료계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한다(S230). 이때, 사용자가 환자의 연령, 성별, 치료부위, 부가수술 여부 등의 환자정보에 따라 치료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환자의 연령이나 치료부위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치료진행 단계를 변경하거나, 내원간격, 소요시간 등을 수정할 수 있다. 치료부위는 상악, 하악, 전치부 및 구치부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임플란트의 경우 하악에 비해 상악이 골 유착 기간이 더 길어진다. 환자 연령은 20-40대, 50대 이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골 유착 기간이 더 길어진다.
치료정보를 수정하는 단계(S240)에서, 소프트웨어는 치료정보 화면 상에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순서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치료정보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순서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치료정보가 수정되면, 소프트웨어는 수정된 치료정보를 환자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S250). 예를 들어, 저장 단계(S250)에서, 미리 치료부위를 상악, 하악, 전치부 및 구치부로 분류하고, 미리 환자 연령을 20-40대, 50대 이상으로 분류하며, 성별을 남성 및 여성으로 분류한 상태에서, 치료정보 수정 시 수정된 치료정보를 분류된 치료부위, 연령 및 성별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소프트웨어는 동일 치료를 하는 신규 환자 진료 시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대신에,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한다(S26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신규 환자의 치료계획을 획득하여 제공한다(S310). 이때, 소프트웨어는 치료계획을 획득한 신규 환자의 환자정보를 확인(S320) 하여, 신규 환자와 동일한 환자정보를 가진 기존 환자를 대상으로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와 다르게 치료순서를 수정한 치료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S330).
검색 여부 판단(S340)에 따라,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정보가 검색되면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대신에,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한다(S350).
수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350)에서, 소프트웨어는 치료정보를 수정한 기존 환자와 동일한 치료부위를 치료하는 신규 환자의 진료 시 동일한 치료부위를 치료한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수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350)에서, 소프트웨어는 치료정보를 수정한 기존 환자와 동일 범주의 연령을 가진 신규 환자의 진료 시 동일 범주의 연령을 가진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비해,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정보가 검색되지 않으면 획득된 치료계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6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정보 제공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환자 선택입력(예를 들어, 김환자(1), 40세, 남) 후 전자차트를 실행하면, 환자의 치료계획(410)과, 치료계획(410)에 따른 치료순서 번호(420), 치료진행 단계(Step)(430), 내원간격(Interval)(440) 및 소요시간(Time) (450) 등이 치료정보 화면(40)에 표시된다. 전자차트 실행은 사용자가 전자차트 메뉴(400)에 대한 마우스 클릭 등과 같은 사용자 동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치료계획(410)은 예를 들어, '46 오스템임플란트(기성, PFM, Cr) / 27 Gold Crown S'일 수 있다. 여기서, '46, 27'은 치아번호를 의미한다. 치료계획은 치료종류, 치료방법, 치료재료 등과 관련된다. 치료계획은 대분류(Sub1), 중분류(Sub2), 소분류(Sub3)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분류(Sub1)의 예로 '보철'을, 중분류(Sub2)의 예로 '크라운'을, 소분류(Sub3)의 예로 '골드, 포세린, 지르코니아'로 분류될 수 있다. 대분류(Sub1)의 다른 예로, '보존, 치주, 외과, 임플란트, 교정' 등이 있을 수 있다.
치료진행 단계(430)는 치료순서대로 치료할 치아번호와 진행내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1번 치료순서'의 치료진행 단계(430)는 '46번 진단 및 수술 전 처치'와, '27번 Gold Cr Prep & Impression' 이다. 여러 치료를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 해당하는 치료순서의 소요시간은 합산하고 내원간격은 상대적으로 긴 치료에 맞춰 표시될 수 있다.
내원간격(440)은 이전 치료진행 단계의 치료일자로부터 현재 치료진행 단계의 치료일자까지의 간격을 의미하는데, 일(Day: D), 주(Week: W), 달(Month: M), 년(Year: Y) 단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소요시간(450)은 현재 치료진행 단계를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는데, 시(Hour: H), 분(Min: M) 단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치료계획(410)이 획득되면, 치료계획(410)에 맞춘 치료순서 번호(420), 치료진행 단계(430), 내원간격(440) 및 소요시간(450)을 포함하는 치료정보가 자동으로 치료정보 화면(40)에 표시된다. 치료정보는 치료계획 별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하여 수정할 수 있다.
정렬 인터페이스(460)는 치료정보 화면(40)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치료순서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편집 인터페이스(470)는 치료정보 화면(40)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치료정보 삭제, 변경 및 추가 등의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정보 수정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프트웨어는 제시된 치료정보의 치료순서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환자 연령과 치아부위에 따라 소요시간 및 내원간격을 수정할 수 있다. 가령, 임플란트의 경우 하악에 비해 상악이 골 유착 기간이 더 걸리므로 내원간격을 늘릴 수 있다. 도 5에서는 3번째 치료순서에 대항하는 치료진행 단계가 '27번 Gold Cr Prep & Impression (/45)(520)으로 수정되고, 5번째 치료순서의 내원간격이 3M(510)로 수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러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 소요시간은 합산하고, 치료간격은 상대적으로 긴 치료에 맞춰 제공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 의해 치료순서가 수정되면, 수정된 치료순서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때, 환자정보(환자의 연령, 성별, 치아부위 등)과 함께 저장한다. 연령은 20~40대, 50대 이상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골 유착 기간이 더 걸린다. 치아부위는 상악과 하악, 전치부와 구치부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의 예에서는 '40대', '남성', '하악', '구치부' 정보를 수정된 치료순서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추후 20~40대, 남성, 하악, 구치부에 임플란트 치료계획을 수립한 신규 환자의 진료 시에는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가 아닌, 상기와 같이 수정되어 저장된 '김환자(1)'의 치료순서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는 환자정보와 수정된 치료순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해 두는 학습을 통해 빅데이터를 구축한 후, 추후 동일한 환자정보(연령, 치료부위 등)를 가지는 신규 환자에 수정된 치료순서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신규 환자의 치료계획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단계;
    신규 환자의 환자정보를 확인하여, 신규 환자와 동일한 환자정보를 가진 기존 환자를 대상으로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와 다르게 치료순서를 수정한 치료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정보가 검색되면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치료정보는
    치료계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치료진행 단계, 치료진행 단계 별 내원간격 및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료순서이며, 환자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수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정보는
    환자의 연령, 성별, 치료부위, 부가수술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치료부위는 상악, 하악, 전치부 및 구치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치료정보를 수정한 기존 환자와 동일한 치료부위를 치료하는 신규 환자의 진료 시 동일한 치료부위를 치료한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수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치료정보를 수정한 기존 환자와 동일 범주의 연령을 가진 신규 환자의 진료 시 동일 범주의 연령을 가진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은
    신규 환자의 치료계획 획득 이전에 기존 환자의 치료정보를 학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기존 환자의 치료정보를 학습하는 단계는
    기존 환자의 치료계획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치료계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제공된 치료정보를 대상으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치료정보를 수정하는 단계; 및
    수정된 치료정보를 환자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치료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는
    치료정보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순서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치료정보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순서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수정된 치료정보를 환자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미리 환자정보를 치료부위, 환자 연령 및 성별로 분류한 상태에서, 치료정보 수정 시 수정된 치료정보를 분류된 치료부위, 연령 및 성별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치료계획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다른 소프트웨어에서 치료계획을 수립 후 기입하면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전자차트에 치료계획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은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정보가 검색되지 않으면, 획득된 치료계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11. 화면을 표시하는 출력부;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
    치과 업무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며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부에 전송하는 제어부; 및
    치료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치료계획을 획득한 신규 환자의 환자정보와 동일한 환자정보를 가진 기존 환자가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와 다르게 치료순서를 수정한 치료정보가 있는지를 검색하고,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정보가 검색되면 기존 환자의 수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신규 환자의 치료계획 획득 이전에 기존 환자의 치료정보를 학습하되, 기존 환자의 치료계획에 따라 미리 설정된 치료순서의 치료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치료정보를 대상으로 입력받은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치료정보가 수정되면, 수정된 치료정보를 환자정보와 매칭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장치.
KR1020200073193A 2020-06-16 2020-06-16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55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193A KR20210155867A (ko) 2020-06-16 2020-06-16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193A KR20210155867A (ko) 2020-06-16 2020-06-16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867A true KR20210155867A (ko) 2021-12-24

Family

ID=79176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193A KR20210155867A (ko) 2020-06-16 2020-06-16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58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85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using domain-specific treatment protocols
US109845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dical image annotation
US20240029166A1 (en) Computer vision-based claims processing
US8160899B2 (en) Knowledge based electronic clinical record for dentistry
CN108735292B (zh) 基于人工智能的可摘局部义齿方案决策方法和系统
KR102314889B1 (ko)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
US10445390B2 (en) Coordination of dental implant information
US102421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ntal treatment recommendations
US20210259807A1 (en) Method for evaluating a dental situation
Singi et al. Extended arm of precision in prosthodontics: Artificial intelligence
KR20180060362A (ko) 치아 진단 및 치료 계획 시스템
JP7382582B2 (ja) 技工物自動設計システム
KR102354002B1 (ko) 전자차트 조회방법 이를 위한 전자차트 제공장치
KR20210155867A (ko) 환자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EP23770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erson and multi-site, interactive treatment simulation
JPH05168654A (ja) 歯科総合画像システム
KR102412703B1 (ko) 치주 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진단명을 도출하는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4139356A (ja) 歯科診療予約管理システム、歯科診療予約管理サーバおよび歯科医院端末
JP2016163689A (ja) 患者の口腔内に装着される人工物の品質を保証または管理するサービスを実現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そ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いて実行され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116947A (ko) 치과용 전자 동의서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 업무 관리장치
WO20201154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liant data acquisition and automated matching based on complex rule sets
KR20220127652A (ko) 기공 의뢰서 관리방법 및 치과 업무 관리장치
KR20230033207A (ko) 치과의 진료서비스와 계속구강건강 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US11456063B2 (en) Dental patient management system
US20240006049A1 (en) System and method of treatment for correcting tooth malocclu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