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558A -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558A
KR20220145558A KR1020210052279A KR20210052279A KR20220145558A KR 20220145558 A KR20220145558 A KR 20220145558A KR 1020210052279 A KR1020210052279 A KR 1020210052279A KR 20210052279 A KR20210052279 A KR 20210052279A KR 20220145558 A KR20220145558 A KR 20220145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naire
patient
answer
information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757B1 (ko
Inventor
김동환
진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Priority to KR1020210052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757B1/ko
Priority to JP2023564008A priority patent/JP2024514677A/ja
Priority to PCT/KR2021/017174 priority patent/WO2022225122A1/ko
Publication of KR20220145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5Reformulation based on results of preceding query
    • G06F16/3326Reformulation based on results of preceding query using relevance feedback from the user, e.g. relevance feedback on documents, documents sets, document terms or pass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5Syntactic pre-processing, e.g. stopword elimination, stemm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진 항목을 생성하는 문진 항목 생성부, 환자의 의료기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해 환자에게 제안하기 위한 보조 답변을 생성하는 보조 답변 생성부, 상기 문진 항목 및 상기 보조 답변을 문진용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문진용 단말로부터 환자가 입력한 답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환자의 답변 정보를 저장하는 문진 결과 저장부를 포함하는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문진용 단말, 문진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 {A SYSTEM, A DEVICE AND A METHOD OF MEDICAL QUESTIONNAIRE FOR A PATIENCE}
본 발명은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의 의료기록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편의성 및 답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료, 검진 등의 의료 행위를 진행하기에 앞서, 환자의 상태를 사전에 파악하기 위한 문진이 진행되며, 의료인은 이러한 환자의 문진 정보를 고려하여 의료 행위를 진행한다. 종래의 문진 절차는 서면 문진표에 환자가 답변을 수기로 작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전자 장치로 구성된 문진용 단말을 이용한 전자 문진 방식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의료 서비스가 발전함에 따라, 환자 정보에 근거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문진 절차시 문진 항목이 증가하고 문진 내용이 세분화되고 있다. 다만, 환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문진 절차가 번거롭고 답변이 어려우며, 문진 내용이 세분화됨에 따라 환자 답변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의료기관에서 접근할 수 있는 환자의 의료기록정보를 이용하여, 환자 입장에서 편의성이 개선되고, 답변 신뢰도가 향상되는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문진 항목을 생성하는 문진 항목 생성부, 환자의 의료기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해 환자에게 제안하기 위한 보조 답변을 생성하는 보조 답변 생성부, 상기 문진 항목 및 상기 보조 답변을 문진용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문진용 단말로부터 환자가 입력한 답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환자의 답변 정보를 저장하는 문진 결과 저장부를 포함하는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해 환자가 입력한 답변 정보가 상기 보조 답변 생성부에서 생성한 보조 답변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문진 항목 생성부는 환자에게 추가적인 문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환자가 입력한 답변 정보에 근거한 추가 문진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문진 작성 중 환자가 참조할 수 있도록, 문진용 단말을 통해 환자에게 표시되는 참조 정보를 생성하는 참조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참조 정보 생성부는 환자의 의료기록정보 중 상기 문진 항목과 연관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참조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문진결과 저장부가 저장하는 문진 결과는,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한 환자의 답변 정보 및 상기 보조 답변 생성부에서 생성된 보조 답변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진 항목 및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해 환자가 답변을 입력하는 입력셀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문진 서버로부터 상기 문진 항목을 수신하고 환자가 입력한 답변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환자의 의료기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해 환자에게 제안하기 위한 보조 답변을 더 표시하는 문진용 단말 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환자가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해 상기 표시된 보조 답변과 동일한 답변을 입력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를 더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는 문진 작성 중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해 환자가 참조할 수 있는 참조 정보를 더 표시하고, 상기 참조 정보는 환자의 의료기록정보 중 상기 문진 항목과 연견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진 항목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환자의 문진 항목을 생성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된 문진 항목에 대해 환자에게 제안하기 위한 보조 답변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문진 항목 및 상기 보조 답변을 문진용 단말로 전송하여 환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문진용 단말을 통해 환자가 입력한 답변 결과를 수신하여 문진결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진용 단말을 이용한 문진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써 매체에 저장되거나 내려받기 가능한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의 의료기록정보 중 상기 생성된 문진 항목과 연관된 정보에 근거하여 참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참조 정보는 상기 문진용 단말로 전송되어 상기 문진 항목과 함께 표시된다.
상기 문진용 단말을 통해 환자가 입력한 답변 정보가 상기 보조 답변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자가 입력한 답변 정보에 근거한 추가 문진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진 항목을 생성하고 환자의 의료기록정보에 근거하여 보조 답변 및 참조 정보를 제공하므로, 환자 맞춤형 문진이 가능하고 문진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문진용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보조 답변 및 참조 정보를 이용하여 답변이 가능하므로, 환자의 답변 편의성이 개선된다.
나아가, 환자 문진 절차를 통해 획득된 환자의 새로운 정보를 환자의 의료기록정보에 반영함으로써, 환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진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문진 서버의 주요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문진용 단말의 표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은 문진용 단말의 표시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환자가 답변을 입력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문진 결과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전자 문진 시스템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 관계는 원칙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명의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필요시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각종 장치를 부가하거나,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문진'이라함은 개인의 건강 등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문의하여 확인하는 절차이다. 의료 기관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진료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강검진 또는 보험 가입과 같이 의료 기관이 아닌 다양한 주체가 다양한 목적으로 개인의 상태 정보를 문의하며 확인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진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진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문진 시스템(1)은 문진용 단말(20) 및 문진 서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자의료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서버(30) 및 의료진 단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문진용 단말(20)은 환자가 소지하여 문진 절차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문진용 단말(20)은 환자에게 문진 항목을 표시하고, 환자는 문진용 단말을 통해 각 문진 항목에 대한 답변 정보를 입력한다. 문진용 단말(20)은 문진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는 전자 장치로 구성되며, PC, 넷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표시소자를 갖는 다양한 전자 장치를 이용한다. 이러한 문진용 단말은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소유의 단말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문진 서버(10)는 환자의 문진을 위한 문진 항목을 생성하고, 문진용 단말을 통해 환자가 입력한 답변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문진 서버(10)는 문진용 단말(20), 전자의료기록 서버(30), 의료진 단말(40) 등의 장치와 통신 연결되며, 문진 절차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문진 서버(10)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필요한 정보를 연산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문진 서버(10)는 의료 기관에 설치된 서버를 이용하거나, 클라우드 상에서 연산 및 저장이 가능한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서는 문진 서버를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별도의 서버로 구성하지 않고, 문진용 단말 또는 의료진 단말 내에 구비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이용하여 문진 서버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문진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전자의료기록 서버(30)는 환자의 의료기록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전자의료기록 서버(30)는 메모리와 같은 저장장치를 구비하여, 환자의 신상 정보, 내원 정보, 진단 정보, 처방 정보, 검사 정보 등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각종 건강 및 의료 관련 정보를 누적적으로 저장한다. 전자의료기록 서버(30)는 문진 서버(10) 및 의료진 단말(40) 등의 장치와 통신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의료진 단말에서 입력하는 환자의 의료기록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의료진 단말로부터 요청시 환자의 의료기록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문진 서버에서 요청하는 환자의 의료기록정보를 제공하고, 환자의 문진 결과를 제공받아 환자의 의료기록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전자의료기록 서버(30)는, 전술한 문진 서버와 마찬가지로, 의료 기관에 설치된 서버를 이용하거나,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서는 문진 서버 및 전자의료기록 서버를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문진 서버의 기능과 전자의료기록 서버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서버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의료진 단말(40)은 문진용 단말과 마찬가지로 표시소자를 갖는 전자 장치로 구성되며, 전자의료기록 서버(30) 및 문진 서버(10) 등의 장치와 통신 연결된다. 의료진은 의료진 단말(40)을 통해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를 열람하고, 다른 장치에 필요한 요청(예를 들어, 문진 서버에 특정 환자의 문진을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문진 서버의 주요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문진 서버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문진 서버(10)는 환자 문진 절차를 위해 문진 항목을 생성하고 각 문진 항목에 대한 환자가 답변으로서 입력한 문진 결과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문진 서버는 문진 항목 이외에도 문진시 환자가 답변 과정에서 활용하고 참조할 수 있는 각종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문진 서버(10)는 문진 항목 생성부(110), 보조 답변 생성부(120), 참조 정보 생성부(130), 문진 항목 저장부(140), 문진 결과 저장부(150) 및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문진 항목 생성부, 보조 답변 생성부, 참조 정보 생성부는 각각 별도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통합 프로세서 및/또는 통합 메모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문진 서버(10)와 외부 장치(예를 들어, 문진용 단말, 전자의료정보 서버, 의료진 단말, 개인용 헬스케어장치와 같은 환자용 디바이스 등) 사이에서 각종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통신 연결하는 구성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공지된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술한 외부장치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 및 전송할 수 있다.
문진 항목 생성부(110)는 문진 절차에 사용되는 문진 항목을 생성한다. 여기서, 문진 항목은 환자의 건강 정보 등을 확인하기 위한 질의 항목 또는 요청 항목일 수 있다. 문진 항목 생성부(110)는 문진 항목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정보를 얻기 위한 복수의 문진 항목을 생성한다.
문진 항목 생성부(110)는 기 설정된 정책에 따라 정형화된 문진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유가 문진, 알러지 문진, 예방 접종을 위한 사전 문진 등 문진 목적에 따라 기 설정된 문진 항목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문진 항목 생성부(110)는 정형화된 문진 항목이 아닌 환자의 의료기록정보에 근거하여 환자 맞춤형 문진 항목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형화된 문진 항목의 경우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질문이 포함되거나,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세부적인 정보를 얻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문진 서버(10)는 전자의료기록 서버로부터 환자 의료기록정보를 제공받고, 문진 항목 생성부(110)는 환자 의료기록정보에 근거하여 환자 맞춤형 문진 항목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문진 항목 생성시 환자의 성별, 나이, 진료 기록, 검사 기록, 처방 정보, 이전 문진 결과 등이 고려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의료진 단말을 통해 요청되는 의료진의 요청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환자의 의료기록정보는 전자의료기록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의료기록정보는 문진 서버 자체에 저장하고 있는 환자의 이전 문진 결과일 수 있으며, 환자가 소유하고 있는 개인용 헬스케어장치에서 전송되는 각종 정보(모니터링 정보, 측정 정보, 입력 정보 등)일수도 있으며, 검사 장치 등에 저장된 환자의 검사 정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나 보험회사의 서버에 저장된 환자 정보일 수도 있다. 따라서, 환자의 의료기록정보를 설명함에 있어 전자의료기록 서버에서 전송되는 방식을 예로서 설명하더라도, 이는 전자의료기록 서버 이외 전술한 다양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환자의 의료기록정보까지 확장하여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문진 항목 저장부(140)는 문진 항목을 생성하기 위한 문진 항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메모리와 같은 저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에는 문진 절차에서 사용되기 위한 복수의 문진 항목 샘플이 저장되되, 문진 목적 및 이외의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각 문진 항목 샘플이 분류되어 저장된다.
일 예로서, 데이터베이스에는 문진 목적별로 각각의 문진 항목 세트가 저장될 수 있다. 문진 항목 세트는 해당 목적에 필요한 복수의 문진 항목 샘플의 그룹이며, 하나의 세트에 포함된 문진 항목 샘플 중 일부는 계층적 관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의료진 단말로부터 문진 요청이 수신되면, 문진 항목 생성부(110)는 요청된 문진 목적에 따른 세트 중 환자의 의료기록에 따라 필요한 샘플을 선택하여 문진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문진 항목 샘플은 분리 가능한 모듈 타입의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장 형태로 구성되는 문진 항목 샘플은 주어, 목적어, 서술어가 각각 모듈 타입의 데이터로서 분리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문진 항목 생성부(110)는 문진 항목 생성시 환자의 의료기록정보를 고려하여 샘플 중 일부 데이터 모듈을 편집하는 방식으로 환자 맞춤형 문진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문진 서버(10)는 보조 답변 생성부(120) 및 참조 정보 생성부(130)를 더 포함한다. 보조 답변 생성부(120) 및 참조 정보 생성부(130)는 각 문진 항목에 대한 보조 답변 및 참조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전자의료기록 서버(30)에 저장된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를 이용하여 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문진 항목 생성부(110)에서 문진 항목이 생성되면, 보조 답변 생성부(120)는 각 문진 항목에 대해 환자에게 제안하기 위한 보조 답변을 생성한다. 이러한 보조 답변은 각 문진 항목에 대해 서버에서 자체적으로 추정한 예비 답변으로서, 전자의료기록 서버 등에 저장된 환자의 의료 기록(이전에 작성된 문진 결과 정보 포함) 중 해당 문진 항목에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추정하는 방식으로 생성된다.
일 예로서, 문진 항목 저장부(140)의 데이터베이스는 각 문진 항목 샘플별로 보조 답변을 추정하는 방식을 정의하고 있고, 보조 답변 생성부는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로부터 상기 정의된 방식에 근거하여 보조 답변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간염 항체 보유 여부에 대한 문진 항목에 대해서는, 환자의 이전 검사 기록에 근거하여 보조 답변을 추정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또는, 만성 질환에 대한 약물 복용 여부를 확인하는 문진 항목에 대해서는 환자의 이전 처방 정보에 근거하여 보조 답변을 추정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다만, 보조 답변은 모든 문진 항목에 대해서 생성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 답변 추정 방식은 환자의 과거 의료기록을 통해 답변을 추정할 수 있는 성격의 문진 항목에 대해서만 정의되며, 추정 방식이 정의되지 않은 문진 항목에 대해서는 보조 답변이 생성되지 않는다. 또한, 추정 방식이 정의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해당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가 추정에 필요한 항목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보조 답변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참조 정보 생성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문진 항목에 대해 환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참조 정보를 생성한다. 참조 정보는 각 문진 항목에 대한 환자의 답변 결정시 환자가 참조할 수 있는 정보이다. 참조 정보는 환자의 의료기록 중 해당 문진 항목에 관련된 정보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문진 항목 저장부(140)의 데이터베이스는 각 문진 항목 샘플별로 참조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을 정의하고, 참조 정보 생성부(130)는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로부터 정의된 방식에 근거하여 참조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백신 접종 여부를 확인하는 문진 항목인 경우 환자의 처방 정보에 근거하여 예방 접종 기록을 참조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고, 최근 항암제 또는 방사선 치료 여부를 묻는 문진 항목인 경우, 최근 항암제 처방 기록 및 방사선 치료 기록을 참조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참조 정보는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것 이외에도, 문진 항목과 관련된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참조 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예를 들어, 문진 항목에 포함된 용어의 해설). 또한, 참조 정보는 전술한 보조 답변과 마찬가지로 모든 문진 항목이 아닌 일부에 대해 생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방식에 의해 생성된 보조 답변 및 참조 정보는 문진용 단말(20)로 전송되어 환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환자는 문진 절차 중 단말을 통해 제안되는 보조 답변 및 참조 정보를 고려하여 각 문진 항목에 대한 답변을 결정하므로, 이로 인해 환자의 답변 편의성이 개선되며, 신뢰도 높은 답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문진용 단말(20)을 통해 환자가 답변한 결과는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문진 서버로 전송되며, 전송된 답변 정보는 문진 결과 저장부(150)에 저장된다. 문진 결과 저장부(150)는 메모리 등의 저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저장된 답변 결과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의료기록 서버(30)로 전송되어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에 업데이트 되거나, 의료진 단말로 전송되어 의료진에게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진 결과 저장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문진용 단말의 표시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문진용 단말 및 문진 절차 중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각종 컨텐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문진용 단말(20)은 전자 장치로 구성되어, 환자에게 각종 문진 컨텐츠를 표시하고, 환자는 문진용 단말을 통해 답변을 입력한다. 이러한 문진용 단말(20)은 통신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메모리 및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문진 서버의 통신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통신 모듈로 구성된다. 이를 이용하여, 문진용 단말은 문진 서버에서 생성된 문진 항목, 보조 답변 및 참조 정보 등의 정보를 수신하고, 환자가 입력한 답변 결과를 문진 서버로 전송한다.
메모리에는 환자 문진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프로세서는 설치된 프로그램의 명령에 의해 연산 업무 및 처리업무를 수행한다. 문진 서버에서 전송된 문진 항목, 보조 답변, 참조 정보 등의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되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요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
도 3은 문진용 단말의 표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표시부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 소자로 구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서 생성된 문진 항목 및 그에 따른 답변 항목이 표시된다.
표시부에 표시되는 문진 항목은, 전술한 문진 항목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문진 항목으로, 문진 항목이 선택형 질문으로 구성된 경우 선택 가능한 답변 항목이 함께 표시된다. 또한, 표시부에는 각 문진 항목에 대해 환자가 답변을 입력하는 입력셀(21)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마우스, 키보드, 디지타이저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 셀에 답변을 입력한다. 답변 방식은 문진 항목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며(예를 들어, 선택형, 단답형 등) 입력 셀은 해당 문진 항목의 답변 방식에 따라 선택형, 단답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보조 답변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보조 답변 정보 또한 표시부를 통해 환자에게 표시된다. 보조 답변은 입력셀 또는 입력셀과 인접한 위치에 표시되며, 입력 셀의 답변 방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환자가 문진시 보조 답변에 따르지 않고 다른 답변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보조 답변은 보조적이고 예비적인 방식으로 표시된다.
나아가, 표시부에는 각 문진 항목에 대한 참조 정보가 표시되는 참조 정보 표시 영역(23)이 형성되며, 전술한 참조 영역 생성부에서 생성된 참조 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참조 정보는 환자의 의료기록정보 중 각 문진 항목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으며, 보조 답변을 추정한 근거가 되는 정보일 수 있다. 참조 정보는 각 문진 항목별로 구분되어 표시되며, 각 문진의 답변 항목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일 예로서, 도 3에 표시된 컨텐츠를 설명하면, 문진 항목 생성부(110)에서 생성되어 표시부에 표시된 문진 항목은 최근 예방 접종 여부를 확인하는 문항이다. 참조 정보 생성부(130)는 환자 의료기록 정보 중 예방 접종 기록을 확인하여, 최근 1년간 예방 접종 기록이 없다는 정보를 참조 정보로서 생성한다. 생성된 참조 정보는 도 3과 같이 참조 정보 표시 영역(23)에 표시된다. 그리고, 보조 답변 생성부(120)는 환자 의료기록 중 최근 예방 접종한 기록이 없는 점을 고려하여 '아니오'라는 답변을 보조 답변으로 생성하고, 이러한 보조 답변(21a)이 표시부에 표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답변(21a)은 해당 답변 항목의 입력셀을 굵게 표시하는 방식으로 표시된다. 다만, 보조 답변 표시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마크를 표시하거나, 음영, 색상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진 항목, 보조 답변, 참조 정보를 포함한 문진 컨텐츠가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면, 환자는 해당 문진 항목에 대해 참조 정보를 고려하고, 제안된 보조 답변을 참조하여 답변을 입력한다.
도 4은 문진용 단말의 표시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진 항목은 식품 알러지 정보를 묻는 문항이다. 그리고,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에 의할 경우 최근 문진에서 별도의 알러지가 없다고 답변한 기록이 있어, 이러한 내용을 참조 정보로 표시하고, 이로부터 식품 알러지가 없음을 보조 답변으로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문진 항목에 대한 답변 방식은, 도 3과 같은 선택형 답변 방식이 아닌, 입력셀에 단답형 답변을 입력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문진 항목에 대한 보조 답변(21a)은 입력셀(21)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도면상에서는 명확하게 식별되지 않으나, 환자가 직접 입력한 답변과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보조 답변(21a)은 회색과 같이 상이한 색상을 이용하거나 또는 투명도를 달리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후, 환자는 보조 답변을 고려하여 답변을 결정하고, 답변 내용을 입력셀(21) 내에 입력한다. 이때, 입력시 혼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환자가 입력하는 동작 중에는 입력셀 내에 표시된 보조 답변은 삭제될 수 있다.
환자가 보조 답변과 동일한 내용으로 답변하고자 할 경우, 단답형 답문을 직접 입력하지 않고 선택부(22)를 통해 보조 답변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는 입력 동작시 입력셀(21) 하측으로 표시되는 선택부를 선택하여 보조 답변과 동일한 내용으로 답변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보조 답변과 선택부의 표시방식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답변은 입력 셀 내부가 아닌 입력셀과 인접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선택부는 창 형태가 아닌 별도의 셀에 체크하는 방식으로 동일 답변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4에서 환자가 답변을 입력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문진 항목에 대한 보조 답변은 '없음'으로 제안되었으나, 도 5는 환자는 보조 답변과 달리 '땅콩'을 답변으로 입력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처럼, 보조 답변과 환자의 답변 결과가 상이한 경우, 문진용 단말(20)은 환자의 답변 결과에 따른 추가적인 문진 항목을 표시하여 추가적인 문진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인 문진 항목은 추가 문진 창(24)에 표시되며, 추가 문진 창(24)은 추가 문진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문진 항목 생성부(110)는 문진 목적 및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를 고려하여 필요한 복수의 문진 항목을 생성하되, 복수의 문진 항목은 계층적 관계를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생성된 모든 문진 항목이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기본 값에 해당하는 문진 항목들이 표시되고, 나머지 문진 항목은 특정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문진 항목에 대한 환자의 답변이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해당 조건에 따른 문진 항목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문진 항목에 대한 환자의 답변이 제안된 보조 답변과 상이한 경우, 해당 조건에 따른 문진 항목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문진 항목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모든 문진 항목(즉, 모든 조건을 고려한 모든 문진 항목)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경우, 불필요한 문진 항목이 지나치게 많이 포함되어 답변 집중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불필요한 문진 항목은 제외하고 해당 환자에게 필요한 문진 항목만으로 문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환자의 답변 조건에 따라 추가적인 문진을 진행하는 경우, 해당 답변에 관련된 환자의 상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보조 답변과 환자 답변의 불일치를 조건으로 추가적인 문진을 진행함으로써, 기존의 환자 의료기록 정보에서는 확인하지 못한 불일치 이유를 확인하고 이를 환자 의료기록 정보에 업데이트 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어, 도 3에서 환자가 보조 답변과 달리 최근 예방접종을 한 것으로 답변한 경우, 추가 문진 항목을 통해 어떠한 경위로 어떠한 종류의 예방 접종을 했는지 확인 가능).
이상에서 설명한 방식을 통해 환자의 답변 입력이 완료되면, 환자의 답변 정보는 문진용 단말(20)의 메모리에 저장된 후, 단말과 서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문진 서버의 문진 결과 저장부(150)에 저장된다.
도 6은 문진 결과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문진 결과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문진 결과 데이터는, 각 문진 항목과 해당 문진 항목에 대한 환자의 답변 결과가 연관된 형태로 저장된다. 또한, 해당 문진 항목에 대한 보조 답변 및 참조 정보도 함께 연관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환자의 답변 결과와 환자의 보조 답변과의 일치 여부 또한 연관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된 문진 결과 데이터는 전자의료기록 서버(30)로 전송되어 환자 의료기록정보에 누적적으로 저장되어 업데이트 되거나, 의료진 단말(40)로 전송되어 의료진이 이를 열람하여 진료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따른 데이터 형식에 의할 경우, 기존 환자의 의료기록정보에 근거한 보조 답변과 환자의 답변 결과가 불일치하는 경우, 기존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 중 해당 문진 항목과 관련된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기존의 정보를 수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 단말(40)에 문진 결과 또는 환자 의료기록 정보를 표시할 때, 보조 답변과 답변 결과가 불일치하는 문진 항목 관련 정보를 강조하여 표시함으로써,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 변화 및 최근 정보 등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진료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도 1의 전자 문진 시스템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진 시스템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의료진 단말(40) 또는 별도의 접수 단말로부터 전자 문진 시스템으로 문진 오더가 접수되면, 문진 서버(10)는 해당 환자에 대한 맞춤형 문진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환자의 의료기록을 수신한다(S10). 여기서, 환자의 의료 기록은 전자의료기록 서버(30)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이외에도 개인용 헬스케어 장치, 검사 장치,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또는 보험회사 측의 서버 등으로부터 환자의 의료기록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문진 서버의 문진 항목 생성부(110)는 문진 오더에 포함된 문진 목적 및 의료진 요청 등을 고려하여 문진 항목을 생성하며, 나아가 기 저장된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를 고려하여 맞춤형 문진 항목을 생성한다(S20). 이때, 생성되는 문진 항목은 문진 항목 저장부에 저장된 문진 항목 샘플에 기초하되, 환자 정보를 반영하도록 해당 샘플이 편집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문진 항목은 계층적 관계를 형성하며, 이 중 일부의 문진 항목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건부로 표시부 상에 표시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문진 항목이 생성되면, 참조 정보 생성부(130)는 각 문진 항목에 대한 참조 정보를 생성한다(S30). 이때, 참조 정보는 수신된 환자의 의료기록정보 중 해당 문진 항목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답변 생성부(120)는 각 문진 항목에 대한 보조 답변 정보를 생성한다(S40). 보조 답변은 수신된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 중 해당 문진 항목과 관련된 정보로부터 추정된 답변일 수 있다.
도 7에서는, S10 단계에서 최초 수신한 환자 의료기록 정보를 이용하여, 문진 항목, 참조 정보, 보조 답변을 생성시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S20 내지 S40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를 수시로 요청하여 전송받거나 열람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단계를 거쳐 생성된 문진 컨텐츠(예를 들어, 문진 항목, 참조 정보, 보조 답변)는 문진 서버(10)로부터 문진용 단말(20)로 전송되며, 문진용 단말(20)은 이러한 정보를 가공하여 단말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한다(S50). 이때, 표시부는 각 문진 항목별로 참조 정보 및 보조 답변을 함께 표시하며, 환자는 이러한 정보를 고려하여 답변을 결정하고 입력하는 방식으로 문진이 진행된다.
환자의 답변이 완료되면, 환자의 답변 결과를 포함한 문진 결과 정보는 문진용 단말에 저장되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문진 서버에 저장된다(S60). 그리고, 문진 절차를 통해 수집된 정보는 이후 전자의료기록 서버 등에 저장된 환자 의료기록 정보에 업데이트 반영되며(S70), 의료진은 저장된 문진 결과 또는 업데이트된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를 참고하여 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전자의료기록 서버 이외에,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를 제공한 외부 장치에 문진 결과를 반영하여 환자의 의료기록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반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문진 방법에 의할 경우, 환자는 참조 정보 및 보조 답변을 고려하여 문진을 수행하므로 환자의 편의성이 개선될 뿐 아니라 신뢰도 높은 문진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문진 시스템 운용 방법 및 문진 방법은,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포함)이 서버 또는 문진용 단말에 설치되어 실행됨으로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프로그램(매체에 저장되거나, 내려받기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매체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해, 전자 장치의 연산장치가 읽어들일 수 있는 프로그램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단말의 연산장치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웹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밝혀둔다.
10 : 문진 서버 20 : 문진용 단말
110 : 문진 항목 생성부 120 : 보조 답변 생성부
130 : 참조 정보 생성부 150 : 문진 결과 저장부

Claims (15)

  1. 문진 항목을 생성하는 문진 항목 생성부;
    환자의 의료기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한 보조 답변을 생성하는 보조 답변 생성부;
    상기 문진 항목 및 상기 보조 답변을 문진용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문진용 단말로부터 환자가 입력한 답변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환자의 답변 정보를 저장하는 문진 결과 저장부;를 포함하는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 항목 생성부는 상기 환자의 의료기록 또는 의료진의 요청에 근거하여 문진 항목을 생성하는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의료기록정보는 전자의료기록 서버에 저장된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 기 수행된 문진 결과 정보, 환자의 개인용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자 맞춤형 문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해 환자가 입력한 답변 정보가 상기 보조 답변 생성부에서 생성한 보조 답변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문진 항목 생성부는 환자에게 추가적인 문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환자가 입력한 답변 정보에 근거한 추가 문진 항목을 생성하는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문진 작성 중 환자가 참조할 수 있도록, 문진용 단말을 통해 환자에게 표시되는 참조 정보를 생성하는 참조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참조 정보 생성부는 환자의 의료기록정보 중 상기 문진 항목과 연관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참조 정보를 생성하는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결과 저장부가 저장하는 문진 결과는,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한 환자의 답변 정보 및 상기 보조 답변 생성부에서 생성된 보조 답변을 포함하는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용 단말은, 상기 문진 항목 생성부에서 생성된 문진 항목 및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해 환자가 답변을 입력하는 입력셀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보조 답변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보조 답변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8. 문진 항목 및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해 환자가 답변을 입력하는 입력셀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문진 서버로부터 상기 문진 항목을 수신하고, 환자가 입력한 답변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환자의 의료기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해 환자에게 제안하기 위한 보조 답변을 더 표시하는 문진용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환자가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해 상기 표시된 보조 답변과 동일한 답변을 입력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를 더 표시하는 문진용 단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문진 작성 중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해 환자가 참조할 수 있는 참조 정보를 더 표시하고,
    상기 참조 정보는 환자의 의료기록정보 중 상기 문진 항목과 연견된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문진용 단말 장치.
  11. 문진 항목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환자의 문진 항목을 생성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의 의료기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된 문진 항목에 대해 환자에게 제안하기 위한 보조 답변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문진 항목 및 상기 보조 답변을 문진용 단말로 전송하여, 환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문진용 단말을 통해 환자가 입력한 답변 결과를 수신하여 문진결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진용 단말을 이용한 문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의 의료기록정보 중 상기 생성된 문진 항목과 연관된 정보에 근거하여 참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참조 정보는 상기 문진용 단말로 전송되어 상기 문진 항목과 함께 표시되는 문진용 단말을 이용한 문진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용 단말을 통해 환자가 입력한 답변 정보가 상기 보조 답변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자가 입력한 답변 정보에 근거한 추가 문진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진용 단말을 이용한 문진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결과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문진 결과는, 상기 문진 항목에 대한 환자의 답변 정보 및 상기 보조 답변을 포함하는 문진용 단말을 이용한 문진 방법.
  15. 청구항 11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되거나 내려받기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52279A 2021-04-22 2021-04-22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 KR102494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79A KR102494757B1 (ko) 2021-04-22 2021-04-22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
JP2023564008A JP2024514677A (ja) 2021-04-22 2021-11-22 患者に合わせてカスタマイズされた電子問診システム、問診用端末及びこれを利用した問診方法
PCT/KR2021/017174 WO2022225122A1 (ko) 2021-04-22 2021-11-22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79A KR102494757B1 (ko) 2021-04-22 2021-04-22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558A true KR20220145558A (ko) 2022-10-31
KR102494757B1 KR102494757B1 (ko) 2023-02-06

Family

ID=8372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279A KR102494757B1 (ko) 2021-04-22 2021-04-22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514677A (ko)
KR (1) KR102494757B1 (ko)
WO (1) WO20222251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463B1 (ko) * 2022-12-19 2024-01-23 주식회사 비플러스헬스케어 인공지능 문진 및 의료기록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308B1 (ko) * 2013-08-29 2016-01-14 서울대학교병원 스마트 전자문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101930A (ja) * 2017-12-06 2019-06-24 富士通株式会社 問診支援プログラム、疾病推定プログラム、問診支援方法、疾病推定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20013245A (ja) * 2018-07-17 2020-01-2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問診票作成支援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51319A (ko) * 2018-11-05 2020-05-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의료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0155123A (ja) * 2019-03-13 2020-09-24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問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865A (ko) * 2016-08-17 2018-02-27 정지민 자가 건강관리 정보 기반의 맞춤형 문진지원 시스템
KR102028674B1 (ko) * 2018-09-05 2019-11-05 주식회사 케어랩스 단말을 이용한 진료 예약, 접수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308B1 (ko) * 2013-08-29 2016-01-14 서울대학교병원 스마트 전자문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101930A (ja) * 2017-12-06 2019-06-24 富士通株式会社 問診支援プログラム、疾病推定プログラム、問診支援方法、疾病推定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20013245A (ja) * 2018-07-17 2020-01-2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問診票作成支援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51319A (ko) * 2018-11-05 2020-05-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의료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0155123A (ja) * 2019-03-13 2020-09-24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問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463B1 (ko) * 2022-12-19 2024-01-23 주식회사 비플러스헬스케어 인공지능 문진 및 의료기록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757B1 (ko) 2023-02-06
JP2024514677A (ja) 2024-04-02
WO2022225122A1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8385A1 (en) Efficient diagnosis confirmation of a suspect condition for certification and/or re-certification by a clinician
US20190378608A1 (en) Dynamic Forms
AU2023214261A1 (en) Method and platform for creating a web-based form that Incorporates an embedded knowledge base, wherein the form provides automatic feedback to a user during and following completion of the form
US114438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recording of patient notes
US20110246216A1 (en) Online Pre-Registration for Patient Intake
US2012032379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rding verifiable documentation
US200800914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integration
US20060173858A1 (en) Graphical medical data acquisition system
US11881303B2 (en) Tracking and quality assurance of pathology, radiology and other medical or surgical procedures
Kopanitsa Evaluation study for an ISO 13606 archetype based medical data visualization method
Peabody et al. Quality of care
KR102494757B1 (ko) 환자 맞춤형 전자 문진 시스템, 문진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진 방법
JP2020013245A (ja) 問診票作成支援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360671A (zh) 电子病历的生成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CN102955901A (zh) 医疗呈现创建器
US20220148689A1 (en) Automatically pre-constructing a clinical consultation note during a patient intake/admission process
US20200342984A1 (en) Tracking and quality assurance of pathology, radiology and other medical or surgical procedures
US86681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medical information
Bryant et al. A health system framework for addressing structural racism: Mass general Brigham's united against racism initiative
Bass et al. Implementing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PROMIS Measures at three medical centers
Saleh et al. CKP-PHR app: Smartphone Application For Personal Health Records of Children with Kidney Disease
Pacheco Self-service kiosk-based anamnesis system for emergency departments
Fiacco A Correlational Study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Patient Health Portals on Rural Hospitals' Websites
US20240029879A1 (en) Telemedicine platform including virtual assistance
JP2011175610A (ja) 問診票等データの読取及び利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