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833B1 - 진료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진료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833B1
KR102227833B1 KR1020180100085A KR20180100085A KR102227833B1 KR 102227833 B1 KR102227833 B1 KR 102227833B1 KR 1020180100085 A KR1020180100085 A KR 1020180100085A KR 20180100085 A KR20180100085 A KR 20180100085A KR 102227833 B1 KR102227833 B1 KR 102227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clinic
request
treatmen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4374A (ko
Inventor
김용범
고석호
Original Assignee
김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범 filed Critical 김용범
Priority to KR1020180100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8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4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료 매칭 방법은, 제1 의료인에 관한 선택 정보 및 상기 제1 의료인에 의한 진료 요청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사용자의 제1 장치로부터 제공하는 동작, 진료 일시에 관한 정보, 진료소에 관한 선택 정보, 및 상기 진료소의 사용 요청을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제공하는 동작, 상기 진료 요청을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상기 제1 의료인의 제2 장치로 제공하는 동작, 상기 진료 요청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이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제공되면, 상기 진료소의 사용 요청을 포함하는 제4 메시지를 상기 진료소와 연관되어 있는 제2 의료인의 제3 장치로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진료소의 사용 요청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이 상기 제3 장치로부터 제공되면, 상기 제1 장치, 상기 제2 장치, 및 상기 제3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매칭 완료를 나타내는 제5 메시지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진료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TCHING MEDICAL SERVIC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환자, 진료자, 및 진료 장소를 매칭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 특히 모바일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힘입어 공유경제가 각광을 받고 있다. 공유경제는 소유권에 기초하여 물건을 전속적으로 이용하는 관점에서, 물건을 시분할적으로 공유 사용하는 관점으로의 전환을 시사한다. 다수의 주체가 모바일 통신 기술에 기반하여 물건을 시분할하여 사용함으로써 물건의 사용측면 효율은 비약적으로 상승하며, 사용자 입장에서도 물건을 소유하기 위한 높은 대가를 치르지 않고 사용에 대한 대가만 치러도 된다는 이점을 누릴 수 있다.
한편, 의료행위는 인간의 생과 사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고, 고도의 전문적 지식 및 수련이 필요한 점에서, 의료법을 비롯한 각종 관계 법령에 의해 일정한 자격을 가진 자(즉, 의료인)만이 수행할 수 있도록 규율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질병 또는 상해를 입은 환자는 의료인이 운영하는 의료기관에 방문하고, 해당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상례였다.
환자는 위와 같이 의료인이 운영하는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게 되나, 해당 의료기관은 미리 정한 진료시간에 한하여 진료를 제공할 뿐이다. 또한, 환자가 지리적으로 가까운 어떤 의료기관 X에서 진료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특정 의료인 A가 의료기관 X를 운영하므로, 해당 의료기관 X에서는 환자가 희망하고 있으나 의료기관 X와 전혀 무관한 의료인 B로부터 진료를 받기 곤란하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전술한 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 상기 환자를 진료하는 제1 의료인, 그리고 의료장소(혹은 의료기관)를 한정적으로 임대하는 제2 의료인을 매칭하는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한 진료 매칭 방법은, 제1 의료인에 관한 선택 정보 및 상기 제1 의료인에 의한 진료 요청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사용자의 제1 장치로부터 제공받는 동작, 진료 일시에 관한 정보, 진료소에 관한 선택 정보, 및 상기 진료소의 사용 요청을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제공받는 동작, 상기 진료 요청을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상기 제1 의료인의 제2 장치에 제공하는 동작, 상기 진료 요청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이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제공되면, 상기 진료소의 사용 요청을 포함하는 제4 메시지를 상기 진료소와 연관되어 있는 제2 의료인의 제3 장치에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진료소의 사용 요청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이 상기 제3 장치로부터 제공되면, 상기 제1 장치, 상기 제2 장치, 및 상기 제3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매칭 완료를 나타내는 제5 메시지에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진료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의 자기 진단 의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 진단 의견은 상기 제3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제2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메시지는 상기 제1 의료인의 프로파일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의료인의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제1 의료인의 진료 횟수, 의료사고 발생 여부, 및 상기 제1 의료인에 대한 평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의료인은,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의료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상기 의료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의료인 그룹이 추출되고, 상기 제1 의료인은, 상기 후보 의료인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전문의 여부, 전문분야, 경력, 학력, 및 치료비 허용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진료소는,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진료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상기 진료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진료소 그룹이 추출되고, 상기 진료소는, 상기 후보 진료소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지역, 위치, 보조인력의 규모, 전용 시술 장비 구비여부,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진료소는, 상기 제1 장치의 위치를 중심으로 지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의료시설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진료 매칭 방법은, 상기 진료 요청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 및 상기 진료소의 사용 요청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이 제공되면, 상기 제1 의료인과 상기 제2 의료인 간의 계약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동작, 및 상기 계약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 내 저장소에 저장하거나,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입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계약은, 상기 제1 의료인과 상기 제2 의료인간의 고용 계약, 및 의료보험에 관련된 계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의료인 및 상기 제2 의료인은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사용자의 제1 장치, 제1 의료인의 제2 장치, 및 제2 의료인의 제3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의료인에 관한 선택 정보 및 상기 제1 의료인에 의한 진료 요청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제공받고, 진료 일시에 관한 정보, 진료소에 관한 선택 정보, 및 상기 진료소의 사용 요청을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진료 요청을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상기 제2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진료 요청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이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제공되면, 상기 진료소의 사용 요청을 포함하는 제4 메시지를 상기 진료소와 연관되어 있는 상기 제2 의료인의 상기 제3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진료소의 사용 요청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이 상기 제3 장치로부터 제공되면,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에 매칭 완료를 나타내는 제5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한 진료자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코멘트 또는 상기 사용자의 환부에 관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의 제1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지정된 웹 공간에 게시하는 동작, 상기 코멘트 또는 상기 이미지에 대한 의학적 소견을 미리 정해진 집단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제공받는 동작, 지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의학적 소견을 평가하는 동작, 및 상기 평가의 결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의학적 소견을 작성한 각 의료인의 프로파일을 상기 제1 장치에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진료자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코멘트 또는 상기 이미지를 기반으로 예비적 진단 의견(preliminary opinion)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예비적 진단 의견을 상기 제1 장치에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진료자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의료인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공받는 동작, 및 상기 예비적 진단 의견을 상기 의료인 선택 정보가 나타내는 의료인의 제2 장치로 전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예비적 진단 의견은, 상기 코멘트 또는 상기 이미지를 지도학습 기법(supervised learning technique) 또는 강화학습 기법(reinforcement learning technique)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도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촬영한 사진,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촬영한 동영상, 라디오그래피(radiography) 이미지, 컴퓨터 단층 촬영(CT) 이미지, 및 자기공명영상(MRI)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환자)는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진료자를 검색하여 진료를 요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장소(진료소)에서 상기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진료를 의뢰받아 이를 수행하는 제1 의료인은 장소에 얽매임 없이 다양한 환자를 진료할 수 있으며, 진료소를 운영하는 제2 의료인은 자신의 진료소를 비어있는 시간에 공유함으로써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통신 기술을 매개로 의료기관 또는 진료소의 공유경제를 달성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료 매칭 방법의 실시 환경을 나타낸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료 매칭 방법을 나타낸 시퀀스도(sequence diagram)이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료자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료 매칭 방법의 실시 환경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료 매칭 방법은, 서버(전자 장치)(100), 제1 장치(101), 제2 장치(102), 및 제3 장치(103)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서버(전자 장치)(100), 제1 장치(101), 제2 장치(102), 및 제3 장치(103)는 네트워크(18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료 매칭 방법을 주관할 수 있다. 제1 장치(101)는 사용자(또는 환자)(10)이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고, 제2 장치(102)는 상기 사용자(10)에 의해 선택된 제1 의료인(21)의 장치일 수 있다. 제3 장치(103)는 사용자(10)에 의해 선택된 진료소(22H)와 연관된 제2 의료인(22)의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1 의료인(21)과 제2 의료인(22)은, 예컨대,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또는 환자)(10)는 자신의 제1 장치(101)를 이용하여 진료를 의뢰할 제1 의료인(21)을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0)는 전문의 여부, 전문분야, 경력, 학력 등의 조건을 부가하여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의료인(21)을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10)는 자신의 제1 장치(101)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진료가 이루어질 진료소(22H)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0)는 지역, 위치, 면적 등의 조건을 부가하여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진료소(22H)를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진료소(22H)는 상기 제1 의료인(21)과의 상호작용(예: 협의)을 거친 후에 결정될 수도 있다.
서버(100)는 제1 의료인(21) 및 진료소(22H)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의료인(21)의 제2 장치(102) 및 상기 진료소(22H)를 운영하는 제2 의료인(22)의 제3 장치(103)로 각각 진료 요청 메시지 및 진료소 사용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2 장치(102) 및 제3 장치(103)로부터 각각 진료 요청 동의 응답, 및 진료소 사용 승인 응답이 수신되면, 일정한 내부 처리를 거쳐 제1 의료인(21)에 의한 진료소(22H)에서의 진료 예약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1 장치(101), 제2 장치(102) 및 제3 장치(103)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진료 매칭 방법은 개괄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위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이고 자세하며 다양한 예시들은 도 2a 내지 도 7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료 매칭 방법을 나타낸 시퀀스도(sequence diagram)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료 매칭 방법(단계 S201-S216)은 사용자의 제1 장치(101), 서버(100), 제2 장치(102), 및 제3 장치(103) 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중복되는 내용은 일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단계가 부가될 수도 있다.
단계 S201에서 사용자(또는 환자)(10)는 제1 장치(101)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료 매칭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서버(100)와 상호작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료 매칭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 S202에서 사용자(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를 통해 자기 진단 의견을 기입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0)는 상해 또는 질병을 앓게 된 계기, 통증 부위, 필요로 하는 시술/수술 등을 자유롭게 기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UI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환부에 관한 이미지(예: 단순한 스냅 사진/동영상, 오럴 스캐너(oral scanner)를 이용한 사진/동영상, 라디오그래피(radiography) 이미지, X-ray 영상, 컴퓨터 단층 촬영(CT) 이미지, 자기공명영상(MRI) 이미지 등)를 첨부할 수도 있다. 상기 자기 진단 의견 및 이미지/동영상 등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후 제1 의료인(21)에 의해 열람될 수 있다.
단계 S203에서 사용자(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UI를 통해 서버(100)의 의료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자신을 진료할 제1 의료인(21)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의료인(21)의 선택에 있어서는 매우 다양한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0)는 제1 장치(101)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상기 의료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의료인 그룹을 추출하고, 상기 제1 의료인(21)을 상기 후보 의료인 그룹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예컨대, 전문의 여부, 전문분야, 경력, 학력, 및 치료비 허용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10)는 우수 진료 의료인 랭킹을 참고하여 상기 제1 의료인(21)을 선택하거나, 서버(100)가 지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추천한 의료인 중에서 상기 제1 의료인(21)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방식(예: 도 2b에 도시된 진료자 정보 제공 방법)으로 사용자(10)는 제1 의료인(21)의 프로파일을 상기 의료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열람 또는 검색할 수 있다.
단계 S204에서 제1 장치(101)는 제1 의료인(21)에 관한 선택 정보 및 상기 제1 의료인(21)에 의한 진료 요청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단계 S202에서 입력된 자기 진단 의견, 사용자의 환부에 관한 이미지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메시지의 송신/수신은 데이터 패킷과 같은 데이터/정보의 제공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반드시 메시지가 독자적으로 구성되어 일 단위로써 전송될 필요는 없다.
단계 S205에서 사용자(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UI를 통해 자신이 희망하는 진료 일시를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203에서 선택된 제1 의료인(21)의 가능한(available) 시간이 캘린더 UI로 제공되고, 사용자(10)는 이를 참고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a에서 희망하는 진료 일시는 제1 메시지의 전송 이후에 지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즉, 단계 S204 이후에 단계 S205가 수행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희망하는 진료 일시는 단계 S204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희망하는 진료 일시에 관한 정보는 제1 메시지에 포함되어 서버(100)에 전송될 수도 있다.
단계 S206에서 사용자(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UI를 통해 서버(100)의 진료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자신이 진료받을 진료소(22H)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의료인(21)의 선택과 마찬가지로 진료소(22H)의 선택에 있어서는 매우 다양한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0)는 제1 장치(101)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상기 진료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진료소 그룹을 추출하고, 상기 진료소(22H)를 상기 후보 진료소 그룹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지역, 위치, 보조인력의 규모, 전문으로 하는 분야(예: 해당 진료소가 내과의원, 외과의원, 또는 치과의원인지 여부), 전용 시술 장비 구비여부, 규모, 면적, 평가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진료소(22H)는, 사용자(10)의 제1 장치(101)의 위치를 중심으로 지정된 거리(예: 반경 2km 등) 내에 존재하는 의료시설들 중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10)는 우수 진료소 랭킹을 참고하여 상기 진료소(22H)를 선택하거나, 서버(100)가 지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추천한 진료소들 중에서 진료소(22H)를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치과진료의 경우 상기 진료소 수준에서 한 수준 더 내려가, 개별 치과 체어를 구별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진료소(22H)의 프로파일을 진료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열람 또는 검색할 수 있다.
단계 S207에서 제1 장치(101)는 단계 S206에서 선택된 진료소(22H)의 사용 요청을 적어도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시지에는 진료 일시에 관한 정보, 진료소(22H)에 관한 선택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제2 메시지에는 위 열거한 정보 이외에 제1 장치(101)의 사용자(10)가 입력한 다양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a에 있어서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는 별개의 메시지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 메시지의 실질적인 정보의 구성 및 메시지의 전송 빈도는 도 2a에 도시된 예에 제한되지 있다. 예컨대,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는 단일 메시지로 통합될 수도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각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역시 각각 독립된 메시지를 구성하여 서버(100)에 전송될 수도 있다. 구현 형태에 따라서, 상기 메시지의 송신/수신은 일정한 웹 공간에 대한 정보의 제공(게시)/취득으로도 이해될 수도 있다.
단계 S208에서 서버(100)는 단계 S204에서 수신된 제1 메시지를 참조하여 제1 의료인(21)의 제2 장치(102)로 진료 요청을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3 메시지에는 제1 의료인(21)이 상기 진료 요청에 동의할지 여부를 판단하기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101)의 성별, 연령, 및 직전 진료이력 등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 자기 진단 의견(단계 S202에서 입력됨), 희망하는 진료 시간(단계 S205에서 지정됨), 및/또는 희망하는 진료소(단계 S206에서 선택됨)의 프로파일(위치, 시설 등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209에서 제1 의료인(21)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제2 장치(102)를 이용하여 상기 제3 메시지를 열람하고, 일정한 UI를 통해 진료 요청(단계 S208)에 대해 동의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제1 의료인(21)이 제2 장치(102)를 이용하여 진료 요청(단계 S208)에 동의하면 해당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가 제2 장치(102)에서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211에서 서버(100)는 상기 진료 요청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가 제2 장치(102)로부터 수신되면, 단계 S207에서 수신된 제2 메시지를 참조하여 진료소(22H)와 연관되어 있는 제2 의료인(22)의 제3 장치(103)로 상기 진료소(22H)의 사용 승인 요청을 포함하는 제4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4 메시지에는 제2 의료인(22)이 상기 사용 승인 요청에 동의할지 여부를 판단하기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메시지에는, 상기 제1 의료인(21)의 프로파일 정보, 사용자(10)의 프로파일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의료인(21)의 프로파일 정보에는, 예컨대, 제1 의료인(21)의 진료 횟수, 의료사고 발생 여부, 및 제1 의료인(21)에 대한 평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212에서 제2 의료인(22)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제3 장치(103)를 이용하여 제4 메시지를 열람하고, 일정한 UI를 통해 진료소 사용 승인 요청(단계 S211)에 대해 동의할 수 있다.
단계 S213에서 제2 의료인(22)이 제3 장치(103)를 이용하여 진료소 사용 승인 요청(단계 S211)에 동의하면 해당 동의를 나타내는 사용 승인 응답 메시지가 제3 장치(103)에서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의료인(21)의 제2 장치(102)로부터 진료 동의 응답(단계 S210)이 수신되고, 제2 의료인(22)의 제3 장치(103)로부터 진료소 사용 승인 응답(단계 S213)이 수신되면, 단계 S214에서 서버(100)는 진료 매칭 성공에 따른 후속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100)는 제1 의료인(21)이 사용자(10)를 지정된 일시(단계 S205에서 지정됨)에 제2 의료인(22)이 운영하는 진료소(22H)에서 진료를 수행한다는 취지 및 관련 정보를 내부 저장소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단계 S214에서 서버(100)는 후속 처리로서 필요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215에서 서버(100)는 제1 의료인(21)과 제2 의료인(22) 간의 계약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단계 S215는 제1 의료인(21)이 제2 의료인(22)이 운영하는 진료소(22H)에서 적법하게 의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미리 정해진 각종 계약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계약은 제1 의료인(21)과 제2 의료인(22) 간의 고용 계약, 및 의료보험에 관련된 계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약은 그 명칭을 불문하고, 사용자(10)에 대한 제1 의료인(21)의 적법한 의료행위를 담보하는 계약서류의 자동 작성 및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약에 관한 데이터는 마찬가지로 서버(100) 내 별도 저장소에 저장하거나,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입되어 보존될 수 있다.
단계 S216에서 서버(100)는 제1 장치(101), 제2 장치(102), 및 제3 장치(103) 중 적어도 하나로 매칭 완료를 나타내는 제5 메시지(매칭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매칭 완료 메시지의 수신에 의하여 사용자(10), 제1 의료인(21), 및 제2 의료인(22)은 진료의 예약, 즉, 진료 매칭이 완료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료자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료자 정보 제공 방법(단계 S301-S311)은 사용자(환자)의 제1 장치(101), 서버(100), 의료인 A의 장치 A, 의료인 B의 장치 B, 및 의료인 C의 장치 C 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2b의 단계 S301 내지 S309는 도 2a의 단계 S203을 더욱 구체화한 예시에 해당할 수 있고, 단계 S310 및 단계 S311은 각각 도 2a의 단계 S204 및 단계 S208과 유사한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도 2b에 도시된 단계들은 도 2a의 제1 의료인의 선택하는 절차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a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내용은 일부 또는 전부 생략될 수 있으며, 실시 형태에 따라서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단계가 부가될 수도 있다.
단계 S301에서 서버(100)는 사용자의 코멘트(예: 사용자가 기 입력한 자기 진단 의견) 또는 사용자의 환부에 관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의 제1 장치(1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환부에 관한 이미지는, 사용자의 신체를 촬영한 사진(예: 단순한 스냅 사진, 오럴 스캐너(oral scanner)를 이용한 영상 등), 또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촬영한 동영상, 라디오그래피(radiography) 이미지, X-ray 영상, 컴퓨터 단층 촬영(CT) 이미지, 및 자기공명영상(MRI)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02에서 서버(100)는 단계 S301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코멘트 또는 사용자의 환부에 관한 이미지를 지정된 웹 공간(예: 웹 페이지 게시판 등)에 게시(posting)할 수 있다.
단계 S303 내지 단계 S305에서 서버(100)는 사용자의 코멘트 또는 사용자의 환부에 관한 이미지에 대한 의학적 소견 a, b, c을 미리 정해진 집단(예: 의료인 A, B, C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의료인 A, B, C는 각자의 장치 A, B, C를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웹 공간에 게시된 사용자의 코멘트 또는 사용자의 환부에 관한 이미지를 검토하고, 자신의 의학적 소견 a, b, c를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인 A, B, C는 의학적 소견 a, b, c와 함께 진료의 청약(진료의 입찰) 취지를 표명할 수 있으며, 해당 진료에 소요되는 진료비를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도 있다.
단계 S306에서 서버(100)는 지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단계 S303-S305에서 수신된 의학적 소견 a, b, c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07에서 서버(100)는 예비적 진단 의견(preliminary opinion)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0)는 의학적 소견 a, b, c을 평가하거나 예비적 진단 의견을 생성함에 있어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미지의 특징점(features) 분석,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등 다양한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머신러닝 분석은 지도학습 기법(supervised learning technique) 또는 강화학습 기법(reinforcement learning techniqu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과 진료의 경우, 서버(100)는 전술한 다양한 기법을 이용하여 치아에 형성된 병변을 검출하고, 이를 기초로 의학적 소견 a, b, c의 적합성에 대해 스코어를 매길 수 있다. 상기 스코어는 상기 의학적 소견 a, b, c의 평가 결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전술한 다양한 기법을 자체적으로 인공지능에 기반한 예비적 진단 의견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단계 S308에서 서버(100)는 의료인 A, B, C의 프로파일; 의학적 소견 a, b, c; 의학적 소견 a, b, c의 평가 결과(예: 스코어); 및/또는 인공지능에 기반한 예비적 진단 의견을 사용자의 제1 장치(101)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09에서 사용자는 제1 장치(101)를 이용하여 의학적 소견을 제시한 의료인 A, B, C 중에서 어느 한 의료인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계 S308에서 제공받은 의료인 A, B, C의 프로파일; 의학적 소견 a, b, c; 의학적 소견 a, b, c의 평가 결과(예: 스코어); 및/또는 인공지능에 기반한 예비적 진단 의견을 두루 참고하여 진료자(도 2a의 제1 의료인)를 선택할 수 있다. 가령, 의학적 소견 b의 평가 스코어가 가장 높은 경우 사용자는 의료인 B의 프로파일을 참고하여 진료를 의뢰한 진료자(제1 의료인)로서 의료인 B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서버(100)는 제1 장치(101)로부터 의료인 B 선택 정보 및 의료인 B에 의한 진료 요청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메시지에는 사용자 코멘트(예: 자기 진단 의견)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단계 S311에서 서버(100)는 의료인 B의 장치 B로 진료 요청 및 인공지능에 기반한 예비적 진단 의견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의료인 B가 상기 진료 요청에 동의할지 여부를 판단하기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직전 진료이력 등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 자기 진단 의견, 희망하는 진료 시간, 및/또는 희망하는 진료소의 프로파일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을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각 장치의 UI 화면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로서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각 화면의 도시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각종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은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장치(101)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장치(101)의 UI 화면(300)은, 예컨대, 도 2a의 단계 S203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제1 장치(101)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준(301; 교정, 임플란트, 교정전문의, 경력 10년 이상, 치료비 \500,000 이상 3,000,000원 이하)에 따라 서버(100)의 의료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의료인 그룹(302 - 305)을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자신의 진료를 의뢰할 제1 의료인(21)을 상기 후보 의료인 그룹(302 - 305)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후보 의료인 그룹(302 - 305)에는 각 의료인들의 전문의 여부, 경력 등이 간략하게 표시될 수 있으며, 각 오브젝트(302 - 305)가 선택되면 더욱 상세한 프로파일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장치(101)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장치(101)의 UI 화면(400)은, 예컨대, 도 2a의 단계 S206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제1 장치(101)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준(401; 서울시 강남구, 예쁜 인테리어, 진료가능 기간, 진료소 임차 비용 100,000 이상 300,000원 이하)에 따라 서버(100)의 진료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진료소 그룹(402 - 405)을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자신이 진료받을 진료소를 상기 후보 의료인 그룹(402 - 405)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후보 의료인 그룹(402 - 405)에는 각 진료소들의 이용가능 일시 등이 간략하게 표시될 수 있으며, 각 오브젝트(402 - 405)가 선택되면 선택된 진료소에 대한 더욱 상세한 프로파일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의료인(21)의 제2 장치(101)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장치(102)의 UI 화면(500)은, 예컨대, 도 2a의 단계 S209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의료인(21)의 제2 장치(102)는 서버(100)로부터 진료 요청 메시지(제3 메시지)를 수신하여 UI 화면(50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UI 화면(500)에는 제1 의료인(21)을 나타내는 오브젝트(501)(예: 성명, 섬네일 이미지 등), 진료의뢰인(사용자(10))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오브젝트(502)(예: ID, 성명, 성별, 연령 등), 진료의뢰인의 자기 진단 의견(503), 진료희망 일시/장소(504), 및 진료 의뢰에 동의할지 여부를 묻는 안내문 및 버튼(50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의료인(21)이 505의 "예" 버튼을 선택하면, 진료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가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의료인(22)의 제3 장치(103)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장치(103)의 UI 화면(600)은, 예컨대, 도 2a의 단계 S212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의료인(22)의 제3 장치(103)는 서버(100)로부터 진료소(22H)의 사용 승인 요청 메시지(제4 메시지)를 수신하여 UI 화면(600)을 표시할 수 있다. UI 화면(600)에는 제2 의료인(22)이 운영하고 있는 진료소(22H)을 나타내는 오브젝트(601)(예: 진료소 명칭, 로고 등), 진료의뢰인(사용자(10))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오브젝트(602)(예: ID, 성명, 성별, 연령 등), 진료자(제1 의료인(21))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오브젝트(603) (예: ID, 성명, 경력, 평가 등), 진료 희망 일시/장소(604), 및 진료소 사용 의뢰에 동의할지 여부를 묻는 안내문 및 버튼(60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의료인(22)이 605의 "예" 버튼을 선택하면, 진료소 사용 승인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가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장치(101), 제2 장치(102), 또는 제3 장치(103)에서 출력될 수 있는 UI 화면(700)이 도시되어 있다. UI 화면(700)은, 예컨대, 도 2a의 단계 S216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장치(101), 제2 장치(102), 또는 제3 장치(103)는 서버(100)로부터 매칭 완료 메시지(제5 메시지)를 수신하여 UI 화면(700)을 표시할 수 있다. UI 화면(700)에는 진료의뢰인(사용자(10))을 나타내는 오브젝트(701), 진료자(제1 의료인(21))를 나타내는 오브젝트(702), 제2 의료인(22)이 운영하고 있는 진료소(22H)을 나타내는 오브젝트(703), 및 진료 일시/장소(70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장치(101), 제2 장치(102), 및 제3 장치(103)는 진료 일시에 이르면 일정한 알림(notification)을, 예컨대, 팝업 형식으로 각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는 버스(110), 디스플레이(120), 통신 회로(130), 메모리(140), 데이터베이스(150), I/O 인터페이스(160), 및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서버(1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대표적 예시이며, 병렬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 등 다양한 연산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버스(110)는 구성요소들(120-17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버스(110)는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각종 콘텐츠를 구성하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들(101, 102, 103)과의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13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80)에 액세스하여 외부 장치들(101, 102, 103)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180)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180)에 액세스하기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170)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의료인, 진료소, 사용자(환자)에 관한 데이터 일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메모리(140) 상에 구현되거나 별도의 저장소, 저장 매체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베이스(150)는 의료인, 진료소, 사용자(환자)의 식별정보(예: ID)를 키 필드(key field)로 하여 구축되며, 일정한 인증을 거친 정당한 사용자만이 상기 데이터베이스(150)에 액세스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150)에 포함되는 다양한 정보, 데이터 등의 일부 또는 전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재되어 관리될 수도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는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에 전달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는 하드웨어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외부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단자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는, 중앙처리장치(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실행 시에, 메모리(14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스트럭션,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은 프로세서(170)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0)는 제1 의료인(21)에 관한 선택 정보 및 상기 제1 의료인(21)에 의한 진료 요청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통신 회로(130)를 통해 제1 장치(1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진료 일시에 관한 정보, 진료소(22H)에 관한 선택 정보, 및 상기 진료소(22H)의 사용 요청을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제1 장치(101)로부터 통신 회로(13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70)는 상기 진료 요청을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제2 장치(102)로 전송하고, 상기 진료 요청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이 상기 제2 장치(102)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진료 일시에 관한 정보, 및 진료소(22H)의 사용 요청을 포함하는 제4 메시지를 상기 진료소(22H)와 연관되어 있는 제2 의료인(22)의 제3 장치(103)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진료소(22H)의 사용 요청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이 제3 장치(103)로부터 수신되면, 제1 장치(101), 제2 장치(102), 및 제3 장치(103)로 매칭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통신 회로(13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170)의 동작들은 예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직간접적으로 기재된 "서버"의 동작은 해당 "서버"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1 장치(101), 제2 장치(102), 및 제3 장치(103)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 (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 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 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 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제1 장치(101), 제2 장치(102), 및 제3 장치(103)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Digital Video Disk player),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 게임 콘솔,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10)는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진료자를 검색하여 진료를 요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장소(진료소)에서 상기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진료를 의뢰받아 이를 수행하는 제1 의료인(21)은 장소에 얽매임 없이 다양한 환자를 진료할 수 있으며, 진료소(22H)를 운영하는 제2 의료인(22)은 자신의 진료소(22H)를 비어있는 시간에만 공유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통신 기술을 매개로 의료기관, 진료소의 공유경제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의한 진료 매칭 방법에 있어서,
    제1 의료인에 관한 선택 정보 및 상기 제1 의료인에 의한 진료 요청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사용자의 제1 장치로부터 제공받는 동작;
    진료 일시에 관한 정보, 진료소에 관한 선택 정보, 및 상기 진료소의 사용요청을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제공받는 동작;
    상기 진료 요청을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상기 제1 의료인의 제2 장치에 제공하는 동작;
    상기 진료 요청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이 상기 제2 장치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진료소의 사용 요청을 포함하는 제4 메시지를 상기 진료소와 연관되어 있는 제2 의료인의 제3 장치에 제공하되, 상기 제1 의료인은 상기 진료소에 소속되지 아니한, 동작;
    상기 진료소의 사용 요청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이 상기 제3 장치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제1 장치, 상기 제2 장치, 및 상기 제3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 완료를 나타내는 제5 메시지를 제공하는 동작;
    상기 진료 요청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 및 상기 진료소의 사용 요청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는 응답이 제공되면, 상기 제1 의료인과 상기 제2 의료인 간의 계약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동작; 및
    상기 계약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 내 저장소에 저장하거나,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입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 연령, 및 진료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의 자기 진단 의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 진단 의견은 상기 제3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제2 장치에 제공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메시지는 상기 제1 의료인의 프로파일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의료인의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제1 의료인의 진료 횟수, 의료사고 발생 여부, 및 상기 제1 의료인에 대한 평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의료인은,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의료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상기 의료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의료인 그룹이 추출되고,
    상기 제1 의료인은, 상기 후보 의료인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전문의 여부, 전문분야, 경력, 학력, 및 치료비 허용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료소는,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진료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상기 진료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후보 진료소 그룹이 추출되고,
    상기 진료소는, 상기 후보 진료소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지역, 위치, 보조인력의 규모, 전용 시술 장비 구비여부,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료소는, 상기 제1 장치의 위치를 중심으로 지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의료시설들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13. 삭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약은, 상기 제1 의료인과 상기 제2 의료인간의 고용 계약, 및 의료보험에 관련된 계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의료인 및 상기 제2 의료인은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100085A 2018-08-27 2018-08-27 진료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227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085A KR102227833B1 (ko) 2018-08-27 2018-08-27 진료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085A KR102227833B1 (ko) 2018-08-27 2018-08-27 진료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374A KR20200024374A (ko) 2020-03-09
KR102227833B1 true KR102227833B1 (ko) 2021-04-15

Family

ID=69801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085A KR102227833B1 (ko) 2018-08-27 2018-08-27 진료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158B1 (ko) * 2021-05-07 2023-05-26 주식회사 이노그리드 반려동물을 위한 인공지능 진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39466B1 (ko) * 2021-12-22 2023-06-07 한연희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11579B1 (ko) * 2022-03-22 2023-03-21 주식회사 지나웍스 진료 키트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177A (ja) * 2001-03-13 2002-09-25 Nippon Sanso Corp 医療複合施設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615A (ko) * 2000-05-04 2001-11-14 김태수 온라인 병원 예진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5719A (ko) * 2014-08-28 2016-03-09 서인옥 미용실 공유 서비스 시스템
KR20180064735A (ko) * 2016-12-06 2018-06-15 홍유리 공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177A (ja) * 2001-03-13 2002-09-25 Nippon Sanso Corp 医療複合施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374A (ko)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Delden et al. Revised CIOMS international ethical guidelines for health-related research involving humans
Hall et al. For telehealth to succeed, privacy and security risks must be identified and addressed
US8301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integration
US114438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recording of patient notes
Ng et al. Improving access to eye care: teleophthalmology in Alberta, Canada
El-Miedany Telehealth and telemedicine: how the digital era is changing standard health care
US20140356833A1 (en) Generat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course of a procedure
US9015630B2 (en) Clinical photographic recordkeep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2227833B1 (ko) 진료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Rodrigues et al. Mobile health platform for pressure ulcer monitoring with electronic health record integration
US20140278503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reatment and management of one or more subjects
Silva et al. Outpatient palliative care practice for cancer patients during COVID-19 pandemic: benefits and barriers of using telemedicine
Marrin et al. Fast and frugal tools for shared decision-making: how to develop Option Grids
Woźniacka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medicine and dermatology
Wong et al.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Chinese medicine clinical service recommendations for cancer palliative care using Delphi approach based on the evidence to decision framework
US20210225498A1 (en) Healthcare workflows that bridge healthcare venues
US20200365258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notated video sequences in response to manual and image input devices
US108543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ommunication
US20150051918A1 (en) Computer-based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customized medical information
KR20170061251A (ko) 병원정보 기반의 환자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US20160328520A1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systems and frameworks configured for facilitating pre-consult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dication-centric interview processes, and centralized management of medical appointment data
Tomljenovic et al. Mandatory HPV vaccination
Sampson et al. No one size fits all” a multi-method survey of oncology allied health professionals experiences with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queer questioning adolescent, and young adult patients with cancer and reproductive and sexual health
Lewis et al. Patient perspective: Importance and how to elicit
US10755803B2 (en)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context AP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