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579B1 - 진료 키트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진료 키트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579B1
KR102511579B1 KR1020220035492A KR20220035492A KR102511579B1 KR 102511579 B1 KR102511579 B1 KR 102511579B1 KR 1020220035492 A KR1020220035492 A KR 1020220035492A KR 20220035492 A KR20220035492 A KR 20220035492A KR 102511579 B1 KR102511579 B1 KR 102511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user
user terminal
reserv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대환
김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나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나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나웍스
Priority to KR102022003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03Detecting lung or respiration no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5Combinations of network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의료인의 의료기관 단말 사이의 원격진료예약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원격진료예약과 대응하는 예약시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전에 원격진료를 위한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채널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의료인의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 상기 의료인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요청신호 및 상기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방법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료 키트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APPARATUS,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TELEMEDICINE SERVICE USING A MEDICAL TREATMENT KIT}
본 발명은 진료 키트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세계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현재 사회는 예방을 위해 사람 간의 접촉을 줄이는 '언택트 (untact)'를 넘어서 '터치리스(touchless)'가 트렌드로 나타날 동향을 보인다. 서 울시는 코로나 이후 감염병이 일상인'뉴 노멀 시대'가 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바 이러스 공존세대가 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또한, 포브스의 포스트 코로나 기사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 일어날 사회의 9가지 변화로 터치리스와 원격진료의 발전과 바이러스의 위험이 없는 AI와 로봇에 대한 기술의 성장을 이야기한다.
최근 3개월 간 우리나라 산업 분야의 변화를 살펴보면 교육 분야에 서는 온라인 수업이 주류를 이루며 화상채팅이 급부상했고, 기술 분야에서는 비접 촉 체온계가 제작되고 터치대신 안면 인식 등의 기술이 도입되었다. 이처럼 앞으로는 의료 분야에서도 비대면 서비스가 필요해질 것이다. 특히, 바이러스가 창궐하면 사람들의 가장 큰 니즈가 향하는 곳은 의료 서비스이다. 의료기관은 가장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해야하기 때문에 비대면 서비스를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국내 시장에서는 원격진료와 의약품 배달이 개척되어 있지 않 은 상태지만, 미국에서는 화상회의를 통해 원격으로 환자와 의사 간 실시간 상담이 이뤄지는 것은 물론 주치의가 전문의에게 엑스레이, CT 촬영 등 대용량의 디지털 이미지를 전송하거나 전자장치를 통한 건강정보 전송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더욱 폭발적 양상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기업 'IBIS월드'에 따르면 미국의 원격의료 서비스 시장은 지난 5년간 연평균 34.7%의 폭발적 성장을 지속해 2019년 시장 규모가 24억 달러 (한화 약 2조 9364억원)에 달했다고 한다.
글로벌 원격의료 시장의 규모는 1,305억 달러(약 156조 원)까지 성 장할 전망을 보인다. 세계 각국의 원격의료 제도의 현황을 살펴보면 미국은 원격의 료를 보험 급여로 제공하고 있으며 같은 아시아대륙인 중국은 원격의료 관련 규제를 대폭 완화하였고, 일본 역시 원격의료 기본원칙과 적용대상을 최초로 제시하기 시작했다. 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에서도 의료 시스템 보완을 위해 'e-Health'를 도입하였다. 이와 같은 세계 의료 시장의 현황으로 볼 때, 다가올 바이러스 공존세 대를 위해 원격의료 서비스의 국내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부연하여, 현재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의료 지출비용은 계속해서 증 가하는 추세로서 그 증가율은 OECD 평균의 3배 이상으로 나타나 의료비용의 절감을 위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으며,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필요하나 의료시설이 낙후된 도서산간지역 등 의료 취약지나 거동의 불편함 등 의료서비스의 접근성이 어려 운 경우가 많은데, 만성질환자들을 위한 간소화된 진료서비스와 의료취약계층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가 필요하고, 직장생활 및 사회활동 등 바쁜 현대 인의 생활환경으로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진료를 받기가 힘든 여건이므로 이를 고려한 편의성 높은 서비스 제공 등이 필요한 실정에 있다.
이에, 원격진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일부에서는 발전된 전기전자기술 및 통신망을 활용하여 원격진료를 실시하고 있기도 하나, 의료행위 자와 환자 간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한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에 있으며,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 등 다수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인용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4935호(2012.07.31.) (인용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9697호(2012.05.17.) (인용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6615호(2012.07.09.)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화상 진료의 접근성을 제고하고 편 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해외환자 유치 등 국내는 물론 해외 경쟁력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진료 키트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의료인의 의료기관 단말 사이의 원격진료예약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원격진료예약과 대응하는 예약시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전에 원격진료를 위한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채널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의료인의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 상기 의료인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요청신호 및 상기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방법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진료부위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진료부위를 미리 학습된 인공신경망에 입력 값으로 입력하고, 상기 인공신경망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복수의 환부이미지들 각각에 대한 연관도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연관도 미리 설정된 기준 연관도 이상인 상기 환부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이미지리스트를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상기 이미지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환부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선택입력과 대응하는 상기 환부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스마트청진기를 통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폐음을 수신하고, 상기 폐음을 미리 학습된 제1 인공신경망에 입력 값으로 입력하며, 상기 제1 인공신경망으로부터 폐 건강상태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스마트청진기를 통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심장음을 수신하고, 상기 심장음을 미리 학습된 제2 인공신경망에 입력 값으로 입력하며, 상기 제2 인공신경망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심장질환들 각각에 대한 연관성을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의료인의 의료기관 단말 사이의 원격진료예약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폐 건강상태가 미리 설정된 이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또는 상기 심장질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관성이 미리 설정된 기준 연관성보다 높은 경우 이상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발생된 이상상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가능스케쥴 및 예약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이상상태와 대응하는 진료과목과 매칭되는 복수의 상기 의료인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의료인들의 상기 의료기관 단말들에 상기 이상상태 및 상기 예약가능스케쥴을 제공하는 동작; 상기 의료기관 단말들로부터 입찰신호를 수신하고, 입찰신호를 전송한 상기 의료기관 단말들과 대응하는 상기 의료인들을 포함하는 입찰의료인 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입찰의료인 리스트와 상기 입찰의료인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의료인들 각각의 서비스 가입 정보 및 예약 가능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입찰의료인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의료인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 및 상기 예약시각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선택입력과 대응하는 상기 의료인의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상기 예약시각을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사용자 환경에서의 연결이 가능하고, 개인의 생체 정보 및 라이프로그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생체정보의 활용을 통한 원격 화상 진료를 받을 수 있고 의료진의 협진을 통한 원격 화상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구성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가 사용자 정보 및 측정 값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가 폐음 분석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가 심장음 분석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가 측정스케쥴을 생성하고 측정스케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측정값을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가 진료예약을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진료예약 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진료예약 서비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진료예약 서비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가 원격진료를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가 의사에게 원격진료를 보조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들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품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품목들 중의 어느 품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구성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은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 의료기관 단말(300), 및 센서디바이스(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는웹 기반 또는 클라우팅 컴퓨팅 (Cloud Computing)을 활용하여 오픈 소스를 갖는 클라우드 기반의 개방형 모바일 플랫폼으로 구축되는 것으로서, 원격 화상(畵像) 진료 및 상담 서비스를 위한 통합 모바일 앱을 제공하고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한 접속이 가능하며, 원격진료 화 상서비스 및 상담서비스를 주관 및 매개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인터넷상의 서버를 통하여 데이터 저장,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 등 IT 관련 서비스를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으로서, 사용자의 모든 정보를 인터넷상의 서버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각종 IT 기기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다는 개념이며, 무형의 형태로 존재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자신이 필요한 만큼 빌려 쓰고 이에 대한 사용요금을 지급하는 방식의 컴퓨팅 서비스이다.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는클라우드 서비스모듈(101)과, 보안모듈(102), 사용자 지원모듈(103), 및 원격진료 통합관리모듈(104)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모듈(101)은 서비스이용자(사용자나 의료진 등)가 앱(App) 또는 웹(Web)을 이용한 연결 접속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클라우드 플랫폼과, 클라우드 인프라로 구축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플랫폼은 오픈 소스를 통한 개방형으로 구축하기 위해 클라우드파운드(CloudFoundry) 기반으로 구축할 수 있고, 클라우드 인프라는 오픈 소스를 통한 개방형으로 구축하기 위해 오픈스택(OpenStack) 기반으로 구축할 수 있다.
클라우드 플랫폼은 PHR(Personal Health Record) 기반의 웹서비스제공을 위한 웹서버와, 다양한 언어별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 복잡한 이기종 환경에서의 원활한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미들웨어, 각종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B), 및 모바일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클라우드 인프라와 연동 및 클라우드 인프라를 지원하도록 설치된다.
클라우드 인프라는 가상서버의 생성 및 삭제를 비롯하여 메타데이터 변경 등 가상서버를 관리하기 위한 가상서버 제어부와, 스토리지의 생성과 삭제 및 변경을 비롯하여 스토리지간 연동 등 스토리지 제어를 위한 스토리지 제어부와, 가상스위치 생성 및 관리 등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제어부와, 스토리지와 네트워크 등을 비롯한 모든 자원을 제어하여 오케스트레이션을 수행하고 VM(Virtual Machine) 그룹별 생성 및 삭제 등 VM 그룹 및 템플릿을 관리하기 위한 오케스트레이션자동화부와, VM그룹과 메모리 및 CPU 기준 스케쥴링을 관리하기 위한 VM스케쥴링부를 포함한다.
보안모듈(102)은 서비스이용자(사용자나 의료진 등)에 대한 플랫폼 서버(100) 측으로의 시스템 접근 및 인증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4가지 인증방식을 지원하는 보안시스템부와, 다양한 이해관계자별 데이터 및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접근 권한을 관리 및 설정하기 위한 정보권한 설정부가 구비된다.
이때, 보안시스템부는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 내부의 상황에 따른 유동적 보안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공개인증(Oauth) 방식을 적용하되, 리소스 서버 및 Oauth 서버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구축할 수 있다.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가 갖는 리소스 웹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는 방식으로서 신뢰성이 있는 사용자를 위한 Authorization Code Grant 인증방식과, 공중의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브라우저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인증방식을 사용하는 Implicit Grant 인증방식과, 사용자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직접 접근하게 하는 Password Credentials Grant 인증방식과, 및 접근 어플리케이션이 신뢰성이 있는 사용자일 때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가지고 인증하게 하는 Client Credentials Grant 인증방식 등을 지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보권한 설정부는 일 예로, 사용자가 의료영상서비스와 개인 건강평가서비스 및 개인 건강기록 접속 등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진이 의료영상서비스와 의료영상 DB 접속 및 개인 건강평가서비스 등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나 운영자가 의료영상 데이터 접속 및 관리와 개인 건강기 록데이터 접속 및 관리 등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지원모듈(130)은 앱을 통한 사용자의 접근뿐만 아니라 서비스이용자(사용자나 의료진 등)의 다양한 요구사항 수용을 위한 웹 표준을 적용하고 사용자 편의를 위해 웹 콘덴츠 접근성을 제공하며 다양한 접속환경을 갖는 인 터넷 사용자들을 위해 웹 호환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 멀티플랫폼환경 지원부와, 다국어 변환엔진을 통해 다국어를 지원하기 위한 다국어 지원부가 구비된다.
멀티플랫폼환경 지원부는 표준으로 사용되는 개방형 인터넷 표준 권고안(W3C)을 준수 및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을 준수하며, 특정 플랫폼에 종속되는 환경을 배제 및 모든 브라우저에 서비스 가능하도록 구축함으로써 웹표준과 웹접근성 및 웹호환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다국어 지원부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지 해외 의료기관의 의료진과 진료 및 상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아랍어 등 다국어를 지원하도록 구비되며, 해외환자 유치를 가능하게 한다.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는모바일 기기의 활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요 목적을 갖는 것으로서, 모바일 앱의 확장과 탑재가 용이하도록 셀기반 하이브리드 앱을 적용할 수 있고, iOS와 Andriod 2가지의 모바일 플랫폼을 지원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 API를 구축하여 iOS와 Andriod에 모두 연결 가능하도록 하여 앱 호환성을 갖는 사용자 환경을 구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는Window와 MacOS를 통한 웹 사용자 환경을 구축하여 모바일뿐만 아니라 PC를 통한 접속시 연동되게 함으로써 멀티플랫폼 사용자 환경을 지원하도록 구성한다.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는국내 또는 해외 의료기관, 즉 의료기관 단말(300)과의 원격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의료영상 변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으며,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인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 프로토콜을 적용함 으로써 국내는 물론 해외 의료기관과의 의료영상기반 원활한 원격진료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200)은 모바일 기기로서, 사용자가 보유하는 스마트폰이라 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비스 가입 정보를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에 제공하고, 원격진료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가입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결제수단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에 인터페이스 및 연동 가능하도록 원격진료 통합 모바일 앱이 탑재되고,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를 매개로 원격 화상 진료를 위한 의료기관 단말(300) 측에 연결 시 연동되어 의료기관 단말(300)을 보유하는 의료진과의 화상(畵像) 진료 및 의료 상담이 가능하도록 화상카메라(200A)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인 스마트폰에는 화상카메라(200A)가 기본적으로 장착된다.
사용자 단말(200)은 센서디바이스(400)의 각 디바이스에서 전송하는 생체정보를 안전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모듈을 구비하며,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IrDA), 초광대역통신(UWB), 지그비(Zigbe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무선통신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센서디바이스(400)의 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생체정보를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측과 안정되게 데이터통신할 수 있도록 전송모듈을 구비하며,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와이파이(Wi-Fi)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원격진료를 받기 위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를 매개로 의료기관 단말(300)측과 연결되어 국내 유수 또는 해외 유수의 의료진으로부터 원격 화상 진료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의료기관 단말(300)은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를 매개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와의 화상 진료 및 의료 상담이 가능하도록 원격진료용 화상카메라(300A)를 구비하고, 이를 포함하는 원격화상 진료시스템을 구비한다.
의료기관 단말(300)은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으로부터 센서디바이스(40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에 대한 생체정보(측정 값)를 전송받아 화상 진료에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국내의료 기관 단말과 하나 이상의 해외의료기관 단말로 구분할 수 있다.
의료기관 단말(300)은 다수의 의료기관 단말을 통해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를 매개로 의료진 간에 화상(畵像)을 이용한 협진을 수행할 수 있으며, 협진요청 의료기관 또는 협진지원 의료기관이 될 수 있다.
이때, 의료진 간의 협진은 국내 유수의 의료진 간에 이루어질 수 있 고, 해외 유수의 의료진 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국내 유수의 의료진과 해외 유수의 의료진 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의료기관 단말(300)은, 서비스 가입 정보를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에 제공하고, 원격진료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가입 정보는, 의료인의 진료 가능한 진료과목, 전공분야, 전공분야와 관련된 키워드들, 진료시 발생되는 수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기관 단말(300)은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와 연동하여 사용자와의 화상 진료 및 상담을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연동서버(310)와, 협진요청 의료기관과 협진지원 의료기관 간의 사용자 PHR(Personal Health Record)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PHR 서버(320), 및 상기 협진요청 의료기관과 협진지원 의료기관 간의 의료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그리드 서버(330)를 포함한다.
이때, 의료기관 단말(300)에 있어서는, 협진요청 의료기관은 상기 연동 서버를 통해 HTTP 프로토콜 상에서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메시지를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에 전송하고,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에서 협진지원 의료기관 측 단말에 협진서비스 호출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의료기관 단말(300)은 의사결정지원시스템(CDSS) 기반의 의료 상담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센서디바이스(400)는 사용자 단말(200)을 보유하는 사용자에 대한 생체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기로서,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생체정보(측정 값)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수집된 생체정보(측정 값)를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 측으로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센서디바이스(40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생체정보(측정 값)를 사용자 단말(200)이 아닌 주변의 장치드라이버와의 통신을 통해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 측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병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센서디바이스(400)는 사용자 단말(200)을 보유하는 사용자에 대한 혈압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혈압계(410), 사용자에 대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체온계(420), 사용자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산소포화도 측정계(430), 사용자의 폐음, 심박음 및 맥파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청진기(440) 및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LED 카메라(450)를 포함한다.
센서디바이스(400)는, 각각의 센서디바이스가 사용자 단말(200)과 PAN(Personal Area Network; 개인통신망) 또는 BAN(Body Area Network; 인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측정된 생체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 모듈(400A)을 구비한다.
이때, 센서디바이스(400) 각각이 갖는 통신모듈(400A)은 데이터 전송에 따른 보안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도록 HDP(Health Device Profile) 통신프로파일을 적용하고, 통신 연결 및 데이터 교환 제어를 위해 LTP(Local Transport Protocol)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센서디바이스(400) 각각은 사용자 단말(200)과 인터페이스되어 연결시 생체정보 측정데이터를 상기 LTP 명령에 의해 HDP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HDP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센서디바이스(400) 각각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 선통신(IrDA), 초광대역통신(UWB), 지그비(Zigbee)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에 의한 무선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디바이스(400) 각각이 갖는 통신모듈(400A)은 사용자 단말(200)과 직렬 연결을 설정하도록 SPP(Serial Port Profile) 통신 프로파일을 적용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 측정데이터를 비롯한 모뎀제어신호 및 설정 명령을 전송하도록 RFCOMM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SPP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도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IrDA), 초광대역통신(UWB), 지그비(Zigbee)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에 의한 무선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가 사용자 정보 및 측정 값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의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신장, 체중, 입원 경험, 복용 약물, 음주 여부, 흡연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이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체온, 혈압, 산소포화도, 폐음 및 심박음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이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사용자가 생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이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혈압계(410), 체온계(420), 산소포화도 측정계(430) 및 스마트 청진기(440)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가 폐음 분석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스마트 청진기(440)를 통해 측정된 폐음을 수신하고, 수신된 폐음을 미리 학습된 제1 인공신경망에 입력 값으로 입력하며, 제1 인공신경망으로부터 폐의 건강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획득한 폐의 건강 상태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폐의 건강 상태와 함께 수신된 폐음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아날로그 신호인 폐음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에 대한 복수의 응답 벡터(Vrp)들로 변활할 수 있다.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응답 벡터(Vrp)들을 순차적으로 제1 인공신경망에 입력하고, 제1 인공신경망으로부터 폐의 건강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인공신경망은, 응답 벡터(Vrp)를 입력받고, 응답 벡터의 성분값 개수와 동일한 개수(n)의 입력 노드들로 구성되는 입력층, 입력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출력값들을 이용하여 산출된 출력 벡터(Y`)를 출력층에 전달하는 은닉층, 및 출력 벡터(Y`)에 활성화 함수를 적용하여 출력 벡터(Y`)에 대응하는 확률(p)을 결정하고, 결정된 확률(p)이 가장 높은 출력 벡터(Y`)를 출력하는 출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공신경망은, 미리 수집된 훈련 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미리 지도학습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훈련 데이터 셋은, 미리 수집된 폐음에 대한 응답 벡터(Vrp)와 해당 폐음에 대한 건강 상태들 각각과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폐 벡터(Vtrp)를 각각 훈련 입력값과 훈련 출력값으로 갖는 데이터 집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정상, 주의, 보통, 양호, 좋음 등이 폐의 건강 상태들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가 심장음 분석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스마트 청진기(440)를 통해 측정된 심장음을 수신하고, 수신된 심장음을 미리 학습된 제2 인공신경망에 입력 값으로 입력하며, 제2 인공신경망으로부터 심장의 활력도, 심장의 건강 상태 및 미리 설정된 심장질환들 각각에 대한 연관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획득한 심장의 활력도, 심장의 건강 상태 및 미리 설정된 심장질환들 각각에 대한 연관성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심장의 활력도, 심장의 건강 상태 및 미리 설정된 심장질환들 각각에 대한 연관성과 함께 수신된 심장음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아날로그 신호인 심장음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에 대한 복수의 응답 벡터(Vrp)들로 변활할 수 있다.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응답 벡터(Vrp)들을 순차적으로 제2 인공신경망에 입력하고, 제2 인공신경망으로부터 심장의 활력도, 심장의 건강 상태 및 미리 설정된 심장질환들 각각에 대한 연관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인공신경망은, 응답 벡터(Vrp)를 입력받고, 응답 벡터의 성분값 개수와 동일한 개수(n)의 입력 노드들로 구성되는 입력층, 입력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출력값들을 이용하여 산출된 출력 벡터(Y`)를 출력층에 전달하는 은닉층, 및 출력 벡터(Y`)에 활성화 함수를 적용하여 출력 벡터(Y`)에 대응하는 확률(p)을 결정하고, 결정된 확률(p)이 가장 높은 출력 벡터(Y`)를 출력하는 출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인공신경망은, 미리 수집된 훈련 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미리 지도학습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훈련 데이터 셋은, 미리 수집된 심장음에 대한 응답 벡터(Vrp)와 해당 심장음에 대한 심장의 활력도, 심장의 건강 상태 및 미리 설정된 심장질환들 각각에 대한 연관성과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심장 벡터(Vtrp)를 각각 훈련 입력값과 훈련 출력값으로 갖는 데이터 집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주 좋음, 좋음, 보통, 약간 낮음, 낮음 등이 심장의 활력도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정상, 비정상 등이 심장의 건강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정상, 대동맥판 협착증, 승모판 역류, 승모판 협착, 승모판 탈출 등이 심장질환들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심장질환들 각각과 심장질환에 대한 설명이 매칭되어 저장되며,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심장질환들 각각에 대한 설명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가 측정스케쥴을 생성하고 측정스케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측정값을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사용자 정보 및 최초로 수신한 생체정보를 이용해 측정스케쥴을 생성한다(S110).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사용자 정보 및 최초로 수신한 생체정보들을 미리 학습된 제3 인공신경망에 입력 값으로 입력하며, 제3 인공신경망으로부터 생체정보들 각각에 대한 측정스케쥴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획득한 생체정보들 각각에 대한 측정스케쥴을 이용해 사용자 단말(200)에 측정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사용자의 신장, 체중, 입원 경험, 복용 약물, 음주 여부, 흡연 여부, 체온, 혈압, 산소포화도, 폐음, 심장음에 대한 복수의 입력벡터들을 제3 인공신경망에 입력하고, 제3 인공신경망으로부터 생체정보들 각각에 대한 측정스케쥴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인공신경망으로부터 체온, 혈압, 산소포화도, 폐음, 심장음 각각에 대한 측정스케쥴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인공신경망은, 미리 수집된 훈련 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미리 지도학습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훈련 데이터 셋은, 미리 수집된 입력벡터들과 생체정보들 각각에 대한 측정스케쥴과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측정스케쥴벡터들을 각각 훈련 입력값과 훈련 출력값으로 갖는 데이터 집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Random Forest, Xgboost, 다중회귀분석 등이 제3 인공신경망의 지도학습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와 현재 상태에 적합한 생체정보별 측정스케쥴이 생성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를 가지고 살펴봐야할 필요성이 있는 생체정보에 대해서는 측정주기가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되고,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를 가지고 살펴봐야할 필요성이 없는 생체정보에 대해서는 측정주기가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된다.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제3 인공신경망으로부터 획득된 생체정보들 각각에 대한 측정스케쥴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생체정보들 각각에 대한 측정스케쥴을 이용해 측정알림을 출력한다(S120).
사용자는 센서디바이스(400)를 통해 생체정보(측정 값)을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에 전송한다(S130).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측정알림이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생체정보(측정 값)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40), 생체정보(측정 값)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과 미리 매칭된 다른 사용자 단말(200)에 미측정알림을 전송한다(S150).
일 실시예에서, 서로 가족관계 또는 친구관계에 있는 사용자 단말(200)들이 미리 매칭되어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측정스케쥴대로 생체정보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과 미리 매칭된 다른 사용자 단말(200)에 미측정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매칭된 사용자들끼리 측정스케쥴대로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있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
측정알림이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생체정보(측정 값)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측정스케쥴을 수정한다(S160).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수신된 생체정보를 이용해 기존에 수신됐던 생체정보들을 갱신하고, 제3 인공신경망에 사용자 정보 및 갱신된 생체정보들을 입력 값으로 입력하며, 제3 인공신경망으로부터 생체정보들 각각에 대한 측정스케쥴을 획득할 수 있다. 생체정보들 각각에 대한 측정스케쥴을 새롭게 획득된 생체정보들 각각에 대한 측정스케쥴로 수정된다.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획득된 생체정보들 각각에 대한 측정스케쥴을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한다(S170).
도 6은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가 진료예약을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진료 통합관리모듈(104)의 진료 예약부(1042)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진료과목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진료과목들 각각과 복수의 의료인들이 매칭되어 저장되고, 의료인들 각각과 서비스 가입 정보 및 예약 가능 시간이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다.
진료 예약부(104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진료과목들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고, 선택입력과 대응하는 진료과목과 매칭되는 의료인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며, 선택한 의료인들과 대응하는 서비스 가입 정보 및 예약 가능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한다. 또한, 진료 예약부(1042)는, 선택된 의료인들의 리스트, 선택된 의료인들 각각의 서비스 가입 정보 및 예약 가능 시간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진료 예약부(1042)는, 리스트에 포함된 의료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의료인의 예약 가능 시간 중 예약 시각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진료 예약부(104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리스트에 포함된 의료인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고, 선택입력과 대응하는 의료인의 예약 가능 시간에 포함된 예약 시각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진료 예약부(1042)는, 증상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진료 예약부(104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증상을 수신할 수 있다.
진료 예약부(1042)는, 선택입력과 대응하는 의료인의 의료기관 단말(300)에 사용자 정보, 생체정보들 및 선택입력과 대응하는 예약 시각을 전송하며, 의료기관 단말(300)로부터 예약승낙신호 또는 예약거절신호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진료 예약부(1042)는, 최초 생체정보들이 수신되었을 때부터 현재 시점까지 수신된 생체정보들의 측정값들이 시간순서대로 나열된 생체정보로그를 의료기관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약승낙신호가 수신된 경우, 진료 예약부(1042)는, 사용자 단말(200) 및 의료기관 단말(300)에 예약정보를 전송하고, 예약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약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정보, 의료기관 단말(300)의 식별정보 및 예약시각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가 제공하는 진료예약 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진료 예약부(104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예약 요청(S210)을 수신한다. 진료 예약부(104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예약 요청과 함께 증상을 수신한다.
예약 요청이 수신되면, 진료 예약부(1042)는 의료인 리스트를 생성한다(S220).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증상은 텍스트 또는 음성의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상이 음성인 경우, 진료 예약부(1042)는, STT(Speak To Text) 모델을 이용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다.
또한, 진료 예약부(1042)는 증상을 미리 학습된 제4 인공신경망에 입력 값으로 입력하고, 제4 인공신경망으로부터 복수의 진료과목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매칭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인공신경망은, 증상을 입력 값으로 수신하고, 증상과 각각의 진료과목들 사이의 제1 매칭도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인공신경망은, 증상을 형태소 단위로 분리하고, 분리된 복수의 형태소들에 대한 벡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벡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진료과목들에 해당될 확률을 특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진료과목들에 해당될 확률은 각각의 진료과묵들과 대응하는 제1 매칭도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RNN(Recurrent Neural Network), BERT, Random Forest 등이 제4 인공신경망의 학습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4 인공신경망은, 제1 매칭도가 기준 이상인 진료과목들을 예비 진료과목으로 결정한다.
또한,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진료과목들 각각과 복수의 문항들이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다. 문항들은, 사용자가 해당 진료과목에서 진료받는 것이 적절한지 판단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문항들 각각은 복수의 선택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료 예약부(1042)는, 예비 진료과목들 각각과 매칭되는 문항들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고, 설문들과 대응하는 설문결과들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설문결과는, 설문에 포함된 복수의 문항들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선택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입력은 문항에 포함된 선택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진료 예약부(1042)는, 설문결과에 기초하여 예비 진료과목들 각각과 대응하는 제2 매칭도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에는 문항에 포함된 선택지들 각각과 기 설정된 점수가 미리 매칭되어 저장된다. 문항에 포함된 선택지들은 서로 다른 점수와 매칭될 수 있다. 진료 예약부(1042)는, 설문결과에 포함된 문항들 각각에 대한 선택입력에 기초하여 문항들 각각과 대응하는 점수를 결정하고, 문항들과 대응하는 점수들의 합을 예비 진료과목들 각각과 대응하는 제2 매칭도로 결정한다.
또한, 진료 예약부(1042)는, 제2 매칭도가 가장 높은 예비 진료과목을 최종 진료과목으로 결정한다.
또한, 진료 예약부(1042)는, 최종 진료과목과 매칭되는 의료인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고, 선택한 의료인들이 포함된 의료인 리스트, 의료인들 각각의 서비스 가입 정보 및 예약 가능 시간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S230).
일 실시예에서, 진료 예약부(1042)는, 리스트에 포함된 의료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의료인의 예약 가능 시간 중 예약 시각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진료 예약부(104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리스트에 포함된 의료인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고, 선택입력과 대응하는 의료인의 예약 가능 시간에 포함된 예약 시각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한다(S240).
일 실시예에서, 진료 예약부(1042)는, 증상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진료 예약부(104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증상을 수신할 수 있다.
진료 예약부(1042)는, 선택입력과 대응하는 의료인의 의료기관 단말(300)에 사용자 정보, 생체정보들 및 선택입력과 대응하는 예약 시각을 전송하며(S240), 의료기관 단말(300)로부터 예약승낙신호 또는 예약거절신호를 수신한다(S250).
일 실시예에서, 진료 예약부(1042)는, 최초 생체정보들이 수신되었을 때부터 현재 시점까지 수신된 생체정보들의 측정값들이 시간순서대로 나열된 생체정보로그를 의료기관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약승낙신호가 수신된 경우, 진료 예약부(1042)는, 사용자 단말(200) 및 의료기관 단말(300)에 예약정보를 전송하고, 예약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60). 일 실시예에서, 예약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정보, 의료기관 단말(300)의 식별정보 및 예약시각이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가 제공하는 진료예약 서비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진료 예약부(1042)는, 폐 이상상태 또는 심장 이상상태를 탐지한다(S310).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제1 인공신경망으로부터 획득한 폐의 건강상태가 기 설정된 이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진료 예약부(1042)에 폐 이상상태가 발생되었음을 통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조건은 폐의 건강상태가 비정상 또는 주의인 경우일 수 있다.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제2 인공신경망으로부터 획득한 심장활력도가 기 설정된 이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진료 예약부(1042)에 심장 이상상태가 발생되었음을 통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조건은 심장활력도가 약간 낮음 또는 낮음인 경우일 수 있다.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제2 인공신경망으로부터 획득한 심장질환들 각각의 연관성이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연관성보다 높은 경우, 진료 예약부(1042)에 심장 이상상태가 발생되었음을 통지한다.
또한, 진료 예약부(1042)는, 발생된 폐 이상상태 또는 심장 이상상태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한다(S320).
또한, 진료 예약부(104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예약 요청을 수신한다(S330).
예약 요청이 수신되면, 진료 예약부(1042)는 의료인 리스트를 생성한다(S340).
진료 예약부(1042)는, 발생된 이상상태와 대응하는 진료과목을 최종 진료과목으로 결정하고, 최종 진료과목과 매칭되는 의료인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고, 선택한 의료인들이 포함된 의료인 리스트, 의료인들 각각의 서비스 가입 정보 및 예약 가능 시간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S350).
일 실시예에서, 진료 예약부(1042)는, 리스트에 포함된 의료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의료인의 예약 가능 시간 중 예약 시각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진료 예약부(104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리스트에 포함된 의료인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고, 선택입력과 대응하는 의료인의 예약 가능 시간에 포함된 예약 시각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한다(S360).
진료 예약부(1042)는, 선택입력과 대응하는 의료인의 의료기관 단말(300)에 이상상태, 사용자 정보, 생체정보들 및 선택입력과 대응하는 예약 시각을 전송하며(S370), 의료기관 단말(300)로부터 예약승낙신호 또는 예약거절신호를 수신한다(S380).
일 실시예에서, 진료 예약부(1042)는, 최초 생체정보들이 수신되었을 때부터 현재 시점까지 수신된 생체정보들의 측정값들이 시간순서대로 나열된 생체정보로그를 의료기관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약승낙신호가 수신된 경우, 진료 예약부(1042)는, 사용자 단말(200) 및 의료기관 단말(300)에 예약정보를 전송하고, 예약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390). 일 실시예에서, 예약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정보, 의료기관 단말(300)의 식별정보 및 예약시각이 포함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가 제공하는 진료예약 서비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진료 예약부(1042)는, 폐 이상상태 또는 심장 이상상태를 탐지한다(S410).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제1 인공신경망으로부터 획득한 폐의 건강상태가 기 설정된 이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진료 예약부(1042)에 폐 이상상태가 발생되었음을 통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조건은 폐의 건강상태가 비정상 또는 주의인 경우일 수 있다.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제2 인공신경망으로부터 획득한 심장활력도가 기 설정된 이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진료 예약부(1042)에 심장 이상상태가 발생되었음을 통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조건은 심장활력도가 약간 낮음 또는 낮음인 경우일 수 있다.
사용자 분석관리부(1041)는, 제2 인공신경망으로부터 획득한 심장질환들 각각의 연관성이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연관성보다 높은 경우, 진료 예약부(1042)에 심장 이상상태가 발생되었음을 통지한다.
또한, 진료 예약부(1042)는, 발생된 폐 이상상태 또는 심장 이상상태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한다(S415).
또한, 진료 예약부(104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예약가능스케쥴 및 예약 요청을 수신한다(S420).
에약가능스케쥴 및 예약 요청이 수신되면, 진료 예약부(1042)는 의료인 리스트를 생성한다(S420).
진료 예약부(1042)는, 발생된 이상상태와 대응하는 진료과목을 최종 진료과목으로 결정하고, 최종 진료과목과 매칭되는 의료인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고, 선택한 의료인들의 의료기관 단말(300)들에 이상상태, 사용자 정보, 생체정보들 및 예약가능스케쥴을 전송한다(S435).
일 실시예에서, 진료 예약부(1042)는, 최초 생체정보들이 수신되었을 때부터 현재 시점까지 수신된 생체정보들의 측정값들이 시간순서대로 나열된 생체정보로그를 의료기관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진료 예약부(1042)는, 의료기관 단말(300)들로부터 입찰신호를 수신하고, 입찰신호를 전송한 의료기관 단말(300)들과 대응하는 의료인들을 포함하는 입찰의료인 리스트, 의료인들 각각의 서비스 가입 정보 및 예약 가능 시간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S445).
일 실시예에서, 진료 예약부(1042)는, 리스트에 포함된 의료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의료인의 예약 가능 시간 중 예약 시각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진료 예약부(104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리스트에 포함된 의료인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고, 선택입력과 대응하는 의료인의 예약 가능 시간에 포함된 예약 시각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한다(S450).
진료 예약부(1042)는, 사용자 단말(200) 및 의료기관 단말(300)에 예약정보를 전송하고, 예약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455). 일 실시예에서, 예약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정보, 의료기관 단말(300)의 식별정보 및 예약시각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가 원격진료를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의 진료 보조부(1043)는, 사용자 단말(200)과 의료기관 단말(300)이 원격진료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진료 보조부(1043)는, 예약 정보에 포함된 예약 시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전에 원격진료를 위한 채널을 생성하고, 생성된 채널을 사용자 단말(200) 및 의료기관 단말(300)에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채널을 통해 화상카메라(200A)가 촬영한 사용자의 영상을 의료기관 단말(300)에 제공하며, 의료기관 단말(300)은 수신한 채널을 통해 화상카메라(300A)가 촬영한 의료인의 영상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와 의료인 사이의 원격진료가 수행될 수 있다.
원격진료가 진행될 수 있는 제한시간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진료 보조부(1043)는, 제한시간을 사용자 단말(200) 및 의료기관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진료 보조부(1043)는, 의료인이 사용자에게 스마트청진기(440) 및 LED 카메라(450)의 사용을 요청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료기관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료인이 스마트청진기(440) 사용을 요청하면, 진료 보조부(1043)는, 스마트청진기(440)의 사용요청신호와 함께 스마트청진기(440)의 사용방법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료인이 LED 카메라(450) 사용을 요청하면, 진료 보조부(1043)는, LED 카메라(450)의 사용요청신호와 함께 LED 카메라(450)의 사용방법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방법은, 센서 디바이스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이미지 및 텍스트의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방법은, 센서 디바이스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인이 확인하고자 하는 부위의 맥박이 의료인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의료인이 확인하고자 하는 부위의 정밀한 영상이 의료인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진료 보조부(1043)는, 의료인이 확인하고자 하는 진료부위를 이미지 형태로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따른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가 의사에게 원격진료를 보조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의료기관 단말(300)은, 진료 보조부(1043)에 진료부위를 제공한다(S510). 진료 보조부(1043)는, 진료부위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료기관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료부위는 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음성데이터 형태의 진료부위가 수신된 경우, 진료 보조부(1043)는, 미리 학습된 STT(Speak To Text) 모델에 음성데이터를 입력 값으로 입력하고, STT 모델로부터 텍스트데이터 형태의 진료부위를 획득한다.
또한, 진료 보조부(1043)는, 진료부위를 미리 학습된 제5 인공신경망에 입력 값으로 입력하고, 제5 인공신경망으로부터 진료부위와 미리 설정된 복수의 환부이미지들 사이의 연관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5 인공신경망은, 텍스트를 형태소 단위로 분리하고, 분리된 복수의 형태소들에 대한 벡터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벡터들을 이용해 환부이미지들 각각과 텍스트가 대응될 확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부이미지들 각각에 대응될 확률은 연관도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BERT,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andom Forest 등이 제5 인공신경망의 학습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시릿예에서, 제5 인공신경망은 학습용 텍스트로부터 생성된 학습용 벡터들에 환부이미지들 각각에 대응될 확률을 라벨링하여 생성된 학습데이터를 이용한 기계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진료 보조부(1043)는, 연관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연관도 이상인 환부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리스트를 생성하고(S520), 생성된 이미지리스트를 의료기관 단말(300)에 제공한다(S530). 또한, 진료 보조부(1043)는, 의료기관 단말(300)로부터 이미지리스트에 포함된 환부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고, 선택입력과 대응하는 환부이미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제공된 확부이미지를 통해 디바이스를 통해 측정해야하는 부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원격진료가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원격진료 통합관리모듈(104)은, 처방전 제공부(1044) 및 결제부(1045)를 포함한다.
처방전 제공부(1044)는, 의료기관 단말(300)에 처방전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의료기관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처방전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또한, 결제부(1045)는, 원격진료가 종료되면,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해 결제를 진행한다.
도 12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들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술한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의 구성부들(101~104)의 기능 및 기타 기능 또는 동작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 하나일 수 있고, 저장 장치(1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또는 각종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등일 수 있다.
또한,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 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원격진료 플랫폼 서버(100)의 예를 들면,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의료인의 의료기관 단말 사이의 원격진료예약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원격진료예약과 대응하는 예약시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전에 원격진료를 위한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채널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의료인의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
    상기 의료인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용요청신호 및 상기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방법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
    상기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음성데이터 형태의 진료부위를 수신하는 동작;
    음성데이터 형태의 상기 진료부위를 미리 학습된 STT(Speak To Text)모델에 입력 값으로 입력하고, 상기 STT 모델로부터 텍스트데이터 형태의 상기 진료부위를 수신하는 동작;
    텍스트데이터 형태의 상기 진료부위를 미리 학습된 제1 인공신경망에 입력 값으로 입력하고, 상기 제1 인공신경망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복수의 환부이미지들 각각에 대한 연관도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연관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연관도 이상인 상기 환부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이미지리스트를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상기 이미지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환부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선택입력과 대응하는 상기 환부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공신경망은,
    텍스트데이터 형태의 상기 진료부위를 복수의 형태소들로 분리하고, 상기 형태소들에 대한 벡터를 생성하며, 상기 벡터를 이용해 상기 환부이미지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연관도를 결정하도록 기계학습되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스마트청진기를 통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폐음을 수신하고, 상기 폐음을 미리 학습된 제1 인공신경망에 입력 값으로 입력하며, 상기 제1 인공신경망으로부터 폐 건강상태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스마트청진기를 통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심장음을 수신하고, 상기 심장음을 미리 학습된 제2 인공신경망에 입력 값으로 입력하며, 상기 제2 인공신경망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심장질환들 각각에 대한 연관성을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의료인의 의료기관 단말 사이의 원격진료예약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폐 건강상태가 미리 설정된 이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또는 상기 심장질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관성이 미리 설정된 기준 연관성보다 높은 경우 이상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발생된 이상상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가능스케쥴 및 예약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이상상태와 대응하는 진료과목과 매칭되는 복수의 상기 의료인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의료인들의 상기 의료기관 단말들에 상기 이상상태 및 상기 예약가능스케쥴을 제공하는 동작;
    상기 의료기관 단말들로부터 입찰신호를 수신하고, 입찰신호를 전송한 상기 의료기관 단말들과 대응하는 상기 의료인들을 포함하는 입찰의료인 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입찰의료인 리스트와 상기 입찰의료인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의료인들 각각의 서비스 가입 정보 및 예약 가능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입찰의료인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의료인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 및 상기 예약시각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선택입력과 대응하는 상기 의료인의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상기 예약시각을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220035492A 2022-03-22 2022-03-22 진료 키트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11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492A KR102511579B1 (ko) 2022-03-22 2022-03-22 진료 키트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492A KR102511579B1 (ko) 2022-03-22 2022-03-22 진료 키트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579B1 true KR102511579B1 (ko) 2023-03-21

Family

ID=8580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492A KR102511579B1 (ko) 2022-03-22 2022-03-22 진료 키트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5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173292A (zh) * 2024-05-14 2024-06-11 四川互慧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ai自训练的远程诊疗系统及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697A (ko) 2010-11-09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진료장치 및 원격진료방법
KR20120076615A (ko) 2010-12-07 2012-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KR20120084935A (ko) 2011-01-21 2012-07-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상담 시스템, 원격 상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200024374A (ko) * 2018-08-27 2020-03-09 김용범 진료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097742B1 (ko) * 2019-07-31 2020-04-06 주식회사 딥노이드 인공지능 기반의 의료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87081B1 (ko) * 2021-01-06 2021-08-06 김도형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KR20210141197A (ko) * 2020-05-15 2021-11-23 코리 컴퍼니 리미티드 원격 진료를 위한 증강현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697A (ko) 2010-11-09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진료장치 및 원격진료방법
KR20120076615A (ko) 2010-12-07 2012-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KR20120084935A (ko) 2011-01-21 2012-07-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상담 시스템, 원격 상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200024374A (ko) * 2018-08-27 2020-03-09 김용범 진료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097742B1 (ko) * 2019-07-31 2020-04-06 주식회사 딥노이드 인공지능 기반의 의료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10141197A (ko) * 2020-05-15 2021-11-23 코리 컴퍼니 리미티드 원격 진료를 위한 증강현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87081B1 (ko) * 2021-01-06 2021-08-06 김도형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173292A (zh) * 2024-05-14 2024-06-11 四川互慧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ai自训练的远程诊疗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43472A1 (en) Tele-health networking, interaction, and care matching tool and methods of use
US12004839B2 (en) Computer-assisted patient navigation and information systems and methods
Saner et al. eHealth in cardiovascular medicine: a clinical update
Darkins et al. Care Coordination/Home Telehealth: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health informatics, home telehealth, and disease management to support the care of veteran patients with chronic conditions
Kellermann et al. What it will take to achieve the as-yet-unfulfilled promises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US202103275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health of users through engagement, monitoring, analytics, and care management
Calvaresi et al. Erebots: Privacy-compliant agent-based platform for multi-scenario personalized health-assistant chatbots
Menendez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non-attendance at a hand surgery appointment
US115689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networking and remote communications
US118623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atient health
Osipov et al. Impact of digital technologies on the efficiency of healthcare delivery
Sanchez-Ramirez et al. Effect of telemonitoring and telerehabilitation on physical activity, exercise capacity,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healthcare use in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s or COVID-19: a scoping review
WO2022150324A1 (en) Digital nurse for symptom and risk assessment
US11450432B2 (en) Predictive and interactive diagnostic system
JP7323449B2 (ja) 患者の状況、ユーザの役割、現在のワークフロー及びディスプレイの近接度に基づいて、ユーザ体験を最適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Ilievski et al. Interactive voice assisted home healthcare systems
KR102511579B1 (ko) 진료 키트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Andreão et al. Raspcare: A telemedicine platform for the treatment and monitoring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Liang et al. Construction of emotional intelligent service system for the age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Rojc et al. Multilingual chatbots to collect patient-reported outcomes
Flores-Vaquero et al. A product-service system approach to telehealth application design
Bhattacharyya A DIY guide to telemedicine for clinicians
AU2022328131A1 (en) Risk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latform architecture for predicting and reducing negative outcomes in clinical trials
Wang et al. Towards an effective framework for integrating patient-reported outcomes in electronic health records
Schmitz-Grosz Changes in Medical Processes Due to Digitalization: Examples from Telemedic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