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081B1 -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081B1
KR102287081B1 KR1020210001442A KR20210001442A KR102287081B1 KR 102287081 B1 KR102287081 B1 KR 102287081B1 KR 1020210001442 A KR1020210001442 A KR 1020210001442A KR 20210001442 A KR20210001442 A KR 20210001442A KR 102287081 B1 KR102287081 B1 KR 102287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ealth information
medical
user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Original Assignee
김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형 filed Critical 김도형
Priority to KR1020210001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청진기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로서, 디지털 청진기가 유저의 신체에 접촉됨에 따라 감지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헬스 정보를 생성하는 헬스 정보 수집부; 상기 헬스 정보 수집부에 의해 상기 제1 헬스 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인 제1 카테고리에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로서, 상기 유저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헬스 정보가 저장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헬스 정보를 상기 초기 진단 정보로 획득하는 진료 결과 획득부; 및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에 의하여 획득된 초기 진단 정보를 유저 계정에게 전송하고, 상기 유저 계정에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전문가 진단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외에도 본 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MEDICAL SERVICE MANAGEMENT AND DELIVERY DEVICE USING A PORTABLE DIGITAL STETHOSCOPE}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저의 전자 장치와 연결된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통해 유저의 청진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청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저의 건강 상태를 초기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유저에게 전문적인 의료 행위를 제공하기 위해 유저와 의료 기관을 연계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유저가 병원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유저에게 약식으로 건강 상태에 대한 진단 결과를 제공하여 질병을 조기 예방하도록 하고, 유저의 요청 시, 의료 기관을 연계해줌으로써 유저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고령화 인구가 점차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의료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대규모 인구 집단인 베이비 붐 세대(baby boom generation)의 은퇴를 시작으로 고령화가 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U-헬스 케어(Ubiquitous Health Care)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U-헬스 케어는 각종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개인이 건강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원격 의료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IT 기기와 사물인터넷 등의 발전에 따라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U-헬스 케어는 단순하게 유저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만 전달하기 때문에, 측정 결과에 대한 조치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측정 결과에 대한 조치를 제공받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10-2015-0068183(원 스톱 U-헬스 케어 시스템)에는 유저의 측정된 생체데이터 및 건강설문 데이터를 통해 건강증진 융합컨텐츠를 제공받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에서는 단순히 유저의 질병에 따른 지정된 건강증진 융합 컨텐츠만 제공하고 있을 뿐, 의료 전문인에 의해 작성된 약식 소견서를 제공하거나 유저의 요청을 기반으로, 주치의를 지정하고 의료 기관을 예약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아, 유저가 앓고 있는 질병에 대한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통해 유저의 헬스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헬스 정보를 기반으로 유저의 건강 상태에 따른 초기 진단 정보와 의료 전문가의 약식 소견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하고, 유저가 전문적인 진단 서비스의 이용을 신청하는 경우, 유저의 질병에 따른 의료 기관을 연계해줌으로써, 본 발명을 이용하는 유저에게 질병 예방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제공하고, 단 시간 내에 복잡한 절차 없이 의료 기관을 예약하여 편의성 및 신속성이 보장된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청진기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로서, 디지털 청진기가 유저의 신체에 접촉됨에 따라 감지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헬스 정보를 생성하는 헬스 정보 수집부; 상기 헬스 정보 수집부에 의해 상기 제1 헬스 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인 제1 카테고리에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로서, 상기 유저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헬스 정보가 저장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헬스 정보를 상기 초기 진단 정보로 획득하는 진료 결과 획득부; 및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에 의하여 획득된 초기 진단 정보를 유저 계정에게 전송하고, 상기 유저 계정에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전문가 진단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머신 러닝하여, 질병 타입 분석이 완료된 제3 헬스 정보로 변환하는 기계 학습부; 및 상기 기계 학습부에 의해 상기 제3 헬스 정보의 변환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중 상기 제3 헬스 정보의 질병 타입을 포함하는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상기 제3 헬스 정보를 상기 지정된 진료과별 카테고리에 저장하는 헬스 정보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는,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설정된 복수의 의료인 계정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전송하는 유저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전송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의료인 계정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헬스 정보에 기반한 약식 소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약식 소견 정보를 상기 초기 진단 정보와 동시에 제공하는 약식 소견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유저 계정으로부터 상기 전문가 진단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동의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복수의 의료 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의료 기관에 대한 예약 정보를 작성하도록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초기 진단 결과, 상기 유저 계정에 등록된 성명, 성별, 연령대, 상기 유저 계정의 사용자의 방문 일자 및 상기 유저 계정에 의해 지정된 주치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복수의 의료 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의료 기관에 대한 예약 정보의 작성이 완료된 경우, 상기 예약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 기관에 대한 예약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의료 기관 예약부; 및 상기 예약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상기 예약 프로세스에 기반한 예약 완료 정보를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에 전송하는 예약 완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예약 완료부로부터 상기 예약 완료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유저계정에게 세부 증상에 대한 항목을 작성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유저 계정에 의해 작성된 세부 증상에 대한 항목을 기반으로, 자가 문진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진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자가 문진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예약 완료 정보에 기반한 지정된 의료인 계정에게 상기 유저 계정의 제1 헬스 정보, 상기 초기 진단 결과 및 상기 자가 문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증상 정보를 전송하는 유저 증상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헬스 정보 업데이트부는, 의료 서비스 제공부에 의해 상기 증상 정보가 상기 지정된 의료인 계정에게 제공된 이후, 상기 지정된 의료인 계정으로부터, 상기 증상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헬스 정보, 상기 초기 진단 결과 및 상기 자가 문진 데이터에 대한 검토 결과로서, 상기 증상 정보를 기반으로 입력된 최종 진단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초기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제2 헬스 정보와 상기 제1 헬스 정보의 매칭 관계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문진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와 통신적으로 연동된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측정된 바이탈 신호(vital signal)를 상기 자가 문진 데이터에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초기 진단 정보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와 연동된 상기 유저의 주거지 내의 다른 전자 장치를 통해 상기 초기 진단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청진기가 유저의 신체에 접촉됨에 따라 감지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헬스 정보를 생성하고, 제1 헬스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가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인 제1 카테고리에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로서, 상기 유저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헬스 정보가 저장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헬스 정보를 상기 초기 진단 정보로 획득할 수 있어, 유저가 별도의 복잡한 절차 없이 앓고 있는 질병에 정보를 제공받기 때문에, 질병을 조기에 예방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초기 진단 정보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초기 진단 정보에 기반한 초기 진단 결과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유저에게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전문가 진단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어, 질병에 대한 유저의 선택에 따라 의료 기관에 대한 진료 예약 프로세스를 신속하게 진행하므로 예약에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새로운 제3 헬스 정보로 변환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중 지정된 진료과별 카테고리를 업데이트할 수 있어, 유저에게 다양한 질병에 따른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유저에게 질병에 대한 정보의 다양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설정된 복수의 의료인 계정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의료인 계정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헬스 정보에 기반한 약식 소견 정보를 수신할 수 있어, 전문가 진단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약식으로 의료 전문인의 소견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질병에 대한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지정한 주치의에게 전문적인 진료를 받을 수 있어, 질병 진료에 대한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지정된 주치의에게 유저에 의해 작성된 세부 증상에 대한 항목을 기반으로, 자가 문진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어, 유저의 질병에 대한 정확한 진료를 진행하므로 유저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직접 방문 시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저의 전자 장치와 통신적으로 연동된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가 측정한 유저의 바이탈 신호(vital signal)를 통해 지정된 주치의는 보다 정확한 진료를 진행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료 결과 획득부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계 학습부 및 헬스 정보 업데이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의 초기 진단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의 예약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의 예약 완료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의 예약 완료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100)는 전자 장치(110), 디지털 청진기(130) 및 관리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들은 상기 전자 장치(110) 및 상기 관리 서버(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청진기(130)는 상기 전자 장치(110)와 통신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청진기(130)는 상기 전자 장치(110)의 사용자인 유저의 신체에 접촉됨에 따라 감지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10)는 상기 수신한 사운드 데이터를 제1 헬스 정보로 변환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150)와 연동된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저의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150)와 연동된 전자 장치(110)는 유저(예: 유저 계정)에게 상기 진단된 건강 상태를 제공하거나, 상기 유저 계정과 의료 기관(170)을 연계할 수 있다. 상기 의료 기관(170)은 개인 병원, 대학병원, 의료원, 한의원 및 보건소 등을 총칭하는 단어로 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10) 헬스 정보 수집부(111), 진료 결과 획득부(113) 및 의료 서비스 제공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10)는 상기 디지털 청진기(130) 및 상기 관리 서버(15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헬스 정보 수집부(111)는 상기 디지털 청진기(130)로부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청진기(130)는 상기 유저의 신체에 접촉됨에 따라 감지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헬스 정보 수집부(111)는 상기 디지털 청진기(130)로부터 획득한 사운드 데이터를 증폭하여, 상기 증폭된 사운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헬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헬스 정보는 상기 디지털 청진기(130)가 획득한 유저의 심음(心音), 호흡음, 동맥음, 장잡음(腸雜音) 및 혈관음을 포함하는 청진음을 증폭한 사운드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1 헬스 정보는 상기 유저 계정이 직접 기입한 질병 증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113)는 상기 헬스 정보 수집부(111)에 의해 상기 제1 헬스 정보의 생성이 완료된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인 제1 카테고리에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제2 헬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는,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113)가 상기 제1 헬스 정보의 진료과목을 구분하기 위해 상기 관리 서버(150)로부터 수신받은 기 설정된 카테고리 항목일 수 있다.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는 각각의 진료과별 카테고리마다 유저 계정의 건강 상태에 관한 기준 정보(예: 질병에 따른 기준 청진음)를 포함하는 제2 헬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헬스 정보는 상기 유저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 상기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복수의 질병의 청진음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 헬스 정보는 유저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1 헬스 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2 헬스 정보는 해당 질병에서 발생하는 증상과 관련된 질병 증상 기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113)는 제1 헬스 정보의 파형과 상기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마다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헬스 정보의 파형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113)는 상기 제1 헬스 정보의 파형이 상기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2 헬스 정보의 파형과 유사도가 설정 값(예: 85%) 이상인 것으로 확인하는 경우,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2 헬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113)는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하는 상기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제2 헬스 정보를 초기 진단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진단 정보는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저의 건강 상태를 1차적으로 진단한 정보이되, 상기 제2 헬스 정보에 해당하는 질병의 명칭,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의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115)는 상기 초기 진단 정보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전자 장치(1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초기 진단 정보에 기반한 초기 진단 결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115)는 상기 초기 진단 정보를 상기 상기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와 연동된 유저의 주거지 내 다른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저의 가족들이 상기 유저에 대한 질병 증상을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115)는 상기 유저의 초기 진단 정보를 주거지 내에 설치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여, 주거지 내에 거주하는 인원들에게 상기 유저의 질병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115)는 상기 초기 진단 정보를 상기 유저 계정이 로그인 된 유저의 주거지 내 다른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115)는 상기 초기 진단 결과 화면을 표시하면서, 상기 유저에게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전문가 진단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전문가 진단 서비스는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의료 전문인에 의해 상기 유저가 구체적인 진단을 받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의료 전문인이 근무하는 의료 기관에 대한 예약을 대행해주는 서비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115)는 제1 카테고리의 진료과목이 "내과"인 경우, "내과"를 전문적으로 진료하는 의료 전문인의 근무하고 있는 병원에 상기 유저에 대한 진료 예약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115)는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전문가 진단 서비스의 동의를 수신한 경우, 상기 관리 서버(150)에 상기 유저에 대한 예약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관리 서버(150)에 의해 예약 프로세스를 진행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예약 프로세스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료 결과 획득부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100)는 전자 장치(110), 디지털 청진기(130) 및 관리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들은 상기 전자 장치(110) 및 상기 관리 서버(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진료 결과 획득부(201)(예: 도 1의 진료 결과 획득부(113))는 헬스 정보 수집부(미도시)(예: 도 1의 헬스 정보 수집부(111))로부터 획득한 제1 헬스 정보가 기 저장된 복수 개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201)는 상기 제1 헬스 정보에 포함된 사운드 데이터의 파형과 상기 기 저장된 복수 개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헬스 정보(예: 제2 헬스 정보)의 파형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201)는 제1 헬스 정보의 파형과 유사도가 설정 값 이상 일치하는 제2 헬스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제2 헬스 정보에 포함된 초기 진단 정보로,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201)는 상기 제1 헬스 정보의 파형이 제1 카테고리(201a)에 포함된 질병 타입이 "몸살"인 제2 헬스 정보와 설정 값 이상 유사한 경우, 상기 제1 헬스 정보의 질병 타입이 몸살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헬스 정보에 포함된 초기 진단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초기 진단 정보는 "몸살"과 관련된 증상 정보, 예방 정보 및 약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카테고리(201a)는 상기 몸살과 관련된 진료과목인 내과 카테고리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201)는 상기 제2 헬스 정보의 파형이 제2 카테고리(201b)에 포함된 질병 타입이 "편도염"인 제4 헬스 정보와 설정 값 이상 유사한 경우, 상기 제1 헬스 정보의 질병 타입이 편도염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4 헬스 정보에 포함된 초기 진단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카테고리(201b)는 상기 편도염과 관련된 진료과목인 이비인후과 카테고리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201)는 상기 제1 헬스 정보의 질병 타입이 제1 카테고리(201a) 및 제2 카테고리(201b)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정보인 경우, 상기 제2 헬스 정보 및 상기 제4 헬스 정보에 포함된 초기 진단 정보를 유저에게 동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201)는 유저 정보 제공부(미도시) 및 약식 소견 획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설정된 복수의 의료인 계정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의료인 계정은 상기 제1 카테고리가 해당하는 진료과목에 종사하는 의료 전문인의 계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식 소견 획득부는 유저 정보 제공부에 의해 상기 제1 헬스 정보가 상기 복수의 의료인 계정에 전송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의료인 계정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헬스 정보에 기반한 약식 소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약식 소견 정보는 상기 의료 전문인이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저의 건강 상태를 진단한 진료 소견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약식 소견 정보는 처방전을 포함하지 않으며, 전문 의료인이 상기 유저에게 질병을 완화하는데 필요한 조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식 소견 정보는 상기 초기 진단 정보와 동시에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약식 소견 정보는 상기 초기 진단 정보와 달리 의사의 소견이 포함되어 있어, 질병 완화에 대한 유저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201)는 상기 제1 헬스 정보에 포함된 사운드 데이터의 파형과 상기 기 저장된 복수 개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헬스 정보(예: 제2 헬스 정보)의 파형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201)는 제1 헬스 정보의 파형과 유사도가 설정 값 이상 일치하는 제2 헬스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헬스 정보에 대한 머신 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헬스 정보에 대한 머신 러닝과 자세한 설명은 도 3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계 학습부 및 헬스 정보 업데이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100)는 전자 장치(110), 디지털 청진기(130) 및 관리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들은 상기 전자 장치(110) 및 상기 관리 서버(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예: 도 1의 관리 서버(150))는 기계 학습부(301) 및 헬스 정보 업데이트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 학습부(301)는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머신 러닝하여, 질병 타입 분석이 완료된 제3 헬스 정보(307)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관련된 설명은 도 1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 학습부(301)는, 상기 제1 헬스 정보(305)가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에 포함된 헬스 정보와 유사도가 설정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헬스 정보(305)를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새로운 기준 정보로 변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헬스 정보(305)를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 학습부(301)는, 기 저장된 복수의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제1 헬스 정보(305)를 질병 타입 분석이 완료된 제3 헬스 정보(307)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 헬스 정보(307)는 유저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 정보로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새롭게 입력되는 제1 헬스 정보와 비교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3 헬스 정보(307)는 제2 헬스 정보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해하되,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새롭게 업데이트 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 학습부(301)는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제1 헬스 정보(305)를 분석하여, 질병 유형 분석이 완료된 제3 헬스 정보(307)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헬스 정보 업데이트부(303)는 상기 기계 학습부(301)에 의해 상기 제3 헬스 정보(307)의 변환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중 상기 제3 헬스 정보의 질병 타입을 포함하는 진료과별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선택한 카테고리를 지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헬스 정보 업데이트부(303)는 상기 지정된 진료과별 카테고리에 상기 제3 헬스 정보(307)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헬스 정보 업데이트부(303)는 상기 기계 학습부에 의해 상기 제3 헬스 정보의 질병 타입이 "편도염"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3 헬스 정보를 "편도염"질병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이비인후과" 카테고리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의 초기 진단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100)는 전자 장치(110), 디지털 청진기(130) 및 관리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들은 상기 전자 장치(110) 및 상기 관리 서버(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10))는 디지털 청진기(예: 도 1의 디지털 청진기(130))로부터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청진기는 상기 유저의 신체에 접촉됨에 따라 감지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헬스 정보 수집부(예: 도 1의 헬스 정보 수집부(111))는 상기 디지털 청진기로부터 획득한 사운드 데이터를 증폭하여, 상기 증폭된 사운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헬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헬스 정보는 상기 디지털 청진기(130)가 획득한 유저의 심음(心音), 호흡음, 동맥음, 장잡음(腸雜音) 및 혈관음을 증폭한 사운드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1 헬스 정보는 상기 유저가 직접 기입한 질병 증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진료 결과 획득부(예: 도 1의 진료 결과 획득부(113))는 상기 제1 헬스 정보의 생성이 완료된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인 제1 카테고리에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제2 헬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는 상기 제1 헬스 정보의 진료과목을 구분하기 위해 관리 서버(예: 도 1의 관리 서버(15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는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는 각각의 진료과별 카테고리마다 유저의 건강 상태에 관한 초기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헬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헬스 정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료 결과 획득부는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하는 상기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제2 헬스 정보를 초기 진단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진단 정보는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저의 건강 상태를 1차적으로 진단한 정보로써, 유저의 건강 상태에 따른 병명 정보, 추천하는 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의료 서비스 제공부(예: 도 1의 의료 서비스 제공부(115))는 상기 초기 진단 정보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초기 진단 정보에 기반한 초기 진단 결과 화면(401)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초기 진단 정보에 기반한 초기 진단 결과 화면(401)은 유저의 건강 상태에 따른 의심되는 질병. 해당 질병에 따른 추천하는 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진단 결과 화면(401)에 약식 소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약식 소견 정보는 제1 헬스 정보를 기반으로, 전문 의료인에 의해 약식으로 작성된 정보로, 도 2에 자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진단 결과 화면(401)에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전문가 진단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저가 상기 진단 결과 화면(401) 내의 "예"를 클릭하는 경우,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의료 전문인이 근무하는 의료 기관에 대한 예약을 대행해주는 서비스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전문가 진단 서비스의 이용을 동의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유저에 대한 예약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예약 정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5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의 예약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100)는 전자 장치(110), 디지털 청진기(130) 및 관리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들은 상기 전자 장치(110) 및 상기 관리 서버(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의료 서비스 제공부(예: 도 1의 의료 서비스 제공부(115))는 진단 결과 화면(예: 도 4의 진단 결과 화면(401))에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전문가 진단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선택하도록 유저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전문가 진단 서비스와 관련된 설명은 도 1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유저에게 상기 전문가 진단 서비스의 이용 여부에 대하여 동의를 수신한 경우, 예약 신청 화면(501)을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예약 신청 화면(501)에 상기 유저가 선택한 병원 명, 진료받기를 희망하는 진료과목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저가 선택한 병원의 경우, 유저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제2 헬스 정보가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목 카테고리 중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카테고리와 연계된 복수 개의 의료 기관 중 선택한 하나의 의료 기관일 수 있다. 즉, 상기 유저에 의해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의료 기관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상기 제1 카테고리와 자세한 설명은 도 1에 개시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유저에게 예약 신청 화면(501)에 상기 제1 카테고리와 연계된 복수 개의 의료 기관 리스트를 제공할 때, 상기 유저를 기준으로 지정된 범위 내에 위치한 의료 기관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예약 신청 화면(501)에서 주치의 리스트(501a), 개인 정보 작성란(501b), 예약 희망 일자 선택창(501c) 및 다른 병원 리스트 아이콘(503)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주치의 리스트(501a)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의료 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 의료인의 리스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인 정보 작성란(501b)은 상기 유저의 성명, 상기 유저의 연령대 및 상기 유저의 성별 등을 작성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약 희망 일자 선택 창(501c)은 상기 유저가 상기 선택한 주치의에게 진료를 희망하여 상기 의료 기관에 방문하기 위한 년도, 월, 일 및 시각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른 병원 리스트 아이콘(503)은, 상기 유저가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복수의 의료 기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복수의 의료 기관이 포함된 리스트 항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예약 신청 화면(501) 내에 표시된 주치의 리스트(501a), 개인 정보 작성란(501b), 예약 희망 일자 선택창(501c) 및 다른 병원 리스트(503) 구성들이 상기 유저에 의해 완료되면 상기 구성들에 대한 정보를 예약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상기 예약 정보는 초기 진단 결과 후에 유저에 의해 작성된 유저의 성명, 유저의 성별, 유저의 연령대, 유저의 방문 일자 및 유저에 의해 지정된 주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복수의 의료 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의료 기관에 대한 예약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유저에 의해 상기 예약 정보의 작성이 완료된 경우, 상기 예약 정보를 관리 서버(예: 도 1의 관리 서버(150))에 전송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예약 정보에 기반한 예약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수신한 예약 정보를 기반으로 예약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한 의료 기관 예약부(미도시) 및 예약 완료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기관 예약부는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상기 예약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한 예약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 기관에 대한 예약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의료 기관 예약부는 상기 수신한 예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저가 선택한 의료 기관에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의료 기관 예약부가 상기 예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의료 기관에 예약을 진행할 때, 상기 유저가 선택한 방문일자에 주치의가 출근하지 않거나, 다른 유저에 의해 예약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에 해당 사실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방문일자를 재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의료 기관과 제휴 관계인 경우, 상기 주치의로부터 진료 가능한 일자 및 시간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에 전송하여 상기 유저에게 상기 주치의로부터 제공받은 주치의로부터 진료 가능한 일자 및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방문 일자를 재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예약 완료부는 상기 의료 기관 예약부에 의해 상기 의료 기관의 예약이 완료된 경우, 상기 예약 프로세스에 기반한 예약 완료 정보를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의료 기관 서버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예약 완료 정보에 기반한 다음 동작과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6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의 예약 완료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100)는 전자 장치(110), 디지털 청진기(130) 및 관리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들은 상기 전자 장치(110) 및 상기 관리 서버(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의료 서비스 제공부(예: 도 1의 의료 서비스 제공부(115))는 예약 완료부(예: 도 5의 예약 완료부)로부터 예약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예약 완료 정보는 관리 서버(예: 도 1의 관리 서버(150))가 예약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한 예약 프로세스가 완료되었음을 공지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예약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예약 완료 화면(601)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예약 완료 화면(601) 내에는 상기 예약 정보에 기반한 예약 완료 정보(603)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약 완료 정보(603)는 예약 완료된 병원 명, 유저를 진료하는 주치의 명, 의료 기관의 방문 일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예약 완료 화면(601)내에 상기 예약 완료 정보를 표시하면서, 유저의 질병에 대한 세부 증상 정보를 의료 기관에 전달하기 위해 자가 문진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유저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문진 데이터 생성부(미도시) 및 유저 증상 정보 제공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진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예약 정보를 수신한 경우, 유저에게 세부 증상에 대한 항목을 작성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문진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예약 완료 화면(601) 내에 자가 문진 항목표(605)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문진 데이터 생성부는 유저에 의해 상기 자가 문진 항목표(605)의 작성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적성이 완료된 자가 문진 항목표를 기반으로 자가 문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자가 문제 데이터는 유저에 의해 지정된 주치의에게 전달하기 위한 상기 자가 문진 항목표와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저 증상 정보 제공부는 상기 자가 문진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예약 완료 정보에 기반한 지정된 주치의 계정(예: 지정된 의료인 계정)에게 상기 유저의 제1 헬스 정보, 초기 진단 결과 및 상기 자가 문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증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증상 정보는 유저를 직접적으로 진료하는 지정된 주치의가 진료를 하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디지털 청진기를 통해 획득한 유저의 청진음을 포함하는 제1 헬스 정보,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된 유저의 질병에 따른 초기 진단 정보 및 유저에 의해 세부적인 증상이 작성된 자가 문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주치의 계정의 사용자인 전문 의료인은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유저 증상 정보 제공부로부터 증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문 의료인은 상기 수신한 증상 정보를 기반으로, 최종 진단 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지정된 주치의 계정으로부터 상기 최종 진단 결과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최종 진단 결과에 기반한 최종 진단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최종 진단 결과 정보는 상기 증상 정보에 포함된 제1 헬스 정보, 상기 초기 진단 결과 및 상기 자가 문진 데이터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검토한 결과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최종 진단 결과 정보를 유저의 전자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유저가 상기 최종 진단 결과 정보에 기반한 최종 진단 결과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즉, 유저는 상기 지정된 주치의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최종 진단 결과 정보를 통해 유저의 질병에 대한 진료 서비스를 간접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개시된 헬스 정보 업데이트부(303)는 상기 최종 진단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초기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제2 헬스 정보와 상기 제1 헬스 정보의 매칭 관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헬스 정보 업데이트부(30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헬스 정보 업데이트부(303)와 동일한 구성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는 그 식별 번호가 동일함을 통해 이해될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헬스 정보 업데이트부(303)는 상기 최종 진단 결과 정보를 통해 기 저장된 복수 개의 알고리즘을 갱신하여, 제2 헬스 정보와 제1 헬스 정보의 매칭 관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상기 헬스 정보 업데이트부(303)는 상기 최종 진단 결과 정보를 통해 상기 제2 헬스 정보와 제1 헬스 정보를 비교하는 경우, 사용되는 복수 개의 알고리즘을 갱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의 예약 완료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100)는 전자 장치(110), 디지털 청진기(130) 및 관리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들은 상기 전자 장치(110) 및 상기 관리 서버(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정된 주치의 계정의 사용자인 전문 의료인은 관리 서버(예: 도 1의 관리 서버(150))를 통해 유저 증상 정보 제공부(예: 도6의 유저 증상 정보 제공부)로부터 증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증상 정보는 유저를 직접적으로 진료하는 지정된 주치의가 진료를 하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디지털 청진기를 통해 획득한 유저의 청진음을 포함하는 제1 헬스 정보,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된 유저의 질병에 따른 초기 진단 정보 및 유저에 의해 세부적인 증상이 작성된 자가 문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문 의료인은 상기 증상 정보에 포함된 자가 문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된 자가 문진 화면(701)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자가 문진 화면(701)은 유저의 성명, 유저의 연령대, 유저의 성별 및 유저의 방문 일시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701a)와 자가 문진 정보(701b) 및 바이탈 정보(701b)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탈 정보(701b)는, 상기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와 연동된 별도의 웨어러블 장치(wearble device)가 획득한 심박수 정보 및 혈압 정보 및 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바이탈 정보(701b)는 상기 상기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와 연동된 웨어러블 장치를 유저가 착용한 상태에서 획득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청진기가 유저의 신체에 접촉됨에 따라 감지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헬스 정보를 생성하고,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인 제1 카테고리에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로서, 상기 유저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헬스 정보가 저장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헬스 정보를 상기 초기 진단 정보로 획득할 수 있어, 유저가 별도의 복잡한 절차 없이 앓고 있는 질병에 정보를 제공받기 때문에, 질병을 조기에 예방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초기 진단 정보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초기 진단 정보에 기반한 초기 진단 결과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유저에게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전문가 진단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어, 질병에 대한 유저의 선택에 따라 의료 기관에 대한 진료 예약 프로세스를 신속하게 진행하므로 예약에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새로운 제3 헬스 정보로 변환하여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중 지정된 진료과별 카테고리를 업데이트할 수 있어, 유저에게 다양한 질병에 따른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유저에게 질병에 대한 정보의 다양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설정된 복수의 의료인 계정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의료인 계정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헬스 정보에 기반한 약식 소견 정보를 수신할 수 있어, 전문가 진단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약식으로 의료 전문인의 소견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질병에 대한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지정한 주치의에게 전문적인 진료를 받을 수 있어, 질병 진료에 대한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지정된 주치의에게 유저에 의해 작성된 세부 증상에 대한 항목을 기반으로, 자가 문진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어, 유저의 질병에 대한 정확한 진료를 진행하므로 유저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직접 방문 시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저의 전자 장치와 통신적으로 연동된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가 측정한 유저의 바이탈 신호(vital signal)를 통해 지정된 주치의는 보다 정확한 진료를 진행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청진기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로서, 디지털 청진기가 유저의 신체에 접촉됨에 따라 감지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헬스 정보를 생성하는 헬스 정보 수집부;
    상기 헬스 정보 수집부에 의해 상기 제1 헬스 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인 제1 카테고리에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로서, 상기 유저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헬스 정보가 저장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헬스 정보를 초기 진단 정보로 획득하는 진료 결과 획득부;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에 의하여 획득된 초기 진단 정보를 유저 계정에게 전송하고, 상기 유저 계정에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전문가 진단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부;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머신 러닝하여, 질병 타입 분석이 완료된 제3 헬스 정보로 변환하는 기계 학습부; 및
    상기 기계 학습부에 의해 상기 제3 헬스 정보의 변환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진료과별 카테고리 중 상기 제3 헬스 정보의 질병 타입을 포함하는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상기 지정된 진료과별 카테고리에 상기 제3 헬스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헬스 정보 업데이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초기 진단 정보를 상기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와 연동된 유저의 주거지 내 다른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2. 삭제
  3.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결과 획득부는,
    상기 제1 헬스 정보와 대응되는 제2 헬스 정보가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설정된 복수의 의료인 계정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전송하는 유저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제1 헬스 정보를 전송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의료인 계정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헬스 정보에 기반한 약식 소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약식 소견 정보를 상기 초기 진단 정보와 동시에 제공하는 약식 소견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유저 계정으로부터 상기 전문가 진단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동의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복수의 의료 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의료 기관에 대한 예약 정보를 작성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초기 진단 결과, 상기 유저 계정에 등록된 성명, 성별, 연령대, 상기 유저 계정의 사용자의 방문 일자 및 상기 유저 계정에 의해 지정된 주치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연계된 복수의 의료 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의료 기관에 대한 예약 정보의 작성이 완료된 경우, 상기 예약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 기관에 대한 예약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의료 기관 예약부; 및
    상기 예약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상기 예약 프로세스에 기반한 예약 완료 정보를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에 전송하는 예약 완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예약 완료부로부터 상기 예약 완료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유저계정에게 세부 증상에 대한 항목을 작성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유저 계정에 의해 작성된 세부 증상에 대한 항목을 기반으로, 자가 문진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진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자가 문진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예약 완료 정보에 기반한 지정된 의료인 계정에게 상기 유저 계정의 제1 헬스 정보, 상기 초기 진단 결과 및 상기 자가 문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증상 정보를 전송하는 유저 증상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정보 업데이트부는,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에 의해 상기 증상 정보가 상기 지정된 의료인 계정에게 제공된 이후, 상기 지정된 의료인 계정으로부터, 상기 증상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헬스 정보, 상기 초기 진단 결과 및 상기 자가 문진 데이터에 대한 검토 결과로서, 상기 증상 정보를 기반으로 입력된 최종 진단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초기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제2 헬스 정보와 상기 제1 헬스 정보의 매칭 관계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와 통신적으로 연동된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측정된 바이탈 신호(vital signal)를 상기 자가 문진 데이터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초기 진단 정보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와 연동된 상기 유저의 주거지 내의 다른 전자 장치를 통해 상기 초기 진단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KR1020210001442A 2021-01-06 2021-01-06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KR10228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442A KR102287081B1 (ko) 2021-01-06 2021-01-06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442A KR102287081B1 (ko) 2021-01-06 2021-01-06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081B1 true KR102287081B1 (ko) 2021-08-06

Family

ID=7731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442A KR102287081B1 (ko) 2021-01-06 2021-01-06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0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579B1 (ko) * 2022-03-22 2023-03-21 주식회사 지나웍스 진료 키트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004A (ko) * 2001-06-11 2002-12-20 정훈 자가진단형 디지털 청진기 및 그 방법과 통신망을 이용한원격 진단 방법
JP2006163817A (ja) * 2004-12-07 2006-06-22 Nec Fielding Ltd 病院予約システム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127785A (ko) * 2010-05-20 2011-11-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간 영역 특징을 이용한 심장 질환 진단 장치
KR20140040186A (ko) * 2014-01-24 2014-04-0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청진기 기반의 원격청진진료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US20160354053A1 (en) * 2015-06-03 2016-12-08 Imediplu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physiological sound
WO2019202385A1 (en) * 2018-04-20 2019-10-24 RADHAKRISHNA, Suresh, Jamadagni Electronic stethoscope
KR102088980B1 (ko) * 2019-04-19 2020-03-13 이정의 사용자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004A (ko) * 2001-06-11 2002-12-20 정훈 자가진단형 디지털 청진기 및 그 방법과 통신망을 이용한원격 진단 방법
JP2006163817A (ja) * 2004-12-07 2006-06-22 Nec Fielding Ltd 病院予約システム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127785A (ko) * 2010-05-20 2011-11-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간 영역 특징을 이용한 심장 질환 진단 장치
KR20140040186A (ko) * 2014-01-24 2014-04-0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청진기 기반의 원격청진진료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US20160354053A1 (en) * 2015-06-03 2016-12-08 Imediplu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physiological sound
WO2019202385A1 (en) * 2018-04-20 2019-10-24 RADHAKRISHNA, Suresh, Jamadagni Electronic stethoscope
KR102088980B1 (ko) * 2019-04-19 2020-03-13 이정의 사용자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재윤. "셀프 트레이닝(self training)". GITHUB Jaeyun’s Blog [online], [2021년 7월 29일 검색], 인터넷:<URL: https://jayhey.github.io/semi-supervised%20learning/2017/12/07/semisupervised_self_training/>(2017.12.0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579B1 (ko) * 2022-03-22 2023-03-21 주식회사 지나웍스 진료 키트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 et al. Deep learning to assess long-term mortality from chest radiographs
US202100907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dical diagnostics
EP3622407B1 (en) Patient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US201902797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 expert-trained data model
US201803300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electronic health care record data
US8579784B2 (en) Personalized prognosis modeling in medical treatment planning
US20080275731A1 (en) Patient data mining improvements
US20060265253A1 (en) Patient data mining improvements
US201703230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medical diagnosis
WO2005122033A1 (ja) 医療総合情報装置及び医療総合情報システム
US20210074395A1 (en) Computerized system to provide medical diagnosis, prognosis, and treatment using more refined digital health records having improved context
US201902141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healthcare service
KR102287081B1 (ko) 휴대용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 관리 및 제공 장치
Khan et al. Stability of changes in health status: next step in comprehensively assessing patient-reported outcomes
KR20070106942A (ko) 의료 예상 진단 서비스 방법
JP7451156B2 (ja) 診療支援装置
Lo Responding to incidental findings on research imaging studies: now what?
US20190108914A1 (en) Patient health monitoring system
Patel et al. Discordance Between Oncology Clinician–Perceived and Radiologist-Intended Meaning of the Postradiotherap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Freeform Report for Head and Neck Cancer
KR102597133B1 (ko) Phr과 진료기록에 기반한 임상의사결정 지원 방법 및 장치
JP2020181288A (ja) 医用情報処理装置、医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Omboni Digital Health and Telemedicine for Hypertension
Yadav et al. Telemedicine using Machine Learning: A Boon
JP2024069124A (ja) 臨床支援システム、及び臨床支援装置
Crowley Contradictions and Opportunities in Mobile Care Management (“mCare”): An Observational Analytic Cohort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