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283B1 - 이동식 흙막이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흙막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283B1
KR102173283B1 KR1020200056521A KR20200056521A KR102173283B1 KR 102173283 B1 KR102173283 B1 KR 102173283B1 KR 1020200056521 A KR1020200056521 A KR 1020200056521A KR 20200056521 A KR20200056521 A KR 20200056521A KR 102173283 B1 KR102173283 B1 KR 102173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oil
inner support
unit
exca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덕
박순응
한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림건설
정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림건설, 정진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림건설
Priority to KR1020200056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흙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저심도의 굴삭부에 지중 관이나 하수박스 등의 지하구조물 설치작업시 굴삭부의 측면토압을 견뎌 토사 붕괴를 방지하고 전진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지하구조물의 설치와 토사 굴삭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지하구조물의 연속시공이 용이한 이동식 흙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흙막이 장치{MOVING TYPE SOIL COVERING DEVICE}
본 발명은 이동식 흙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저심도의 굴삭부에 지중 관이나 하수박스 등의 지하구조물 설치작업시 굴삭부의 측면토압을 견뎌 토사 붕괴를 방지하고 전진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지하구조물의 설치와 토사 굴삭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지하구조물의 연속시공이 용이한 이동식 흙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하층이나 지하철 등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거나 지중 관을 매설하기 위해 관로 터파기를 하는 등의 지반 굴삭 작업 시 구조물 배치 주변에 공지의 면적이 넓어 충분한 안식각을 구할 수 있을 때는 경사면 오픈 컷(open cut)을 실시할 수 있으나, 현장 여건상 여유있는 안식각이 확보되지 않은 현장의 경우 흙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굴삭부의 측면으로 흙막이 벽체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건축물의 지하층이나 지하철 등의 시공 현장에서는 상당 깊이를 굴삭하여야 되는 고심도 굴삭이 이루어지게 되지만, 지중 관 및 하수박스 등의 지하 연속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중 깊이 10m 이내의 저심도 굴삭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상기 저심도 굴삭을 위해서는 지중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굴삭부 측면으로 굴삭 깊이에 상당하는 패널 혹은 파일을 일렬로 정렬한 연속 벽체를 굴삭부 양측으로 입설함으로써 굴삭부 측면의 토사붕괴를 방지하도록 하고, 굴삭부 양측의 평행한 연속 벽체의 내측으로 지중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지하 연속구조물 시공이 이루어졌다.
또한, 상기 연속 벽체는 지중에 입설하여 두지 않고, 연속된 지중 구조물을 설치해 나가면서 설치가 완료된 지중 구조물 측의 연속 벽체는 인발하여 지중 구조물을 설치하게 될 굴삭부에 다시 입설시켜 지중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식을 취하는 바, 연속 벽체의 설치와 해체가 반복적으로 행해지며, 또한 하나의 공사현장이 완료된 후에는 연속 벽체를 해체, 인발하여 또 다른 공사시공에 재사용하는 간이 흙막이 벽체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 저심도 지중 구조물 설치를 위한 연속 벽체는 지중 구조물의 연속 설치에 부합하여 벽체의 연속시공을 진행하면서 지중 구조물을 설치하게 될 굴삭부의 벽체의 설치와 지중 구조물이 설치된 굴삭부의 벽체의 해체를 반복하게 되는 바, 상기 연속 벽체 시공은 파일 및 패널의 재사용에 따른 결합 과정에서 공사 기간이 증대될 뿐 아니라, 매 공사마다 조립 및 설치와 해체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000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56367호(2016.09.05.등록)
(특허문헌 0002)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3418호(2015.08.18.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심도의 굴삭부에 지중 관이나 하수박스 등의 지하구조물의 시공작업시 복공판의 설치가 용이하고 굴삭부의 측면 토압에 대응하면서 유압실린더에 의해 전방으로의 전진이동이 가능한 추진부와 내측지지부로 이루어져 측면 토압 지지를 위한 연속 벽체 흙막이가 불필요하고 굴삭부에 지하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견인 이송수단을 흙막이 장치 상부에 설치할 수 있어 토사 굴삭과 지하연속구조물 설치가 동시에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작업성 및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이동식 흙막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추진부의 사이드커버에는 이동가이드돌부와 이탈방지돌부가 설치되고, 내측지지부의 지지판넬에 이동가이드돌부와 이탈방지돌부가 결합되는 톱니형블럭 및 레일형블럭이 설치되어 사이드커버가 지지판넬로부터 분리되거나 벌어지지 않고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여 지하구조물의 안전하고 원활한 시공이 가능하게 하는 이동식 흙막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흙막이 장치는 저심도의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며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전방으로 일정간격씩 이동되는 추진부(10)와, 추진부(10)의 후측으로 설치되어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추진부(10)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내측지지부(20)로 구성되는 이동식 흙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10)는 전단부가 쐐기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의 수평프레임(15)에 의해 좌,우로 이격되어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전진판(11)과, 각 전진판(11)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후단이 내측지지부(20)에 연결되어 반발력을 제공받아 각 전진판(11)을 전진시키는 유압실린더(12)와, 상기 각 전진판(11)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내측지지부(20)의 외측면을 덮도록 각 전진판(11)의 후측으로 설치되고 내측면에 일정길이를 갖는 이동가이드돌부(130)와 일정길이를 갖으며 단부가 상,하로 돌출된 "┤"형상의 이탈방지돌부(131)가 각각 일정높이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사이드커버(13)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지지부(20)는 상기 유압실린더(12)의 후단이 내측면에 연결되며 내측의 수평프레임(25)에 의해 좌,우로 이격되어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배출공(210)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상기 각 이동가이드돌부(130)의 상,하단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가이드돌부(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톱니형블럭(211)과 상기 각 이탈방지돌부(131)의 상,하단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이탈방지돌부(131)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탈방지돌부(13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형블럭(212)이 형성된 지지판넬(21)과, 지지판넬(21)의 하단부 사이로 설치되는 바닥플레이트(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심도의 굴삭부에 지하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흙막이 벽체와 장치들을 일일이 설치 및 해체하는 작업을 반복할 필요 없이 흙막이 장치의 연속사용이 가능하고 굴삭부의 측면토사의 붕괴를 막아주면서 후측으로는 지하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공간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지하구조물의 연속시공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시키고 시공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부에는 복공판의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현장의 작업공간 활용성과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드커버와 지지판넬의 결합구조에 의해 조립과 해체가 편리하고 사이드커버가 측면 토사나 이물질에 의해 지지판넬로부터 벌어지거나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이드커버와 지지판넬이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하여 측면토압을 용이하게 견디면서 유압실린더의 작동시 전방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흙막이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흙막이 장치의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식 흙막이 장치의 사이드커버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식 흙막이 장치의 지지판넬과 보조판넬 내부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시 흙막이 장치의 지지판넬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식 흙막이 장치의 사이드커버와 지지판넬의 결합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식 흙막이 장치의 후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식 흙막이 장치의 사각철판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동식 흙막이 장치의 사각철판 설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이동식 흙막이 장치의 경사판과 블레이드판 상세도
본 발명의 이동식 흙막이 장치는 저심도의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며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전방으로 일정간격씩 이동되는 추진부(10)와, 추진부(10)의 후측으로 설치되어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추진부(10)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내측지지부(20)로 구성되는 이동식 흙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10)는 전단부가 쐐기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의 수평프레임(15)에 의해 좌,우로 이격되어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전진판(11)과, 각 전진판(11)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후단이 내측지지부(20)에 연결되어 반발력을 제공받아 각 전진판(11)을 전진시키는 유압실린더(12)와, 상기 각 전진판(11)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내측지지부(20)의 외측면을 덮도록 각 전진판(11)의 후측으로 설치되고 내측면에 일정길이를 갖는 이동가이드돌부(130)와 일정길이를 갖으며 단부가 상,하로 돌출된 "┤"형상의 이탈방지돌부(131)가 각각 일정높이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사이드커버(13)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지지부(20)는 상기 유압실린더(12)의 후단이 내측면에 연결되며 내측의 수평프레임(25)에 의해 좌,우로 이격되어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배출공(210)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상기 각 이동가이드돌부(130)의 상,하단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가이드돌부(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톱니형블럭(211)과 상기 각 이탈방지돌부(131)의 상,하단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이탈방지돌부(131)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탈방지돌부(13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형블럭(212)이 형성된 지지판넬(21)과, 지지판넬(21)의 하단부 사이로 설치되는 바닥플레이트(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지지부(20)의 후단부에는 내측으로 지하구조물이 통과되게 통공(230)이 형성되고 후방의 토사붕괴를 방지하는 고무재질을 갖는 토사붕괴방지판(2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진부(10)에는 바닥부에 바닥플레이트(14)가 설치되고 전방 내측으로 전방의 토사붕괴를 방지하고 추진력을 높이기 위해 하부에 스크레퍼(150)가 설치된 전방토사붕괴판(1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진부(10)와 내측지지부(20)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보조판넬(31)이 연결된 스페이스부(30)가 스페이스부(30)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사각띠장(35)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스부(30)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주행보(40)가 설치되며, 주행보(40)의 상측으로 복공판(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넬(21)과 보조판넬(31)은 소정 두께를 갖으며 내부에 다수의 격자틀(21a,3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흙막이 장치는 지중 관 및 하수박스 등의 저심도 지하 연속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지중 깊이 10m 이내의 저심도 굴착작업시, 토압에 대응하고 굴삭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굴삭부 양측면으로 설치되어 전진 이동이 가능하고 굴삭부의 측면 토압을 용이하게 지지하여 토사 굴삭과 지하 연속구조물의 설치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며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전방으로 일정간격씩 이동되는 추진부(10)와, 추진부(10)의 후측으로 설치되어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추진부(10)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내측지지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추진부(10)는 굴삭부의 양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전진판(11)과 각 전진판(10)의 내측에 설치되어 각 전진판(11)을 전진시키는 유압실린더(12)와 각 전진판(11)의 후측으로 설치되어 내측지지부(20)의 외측면을 덮으며 각 전진판(11)을 따라 이동되는 사이드커버(13)로 구성된다.
상기 전진판(11)은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한쌍의 전진판(11) 사이 내측에 복수의 층으로 설치되는 각 수평프레임(15)에 의해 좌,우로 이격되며 굴삭부의 양측면 토압을 용이하게 견딜 수 있게 한다.
상기 각 수평수레임(15)은 굴삭부의 폭에 따라 전진판(11)의 설치폭이 능동적으로 대응 변형이 가능하도록 볼트 및 너트 체결되고 조립과 분리과 용이한 구조의 가변형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진판(11)은 전방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후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전단부 쐐기형으로 각 전진판(11)이 전방의 토사를 용이하게 밀어내면서 전방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12)는 각 전진판(11)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유압으로 각 전진판(11)을 일정간격씩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중앙부측은 각 전진판(11)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후방측은 내측지지부(20)에 고정되어 내측지지부(20)에 의해 반발력을 제공받고 유압의 작동이 의해 각 전진판(11)을 전방으로 일정간격씩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압실린더(12)는 각 전진판(11)의 내측에 3~4개 정도가 일정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유압실린더(12)는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이동작업시 사용되는 통상의 유압실린더를 적용하는 것이므로 자세한 기술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사이드커버(13)는 내측지지부(20)의 외측면을 덮는 길이의 판형태로 형성되며 각 전진판(11)의 후측으로 볼트 및 너트 체결로 설치되어 상기 각 전진판(11)이 유압실린더(12)의 작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전진판(11)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토압으로부터 내측지지부(20)를 보호하여 내측지지부(20)의 전방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기 사이드커버(13)의 내측면에는 후술되는 내측지지부(20)의 지지판넬(21) 외측면을 타고 사이드커버(13)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일정길이로 연장된 이동가이드돌부(130)가 일정높이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넬(21)의 외측면과 결속되어 지지판넬(21)과 사이드커버(13)의 분리를 막고 사이드커버(13)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일정길이로 연장되며 단부가 상,하로 돌출된 "┤"형상의 이탈방지돌부(131)가 일정높이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내측지지부(20)는 전방 내측에 복수의 단으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25)과 후방 내측의 상단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25')에 의해 좌,우로 이격되어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넬(21)과 한쌍의 지지판넬(21) 하단부 사이로 설치되는 바닥플레이트(22)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지지판넬(21)은 내구성을 높여 외측에서 가해지는 측면토압을 용이하게 견딜수 있게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내부에는 가로 및 세로로 연장된 다수의 격자틀(21a)이 형성되며, 하측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복수의 배출공(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커버(13)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측면에서 유입되는 토사나 이물질이 내측으로 용이하게 토출되게 하고 작업시 유지 및 보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작업구간으로 활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각 지지판넬(21)의 외측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커버(13)의 내측면에 형성된 각 이동가이드돌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이동가이드돌부(13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사이드커버(13)와 지지판넬(21)의 사이를 이격시켜 사이드커버(13)와 지지판넬(21)의 사이로 유입되는 토사나 이물질에 의해 사이드커버(13)가 지지판넬(21)로부터 임의적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가 울퉁불퉁한 톱니형블럭(211)이 각 이동가이드돌부(130)의 상단과 하단의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각 지지판넬(21)의 외측면에는 상기 사이드커버(13)에 형성된 각 이탈방지돌부(131)가 결속되어 이탈방지돌부(131)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사이드판(131)의 분리 및 이탈을 막기 위해 각 이탈방지돌부(131)의 상,하단을 덮는 구조의 레일형블럭(212)이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 사이드커버(13)에 형성되는 각 이동가이드돌부(130)와 이탈방지돌부(131)는 사이드커버(13)를 상기 지지판넬(21)에 손쉽게 설치하고 분리가 용이하도록 사이드커버(13)에 동일한 수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는 복수개가 분할된 구조로 형성되며, 지지판넬(21)에 형성되는 각 톱니형블럭(211)과 레일형블럭(212)은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각 이동가이드돌부(130) 및 이탈방지돌부(131)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길이로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넬(21)에서 동일한 수평선상에 형성되는 각 블럭과 블럭의 사이로 상기 이동가이드돌부(130)나 이탈방지돌부(131)를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사이드커버(13)를 해체시에는 이동가이드돌부(130)나 이탈방지돌부(131)를 블럭과 블 럭 사이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이드커버(13)를 상부로 상승시키고, 사이드커버(13)를 조립시에는 이동가이드돌부(130)나 이탈방지돌부(131)를 블럭과 블럭 사이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이드커버(13)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지지판넬(21)에 결합되게 하여 사이드커버(13)와 지지판넬(21)의 조립과 해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각 지지판넬(21)의 내측면으로는 각 유압실린더(12)의 후단부가 고정되어 유압실린더(12)에 반발력을 제공하므로 유압실린더(12)는 내측지지부(20)로부터 반발력을 제공받아 신장되면서 상기 추진부(10)를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동시키고, 유압실린더(12)의 수축에 의해서는 내측지지부(20)가 당겨지면서 내측지지부(20)가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지지부(20)의 후단부에는 내측지지부(20)의 후측으로 지중 관이나 하수박스를 설치후 되메우기된 토사를 지지하여 후면의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각 지지판넬(21)의 후단부 사이를 덮는 구조의 토사붕괴방지판(23)이 설치되며, 상기 토사붕괴방지판(23)은 내측으로 지중 관이 통과되게 통공(230)이 형성되고 지중 관의 외경에 대응하여 통공(230)의 크기가 용이하게 확장 및 신축되어 지중 관의 외경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지중 관을 통과시킬 수 있으며 지중 관의 시공각도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신축이 용이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플레이트(22)는 흙막이 장치의 상단으로 설치되는 복공판(50)의 상부로 차량 등이 통행하므로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견디고 히빙 및 보일링을 방지하여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열연 강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넬(21)들의 하단부 사이로 설치된다.
상기 전진판(11), 유압실린더(12), 사이드커버(13)로 이루어진 추진부(10)와 지지판넬(21), 바닥플레이트(22)로 이루어진 내측지지부(20)를 갖는 이동식 흙막이 장치의 최상부에 복공판(50)이 설치되도록 추진부(10)와 내측지지부(20)의 양측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보조판넬(31)이 연결된 스페이스부(30)가 설치되어 흙막이 장치의 상부 높이 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며, 각 스페이스부(30)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주행보(40)가 설치되어 복공판(5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도로와 복공판(5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스페이스부(30)는 양 스페이스부(30)의 내측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사각띠장(35)에 의해 지지되어 양측에서 가해지는 토압을 견딜 수 있게 한다.
각 상기 보조판넬(31)은 내구성을 높여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견딜 수 있게 내부에 다수의 격자틀(31a)이 형성되고, 복수의 보조판넬(31)은 보조판넬(31)간에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여 횡단 지장물이 스페이스부(30)에 다다를 때 보조판넬(31)을 하나씩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횡단 지장물이 주행보(40)와 추진부 및 내측지지부(10)의 사이로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게 하므로 횡단 지장물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보(40)의 상부면에는 흙막이 장치의 상부에 차량 및 사람의 통행이 가능하게 복공판(50)이 설치되는데, 상기 복공판(50)이 주변의 지면에 맞혀 수평 및 높이조절이 용이하도록 상기 스페이스부(30)와 주행보(40)의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철판(6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사각철판(60)에는 일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ㄷ"자 형태로 연결된 끼움홈(60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사각철판(60)은 상기 스페이스부(30)에 주행보(40)를 고정시키는 각 고정볼트(400)에 끼움홈(600)을 통해 삽입시켜 스페이스부(30)와 주행보(40)의 사이에 사각철판(60)이 이탈없이 고정력있게 설치될 수 있게 하며, 이때 상기 사각철판(60)은 조절하고자 하는 수평 및 높이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사각철판(60)을 겹쳐 사용하여 복공판(50)의 수평과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사각철판(60)에 의해 주행보(40)와 스페이스부(30)의 사이로 이격공간이 생김에 따라 상기 주행보(40)와 스페이스부(30)의 외측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사이드커버(70)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사이드커버(70)는 상기 주행보(40)의 측면으로 고정 설치되어 주행보(40)와 스페이스부(30)의 외측면을 덮어주므로 주행보(40)와 스페이스부(30)의 사이를 통해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추진부(10)에는 흙막이 장치의 진행방향인 전방의 토사붕괴를 방지하고 추진부(10)의 전방이동시 추진효율을 높이기 위해 양 전진판(11)의 바닥부에 바닥플레이트(14)가 설치되고 바닥플레이트(14)의 전단부이며 양 전진판(11)의 전방 내측으로 쐐기형의 스크레퍼(160)가 설치된 전방토사붕괴방지판(16)이 더 설치된다.
상기 스크레퍼(160)는 바닥의 수평판과 전방의 수직판으로 이루어지고 바닥 전단부가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추진부(10)의 추진력을 높이고 상기 전방토사붕괴방지판(16)은 얇은 수직판으로 상기 스크레퍼(160)의 상단으로 설치되어 전방의 토사붕괴를 막도록 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진부(10)가 전방으로 이동된 후 유압실린더(12)의 작동으로 내측지지부(20)가 전방으로 이동시 추진부(10)와 내측지지부(20) 바닥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 토사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내측지지부(20)의 바닥플레이트(22) 전단부에는 전방측이 상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판(25)이 설치되고, 추진부(10)의 바닥플레이트(14)에는 상기 경사판(25)의 하부로 연장되어 경사판(25) 하측으로 위치되며 바닥플레이트(14)의 후단부에 힌지결합되는 후단부가 뾰족한 블레이드판(17)이 설치되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부(10)의 전진이동시 추진부(10)와 내측지지부(20)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발생되는 바닥부의 이격공간으로 상기 블레이드판(17)이 위치하므로 내측지지부(20)의 전방이동시 바닥의 토사가 내부로 유입되는것을 블레이트판(17)이 막아 바닥부 침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판(17)은 추진부(1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판(25)의 전단부를 벗어나지 않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진부(10)와 내측지지부(20)의 각 구성들은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게 볼트 및 너트 조립되며, 굴삭부의 폭과 길이에 맞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폭과 길이가 가변형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변형 구조를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가변형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흙막이 장치는 토압에 견디는 하중을 분산하고 연약지반에 의해 흙막이 장치가 침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체적으로 설치폭이 좁아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게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을 아니다. 여기에 게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추진부
11-전진판
12-유압실린더
13-사이드커버
20-내측지지부
21-지지판넬
22-바닥플레이트
30-스페이스부
40-주행보
50-복공판

Claims (7)

  1. 저심도의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며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전방으로 일정간격씩 이동되는 추진부(10)와, 추진부(10)의 후측으로 설치되어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추진부(10)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내측지지부(20)로 구성되는 이동식 흙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10)는 전단부가 쐐기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의 수평프레임(15)에 의해 좌,우로 이격되어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전진판(11)과, 각 전진판(11)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후단이 내측지지부(20)에 연결되어 반발력을 제공받아 각 전진판(11)을 전진시키는 유압실린더(12)와, 상기 각 전진판(11)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내측지지부(20)의 외측면을 덮도록 각 전진판(11)의 후측으로 설치되고 내측면에 일정길이를 갖는 이동가이드돌부(130)와 일정길이를 갖으며 단부가 상,하로 돌출된 "┤"형상의 이탈방지돌부(131)가 각각 일정높이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사이드커버(13)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지지부(20)는 상기 유압실린더(12)의 후단이 내측면에 연결되며 내측의 수평프레임(25)에 의해 좌,우로 이격되어 굴삭부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배출공(210)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상기 각 이동가이드돌부(130)의 상,하단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가이드돌부(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톱니형블럭(211)과 상기 각 이탈방지돌부(131)의 상,하단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이탈방지돌부(131)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탈방지돌부(13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형블럭(212)이 형성된 지지판넬(21)과, 지지판넬(21)의 하단부 사이로 설치되는 바닥플레이트(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지지부(20)의 후단부에는 내측으로 지하구조물이 통과되게 통공(230)이 형성되고 후방의 토사붕괴를 방지하는 고무재질을 갖는 토사붕괴방지판(2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흙막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10)에는 바닥부에 바닥플레이트(14)가 설치되고 전방 내측으로 전방의 토사붕괴를 방지하고 추진력을 높이기 위해 하부에 스크레퍼(160)가 설치된 전방토사붕괴방지판(1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흙막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부(20)의 바닥플레이트(22) 전단부에는 전방측이 상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판(25)이 설치되고, 상기 경사판(25)의 하측으로 위치되어 내측지지부가 전방으로 이동시 바닥의 토사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추진부(10)의 바닥플레이트(14)의 후단부에 힌지결합되며 후단부가 뾰족한 블레이드판(1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흙막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10)와 내측지지부(20)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보조판넬(31)이 연결된 스페이스부(30)가 스페이스부(30)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사각띠장(35)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스부(30)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주행보(40)가 설치되며, 주행보(40)의 상측으로 복공판(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흙막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주행보(40)와 스페이스부(30)의 사이에는 복공판(50)의 수평과 높이조절이 용이하게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철판(6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사각철판(60)이 설치된 주행보(40)와 스페이스부(30)의 외측면으로는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주행보(40)에 고정되는 보조사이드커버(70)가 설치되며,
    상기 사각철판(60)은 주행보(40)를 스페이스부(3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400)에 끼워지도록 일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ㄷ"자형으로 연결된 끼움홈(6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흙막이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흙막이 장치는 설치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흙막이 장치.
KR1020200056521A 2020-05-12 2020-05-12 이동식 흙막이 장치 KR102173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21A KR102173283B1 (ko) 2020-05-12 2020-05-12 이동식 흙막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21A KR102173283B1 (ko) 2020-05-12 2020-05-12 이동식 흙막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283B1 true KR102173283B1 (ko) 2020-11-03

Family

ID=7319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521A KR102173283B1 (ko) 2020-05-12 2020-05-12 이동식 흙막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2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9690B2 (en) * 2019-08-08 2022-05-03 Infrastructure Renewal Institute of Southern China Assembled recyclable rectangular working well with preset detachable door open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5404874A (zh) * 2022-07-31 2022-11-29 王新华 一种便于防止基坑边缘积土的建筑深基坑结构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8022A (ja) * 1995-06-12 1996-12-24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移動式開削山留工法および装置
KR100535826B1 (ko) * 2003-08-14 2005-12-12 주식회사 현암전설 가로등 기초
KR200421902Y1 (ko) * 2006-05-09 2006-07-19 최유석 가로등 접지홀 기초
KR100851062B1 (ko) * 2007-05-29 2008-08-12 화엄토건(주) 자성체가 부착된 잭 스티프너
KR20110128586A (ko) * 2010-05-24 2011-11-30 삼성물산 주식회사 기둥 주각부 고정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기둥-기초판 접합구조
KR101415658B1 (ko) * 2014-04-10 2014-07-04 정진덕 이동 가능한 조립식 흙막이 장치
KR20150093418A (ko) 2014-02-07 2015-08-18 (주)나우기술 콘크리트 토류판과 h빔을 이용한 흙막이 가설구조.
KR101656367B1 (ko) 2015-06-18 2016-09-09 주식회사 신암이앤씨 도로 지하에 관을 매설하기 위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20180017306A (ko) * 2016-08-08 2018-02-21 삼정산업 주식회사 흙막이 공사 가시설용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지하차도 시공방법
KR101980134B1 (ko) * 2018-12-13 2019-05-17 건창산업(주) 토압지지력 향상 및 형태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립식 흙막이용 프리스트레스 빔
KR101983381B1 (ko) * 2018-10-30 2019-05-28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8022A (ja) * 1995-06-12 1996-12-24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移動式開削山留工法および装置
KR100535826B1 (ko) * 2003-08-14 2005-12-12 주식회사 현암전설 가로등 기초
KR200421902Y1 (ko) * 2006-05-09 2006-07-19 최유석 가로등 접지홀 기초
KR100851062B1 (ko) * 2007-05-29 2008-08-12 화엄토건(주) 자성체가 부착된 잭 스티프너
KR20110128586A (ko) * 2010-05-24 2011-11-30 삼성물산 주식회사 기둥 주각부 고정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기둥-기초판 접합구조
KR20150093418A (ko) 2014-02-07 2015-08-18 (주)나우기술 콘크리트 토류판과 h빔을 이용한 흙막이 가설구조.
KR101415658B1 (ko) * 2014-04-10 2014-07-04 정진덕 이동 가능한 조립식 흙막이 장치
KR101656367B1 (ko) 2015-06-18 2016-09-09 주식회사 신암이앤씨 도로 지하에 관을 매설하기 위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20180017306A (ko) * 2016-08-08 2018-02-21 삼정산업 주식회사 흙막이 공사 가시설용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지하차도 시공방법
KR101983381B1 (ko) * 2018-10-30 2019-05-28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KR101980134B1 (ko) * 2018-12-13 2019-05-17 건창산업(주) 토압지지력 향상 및 형태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립식 흙막이용 프리스트레스 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9690B2 (en) * 2019-08-08 2022-05-03 Infrastructure Renewal Institute of Southern China Assembled recyclable rectangular working well with preset detachable door open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5404874A (zh) * 2022-07-31 2022-11-29 王新华 一种便于防止基坑边缘积土的建筑深基坑结构
CN115404874B (zh) * 2022-07-31 2023-11-03 山西恒昱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防止基坑边缘积土的建筑深基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3283B1 (ko) 이동식 흙막이 장치
KR101474515B1 (ko) 버팀대와 흙막이패널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이 시공 공법
KR101611257B1 (ko) 이동 가능한 조립식 흙막이 장치
US3204415A (en) Self-propelled and self-levelling open trench caisson
JP6251375B2 (ja) 推進タイプの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における路面覆工方法
KR101751496B1 (ko) 경량의 복공판과 받침대를 매개로 한 개착식 흙막이 가시설 및 이 시공 공법
KR101171040B1 (ko) 긴장재를 이용한 조립식 간이 흙막이 시공 방법
JP2019112800A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における路面覆工方法
JP7177233B2 (ja) コンクリート函体もしくはオープンシールド機の発進反力構造および方法
US4547097A (en) Traveling trench shore
JP3205485B2 (ja) 土木工事方法及び装置並びに土留め装置
JP3917146B2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における覆工板の布設方法および撤去方法
JP6276300B2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
KR101042556B1 (ko) 관로공사 흙막이용 버팀기구
CN202945681U (zh) 一种基槽自动挡板
KR200416567Y1 (ko) 파일 챔버식 흙막이 장치
JP4349570B2 (ja) 分割函体及び地下立体交差の構築方法
CN103669370B (zh) 可回收组合型沟槽开挖基坑支护装置及施工方法
KR102558292B1 (ko) 흙막이용 판넬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JP2668648B2 (ja) 地下構造物の施工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発進坑
JP7461443B1 (ja) オープンシールド機の組立方法
JP7082225B1 (ja) 地下構造物の施工法
JP6375334B2 (ja) 路面覆工方法
KR20230042982A (ko) 흙막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JP2007138466A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