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532B1 - 곡물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532B1
KR102167532B1 KR1020200098749A KR20200098749A KR102167532B1 KR 102167532 B1 KR102167532 B1 KR 102167532B1 KR 1020200098749 A KR1020200098749 A KR 1020200098749A KR 20200098749 A KR20200098749 A KR 20200098749A KR 102167532 B1 KR102167532 B1 KR 102167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grain
heating
transfer
he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재
Original Assignee
한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재 filed Critical 한승재
Priority to KR1020200098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B5/02Combined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에 불려진 곡물이 내부의 가공홀로 투입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전방에 결합되고, 배출홀이 형성되는 토출부와, 상기 가공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곡물이 1차 분쇄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의 전단에 연결축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곡물이 2차 분쇄되면서 상기 토출부로 이동되도록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스크류 및, 상기 제1스크류의 전단과 상기 제2스크류의 후단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곡물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연결축을 더 큰 직경으로 감싸는 통로가 형성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제1스크류의 전단과 상기 제2스크류의 후단 사이에서 상기 곡물을 분쇄함과 동시에 마찰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곡물을 가열하면서 상기 통로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곡물 가공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GRAIN}
본 발명은 곡물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에 불려진 상태로 투입된 곡물을 가열 조리된 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는 곡물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을 제조하는 방앗간이나 공장 등에서는 곡물(쌀 등)을 분말 형태로 분쇄시키고, 분쇄된 곡물 분말과 물을 혼합한 후 반죽 및 증숙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종래의 떡 제조장치는 대부분 곡물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곡물 분말(쌀 등)과 물이 투입된 혼합물을 반죽하는 반죽기와, 반죽된 떡재료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증숙하는 증숙기와, 증숙된 떡재료를 이용하여 떡을 성형하는 떡 성형기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떡 성형기는 물과 혼합된 곡물 분말이 내부로 투입되고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스크류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스크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물과 혼합된 곡물 분말을 교반하면서 토출부를 통해 압출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떡 제조방치는 분쇄기를 이용해 곡물을 분쇄하는 과정과, 반죽기를 이용해 곡물 분말과 물이 투입된 혼합물을 반죽하는 과정과, 증숙기를 이용해 반죽된 혼합물을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증숙 과정이 개별적으로 수행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공정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어야 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76239호(2005년 02월 05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고기 야채를 내장한 가래떡 성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을 분쇄 및 압출하는 과정에서 곡물이 마찰열에 의해 가열되므로, 사용자가 바로 취식할 수 있는 상태의 곡물 가공품을 제조할 수 있어 가열 조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익혀진 상태의 곡물 가공품이 연속적으로 배출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곡물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는 물에 불려진 곡물이 내부의 가공홀로 투입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전방에 결합되고, 배출홀이 형성되는 토출부와, 상기 가공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곡물이 1차 분쇄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의 전단에 연결축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곡물이 2차 분쇄되면서 상기 토출부로 이동되도록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스크류 및, 상기 제1스크류의 전단과 상기 제2스크류의 후단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곡물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연결축을 더 큰 직경으로 감싸는 통로가 형성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제1스크류의 전단과 상기 제2스크류의 후단 사이에서 상기 곡물을 분쇄함과 동시에 마찰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곡물을 가열하면서 상기 통로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재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스크류의 전단과 상대 회전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측 마찰면 및, 상기 가열부재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스크류의 후단과 상대 회전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제2가열측 마찰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크류의 전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가열측 마찰면과 상대 회전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제1이송측 마찰면 및, 상기 제2스크류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가열측 마찰면과 상대 회전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제2이송측 마찰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송측 마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스크류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돌출되는 제1이송측 돌기 및, 상기 제1이송측 돌기의 전면에 형성되고,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제1이송측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열측 마찰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재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돌출되는 제1가열측 돌기 및, 상기 제1가열측 돌기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이송측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제1가열측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송측 마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스크류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돌출되는 제2이송측 돌기 및, 상기 제2이송측 돌기의 전면에 형성되고,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제2이송측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가열측 마찰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재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돌출되는 제2가열측 돌기 및, 상기 제2가열측 돌기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이송측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제2가열측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크류는 상기 가열부재로부터 열이 전달되고, 상기 통로로부터 전달된 상기 곡물을 상기 토출부로 이동시키면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홀은 상기 제1스크류가 배치되는 후방영역 및, 상기 제2스크류가 배치되는 전방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후방영역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스크류 회전시 상기 곡물이 분쇄되도록 제3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영역에는 상기 제2스크류의 외주를 감싸고, 상기 가열부재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는 마찰조절링이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마찰조절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나사산과 다른 각도의 나선을 형성하는 제4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는 상기 전방영역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전방영역의 외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유입구와 유출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를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전방영역을 설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케이싱의 전방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배출홀의 개수와 직경을 가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곡물을 분쇄 및 압출하는 과정에서 곡물이 마찰열에 의해 가열되므로, 사용자가 바로 취식할 수 있는 상태의 곡물 가공품을 제조할 수 있어 가열 조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익혀진 상태의 곡물 가공품이 연속적으로 배출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케이싱을 단면 처리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케이싱과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와 가열부재 및 마찰조절링을 정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케이싱과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와 가열부재 및 마찰조절링을 배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케이싱을 단면 처리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케이싱을 단면 처리한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곡물이 떡 형태로 가공된 후 토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곡물이 국수 형태로 가공된 후 토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곡장치에 탄성부재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케이싱을 단면 처리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케이싱과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와 가열부재 및 마찰조절링을 정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케이싱과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와 가열부재 및 마찰조절링을 배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케이싱을 단면 처리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케이싱을 단면 처리한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곡물이 떡 형태로 가공된 후 토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곡물이 국수 형태로 가공된 후 토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곡장치에 탄성부재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는 본체(100)와, 케이싱(200)과, 토출부(300)와, 제1스크류(400)와, 제2스크류(500)와, 가열부재(600)와, 마찰조절링(700) 및, 구동부(8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함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후술 될 구동부(700)의 모터(710)가 설치될 수 있고, 본체(100)의 일측에는 케이싱(200)의 후단이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케이싱(200)은 내부에 가공홀(210)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케이싱(200)은 스테인레스(stainless)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며, 케이싱(200)의 상부에는 가공홀(210)의 내부에 물에 불려진 곡물(A)을 투입시키기 위한 호퍼(230)가 설치된다. 이때 곡물(A)은 물과 일정 비율로 혼합된 상태로 투입된다.
가공홀(210)은 후술될 제1스크류(4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영역(211)과, 후술될 제2스크류(5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영역(2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호퍼(23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직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호퍼(230)의 내부에는 일정 시간(대략 4~10 시간)동안 물에 불려진 곡물(입쌀, 찰입쌀, 옥수쌀, 압곡류 등, 10)이 투입되고, 호퍼(230)를 통해 가공홀(210)의 내부로 물에 불려진 곡물(A)이 투입된다.
토출부(300)는 케이싱(200)의 전방에 결합되고, 분쇄 및 가열된 곡물(A)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나 이상의 배출홀(310)이 형성된다. 여기서 토출부(300)는 케이싱(200)의 전방측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토출부(300)의 상단은 케이싱(200)의 하단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토출부(300)를 교체하여 떡볶이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떡 형상의 배출홀(310)이나, 국수 형상의 배출홀(310)을 선택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제1스크류(400)는 가공홀(2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곡물(A)이 분쇄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외주면에 제1나사산(410)이 형성된다. 제1스크류(400)는 스테인레스(stainless)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스크류(400)는 전후 방향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제1스크류(400)의 후단이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스크류(400)의 후단에는 후술 될 구동부(800)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제1나사산(410)은 제1스크류(4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나선을 이루면서 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후방영역(211)의 내주면에는 가공홀(210)의 내부로 투입된 곡물이 분쇄될 수 있도록 내측 나사산(210)이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스크류(400)의 후단은 전후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고, 제1스크류(400)의 후단은 별도의 탄성부재(430)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430)는 전방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430)의 후단과 제1스크류(400)의 후단에는 탄성부재(430)의 전단이 걸림 위치되도록 걸림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스크류(400)의 전단과 후술 될 가열부재(600)의 사이에 분쇄되지 않은 곡물(A)이 끼임이 발생하는 경우, 제1스크류(400)가 탄성부재(430)의 압축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될 수 있으며, 곡물(A)의 끼임이 해지된 제1스크류(400)가 탄성부재(43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제2스크류(500)는 제1스크류(400)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곡물(A)이 2차 분쇄되면서 토출부(300)로 이동되도록 제2나사산(5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스크류(500)는 스테인레스(stainless)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스크류(500)는 전후 방향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제2스크류(500)의 후단이 제1스크류(400)의 전단과 암수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스크류(500)의 후단은 제1스크류(400)의 전단과 연결축(520)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제2스크류(500)는 후술될 가열부재(600)로부터 열이 전달되고, 가열부재(600)의 통로(601)로부터 전달된 곡물(A)을 토출부(300)로 이동시키면서 가열한다.
연결축(520)은 제2스크류(500)의 후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제1스크류(400)의 전단에는 연결축(520)의 후단이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홈(42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축(520)의 반경 방향과 연결홈(420)의 내주면에는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다각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스크류(500)는 제1스크류(400)에 의해 분쇄된 곡물을 토출부(300) 방향으로 압송하고, 제2스크류(500)에 의해 압송된 곡물은 토출부(300)의 배출홀(310)을 통해 외부로 압출된다.
가열부재(600)는 제1스크류(400)의 전단과 제2스크류(500)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어 곡물(A)을 분쇄함과 동시에 마찰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열부재(600)는 스테인레스(stainless)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가열부재(600)에는 곡물(A)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통로(610)가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가열부재(600)는 연결축(520)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고, 통로(610)의 내부에 연결축(520)이 관통될 수 있으며, 통로(610)는 연결축(52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이때 통로(610)와 연결축(520)의 사이에는 곡물(A)이 통과될 수 있는 간격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열부재(600)의 후면에는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측 마찰면이 형성되고, 가열부재(600)의 전면에는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제2가열측 마찰면이 구비된다.
또한, 제1스크류(400)의 전단에는 제1가열측 마찰면과 상대 회전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제1이송측 마찰면이 형성되고, 제2스크류(500)의 후단에는 제2가열측 마찰면과 상대 회전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제2이송측 마찰면이 구비된다.
제1이송측 마찰면에는 제1스크류(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돌출되는 제1이송측 돌기(431)이 형성되고, 제1이송측 돌기(431)의 전면에는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제1이송측 경사면(432)이 구비된다.
제1가열측 마찰면에는 가열부재(6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돌출되는 제1가열측 돌기(611)가 구비되고, 제1가열측 돌기(611)의 전면에는 제1이송측 경사면(432)과 대응되도록 제1가열측 경사면(630)이 구비된다.
이때, 제1이송측 돌기(431)와 제1가열측 돌기(611)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 위치되고, 제1이송측 마찰면(430)과 제1가열측 마찰면(610)의 사이 간격으로 분쇄된 곡물(A)이 유입된다.
제2이송측 마찰면에는 제2스크류(5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돌출되는 제2이송측 돌기(531)가 형성되고, 제2이송측 돌기(531)의 전면에는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제2이송측 경사면(532)이 구비된다.
제2가열측 마찰면에는 가열부재(6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돌출되는 제2가열측 돌기(621)가 구비되고, 제2가열측 돌기(621)의 전면에는 제2이송측 경사면(532)과 대응되도록 제2가열측 경사면(622)이 구비된다.
이때, 제2이송측 돌기(531)와 제2가열측 돌기(621)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 위치되고, 가열부재(600)의 통로(601)를 통해 제2이송측 마찰면과 제2가열측 마찰면의 사이 간격으로 분쇄된 곡물(A)이 유입된다.
이와 같은 가열부재(600)는 제1스크류(400)와 제2스크류(500)의 사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스크류(400)에 의해 분쇄되어 전방으로 이송된 곡물(A)을 분쇄함과 동시에 곡물(A)과 마찰되면서 마찰열을 발생시킨다.
또한, 가열부재(600)는 분쇄되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곡물(A)의 이동 단면적을 감소시키면서 곡물(A)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승시켜 곡물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때, 제1가열측 마찰면에 형성된 제1가열측 돌기(611)와 제1이송측 마찰면에 형성된 제1이송측 돌기(431)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곡물(A)을 분쇄하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짧은 시간에 높은 온도의 마찰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가열측 경사면(612)과 제1이송측 경사면(432)이 전후 방향에서 곡물(A)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경사지게 가압하므로, 전후 방향에서 곡물(A)을 가압하는 동작을 이용해 곡물(A) 분쇄 성능 및 발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가열측 마찰면에 형성된 제2가열측 돌기(621)와 제2스크류(500)의 후단에 형성된 제2이송측 돌기(531)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곡물(A)을 분쇄하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짧은 시간에 높은 온도의 마찰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가열측 경사면(622)과 제2이송측 경사면(532)이 전후 방향에서 곡물(A)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경사지게 가압하므로, 전후 방향에서 곡물(A)을 가압하는 동작을 이용해 곡물(A) 분쇄 성능 및 발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찰조절링(700)은 제2스크류(500)의 외주를 감싸는 상태로 가공홀(210)의 전방영역(212)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2스크류(500)의 외주를 통해 곡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곡물을 분쇄함과 동시에 곡물과 마찰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마찰조절링(700)에는 중공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고, 마찰조절링(700)의 후단이 가열부재(60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마찰조절링(700)의 내주면에는 제4나사산(710)이 형성된다. 제4나사산(710)은 제2나사산(510)과 다른 각도의 나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마찰조절링(700)은 가열부재(600)가 위치된 제2스크류(500)의 후방측 영역만을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며, 제2스크류(500)는 마찰조절링(700)이 위치된 영역의 직경을 더 크게 형성시킬 수 있다.
구동부(800)는 본체(100)에 설치되는 모터(810)과, 모터의 구동축와 제1스크류(400)의 후단을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820)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810)는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어 동력전달부재(8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820)는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동력전달부재(820)의 일측이 제1스크류(400)의 후단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모터(810)의 구동축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200)의 외부에는 가공홀(210)의 전방영역(211)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9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냉각부(900)는 유체를 순환시키는 구동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냉각부(900)는 케이싱(200)의 외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수용부(910) 및, 수용부(910)의 유입구와 유출구에 각각 연결되며, 공간부를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켜 전방영역(212)을 설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수 공급부(펌프 등, 920)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에는 냉각부(900)와 구동부(8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가 조작(온(ON)/오프(OFF) 등)할 수 있도록 제어부의 조작부가 본체(10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200)의 내부에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어부의 표시부를 통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9와 10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전술한 구성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먼저, 물에 불려진 곡물(A)을 호퍼(230)로 투입시키고, 구동부(800)의 모터(810)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1스크류(400)가 회전하면서 곡물(A)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제1스크류(400)의 제1나사산(410)과 내측 나사산(220)에 의해 곡물(A)이 분쇄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후, 가열부재(600)의 후면과 제1스크류(400)의 사이로 이동된 곡물(A)이 제1스크류(400)의 제1이송측 돌기(431)와 제1가열측 돌기(611)에 의해 추가적으로 분쇄된 후, 통로(601)를 통해 가열부재(600)의 전면과 제2스크류(500)의 사이로 이동되어 제2스크류(500)의 제2이송측 돌기(531)와 제2가열측 돌기(621)에 의해 추가적으로 분쇄된다.
이 과정에서, 가열부재(600)와 제1스크류(400)의 사이로 이동된 곡물(A)은 압력 상승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고, 제1이송측 돌기(431)의 회전에 의해 곡물(A)이 분쇄됨과 동시에, 제1이송측 돌기(431)와 제1가열측 돌기(611)가 곡물(A)을 반복적으로 가압하므로, 곡물(A)이 미세하게 분쇄됨과 동시에 반죽 형태로 익혀지면서 통로(601)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가열부재(600)와 제2스크류(500)의 사이로 이동된 곡물(A)은 압력 상승에 의해 온도가 올라가고, 제2이송측 돌기(531)의 회전에 의해 곡물(A)이 추가적으로 분쇄됨과 동시에 제2이송측 돌기(531)와 제2가열측 돌기(621)가 곡물(A)을 반복적으로 가압하므로, 곡물(A)이 미세하게 분쇄되면서 반죽 형태로 익혀지면서 제2스크류(500)의 외주면과 마찰조절링(700)의 사이를 통해 전방으로 압송된다.
이때, 제2스크류(500)의 제2나사산(510)과 마찰조절링(700)의 제4나사산(710)에 의해 곡물(A)이 추가적으로 분쇄됨과 동시에 마찰력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고, 이 과정에서 곡물(A)이 미세하게 분쇄되면서 익혀진다. 이후 제2스크류(500)에 의해 전방으로 압송되는 곡물(A)은 토출부(300)의 배출홀(310)을 통해 익혀진 상태로 압출된다.
결과적으로, 곡물을 분쇄 및 압출하는 과정에서 곡물(A)이 가열되므로, 사용자가 바로 취식할 수 있는 상태의 곡물 가공품을 제조할 수 있어 가열 조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익혀진 상태의 곡물 가공품이 연속적으로 배출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곡물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 200: 케이싱
210: 가공홀 211: 후방영역
212: 전방영역 220: 내측 나사산
230: 호퍼 300: 토출부
310: 배출홀 400: 제1스크류
410: 제1나사산 420: 연결홈
431: 제1이송측 돌기 432: 제1이송측 경사면
430: 탄성부재 500: 제2스크류
510: 제2나사산 520: 연결축
531: 제2이송측 돌기 532: 제2이송측 경사면
600: 가열부재 601: 통로
611: 제1가열측 돌기 612: 제1가열측 경사면
621: 제2가열측 돌기 622: 제2가열측 경사면
700: 마찰조절링 710: 제4나사산
800: 구동부 810: 모터
820: 동력전달부재 900: 냉각부
910: 수용부 920: 냉각수 공급부
A: 곡물 C: 회전중심

Claims (10)

  1. 물에 불려진 곡물이 내부의 가공홀로 투입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전방에 결합되고, 배출홀이 형성되는 토출부;
    상기 가공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곡물이 1차 분쇄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스크류;
    상기 제1스크류의 전단에 연결축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곡물이 2차 분쇄되면서 상기 토출부로 이동되도록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스크류; 및
    상기 제1스크류의 전단과 상기 제2스크류의 후단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곡물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연결축을 더 큰 직경으로 감싸는 통로가 형성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제1스크류의 전단과 상기 제2스크류의 후단 사이에서 상기 곡물을 분쇄함과 동시에 마찰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곡물을 가열하면서 상기 통로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가열부재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스크류의 전단과 상대 회전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측 마찰면 및,
    상기 가열부재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스크류의 후단과 상대 회전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제2가열측 마찰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스크류의 전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가열측 마찰면과 상대 회전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제1이송측 마찰면 및,
    상기 제2스크류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가열측 마찰면과 상대 회전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제2이송측 마찰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1이송측 마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스크류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돌출되는 제1이송측 돌기 및, 상기 제1이송측 돌기의 전면에 형성되고,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제1이송측 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1가열측 마찰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재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돌출되는 제1가열측 돌기 및, 상기 제1가열측 돌기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이송측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제1가열측 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2이송측 마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스크류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돌출되는 제2이송측 돌기 및, 상기 제2이송측 돌기의 전면에 형성되고,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제2이송측 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2가열측 마찰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재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돌출되는 제2가열측 돌기 및, 상기 제2가열측 돌기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이송측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제2가열측 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1스크류의 후단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1스크류의 후단은 탄성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크류는 상기 가열부재로부터 열이 전달되고, 상기 통로로부터 전달된 상기 곡물을 상기 토출부로 이동시키면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가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홀은 상기 제1스크류가 배치되는 후방영역 및, 상기 제2스크류가 배치되는 전방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후방영역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스크류 회전시 상기 곡물이 분쇄되도록 제3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가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영역에는 상기 제2스크류의 외주를 감싸고, 상기 가열부재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는 마찰조절링이 더 결합되며,
    상기 마찰조절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나사산과 다른 각도의 나선을 형성하는 제4나사산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가공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는 상기 전방영역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전방영역의 외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유입구와 유출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를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전방영역을 설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가공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케이싱의 전방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배출홀의 개수와 직경을 가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가공장치.
KR1020200098749A 2020-08-06 2020-08-06 곡물 가공장치 KR102167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749A KR102167532B1 (ko) 2020-08-06 2020-08-06 곡물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749A KR102167532B1 (ko) 2020-08-06 2020-08-06 곡물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532B1 true KR102167532B1 (ko) 2020-10-19

Family

ID=7304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749A KR102167532B1 (ko) 2020-08-06 2020-08-06 곡물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53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826U (ko) * 1999-04-21 1999-07-05 박병균 원두커피분쇄기의분쇄날
KR100896008B1 (ko) * 2008-05-06 2009-05-07 신진호 떡 제조장치
KR20100099816A (ko) * 2009-03-04 2010-09-15 박영옥 분쇄기용 맷돌시스템
KR20110075942A (ko) * 2009-12-29 2011-07-06 진난호 익힌 쌀국수 및 그 제조 방법과 제조 장치
KR20120038684A (ko) * 2010-10-14 2012-04-24 평화산업(주) 떡 제조장치
KR20130112300A (ko) * 2012-04-03 2013-10-14 김정숙 떡 제조장치
KR20200017669A (ko) * 2018-08-09 2020-02-19 박철준 면 또는 떡 성형기
KR20200064626A (ko) * 2018-11-29 2020-06-08 박철준 면 또는 떡 제조 장치의 결합 구조
KR20200098749A (ko) * 2019-02-11 2020-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826U (ko) * 1999-04-21 1999-07-05 박병균 원두커피분쇄기의분쇄날
KR100896008B1 (ko) * 2008-05-06 2009-05-07 신진호 떡 제조장치
KR20100099816A (ko) * 2009-03-04 2010-09-15 박영옥 분쇄기용 맷돌시스템
KR20110075942A (ko) * 2009-12-29 2011-07-06 진난호 익힌 쌀국수 및 그 제조 방법과 제조 장치
KR20120038684A (ko) * 2010-10-14 2012-04-24 평화산업(주) 떡 제조장치
KR20130112300A (ko) * 2012-04-03 2013-10-14 김정숙 떡 제조장치
KR20200017669A (ko) * 2018-08-09 2020-02-19 박철준 면 또는 떡 성형기
KR20200064626A (ko) * 2018-11-29 2020-06-08 박철준 면 또는 떡 제조 장치의 결합 구조
KR20200098749A (ko) * 2019-02-11 2020-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200098749_0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0846B2 (ja) 電動粉挽き機
US4038433A (en) Method for processing soft vegetable foodstuffs into crumbs
US20120138716A1 (en) Automatic bread making machine
JP2006239518A (ja) 電動粉挽き機
Riaz Food extruders
KR20120138189A (ko) 착즙기
CN112236235B (zh) 粉碎机
KR102167532B1 (ko) 곡물 가공장치
US3952958A (en) Grinder apparatus for wheat, grains, and the like
KR100896008B1 (ko) 떡 제조장치
JPH1075759A (ja) 一軸押出し成形装置
JPH11253302A (ja) 作動圧力を調節することができる粉砕搾汁機
KR101665592B1 (ko) 곡물 분쇄유닛 및 이를 갖는 가정용 곡물 분쇄기
JP2016209872A (ja) 米粉製造装置
KR101173086B1 (ko) 익힌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102271987B1 (ko) 면 또는 떡 제조 장치의 결합 구조
KR101645523B1 (ko)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중면 제조장치
KR102173067B1 (ko) 면 또는 떡 성형기
KR101654234B1 (ko) 마찰 충격 및 열을 감소시킨 곡물분쇄기
KR102480699B1 (ko) 스마트 제분 장치
CN105053099A (zh) 方便面成型机
KR20110118538A (ko) 떡 제조기
CN209883894U (zh) 新型磨头装置及具有该新型磨头的谷物制浆机
KR20050024600A (ko) 식자재 분쇄기
JP2017164019A (ja) 自動製パ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