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414B1 -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414B1
KR102165414B1 KR1020180156804A KR20180156804A KR102165414B1 KR 102165414 B1 KR102165414 B1 KR 102165414B1 KR 1020180156804 A KR1020180156804 A KR 1020180156804A KR 20180156804 A KR20180156804 A KR 20180156804A KR 102165414 B1 KR102165414 B1 KR 102165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port
hydraulic
vertical extension
hydraulic check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0472A (ko
Inventor
황성훈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6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4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F16H61/0009Hydraulic control units for transmission control, e.g. assembly of valve plates or valv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7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변속기의 하우징에 형성되고, 하우징 내부의 유압을 테스트하는 유압테스트장치가 접속되는 유압체크포트와, 유압체크포트 상에 유압체크포트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는 볼수용부와, 유압체크포트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볼수용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자중에 의해 유압체크포트를 밀폐시키는 리크방지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OIL LEAKAGE PREVENTING APPARATUS FOR FLUID PRESSURE CHECK PORT OF AUTO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변속기에 형성된 유압체크포트를 통한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T(Auto Transmission), CVT(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습식 DCT(Double Clutch Transmission) 등의 자동변속기는 유압 장치를 이용하여 변속 메커니즘을 작동시킨다. 자동변속기에는 이러한 유압장치를 포함한 유압 시스템의 정상 작동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유압 테스트용 체크포트가 마련된다.
자동변속기의 조립 완료 후, 정상 작동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작동유(ATF, Automatic Transmission Fluid)를 주유하고, 유압체크포트를 통해 하우징 내부의 유압을 측정하는 유압 테스트를 시행하게 되는데, 이는 체크 플러그가 유압체크포트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된다. 유압체크포트가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유압 테스트를 완료한 후 체크플러그를 체결하기 위해 이동되는 중에 체크포트를 통해 작동유가 흘러나오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유압체크포트를 통해 다량의 작동유가 흘러나오는 경우, 작업 공간의 오염 문제가 발생될 뿐 아니라, 작동유의 누유량이나 잔량을 체크하고 하우징 내부에 재주유하며 보충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추가로 거쳐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변속기마다 누유량이 서로 달라 일괄적으로 처리가 불가능하여 자동변속기마다 개별적으로 작동유 보충량을 판단, 결정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117832호(1997.07.08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 자동변속기의 라인유압측정용 체크포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를 통한 오일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는, 자동변속기의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유압을 테스트하는 유압테스트장치가 접속되는 유압체크포트; 상기 유압체크포트 상에 상기 유압체크포트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는 볼수용부; 및 상기 유압체크포트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상기 볼수용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자중에 의해 상기 유압체크포트를 밀폐시키는 리크방지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체크포트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볼수용부와 연결되는 하부수직연장부; 상기 볼수용부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는 상부수직연장부; 및 상기 상부수직연장부 상에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수평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수직연장부는, 제1직경(D1)을 가지고, 상기 볼수용부는, 상기 제1직경(D1)보다 큰 제2직경(D2, D2>D1)을 가지며, 상기 리크방지볼은, 상기 제1직경(D1)보다는 크고 상기 제2직경(D2)보다는 작은 제3직경(D3, D2>D3>D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수용부는, 상기 하부수직연장부와 상기 상부수직연장부의 사이에 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리크방지볼의 직경보다 긴 길이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리크방지볼이 수용되는 확장부; 및 상기 확장부와 상기 하부수직연장부의 경계부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리크방지볼이 자중에 의해 안착되는 차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크방지볼은,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크방지볼의 탄성변형력에 의해 상기 유압체크포트의 개방부를 통해 상기 볼수용부까지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테스트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고, 상기 유압체크포트의 개방부를 차단하는 마스킹지그부; 상기 마스킹지그부와 연결되고, 상기 유압체크포트의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리크방지볼을 상측으로 밀어 상기 볼수용부의 하단부로부터 이격시키는 유로확보지그부; 및 상기 유로확보지그부에 의해 개방된 상기 유압체크포트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유압을 테스트하는 테스터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는, 유압체크포트의 내부에 수용된 리크방지볼이 자중에 의해 유압체크포트를 밀폐시키게 되므로, 유압체크포트를 통해 하우징 내부의 유압을 테스트한 후 유압체크포트에 체크플러그를 체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유압체크포트를 통해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압체크포트를 통한 작동유의 누유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압체크포트를 통해 다량의 작동유가 흘러나옴에 따라 작업 공간이 오염되던 것을 해결할 수 있어 쾌적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유의 누유량이나 잔량을 체크한 후 하우징의 내부에 작동유를 보충하는 번거로운 과정과, 자동변속기마다 누유량이 서로 달라 일괄적으로 처리가 불가능하여 자동변속기마다 개별적으로 작동유 보충량을 판단, 결정하던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변속기 제작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이클 타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가 적용되는 자동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단면 상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가 적용되는 자동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를 통해 하우징 내부의 유압을 테스트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가 적용되는 자동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단면 상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가 적용되는 자동변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1)의 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2)는 유압체크포트(10), 볼수용부(20), 리크방지볼(30), 체크플러그(50)를 포함한다.
유압체크포트(10)는 자동변속기(1)의 하우징(3)의 하부에 하향 개방되게 형성된다. 유압체크포트(10)는 하우징(3)의 외면부에서 하우징(3)을 두께방향으로 가로질러, 하우징(3)의 내면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유압테스트장치(4)는 유압체크포트(10)의 개방부(14)에 접속된 상태에서 유압체크포트(10)를 통해 하우징(3) 내부의 유압을 측정한다(도 4 참조).
볼수용부(20)는 리크방지볼(30)이 수용되는 중공의 공간부로, 유압체크포트(10)의 연장방향 중간부에 유압체크포트(10)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다. 리크방지볼(30)은 유압체크포트(10)를 개폐시키는 요소로, 유압체크포트(10)보다 확장된 직경을 가지고, 볼수용부(20)의 내부에 삽입된다.
리크방지볼(30)은 구 형상을 가지고, 자중에 의해 볼수용부(20)의 하부에 안착되어 유압체크포트(10)를 밀폐시키게 된다. 리크방지볼(30)이 볼수용부(20)의 하부에 안착되거나 이격됨에 따라, 유압체크포트(10)가 폐쇄되거나 개방된다. 여기서 유압체크포트(10)가 개방된다는 것은 작동유, 공기 등의 유체가 유압체크포트(10)를 통과가능한 상태를 의미하고, 유압체크포트(10)가 폐쇄된다는 것은 유압체크포트(10)를 통한 하우징(3) 내외부로의 유체의 유동이 차단된 상태를 의미한다.
체크플러그(50)는 유압체크포트(10)의 마개를 이루는 장치부로, 유압체크포트(10)의 개방부(14)에 체결된다. 개방부(14)의 내면부에는 체크플러그(50)가 나사체결될 수 있는 플러그탭(미도시)이 암사사산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체크플러그(50)의 둘레에는 플러그탭에 나사체결될 수 있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체크플러그(50)를 유압체크포트(1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유압체크포트(10)를 통한 유압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압체크포트(10)는 하부수직연장부(11), 상부수직연장부(12), 수평연장부(13)를 포함한다.
하부수직연장부(11)는 하우징(3)의 외면부와 접하는 유압체크포트(10)의 일단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하부수직연장부(11)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직선형으로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며, 하부에 개방부(14)가 형성되고, 상부는 볼수용부(20)와 연결된다.
상부수직연장부(12)는 볼수용부(20)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볼수용부(20)는 하부수직연장부(11)와 상부수직연장부(12)의 중간부에, 즉 유압체크포트(10) 중 수직방향 연장부 상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볼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되는 리크방지볼(30)이 자중에 의해 유압체크포트(10) 상의 정위치에 신뢰성있게 안착될 수 있다.
수평연장부(13)는 하우징(3)의 내면부와 접하는 유압체크포트(10)의 타단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상부수직연장부(12)의 상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3)의 내부로의 유체 주입이 상부수직연장부(12)의 상부에 해당되는 수위까지 누유없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유압테스트장치(4)를 하우징(3)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체크플러그(50)로 유압체크포트(10)를 폐쇄시키기까지, 하우징(3)의 내부에 주입된 유체 중 수평연장부(13)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유체가 유압체크포트(10)의 내부로 유입되며 하우징(3)의 외부로 유출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연장부(13)를 통해 유압체크포트(10)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더라도 리크방지볼(30)에 의해 그 누출이 차단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수용부(20)는 확장부(21)와 차단턱부(22)를 포함한다.
확장부(21)는 리크방지볼(30)이 수용되는 장치부로, 하부수직연장부(11)와 상부수직연장부(12)의 사이에 하부수직연장부(11)와 상부수직연장부(12)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다. 하부수직연장부(11)는 제1직경(D1)을 가지고, 볼수용부(20)는 제1직경(D1)보다 큰 제2직경(D2, D2>D1)을 가진다. 예를 들어, 하부수직연장부(11)는 5mm의 직경을 가지고, 볼수용부(20)는 7mm의 직경을 가진다.
또한, 확장부(21)는 리크방지볼(30)의 직경보다 긴 길이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리크방지볼(30)은 확장부(21)의 내부에 수용, 안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압테스트장치(4)의 유로확보지그부(42)에 밀려 하부수직연장부(11)로부터 이격되게 상향 이동될 수 있다.
차단턱부(22)는 리크방지볼(30)이 자중에 의해 안착되는 장치부로, 확장부(21)와 하부수직연장부(11)의 경계부에 'ㄱ'자 내지 'T'자 형상으로 단턱지게 형성된다. 차단턱부(22)는 뾰족한 모서리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리크방지볼(3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 좁아지게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거나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차단턱부(22)는 리크방지볼(30)과 안정되게 면접촉될 수 있게, 리크방지볼(30)의 표면 중 차단턱부(22)와 접하는 리크방지볼(30)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차단턱부(22)를 하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하면, 리크방지볼(30)이 차단턱부(22) 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임의의 외력, 진동에 의한 측방향 유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하부수직연장부(11)는 제1직경(D1)을 가지고, 볼수용부(20)는 제1직경(D1)보다 큰 제2직경(D2, D2>D1)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볼수용부(20)는 'ㄱ'자 커터(미도시)의 단부를 개방부(14)를 통해 하부수직연장부(11)와 상부수직연장부(12)의 사이까지 인입시킨 후 동심원을 이루어 회전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mm의 너비를 가지는 ㄱ'자 커터의 단부를 개방부(14)를 통해 5mm의 직경을 가지는 유압체크포트(10)의 내부로 삽입하고, 하부수직연장부(11)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직경 2mm의 동심원을 이루게 이동시키면서, 7mm의 직경을 가지는 볼수용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리크방지볼(30)은 제1직경(D1)보다는 크고 제2직경(D2)보다는 작은 제3직경(D3, D2>D3>D1)을 가진다. 예를 들어, 하부수직연장부(11)가 5mm의 직경을 가지는 경우, 리크방지볼(30)은 5.5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수직연장부(12)는 리크방지볼(30)의 상향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 제3직경보다 작은 제4직경(D4, D4<D3)을 가진다.
리크방지볼(30)은 스틸 등의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우징(3)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리크방지볼(30)은 리크방지볼(30) 자체의 탄성변형력과 하우징(3)의 탄성변형력에 의해, 너비가 보다 축소된 상태로 개방부(14)를 통과하여 하부수직연장부(11)에 압입될 수 있고, 하부수직연장부(11)를 통과하여 볼수용부(20)까지 도달될 수 있다. 볼수용부(20)의 내부에 도달된 리크방지볼(30)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크기로 복원되어 볼수용부(20) 외부로의 이동, 이탈이 방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를 통해 하우징 내부의 유압을 테스트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1)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2)가 적용된 자동변속기(1) 내부의 유압을 테스트하기 위한 유압테스트장치(4)는, 마스킹지그부(41), 유로확보지그부(42), 테스터본체부(43)를 포함한다.
마스킹지그부(41)는 하우징(3) 내부의 유압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즉 하우징(3) 내부에 형성되는 유압이 테스터본체부(43)에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유압체크포트(10)의 개방부(14)를 차단하면서 하우징(3)의 외면부에 접속된다. 유로확보지그부(42)는 마스킹지그부(41) 중 유압체크포트(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압체크포트(10)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유로확보지그부(42)는 하부수직연장부(11)보다 연장된 길이를 가진다. 이에 따라, 마스킹지그부(41)를 하우징(3) 및 개방부(14)에 밀착 시, 유로확보지그부(42)는 유압체크포트(10)의 내부로 인입되고, 리크방지볼(30)을 상측으로 밀어낸다. 리크방지볼(30)은 유로확보지그부(42)에 밀려 차단턱부(22)로부터 이격되면서, 유압체크포트(10)가 개방된다.
테스터본체부(43)는 유압테스트장치(4)의 본체를 이루는 장치부로, 유로확보지그부(42)에 의해 개방된 유압체크포트(10)를 통해 하우징(3) 내부의 유압을 체크, 테스트한다. 테스터본체부(43)는 유압을 측정할 수 있다면 공지기술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므로, 그 구조와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1)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2)에 의하면, 유압체크포트(10)의 내부에 수용된 리크방지볼(30)이 자중에 의해 유압체크포트(10)를 밀폐시키게 되므로, 유압체크포트(10)를 통해 하우징(3) 내부의 유압을 테스트한 후 유압체크포트(10)에 체크플러그(50)를 체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유압체크포트(10)를 통해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압체크포트(10)를 통한 작동유의 누유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압체크포트(10)를 통해 다량의 작동유가 흘러나옴에 따라 작업 공간이 오염되던 것을 해결할 수 있어 쾌적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유의 누유량이나 잔량을 체크한 후 하우징(3)의 내부에 작동유를 보충하는 번거로운 과정과, 자동변속기(1)마다 누유량이 서로 달라 일괄적으로 처리가 불가능하여 자동변속기(1)마다 개별적으로 작동유 보충량을 판단, 결정하던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변속기(1) 제작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이클 타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자동변속기 2 :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
3 : 하우징 4 : 유압테스트장치
10 : 유압체크포트 11 : 하부수직연장부
12 : 상부수직연장부 13 : 수평연장부
14 : 개방부 20 : 볼수용부
21 : 확장부 22 : 차단턱부
30 : 리크방지볼 41 : 마스킹지그부
42 : 유로확보지그부 43 : 테스터본체부

Claims (6)

  1. 자동변속기의 하우징 상에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부에서 상기 하우징을 두께방향으로 가로질러 상기 하우징의 내면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는 유압체크포트;
    상기 유압체크포트 상에 상기 유압체크포트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는 볼수용부; 및
    상기 유압체크포트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상기 볼수용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자중에 의해 상기 유압체크포트를 밀폐시키는 리크방지볼;을 포함하고,
    상기 유압체크포트는,
    하부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볼수용부와 연결되는 하부수직연장부; 및
    상기 볼수용부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상부수직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수용부는,
    공구를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하부수직연장부와 상기 상부수직연장부의 사이까지 인입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부수직연장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을 이루면서 상기 하부수직연장부, 상기 상부수직연장부보다 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게 형성되고,
    상기 리크방지볼은,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탄성변형력에 의해 너비가 보다 축소된 상태로 상기 하부수직연장부를 통과하여 상기 볼수용부까지 도달되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부수직연장부보다 큰 크기로 복원되며,
    상기 하부수직연장부는, 제1직경(D1)을 가지고,
    상기 볼수용부는, 상기 제1직경(D1)보다 큰 제2직경(D2, D2>D1)을 가지며,
    상기 리크방지볼은, 상기 제1직경(D1)보다는 크고 상기 제2직경(D2)보다는 작은 제3직경(D3, D2>D3>D1)을 가지고,
    상기 볼수용부는,
    상기 하부수직연장부와 상기 상부수직연장부의 사이에 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리크방지볼의 직경보다 긴 길이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리크방지볼이 수용되는 확장부; 및
    상기 확장부와 상기 하부수직연장부의 경계부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리크방지볼이 자중에 의해 안착되는 차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체크포트는,
    상기 상부수직연장부 상에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수평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유압을 테스트하는 유압테스트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고, 상기 개방부를 차단하는 마스킹지그부;
    상기 마스킹지그부와 연결되고, 상기 유압체크포트의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리크방지볼을 상측으로 밀어 상기 볼수용부의 하단부로부터 이격시키는 유로확보지그부; 및
    상기 유로확보지그부에 의해 개방된 상기 유압체크포트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유압을 테스트하는 테스터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
KR1020180156804A 2018-12-07 2018-12-07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 KR102165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804A KR102165414B1 (ko) 2018-12-07 2018-12-07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804A KR102165414B1 (ko) 2018-12-07 2018-12-07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472A KR20200070472A (ko) 2020-06-18
KR102165414B1 true KR102165414B1 (ko) 2020-10-15

Family

ID=7114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804A KR102165414B1 (ko) 2018-12-07 2018-12-07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41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633B1 (ko) * 1995-05-09 1997-04-18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자동변속기의 라인유압측정용 체크포트
KR19980061029U (ko) * 1997-03-20 1998-11-05 김영귀 절곡유로의 누유방지용 플러그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472A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955B1 (ko) 실린더 장치
CN107709697B (zh) 环空隔离阀组件
KR102165414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
EP1589266A1 (en) Seal device
KR102159603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
KR20220116148A (ko) 유체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유체 시스템용 밸브 커플링 및/또는 측정 커플링, 그리고 유체 시스템 채움, 비움 및 배출을 하기 위한 연결 피팅
KR20150036495A (ko) 연료 증기 밸브용 직조된 폐쇄 표면
KR101621769B1 (ko) 누수차단장치
JP3696850B2 (ja) チェックシステム及びチェックシステム付シリンダ
US6196252B1 (en) Shuttle valve for a multipath hydraulic circuit with bypass pressure venting
JP6945932B2 (ja) 漏水検知装置
CA3020217C (en) Access port for a fluid system
JP3774401B2 (ja) 自動変速機におけるオイルレベル検出装置
US67425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ing a fluid system
KR102111062B1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101619107B1 (ko) 자동변속기의 오일 레벨 확인장치
KR20180068897A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EP0709605B1 (en) Automatic valve
KR100922633B1 (ko) 차지밸브 검사기
US20180320353A1 (en) Leak-proof toilet tank
KR101403664B1 (ko) 하수관 검사를 위한 차단 플러그
KR102620007B1 (ko) 전자 제어식 브레이크용 석션 밸브 장치
JP7215799B2 (ja) 検査用継手部材及び検査用継手部材を用いた配管の漏れ検査方法。
KR102424488B1 (ko) 스로틀 밸브 테스트 장치 및 방법
JP2019086472A (ja) リークテス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