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897A -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897A
KR20180068897A KR1020177032203A KR20177032203A KR20180068897A KR 20180068897 A KR20180068897 A KR 20180068897A KR 1020177032203 A KR1020177032203 A KR 1020177032203A KR 20177032203 A KR20177032203 A KR 20177032203A KR 20180068897 A KR20180068897 A KR 20180068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losure cap
container
cap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907B1 (ko
Inventor
마사히로 나루세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B29C73/025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fe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24Apparatu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16Tools for repairing damaged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4Supplying air for tyre inf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보관 시의 액 누출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유로(流路)의 막힘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제공한다. 수용부(11)와 개구부(開口部)(12)를 구비한 용기 본체(10)와, 개구부(12)에 장착된 캡(20)으로 이루어지고, 캡(20)이 용기 외(外)로부터 압축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제1 유로(30)를 구비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에 있어서, 제1 유로(30)를 직진부(31)와 분기부(分岐部)(32)로 구성하고, 직진부(31)에 이 직진부(31)를 막는 형상을 가진 폐지(閉止) 마개(50)를 접동(摺動) 가능하게 삽입하고, 이 폐지 마개(50)가 분기부(32)상(上) 또는 분기부(32)보다도 직진부(31)의 개구단(31a) 측에 위치하여 제1 유로(30)가 폐지된 폐지 상태와 폐지 마개(50)가 분기부(32)보다도 직진부(31)의 폐지단(31b) 측에 위치하여 제1 유로(30)가 개방된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본 발명은,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고, 한층 더 상세하게는, 보관 시의 액 누출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유로(流路)의 막힘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년(近年),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가 펑크났을 때에, 타이어 밸브를 통하여 타이어 내에 펑크 수리액을 주입하는 것에 의하여, 펑크를 응급적으로 수리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응급적인 수리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펑크 수리 킷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펑크 수리 킷을 이용한 경우, 차량에 스페어 타이어를 탑재할 필요가 없어지고, 자원 절약화나 차량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탑재 스페이스를 다른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펑크 수리 킷으로서는, 예를 들어,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내에 수용된 펑크 수리액을 에어 컴프레서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타이어 내에 주입하는 소위 압송식(壓送式)의 펑크 수리 킷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압송식의 펑크 수리 킷에 이용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는, 펑크 수리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개구부(開口部)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장착된 캡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캡에는, 용기 외(外)로부터 압축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제1 유로와, 용기 내의 펑크 수리액을 방출하기 위한 제2 유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보관 시에 유로로부터 펑크 수리액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제1 유로에, 펑크 수리 시에 용기 내로 보내지는 에어의 압력에 의하여 유로를 개방하는 폐지(閉止) 마개를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을 참조).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의 제안에 있어서의 폐지 마개는, 펑크 수리 시에 용기 내로 보내지는 에어의 압력에 의하여 용기 본체의 내부로 빠지는 것으로 유로를 개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폐지 마개가 펑크 수리액과 함께 제2 유로 내로 비집고 들어가, 제2 유로를 막아, 펑크 수리액의 주입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미국 특허 제7854242호 명세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관 시의 액 누출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유로의 막힘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는, 펑크 수리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개구부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캡으로 이루어지고, 당해 캡이 용기 외로부터 압축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제1 유로와 용기 내의 펑크 수리액을 방출하기 위한 제2 유로를 구비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직진부와 분기부(分岐部)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직진부는 용기 외에 개구하는 개구단과 상기 캡 내에서 종단(終端)하는 폐지단을 구비하고, 상기 분기부는 상기 직진부의 중복(中腹)에 연통(連通)하는 연통단과 용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여 개구하는 개구단을 구비하고, 상기 직진부에는 이 직진부를 막는 형상을 가진 폐지 마개가 접동(摺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당해 폐지 마개가 상기 분기부상(上) 또는 상기 분기부보다도 상기 직진부의 개구단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유로가 폐지된 폐지 상태와 상기 폐지 마개가 상기 분기부보다도 상기 직진부의 폐지단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유로가 개방된 개방 상태가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유로가 직진부와 분기부로 구성되고, 직진부에 직진부를 막는 형상을 가진 폐지 마개가 접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제1 유로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전술의 폐지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폐지 상태에서는 확실하게 액 누출을 방지하면서, 개방 상태에서는 폐지 마개를 용기 본체의 내부로 빠지게 하는 일 없이 제1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펑크 수리 작업 중에 폐지 마개가 유로를 막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폐지 마개가 일래스터머(elastomer)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폐지 마개가 제1 유로 내(직진부 내)의 형상에 따라 변형하여, 제1 유로를 확실하게 폐지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폐지 마개의 길이 L이 분기부의 직진부로의 개구경(徑)보다도 크고, 폐지 상태에 있어서 폐지 마개가 분기부상에 위치하여 분기부의 연통단을 막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보관 중의 온도 변화 등에 의하여 용기 내압이 높아진 경우에는, 승압한 용기 내압은 분기부를 통하여 폐지 마개의 하방(下方)으로부터 상방(上方)을 향하여 가해지게 되기 때문에, 이 압력에 의하여 폐지 마개가 직진부의 개구단 측으로 이동하여 폐지 마개에 의한 제1 유로의 폐지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폐지 상태에 있어서, 폐지 마개의 분기부보다도 직진부의 개구단 측으로 돌출한 부분의 돌출 길이 W1과, 폐지 마개의 분기부보다도 직진부의 폐지단 측으로 돌출한 부분의 돌출 길이 W2가, W1≥W2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폐지 상태에 있어서의 분기부에 대한 폐지 마개의 위치가 최적화되어, 보관 중의 온도 변화 등에 의하여 용기 내압이 높아진 경우에 폐지 마개가 개구단 측으로 이동하고, 폐지 마개에 의한 제1 유로의 폐지가 저해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폐지 마개가 중복에 적어도 1개의 잘록부를 가진 원주상(圓柱狀)을 이루고 있고, 직진부의 개구단 측에 있어서의 폐지 마개의 외경(外徑) r1과, 직진부의 폐지단 측에 있어서의 폐지 마개의 외경 r2와, 잘록부에 있어서의 폐지 마개의 외경 r3이 r1≥r2>r3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폐지 마개의 직진부에 대한 접촉 면적을 작게 하여, 폐지 마개가 직진부 내를 원활하게 접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유로에 용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튜브가 장착되어 있고, 이 튜브는 파단 신장이 100% ~ 300%인 봉지막(封止膜)으로 봉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 유로 측에도 유로를 봉지하는 봉지막을 설치하는 것으로, 보관 시의 액 누출(제2 유로 측으로부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지막의 파단 신장이 100% ~ 300%이기 때문에, 보관 시의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내압 변화에서는 봉지 상태를 유지하고, 펑크 수리 작업 시에 고압 공기 압송 장치에 의하여 용기 내압에 압축 공기가 보내졌을 때에는 승압한 용기 내압에 의하여 봉지막이 찢어져 제2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파단 신장이란, JIS-K6251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루어지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폐지 시의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캡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폐지 시의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캡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의 개방 시의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캡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6(a) ~ (e)는, 폐지 마개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제1 유로와 폐지 마개와의 치수에 관하여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1)(이하, 「용기(1)」라고 한다. )는 용기 본체(10)와 캡(20)으로 구성된다. 덧붙여, 도 1, 2에서는, 용기(1)를 고압 공기 압송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호스(H1)와, 용기(1)를 타이어와 접속하기 위한 호스(H2)가 그려져 있지만, 이것들 호스(H1, H2)의 구조는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용기 본체(10)는,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펑크 수리액(L)(이하, 「수리액(L)」이라고 한다. )을 수용하는 원통상(圓筒狀)의 수용부(11)와, 용기 본체(10)를 정립(正立)하였을 때 수용부(11)의 상부 측에 위치하고, 사용 시에 수리액(L)이 토출(吐出)되는 원통상의 개구부(12)를 가진다. 수용 용기(1)를 정립하였을 때, 수용부(11)의 바닥면은, 개구부(12)의 반대 측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2)의 외주면(外周面)에 나사 절삭이 행하여지고, 후술의 캡(20) 측의 나사와 나합(螺合)하도록 되어 있다. 수용부(11) 및 개구부(12)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로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덧붙여, 개구부(12)는, 후술의 캡(20)이 취부(取付)되기 전에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는 필름에 의하여 밀봉하여, 용기 내의 수리액(L)이 열화(劣化)하거나, 개구부(12)로부터 수리액(L)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캡(20)은, 도 1 ~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상의 기부(基部)(21)와, 이 기부(21)와 같은 외경(外徑)의 대략 원통상을 이루고, 그 내주면(內周面)에 전술의 개구부(12) 측의 나사와 나합하는 나사 절삭이 행하여진 장착부(22)로 구성된다. 기부(21)에는, 용기 외로부터 압축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제1 유로(30)와, 용기 내의 펑크 수리액을 방출하기 위한 제2 유로(40)가, 각각 기부(21) 내를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제1 유로(30)는, 도시와 같이, 용기(1)의 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진부(31)와, 이 직진부(31)의 중복에서 분기하여 용기(1)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분기부(32)로 구성되어 있다. 직진부(31)는, 용기 외에 개구하는 개구단(31a)과 캡(20)(기부(21)) 내에서 종단하는 폐지단(31b)을 구비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직진부(31)의 개구단(31a)은, 기부(21)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용기(1)를 압송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분기부(32)는, 직진부(31)에 연통하는 연통단(32a)과 용기 본체(10)(수용부(11))의 내부를 향하여 개구하는 개구단(32b)을 구비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분기부(32)의 개구단(32b)은, 기부(21)로부터 용기 본체(10)의 내부 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직진부(31)에는, 이 직진부(31)를 막는 형상을 가진 폐지 마개(50)가 접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폐지 마개(5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기부(32)상에 위치하는지, 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기부(32)보다도 직진부(31)의 개구단(31a) 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1 유로(30)를 폐지한다(이하, 이 상태를 「폐지 상태」라고 한다). 또한, 폐지 마개(5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기부(32)보다도 직진부(31)의 폐지단(31b) 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1 유로(30)를 개방한다(이하, 이 상태를 「개방 상태」라고 한다). 보관 시에는, 전술의 폐지 상태로 되는 것으로, 제1 유로(30)로부터 수리액(L)이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되고,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제1 유로(30)(직진부(31))의 개구단(31a)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보내지면, 이 압력에 밀려 폐지 마개(50)가 직진부(31)의 폐지단(31b)까지 이동하여, 개방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폐지 마개(50)의 위치에 의하여 폐지 상태와 개방 상태가 전환 가능하고, 폐지 상태와 개방 상태가 각각 상술의 태양(態樣)이기 때문에, 폐지 상태에서는 확실하게 액 누출을 방지하면서, 개방 상태에서는 폐지 마개(50)를 용기 본체(10)의 내부로 빠지게 하는 일 없이 제1 유로(30)를 개방할 수 있고, 펑크 수리 작업 중에 폐지 마개(50)가 유로를 막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제1 유로(30)의 구조는, 관점을 바꾸면, 가로 구멍(직진부(31)의 개구단(31a)으로부터 분기부(32)까지 부분)과 세로 구멍(분기부(32))으로 이루어지는 L자 형상의 유로에 대하여, 가로 구멍 내를 접동 가능한 폐지 마개(50)가 삽입되는 한편으로, 가로 구멍의 연장 위치에 폐지 마개(50)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직진부(31)의 분기부(32)로부터 폐지단(31b)까지의 부분)가 설치되어, 폐지 마개(50)가 가로 구멍 내에 존재하면 유로가 폐지되고, 압축 공기에 의하여 폐지 마개(50)가 수용부로 밀어 넣어지면 유로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어느 쪽으로 하여도, 개방 상태에 있어서도, 폐지 마개(50)는 제1 유로(30) 내(직진부(31)의 폐지단(31b) 측)에 머물고, 수리액(L)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는 부위(직진부(31)의 폐지단(31b) 측이며, 상술의 관점에서는, 유로와는 다른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펑크 수리 작업 중에 폐지 마개(50)가 제1 유로(30)를 막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폐지 마개(50)는, 실리콘, 니트릴 고무(NBR),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EPDM), 천연 고무(NR) 등의 일래스터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실리콘,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EPDM)가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폐지 마개(50)가 제1 유로(30) 내(직진부(31) 내)의 형상에 따라 변형하여, 제1 유로(30)를 확실하게 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유로(30) 내에 구조상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그 요철에 따라 변형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제1 유로(30)를 확실하게 폐지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폐지 마개(50)의 형상은, 제1 유로(30)의 직진부(31)를 접동 가능하게 폐지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직진부(31)가 원주상의 구멍(연장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 적어도 일부의 단면 형상이 직진부(31)의 내경(內徑) R1보다도 큰 외경의 원형이도록 하여, 확실하게 유로를 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지 마개(50)의 구체적인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6(a)의 원주상이나, 도 6(b)의 구상(球狀), 혹은, 도 6(c) ~ (e)와 같이, 적어도 일부에 잘록부(51)를 가지는 원주상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 때, 폐지 마개(50)의 최대경부의 외경 r1은, 제1 유로(30)의 직진부(31)의 내경 R1의 1.05배 ~ 1.2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폐지 마개(50)의 외경 r1이 직진부(31)의 내경 R1의 1.05배보다도 작으면, 직진부(31)의 내벽과 폐지 마개(50)와의 사이에 간극(間隙)이 생길 우려가 있어, 유로를 확실하게 폐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폐지 마개(50)의 외경 r1이 직진부(31)의 내경 R1의 1.20배보다도 크면, 직진부(31)에 대하여 폐지 마개(50)가 너무 커지기 때문에, 펑크 수리 작업 시에 압축 공기가 보내져도, 폐지 마개(50)가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캡(20)의 제조 시에 직진부(31) 내에 폐지 마개(50)를 삽입하는 일도 곤란하게 된다.
특히, 폐지 마개(50)가, 도 6(c) ~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에 잘록부(51)를 가지는 원주상이면, 직진부(31)의 연장 방향으로 충분한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확실한 유로의 폐지가 가능한 한편으로, 잘록부(51)에 의하여 폐지 마개(50)의 직진부(31)에 대한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폐지 마개(50)가 직진부(31) 내를 원활하게 접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직진부(31)의 개구단(31a) 측이 폐지 마개(50)의 최대경부(외경이 r1)이면, 펑크 수리 작업 시에 폐지 마개가 압축 공기를 받아 들이기 쉽게 되어, 압축 공기에 의하여 유로를 개방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또한, 직진부(31)의 개구단(31a) 측에 있어서의 폐지 마개(50)의 외경 r1과, 직진부(31)의 폐지단(31b) 측에 있어서의 폐지 마개(50)의 외경 r2와, 잘록부(51)에 있어서의 폐지 마개(50)의 외경 r3이 r1≥r2>r3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r2가 r1 이하이기 때문에 유로의 폐지 성능과 접동 용이를 양립할 수 있고, 특히, r2가 r1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폐지 마개(50)가 진행 방향에 대하여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압축 공기에 의하여 접동하기 쉬워진다. 덧붙여, 도 6(c) ~ (e)에 있어서, 도면의 우측이 직진부(31)의 개구단(31a) 측, 도면의 좌측이 직진부(31)의 폐지단(31b) 측이다.
외경 r1, r2, r3은 상술의 대소 관계를 만족하고 있으면 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r2가 r1의 95% ~ 100%이며, r3이 r2의 80% ~ 90%이라면 좋다.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하는 것으로, 폐지 마개(50)의 형상을 최적화하고, 폐지 상태에 있어서의 유로의 폐지 성능과 폐지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의 전환 용이(폐지 마개(50)의 접동 용이)를 고도로 양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폐지 마개(50)는, 도 3과 같이 분기부(32)상에 위치하는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기부(32)보다도 직진부(31)의 개구단(31a) 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1 유로(30)를 폐지할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폐지 마개(50)의 형상에 따르지 않고, 폐지 상태에 있어서는 폐지 마개(50)가 도 3과 같이 분기부(32)상에 위치하고, 분기부(32)의 연통단(32a)을 막고 있으면 된다. 이것에 의하여, 보관 중의 온도 변화 등에 의하여 용기 내압이 높아진 경우에는, 승압한 용기 내압은 분기부(32)를 통하여 폐지 마개(50)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가해지게 되기 때문에, 이 압력에 의하여 폐지 마개(50)가 직진부(31)의 개구단(31a) 측으로 이동하여 폐지 마개(50)에 의한 제1 유로(30)의 폐지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폐지 상태에 있어서, 폐지 마개(50)가 분기부(32)상에 위치하여 분기부(32)의 연통단(32a)을 막기 때문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지 마개의 길이 L은, 분기부(32)의 직진부(31)로의 개구경 R2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폐지 마개(50)의 길이 L을 분기부(32)의 직진부(31)로의 개구경 R2의 1.10배 ~ 2.00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폐지 마개(50)의 길이 L을 설정하는 것으로, 분기부(32)의 연통단(32a)을 걸치도록 폐지 마개(50)를 배치할 수 있어, 상술의 효과를 얻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나아가, 이 폐지 상태에 있어서, 폐지 마개(50)의 분기부(32)보다도 직진부(31)의 개구단(31a) 측으로 돌출한 부분의 돌출 길이 W1과, 폐지 마개(50)의 분기부(32)보다도 직진부(31)의 폐지단(31b) 측으로 돌출한 부분의 돌출 길이 W2가, W1≥W2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폐지 상태에 있어서의 분기부(32)에 대한 폐지 마개(50)의 위치가 최적화되어, 보관 중의 온도 변화 등에 의하여 용기 내압이 높아진 경우에 폐지 마개(50)가 직진부(31)의 개구단(31a) 측으로 이동하고, 폐지 마개(50)에 의한 제1 유로(30)의 폐지가 저해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어느 경우도, 폐지 마개(50)는, 150kPa ~ 300kPa의 압력이 가해지면 직진부(31) 내를 이동하여, 제1 유로(30)를 개방하는 사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보관 시는 확실하게 유로를 폐지하는 한편으로, 펑크 작업 시에는 용이하게 유로를 개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유로(40)는, 도 1 ~ 5에서는, 용기(1)의 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구멍부(41)와 용기(1)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구멍부(42)로 이루어지는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가로 구멍부(41)의 일방(一方) 측의 단부(개구단(41a))는, 용기 외에 개구하고, 그 개구단(41a)은 기부(21)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가로 구멍부(41)의 타방(他方) 측의 단부는 세로 구멍부(42)와 연결하여 굴곡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세로 구멍부(42)의 개구단(42a)에는, 용기 본체(10)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튜브(60)가 장착되어 있다. 튜브(60)는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연질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고, 용기 본체(10)(수용부(11))의 바닥면 근방까지 연재(延在)하고 있다.
이 튜브(60)의 선단(先端)은, 예를 들어, 파단 신장이 100% ~ 300%인 봉지막(61)으로 봉지되어 있고, 보관 시에 제2 유로(40)로부터 수리액(L)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 봉지막(61)의 파단 신장이 100% ~ 300%이기 때문에, 보관 시의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내압 변화에서는 봉지 상태를 유지하고, 펑크 수리 작업 시에 고압 공기 압송 장치에 의하여 용기(1) 내로 압축 공기가 보내졌을 때에는 승압한 용기 내압에 의하여 봉지막(61)이 찢어져 제2 유로(40)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봉지막(61)의 파단 신장이 100%보다도 작으면, 보관 시에 온도 변화 등에 기인하여 용기 내압이 변화한 정도로 봉지막(61)이 찢어질 우려가 있다. 봉지막(61)의 파단 신장이 300%보다도 크면, 압축 공기가 보내져 용기 내압이 높아졌다고 하여도 봉지막(61)이 찢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봉지막(61)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일 방향으로 연신(延伸) 처리가 행하여진 수지 필름은 찢어지기 쉬운 한편으로 끊기어 떨어지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봉지막(61)은, 예를 들어, 초음파용착이나, 코킹(caulking) 등의 방법으로 튜브 선단에 취부할 수 있다. 봉지막(61)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mm ~ 1.0mm 정도로 할 수 있다. 덧붙여, 이 봉지막(61)을 확실하게 찢기 위하여, 튜브(60) 내의 봉지막(61)의 근방에, 봉지막(61)을 찢기 위한 천공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제2 유로(40)를 봉지하는 봉지막(61)에 관하여도, 용기 내압이 200kPa ~ 350kPa로 되면 찢어져 제2 유로(40)를 개방하는 사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보관 시는 확실하게 유로를 폐지하는 한편으로, 펑크 작업 시에는 용이하게 유로를 개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유로(30)가 전술의 폐지 마개(50)에 의하여 폐지되고, 제2 유로(40)가 전술의 봉지막(61)에 의하여 폐지되어 있는 경우, 이 폐지 상태의 용기(1)에 대하여 호스(H1)를 통하여 예를 들어 150kPa ~ 300kPa의 압축 공기가 보내지면, 우선 폐지 마개(50)가 제1 유로(30)의 직진부(31)의 폐지단(31b) 측까지 이동하여, 제1 유로(30)가 개방된다. 이것에 의하여, 압축 공기는 제1 유로(30)를 통하여 용기(1) 내로 보내지고, 서서히 용기 내압이 상승한다. 그리고, 용기 내압이 예를 들어 200kPa ~ 350kPa로 되면, 제2 유로(40)를 봉지하는 봉지막(61)이 찢어져 제2 유로(40)가 개방된다. 그 결과, 개방된 제2 유로(40)를 통하여 수리액(L)이 방출되고, 호스(H2)를 통하여 펑크가 난 타이어 내로 보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1)는 개방되기 때문에, 개방 상태에 있어서도, 폐지 마개(50)는 제1 유로(30) 내(직진부(31)의 폐지단(31b) 측)에 머물고, 수리액(L)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는 부위(직진부(31)의 폐지단(31b) 측)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펑크 수리 작업 중에 폐지 마개(50)가 제1 유로(30)를 막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1: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10: 용기 본체
11: 수용부
12: 개구부
20: 캡
21: 기부
22: 장착부
30: 제1 유로
31: 직진부
32: 분기부
40: 제2 유로
41: 가로 구멍부
42: 세로 구멍부
50: 폐지 마개
51: 잘록부
60: 튜브
61: 봉지막
L: 펑크 수리액
H1, H2: 호스

Claims (6)

  1. 펑크 수리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개구부(開口部)를 구비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캡으로 이루어지고, 당해 캡이 용기 외(外)로부터 압축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제1 유로(流路)와 용기 내의 펑크 수리액을 방출하기 위한 제2 유로를 구비한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직진부와 분기부(分岐部)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직진부는 용기 외에 개구(開口)하는 개구단과 상기 캡 내에서 종단(終端)하는 폐지단(閉止端)을 구비하고, 상기 분기부는 상기 직진부의 중복(中腹)에 연통(連通)하는 연통단과 용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여 개구하는 개구단을 구비하고, 상기 직진부에는 이 직진부를 막는 형상을 가진 폐지 마개가 접동(摺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당해 폐지 마개가 상기 분기부상(上) 또는 상기 분기부보다도 상기 직진부의 개구단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유로가 폐지된 폐지 상태와 상기 폐지 마개가 상기 분기부보다도 상기 직진부의 폐지단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유로가 개방된 개방 상태가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지 마개가 일래스터머(elastomer)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지 마개의 길이 L이 상기 분기부의 상기 직진부로의 개구경(徑)보다도 크고, 상기 폐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폐지 마개가 상기 분기부상에 위치하여 상기 분기부의 연통단을 막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폐지 마개의 상기 분기부보다도 상기 직진부의 개구단 측으로 돌출한 부분의 돌출 길이 W1과, 상기 폐지 마개의 상기 분기부보다도 상기 직진부의 폐지단 측으로 돌출한 부분의 돌출 길이 W2가, W1≥W2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지 마개가 중복에 적어도 1개의 잘록부를 가진 원주상(圓柱狀)을 이루고 있고, 상기 직진부의 개구단 측에 있어서의 상기 폐지 마개의 외경(外徑) r1과, 상기 직진부의 폐지단 측에 있어서의 상기 폐지 마개의 외경 r2와, 상기 잘록부에 있어서의 상기 폐지 마개의 외경 r3이 r1≥r2>r3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에 용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튜브가 장착되어 있고, 당해 튜브는 파단 신장이 100% ~ 300%인 봉지막(封止膜)으로 봉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1020177032203A 2015-10-07 2016-09-12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102372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9600 2015-10-07
JP2015199600A JP6464981B2 (ja) 2015-10-07 2015-10-07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PCT/JP2016/076842 WO2017061237A1 (ja) 2015-10-07 2016-09-12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897A true KR20180068897A (ko) 2018-06-22
KR102372907B1 KR102372907B1 (ko) 2022-03-11

Family

ID=5848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203A KR102372907B1 (ko) 2015-10-07 2016-09-12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68675B2 (ko)
JP (1) JP6464981B2 (ko)
KR (1) KR102372907B1 (ko)
CN (1) CN108136699B (ko)
DE (1) DE112016004622T5 (ko)
WO (1) WO20170612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0028B2 (ja) 2017-01-17 2024-02-09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EP4253017A1 (en) * 2022-03-31 2023-10-04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veying liquid sealant into an inflatable objec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4242B2 (en) 2006-02-07 2010-12-21 Doukas Ag Device for discharging tire sealant from a container
CN103842162A (zh) * 2011-09-30 2014-06-04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用于刺破修复的帽单元
KR20140145187A (ko) * 2012-04-04 2014-12-22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펑크 수리액의 수용 용기
JP2015202678A (ja) * 2014-04-16 2015-11-16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US20160082676A1 (en) * 2014-09-19 2016-03-24 Min-Hsieng Wang Tire repair solution ca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0880A1 (zh) 2011-09-21 2013-03-28 精联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补胎胶水瓶
TWI460089B (zh) 2011-09-23 2014-11-11 Wen San Chou Air compressor for vehicle
DE202011051522U1 (de) 2011-10-04 2012-01-31 Wen-San Jhou Vorrichtung zur Abdichtung und zur Befüllung eines befüllbaren Objekts
JP5568101B2 (ja) * 2012-02-03 2014-08-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一体型のパンク修理キット
US9193229B2 (en) * 2013-12-03 2015-11-24 Top Alliance Technology Limited Tire repair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4242B2 (en) 2006-02-07 2010-12-21 Doukas Ag Device for discharging tire sealant from a container
CN103842162A (zh) * 2011-09-30 2014-06-04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用于刺破修复的帽单元
KR20140145187A (ko) * 2012-04-04 2014-12-22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펑크 수리액의 수용 용기
JP2015202678A (ja) * 2014-04-16 2015-11-16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US20160082676A1 (en) * 2014-09-19 2016-03-24 Min-Hsieng Wang Tire repair solution c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68675B2 (en) 2020-06-02
KR102372907B1 (ko) 2022-03-11
JP6464981B2 (ja) 2019-02-06
CN108136699A (zh) 2018-06-08
US20180290406A1 (en) 2018-10-11
CN108136699B (zh) 2020-06-09
WO2017061237A1 (ja) 2017-04-13
DE112016004622T5 (de) 2018-06-21
JP2017071129A (ja)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8427B2 (en) Connector for fluid container
JP5476352B2 (ja) パンク修理用のキャップユニット
KR101784200B1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JP2006334942A (ja) シーリング剤の保管・注入容器
KR20180068897A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JP4928374B2 (ja) タイヤパンク応急修理装置に用いるシーリング剤ユニット
JP2012197597A (ja) 通管用具および通管方法
EP2974759B1 (en) Assembly for syringe,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assembly for syringe, pre-filled syringe using assembly for syringe, and method for assembling pre-filled syringe
EP2957520A1 (en) Stopper system, stopper, and container having stopper
JP2010526263A (ja) Co2圧縮ガス源と超過圧力保護手段とを有する容器
TWI564223B (zh) Leakage Tire Repair Solution Containers
KR102434835B1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101929762B1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102111062B1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20160095079A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KR20220002482U (ko) 실리콘 카트리지
CN113329950A (zh) 袋组件及使用该袋组件的容器装置
CN204017029U (zh) 注射器用盖、包括该盖的医疗用注射器以及预充式注射器
JP2021138058A (ja)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ITBO20130482A1 (it) Contenitore in pressione.
KR20140038913A (ko)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