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636B1 - 차량용 도어 슬램 범퍼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슬램 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636B1
KR102164636B1 KR1020140152419A KR20140152419A KR102164636B1 KR 102164636 B1 KR102164636 B1 KR 102164636B1 KR 1020140152419 A KR1020140152419 A KR 1020140152419A KR 20140152419 A KR20140152419 A KR 20140152419A KR 102164636 B1 KR102164636 B1 KR 102164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lastic member
installation
shock absorb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2285A (ko
Inventor
이병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6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슬램 범퍼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와, 상기 충격 흡수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와 상기 충격 흡수부 사이에 형성되어 차체 패널의 홀에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충격 흡수부와 설치부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끼움부와, 적어도 상기 설치부의 탄성력을 보강하는 탄성 보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슬램 범퍼{Over slam bump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충격 흡수부(4)가 형성되고 타측에 설치부(3)가 형성되며 그 중간에 패널(1)의 홀(2)에 삽입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5)이 형성되어 도 2와 같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오버 슬램 범퍼는 고무 등의 연질 재료로 제조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도어를 지나치게 세게 닫을 때에 그 충격을 충격 흡수부(4)가 받아 이를 흡수함으로써 차체에 손상을 가하지 않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는 패널(1)의 홀(2)에 설치하기 위해 설치부(3)를 억지로 눌러 상기 홀(2)에 끼워 넣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설치부(3)의 강성을 약화시키면,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가 사용 중에 빠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 중에 쉽게 이탈되지 않는 차량용 도어 슬램 범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슬램 범퍼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와, 상기 충격 흡수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와 상기 충격 흡수부 사이에 형성되어 차체 패널의 홀에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충격 흡수부와 설치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끼움부와, 적어도 상기 설치부의 탄성력을 보강하는 탄성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보강부는 상기 끼움부와 충격 흡수부에 걸쳐 위치되되, 서로 마주보는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설치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를 연결하고 양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차체 패널의 홀보다 큰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 흡수부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의 자유단들에 전달되어 상기 자유단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줄어들면 상기 연결부의 양단 사이의 이격거리도 줄어들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어 상기 자유단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원래 상태로 복귀되면 상기 연결부의 양단 사이의 이격거리도 증가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 재질의 범퍼의 내부에 스틸 재질의 탄성 보강부를 내삽하여서, 차량용 도어 슬램 범퍼가 패널의 홀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서로 가까워지게 탄성변형 될 때, 연결부 양단 사이의 직선 거리가 줄어들게 되므로, 연결부가 패널의 홀을 쉽게 관통하여 조립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의 설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보강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오버 슬램 범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보강부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10)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40)와, 충격 흡수부(40)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설치부(30)와, 설치부(30)와 충격 흡수부(40) 사이에 형성되어 차체 패널(1)의 홀(2)에 끼울 수 있도록 충격 흡수부(40)와 설치부(30)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끼움부(20)와, 적어도 설치부(30)의 탄성력을 보강하는 탄성 보강부(50)를 포함한다.
충격 흡수부(40)는 차량의 도어가 닫힐 때, 차량과 도어 사이의 충격을 흡수한다.
충격 흡수부(40)는 패널(1)에서 돌출되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충격 흡수부(40)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충격 흡수부(40)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질이다.
설치부(30)는 충격 흡수부(40)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설치부(30)의 재질은 충격 흡수부(4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설치부(30)는 탄성 변형되어서 패널(1)의 홀(2)을 관통해야 하므로, 설치부(30)의 외경은 패널(1)의 홀(2)의 내경 보다 커야 한다.
설치부(30)는 탄성 변형되어 패널(1)의 홀(2)을 관통하여 패널(1)의 내부에 위치되고, 충격 흡수부(40)는 패널(1)의 외부에 위치된다.
다만, 설치부(30)의 경도 또는 강성(rigidity)이 너무 큰 경우, 탄성변형이 어려워서 패널(1)의 홀(2)을 관통할 수 없게 되고, 설치부(30)의 경도 또는 강성(rigidity)이 작은 경우, 패널(1)의 홀(2)을 쉽게 관통되지만, 설치부(30)가 패널(1)의 홀(2)에서 쉽게 빠질 수 있다.
끼움부(20)는 홀(2)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패널(1)에 끼움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며, 끼움부(20)는 설치부(30)와 충격 흡수부(40) 사이에 형성되어 차체 패널(1)의 홀(2)에 끼울 수 있도록 충격 흡수부(40)와 설치부(30)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다.
즉, 끼움부(20)는 설치부(30)와 충격 흡수부(40) 사이에 설치부(30) 및 충격 흡수부(40) 보다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홈일 수 있다.
또한, 끼움부(20)는 충격 흡수부(40) 및 설치부(30)와 일체로 형성된다.
끼움부(20)의 재질은 제한이 없지만, 충격 흡수부(40)의 재질과 동일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보강부(50)는 적어도 설치부(30)의 탄성력을 보강한다.
탄성 보강부(50)는 설치부(30)가 패널(1)의 홀(2)을 관통하는 경우, 설치부(30)와 함께 탄성 변형되고, 설치부(30)가 패널(1)의 홀(2)을 관통하여 설치되면, 설치부(30)의 탄성변형을 억제하여서, 사용 중에 설치부(30)가 패널(1)의 홀(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탄성 보강부(50)의 강성(rigidity)은 적어도 설치부(30)의 강성 보다 크다.
여기서, 강성은 부재가 하중을 받으면 변형하는데 이 변형에 대한 저항의 정도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보강부(50)의 강성은 충격 흡수부(40), 설치부(30) 및 끼움부(20)의 강성 보다 클 수 있다.
물론, 탄성 보강부(50)의 경도도 설치부(30)의 경도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보강부(50)는 스틸 또는 스틸합금 재질이고, 설치부(30)는 고무재질이다.
예를 들면, 탄성 보강부(50)는 설치부(30)에 내삽될 수 있다. 다만, 탄성 보강부(50)가 설치부(30)에 내삽되는 경우, 탄성 보강부(50)의 강성이 크기 때문에 패널(1)의 홀(2)을 통과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탄성 보강부(50)는 설치부(30), 충격 흡수부(40) 및 끼움부(20)에 내삽되어서, 충격 흡수부(40)가 가압되는 경우, 설치부(30)에 내삽된 탄성 보강부(50)의 폭이 줄어드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보강부(50)는 대략 'U'자 형상을 가지는 탄성 클립 구조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탄성 보강부(50)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탄성부재(51) 및 제2탄성부재(53)와, 제1탄성부재(51)와 제2탄성부재(53)를 연결하는 연결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51)의 일단은 연결부(55)의 일단과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단(51a)을 형성하고, 제1탄성부재(51)의 타단은 자유단(51c)이 된다.
또한, 제2탄성부재(53)의 일단은 연결부(55)의 타단과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단(53a)을 형성하고, 제2탄성부재(53)의 타단은 자유단(53c)이 된다.
따라서, 제1탄성부재(51) 및 제2탄성부재(53)의 자유단(51c)(53c)이 서로 가까워지게 탄성 변형되면, 연결부(55)도 탄성 변형된다.
연결부(55)는 제1탄성부재(51)와 제2탄성부재(53)의 탄성변형에 의해 그 양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형되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면, 연결부(55)는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절곡되거나, 라운드 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55)는 중앙이 충격 흡수부(40)에서 설치부(30) 방향으로 돌출되고 양단이 충격 흡수부(40)를 향해서 내각을 가진다.
따라서, 연결부(55)는 제1탄성부재(51)와 제2탄성부재(53)가 서로 가까워지게 탄성변형 될 때, 연결부(55) 양단 사이의 직선 거리가 줄어들어 패널(1)의 홀(2)을 쉽게 관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연결부(55)의 양단 사이의 이격거리는 패널(1)의 홀(2)의 내경 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설치부(30)가 패널(1)의 내측에 위치되는 경우, 연결부(55)가 홀(2) 주변의 패널(1)에 걸림되어 설치부(30)가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를 위해, 연결부(55)는 설치부(30)에 내삽되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55)의 양단은 끼움부(20)에 인접한 설치부(30) 내에 위치된다.
제1탄성부재(51)와 제2탄성부재(53)는 일단이 연결부(55)와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51c)(53c)이다.
그리고, 제1탄성부재(51)와 제2탄성부재(53)는 고정단(51a)(53a)에서 자유단(51c)(53c)으로 진행할수록 그 이격거리가 동일하거나, 가까워지나, 멀어질 수 있다.
제1탄성부재(51)와 제2탄성부재(53)는 적어도 끼움부(20) 및 충격 흡수부(40)에 걸쳐 내삽된다.
구체적으로, 제1탄성부재(51)와 제2탄성부재(53)의 고정단(51a)(53a)은 연결부(55)의 양단과 함께 설치부(30)에 내삽될 수 있다.
특히, 제1탄성부재(51)와 제2탄성부재(53)는 차체 패널(1)의 홀(2)의 내경 보다 작은 이격거리를 가지는 축소부(51b)(53b)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1탄성부재(51)는 연결부(55)의 일단과 연결된 고정단(51a)과, 고정단(51a)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게 절곡된 축소부(51b)와, 축소부(51b)에서 연결된 자유단(51c)을 포함한다. 또한, 제2탄성부재(53)는 연결부(55)의 타단과 연결된 고정단(53a)과, 고정단(53a)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게 절곡된 축소부(53b)와, 축소부(53b)에서 연결된 자유단(53c)을 포함한다.
제1탄성부재(51)와 제2탄성부재(53)의 고정단(51a)(53a)은 연결부(55)의 양단에서 연결되어 연결부(55)와 함께 홀(2)을 형성하는 패널(1)의 주변에 걸림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단(51a)(53a)은 패널(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탄성부재(51)와 제2탄성부재(53)의 축소부(51b)(53b)들은 연결부(55)의 양단의 이격거리보다 보다 축소된 이격거리를 가진다. 제1탄성부재(51)와 제2탄성부재(53)의 축소부(51b)(53b)들의 이격거리는 패널(1)의 홀(2)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탄성부재(51)와 제2탄성부재(53)의 축소부(51b)(53b)들은 끼움부(20)와 대응되게 위치된다.
이러한 고정단(51a)(53a)과, 축소부(51b)(53b)들은 연결부(55)의 양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형되며, 홀 주변의 패널(1)에 걸림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자유단(51c)(53c)들은 축소부(51b)(53b)들에서 충격 흡수부(40) 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자유단(51c)(53c)들은 충격 흡수부(40)가 외압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그 이격거리가 줄어들게 되며, 연결부(55) 양단 사이의 이격거리를 줄이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10)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작업자는 패널(1)의 홀(2)에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10)를 끼우기 위해서 충격 흡수부(40)의 폭 방향 양단을 가압하게 된다.
충격 흡수부(40)의 폭 방향 양단이 가압되면, 제1탄성부재(51)와 제2탄성부재(53)의 자유단(51c)(53c)들 이격거리가 줄어들고, 연결부(55)의 양단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설치부(30)를 패널(1)의 홀(2)을 통과시킨다. 이때 설치부(30)에 내삽된 연결부(55)도 탄성 변형되며 패널(1)의 홀(2)을 통과한다.
패널(1)의 홀(2)을 통과한 설치부(30)와, 연결부(55)에 의해 설치부(30)가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9)

  1.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와,
    상기 충격 흡수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와 상기 충격 흡수부 사이에 형성되어 차체 패널의 홀에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충격 흡수부와 설치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끼움부와;
    적어도 상기 설치부의 탄성력을 보강하는 탄성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보강부는
    상기 끼움부와 충격 흡수부에 걸쳐 위치되되, 서로 마주보는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설치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를 연결하고 양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차체 패널의 홀보다 큰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 흡수부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의 자유단들에 전달되어 상기 자유단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줄어들면 상기 연결부의 양단 사이의 이격거리도 줄어들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어 상기 자유단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원래 상태로 복귀되면 상기 연결부의 양단 사이의 이격거리도 증가하는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와 상기 끼움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보강부의 강성(rigidity)은 상기 설치부의 강성 보다 큰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보강부는 스틸재질이고, 상기 설치부는 고무 재질인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보강부는 상기 충격 흡수부, 상기 설치부 및 상기 끼움부에 내삽되는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차체 패널의 홀의 내경 보다 작은 이격거리를 가지는 축소부를 가지는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부들은 상기 끼움부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차량용 도어 오버 슬램 범퍼.
  9. 삭제
KR1020140152419A 2014-11-04 2014-11-04 차량용 도어 슬램 범퍼 KR102164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419A KR102164636B1 (ko) 2014-11-04 2014-11-04 차량용 도어 슬램 범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419A KR102164636B1 (ko) 2014-11-04 2014-11-04 차량용 도어 슬램 범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285A KR20160052285A (ko) 2016-05-12
KR102164636B1 true KR102164636B1 (ko) 2020-10-12

Family

ID=5602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419A KR102164636B1 (ko) 2014-11-04 2014-11-04 차량용 도어 슬램 범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6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668A (ja) 2000-05-09 2001-11-13 Kinugawa Rubber Ind Co Ltd バンパーラバー
JP2005280424A (ja) 2004-03-29 2005-10-13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クッションゴム
JP2009029195A (ja) 2007-07-25 2009-02-12 Honda Motor Co Ltd クッション部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5924U (ja) * 1984-05-01 1985-11-2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ストツパゴム
KR960021079U (ko) * 1994-12-30 1996-07-18 차량용 도어의 오버슬램 범퍼구조
KR970037964U (ko) * 1995-12-30 1997-07-29 오버슬램 범퍼의 구조
KR0139727Y1 (ko) * 1996-10-14 1999-04-01 박병재 차량용 완충 범퍼의 결합 구조
KR19980047983A (ko) * 1996-12-17 1998-09-15 박병재 차량용 후드 오버슬램 범퍼 구조
KR19990019860U (ko) * 1997-11-21 1999-06-15 정몽규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KR101882500B1 (ko) * 2012-12-18 2018-07-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오버슬램 범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668A (ja) 2000-05-09 2001-11-13 Kinugawa Rubber Ind Co Ltd バンパーラバー
JP2005280424A (ja) 2004-03-29 2005-10-13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クッションゴム
JP2009029195A (ja) 2007-07-25 2009-02-12 Honda Motor Co Ltd クッション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285A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17149A1 (en) Bumper crossmember
EP3034339A1 (en) Panel structure
US9889778B2 (en) Armrest structure for door trim
US11654764B2 (en) Vibration-damping device body and vibration-damping device
CN105365804A (zh) 用于使管道的分段不受移动物体影响的设备及方法
US20160244100A1 (en) Load transmission member
US10794078B2 (en) Damper for reinforcing earthquake resistance
US9738241B2 (en) Bumper absorber attachment structure
KR102164636B1 (ko) 차량용 도어 슬램 범퍼
JP2014231294A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US20190184797A1 (en) Resin back door
CN105074269A (zh) 转矩杆
KR102010616B1 (ko) 루프랙 체결용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루프랙 조립체
JP6975023B2 (ja) グロメットおよびグロメット取付構造
JP7073284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
CN111663875A (zh) 车辆前机盖总成和车辆
KR101932644B1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유닛
KR102105845B1 (ko) 판스프링의 장착구조
JP6795366B2 (ja) プラグ
JP6597152B2 (ja) 車両のドア開口部構造
KR102551673B1 (ko) 차량용 튜브 홀더
CN209956076U (zh) 车辆前机盖总成和车辆
JP7280813B2 (ja) 留め具
JP6253456B2 (ja) 車両用部材の補強構造
JP6046567B2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