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285B1 - 블록킹 방지 특성이 개선된 발포 열전사 필름 - Google Patents

블록킹 방지 특성이 개선된 발포 열전사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285B1
KR102164285B1 KR1020180117536A KR20180117536A KR102164285B1 KR 102164285 B1 KR102164285 B1 KR 102164285B1 KR 1020180117536 A KR1020180117536 A KR 1020180117536A KR 20180117536 A KR20180117536 A KR 20180117536A KR 102164285 B1 KR102164285 B1 KR 102164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foam
adhesiv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001A (ko
Inventor
이계석
이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데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데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데칼
Priority to KR1020180117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2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4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combined with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41M5/5281Polyurethanes or polyure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킹 방지 특성이 개선된 발포 열전사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배면 코팅층을 다층 성분으로 적층시켜 필름의 기계적 특성과 함께 블록킹 방지 성능이 뛰어난 발포용 열전사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용 전사필름이 적층된 피착체는 필름의 선명도, 접착 강도를 포함하는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블록킹 방지 성능이 뛰어나고 발포체의 엠보싱 특성 등이 우수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킹 방지 특성이 개선된 발포 열전사 필름{Thermal transcription film for embossing with anti-blocking property}
본 발명은 블록킹 방지 특성이 개선된 발포 열전사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배면 코팅층을 다층 성분으로 적층시켜 필름의 기계적 특성과 함께 블록킹 방지 성능이 뛰어난 발포용 열전사필름에 관한 것이다.
열전사 인쇄방식은 일반적인 인쇄 즉 평판인쇄와는 달리 굴곡이 있는 물체의 표면에 그림이나 문자 등의 도안을 표현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열전사인쇄를 할 때에는 필름에 열전사 잉크로서 각종 도안이나 글씨 등을 인쇄한 후 이러한 필름을 물체의 표면에 부착하고 필름의 표면에 열을 가하면 필름에 인쇄된 인쇄면이 물체에 전이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러한 열전사 인쇄가 적용되는 것으로서는 연필이나 필통과 같은 원통형태의 물체나 일반 인쇄 또는 실크스크린 인쇄을 할 수 없는 물체(소형의 물체나 다각형의 물체)의 표면에 인쇄를 하여 왔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사 필름은 기재에의 접착 불량, 베이스 필름의 이형 불량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이형층 및 접착층의 백화 현상 등에 의한 투명성 저하 문제가 있고, 접착층의 존재로 인하여 내온성 및 내후성이 열등하며, 이형층 및 접착층의 노화 현상으로 인하여 전사 인쇄 잉크층이 기재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있고, 또한 전사 필름 중의 접착층을 이루는 접착제의 불충분한 건조시 전사 필름 롤에 블록킹(blocking) 현상이 종종 유발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 코팅 불량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완전한 전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부분적으로만 전사되는 부분 전사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제품 원가 상승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가 되어 왔다. 또한, 사용되는 전사 잉크와 접착제 및 이형제와의 물리적 및 화학적 상호연관성, 그리고 전사 잉크와 피사체와의 적합성 등 복잡하고도 다양한 매개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전사 필름은 접착층 및 이형층의 존재로 인하여 전사된 패턴의 질감이나 조직감 등이 열등하여 고급스럽고 기품있는 미감을 발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점들은 개선될 필요성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33696(2012.03.29) 한국 등록특허 제10-1153260(2012.05.30) 한국 등록특허 제10-1431807(2014.08.12)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이 개선되고 물성이 우수한 열전사 필름의 구현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한 바와 같이 다층 성분으로 적층된 발포용 전사 필름이 위와 같은 요건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블록킹 방지 성능을 포함하는 물성이 뛰어난 발포 열전사 필름이 필기구, 플라스틱 등의 표면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층 성분으로 적층되어 블록킹 방지 성능을 포함하는 물성이 뛰어난 발포용 열전사 필름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면 코팅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주제로서 아세트산 비닐에스테르 10~15 중량%, 1-이소시아네이토옥타데칸 70~75 중량% 및 첨가제 5~10 중량%를 포함하고, 희석제로서 톨루엔 3~10 중량%를 포함하는 블록킹 방지용 배면 코팅층(10);
PET 필름층(20);
아크릴계 수지의 제1 이형층(30);
아크릴계 수지의 제2 이형층(31);
하나 이상의 색상을 갖는 잉크로 그려진 도안을 구비하고,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인쇄층(40);
캡슐 발포체 10~20 중량%를 함유하는 제1 발포층(50);
캡슐 발포체 10~20 중량%를 함유하는 제2 발포층(51);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 프라이머층(60);
피착체의 표면과 접착을 유지시키는 제1 접착층(70); 및
피착체의 표면과 접착을 유지시키는 제2 접착층(71);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배면 코팅층(10)은 동판선수가 #200~400이고, 상기 PET 필름층의 두께는 12~38㎛이며, 상기 이형층(30, 31)의 동판선수는 #100~200이고, 상기 인쇄층(40)의 동판선수는 #100~200이며, 상기 발포층(50, 51)의 동판선수는 #100~150이고, 상기 접착 프라이머층(60)의 동판선수는 #100~200이고, 상기 접착층(70, 71)의 동판선수는 #10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방지 특성이 개선된 발포 열전사 필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용 열전사필름은 필름의 선명도, 접착 강도를 포함하는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블록킹 방지 성능이 뛰어나고 발포체의 엠보싱 특성 등이 우수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용 전사 필름이 적층된 층을 구성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배면 코팅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주제로서 아세트산 비닐에스테르 10~15 중량%, 1-이소시아네이토옥타데칸 70~75 중량% 및 첨가제 5~10 중량%를 포함하고, 희석제로서 톨루엔 3~10 중량%를 포함하는 블록킹 방지용 배면 코팅층(10);
PET 필름층(20);
아크릴계 수지의 제1 이형층(30);
아크릴계 수지의 제2 이형층(31);
하나 이상의 색상을 갖는 잉크로 그려진 도안을 구비하고,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인쇄층(40);
캡슐 발포체 10~20 중량%를 함유하는 제1 발포층(50);
캡슐 발포체 10~20 중량%를 함유하는 제2 발포층(51);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 프라이머층(60);
피착체의 표면과 접착을 유지시키는 제1 접착층(70); 및
피착체의 표면과 접착을 유지시키는 제2 접착층(71);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용 열전사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배면 코팅층(10)은 동판선수가 #200~400이고, 상기 PET 필름층의 두께는 12~38㎛이며, 상기 이형층(30,31)의 동판선수는 #100~200이고, 상기 인쇄층(40)의 동판선수는 #100~200이며, 상기 발포층(50, 51)의 동판선수는 #100~150이고, 상기 접착 프라이머층(60)의 동판선수는 #100~200이고, 상기 접착층(70, 71)의 동판선수는 #10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용 열전사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접착 프라이머층(60)은 고형분을 10~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용 열전사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70, 71)은 아크릴, 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SAN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용 열전사필름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내용을 첨부된 도면과 같은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포용 열전사 필름의 구성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열전사 필름은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층 성분이 적층된 발포용 열전사필름으로 이루어져 특히 항블록킹 특성이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층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배면 코팅층(10)은 블록킹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층으로서 배면 코팅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주제로서 아세트산 비닐에스테르 10~15 중량%, 1-이소시아네이토옥타데칸 70~75 중량% 및 첨가제 5~10 중량%를 포함하고, 희석제로서 톨루엔 3~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및 후술하는 첨가제는 코팅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분산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의 조합비는 항블록킹 특성에 최적화된 비율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를 벗어나게 되면 다른 층과의 조화가 부족하고 필름의 건조시에 블록킹 현상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상기 배면 코팅층(10)은 동판선수가 #200~4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표면 평활도가 지극히 나쁠수록 낮은 선수를 채택하여 인쇄하게 되는데, 이는 평활도가 불량함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선수를 높이는 경우 망점의 구성이 이루어지지 못한체 잉크가 엉키는 현상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동판선수"는 동판에 적용되는 망점(目)의 수를 의미하고, 크기가 클수록 입도가 작은 것을 의미하며 인쇄 작업은 상기 설정한 범위 내에서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PET 필름층(20)은 상기 배면 코팅층(10)의 상부에 적층되어 피착물인 물체(100)에 글씨나 그림과 같은 도안을 표현하기 위한 이송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PET 필름층(20)은 전사인쇄장치에서 가해지는 열에너지를 전달받아 이형층(30)에서 접착층(70)까지 순차적으로 전달하고, 접착층(70)이 피착체(100)의 표면에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한 후, 이형층(30)에서 분리된다.
상기 PET 필름층의 두께는 12~38㎛이 바람직하며, 이 범위 내에서 전사되는 피착물인 물체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단지 인쇄층(40)의 도안이 물체에 선명하게 표현되도록 이송 역할을 적합하게 수행한다.
이형층은 피착물인 피착체(100)에 열전사 인쇄를 할 때 인쇄층(40)의 도안이 필름(10)에서 이탈하여 쉽게 인쇄되도록 하기 위한 층으로서, 아크릴계 수지의 제1 이형층(30)과 아크릴계 수지의 제2 이형층(31)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층(30, 31)은 아크릴 이외에, 우레탄, 비닐, OP-WAX, 셀룰로오스 아세테이드 등을 단독 또는 이를 조합한 것도 주 레진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바람직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주 레진을 톨루엔, MEK, EA, PMA, 알코올, 아농 등으로 구성된 솔벤트에 녹여놓은 형태로서 주 레진의 고형분은 0.2~25 중량% 이내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형층(30, 31)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수지 10~15중량부, 실리카 수지 0.5~15중량부, 폴리올레핀계 수지 왁스 50~100중량부, 레벨링제 0.5~15중량부 및 유기용제 690~83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층(30, 31)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수지 8~10중량%, 첨가제 1~3 중량%, 톨루엔 40~45중량% 및 MEK 40~4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이형층(30, 31)의 동판선수는 #100~200이 바람직하고, 인쇄기에 사용되는 원판의 심도(깊이)나 목수에 따라 변동이 있으나 0.1~3㎛의 두께로 PET 필름(20)에 상부에 40~150m/min의 속도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형층(30, 31)은 PET 필름(20)의 상부에 도포되었다가 열전사 후, PET 필름(2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형층(30)과 제2 이형층(31)은 인접하여 중복 코팅됨으로써 단일 층에 비하여 이형 특성을 더욱 바람직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형제(30, 31)은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Ag 등과 같은 무기 항균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인쇄층(40)은 피착물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색상(1~8도)을 갖는 잉크로 그려진 도안을 표현하는 층으로서 연질 우레탄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쇄층(40)은 아크릴, 우레탄, 비닐, 니트로세롤로오스, 나일론을 단독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주 레진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우레탄계 수지가 주성분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우레탄계 수지의 주 레진과 색상을 나타낸 수 있는 안료(pigment/먹, 청, 적, 황, 백색)과 톨루엔, MEK, EA, PMA, 알콜류, 아농 등으로 구성된 솔벤트와 조합된 액상의 잉크로서 형성하며, 고형분을 5~20% 이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층(40)은 우레탄계 수지 50~100 중량부, 아크릴계 수지 80~130 중량부, 안료 70~130 중량부, 실리카 0.5~15 중량부, 대전방지제 0.5~10 중량부 및 유기용제 615~79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일정의 신률 및 탄성력을 제공하고, 아크릴계 수지는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발포되는 발포층(50, 51)의 인쇄층(40) 방향으로의 돌출에 의하여 인쇄층(40)이 갈라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안료는 인쇄층(40)의 도안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흑색, 청색, 적색, 황색 또는 백색 등과 같은 다양한 색상을 갖는 일반적인 유기 또는 무기 안료를 모두 이용가능하다.
상기 안료에 포함되는 실리카는 열전사 시에 가해지는 열에너지에 대한 안료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열안정성이 우수하여 열에너지에 의한 안료의 변색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대전방지제는 본 발명에 의한 피착체(100)가 대전되어 정전기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유기 용제는 톨루엔, MEK, EA, PMA, 알콜류 또는 아농 등의 일반적인 유기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40)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수지 2~8중량%, 우레탄 수지 2~8중량%, 첨가제 1~2중량%, 색소, 톨루엔 40~45중량% 및 MEK 40~4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인쇄층(40)의 동판선수는 #100~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인쇄기에 사용되는 원판의 심도(깊이)나 목수에 따라 변동이 있으나 0.5~3㎛의 두께로 이형제(30)에 표면에 40~150m/min의 속도로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인쇄층(40)은 피착물인 물체(100)의 표면에 여러가지 도안이 표현되어 시각적인 느낌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에 인쇄방식은 그라비아 인쇄기로서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되는 도안의 형태에 따라 부분적인 색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발포층(50)은 상기 인쇄층(40)의 상면에 인쇄되어 전면 또는 도안의 형태에 따라 일부가 피착물인 피착체(100)에 인쇄될 때 발포되도록 하여 엠보싱 효과를 내는 층으로서, 제1 발포층(50)과 제2 발포층(51)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발포층(50)과 제2 발포층(51)을 구분하여 도포하는 경우에는 발포층의 발포 정도를 조절하기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발포층(50, 51)은 우레탄이나 나일론과 같은 비교적 신률이 있는 수지에 솔벤트와 발포 캡슐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아크릴계 수지 30~80 중량부 우레탄계 수지 50~100 중량부, 발포캡슐 10~20 중량부, 안정제 10~30 중량부 및 유기용제 590~790 중량부가 혼합된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색소를 제외한 인쇄층(40)의 성분과 동일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발포층(50, 51)의 일정의 접착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우레탄계 수지는 발포층(50, 51)에 일정의 신률 및 탄성력을 제공하여, 발포되는 발포층(50, 51)이 갈라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안정제는 발포되는 우레탄 수지의 발포셀 형태의 일정함과 안정된 발포셀 형성을 위하여 혼합되고, 유기용제는 톨루엔, MEK, EA, PMA, 알콜류 또는 아농 등의 일반적인 것을 이용 가능하다.
발포 캡슐로서는 열전사 시에 가해진 열에너지에 의하여 우레탄계 수지를 발포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나, 시판 상품인 EXPANCELL 460 DET 20 d70(제조사: AKZO NOVEL)이 10~2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발포층(50, 51)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발포 캡슐의 조성비를 높여 돌출 높이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발포캡슐의 조성비가 발포층(50, 51) 조성물의 20중량%를 초과하면, 발포층(50, 51)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기 때문에 조성물의 원활한 도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발포층(40, 51)의 동판선수는 #100~150이 바람직하고, 상기 발포층(50, 51)은 인쇄층(40)의 상부에 도포를 할 때 인쇄기에 사용되는 원판의 심도(깊이)나 목수에 따라 변동이 있으나 40~150m/min의 속도로 도포하여 인쇄층(40)의 특정부위 표면에 5~15㎛의 두께로 70±6 kg/㎥의 밀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층(50, 51)은,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전체나 어느 일부분만 발포층(40)의 표면에 격자무늬 등의 모양이 형성되도록 하면 상기 발포층이 발포되었을 때 그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널링 모양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논슬립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접착 프라이머층(60)은 발포층(50, 51)과 접착층(70, 71)의 완충 작용을 제공하는 층으로서, 발포층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발포층(50, 51)의 물리적인 강도를 향상시켜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접착 프라이머층(60)은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우레탄계 수지 40~100 중량부, 아크릴계 수지 50~100 중량부, 비닐계 수지 10~30 중량부, 안정제 10~30 중량부 및 유기용제 740~890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 프라이머층(60)은 아크릴수지 3중량%, 우레탄 수지 6중량%, 첨가제 1중량%, 톨루엔 45중량%, 및 MEK 4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우레탄계 수지는 일정의 신률 및 탄성력을 제공하여, 발포층(50, 51)의 접착 프라이머층(60) 방향으로의 돌출에 의하여 프라이머층(60)이 갈라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아크릴계 수지는 다른 층 성분과 주제를 동일하여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프라이머층(60)의 동판선수는 #100~200이 바람직하고, 상기 접착 프라이머층(60)은 고형분을 10~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좋다.
상기 프라이머층(60)은 발포층(50, 51)의 상부에 도포되는데, 인쇄기에 사용되는 원판의 심도(깊이)나 목수에 따라 변동이 있으나, 0.1~3㎛의 두께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70, 71)은 상기 접착 프라이머층(60)의 상면 전체에 도포되어 인쇄층(40)과 발포층(50, 51)이 피착물인 피착체(100)에 옮겨져 인쇄면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층으로서, 피착체의 표면과 접착을 유지시키는 제1 접착층(70); 및 피착체의 표면과 접착을 유지시키는 제2 접착층(71);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70, 71)은 아크릴, 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ABS, PVC, 및 SAN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여러가지 합성수지 및 피착체의 조건에 맞게 상기 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접착제를 도포시킨다.
이때, 접착층(70)은 상기 수지 100~ 220 중량부,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보조수지 30~80 중량부, 실리카 10~20중량부, 안정제 10~30 중량부 및 유기용제 650~85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주 수지의 종류에 따라 인쇄층(40)의 상부에 일정의 두께를 갖으며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70, 71)은 예를 들면, 아크릴수지 20중량%, 톨루엔 40중량% 및 MEK 40중량%를 바람직학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70, 71)의 동판선수는 #100~2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이형층(30)과 제2 이형층(31), 제1 발포층(50)과 제2 발포층(51), 및 제1 접착층(70)과 제2 접착층(71)은 두께비가 2:8~8:2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블록킹 방지용 배면 코팅층(10), PET 필름(20)의 제1 이형층(30), 제2 이형층(31), 인쇄층(40), 제1 발포층(50), 제2 발포층(51), 접착 프라이머층(60), 제1 접착층(70) 및 제2 접착층(71)이 순차적으로 적층 구성된 발포용 열전사필름을 인쇄하고자 하는 피착물인 피착체(100)의 표면에 접착층(70, 71)이 상접되도록 부착시키고, 170~250℃의 온도에 3~10kgㆍf/㎠의 압력으로 가하여주면 전사 필름은 피착체(100)의 표면에 접착된다.
이때, 발포층(50, 51)은 열전사 인쇄하기 위해 가해진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서 발포되어 팽창됨으로써, 일정한 높이로 부풀어 올라 피착체(100)의 최종 층에 해당하는 이형층(30, 31)의 표면에 일정의 질감과 촉감을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안이 그려진 인쇄층(40)의 하부에 위치되는 발포층(50, 51)이 일정의 발포열을 받아 발포됨으로써, 사용자가 피착체(100)를 사용할 때, 일정의 촉감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발포층(50, 5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 인쇄층(40)과 접착 프라이머층(60)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여 인쇄층(40)에 구비된 도안이 발포층(50, 51)의 돌출로 글씨 또는 그림의 형태가 망가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 엠보싱 열전사 전사필름의 제조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성분들을 이용하여 각 층의 도료 성분을 형성한 다음, 250 mesh 그라비아롤 코팅기(Coater)를 사용하여, 상기 도료를 90℃에서 2분 동안 인라인(In-Line) 건조하면서, 연신이 되지 않는 상기 시트 위에 코팅하였다. 코팅되어진 시트는 두께 0.3mm, 가로 1,100mm, 세로 800mm가 되도록 인라인(In-line) 상에서 절단 후 적재 설비(Stacker)에서 2,000매 기준으로 적재하였다. 표 1에서 화합물 기호 MEK는 메틸 에틸 케톤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이형층(30)과 제2 이형층(31)에서 동일 두께로 형성하였고, 제1 발포층(50)과 제2 발포층(61)에서도 동일 두께로 형성하였으며, 제1 접착층(70)과 제2 접착층(71)에서도 동일 두께로 형성하였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5 비교예
배면 코팅층(10) 아세트산 비닐에스테르 120중량부 100중량부 130중량부 140중량부 150중량부 -
1-이소시아네이토옥타데칸 750중량부 740중량부 730중량부 710중량부 700중량부 -
첨가제 100중량부 100중량부 70중량부 60중량부 50중량부 -
톨루엔 30중량부 60중량부 70중량부 90중량부 100중량부 -
(10) 두께 0.1㎛ 0.1㎛ 0.1㎛ 0.1㎛ 0.1㎛ -
PET 필름층(20) PET 100% 좌동
두께 19㎛ 10㎛
제1 이형층(30) 아크릴 수지 10중량% + 첨가제
1 중량%
+톨루엔 44중량% + MEK 45중량%
아크릴 수지 9중량% + 첨가제
1 중량%
+톨루엔 45중량% + MEK 45중량%
아크릴 수지 8중량% + 첨가제
3 중량%
+톨루엔 44중량% + MEK 45중량%
아크릴 수지 8중량% + 첨가제
2 중량%
+톨루엔 45중량% + MEK 45중량%
아크릴 수지 10중량% + 첨가제
3 중량%
+톨루엔 45중량% + MEK 42중량%
아크릴 수지 10중량% + 첨가제
2 중량%
+톨루엔 44중량% + MEK 44중량%
아크릴 수지 20중량% + 톨루엔 40중량% + MEK 40중량%
제2 이형층(31)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
(30+31) 두께 1.5㎛ 좌동
인쇄층(40) 아크릴수지 3중량% + 우레탄 수지 6중량%+ 첨가제 1중량%+색소+톨루엔 45중량% + MEK 45중량% 좌동
(40) 두께 0.5㎛ 좌동
제1 발포층(50) 인쇄층(40, 색소제외) 80중량%+ XPANCELL 460 DET 20 d70 20중량% 좌동
제2 발포층
(51)
상동 -
(50+51) 두께 4㎛ 4㎛ 5㎛ 5㎛ 5㎛ 5㎛
접착프라이머층(60) 아크릴수지 3중량% + 우레탄 수지 6중량%+ 첨가제 1중량%+톨루엔 45중량% + MEK 45중량% 좌동
제1접착층
(70)
아크릴수지 20중량%+톨루엔 40중량% + MEK 40중량% 좌동
제2접착층
(71)
아크릴수지 20중량%+톨루엔 40중량% + MEK 40중량% -
(60+70+71) 두께 1.5㎛ 1.0㎛
시험예 : 물성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필름의 물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물성평가는 ASTM D 1003 기준으로 광학특성을 평가하였고, 항 블록킹성은 ASTM-1893 기준에 근거하여 상, 중, 하로 평가하였고, 활성(Slip)은 신동과학(주)의 Heidon-10D를 활용하여 미끄러짐(Slip)이 이루어지는 각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인쇄적성은 ASTM D 3359를 기준으로 평가하였고, 정마찰계수는 ASTM-1894에 기준하여 평가하여 물성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5 비교예
블록킹방지특성
활성 10° 12° 10° 14° 12° 16°
인쇄적성
표면조도 1.5 1.5 1.4 1.8 1.6 1,9
광학특성
(Haze)
86 85 90 87 86 92
비고: ◎, 우수 ○, 양호, △, 보통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용 전사 필름이 물성이 가장 우수하였고, 특히 블록킹 특성과 블록킹 방지력에 있어서 비교예의 것에 비하여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물성을 가지면서 적층물이 코팅되는 피사체 물질은 연필 등을 포함하는 피착체(100)나 플라스틱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배면 코팅층
20: PET 필름층
30: 제1 이형층
31: 제2 이형층
40: 인쇄층
50: 제1 발포층
51: 제2 발포층
60: 접착 프라이머층
70: 제1 접착층
71: 제2 접착층
100: 피착체

Claims (4)

  1. 배면 코팅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주제로서 아세트산 비닐에스테르 10~15 중량%, 1-이소시아네이토옥타데칸 70~75 중량% 및 첨가제 5~10 중량%를 포함하고, 희석제로서 톨루엔 3~10 중량%를 포함하는 블록킹 방지용 배면 코팅층(10);
    PET 필름층(20);
    아크릴계 수지의 제1 이형층(30);
    아크릴계 수지의 제2 이형층(31);
    하나 이상의 색상을 갖는 잉크로 그려진 도안을 구비하고,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인쇄층(40);
    캡슐 발포체 10~20 중량%를 함유하는 제1 발포층(50);
    캡슐 발포체 10~20 중량%를 함유하는 제2 발포층(51);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 프라이머층(60);
    피착체의 표면과 접착을 유지시키는 제1 접착층(70); 및
    피착체의 표면과 접착을 유지시키는 제2 접착층(71);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배면 코팅층(10)은 동판선수가 #200~400이고, 상기 PET 필름층의 두께는 12~38㎛이며, 상기 이형층(30, 31)의 동판선수는 #100~200이고, 상기 인쇄층(40)의 동판선수는 #100~200이며, 상기 발포층(50, 51)의 동판선수는 #100~150이고, 상기 접착 프라이머층(60)의 동판선수는 #100~200이고, 상기 접착층(70, 71)의 동판선수는 #10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방지 특성이 개선된 발포 열전사 필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 프라이머층(60)은 고형분을 10~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방지 특성이 개선된 발포 열전사 필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70, 71)은 아크릴, 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SAN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킹 방지 특성이 개선된 발포 열전사 필름.
KR1020180117536A 2018-10-02 2018-10-02 블록킹 방지 특성이 개선된 발포 열전사 필름 KR102164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536A KR102164285B1 (ko) 2018-10-02 2018-10-02 블록킹 방지 특성이 개선된 발포 열전사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536A KR102164285B1 (ko) 2018-10-02 2018-10-02 블록킹 방지 특성이 개선된 발포 열전사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001A KR20200038001A (ko) 2020-04-10
KR102164285B1 true KR102164285B1 (ko) 2020-10-12

Family

ID=7029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536A KR102164285B1 (ko) 2018-10-02 2018-10-02 블록킹 방지 특성이 개선된 발포 열전사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2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765B1 (ko) 2020-06-29 2022-02-16 주식회사 제일데칼 항균 열전사 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9892A (ja) * 2007-02-08 2008-08-21 Nok Corp コーティング剤
KR101431807B1 (ko) * 2014-01-23 2014-08-19 주식회사 제일데칼 미끄럼방지용 열전사필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696B1 (ko) 2009-01-23 2012-04-06 코리아케미칼 주식회사 음각 및 양각 문양 조각 효과를 갖는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8176A (ko) * 2009-11-26 2011-06-01 (주)제일특수데칼 발포용 열전사 필름
KR101153260B1 (ko) 2011-09-05 2012-07-03 주식회사 삼구 엠보싱 무늬 인쇄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전사 필름
KR101821258B1 (ko) * 2016-05-02 2018-01-23 이솔민 접착제층이 최하부에 도포 형성된 전사인쇄필름으로 전사인쇄층을 형성한 보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9892A (ja) * 2007-02-08 2008-08-21 Nok Corp コーティング剤
KR101431807B1 (ko) * 2014-01-23 2014-08-19 주식회사 제일데칼 미끄럼방지용 열전사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001A (ko)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2735B2 (ja) 壁装用化粧シート
JP2009078394A (ja) 化粧材
KR102253038B1 (ko) 개선된 블록킹 방지 특성을 갖는 발포 열전사 필름
KR102164285B1 (ko) 블록킹 방지 특성이 개선된 발포 열전사 필름
JP2007055229A (ja) 壁装用化粧シート
JP4942682B2 (ja) 発泡壁紙
JP2000326458A (ja) 化粧シート
JP2016182686A (ja) 熱転写受像シート及び熱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方法
JP4110422B2 (ja) 発泡壁紙
JP2008110532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2006272693A (ja) 壁装用化粧シート
JP4792861B2 (ja) 発泡壁紙
EP4180223A1 (en) Image-receiving sheet for thermal transfer
JP5760471B2 (ja) 樹脂積層体及び樹脂積層シート
JP5392322B2 (ja) 壁装用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195960B2 (ja) 発泡壁紙
JP5488657B2 (ja) 壁装用化粧シートの発泡前の積層体
JP4671878B2 (ja) 発泡壁紙
JP4765469B2 (ja) 発泡壁紙
JP3122765U (ja) 床用タイル
JP5080079B2 (ja) 転写シート
JP2020114633A (ja) 装飾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6311419B2 (ja) 光輝性化粧シート
JP2001293839A (ja) 化粧材
JP4779406B2 (ja) 発泡壁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