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714B1 - 표시 제어 방법, 단말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 방법, 단말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714B1
KR102162714B1 KR1020187029825A KR20187029825A KR102162714B1 KR 102162714 B1 KR102162714 B1 KR 102162714B1 KR 1020187029825 A KR1020187029825 A KR 1020187029825A KR 20187029825 A KR20187029825 A KR 20187029825A KR 102162714 B1 KR102162714 B1 KR 102162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hot
screen
terminal
video conten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6522A (ko
Inventor
나오토 호리구치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6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ixing or overlaying two or more graphic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ket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단말에서의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동영상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촬상 지시를 수취함에 따라, 상기 화면의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스크린 샷을 상기 화면 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갖되, 상기 스크린 샷이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고 있을 때, 상기 동영상 콘텐츠는 상기 화면 내의 상기 제 1 영역과는 다른 제 2 영역에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Description

표시 제어 방법, 단말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본 발명은 표시 제어 방법, 단말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단말이 동영상 콘텐츠의 전송 서버로부터 동영상 콘텐츠를 취득하고, 단말 사용자가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단말이, 사용자의 지시를 받아, 시청 중인 동영상 콘텐츠를 촬상하고,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것에 대해서도 보급하고 있고,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서는 시청 중인 동영상 콘텐츠를 촬상하기 쉬운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보급에 따라, 생성한 스크린 샷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것에 대해서도 실시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 특허 제2006-140901호 공보
동영상 콘텐츠 시청 중에, 해당 동영상 콘텐츠를 촬상하여 스크린 샷을 생성하고, 생성한 동영상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경우, 스크린 샷의 생성이나 공유 등의 처리를 단말이 실행하고 있는 동안, 사용자는 동영상 콘텐츠의 시청을 중단해야 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스크린 샷의 생성 및 공유에 관한 처리의 실행 중에, 동영상 콘텐츠를 계속해서 시청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양태에서는, 단말에서의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동영상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촬상 지시를 수취함에 따라 상기 화면의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스크린 샷을 상기 화면 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갖되, 상기 스크린 샷이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고 있을 때, 상기 동영상 콘텐츠는 상기 화면 내의 상기 제 1 영역과는 다른 제 2 영역에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스크린 샷의 생성 및 공유에 관한 처리의 실행 중에 동영상 콘텐츠를 계속 시청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스크린 샷의 생성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 및 스크린 샷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동작 시퀀스의 일례(그 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동작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동작 시퀀스의 일례(그 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동작 시퀀스의 일례(그 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동작 시퀀스의 일례(그 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동작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집계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정보 기억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동영상 설정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송 관리 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동작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동작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 형태]
<시스템 구성>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정보 처리 장치(10)와 단말(20)을 갖는다. 정보 처리 장치(10)와 단말(2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접속된다. 네트워크(30)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예컨대, 서버에 의해 실현된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동영상 콘텐츠를 단말(20)에 전송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단말(20)의 사용자에게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제공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SNS는 당연히 인스턴트 메신저 기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SN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채팅 서비스, SNS 상에서 사용자의 이벤트를 표시하는 타임 라인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또, 동영상 콘텐츠의 전송과 SNS의 제공은 다른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다.
단말(20)은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PC(Personal Computer), 휴대 전화기, 게임용 콘솔, 터치 패드, 전자 서적 리더 또는 웨어러블 단말 등이다. 단말(20)은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동영상 콘텐츠를 취득하고, 단말(20)의 화면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한다. 예컨대, 단말(20)은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취득한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한다.
단말(20)은 사용자의 지시를 받아, 재생 중인 동영상 콘텐츠를 촬상하고, 스크린 샷을 생성한다. 단말(20)은 사용자의 지시를 받아, 생성된 스크린 샷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해 정보 처리 장치(10)로 송신한다.
<스크린 샷의 생성>
도 2를 이용하여, 스크린 샷의 생성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는, 단말(20)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단말(20)에는 OS2(Operating System),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이나 SNS에 관한 기능 등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3)이 인스톨되어 있다.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를 받아 실행하는 기능은 OS2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생성된 스크린 샷을 기억하는 기억 영역인 포토 라이브러리가 마련되어 있다.
단말(20)이 사용자로부터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를 수취하여 생성된 스크린 샷이 화면에 표시될 때까지의 순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OS2는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를 수취하면(단계 (1)), 화면을 촬상하여 스크린 샷을 생성한다(단계 (2)). 애플리케이션(3)은 OS2로부터 스크린 샷의 생성 처리에 관한 통지를 수신한다(단계 (3)). OS2는 생성된 스크린 샷을 포토 라이브러리(4)에 보존한다(단계 (4)). 애플리케이션(3)은 포토 라이브러리(4)로부터 생성된 스크린 샷을 취득하여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5)). 애플리케이션(3)은 화면에 표시된 스크린 샷에 대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수취한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3)은 생성된 스크린 샷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수취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애플리케이션(3)은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등을 하면서, OS2와 연계하여 생성된 스크린 샷을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스크린 샷의 생성에 따라, 단말 사용자의 동영상 콘텐츠 시청이 중단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3을 이용하여, 스크린 샷이 화면에 표시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A)는 단말(20)의 화면(21)에 재생 중인 동영상 콘텐츠가 표시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B)는 생성된 스크린 샷이 화면(21)에 표시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화면(21)의 동영상 콘텐츠의 표시 영역(22)(이하, 제 1 표시 영역)에 동영상 콘텐츠가 표시된다. 이 때,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은 계속되고 있다. 생성된 스크린 샷은 스크린 샷 표시 영역(23)(이하, 제 2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제 2 표시 영역(23)에는 스크린 샷(23A)에 추가하여, 스크린 샷에의 지시에 관한 메시지(23B)(「스크린 샷을 공유합니까?」), 스크린 샷에의 지시의 선택 버튼(25C)(「공유한다」, 「공유하지 않는다」)가 표시된다.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표시 영역(22)과 제 2 표시 영역(23)은 중복하지 않게, 화면 내의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조정, 즉 표시 제어되어도 좋다.
제 1 표시 영역(22) 및 제 2 표시 영역(23)에 더하여 부가 정보 표시 영역(24)(이하, 제 3 표시 영역)이 마련되어도 좋다. 제 3 표시 영역(24)에는, 예컨대, 광고, 재생 중인 동영상 콘텐츠에 관한 정보 또는 SNS에 관한 각종 정보 등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공유한다」는 선택 버튼(25C)을 선택하는 경우, 공유처를 설정하는 메뉴가 기동되고 화면에 표시된다. 공유처를 설정하는 메뉴가 기동되었을 경우에도, 제 1 표시 영역(22)에 동영상 콘텐츠가 표시되어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이 계속된다.
도 3의 (C)는 생성된 스크린 샷이 표시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C)에서는, 제 2 표시 영역(25)이 화면의 중앙에 마련된다. 제 2 표시 영역(25)은 제 1 표시 영역(26)에 중첩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 2 표시 영역(25)에는, 도 3의 (B)와 마찬가지로, 스크린 샷(25A)에 더하여, 스크린 샷에의 지시에 관한 메시지(25B) 및 스크린 샷에의 지시 선택 버튼(25C)이 표시된다. 제 1 표시 영역(26)의 제 2 표시 영역(25)과 중첩하지 않은 영역(26A, 26B)에는, 동영상 콘텐츠가 표시되고,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이 계속된다. 예컨대, 재생 중인 동영상 콘텐츠의 좌측 부분이 영역(26A)에 표시되고, 재생 중인 동영상 콘텐츠의 우측 부분이 영역(26B)에 표시되거나, 재생 중인 동영상 콘텐츠의 중첩하는 영역 이외에, 즉, 중첩하는 부분만큼이 표시되지 않도록 동영상 콘텐츠가 표시되거나 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크린 샷의 생성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말(20)에서의 동영상 콘텐츠의 시청을 계속하면서, 스크린 샷의 생성 및 다른 사용자와의 공유에 관한 처리를 단말(20)에 실행시킬 수 있다.
<하드웨어 구성>
다음에, 정보 처리 시스템(1)에 포함되는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1)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10)는 일반적인 컴퓨터의 구성을 갖고 있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컴퓨터(300)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301), RAM(Random Access Memory)(302), ROM(Read Only Memory)(303), 저장 장치(304), 입력 장치(305), 표시 장치(306), 통신 I/F(Interface)(307) 및 외부 I/F(308)를 갖고, 하드웨어의 각 구성 요소는 버스 B를 통해 접속된다.
CPU(301)는 ROM(303)이나 저장 장치(304) 등의 메모리로부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RAM(302) 상에서 판독하고,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컴퓨터(300)의 제어나 기능을 실현하는 연산 장치이다. ROM(303)은 컴퓨터(300)의 기동 시에 실행되는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OS(Operating System)의 설정 및 각종 설정 등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RAM(302)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 보관하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저장 장치(304)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대용량의 기억 장치이다.
입력 장치(305)는, 예컨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며, 사용자가 각종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데 이용된다. 표시 장치(306)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등이며, 컴퓨터(300)에 의한 처리 결과를 표시한다. 또, 입력 장치(305) 또는/및 표시 장치(306)는 필요한 때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형태라도 좋다.
통신 I/F(307)는 컴퓨터(300)를 네트워크(3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I/F(308)는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장치에는, 외부 기억 매체(308a) 등이 있다. 이것에 의해, 컴퓨터(300)는 외부 I/F(308)를 거쳐 외부 기억 매체(308a)의 판독 및/또는 기입을 행할 수 있다. 외부 기억 매체(308a)에는, 예컨대, 각종 광학 디스크나 각종 메모리 카드 등이 포함된다.
CPU(301)가 ROM(303) 등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의 각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2) 단말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20)은 CPU(201), ROM(202), RAM(203), 기억 장치(204), 입출력 장치(205), 통신 I/F(206) 및 디스플레이(207)(표시 장치)를 구비한다. 또, 단말(20)의 하드웨어의 각 구성 요소는 버스 B를 통해 상호 접속된다.
기억 장치(204)는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CPU(201)는 기억 장치(204)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이다.
ROM(202)은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ROM(202)은 기억 장치(204)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CPU(201)가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RAM(203)은 각종 프로그램이 CPU(201)에 의해 실행될 때에 전개되는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입출력 장치(205)는 단말(20)에 대한 각종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 및 단말(20)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의 기능을 포함한다. 입출력 장치(205)는 디스플레이(207)에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디스플레이(207)는 터치 반응형 디스플레이(터치 패널)로 할 수 있다. 통신 I/F(206)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단말(20)과 정보 처리 장치(10)의 통신을 행한다.
CPU(201)가 기억 장치(204) 등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단말(20)의 각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기능 구성>
(1)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
도 6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10)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송수신부(110), 동영상 콘텐츠 전송부(120) 및 SNS 제어부(130)를 갖는다. 이들의 기능은 정보 처리 장치(10)에 인스톨된 1 이상의 프로그램을 CPU(301)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정보 기억부(140)를 갖는다. 정보 기억부(140)는, 예컨대, 저장 장치(304)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송수신부(110)는 단말(20)과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동영상 콘텐츠 전송부(120)는 단말(20)로부터의 동영상 콘텐츠의 전송 요구에 따라, 단말(20)에 의해 전송이 요구된 동영상 콘텐츠를 단말(20)에 전송한다. 동영상 콘텐츠 전송부(120)는 정보 기억부(140)로부터 동영상 콘텐츠를 취득하고, 취득한 동영상 콘텐츠를 단말(20)에 전송한다.
SNS 제어부(130)는 단말(20)의 사용자에게 SNS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 SNS 제어부(130)는 단말(2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지정된 수신처의 사용자 단말(20)에 콘텐츠를 송신한다. 여기서, 콘텐츠란, 메시지, 정지 화면, 동영상, 스탬프 및 이들의 조합이다.
정보 기억부(140)는 단말(20)에 전송하는 동영상 콘텐츠나 SNS 사용자의 각종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2) 단말의 기능 구성
다음에, 도 7을 이용하여, 단말(20)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20)은 송수신부(210), 접수부(220), 동영상 콘텐츠 제어부(230), SNS 처리부(240), 스크린 샷 생성부(250) 및 표시 제어부(260)를 갖는다. 이들의 기능은 단말(20)에 인스톨된 1 이상의 프로그램을 CPU(201)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단말(20)은 정보 기억부(270)를 갖는다. 정보 기억부(270)는 스크린 샷 관리 테이블(271) 및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을 갖는다. 정보 기억부(270)는, 예컨대, 기억 장치(204)에 의해 실현된다.
송수신부(210)는 정보 처리 장치(1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접수부(220)는 단말(20)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수취한다. 접수부(220)는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의 전송 지시,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 및 SNS 상에서의 콘텐츠의 송수신 지시를 수취한다.
동영상 콘텐츠 제어부(230)는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전송된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한다.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접수부(220)가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은 것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받은 타이밍에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동영상 콘텐츠를 촬상하고, 이러한 타이밍에서의 동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샷을 생성한다.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생성한 스크린 샷과 스크린 샷을 생성한 시각을 대응시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테이블인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 기억한다.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이벤트의 통지를 SNS 처리부(240)로 송신한다.
SNS 처리부(240)는 단말(20) 사용자의 SNS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SNS 처리부(240)는 생성된 스크린 샷을 SNS에 가입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 등과 공유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SNS 처리부(240)는 공유처로 설정된 다른 사용자의 단말(20)이나 SNS 상의 장소에 스크린 샷을 전송하는 것을 정보 처리 장치(10)에 지시한다.
SNS 처리부(240)는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로부터 생성된 스크린 샷을 취득하고, 동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샷을 관리하는 스크린 샷 관리 테이블(271)에 기억시킨다. 이때, SNS 처리부(240)는 스크린 샷 생성부(250)로부터,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하고, SNS 처리부(240)는 통지를 받은 시각을 기억한다. SNS 처리부(240)는 기억한 시각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스크린 샷을 특정해도 좋다.
또한, SNS 처리부(240)는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 기억되어 있는 스크린 샷의 생성 시각과,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각으로부터, 생성된 스크린 샷의 재생 중인 동영상 콘텐츠 상의 대응하는 위치를 특정한다. 여기서, 콘텐츠 상의 대응하는 「위치」란, 재생 중인 동영상 콘텐츠의 시간 위치이다(이하, 단지 위치라고 기재함).
그리고, SNS 처리부(240)는 특정 위치를 스크린 샷과 대응시켜 스크린 샷 관리 테이블(271)에 기억시킨다. 예컨대, 스크린 샷의 생성 시각이 2016년 3월 28일 18시 5분 10초이고,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개시 시각이 2016년 3월 28일 18시인 경우, SNS 처리부(240)는 생성된 스크린 샷의 재생 중인 동영상 콘텐츠 상의 대응하는 위치를, 재생 개시부터 5분 10초 후 개시한 위치라고 특정한다. 또한, SNS 처리부(240)는 스크린 샷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의 식별자나, 동영상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네트워크 상의 장소를 표시하는 URL 등을 스크린 샷 관리 테이블(271)에 기억시켜도 좋다.
SNS 처리부(240)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스크린 샷의 공유처를 기초로 하여 생성된 스크린 샷에 대한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예컨대, 스크린 샷의 공유처로서 미리 채팅 그룹(대화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SNS 처리부(240)는 스크린 샷을 정보 처리 장치(10)에 송신함과 동시에, 스크린 샷을 해당 채팅 그룹에 제출하는 처리를 실행할 것을 정보 처리 장치(10)에 지시한다.
예컨대, 스크린 샷의 공유처로서 단말(20) 사용자의 타임 라인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SNS 처리부(240)는 스크린 샷을 정보 처리 장치(10)에 송신함과 동시에, 스크린 샷을 타임 라인에 제출하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정보 처리 장치(10)에 지시한다.
예컨대, 스크린 샷의 공유처로서 다른 사용자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SNS 처리부(240)는 스크린 샷을 정보 처리 장치(10)에 송신함과 동시에, 스크린 샷을 다른 사용자에게 송신할 것을 정보 처리 장치(10)에 지시한다.
표시 제어부(260)는 동영상 콘텐츠, 생성된 스크린 샷 및 SNS에 관한 정보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260)는 동영상 콘텐츠를 표시하는 화면 내의 표시 영역(제 1 표시 영역)이나 스크린 샷을 표시하는 화면 내의 표시 영역(제 2 표시 영역)을 설정한다. 표시 제어부(260)는 제 1 표시 영역을 화면 전체로 설정해도 좋다. 그리고, 생성된 스크린 샷을 표시하는 타이밍에서, 표시 제어부(260)는 제 1 표시 영역에 더하여, 스크린 샷의 표시 영역(제 2 표시 영역)을 설정하고, 화면 각각의 표시 영역에 동영상 콘텐츠와 스크린 샷을 표시한다. 제 1 표시 영역과 제 2 표시 영역이 설정되기 때문에, 스크린 샷을 표시하게 하여, 스크린 샷에 대한 각종 처리를 실행하면서, 동영상 콘텐츠를 계속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정보 기억부(270)는 OS, 애플리케이션, 그 외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은 스크린 샷 생성부(250)에 의해 생성된 스크린 샷을, 스크린 샷이 생성된 시각과 대응지어 기억한다.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는, 스크린 샷에 더하여 단말(20)에서 촬상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데이터가 기억되어도 좋다. 도 8의 (A)에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의 일례를 나타낸다.
스크린 샷 관리 테이블(271)은 SNS 처리부(240)에 의한 지시를 기초로 하여, 촬상된 동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샷이 동영상 콘텐츠의 식별자와 대응되어 기억된다. 도 8의 (B)에 스크린 샷 관리 테이블(271)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의 (B)의 스크린 샷 관리 테이블(271)에는 「생성 일시」, 동영상 콘텐츠를 일의로 특정하는 「동영상 콘텐츠의 식별자」, 스크린 샷의 동영상 콘텐츠 중의 「위치」 및 「동영상 콘텐츠의 URL」이 스크린 샷과 대응되어 기억되고 있다. 또, 생성 일시에는 스크린 샷의 생성 이벤트의 통지를 받은 일시가 설정되어도 좋다.
각 기능은 단말(20)의 OS 또는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호 연계하여 처리가 실행된다. 예컨대,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OS의 기능으로서 배치되고, 동영상 콘텐츠 제어부(230), SNS 처리부(240) 및 표시 제어부(260)로서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접수부(220)가 사용자로부터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를 수취하면, OS가 동작하여 스크린 샷 생성부(250)의 기능을 실행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에 배치되어 있는 각 기능이 OS에 의해 생성된 스크린 샷을 취득하고, 스크린 샷에 대한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에 배치되어 있는 각 기능은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등의 처리를 계속한다.
<동작 시퀀스>
(1) 동작 시퀀스
도 9를 이용하여, 동작 시퀀스에 대해 설명한다. 또, 사용자 A가 단말(20#A)을 사용하고, 사용자 B가 단말(20#B)을 사용하며, 사용자 C가 단말(20#C)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A, 사용자 B 및 사용자 C는 그룹 A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901에서, 단말(20#A)은 사용자 A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의 취득 지시를 수취한다.
단계 S902에서, 단말(20#A)는 동영상 콘텐츠의 전송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10)로 송신한다.
단계 S903에서, 동영상 콘텐츠의 전송 요구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0)는 동영상 콘텐츠를 단말(20#A)에 전송한다. 단말(20)의 화면의 제 1 표시 영역에는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된다. 또, 동영상 콘텐츠가 전체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제 1 표시 영역은 화면 전체로 된다.
단계 S904에서, 단말(20#A)은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를 사용자 A로부터 수취한다. 단말(20#A)은 지시를 받아 스크린 샷을 생성한다.
단계 S905에서, 단말(20#A)은 제 1 표시 영역에 더하여, 제 2 표시 영역을 화면에 설정하고, 생성한 스크린 샷을 표시한다. 이때, 동영상 콘텐츠는 제 1 표시 영역에서 재생이 계속된다.
단계 S906에서, 단말(20#A)은 스크린 샷의 공유에 관한 처리를 수취한다. 여기에서, 단말(20#A)은 사용자 A로부터 생성된 스크린 샷을 그룹 A로 제출하는 지시를 수취한 것으로 한다.
단계 S907에서, 단말(20#A)은 스크린 샷을 정보 처리 장치(10)에 송신함과 동시에, 스크린 샷을 그룹 A에 제출할 것을 지시한다.
단계 S908에서, 단말(20#A)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정보 처리 장치(10)는 그룹 A에 속하는 사용자 A 이외의 사용자가 사용자 B 및 사용자 C인 것, 및 사용자 B 및 사용자 C의 단말(20(20#B, 20#C))을 특정한다.
단계 909에서, 정보 처리 장치(10)는 스크린 샷을 단말(20#B)에 송신한다.
단계 S910에서, 정보 처리 장치(10)는 스크린 샷을 단말(20#C)에 송신한다.
다음에, 스크린 샷을 수신한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 시퀀스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사용자 B의 단말(20#B)로부터 스크린 샷에의 응답으로서 콘텐츠가 송신된 것으로 한다.
단계 S911에서, 단말(20#B)의 사용자는 스크린 샷에의 응답으로서, 메시지나 스탬프 등의 콘텐츠를 송신할 것을 단말(20#B)에 지시한다.
단계 S912에서, 단말(20#B)은 스크린 샷의 응답으로서 콘텐츠를 그룹 A로 송신한다. 또, 콘텐츠에는 스크린 샷에 대한 응답이라는 취지를 포함한다.
단계 S913에서, 정보 처리 장치(10)는, 콘텐츠를 수신하면, 수신한 콘텐츠를 사용자 A의 단말(20#A)로 송신한다.
단계 S914에서, 단말(20#A)은 수신한 콘텐츠를 표시한다. 여기서, 단말(20#A)은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제 1 표시 영역에 수신한 콘텐츠를 표시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 A는 송신한 스크린 샷에 대한 응답의 콘텐츠라고 인식할 수 있다. 단말(20#A)은 제 3 표시 영역에 수신한 콘텐츠를 표시해도 좋다.
단계 S915에서, 정보 처리 장치(10)는, 콘텐츠를 수신하면, 수신한 콘텐츠를 사용자 C의 단말(20#C)로 송신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린 샷을 수신한 사용자로부터의 콘텐츠를 표시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전송한 스크린 샷에 대한 응답에 대하여 마찬가지의 표시 제어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타임 라인에 스크린 샷을 제출했을 때에, 타임 라인에의 코멘트를 다른 사용자로부터 받은 경우, 마찬가지의 표시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코멘트가 단말(20#A)에 표시되어도 좋다.
(2) 동작 흐름
다음에, 도 10을 이용하여 단말(20)의 동작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001에서, 동영상 콘텐츠 제어부(230)는 동영상 콘텐츠의 전송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10)로 송신한다.
단계 S1002에서, 동영상 콘텐츠 제어부(230)는,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동영상 콘텐츠를 취득하면, 표시 제어부(260)에 동영상 콘텐츠의 표시를 지시한다. 지시를 받으면, 표시 제어부(260)는 동영상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한다. 동영상 콘텐츠 제어부(230)는 취득한 동영상 콘텐츠를 화면의 제 1 표시 영역에서 재생한다.
단계 S1003에서,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접수부(220)가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수취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를 수취한 경우(단계 S1003의 예), 단계 S1004로 진행된다. 한편,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를 받지 않은 경우, 단계 S1002로 돌아온다.
단계 S1004에서,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츠를 촬상하여 스크린 샷을 생성한다.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생성한 스크린 샷을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 기억시킨다.
단계 S1005에서, SNS 처리부(240)는, 스크린 샷 생성부(250)로부터의 스크린 샷의 생성에 관한 통지를 받아,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로부터 생성된 스크린 샷을 취득한다.
단계 S1006에서,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스크린 샷의 표시를 표시 제어부(260)에 지시한다. 표시 제어부(260)는 스크린 샷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제 1 표시 영역에 더하여, 제 2 표시 영역을 화면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260)는 제 1 표시 영역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계속 재생시키면서, 제 2 표시 영역에 생성된 스크린 샷을 표시한다. 또한,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스크린 샷의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를 특정하고, 스크린 샷과 함께 스크린 샷 관리 테이블(271)에 기억시킨다.
단계 S1007에서, 접수부(220)가 사용자로부터 스크린 샷에 대한 공유 지시를 수취함에 따라, SNS 처리부(240)는 스크린 샷의 공유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SNS 처리부(240)는 스크린 샷을 정보 처리 장치(10)로 송신함과 동시에, 지정한 공유처에 스크린 샷을 송신할 것을 지시한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의 공유 지시에는, 스크린 샷의 공유처를 포함해도 좋고, 미리 공유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유처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미리 공유처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스크린 샷의 공유 처리에 관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동영상 콘텐츠를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취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단말(20)에 기억되어 있는 동영상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처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변형예>
다음에,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형예에서는, 스크린 샷을 공유하는 것에 더하여, 스크린 샷이 생성된 동영상 콘텐츠 내의 위치 등을 특정하는 정보를 공유하고, 스크린 샷 등을 공유한 다른 사용자가 스크린 샷이 생성된 장소로부터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하기 쉽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1을 이용하여 변형예에 관한 동작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A가 단말(20#A)을 사용하고, 사용자 B가 단말(20#B)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단말(20#A)의 스크린 샷 관리 테이블(271)에는, 도 8의 (B)에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단계 S1101에서, 단말(20#A)은 사용자 A로부터 사용자 B와 스크린 샷(CCC.jpg)을 공유하는 취지의 지시를 수취한다.
단계 S1102에서, 단말(20#A)은 스크린 샷을 사용자 B와 공유하는 지시를 정보 처리 장치(10)로 송신한다. 공유하는 지시에는 스크린 샷(CCC.jpg), 동영상 콘텐츠의 식별자(#123), 스크린 샷의 위치(06:15) 및 동영상 콘텐츠의 URL이 포함된다.
단계 S1103에서, 정보 처리 장치(10)는 지시에 따라, 사용자 B의 단말(20#B)에 스크린 샷의 공유 통지를 송신한다. 공유 통지에는 스크린 샷(CCC.jpg), 동영상 콘텐츠의 식별자(#123), 스크린 샷의 위치(06:15) 및 동영상 콘텐츠의 URL이 포함된다.
단계 S1104에서, 단말(20#B)은 수신한 스크린 샷(CCC.jpg)을 화면에 표시한다.
단계 S1105에서, 단말(20#B)은 사용자 B로부터 스크린 샷(CCC.jpg)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의 전송 지시를 수취한다.
단계 S1106에서, 단말(20#B)은 동영상 콘텐츠의 전송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10)로 송신한다. 동영상 콘텐츠의 전송 요구에는 단계 S1103에서 단말(20#B)이 수신한 동영상 콘텐츠의 URL 및 스크린 샷의 위치가 포함된다.
단계 S1107에서, 정보 처리 장치(10)는 동영상 콘텐츠의 전송 요구에 따라, 동영상 콘텐츠의 전송을 개시한다.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10)는 지정된 URL로 특정되는 동영상 콘텐츠를 스크린 샷에 대응하는 위치부터 재생한다.
이것에 의해, 스크린 샷을 공유한 다른 사용자도 스크린 샷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용이하게 시청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동작 순서에서는, 스크린 샷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동영상의 콘텐츠가 전송되고 있지만, 스크린 샷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소정 시간 전의 위치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의 전송을 개시해도 좋다. 스크린 샷이 작성된 위치는 동영상 콘텐츠의 하이라이트 장면일 가능성이 높고, 스크린 샷이 공유된 사용자에게, 소정 시간 전(예컨대, 2~3분 전)부터 시청시키는 편이, 동영상 콘텐츠의 일련의 전개를 이해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단말(20#A)이, 단계 S1102에서, 스크린 샷보다 소정 시간 전의 위치를 정보 처리 장치(10)에 통지해도 좋다. 이 경우, 소정 시간은 사용자 A의 지시에 의해 조정되어도 좋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가, 단계 S1103에서, 스크린 샷보다 소정 시간 전의 위치를 결정하고, 단말(20#B)에 통지해도 좋다.
[제 2 실시 형태]
다음에, 제 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20) 내에서 동작하는 OS와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연계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크린 샷 생성부(250)가 OS의 기능으로서 실현되고, SNS 처리부(240) 등이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으로서 실현되었을 때, OS의 기능인 스크린 샷 생성부(250)와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인 SNS 처리부(240)의 연계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OS에 배치된 기능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OS와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인터페이스인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에 배치된 기능이 동작해야 한다. OS에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기능이 배치된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API를 통해 OS에서 스크린 샷에 관한 처리 이벤트가 발생한 취지의 통지를 받는 것은 가능하지만, 스크린 샷 처리의 기동 타이밍 등을 제어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은 이벤트가 발생한 취지의 통지를 받은 후에, 동영상 콘텐츠의 화면에 대응하는 스크린 샷을 특정하고,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처리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기능 구성>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20)은 제 1 실시 형태의 단말(20)과 마찬가지의 기능 구성을 갖는다.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단말(20)에 인스톨된 OS의 기능에 의해 실현된다. 동영상 콘텐츠 제어부(230), SNS 처리부(240) 및 표시 제어부(260)는 SNS나 동영상 전송 등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에 의해 실현된다.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접수부(220)가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를 받은 것에 따라, 화면에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샷을 생성한다. 또한,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API를 통해 스크린 샷의 생성 이벤트에 관한 통지를 SNS 처리부(240)에 통지한다.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생성된 스크린 샷을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 기억시킨다. 또,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은 포토 라이브러리라고 불려도 좋다.
SNS 처리부(240)는, 스크린 샷의 생성 이벤트에 관한 통지를 수신하면, 스크린 샷이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 기억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의 감시를 개시한다. SNS 처리부(240)는,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 것을 검지하면,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 스크린 샷이라고 판단하고,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로부터 취득한다.
<동작 시퀀스>
다음에, 도 12를 이용하여,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20)의 기능 블록간 동작 시퀀스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200에서, 동영상 콘텐츠 제어부(230)는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 제어부(260)에 지시한다. 표시 제어부(260)는 지시를 받아 동영상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20)의 화면에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로 된다.
단계 S1201에서,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접수부(220)가 사용자로부터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를 받았던 것에 따라, 스크린 샷의 생성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 S1202에서,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API를 통해 스크린 샷의 생성 이벤트를 SNS 처리부(240)로 통지한다.
단계 S1203에서, SNS 처리부(240)는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감시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SNS 처리부(240)는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 기억되는지를 감시한다.
단계 S1204에서,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 생성된 스크린 샷을 기억시킨다.
단계 S1205에서, SNS 처리부(240)는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 기억된 것을 검지한다.
단계 S1206에서, SNS 처리부(240)는 새롭게 기억된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 스크린 샷에 대응한다고 판단하고, 새롭게 기억된 화상 데이터의 취득 요구를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 송신한다.
단계 S1207에서, SNS 처리부(240)는 화상 데이터를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로부터 취득한다.
단계 S1208에서, SNS 처리부(240)는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재생 중인 동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샷으로서 화면에 표시할 것을 표시 제어부(260)에 지시한다.
단계 S1209에서, 표시 제어부(260)는 제 1 표시 영역과 제 2 표시 영역을 화면에 설정하고, 제 1 표시 영역에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면서 제 2 표시 영역에 스크린 샷을 표시한다.
단계 S1210에서, SNS 처리부(240)는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된 스크린 샷으로서, 스크린 샷 관리 테이블(271)에 기억시킨다. 이때, 화상 데이터는 생성 일시, 재생 중인 동영상 콘텐츠의 식별자, 위치 및 동영상 콘텐츠의 URL 등과 대응지어 기억시켜도 좋다.
상술한 동작 순서에 따르면, OS의 기능인 스크린 샷 생성부(250)로부터 스크린 샷의 생성 처리의 통지를,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인 SNS 처리부(240)가, 기존의 API의 구조를 이용하여 수신했을 때에, 적절한 스크린 샷을 취득하고, 애플리케이션 처리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SNS 처리부(240)는 새롭게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 스크린 샷이라고 판단하고 있었지만, 스크린 샷의 생성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한 시각을 기초로 하여, 생성 이벤트에 대응하는 스크린 샷을 특정해도 좋다. 예컨대, SNS 처리부(240)는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한 시각 이후이고, 통지를 수신한 시각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시각에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스크린 샷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라고 판단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린 샷 생성부(250)와 SNS 처리부(240) 사이에 API를 통해 스크린 샷의 생성에 관한 이벤트가 통지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벤트의 송신원과 수신처의 기능 블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API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에 배치된 기능 블록이 스크린 샷의 생성에 관한 이벤트를 수신함에 따라,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예컨대, 포토 라이브러리)을 감시하는 것에 의해,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변형예>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변형예에서는, 스크린 샷이 생성될 때의 화면 표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3을 이용하여,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동작 시퀀스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300 내지 단계 S1302의 처리에 대해서는, 단계 S1200 내지 단계 S1202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303에서, SNS 처리부(240)는 동영상 콘텐츠를 스크린 샷 생성용 표시 양태로 표시할 것을 지시한다. 여기서, 스크린 샷 생성용 표시 양태란, 예컨대,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표시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츠의 조작용 아이콘이나, 광고 등의 정보를 비표시로 하고, 동영상 콘텐츠 이외의 정보가 가능한 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또한, 스크린 샷 생성용 표시 양태란, 예컨대, 동영상 콘텐츠를 전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
단계 S1304에서, 표시 제어부(260)는 동영상 콘텐츠를 스크린 샷 생성용 표시 양태로 화면에 표시한다. 예컨대, 표시 제어부(260)는 조작용 아이콘이나, 광고 등의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이들의 정보를 비표시로 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예컨대, 표시 제어부(260)는 동영상 콘텐츠가 전체 화면에 표시되지 않을 때에는, 동영상 콘텐츠를 전체 화면에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1305에서, 표시 제어부(260)는 동영상 콘텐츠의 표시 양태를 스크린 샷 생성용으로 변경한 취지를 SNS 처리부(240)에 통지한다.
단계 S1306에서, SNS 처리부(240)는 API를 통해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를 스크린 샷 생성부(250)에 통지한다.
단계 S1307에서, 스크린 샷 생성부(250)는 API를 통해 스크린 샷의 생성 이벤트를 SNS 처리부(240)에 통지한다.
이후의 처리는, 단계 S1203 내지 단계 S1210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 SNS 처리부(240)는, 단계 S1307에서, 스크린 샷의 생성 이벤트를 수신한 시각 이후에,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 기억된 스크린 샷을 취득한다. 이는 도 13의 동작 시퀀스가 단말(20)에서 실행되면, 2개의 스크린 샷이 생성되지만, 단계 S1306 이후에 생성되는 스크린 샷이 적절한 표시 양태의 화면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동작 시퀀스에서는, SNS 처리부(240)로부터, 스크린 샷 생성부(250)에 API를 통해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를 통지하고 있지만, 애플리케이션에 배치된 다른 기능으로부터 API를 통해 생성 지시를 송신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도 14를 이용하여,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20)의 애플리케이션 기능의 동작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400에서, 동영상 콘텐츠 제어부(230)는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 제어부(260)에 지시한다. 표시 제어부(260)는 동영상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한다.
단계 S1401에서, SNS 처리부(240)는 스크린 샷의 생성 이벤트를 API를 통해 스크린 샷 생성부(250)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S1402에서, 표시 제어부(260)는 SNS 처리부(240)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동영상 콘텐츠가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데 적합한 표시 양태로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데 적합한 표시 양태로 동영상 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경우(단계 S1402의 예), 단계 S1403으로 진행된다. 한편,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데 적합한 표시 양태로 동영상 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경우(단계 S1402의 아니오), 단계 S1407로 진행된다.
단계 S1403에서, SNS 처리부(240)는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의 감시를 개시한다.
단계 S1404에서, SNS 처리부(240)는,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 것을 검지하면, SNS 처리부(240)는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 스크린 샷이라고 판단한다.
단계 S1405에서, SNS 처리부(240)는 스크린 샷을 표시할 것을 표시 제어부(260)에 지시한다.
단계 S1406에서, SNS 처리부(240)는 스크린 샷을 스크린 샷 관리 테이블(271)에 기억시킨 후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407에서, SNS 처리부(240)는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데 적합한 표시 양태로 동영상 콘텐츠를 표시할 것을 표시 제어부(260)에 지시한다. 표시 제어부(260)는 지시를 받아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데 적합한 표시 양태로 동영상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한다.
단계 S1408에서, SNS 처리부(240)는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를 API를 통해 스크린 샷 생성부(250)로 송신하고, 단계 S1401의 처리로 진행된다.
다음에, 변형예에 관한 단말(20)의 화면 표시에 대해,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A)는 단계 S1402에서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데 적합한 표시 양태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표시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을 때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20)의 화면에는, 재생 중인 동영상 콘텐츠(33)과 함께, 동영상 콘텐츠(33)의 조작용 아이콘(31)이나, 광고 등의 메시지(32)가 표시되고 있다.
도 15의 (B)는 단계 S1402에서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데 적합한 표시 양태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표시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20)의 화면에는, 재생 중인 동영상 콘텐츠(33)가 표시되어 있고, 조작용 아이콘이나 광고용 메시지 등은 표시되지 않았다.
변형예에 관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크린 샷 생성용 표시 양태로 표시되어 있을 때의 동영상 콘텐츠를 기초로 하여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변형예에서는, SNS 처리부(240)가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를 API를 통해 스크린 샷 생성부(250)에 송신하고 있지만, 단말(20)의 사용자로부터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를 접수부(220)가 수신한 것에 따라, 스크린 샷 생성부(250)가 스크린 샷의 생성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예컨대,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데 적합한 표시 양태로 동영상 콘텐츠가 표시되었을 때, 스크린 샷의 지시를 접수부(220)에 입력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의뢰하는 메시지를, 표시 제어부(260)가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스크린 샷 생성부(250)에 스크린 샷을 생성시켜도 좋다.
<하드웨어 구성>
다음에,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2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20)은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다.
ROM(202) 및/또는 기억 장치(204)에 기억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및 OS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CPU(201)로 실행시키는 것에 의해, 단말(20)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예컨대, CPU(201)가 OS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화면을 촬상하여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스크린 샷 생성부(250)가 실현된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SNS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SNS 처리부(240), 수신한 동영상 콘텐츠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어부(230) 및 화면에 동영상 콘텐츠나 생성된 스크린 샷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260)가 실현된다.
단말(20)의 사용자로부터 입출력 장치(205)를 통해 스크린 샷의 생성 지시를 받은 것에 따라, CPU(201)는 스크린 샷 생성부(250)를 동작시켜,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함과 동시에, API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에 스크린 샷의 생성 이벤트를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API를 통해 스크린 샷의 생성 이벤트를 받는 것에 따라, CPU(201)는 SNS 처리부(240)를 동작시켜, 기억 장치(204)에 기억되어 있는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을 감시하는 처리를 개시한다. SNS 처리부(240)는,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것을 검출하면,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된 스크린 샷으로서 취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CPU(201)는 SNS 처리부(240)를 동작시켜, 스크린 샷의 생성의 실행을, API를 통해, 스크린 샷 생성부(250)에 지시한다. 또한, CPU(201)는 SNS 처리부(240)를 동작시켜,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츠를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데 적합한 표시 양태로 표시할 것을 표시 제어부(260)에 지시한다. CPU(201)는 표시 제어부(260)를 동작시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동영상 콘텐츠를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데 적합한 표시 양태로 표시한다.
[제 3 실시 형태]
다음에, 제 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1A)에 대해,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1A)은 단말(20a)(20a#A, 20a#B, 20a#C) 및 정보 처리 장치(10a)에 더하여 전송 관리 단말(40)을 갖는다. 단말(20a), 정보 처리 장치(10a) 및 전송 관리 단말(40)은 네트워크(30)에 접속된다.
전송 관리 단말(40)은 동영상 콘텐츠의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장치이며, 동영상 콘텐츠를 전송하는 정보 처리 장치(10a) 사이에 각종 정보의 송수신을 행한다.
정보 처리 장치(10a)는 단말(20a)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동영상 콘텐츠를 전송한다(단계 (1)). 도 16에서는, 단말(20a#A), 단말(20a#B) 및 단말(20a#C)에 동영상 콘텐츠가 전송되고 있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전송처 단말(20a)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20a)의 각각은 전송된 동영상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고 재생한다. 단말(20a) 각각의 사용자가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는 동안에,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소정의 조작을 수취한 경우, 단말(20a) 각각은 조작 통지를 정보 처리 장치(10a)에 송신한다(단계 (2)). 조작 통지에는, 재생 중인 동영상 콘텐츠의 위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소정의 조작이란, 예컨대, 화면에 표시된 동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샷을 생성하기 위한 조작이나,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중인 개소의 즐겨찾기에의 등록 조작 등이다.
정보 처리 장치(10a)는 수신한 조작 통지의 통계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3)). 예컨대, 동영상 콘텐츠 위치마다의 조작을 받은 수를 집계한다. 통계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한 사용자의 주목도가 높은 동영상 콘텐츠 내의 위치, 즉, 동영상 콘텐츠 내의 장면이 명확해진다.
정보 처리 장치(10a)는 통계 처리의 결과를 전송 관리 단말(40)에 통지한다(단계 (4)).
전송 관리 단말(40)은, 수신한 통계 처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예컨대, 전송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츠가 생방송인 경우, 동영상 콘텐츠의 제공자는 전송 관리 단말(40)이 수신한 통계 처리의 결과를 열람하고, 생방송의 동영상 콘텐츠의 진행에 이용해도 좋다.
정보 처리 장치(10a)는, 통계 처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동영상 콘텐츠 내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설정하거나, 동영상 콘텐츠의 선택을 수취하는 화면에 표시하게 하는 섬네일(thumbnail)을 설정하거나 해도 좋다. 또, 이러한 설정은 정보 처리 장치(10a)가 전송 관리 단말(40)로부터의 지시를 기초로 하여 실행해도 좋다.
<통계 처리의 개요>
도 17을 이용하여, 상술한 통계 처리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의 (A)는 동영상 콘텐츠 #1의 전송 시의 정보 처리 장치(10a)에 의한 통계 처리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이다. 가로축은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개시로부터의 경과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조작의 회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의 (A)로부터 시각 Ta/Tb/Tc/Td에서, 사용자로부터 받은 조작의 수가 확실히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a)는 동영상 콘텐츠 내의 하이라이트 부분의 설정이나 섬네일의 설정을 행한다.
동영상 콘텐츠 #1의 전편(기간 T1), 중편(기간 T2) 및 후편(기간 T3)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설정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a)는 기간 T1, 기간 T2 및 기간 T3 내의 소정 기간의 동영상 콘텐츠 #1을 하이라이트 부분으로서 설정한다. 예컨대, 정보 처리 장치(10a)는 시각 Ta를 포함하는 소정 기간을 전편의 하이라이트 부분으로 하고, 시각 Tc를 포함하는 소정 기간을 중편의 하이라이트 부분으로 하며, 시각 Td를 포함하는 소정 기간을 후편의 하이라이트 부분이라고 해도 좋다.
정보 처리 장치(10a)는 동영상 콘텐츠 #1의 시각 Tc에서의 화면을 기초로 하여, 동영상 콘텐츠 #1의 선택을 유도할 때, 단말(20a)의 화면에 표시하게 하는 섬네일을 생성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정보 처리 장치(10a)는 동영상 콘텐츠 #1의 시각 Ta, Tc, Td에서의 화면을 기초로 하여, 동영상 콘텐츠 #1의 전편의 하이라이트 부분, 중편의 하이라이트 부분 및 후편의 하이라이트 부분의 선택을 유도할 때, 단말(20a)의 화면에 표시하게 하는 섬네일을 생성해도 좋다.
또, 이 경우, 동영상 콘텐츠 #1의 재생 시간은 30분이며, 기간 T1은 동영상 콘텐츠 #1의 재생 개시부터 10분간의 기간이고, 기간 T2는 동영상 콘텐츠 #1의 재생 개시의 10분 경과 후부터 20분까지의 10분간의 기간이며, 기간 T3은 동영상 콘텐츠 #1의 재생 개시의 20분 경과 후부터 30분까지의 10분간의 기간이다. 또한, 기간 T4는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기간이다.
도 17의 (B)는 통계 처리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생성된 동영상 콘텐츠 #1의 선택 화면이 단말(20a)에 표시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영상 콘텐츠의 선택 버튼이 섬네일과 대응지어져 표시된다.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의 선택 버튼인 「본편을 재생(41)」, 「하이라이트(전편)를 재생(43)」, 「하이라이트(중편)를 재생(45)」, 또는 「하이라이트(후편)를 재생(47)」의 선택을 수취하는, 즉, 생성된 섬네일의 선택을 수취하면, 단말(20a)은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정보 처리 장치(10a)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동영상 콘텐츠를 단말(20a)의 화면에서 재생한다.
예컨대, 섬네일(42)에는, 조작의 회수가 가장 많은 시각인 Tc에서의 동영상 콘텐츠 #1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섬네일이 표시되어도 좋다. 섬네일(44)에는, 기간 T1에서 조작 회수가 가장 많은 시각인 Ta에서의 동영상 콘텐츠 #1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섬네일이 표시되어도 좋다. 섬네일(46)에는, 기간 T2에서 조작 회수가 가장 많은 시각인 Tc에서의 동영상 콘텐츠 #1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섬네일이 표시되어도 좋다. 섬네일(48)에는, 기간 T3에서 조작 회수가 가장 많은 시각인 Td에서의 동영상 콘텐츠 #1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섬네일이 표시되어도 좋다.
또, 도 17의 (B)의 예에서는, 동영상 콘텐츠 #1의 본편, 하이라이트 전편, 하이라이트 중편 및 하이라이트 후편의 각각에 1개의 섬네일이 대응되고 있지만, 동영상 콘텐츠 #1의 본편, 하이라이트 전편, 하이라이트 중편 및 하이라이트 후편의 각각에 복수의 섬네일이 대응되어 있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 단말(20a)은 사용자의 조작을 수취하여 표시되는 섬네일을 변경한다. 예컨대, 정보 처리 장치(10a)는 전송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기간(예컨대, 기간 T1/T2/T3/T4) 중에서, 조작 회수가 많은 시각을 특정하고, 소정의 순위 내(예컨대, 5위 이내)의 시각에서의 동영상 콘텐츠를 기초로 하여 섬네일을 생성하여 표시해도 좋다.
<기능 구성>
(1) 정보 처리 장치
도 18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10a)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a)는 송수신부(110), 동영상 콘텐츠 전송부(120), 통계 처리부(150) 및 동영상 콘텐츠 설정부(160)를 갖는다. 이들의 기능은 정보 처리 장치(10a)에 인스톨된 1 이상의 프로그램을 CPU(301)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a)는 정보 기억부(140)를 갖는다. 정보 기억부(140)는 조작 정보 기억 테이블(141) 및 동영상 설정 관리 테이블(142)을 갖는다. 정보 기억부(140)는, 예컨대, 저장 장치(304)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송수신부(110) 및 동영상 콘텐츠 전송부(120)의 기능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통계 처리부(150)는 단말(20a)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조작 통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조작 통지를 기초로 하여 통계 처리를 실행한다. 조작 통지에는, 동영상 콘텐츠의 식별자와 조작을 받은 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조작 통지에는, 조작 내용을 포함해도 좋다. 조작 내용이란, 예컨대, 스크린 샷의 생성 조작, 즐겨찾기 등록 조작, 또는 동영상 콘텐츠의 녹화에 관한 조작 등이다.
통계 처리란, 예컨대, 동영상 콘텐츠 내의 각 위치에서의 조작을 받은 수를 집계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통계 처리부(150)는 집계하는 처리에 더하여, 조작 받은 수의 변화(증가율, 감소율)를 산출해도 좋다. 또한, 조작 통지에 조작의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통계 처리부(150)는 조작마다의 통계 정보를 산출해도 좋다.
통계 처리부(150)는 통계 처리의 결과를 조작 정보 기억 테이블(141)에 기억시킨다. 또한, 통계 처리부(150)는 통계 처리의 결과를 전송 관리 단말(40)에 통지한다. 통계 처리부(150)는 통계 처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그래프 등을 생성하고, 생성된 그래프 등을 전송 관리 단말(40)에 통지해도 좋다.
또, 통계 처리부(150)는 조작 통지를 송신하는 대상이 되는 조작을 단말(20a)에 미리 통지해도 좋다.
동영상 콘텐츠 설정부(160)는 조작 정보 기억 테이블(14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기초로 하여, 동영상 콘텐츠의 선택 화면에 표시되는 섬네일의 생성 처리나, 하이라이트 부분의 설정 처리를 실행하고, 실행 결과를, 동영상 설정 관리 테이블(142)에 기억시킨다. 동영상 콘텐츠 설정부(160)는 전송 관리 단말(4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다음에, 정보 기억부(140)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정보 기억 테이블(141) 및 동영상 설정 관리 테이블(142)에 대하여, 도 19와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조작 정보 기억 테이블(141)의 일례를 도 19에 나타낸다. 조작 정보 기억 테이블(141)에는, 통계 처리부(150)에 의해 처리된 통계 처리의 결과가 기억된다. 도 19의 예에서는, 조작 정보 기억 테이블(141)에 동영상 콘텐츠의 식별자와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개시부터의 경과 시간(즉, 동영상 콘텐츠 내의 위치)과, 조작을 받은 수가 대응지어져 기억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 정보 기억 테이블(141)에 조작을 받은 수의 변화가 기억되어도 좋다. 또한, 조작 통지에 조작 내용을 포함한 경우, 조작 내용마다의 조작을 받은 수가 기억되어도 좋다.
동영상 설정 관리 테이블(142)의 일례를 도 20에 나타낸다. 동영상 설정 관리 테이블(142)에는, 동영상 콘텐츠 설정부(160)에 의해 설정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설정 처리 결과가 기억된다. 도 20의 예에서는, 동영상 콘텐츠 식별자와 본편의 설정 내용과 하이라이트 부분의 설정 내용이 대응되어 기억되고 있다. 본편에 대한 설정 내용으로서, 동영상 콘텐츠의 데이터인 「동영상 콘텐츠」, 섬네일의 설정 위치 및 섬네일의 데이터인 섬네일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하이라이트 부분의 설정 내용으로서, 하이라이트 부분의 식별자인 하이라이트 식별자, 단말(20a)의 화면에 표시할 때의 타이틀인 표시 타이틀, 동영상 콘텐츠 내에서 하이라이트 부분이 설정되어 있는 시간을 표시하는 설정 시간, 섬네일의 설정 위치 및 섬네일의 데이터인 「섬네일」이 기억되어 있다.
(2) 전송 관리 단말
도 21을 이용하여 전송 관리 단말(40)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 전송 관리 단말(40)은 일반적인 컴퓨터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을 갖고 있고, 예컨대, 도 4에 나타내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된다.
전송 관리 단말(40)은 송수신부(410), 표시 제어부(420), 접수부(430) 및 동영상 콘텐츠 설정 조정부(440)를 갖는다. 이들의 기능은 전송 관리 단말(40)에 인스톨된 1 이상의 프로그램을 CPU(301)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전송 관리 단말(40)은 정보 기억부(450)를 갖는다. 정보 기억부(450)는, 예컨대, 저장 장치(304)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송수신부(410)는 정보 처리 장치(10a)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한다.
표시 제어부(420)는 정보 처리 장치(10a)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콘텐츠에 관한 통계 처리의 결과(예컨대, 그래프 등)를 전송 관리 단말(40)의 화면에 표시한다.
접수부(430)는 전송 관리 단말(40)의 사용자인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의 설정에 관한 각종 지시를 수취한다. 예컨대, 접수부(430)는 섬네일을 생성하는 동영상 콘텐츠 내의 위치나 하이라이트 부분의 설정에 관한 지시를 수취하여도 좋다.
동영상 콘텐츠 설정 조정부(440)는 접수부(430)가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지시를 수취함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0a)에 동영상 콘텐츠에의 설정 지시를 송신한다.
정보 기억부(450)는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예컨대, 정보 기억부(450)는 정보 처리 장치(10a)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콘텐츠에 관한 통계 처리의 결과를 기억한다.
(3) 단말
도 22를 이용하여 단말(20a)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와 같은 기능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단말(20a)은 송수신부(210), 접수부(220), 동영상 콘텐츠 제어부(230), 스크린 샷 생성부(250), 표시 제어부(260) 및 조작 검지부(280)를 갖는다. 이들의 기능은 정보 처리 장치(10a)에 인스톨된 1 이상의 프로그램을 CPU(301)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단말(20a)은 정보 기억부(270)를 갖는다. 또한, 정보 기억부(270)는 스크린 샷 관리 테이블(271),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 조작 관리 테이블(273)을 갖는다. 정보 기억부(270)는, 예컨대, 저장 장치(304)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송수신부(210), 접수부(220), 동영상 콘텐츠 제어부(230), 스크린 샷 생성부(250) 및 표시 제어부(260)의 기능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조작 검지부(280)는 접수부(220)가 단말(20a)의 사용자로부터 받은 조작의 내용을 검지하고, 미리 정해진 조작과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조작의 내용이 미리 정해진 조작과 합치하는 경우, 조작 검지부(280)는 조작의 내용을 재생 중인 동영상 콘텐츠의 식별자 및 동영상 콘텐츠 내의 위치와 함께 정보 처리 장치(10a)에 통지한다. 조작 검지부(280)는 조작 관리 테이블(273)을 참조하고, 조작의 내용이 미리 정해진 조작과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조작이 스크린 샷의 생성 조작인 경우, 조작 검지부(280)는 조작을 검지한 취지를 정보 처리 장치(10a)에 통지한다.
스크린 샷 관리 테이블(271) 및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272)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와 같은 정보를 관리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조작 관리 테이블(273)은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조작을 접수부(220)가 사용자로부터 수취하였을 때, 정보 처리 장치(10a)에 통지해야 할 조작이 설정되어 있다. 조작 관리 테이블(273)에 기억되는 정보는 정보 처리 장치(10a)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통지해야 할 조작의 내용은 동영상 콘텐츠마다 설정되어도 좋다.
<동작 순서>
(1) 동작 시퀀스
도 23을 이용하여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동작 시퀀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에서는, 사용자 A가 단말(20a#A)을 사용하고, 사용자 B가 단말(20a#B)을 사용하고, 사용자 C가 단말(20a#C)을 사용하며, 사용자 D가 단말(20a#D)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단말(20a)에는, 사용자로부터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조작을 수취한 경우에, 조작 통지를 정보 처리 장치(10a)에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23의 (A)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10a)가 단말(20a)로부터 조작 통지를 받았을 때의 동작 시퀀스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2301에서, 정보 처리 장치(10a)는 단말(20a#A)에 동영상 콘텐츠 #1을 전송한다.
단계 S2302에서, 정보 처리 장치(10a)는 단말(20a#B)에 동영상 콘텐츠 #1을 전송한다.
단계 S2303에서, 정보 처리 장치(10a)는 단말(20a#C)에 동영상 콘텐츠 #1을 전송한다.
단계 S2304에서, 단말(20a#A)은 사용자 A로부터 스크린 샷의 생성 조작을 수취한다.
단계 S2305에서, 단말(20a#A)은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조작을 수취함에 따라, 조작 통지를 정보 처리 장치(10a)에 송신한다. 조작 통지에는 동영상 콘텐츠 #1의 식별자, 스크린 샷의 조작을 수취하였을 때의 동영상 콘텐츠 #1의 위치를 포함한다.
단계 S2306 및 단계 S2307에서, 단계 S2304 및 단계 S2305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단말(20a#B)에서 실행된다. 또한, 단계 S2308 및 단계 S2309에서, 단계 S2304 및 단계 S2305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단말(20a#C)에서 실행된다.
단계 S2310에서, 정보 처리 장치(10a)는 조작 통지의 통계 처리를 실행한다. 예컨대, 정보 처리 장치(10a)는 동영상 콘텐츠 #1의 위치마다 조작을 수취한 수를 집계한다.
단계 S2311에서, 정보 처리 장치(10a)는 통계 처리의 결과를 전송 관리 단말(40)에 통지한다.
단계 S2312에서, 전송 관리 단말(40)은 통계 처리의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
단계 S2313에서, 정보 처리 장치(10a)는, 통계 처리의 결과에 근거하여, 동영상 콘텐츠 #1에 대한 처리를 실행한다. 예컨대, 정보 처리 장치(10a)는 동영상 콘텐츠 #1의 섬네일의 설정, 하이라이트 부분의 설정 등을 행한다.
또, 동영상 콘텐츠 #1의 전송처의 단말(20a)은 단말(20a#A)/단말(20a#B)/단말(20a#C)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단계 S2313가 실행된 다음에, 단말(20a#D)로부터 동영상 콘텐츠 #1의 전송 요구를 받았을 때의 동작 시퀀스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2314에서, 단말(20a#D)은 동영상 콘텐츠 #1의 전송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10a)로 송신한다.
단계 S2315에서, 정보 처리 장치(10a)는 동영상 콘텐츠 #1의 선택 화면을 단말(20a#D)에 표시하게 한다.
단계 S2316에서, 단말(20a#D)은 화면에 동영상 콘텐츠 #1의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단말(20a#D)의 화면에는, 단계 S2313에서 설정된 동영상 콘텐츠 #1의 섬네일이나 하이라이트 부분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예컨대, 도 17의 (B)의 화면이 단말(20a#D)의 화면에 표시된다.
단계 S2317에서, 단말(20a#D)은 사용자 D로부터의 동영상 콘텐츠 #1의 선택을 수취한다. 여기에서는, 사용자 D로부터 동영상 콘텐츠 #1의 하이라이트 부분(전편)의 선택을 수취한 것으로서 설명을 진행시킨다.
단계 S2318에서, 단말(20a#D)은 동영상 콘텐츠 #1의 하이라이트 부분(전편)의 전송 요구를 정보 처리 장치(10a)로 송신한다.
단계 S2319에서, 정보 처리 장치(10a)는 동영상 콘텐츠 #1의 하이라이트 부분(전편)을 단말(20a#D)에 전송한다.
(2) 동작 흐름
다음에, 도 24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10a)의 동작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2401에서, 정보 처리 장치(10a)의 동영상 콘텐츠 전송부(120)는 복수의 단말(20a)에 동영상 콘텐츠 #1을 전송한다.
단계 S2402에서, 통계 처리부(150)는 단말(20a)의 각각으로부터 조작 통지를 수신한다. 조작 통지에는 동영상 콘텐츠 #1의 식별자와 조작이 실행되었을 때의 동영상 콘텐츠 #1 내의 위치를 포함한다.
단계 S2403에서, 통계 처리부(150)는 단말(20a)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조작 통지를 기초로 하여 통계 처리를 실행한다. 예컨대, 통계 처리부(150)는 동영상 콘텐츠 #1의 위치마다 조작을 수취한 수를 집계해도 좋다. 통계 처리부(150)는 처리 결과를 조작 정보 기억 테이블(141)에 기억시킨다.
단계 S2404에서, 통계 처리부(150)는 통계 처리의 결과를 전송 관리 단말(40)에 송신한다.
단계 S2405에서, 동영상 콘텐츠 설정부(160)는 전송 관리 단말(40)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의 설정에 관한 지시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지시를 수신한 경우(단계 S2405의 예), 단계 S2406으로 진행된다. 한편, 지시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단계 S2405의 아니오), 단계 S2407로 진행된다.
단계 S2406에서, 동영상 콘텐츠 설정부(160)는 전송 관리 단말(40)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동영상 콘텐츠 #1에 대한 설정을 실행한다. 동영상 콘텐츠 #1에 대한 설정이란, 동영상 콘텐츠 #1의 섬네일의 설정 및 하이라이트 부분의 설정 등이다. 동영상 콘텐츠 설정부(160)는 동영상 콘텐츠 #1에 대한 설정 내용을 동영상 설정 관리 테이블(142)에 기억시킨다.
단계 S2407에서, 동영상 콘텐츠 설정부(160)는 조작 정보 기억 테이블(141)에 기억되어 있는 동영상 콘텐츠 #1에 대한 조작의 통계 처리 결과를 기초로 하여, 동영상 콘텐츠 #1에 대한 설정을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 형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동영상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실행된 위치나 조작의 내용을, 동영상 콘텐츠의 전송원인 정보 처리 장치(10a)가 수집하여 통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통계 처리 결과를 기초로 하여 동영상 콘텐츠의 제공자가 생방송으로 전송되고 있는 동영상 콘텐츠의 진행을 조정하는 것이나, 정보 처리 장치(10a)가 동영상 콘텐츠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설정하는 것이나, 동영상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킬 때 표시하는 섬네일을 설정하는 것을 할 수 있게 된다.
[그 외]
상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를 단말(20)에 공급해도 좋다. 그리고, 단말(20)이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술한 실시 형태가 달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 기억 매체에는, 상술한 표시 제어 방법을 단말(20)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동영상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촬상 지시를 수취하는 것에 따라 상기 화면의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스크린 샷을 상기 화면 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되, 상기 스크린 샷이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고 있을 때, 상기 동영상 콘텐츠는 상기 화면 내의 상기 제 1 영역과는 다른 제 2 영역에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그리고, 이러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게 된다.
또한, 컴퓨터 장치가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따라, 컴퓨터 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OS(Operating System)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여도 좋다. 아울러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이 실현되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및 치환을 더할 수 있다.
본국 제 출원은 2016년 4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081399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그 전체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1 정보 처리 시스템
10 정보 처리 장치
20 단말
40 전송 관리 단말
110 송수신부(정보 처리 장치)
120 동영상 콘텐츠 전송부
130 SNS 제어부
140 정보 기억부(정보 처리 장치)
141 조작 정보 기억 테이블
142 동영상 설정 관리 테이블
150 통계 처리부
160 동영상 콘텐츠 설정부
210 송수신부(단말)
220 접수부(단말)
230 동영상 콘텐츠 제어부
240 SNS 처리부
250 스크린 샷 생성부
260 표시 제어부
270 정보 기억부(단말)
271 스크린 샷 관리 테이블
272 촬상 데이터 관리 테이블
273 조작 관리 테이블
280 조작 검지부
410 송수신부(전송 관리 단말)
420 표시 제어부
430 접수부(단말)
440 동영상 콘텐츠 설정 조정부
450 정보 기억부(전송 관리 단말)

Claims (10)

  1. 단말에서의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단말의 화면에서 표시하는 단계와,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촬상 지시를 수취함에 따라, 상기 화면에서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스크린 샷을 상기 화면 내의 제 1 영역에서 표시하는 단계
    를 갖되,
    상기 단말에서의 상기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샷을 상기 제 1 영역에서 표시하는 단계의 처리 동안, 상기 동영상 콘텐츠는 중단되지 않고 계속하여 재생되되,
    상기 스크린 샷이 상기 제 1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을 때, 상기 동영상 콘텐츠는 상기 제 1 영역과는 다른 상기 화면 내의 제 2 영역에서 중단되지 않고 계속하여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중첩하지 않게 표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제 2 영역에 중첩하도록 표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스크린 샷에 대한 공유 지시를 수취하는 단계와,
    상기 공유 지시를 받음에 따라, 상기 스크린 샷을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스크린 샷을 공유처에 전송할 것을 해당 정보 처리 장치에 지시하는 단계
    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스크린 샷의 공유처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공유한 상기 스크린 샷에 대한 응답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샷은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취득할 수 있는 네트워크 상의 장소 정보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샷은 해당 스크린 샷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 내의 시간 위치를 특정하는 정보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9. 단말에 있어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단말의 화면에서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촬상 지시를 수취함에 따라, 상기 화면에서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스크린 샷 생성부
    를 갖되,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생성된 상기 스크린 샷을 상기 화면 내의 제 1 영역에서 표시하고,
    상기 스크린 샷 생성부에서의 상기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처리 및 상기 표시 제어부에서의 상기 스크린 샷을 상기 제 1 영역에서 표시하는 처리 동안, 상기 동영상 콘텐츠는 중단되지 않고 계속하여 재생되되,
    상기 스크린 샷이 상기 제 1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을 때, 상기 동영상 콘텐츠는 상기 제 1 영역과는 다른 상기 화면 내의 제 2 영역에서 중단되지 않고 계속하여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단말인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단말의 화면에서 표시하는 단계와,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촬상 지시를 수취함에 따라, 상기 화면에서 재생 중인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스크린 샷을 상기 화면 내의 제 1 영역에서 표시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되,
    상기 단말에서의 상기 스크린 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샷을 상기 제 1 영역에서 표시하는 단계의 처리 동안, 상기 동영상 콘텐츠는 중단되지 않고 계속하여 재생되되,
    상기 스크린 샷이 상기 제 1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을 때, 상기 동영상 콘텐츠는 상기 제 1 영역과는 다른 상기 화면 내의 제 2 영역에서 중단되지 않고 계속하여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187029825A 2016-04-14 2017-04-14 표시 제어 방법, 단말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162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81399A JP6899510B2 (ja) 2016-04-14 2016-04-14 表示制御方法、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6-081399 2016-04-14
PCT/JP2017/015246 WO2017179686A1 (ja) 2016-04-14 2017-04-14 表示制御方法、端末、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522A KR20180126522A (ko) 2018-11-27
KR102162714B1 true KR102162714B1 (ko) 2020-10-07

Family

ID=6004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825A KR102162714B1 (ko) 2016-04-14 2017-04-14 표시 제어 방법, 단말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904608B2 (ko)
JP (3) JP6899510B2 (ko)
KR (1) KR102162714B1 (ko)
WO (1) WO2017179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9586B2 (en) * 2011-05-27 2014-08-26 Microsoft Corporation File access with different file hosts
CN110366028B (zh) * 2018-04-10 2022-11-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屏幕视频获取方法及装置
CN110620875B (zh) * 2019-09-26 2023-08-1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拍摄过程中的截图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740244A (zh) * 2019-10-31 2020-01-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拍照方法
US11955144B2 (en) * 2020-12-29 2024-04-09 Snap Inc. Video creation and editing and associated user interface
US11861141B2 (en) * 2021-10-11 2024-01-02 Motorola Mobility Llc Screenshot capture based on content typ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8309B2 (en) * 2001-10-09 2006-06-27 Microsoft Corp. Image exchange with image annotation
JP2006140901A (ja) 2004-11-15 2006-06-01 Sharp Corp 静止画キャプチャ装置、及び静止画キャプチャ装置の制御方法
JP4698302B2 (ja) * 2005-06-30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再生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情報再生プログラム
JP2008027049A (ja) * 2006-07-19 2008-02-07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001686B2 (ja) 2007-03-15 2012-08-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送信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制御ウェブ・ページ・データ送信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動作制御方法
JP2009020583A (ja) 2007-07-10 2009-01-29 Vector Inc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9116630A (ja) * 2007-11-07 2009-05-28 Sony Corp ウェブ画面の共有システム、その共有用端末機およびその共有プログラム
KR101092769B1 (ko) * 2008-09-30 2011-12-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방송 화면 캡쳐 및 캡쳐 화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448979B1 (ko) * 2009-11-17 2014-10-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캡쳐된 컨텐츠를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EP2751989A4 (en) * 2011-09-01 2015-04-15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CAPTURING VIDEO-ASSOCIATED CONTENT
WO2013035834A1 (ja) * 2011-09-09 2013-03-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端末、映像表示システム、通信端末の処理実行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87123B2 (ja) * 2011-12-13 2016-03-16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システム、第1電子機器、第2電子機器、画像ファイル再生方法および提供方法
KR101411739B1 (ko) * 2012-02-29 2014-06-27 한국과학기술원 세컨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tv 스크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캡쳐하고 이를 소셜 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9413710B1 (en) * 2012-06-23 2016-08-09 Microstrategy Incorporated Targeted content delivery
US9176703B2 (en) * 2012-06-29 2015-11-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screen capture
KR101987463B1 (ko) * 2012-06-29 2019-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5909459B2 (ja) * 2013-05-02 2016-04-26 グリー株式会社 メッセージ送受信支援システム、メッセージ送受信支援プログラム及びメッセージ送受信支援方法
JP2015058720A (ja) * 2013-09-17 2015-03-30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6332930B2 (ja) * 2013-09-17 2018-05-30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90173939A1 (en) * 2013-11-18 2019-06-06 Google Inc. Sharing data links with devices based on connection of the devices to a same local network
JPWO2016017420A1 (ja) 2014-07-31 2017-04-2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0237621B2 (en) * 2016-03-24 2019-03-19 Dish Technologies Llc Direct capture and sharing of screenshots from video program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21125A (ja) 2021-08-19
JP6899510B2 (ja) 2021-07-07
US20210105525A1 (en) 2021-04-08
JP2017192073A (ja) 2017-10-19
JP2023033386A (ja) 2023-03-10
WO2017179686A1 (ja) 2017-10-19
JP7209037B2 (ja) 2023-01-19
US11743529B2 (en) 2023-08-29
KR20180126522A (ko) 2018-11-27
US20190082215A1 (en) 2019-03-14
US10904608B2 (en) 2021-01-26
JP7490830B2 (ja) 202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714B1 (ko) 표시 제어 방법, 단말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6833247B2 (ja) モバイル端末のビデオ記録方法および装置
JP5426008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644215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604250B1 (ko) 게임 동영상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CN104205854A (zh) 在与第一屏幕上的内容同步的第二屏幕上提供社交消息的显示的方法和系统
JP2010009459A (ja) 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装置
KR20100081868A (ko) 통합 채널 관리를 통한 컨텐트 재생 방법 및 장치
WO2013118505A1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編集サーバ、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編集方法、プログラム及び集積回路
JP6706129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62164B2 (ja) 動画像配信システム及び動画像配信方法
JP2017192072A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端末
JP2017192074A (ja) 情報処理方法、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48961A (ko) 핫 씬 서비스 시스템, 핫 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221904B2 (ja) 動画像配信システム及び動画像配信方法
KR102139331B1 (ko) 영상 콘텐츠 재생을 위한 장치, 서버 및 방법
JP6715907B2 (ja) 画像編集装置、画像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46697B1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1009958A (ja)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319782B1 (ja) 動画配信サーバ、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03501B2 (ja) コンテンツ送出装置
JP2018125702A (ja) 映像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22062899A1 (zh) 基于vr场景的视频预览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5198807B2 (ja) 動画像配信システム及び動画像配信方法
KR20160041038A (ko) 핫 씬 서비스 시스템, 핫 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