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051B1 - 승용형 예초기 - Google Patents

승용형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051B1
KR102162051B1 KR1020130035095A KR20130035095A KR102162051B1 KR 102162051 B1 KR102162051 B1 KR 102162051B1 KR 1020130035095 A KR1020130035095 A KR 1020130035095A KR 20130035095 A KR20130035095 A KR 20130035095A KR 102162051 B1 KR102162051 B1 KR 102162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wing
mower
guard member
mower deck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132A (ko
Inventor
사토시 마츠기
히로타카 토다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5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6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with means for discharging mow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20Devices for protecting men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2034/645Lifting means for the cutter of the lawnmower mount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for inspection and mainten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용형 예초기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주행 차체(1)와, 주행 차체(1)의 앞측에 연결된 모워 유닛(2)을 구비한 승용형 예초기로서, 모워 유닛(2)은 회전하면서 풀을 깎는 제 1 회전 예초날(21), 제 2 회전 예초날(22), 제 3 회전 예초날(23)과, 이들 회전 예초날을 수납하고 후방부로 예초를 배출하는 예초 배출구(14)를 갖는 모워 데크(20)와, 예초 배출구(14)로 발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 부재(1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이다.

Description

승용형 예초기{RIDING TYPE MOWER}
본 발명은 리어 디스차지형 예초장치를 구비한 승용형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승용형 예초기로서 주행 차체의 전방부에 리어 디스차지형 예초장치(모워 유닛)를 배치한 예초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예초기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타는 자주 차체(1001)와, 자주 차체(1001)의 앞측에 링크 기구(1008)를 통해 연결된 리어 디스차지형 예초장치(모워 유닛)(1002)를 구비하고 있다. 자주 차체(1001)는 좌우 한쌍의 전륜(1003)과, 좌우 한쌍의 후륜(1004)을 갖고, 자주 차체(1001)의 후방부에는 엔진(100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 좌석(1006)의 하방에는 미션 케이스(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1005)으로부터의 구동력은 이 미션 케이스의 동력 인출축(도시생략)에 연결된 회전축(1007)을 통해 예초장치(1002)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초장치(1002)는 잔디 깎기나 풀 깎기 작업을 행하는 것이며, 미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 실린더(도시생략)를 신축 조작함으로써 링크 기구(1008)가 하강 작업 상태와 상승 비작업 상태로 설정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강 작업 상태는 예초장치(1002)의 접지 게이지 링(1009)이 지면에 접지한 상태이며, 잔디 깎기나 풀 깎기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상승 비작업 상태는 접지 게이지 링(1009)이 지면으로부터 상승한 상태이다.
예초장치(1002)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해서 자주 차체(1001)를 주행시키면 예초장치(1002)가 예초날 하우징(모워 데크(mower deck))(1010)에 수납된 복수의 회전 예초날(1011,1012,1013)에 의해 잔디 깎기나 풀 깎기를 행한다. 그리고, 예초는 예초날 하우징(1010)의 후단부의 대략 전체 횡폭에 걸쳐 설치된 예초 배출구(1014)로부터 예초날 하우징(1010)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구성이다.
일본 특허 제454691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예초장치에서는 예초 배출구(1014)는 예초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이기 때문에 사람의 발이 그 개구부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고, 회전하고 있는 좌우의 회전 예초날(1011,1013)에 접촉할 수 있다는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리어 디스차지형 예초장치를 배치한 예초기의 이러한 과제를 고려해서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용형 예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 본 발명은,
주행 차체(1)와,
주행 차체(1)의 전방측에 연결된 모워 유닛(2)을 구비하는 승용형 예초기에 있어서,
모워 유닛(2)은,
회전하면서 풀을 깎는 회전 예초날(21,22,23)과,
회전 예초날(21,22,23)을 수납하고 후방부로 예초를 배출하는 예초 배출구(14)를 갖는 모워 데크(20)를 구비하고,
모워 데크(20)는 예초 작업 자세와 기립 자세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고,
가드 부재(150)는, 예초 배출구(1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모워 데크(20)가 예초 작업 자세 시에, 가드 부재(150)를 예초 배출구(14)보다 후방에서, 또한 지면에 접근하는 측에 위치하는 예초 작업 시의 자세와,
모워 데크(20)가 기립 자세 시에, 가드 부재(150)를 상방으로 회동하여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하는 청소나 점시 시의 자세로 변경 가능하고,
상기 모워 데크의 좌우 방향의 폭은 상기 주행 차체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고,
가드 부재(150)를 주행 차체(1)보다 좌우 외측에 위치하는 예초 배출구(14)의 후방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이다.
이것에 의해, 예초 작업 시에 예초 배출구로 발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워 데크(20) 내부의 청소나 점검 등을 행할 때, 예초 장치를 기립 자세의 상태로 한 때, 가드 부재(150)를 상방으로 회동하여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하는 자세로 하는 것으로, 가드 부재가 지면과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가드 부재는 예초 배출구로 발이 들어가는 장소를 가드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제 2 본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가드 부재(150)를 예초 배출구(14)의 후방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모워 유닛(2)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이다.
이것에 의해, 유지보수를 위해 모워 유닛을 일으킬 때에 가드 부재를 회동해서 지면으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3 본 발명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드 부재(150)를 프레임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이다.
이것에 의해, 가드 부재는 프레임체이기 때문에 예초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예초가 가드 부재의 프레임체 내를 통과하므로 예초의 배출을 저해하기 어렵다.
또한, 제 4 본 발명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모워 데크(20)의 후단부로부터 예초 배출구(14)의 후방을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시키는 예초 안내 부재(20E)를 설치하고,
가드 부재(150)를 예초 안내 부재(20E)의 상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이다.
이것에 의해, 가드 부재를 예초 안내 부재를 따른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용형 예초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승용형 예초기의 좌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승용형 예초기의 평면도
도 3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의 평면도, (b)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의 배면도, (c)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의 이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요부 사시도
도 6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로부터 벨트 커버를 벗긴 상태의 평면도, (b)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의 좌측면도
도 7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의 가드 부재의 평면도, (b)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의 가드 부재의 정면도, (c)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의 가드 부재의 좌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에 부착된 가드 부재의 사시도
도 9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를 플립업하기 전에 가드 부재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의 사시도, (b)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의 가드 부재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예초장치를 플립업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의 모워 데크의 후방부에 설치된 보강 리브를 나타내기 위해서 천판의 일부를 절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를 플립업한 상태의 좌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E부의 부분 확대도
도 13은 도 11의 우측의 E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4는 종래의 리어 디스차지형 예초장치를 구비한 예초기의 평면도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승용형 예초기에 의한 일실시형태의 승용형 예초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여기에서는 도 1∼도 10을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 1의 승용형 예초기에 대해서 그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승용형 예초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승용형 예초기의 평면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방향이란 풀을 깎을 때의 진행 방향(화살표 A 참조)을 전방향으로서 나타내고, 좌방향이란 승용형 예초기에 작업자가 타서 진행 방향을 보았을 때의 왼손방향(화살표 L 참조), 우방향이란 승용형 예초기에 작업자가 타서 진행 방향을 보았을 때의 오른손 방향(화살표 R 참조)을 나타낸다. 또한, 상방이 화살표 T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의 승용형 예초기는 작업자가 타는 주행 차체(1)와, 주행 차체(1)의 앞측에 좌우 한쌍의 링크 기구의 리프트암(11L,11R)을 통해 연결된 리어 디스차지형 예초장치(모워 유닛)(2)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차체(1)는 좌우 한쌍의 전륜(3)과, 좌우 한쌍의 후륜(4)을 갖고, 주행 차체(1)의 후방부에는 엔진(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주행 차체(1)의 전방부에는 스텝 플로어(6)가 설치되어 있고, 스텝 플로어(6)의 상방에는 운전 좌석(7)이 배치되어 있다. 운전 좌석(7)의 전방에는 스티어링 포스트(8)가 설치되어 있고, 스티어링 포스트(8)의 상부에는 핸들(9)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 좌석(7)의 하방에는 미션 케이스(10)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5)으로부터의 구동력은 이 미션 케이스(10)의 동력 인출축(도시생략)에 연결된 회전축(12)을 통해 예초장치(2)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초장치(2)는 잔디 깎기나 풀 깎기 작업을 행하는 것이며, 승강 실린더(도시생략)의 신축 조작에 좌우 한쌍의 링크 기구의 리프트암(11L,11R)이 연동함으로써 상승 하강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기구의 리프트암(11L,11R)은 각각의 암 선단부(110L,110R)에 있어서 모워 데크(20)의 천판(20t)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링크 기구의 리프트암(11L,11R)이 하강하면 예초장치(2)의 좌우 한쌍의 접지 게이지 링(26)이 지면에 접지한 상태로 되어 잔디 깎기나 풀 깎기 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 모워 데크(20)의 후방부는 좌우 한쌍의 후방부 링크(13L,13R)에 의해 주행 차체(1)의 앞측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모워 데크(20)의 후방부의 상하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한편, 좌우 한쌍의 후방부 링크(13L,13R)에 의한 연결을 해제해서 좌우 한쌍의 링크 기구의 리프트암(11L,11R)을 상승시킴으로써 모워 데크(20)의 내부가 주행 차체(1)의 전방을 향한 기립 자세의 상태(플립업 상태)로 되어 예초장치(2)의 모워 데크(20) 내부의 청소나 점검 등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관해서는 다시 후술한다.
예초장치(2)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해서 주행 차체(1)를 주행시키면 예초장치(2)가 예초날 하우징(모워 데크)(20)에 수납된 3개의 회전 예초날(21,22,23)에 의해 잔디 깎기나 풀 깎기를 행한다. 그리고, 예초는 예초날 하우징(20)의 후단부의 대략 전체 횡폭에 걸쳐 설치된 예초 배출구(14)로부터 예초날 하우징(20)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구성이다.
예초장치(2)의 좌우폭은 좌우 한쌍의 주행 차체(1)보다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초 배출구(14)의 좌우의 양단측, 즉 전륜(3)으로부터 외측의 예초 배출구(14)의 영역에 예초 배출구(14)로 사람의 발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 부재(15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드 부재(150)에 대해서는 다시 후술한다(도 7∼도 9 참조).
이어서, 주로 도 3∼6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예초장치(2)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3(a)는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b)는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3(c)는 본 실시형태 1의 예초장치(2)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 1의 예초장치(2)의 이면도이다. 도 5는 모워 데크(20)를 이면측에서 본 요부 사시도이며, 주요부(프론트 가이드, 회전 예초날, 가드 부재 등) 이외의 구성은 생략되어 있다.
예초장치(2)는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 예초날(21), 제 2 회전 예초날(22), 제 3 회전 예초날(23)과, 이들 회전 예초날을 수납하는 모워 데크(20)와, 모워 데크(20)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축(1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3개의 회전 예초날에 전달하는 전달 벨트(40)(도 6 참조)와, 전달 벨트(40)를 덮는 벨트 커버(24)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 4,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 예초날(21), 제 2 회전 예초날(22), 및 제 3 회전 예초날(23)은 각각 제 1 회전축(21a), 제 2 회전축(22a), 제 3 회전축(23a)을 중심으로 동일방향(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워 데크(20)의 전후에는 접지 게이지 링(26) 이외에 접지 롤러(25,27,28)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모워 데크(20)의 좌우 양단측의 각각의 측벽(20L,20R)에는 모워 데크(20)를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29)가 설치되어 있다(도 3, 도 4 참조).
또한, 모워 데크(20)의 앞측의 좌우 측벽(20fL,20fR), 및 상기 좌우 양단측의 측벽(20L,20R)은 각각 모워 데크(20)의 천판(20t)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축(21a), 제 2 회전축(22a), 제 3 회전축(23a)에는 각각 제 1 풀리(37), 제 2 풀리(38), 제 3 풀리(39)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풀리(37), 제 2 풀리(38), 및 제 3 풀리(39)에 전달 벨트(40)가 감아 걸어져 있어 회전축(1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 벨트(40)에 의해 3개의 회전 예초날(21,22,23)에 전달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엔진(5)으로부터의 구동력이 회전축(12)을 통해 전달 벨트(40)에 전달되면 3개의 회전 예초날(21,22,23)이 각각 E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들 각 회전 예초날(21,22,23)에 의해 잔디 깎기나 풀 깎기를 행한다. 또한, 예초 높이는 접지 게이지 링(26)의 부착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이어서, 주로 도 7∼9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예초장치(2)에 설치된 가드 부재(150)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7(a)는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의 가드 부재(150)와, 가드 부재(150)를 모워 데크(20)의 후방부에 설치된 예초 안내 부재(20E)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판(151)의 평면도이며, 도 7(b)는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의 가드 부재(150)와 부착판(151)의 정면도이며, 도 7(c)는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의 가드 부재(150)와 부착판(151)의 좌측면도이다.
또한, 예초 안내 부재(20E)에 대해서는 더 후술한다.
도 7(a)∼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드 부재(150)는 내부가 중공의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체이며, 주로 가드 본체(152)와, 가드 본체(152)를 부착판(15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 샤프트(153)(「회동축」의 일례에 해당된다)와, 회동 샤프트(153)의 일단측에 배치되고, 가드 본체(152)가 회동 샤프트(153)의 축심방향(도 7(b)의 X참조)으로 시프트하는 것을 규제하는 압축 스프링부재(15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드 본체(152)는 대략 U상으로 절곡된 판부재이며, 그 양단의 변의 한쪽의 변(152a)(「제 2 변」이라고도 불러도 좋다)의 선단부가 회동 샤프트(153)의 일단부(153a)와 직각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고, 다른쪽의 변(152c)(「제 3 변」이라고 불러도 좋다)의 선단부가 회동 샤프트(153)의 타단부(153b)와 직각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변(152a)과 다른쪽의 변(152c) 사이에 있는 중앙의 변(152b)(「제 4 변」이라고 불러도 좋다)은 발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가드 본체(152)의 한쪽의 변(152a)과 다른쪽의 변(152c)의 하단 가장자리부에는 고무 재료 등으로 형성된 시트상의 보호부재(155)가 고정되어 있고, 예초 안내 부재(20E)와 가드 본체(152)가 직접 접촉해서 상처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가드 본체(152)의 다른쪽의 변(152c)의 선단측에는 가드 본체(152)를 볼트(160a)와 너트(160b)에 의해 부착판(151)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판(151)은 예초 안내 부재(20E)의 상면에 나사로 고정되는 저판부(151a)와, 저판부(151a)의 양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져서 회동 샤프트(15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회동 샤프트 지지부(151bL,151bR)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7(a)∼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회동 샤프트 지지부(151bL)에는 단부가 반구형상인 스톱퍼 핀(161)이 삽입 고정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회동 샤프트 지지부(151bL)에는 가드 본체(152)를 부착판(151)에 볼트(160a)와 너트(160b)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공구(도시생략)를 사용해서 가드 본체(152)를 부착판(151)에 고정하고 있는 볼트(160a)와 너트(160b)를 분리함으로써 가드 본체(152)가 회동 샤프트(153)의 축심(X) 둘레로 회동 가능해진다(도 7(c) 참조). 이 경우, 압축 스프링부재(154)의 신장력에 의해 가드 본체(152)가 부착판(151)에 대하여 B방향으로 항상 바이어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드 본체(152)에 대하여 A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외력이 작용했을 때, 가드 본체(152)의 다른쪽의 변(152c)의 상단 가장자리부(152c1)는 스톱퍼 핀(161)의 반구형상의 단부에 접촉하지만, 그 단부가 반구형상이기 때문에 가드 본체(152)는 부착판(151)에 대하여 C방향으로 조금 이동해서 그 단부를 용이하게 타넘을 수 있는 구성이다.
이어서, 도 8,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서 가드 부재(150)의 기능과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2)에 부착된 가드 부재(15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9(a)는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2)를 플립업하기 전에 작업자가 가드 부재(150)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9(b)는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2)의 가드 부재(150)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예초장치(2)를 플립업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좌우 한쌍의 접지 롤러(27)는 지면에 접지하고 있지만, 가드 부재(150)는 지면에 접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은 가드 본체(152)는 볼트(160a)와 너트(160b)에 의해 부착판(15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한쌍의 변(152a와 152c)은 예초 배출구(14)의 경사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중앙의 변(152b)은 예초 배출구(14)로부터 멀어지면서 또한 지면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져 예초 배출구(14)에 발끝이 근접했다 해도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등(도 8의 D 참조)의 부분이 가드 본체(152)의 중앙의 변(152b)에 접촉하므로 더이상 발끝이 예초 배출구(14)에 근접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의 발이 예초 배출구(14)에 들어가는 것을 저지해서 회전하고 있는 좌우의 회전 예초날(21,23)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드 부재(150)는 내부가 중공인 대략 직사각형상의 프레임체이기 때문에, 예초가 예초 배출구(14)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저해하지 않는다.
가드 부재(150)는 예초 배출구(14)로부터 원활하게 풀이 배출되도록 프레임체 내부가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상술한 대략 직사각형상이란 장방형상 이외에 사다리꼴형상이나 평행사변형이나 기타 다각형형상의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초장치(2)의 모워 데크(20) 내부의 청소나 점검 등을 행할 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후방부 링크(13L,13R)에 의한 연결을 해제해서 좌우 한쌍의 링크 기구의 리프트암(11L,11R)을 상승시킴으로써 예초장치(2)를 기립 자세의 상태(플립업 상태)로 한다. 이 경우,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초장치(2)를 기립 자세의 상태로 하기 전에 작업자가 공구(도시생략)를 사용해서 가드 본체(152)를 부착판(151)에 고정하고 있는 볼트(160a)와 너트(160b)를 분리해서 가드 본체(152)를 회동 샤프트(153)의 축심(X) 둘레로 약 90°회전시킬 수 있다(도 7(c)의 화살표 A를 참조).
이것에 의해,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초장치(2)를 기립 자세의 상태로 했을 때라도 가드 본체(152)가 지면과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작업자가 공구(도시생략)를 사용해서 가드 본체(152)를 부착판(151)에 고정하고 있는 볼트(160a)와 너트(160b)를 분리한 후 가드 본체(152)를 회전시키는 것을 잊었다고 해도 예초장치(2)가 기립하기 시작하면 가드 본체(152)가 스톱퍼 핀(161)의 반구형상의 단부를 용이하게 타넘을 수 있으므로 가드 부재(150)가 파손되는 일은 없다.
이어서, 모워 데크(20)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초 안내 부재(20E)는 도 5,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초 배출구(14)의 상단측에 있어서 모워 데크(20)의 후단부가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모워 데크(20)의 후방부가 좌우 폭방향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는 것에 의한 강도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워 데크(20)의 후방부의 강도 저하 개소를 보강하기 위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초 안내 부재(20E)의 근방이며, 모워 데크(20)의 좌우의 폭방향에 있어서 보강용 리브(2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용 리브(20a)는 모워 데크(20)의 내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한, 예초 안내 부재(20E)의 양단은 모워 데크(20)의 후단의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 직각으로 절곡된 좌우 한쌍의 후단부의 측벽(20rL,20rR)과, 삼각형상의 보강판(16L,16R)을 사용해서 용접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워 데크(20)는 앞측의 좌우의 측벽(20fL,20fR), 및 좌우 양단측의 측벽(20L,20R), 및 후단부의 측벽(20rL,20rR)이 삼각형상의 보강판(16L,16R), 및 예초 안내 부재(20E)를 통해 모두 용접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어 강도 상승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좌우 한쌍의 후방부 링크(13L,13R) 등(도 1, 2 참조)에 의해 하중이 가해지는 모워 데크(20)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왜곡이나 변형, 균열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예초 안내 부재(20E)의 하면에는 예초를 더욱 양호하게 안내하기 위한 고무제의 안내판을 부착해도 좋다.
이어서, 도 11, 도 12, 도 13을 참조하면서 예초장치(2)를 기립 자세로 유지해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최초로 편의상 도 11을 사용해서 종래에 있어서의 예초장치를 기립 자세로 하는 경우의 문제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예초장치를 플립업한 상태의 좌측면도이다.
종래의 예초장치를 기립 자세로 할 경우, 좌우 한쌍의 후방부 링크(도 11의 13L(13R) 참조)와 모워 데크(도 11의 20 참조)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빼내서 연결을 해제하고, 링크 기구의 리프트암(도 11의 11L(11R) 참조)을 상승 조작한다. 이것에 의해, 예초장치(도 11의 2 참조)는 상승하면서 예초장치의 자중에 의해 리프트암(도 11의 11L, 11R 참조)의 암 선단부(도 11의 110L, 110R 참조)를 회동축으로 해서 리프트암에 대하여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하고, 균형이 잡힌 상태로 회동을 정지해서 기립 자세가 된다(도 11 참조).
그리고, 작업자는 예초장치의 모워 데크(도 11의 20 참조) 내부의 청소, 점검, 또는 회전 예초날의 교환 등을 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예초장치의 기립 자세는 자중에 의한 밸런스가 취해진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으므로 만일 밸런스가 무너진 경우에 예초장치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기구가 없으므로 기립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어 작업 중에 예초장치가 무너질 가능성도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같은 구성을 채용했다. 이하, 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도 11의 E부의 부분 확대도이며, 연결 브래킷의 일부를 절개해서 그 내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3은 도 11의 우측의 E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링크 기구의 리프트암(11L,11R)의 암 선단부(110L,110R)는 모워 데크(20)의 천판(20t)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연결 브래킷(200L,200R)에 대하여 회동 지지핀(201L,201R)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암 선단부(110L,110R)의 앞측의 모서리부(110aL,110aR)는 45°로 커팅(모따기)되어 있고, 그 근방에는 예초장치(2)의 기립 자세를 유지하는 좌우 한쌍의 고정핀(210L,210R)(도 13 참조)을 삽입하기 위한 제 1 관통 구멍(110bL,110bR)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 브래킷(200L,200R)에도 예초장치(2)의 기립 자세를 유지하는 좌우 한쌍의 고정핀(210L,210R)을 삽입하기 위한 제 2 관통 구멍(202L,202R)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예초장치(2)의 기립 자세를 유지하는 좌우 한쌍의 고정핀(210L,210R)으로서 후방부 링크(13L,13R)와 모워 데크(20)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사용하는 구성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예초장치(2)를 기립 자세로 할 경우, 좌우 한쌍의 후방부 링크(13L,13R)와 모워 데크(20)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빼내서 연결을 해제하고, 링크 기구의 리프트암(11L,11R)을 상승 조작하므로 연결핀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 브래킷(200L,200R)의 앞측면(200aL,200aR)의 상부에는 예초장치(2)의 기립 자세에 있어서의 회동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 기구(2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톱퍼 기구(210)는 상기 앞측면(200aL,200aR)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211L,211R)의 위치에 고정 너트(212L,212R)가 고정되어 있고, 그 고정 너트(212L,212R)에 대하여 스톱퍼 볼트(213L,213R)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스톱퍼 볼트(213L,213R)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높이가 조절된 스톱퍼 볼트(213L,213R)는 록 너트(214L, 214R)에 의해 록킹되는 구성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예초장치(2)를 기립 자세로 할 경우, 좌우 한쌍의 후방부 링크(13L,13R)와 모워 데크(20)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빼내서 연결을 해제하고, 링크 기구의 리프트암(11L,11R)을 상승 조작한다. 이것에 의해,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초장치(2)는 상승하면서 예초장치(2)의 자중에 의해 리프트암(11L,11R)의 암 선단부(110L,110R)의 회동 지지핀(201L,201R)(도 12 참조)을 회동축으로 해서 리프트암(11L,11R)에 대하여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하고, 밸런스가 취해진 상태로 회동을 정지하여 기립 자세가 된다.
작업자는 예초장치(2)가 기립 자세로 되었을 때에, 좌우 한쌍의 스톱퍼 볼트(213L,213R)를 회전시켜서 그 스톱퍼 볼트의 헤드부(213aL,213aR)가 암 선단부(110L,110R)의 앞측의 모서리부(110aL,110aR)에 접촉하도록 그 높이를 조절한 후, 록 너트(214L,214R)를 조임으로써 스톱퍼 볼트(213L,213R)를 록킹한다.
이것에 의해, 예초장치(2)는 기립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기립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 있어서 예초장치(2)의 기립 자세를 유지하는 좌우 한쌍의 고정핀(210L,210R)으로서 예초장치(2)를 기립 자세로 할 때에 좌우 한쌍의 후방부 링크(13L,13R)로부터 빼내어진 연결핀을 사용한다. 즉, 작업자는 좌우 한쌍의 고정핀(210L,210R)으로서 연결핀을 연결 브래킷(200L,200R)의 제 2 관통 구멍(202L,202R), 및 암 선단부(110L,110R)의 제 1 관통 구멍(110bL,110bR)에 각각 삽입해서 예초장치(2)가 회동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예초장치(2)의 기립 자세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더욱 안전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후방부 링크(13L,13R)로부터 빼내어진 연결핀을 고정핀(210L,210R)으로서 사용하므로 새로운 부품은 필요없다.
이어서, 예초장치(2)를 주행 차체(1)로부터 떼어 낸 상태에 있어서 링크 기구의 리프트암(11L,11R)이 벨트 커버(24)의 상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초장치(2)를 주행 차체(1)로부터 떼어 낼 경우, 후방부 링크(13L,13R)를 예초장치(2)로부터 떼어 내고, 또한, 링크 기구의 리프트암(11L,11R)을 주행 차체(1)로부터 떼어 낸다(도 1 참조).
링크 기구의 리프트암(11L,11R)을 주행 차체(1)로부터 떼어 내면 리프트암(11L,11R)은 그 자중에 의해 리프트암(11L,11R)의 암 선단부(110L,110R)의 회동 지지핀(201L,201R)을 회동축으로 해서 벨트 커버(24)의 상면측으로 이동한다(도 1, 도 11, 도 12 참조). 그러나, 리프트암(11L,11R)이 수평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 암 선단부(110L,110R)가 연결 브래킷(200L,200R)의 앞측의 내벽면에 설치된 회동 스톱퍼(도시생략)에 접촉하고, 그래서 회동동작이 정지하여 리프트암(11L,11R)은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예초장치(2)를 주행 차체(1)로부터 떼어 내어 트럭에 실어서 이동하거나, 창고에 보관할 때에 벨트 커버(24)의 상면에 상처가 나지 않으므로 상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시트 등을 벨트 커버(24) 위에 씌우는 등의 작업이 필요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압축 스프링부재(154)를 구비한 가드 부재(150)와 단부가 반구형상인 스톱퍼 핀(161)을 구비한 부착판(151)을 조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가드 부재에 있어서 압축 스프링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부착판에 있어서 단부가 반구형상인 스톱퍼 핀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즉, 이 경우, 예초장치(2)를 플립업 상태로 하기 전에 가드 본체(152)를 좌측의 회동 샤프트 지지부(151bL)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160a)와 너트(160b)를 분리해 두기만 하면 가드 부재는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예초장치(2)가 플립업 상태가 되는 것을 저해하는 일은 없고, 가드 부재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일도 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예초 배출구(14)의 상단측에 있어서 하방으로 경사진 예초 안내 부재(20E)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예초 안내 부재(20E)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가드 부재(15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판(151)은 모워 데크(20)의 예초 배출구(14)의 상단부에 고정하면 좋다.
본 발명의 승용형 예초기에 의하면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용형 예초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하고, 리어 디스차지형 예초장치를 구비한 승용형 예초기 등으로서 유용하다.
1: 주행 차체 2: 예초장치(모워 유닛)
3: 전륜 4: 후륜
5: 엔진 6: 스텝 플로어
7: 운전 좌석 8: 스티어링 포스트
9: 핸들 10: 미션 케이스
11L: 좌측 링크 기구의 리프트암 11R: 우측 링크 기구의 리프트암
12: 회전축 20: 모워 데크
21: 제 1 회전 예초날 22: 제 2 회전 예초날
23: 제 3 회전 예초날 24: 벨트 커버
25, 27, 28: 접지 롤러 29: 프로텍터
150: 가드 부재 151: 부착판
152: 가드본체 153: 회동 샤프트

Claims (5)

  1. 주행 차체(1)와,
    상기 주행 차체(1)의 전방측에 연결된 모워 유닛(2)을 구비하는 승용형 예초기에 있어서:
    상기 모워 유닛(2)은,
    회전하면서 풀을 깎는 회전 예초날(21, 22, 23)과,
    회전 예초날(21, 22, 23)을 수납하고 후방부로 예초를 배출하는 예초 배출구(14)를 갖는 모워 데크(20)를 구비하고,
    모워 데크(20)는 예초 작업 자세와 기립 자세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고,
    가드 부재(150)는, 예초 배출구(1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모워 데크(20)가 예초 작업 자세 시에, 가드 부재(150)를 예초 배출구(14)보다 후방에서, 또한 지면에 접근하는 측에 위치하는 예초 작업 시의 자세와,
    모워 데크(20)가 기립 자세 시에, 가드 부재(150)를 상방으로 회동하여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하는 청소나 점검 시의 자세로 변경 가능하고,
    상기 모워 데크의 좌우 방향의 폭은 상기 주행 차체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고,
    가드 부재(150)를 주행 차체(1)보다 좌우 외측에 위치하는 예초 배출구(14)의 후방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 부재(150)를 상기 예초 배출구(14)의 후방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모워 유닛(2)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 부재(150)를 프레임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워 데크(20)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예초 배출구(14)의 후방을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시키는 예초 안내 부재(20E)를 설치하고,
    상기 가드 부재(150)를 상기 예초 안내 부재(20E)의 상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형 예초기.
  5. 삭제
KR1020130035095A 2012-04-10 2013-04-01 승용형 예초기 KR102162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89763A JP5672260B2 (ja) 2012-04-10 2012-04-10 乗用型草刈機
JPJP-P-2012-089763 2012-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132A KR20130115132A (ko) 2013-10-21
KR102162051B1 true KR102162051B1 (ko) 2020-10-06

Family

ID=4772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095A KR102162051B1 (ko) 2012-04-10 2013-04-01 승용형 예초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649871B1 (ko)
JP (1) JP5672260B2 (ko)
KR (1) KR102162051B1 (ko)
AU (1) AU2013201485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0710B2 (ja) * 2014-12-26 2018-01-31 株式会社クボタ モーアユニット
CN106982585B (zh) * 2016-01-21 2019-06-04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履带式割草机及其转向方法
JP6959489B2 (ja) * 2016-10-21 2021-11-02 有限会社曽田農機設計事務所 刈取作業機及びシステム
US10561065B2 (en) * 2017-11-03 2020-02-18 Venture Products, Inc. Hydraulically controlled flip up mower deck
EP3513645B1 (en) * 2017-12-27 2020-06-03 Stiga S.p.A. in breve anche St. S.p.A. A cutting plate with a safety device for locking the cutting bla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9498A (ja) 2005-09-29 2007-04-12 Kubota Corp リヤディスチャージ形草刈り装置
US20070283675A1 (en) 2004-08-24 2007-12-13 Snapper, Inc. Elongate barrier system for use with lawn mower decks
US20090193779A1 (en) * 2008-01-31 2009-08-06 Todd Hofmann Distribution of material discharged from a rotary mow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8A (en) * 1850-01-15 Spindle and bobbin foe spinning
US9019A (en) * 1852-06-15 Charles fleischbl
US3570225A (en) * 1969-06-02 1971-03-16 Leonard A Miskiewicz Safety shield
US4041678A (en) * 1975-09-08 1977-08-16 Ray Owen Chaney Short turn vehicle
JPH08214664A (ja) * 1995-02-08 1996-08-27 Ooretsuku:Kk 草刈機及び角度調整装置及び揺動制御装置
JP3858424B2 (ja) * 1998-02-12 2006-12-13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用フロントモーア
JP4520909B2 (ja) * 2005-06-27 2010-08-11 株式会社クボタ 草刈機
JP4551333B2 (ja) * 2006-01-12 2010-09-29 株式会社クボタ 草刈機
JP4537959B2 (ja) * 2006-01-12 2010-09-08 株式会社クボタ 草刈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83675A1 (en) 2004-08-24 2007-12-13 Snapper, Inc. Elongate barrier system for use with lawn mower decks
JP2007089498A (ja) 2005-09-29 2007-04-12 Kubota Corp リヤディスチャージ形草刈り装置
US20090193779A1 (en) * 2008-01-31 2009-08-06 Todd Hofmann Distribution of material discharged from a rotary m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72260B2 (ja) 2015-02-18
AU2013201485B2 (en) 2017-01-12
EP2649871A1 (en) 2013-10-16
KR20130115132A (ko) 2013-10-21
AU2013201485A1 (en) 2013-10-24
JP2013215150A (ja) 2013-10-24
EP2649871B1 (en)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051B1 (ko) 승용형 예초기
US9370139B2 (en) Reel mower with pivotal footrest providing access to center rear cutting unit
JP5054611B2 (ja) 草刈機
US7404282B2 (en) Riding lawn mower having a front mower unit
JP2013215150A5 (ko)
US10827664B2 (en) Mower deck lifting ramps
CN109379988B (zh) 三联割草机的开放式脚平台
JP2014087326A (ja) 芝刈作業機
JP2002101722A (ja) 乗用型草刈り機
JP4520909B2 (ja) 草刈機
JP4601004B2 (ja) 乗用型草刈機
JP2018102238A (ja) 乗用型芝刈機
JP7250334B2 (ja) 自走式作業機
EP3366105B1 (en) Riding-type mower
JP7059164B2 (ja) 支持台車及び乗用型草刈機
EP3771321B1 (en) Riding lawn mower
JP6925217B2 (ja) 乗用型草刈機
JP6980635B2 (ja) 乗用型草刈機
JP7124777B2 (ja) 乗用芝刈機
WO1997026785A1 (fr) Structure de panier a herbe
JP4187702B2 (ja) 草刈り機
JP2009207374A (ja) 作業車両
JP2004187514A (ja) 走行式芝刈り機
JP2020156387A (ja) 乗用型芝刈機
JP2018102239A (ja) 乗用型芝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