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150B1 - 자동차의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150B1
KR102160150B1 KR1020140045241A KR20140045241A KR102160150B1 KR 102160150 B1 KR102160150 B1 KR 102160150B1 KR 1020140045241 A KR1020140045241 A KR 1020140045241A KR 20140045241 A KR20140045241 A KR 20140045241A KR 102160150 B1 KR102160150 B1 KR 102160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racket
tube
hinge pipe
steer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9633A (ko
Inventor
오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40045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150B1/ko
Priority to DE102015004817.1A priority patent/DE102015004817A1/de
Priority to US14/687,555 priority patent/US9296419B2/en
Priority to CN201510179883.1A priority patent/CN105035156B/zh
Publication of KR2015011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B62D7/224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acting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steering gear, e.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62D1/18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the entire column being tiltable as a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브라켓의 내측면과 이에 마주하는 힌지파이프의 측면 사이에 슬립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여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장치{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브라켓의 내측면과 이에 마주하는 힌지파이프의 측면 사이에 슬립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여서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100)는, 조향축(101)을 감싸는 중공 형상의 내측튜브(105)가 외측튜브(103)에 삽입되며, 틸트레버의 조임 또는 해제시, 틸트브라켓이 경방향 즉, 조향축(101)과 수직방향으로 수축되거나 이완되면서 틸트 또는 텔레스코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내측튜브(105)는 조향축(101)을 감싸는 중공 형상으로 제공되고, 하부마운팅브라켓(107)은 틸트힌지튜브(111)를 매개로 차체에 결합된 카울브라켓(미도시)에 결합되어서, 틸트 기능 작동시에는 틸트힌지튜브(111)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고, 텔레스코프 기능 작동시에는 외측튜브(103)가 내측튜브(105)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외측튜브(103)의 외주측에는 마운팅브라켓(109)이 결합되고, 마운팅브라켓(109)의 상측면은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어 조향장치(100)를 고정한다.
이러한 조향장치(100)의 일측에는 토크센서와 연결되는 전자제어장치(117)와, 모터(115)의 구동력에 의해 조향력을 보조하는 감속기가 내장된 기어하우징(113)이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경우, 틸트힌지튜브 양단부의 매끄러운 면이 카울브라켓의 내주면에 맞닿은 상태로 결합되는 바, 운전자가 조향휠을 조작할 때 또는 바퀴로부터 역입력이 가해질 때 틸트힌지튜브 양단부의 매끄러운 면과 카울브라켓의 내주면 사이에 슬립(slip) 발생으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되어서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고정브라켓의 내측면과 이에 마주하는 힌지파이프의 측면 사이에 슬립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여서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향축을 감싸는 튜브가 고정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튜브와 고정브라켓을 연결하는 고정부재가 관통되되, 고정브라켓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슬립노이즈를 방지하도록, 고정브라켓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된 힌지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는, 힌지파이프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서로 다른 수개의 돌출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의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브라켓의 내측면과 이에 마주하는 힌지파이프의 측면 사이에 슬립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여서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힌지파이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힌지파이프의 돌기부가 마모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는 데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힌지파이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힌지파이프의 돌기부가 마모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장치(200)는, 조향축(201)을 감싸는 튜브(203)가 고정브라켓(20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튜브(203)와 고정브라켓(205)을 연결하는 고정부재(미도시)가 관통되되, 고정브라켓(205)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슬립노이즈를 방지하도록, 고정브라켓(205)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돌기부(301)가 형성된 힌지파이프(2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튜브(203)는 조향축(201)을 감싸게 되는데, 이러한 튜브(203)는 중공 형상으로 제공되며, 조향축(201)은 조향휠(미도시)과 연결되어서, 운전자가 조향휠을 회전시키게 되면, 조향축(201) 역시 조향휠과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튜브(203)는 어퍼튜브(209)에 삽입되어 결합되어서, 운전자의 텔레스코프 작동시 튜브(203)가 어퍼튜브(209) 내로 인입 또는 인출됨으로써 텔레스코프 작동이 이루어지고, 어퍼튜브(209)의 하부 양측에는 텔레스가이드부(211)가 형성되며, 텔레스가이드부(211)의 양측에는 플레이트브라켓(213)이 구비된다.
또한, 플레이트브라켓(213)은 상단이 서로 연결되어 대략 '∩' 형상을 가지며, 플레이트브라켓(213)은 마운팅브라켓(215)에 결합되어서 차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튜브(203)의 단부에는 브라켓(217)이 구비되는데, 브라켓(217)에는 관통홀(221)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관통홀(221)에 후술할 힌지파이프(207)가 끼워져 결합되게 되며, 이러한 브라켓(217)에 형성된 관통홀(221)의 중심축은 틸트 작동을 위한 회전기준이 된다.
더불어, 관통홀(221)과 힌지파이프(207) 사이에는 고정가이드(223)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가이드(223)는 중공의 원통 형상이되, 단부에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리브(225)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세레이션(227)이 형성되어 있어서, 힌지파이프(207)의 양단부가 고정가이드(223)의 내주면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어서, 힌지파이프(207)는 조향축(201)을 감싸는 튜브(203)가 고정브라켓(20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튜브(203)와 고정브라켓(205)을 연결하는 고정부재(미도시)가 관통되도록 제공되는 중공의 튜브 구조로 형성된다.
즉, 힌지파이프(207)가 브라켓(217)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205)이 결합위치에 배치된 후, 고정부재(미도시)가 고정브라켓(205)의 결합홀(219)과 힌지파이프(207)를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브라켓(217)이 형성된 튜브(203)가 고정브라켓(205)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틸트 작동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고정브라켓(205)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힌지파이프(207)의 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돌기부(30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돌기부(301)는 고정브라켓(205)의 내측면과 이에 마주하는 힌지파이프(207)의 측면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슬립노이즈를 방지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틸트힌지튜브의 양단부는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되어서, 운전자가 조향휠을 조작할 때 또는 바퀴로부터 역입력이 가해질 때 틸트힌지튜브 양단부의 매끄러운 면과 카울브라켓의 내주면 사이에 슬립(slip) 발생으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힌지파이프(207)의 돌기부(301)가 고정브라켓(205)의 내측면에 맞닿게 되므로, 종래 대비 힌지파이프(207)와 고정브라켓(205) 사이의 접촉면적이 획기적으로 줄어들어서, 힌지파이프(207)와 고정브라켓(205) 사이의 슬립노이즈의 발생이 방지되는 것이다.
더불어, 힌지파이프(207)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부(301)는 힌지파이프(207)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서로 다른 수개의 돌출산(303,305)이 형성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데, 도면들에서는 2개의 돌출산(303,305)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돌기부(301)가 서로 다른 수개의 돌출산(303,305)이 형성된 구조로 제공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돌출산(303)이 고정브라켓의 내측면(401)과 맞닿게 되고(도 4의 (a)), 이 후 돌출산(303)이 마모되더라도 상대적으로 덜 돌출된 돌출산(305)이 고정브라켓의 내측면(401)과 맞닿게 되어서(도 4의 (b)), 슬립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힌지파이프(207)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부(301)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301)의 하부에는, 원주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307,309)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돌기부(301)의 하부에 함몰부(307,309)가 형성됨으로써, 돌기부(301)의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돌기부(301)의 하부)에 대한 파단 강도가 보완될 수 있다.
즉, 돌기부(301)의 하부 양쪽에서 힘을 가하여 함몰부(307,309)를 함몰형성하게 되면, 함몰된 부위의 조직이 치밀해지면서 강도가 향상되게 되며, 따라서 돌기부(301) 하부의 응력 집중 부분의 파단 강도가 보완될 수 있고, 더불어 조향장치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브라켓의 내측면과 이에 마주하는 힌지파이프의 측면 사이에 슬립으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여서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장치
201 : 조향축 203 : 튜브
205 : 고정브라켓 207 : 힌지파이프
209 : 어퍼튜브 211 : 텔레스가이드부
213 : 플레이트브라켓 215 : 마운팅브라켓
217 : 브라켓 219 : 결합홀
221 : 관통홀 223 : 고정가이드
225 : 리브 227 : 세레이션
301 : 돌기부 303,305 : 돌출산
307,309 : 함몰부

Claims (4)

  1. 조향축을 감싸는 튜브가 고정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튜브와 상기 고정브라켓을 연결하는 고정부재가 관통되되,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슬립노이즈를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된 힌지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에는, 상기 힌지파이프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서로 다른 수개의 돌출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개의 돌기부는,
    상기 힌지파이프의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20140045241A 2014-04-16 2014-04-16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2160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241A KR102160150B1 (ko) 2014-04-16 2014-04-16 자동차의 조향장치
DE102015004817.1A DE102015004817A1 (de) 2014-04-16 2015-04-14 Lenk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S14/687,555 US9296419B2 (en) 2014-04-16 2015-04-15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CN201510179883.1A CN105035156B (zh) 2014-04-16 2015-04-16 车辆转向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241A KR102160150B1 (ko) 2014-04-16 2014-04-16 자동차의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633A KR20150119633A (ko) 2015-10-26
KR102160150B1 true KR102160150B1 (ko) 2020-09-25

Family

ID=5425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241A KR102160150B1 (ko) 2014-04-16 2014-04-16 자동차의 조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96419B2 (ko)
KR (1) KR102160150B1 (ko)
CN (1) CN105035156B (ko)
DE (1) DE1020150048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708B1 (ko) * 2014-02-10 2019-12-09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
JP6896566B2 (ja) * 2017-08-28 2021-06-30 富士機工株式会社 電動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694B2 (ja) 1990-05-15 2000-06-26 エフ.ジョナサン エム.ターナー 荷重表示ワッシャ
JP2006242206A (ja) 2005-02-28 2006-09-14 Eeshikku:Kk 締結部材
JP4274014B2 (ja) 2004-03-18 2009-06-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導電部材および組電池
JP2014058280A (ja) * 2012-09-19 2014-04-03 Nhk Spring Co Ltd 車両用シートの回動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5823B1 (en) * 1987-10-26 1994-01-05 Nissan Motor Co., Ltd. Tilting and telescopic travelling steering column arrangement
US6139057A (en) * 1999-02-04 2000-10-31 Delphi Technologies, Inc.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steering column
KR100448785B1 (ko) * 2001-12-19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JP4147579B2 (ja) * 2002-01-17 2008-09-10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JP4062082B2 (ja) * 2002-12-12 2008-03-19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GB0525850D0 (en) * 2005-09-01 2006-02-01 Trw Lucasvarity Electric Steer A Steering Column Assembly
KR100986430B1 (ko) * 2008-05-27 2010-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소음저감장치
DE102010044495B4 (de) * 2009-09-07 2014-07-03 Mando Corporation Lenksäule für ein Fahrzeug
KR101345081B1 (ko) * 2010-10-11 2013-12-26 주식회사 만도 충격 흡수 마운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 컬럼
CN103370255B (zh) * 2010-10-08 2016-07-06 Trw操舵系统波兰有限责任公司 转向柱组件
US8997602B2 (en) * 2011-12-21 2015-04-07 Jtekt Corporation Position adjustable steering device
JP5999427B2 (ja) * 2012-11-28 2016-09-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694B2 (ja) 1990-05-15 2000-06-26 エフ.ジョナサン エム.ターナー 荷重表示ワッシャ
JP4274014B2 (ja) 2004-03-18 2009-06-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導電部材および組電池
JP2006242206A (ja) 2005-02-28 2006-09-14 Eeshikku:Kk 締結部材
JP2014058280A (ja) * 2012-09-19 2014-04-03 Nhk Spring Co Ltd 車両用シートの回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35156A (zh) 2015-11-11
KR20150119633A (ko) 2015-10-26
CN105035156B (zh) 2017-12-29
DE102015004817A1 (de) 2015-10-22
US9296419B2 (en) 2016-03-29
US20150298734A1 (en)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7327A (ko) 조향휠 회전제한장치
KR101208890B1 (ko)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동식 조향컬럼
JP642907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30024229A (ko) 벨트식 전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160150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JP2010084893A (ja) 連結構造および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972142B1 (ko) 플레인 와셔를 구비한 틸트 앤 텔레스코픽 조향장치
JPWO2017002970A1 (ja) ケーブルリール
JP5942452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1079473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のシール構造
KR102181869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20150021658A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JP5293641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167920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20090018362A (ko)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JP2016113113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102415785B1 (ko) 전동조향장치
JP2007292165A (ja) 自在継手と軸の結合構造
KR101854983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145200B1 (ko) 전동식 조향장치
JP2013060092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764936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WO2022168849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20027624A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40141114A (ko) 전동식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