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928B1 -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필터 모듈 - Google Patents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필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928B1
KR102157928B1 KR1020170136495A KR20170136495A KR102157928B1 KR 102157928 B1 KR102157928 B1 KR 102157928B1 KR 1020170136495 A KR1020170136495 A KR 1020170136495A KR 20170136495 A KR20170136495 A KR 20170136495A KR 102157928 B1 KR102157928 B1 KR 102157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osmosis
supply spacer
spacer
filter module
osmosis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270A (ko
Inventor
이아영
김대헌
김범주
신정규
이필
민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36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928B1/ko
Priority to JP2019561886A priority patent/JP7298101B2/ja
Priority to CN202211487554.XA priority patent/CN116236905A/zh
Priority to PCT/KR2018/012230 priority patent/WO2019078604A1/ko
Priority to CN201880029524.XA priority patent/CN110603088A/zh
Priority to EP18868326.2A priority patent/EP3698867A4/en
Priority to US16/618,958 priority patent/US11484841B2/en
Publication of KR20190044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01D63/103Details relating to membrane envel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4Specific spacers
    • B01D2313/143Specific spacers on the feed s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2Lamin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세트를 3층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역삼투막과 접촉하는 세트가 공급 스페이서 구조의 중앙으로 원수를 대류시키고 중앙에서는 층류성 유속 구배가 발생하여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분극현상을 감소시키고,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필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필터 모듈{THREE-LAYERED FEED SPACER AND REVERSE OSMOSIS FILTER MODULE FOR WATER TREATME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급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세트를 3층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역삼투막과 접촉하는 세트가 공급 스페이서 구조의 중앙으로 원수를 대류시키고 중앙에서는 층류성 유속 구배가 발생하여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분극현상을 감소시키고,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필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대체 수자원 확보기술인 물 정화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해수담수화, 물의 재이용 등 대체 수자원을 활용한 차세대 수도사업의 핵심기술인 역삼투막(Reverse osmosis membrane)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이 물 산업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역삼투막에 의한 역삼투막 투과수는 순수한 물 내지 한없이 순수한 물에 가까운 물이 되어 의료용의 무균수나 인구 투석용 정제수, 혹은 전자 산업의 반도체의 제조용 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역삼투란 농도차가 있는 두 용액을 반투막으로 분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농도가 낮은 용액이 농도가 높은 쪽으로 이동하면서 일정한 수위차를 발생시키는데 이를 삼투 현상이라고 한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위의 차이를 역삼투압이라고 한다. 이 원리를 이용해 물 분자만 반투막을 통과시켜 물을 정화하는 장치를 역삼투압 설비라고 하며, 여기에 들어가는 반투막이 역삼투압 필터 모듈이다.
이러한 역삼투압 필터 모듈은 중앙 튜브, 공급 스페이서(Feed spacer), 역삼투막(RO membrane), 트리코트 여과수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 공급 스페이서는 원수가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원수가 공급 스페이서를 통하여 유입되는 경우에 공급 스페이서에 의한 흐름 방해로 차압이 발생하게 되면 이는 에너지 비용의 증가로 귀결되기 때문에, 이러한 차압은 낮을수록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수투과 플럭스에 의해 필연적으로 역삼투막 근처에서는 농도 분극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이 심해질수록 역삼투막 근처에서 삼투압이 높아져 수투과율이 저하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차압의 발생을 감소시키며 농도 분극 현상을 완화시킴으로써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공급 스페이서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6074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역삼투막과 직접 접촉되는 층과 접촉되지 않는 층으로 구성됨으로써, 유체의 압력손실을 야기하는 날실의 두께가 감소된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수가 스페이서 구조의 중앙으로 대류함으로써, 역삼투막과 직접 접촉되는 층에서만 국소적으로 난류성 대류가 발생하고 스페이서 구조 중앙에서는 층류성 유속 구배가 발생하여 분극현상을 감소시키는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는 복수개의 날실(Strand)이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1 세트; 상기 제1 세트와 교차되어 제공되고, 복수개의 평행한 날실로 구성되는 제2 세트; 및 원수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복수개의 평행한 날실로 구성되는 제3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세트는, 상기 제1 및 제2 세트 사이 혹은 상기 제1 및 제2 세트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 스페이서는, 단위 길이당 날실의 수(Strand per inch, SPI)는 5 내지 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세트의 교점간의 거리는, 3,800㎛ 내지 12,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세트 사이 각도는, 50°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날실은, 직경이 167㎛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 스페이서는, 두께가 500㎛ 내지 9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 모듈은 길이 방향을 따라 투과액으르 수용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튜브; 및 상기 튜브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튜브 둘레로 권취되는 하나 이상의 역삼투막;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역삼투막과 접촉하며, 상기 튜브 둘레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제1 내지 제3 세트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세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역삼투막과 접촉하며, 상기 제3 세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역삼투막과 비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 스페이서는 역삼투막과 직접 접촉되는 층과 접촉되지 않는 층으로 구성됨으로써, 원수의 난류 유동을 스페이서 구조의 중앙으로 집중시켜 압력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수가 스페이서 구조의 중앙으로 대류함으로써, 역삼투막과 직접 접촉되는 층에서만 국소적으로 난류성 대료가 발생하고 스페이서 구조 중앙에서는 층류성 유속 구배가 발생하여 분극현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의 일측 및 타측에 역삼투막이 위치된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PI가 9인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PI가 7인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급 스페이서 >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의 일측 및 타측에 역삼투막이 위치된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PI가 9인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PI가 7인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스페이서는 복수개의 날실(Stand)이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1 세트(10), 제2 세트(20) 및 제3 세트(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세트(10)는 하나 이상, 복수개의 날실이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는데, 여기서 날실은 원수 방향과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세트(20)는 제1 세트(10)와 교차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세트(20)는 제1 세트(10)와 기울기 방향이 반대로 위치되어 제1 세트(10) 및 제2 세트(20)는 격자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세트(10)는 원수의 흐름 방향으로부터 10°내지 80°각도(a)로 위치될 수 있고, 제2 세트(20)는 원수의 흐름 방향으로부터 100°내지 170°기울기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세트(10)와 제2 세트(20) 사이 각도(a)는 50°내지 90°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트(10)를 구성하는 날실이 원수의 흐름 방향으로부터 60°기울어져 형성되면, 제2 세트(20)의 날실은 원수의 흐름 방향으로부터 110°내지 150°기울어져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세트(10)와 제2 세트(20) 사이 각도가 50°일 때, 제1 세트(10)를 구성하는 날실이 원수의 흐름 방향으로부터 60°기울어져 형성되면, 제2 세트(20)의 날실은 원수의 흐름 방향으로부터 110°기울어져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세트(10)와 제2 세트(20) 사이 각도가 50°미만인 경우, 후술되는 제3 세트(30)와의 간격이 작아짐으로써, 날실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의 단면적이 감소하고 공급 스페이서 중앙 부분에서 층류성 유속 구배가 발생하지 않아 분극 현상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90°초과일 경우, 제3 세트(30)와의 간격이 커짐으로써,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여 원수의 유동이 상하 방향으로 활발하게 일어나 압력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유로는 각 세트를 구성하는 날실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공급 스페이서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되는 역삼투막과 각 세트 사이의 빈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세트(30)는 원수의 흐름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1 세트(10) 및 제2 세트(20) 사이 혹은 3개의 세트 중 가장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세트(10) 일측 및 제2 세트(20) 일측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세트 적층 순서가 제1 세트(10) 상부에 제2 세트(20)가 위치될 경우, 제3 세트(30)는 제2 세트(20)의 일측, 즉,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세트 적층 순서가 제2 세트(20) 상부에 제1 세트(10)가 위치될 경우, 제1 세트(10) 상부에 제3 세트(30)가 위치될 수 있다.
우선, 도 1(b)를 참고하면, 제3 세트(30)가 제1 세트(10) 일측 및 제2 세트(20) 타측에 위치될 경우, 공급 스페이서는 역삼투막과 직접 접촉되는 세트와 접촉되지 않는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3 세트(30)는 역삼투막과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제1 세트(10)와 제2 세트(20)는 역삼투막과 접촉되는 구조이다.
제1 세트(10) 및 제2 세트(20)는 역삼투막과 접촉되어 공급 스페이서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역삼투막과의 사이 원수의 계면 유동을 주기적으로 공급 스페이서 구조의 중앙으로 대류 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스페이서는 원수의 계면 유동을 제3 세트(30)로 대류시켜 제3 세트(30)는 계면 유동의 층류성 유속 구배(Flow Velocity Gradient)를 발생시켜 분극 현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세트(30)는 제1 세트(10)와 제2 세트(20)의 교차점 혹은 교차점과 교차점 사이 1/5 내지 4/5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스페이서는 융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1 세트(10), 제2 세트(20) 및 제3 세트(30)가 접합된 상태로 압출되거나, 제1 세트(10)와 제3 세트(30) 혹은 제2 세트(20)와 제3 세트(30)가 접합된 상태로 압출된 후, 제2 혹은 제1 세트가 적층 및 접합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하면, 제3 세트(30)가 제2 세트(20)의 일측에 위치될 경우, 가장 위에 위치되는 제3 세트(30)는 원수 흐름 방향과 평행함으로 유동을 반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역삼투막과 직접 접촉되는 제1 세트(10)는 원수 계면 유동을 제2 세트(20)로 대류시키고, 제3 세트(30)는 원수를 반으로 분리하여 제2 세트(20)로 대류시켜 역삼투막 계면 근처에서 대류현상이 주기적으로 발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스페이서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세트(10, 20, 30)를 형성하는 날실 간의 간격은 4㎜ 내지 12㎜일 수 있다. 여기서, 날실 간의 간격이 4㎜ 미만일 경우,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고 각 층의 날실 사이 간격이 감소하여 원수의 난류 유동이 필요이상으로 발생하여 압력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날실 간의 간격이 12㎜ 초과일 경우, 날실간의 간격이 증가하고 원수의 상하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 구간이 발생하여 층류성 유속 구배가 발생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세트(10, 20, 30)는 각 세트를 형성하는 날실의 직경이 167㎛ 내지 300㎛로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공급 스페이서의 두께는 500㎛ 내지 9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날실의 직경은 종래의 공급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날실의 직경보다 좁게 제공될 수 있는데, 날실의 직경이 좁아짐으로써 공급 스페이서에 공급되는 유체와 접촉되는 날실의 면적이 감소하여 마찰에 의한 유체의 압력손실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날실의 직경이 167㎛ 미만이고, 공급 스페이서 두께가 500㎛ 미만인 경우, 공급 스페이서 구조를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날실의 직경이 300㎛ 초과이고, 공급 스페이서 두께가 900㎛ 초과일 경우, 공급되는 원수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여 저항력이 증가하고 공급 스페이서의 압력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날실의 직경은 종래 공급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날실의 직경보다 감소됨으로써, 원수가 유동될 수 있는 채널의 공극률(Void Fraction)과 실효 역삼투막 면적(Effective Membrane Area)을 확보할 수 있어 차압 개선뿐만 아니라 생산수의 물성 향상에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스페이서는 단위 길이당 날실의 수(Strand per inch, SPI)가 5 내지 9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세트(10)와 제2 세트(20)가 교차하여 형성되는 교차점 간의 거리(L)가 3,800㎛ 내지 12,000㎛일 수 있다. 여기서, 단위 길이당 날실의 수(SPI)는 인치당 유로의 한 변에 해당하는 날실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세트(10)와 제2 세트(20) 및 제3 세트(30)가 교차하여 형성하는 교점 사이 날실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SPI가 5 미만, 교차점 간의 거리가 12,000㎛초과일 경우, 유로의 단면적이 감소하고 공급 스페이서 중앙 부분에서 층류성 유속 구배가 발생하지 않아 분극 현상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SPI가 9초과, 교차점 간의 거리가 3,800㎛미만일 경우, 유로의 단면적이 증가하고 원수의 유동이 상하 방향으로 활발하게 일어나 압력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역삼투압 필터 모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역삼투압 필터 모듈은 실제적으로 공급되는 물을 역삼투압 원리를 이용하여 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의 구성 요소이다. 역삼투압 필터 모듈은 역삼투막(200), 공급 스페이서(100), 트리코트 여과수로(300) 및 길이 방향을 따라 투과액을 수용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튜브(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나 이상의 역삼투막(200)은 삼투 현상을 이용하여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동시에 정제수가 효과적으로 흘러가도록 유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역삼투막은 튜브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튜브 둘레로 권취되게 된다.
공급 스페이서(100)는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스페이서(100)가 제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공급 스페이서(100)는 3층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데, 여기서 3층이란 공급 스페이서(100)를 구성하는 날실이 3개가 적층된 구조로, 복수개의 날실이 평행으로 위치되어 한 층의 세트를 구성하고 3개의 세트가 적층되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공급 스페이서(100)는 3층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역삼투막(200)과 접촉되는 세트와 역삼투막(200)과 접촉되지 않는 세트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세트는 하나 이상의 역삼투막(200)과 접촉될 수 있고, 제3 세트는 하나 이상의 역삼투막(200)과 비접촉될 수 있다. 역삼투막(200)과 접촉되는 세트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에 공급되는 원수의 유동 방향을 공급 스페이서(100)의 중앙, 즉 역삼투막(200)과 접촉되지 않는 세트로 대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역삼투막(200)과 접촉되지 않는 세트가 위치된 부분에서는 층류성 유속 구배가 발생하고, 역삼투막(200)과 접촉되는 세트 부분에서만 국소적으로 난류성 대류가 발생하여 공급 스페이서(100)의 분극 현상을 감소시키고, 압력 손실을 감소시켜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효율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공급 스페이서(100)는 외부로부터 원수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하나의 역삼투막(200)과 다른 하나의 역삼투막(200)의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공급 스페이서(100)는 하나 이상의 역삼투막(200)과 상측 및 하측에서 접촉하며 하나 이상의 역삼투막(200)과 마찬가지로 튜브 둘레로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공급 스페이서(1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염화 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에스테르(Polyseter)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코트 여과수로(300)는 일반적으로 직물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역삼투막(200)을 통해 정제된 물이 흘러나갈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는 유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트리코트 여과수로(300)는 일반적으로 직물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역삼투막(10)을 통해 정제된 물이 흘러나갈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는 유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튜브(400)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중심에 위치하며, 여과된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튜브(400)의 외측에는 여과된 물이 유입되도록 소정 크기의 공극(혹은 개구)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공극은 여과된 물이 보다 효율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교예>
종래 공급 스페이서는 2층 구조로 제1 세트와 제2 세트만으로 이루어졌다. 비교예 1은 SPI 9, 교차점 사이 거리는 3889㎛ 및 유로 흐름방향과 제1 및 제2 세트가 이루는 각도는 90°인 2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이고, 비교예 2는 SPI 7, 교차점 사이 거리는 5000㎛ 및 유로 흐름방향과 제1 및 제2 세트가 이루는 각도는 90°인 2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로, 실시예 1 내지 3은 제3 세트가 제1 세트와 제2 세트 사이 중간(Middle)에 위치한 구조이다. 유로 흐름방향과 제1 및 제2 세트가 이루는 각도가 50°, 55°및 90°인 3층 구조에 SPI 9, 7 및 5로 변경한 공급 스페이서이다. 실시예 4는 제3 세트가 공급 스페이서 가장 상위에 위치하는 구조이다. SPI 9 및 유로 흐름방향과 제1 및 제2 세트가 이루는 각도가 90°로 형성된 공급 스페이서이다.
특성 △P/길이
(Pa/㎛)
Recovery
/길이
Cross_L
(㎛)
△P
구조 및 날실수 흐름방향 각도
실시예 1 9SPI 50 0.01442 7.81.E-05 6507 68% 감소
55 0.0156 7.75.E-05 5955 67% 감소
90 0.02051 7.77.E-05 3889 55% 감소
실시예 2 7SPI 50 0.01107 7.91.E-05 8366 76% 감소
55 0.01140 7.95.E-05 7657 75% 감소
90 0.01504 7.88.E-05 5000 67% 감소
실시예 3 5SPI 50 0.00856 8.04.E-05 111712 81% 감소
55 0.00878 8.06.E-05 10720 81% 감소
90 0.0109 8.10.E-05 7000 76% 감소
실시예 4 9SPI 90 0.0280 7.73.E-05 3889 39% 감소
비교예 1 9SPI 90 0.0456 7.90.E-05 3889 Reference
비교예 2 7SPI 90 0.0335 7.90.E-05 5000 27% 감소
실시예 1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길이 당 공급 스페이서의 차압(Pa/㎛)이 0.02051로 비교예 1 0.0456보다 감소하였고, 따라서 공급 스페이서 전체 압력이 비교예 1 대비 55% 감소하였다. 즉, 3층 구조는 2층 구조와 비교하여 원수와 공급 스페이서 사이 발생하는 압력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SPI가 동일하고 흐름방향 각도가 감소할수록 길이당 차압이 감소하고 공급 스페이서 전체의 차압 감소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 세트
20: 제2 세트
30: 제3 세트
100: 공급 스페이서
200: 역삼투막
300: 트리코트 여과수로
400: 튜브

Claims (9)

  1. 복수개의 날실(Strand)이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1 세트;
    상기 제1 세트와 교차되어 제공되고, 복수개의 평행한 날실로 구성되는 제2 세트; 및
    원수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복수개의 평행한 날실로 구성되는 제3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세트는,
    상기 제1 및 제2 세트 사이 혹은 상기 제1 및 제2 세트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세트가 이루는 각도는,
    5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스페이서는,
    단위 길이당 날실의 수(Strand per inch, SPI)는 5 내지 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세트의 교점간의 거리는,
    3,800㎛ 내지 12,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실은,
    직경이 167㎛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스페이서는,
    두께가 500㎛ 내지 9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7.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 모듈은,
    길이 방향을 따라 투과액으르 수용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튜브; 및
    상기 튜브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튜브 둘레로 권취되는 하나 이상의 역삼투막;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역삼투막과 접촉하며, 상기 튜브 둘레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제1 내지 제3 세트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세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역삼투막과 접촉하며, 상기 제3 세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역삼투막과 비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
KR1020170136495A 2017-10-20 2017-10-20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필터 모듈 KR102157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495A KR102157928B1 (ko) 2017-10-20 2017-10-20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필터 모듈
JP2019561886A JP7298101B2 (ja) 2017-10-20 2018-10-17 3層構造の供給スペーサおよびそれを含む逆浸透フィルタモジュール
CN202211487554.XA CN116236905A (zh) 2017-10-20 2018-10-17 具有三层结构的供给间隔件和包括其的反渗透膜过滤模块
PCT/KR2018/012230 WO2019078604A1 (ko) 2017-10-20 2018-10-17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필터 모듈
CN201880029524.XA CN110603088A (zh) 2017-10-20 2018-10-17 具有三层结构的供给间隔件和包括其的反渗透膜过滤模块
EP18868326.2A EP3698867A4 (en) 2017-10-20 2018-10-17 FEED SPACER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AND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MODULE INCLUDING IT
US16/618,958 US11484841B2 (en) 2017-10-20 2018-10-17 Feed spacer having three-layered structure, and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modul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495A KR102157928B1 (ko) 2017-10-20 2017-10-20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필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270A KR20190044270A (ko) 2019-04-30
KR102157928B1 true KR102157928B1 (ko) 2020-09-18

Family

ID=6617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495A KR102157928B1 (ko) 2017-10-20 2017-10-20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필터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84841B2 (ko)
EP (1) EP3698867A4 (ko)
JP (1) JP7298101B2 (ko)
KR (1) KR102157928B1 (ko)
CN (2) CN116236905A (ko)
WO (1) WO20190786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284A1 (ko) * 2021-02-16 2022-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필터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1605A (zh) * 2019-08-24 2019-11-15 绍兴耐特塑胶有限公司 一种反渗透膜导流网
WO2021066405A1 (ko) * 2019-10-02 2021-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급측 유로재 및 분리막 엘리먼트
CN112749456A (zh) * 2021-01-20 2021-05-04 武汉理工大学 一种极小曲面隔片及其制作方法、制作装置
WO2024095643A1 (ja) * 2022-10-31 2024-05-10 東レ株式会社 分離膜エレメン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75173A1 (en) 2014-06-25 2015-12-31 Emd Millipore Corporation Compact spiral-wound filter elements, modules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30852B (sv) * 1977-11-18 1983-12-19 Gambro Lundia Ab Anordning for separation medelst semipermeabla membran
JPH06312133A (ja) 1993-04-27 1994-11-08 Hayashi Seisakusho:Yugen 成形吸着体
JP3690012B2 (ja) 1996-12-03 2005-08-31 栗田工業株式会社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
JPH10309445A (ja) 1997-05-12 1998-11-24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膜モジュール
JPH11235520A (ja) * 1998-02-23 1999-08-31 Toray Ind Inc 流体分離素子
US6113782A (en) * 1998-07-28 2000-09-05 Terumo Cardiovascular Systems Corporation Potting of tubular bundles in housing
US6881336B2 (en) 2002-05-02 2005-04-19 Filmtec Corporation Spiral wound element with improved feed space
US20070175812A1 (en) 2004-03-26 2007-08-02 Nitto Denko Corporation Spiral type separation membrane element
JP4688140B2 (ja) * 2004-03-26 2011-05-25 日東電工株式会社 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
CN101040031B (zh) * 2004-10-11 2010-10-13 国际壳牌研究有限公司 从烃混合物中分离发色体和/或沥青类污染物的方法
KR200379549Y1 (ko) 2004-12-31 2005-03-18 주식회사 효성 침지형 평막 모듈
JP5526471B2 (ja) 2007-09-04 2014-06-1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JP2009050759A (ja) * 2007-08-23 2009-03-12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
DE102008036098B4 (de) 2008-08-04 2016-04-28 Mn-Beteiligungs-Gmbh Filtermodul mit spiralförmig gewickelten Flachfilter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araus aufgebautes Filtrationssystem
KR20100129841A (ko) * 2009-06-02 2010-12-10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나권형 역삼투압 필터
JP5756690B2 (ja) 2011-06-30 2015-07-29 株式会社タカギ フィルター成形体の製造方法
CN104411385B (zh) * 2012-06-26 2018-07-20 康韦德塑料制品有限公司 使用低能量进料间隔件的膜过滤
CN104379240A (zh) 2012-06-28 2015-02-25 东丽株式会社 分离膜元件
CN103316590A (zh) * 2013-07-16 2013-09-25 北京倍杰特国际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螺旋膜组件用原水隔离件、含该隔离件的膜组件及反渗透膜装置
US9452383B2 (en) * 2014-04-30 2016-09-27 Uop Llc Membrane separation element and process relating thereto
EP3142776B1 (en) 2014-05-14 2018-10-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piral wound module with integrated permeate flow controller
JP2016022399A (ja) 2014-07-16 2016-02-08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浄水フィルター体
TW202235390A (zh) 2015-04-03 2022-09-16 日商日本電氣硝子股份有限公司 玻璃
KR102096766B1 (ko) 2015-09-30 2020-04-03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나선형 권선 모듈, 브라인 실 및 단부 캡을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
KR102046685B1 (ko) * 2015-09-30 2019-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역삼투압 필터 모듈
CN206103722U (zh) * 2016-09-20 2017-04-19 佛山市美的清湖净水设备有限公司 反渗透膜元件和滤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75173A1 (en) 2014-06-25 2015-12-31 Emd Millipore Corporation Compact spiral-wound filter elements, modules and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284A1 (ko) * 2021-02-16 2022-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필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98867A4 (en) 2020-12-23
US20200086276A1 (en) 2020-03-19
JP7298101B2 (ja) 2023-06-27
WO2019078604A1 (ko) 2019-04-25
KR20190044270A (ko) 2019-04-30
CN116236905A (zh) 2023-06-09
EP3698867A1 (en) 2020-08-26
JP2020519439A (ja) 2020-07-02
US11484841B2 (en) 2022-11-01
CN110603088A (zh)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928B1 (ko)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필터 모듈
KR102046685B1 (ko) 역삼투압 필터 모듈
JP2015009182A (ja) 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及びスパイラル型分離膜モジュール
JPH05168869A (ja) スパイラル型分離膜モジュール
KR102104160B1 (ko) 4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WO2019220886A1 (ja) 流路スペーサ及び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
US11517856B2 (en) Flow path spacer and spiral membrane element
JP6693027B2 (ja) 逆浸透フィルタモジュール
KR20220116941A (ko) 3층 구조의 공급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필터 모듈
KR102230979B1 (ko) 공급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
JP2009050759A (ja) 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
JP2004283701A (ja) スパイラル型分離膜エレメント
KR20200114240A (ko) 역삼투 엘리먼트 차압 감소 피드 스페이서 및 형성 노즐
KR20200112415A (ko) 고회수율 역삼투 스페이서 및 엘리먼트
JP2019198848A (ja) 流路スペーサ及び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