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294B1 -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294B1
KR102157294B1 KR1020180120472A KR20180120472A KR102157294B1 KR 102157294 B1 KR102157294 B1 KR 102157294B1 KR 1020180120472 A KR1020180120472 A KR 1020180120472A KR 20180120472 A KR20180120472 A KR 20180120472A KR 102157294 B1 KR102157294 B1 KR 102157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door
link frame
butt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494A (ko
Inventor
박병학
최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80120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2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컴팩트한 기계식 구성으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외측에 일면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중공형 그립부; 상기 연장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그립부를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시키는 구동부; 상기 그립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버튼부;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도어부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링크프레임부; 및 상기 도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되도록 힌지 연결되되, 일측이 상기 링크프레임부의 내측단과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도어부의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와 연결되는 래치브라킷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apparatus for retractable door handle}
본 발명은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팩트한 기계식 구성으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도어에 의해 실내공간이 개폐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도어는 외부에 도어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어 탑승자가 도어손잡이를 파지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의 도어에 탑승자가 파지하도록 구비된 도어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므로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발생되어 소음이 증가되며 차량의 주행시 공기 저항에 의해 주행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자동차의 도어 외측으로 돌출된 도어손잡이를 도어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주행중에 바람의 간섭이나 풍절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손잡이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세히, 상기 도어손잡이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일면이 개구되며 형성된 함몰 공간에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도어손잡이 및 상기 도어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되어 미려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의 함몰 공간으로부터 팝업되면 사용자가 도어손잡이를 당겨 락킹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된 락킹장치의 래치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도어손잡이는 힌지 회동되어 당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해 상기 래치를 해제하도록 상기 도어손잡이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손잡이가 회동시 상기 힌지에 부하가 집중되며 작용되므로 상기 도어손잡이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3782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팩트한 기계식 구성으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외측에 일면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중공형 그립부; 상기 연장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그립부를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시키는 구동부; 상기 그립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버튼부;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도어부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링크프레임부; 및 상기 도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되도록 힌지 연결되되, 일측이 상기 링크프레임부의 내측단과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도어부의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와 연결되는 래치브라킷부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프레임부의 내측단에 상기 그립부의 팝업 이동시 최대 이동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관통 형성된 장공에는 상기 래치브라킷부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래치브라킷부의 일측이 상기 장공의 외측단으로 배치되되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래치브라킷부의 일측이 상기 장공의 내측단으로 배치되며, 상기 그립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버튼부의 가압시 상기 링크프레임부의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기설정된 거리에 대응되어 제1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측으로 개구되되 상기 제1중공부와 연통되는 제2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프레임부는 상기 제1중공부에 배치되는 제1링크프레임과, 상기 제2중공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링크프레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링크프레임 및 상기 제2링크프레임은 일체로 구비되어 상호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그립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도록 버튼삽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버튼삽입부는 상기 제1중공부와 연통되고, 상기 버튼부의 삽입면과 대향되는 상기 제1링크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도어부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돌설된 링크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링크연결부는 상기 버튼삽입부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제1링크프레임의 폭방향 중앙부에 상기 도어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와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그립부가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된 상태에서 버튼부가 가압되면 링크프레임부에 연동된 래치브라킷부가 회동되어 와이어가 당김됨에 따라 락킹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간단한 기계식 구성으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도어부의 락킹장치 자체의 개폐를 위한 별도의 전기적 장치가 없어도 상기 버튼부의 가압에 따라 상기 링크프레임부가 이동되어 상기 래치브라킷부가 회동되는 구성으로 상기 락킹장치의 해제시 별도의 전력이 요구되지 않아 소비전력이 저감되어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그립부의 팝업 길이에 대응되어 링크프레임부의 내측단에 형성된 장공에 래치브라킷부의 일측이 접촉되어 상기 그립부의 팝업 여부와 관계없이 락킹장치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의도치 않은 락킹장치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도어의 손잡이가 힌지 회동됨에 따라 락킹이 해제되는 종래와 달리, 상기 버튼부를 상기 도어부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락킹장치에 연결된 와이어가 당김되어 잠금 해제되므로 상기 그립부의 마모가 미연에 방지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그립부가 수용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그립부 및 도어부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
도 3 및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측부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이고, 도 3 및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측부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100)는 도어부(10), 그립부(20), 구동부(30), 버튼부(40), 링크프레임부(50), 그리고 래치브라킷부(6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도어부(10)는 차량에 복수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장치로 도시 및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도어부(10)는 차량에 구비되는 도어장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100)는 차량의 도어장치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도어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어부(10)가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로 하여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어부(10)의 외면 일측에는 그립부(20), 구동부(30), 버튼부(40), 링크프레임부(50), 래치브라킷부(60)가 수용되도록 일면이 개구되되, 상기 도어부(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어부(10)는 상기 수용공간(11)이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부(10)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11)에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100)의 각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립부(20)는 그립몸체(21)와, 상기 그립몸체(21)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몸체(2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그립부(20)는 "ㄷ"자 형상으로 도시 및 설명되나, "T", "ㅁ", "ㄱ" 자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그립부(20)가 "ㄷ"자 형상으로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20)는 내부에 상기 링크프레임부(50)가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40)가 선택적으로 내부로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한편, 상기 그립몸체(21)는 상기 수용공간(11)에 삽입시 상기 도어부(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그립몸체(21)는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 전원의 오프시에 상기 수용공간(11)에 완전 삽입되어 외면이 상기 도어부(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21)는 직육면체 등의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몸체(21)의 외면 크기는 상기 수용공간(11)의 개구된 일면이 완전 커버되도록 상기 수용공간(11)의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시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도어부(10)의 수용공간(11)에 삽입되면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21)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부(20)는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팝업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21)의 내부에는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제1링크프레임(51)이 배치되도록 상기 기설정된 길이에 대응되어 상기 도어부(10)의 내측에 형성된 제1중공부(2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중공부(22)는 상기 버튼부(40)의 가압시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기설정된 거리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립몸체(21)의 내측에는 상기 버튼부(40)가 삽입되도록 버튼삽입부(23)가 형성되되, 상기 버튼삽입부(23)는 상기 제1중공부(22)와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버튼삽입부(23)는 상기 그립몸체(21)의 내측에 상기 제1중공부(22)와 연통되도록 관통된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상기 버튼부(40)가 상기 버튼삽입부(23)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제1링크프레임(51)이 상기 제1중공부(2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버튼부(40)가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제1링크프레임(51)이 상기 기설정된 길이반큼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몸체(24)는 상기 그립몸체(21)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부(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20)가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연장몸체(24)는 상기 그립몸체(21) 양단부로부터 상기 도어부(10)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연장몸체(24)는 "T", "ㅁ", "ㄱ" 자 형상 등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그립몸체(21)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부(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장몸체(24)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로 하여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21)의 내측 및 각 상기 연장몸체(24)의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그립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그립공간에 손가락을 넣어 상기 그립몸체(21)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버튼부(40)를 가압하면 상기 도어부(10)가 개방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또한, 각 상기 연장몸체(24)는 상기 그립몸체(21)와 실질적인 수직으로 배치되는 직육면체 등의 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질적으로 수직이라 함은 상기 연장몸체(24)가 상기 그립몸체(21)와 수직에 근접한 미세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몸체(24)의 내부에는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제2링크프레임(52)이 배치되도록 상기 연장몸체(24)의 내측단측으로 개구되되 외측단이 상기 제1중공부(22)와 일체로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중공부(2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중공부(25)의 내경은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제2링크프레임(52)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중공부(25)가 내측단측으로 상기 수용공간(11)과 연통됨에 따라 상기 제1중공부(22)가 상기 수용공간(11)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제1링크프레임(51) 및 제2링크프레임(52)이 상기 제1중공부(22) 및 상기 제2중공부(25)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링크프레임(51) 및 상기 제2링크프레임(52)는 일체로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연장몸체(24)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11)에 상기 그립부(20)를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도어부(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대응되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그립부(20)의 팝업 및 삽입을 매개하는 래크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되도록 기설정된 출력 이상을 갖는 모터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피니언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크부(31)는 상기 구동모터의 피니언과 맞물림 결합되되, 상기 연장몸체(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부(10)의 외면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30)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래크부(31)에 연동되어 팝업 및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100)는 차량의 스마트키(미도시)가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1)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71)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71)는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사이드미러 및 차량 전후방부에 설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부(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키(미도시)를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감지센서(71)에 기설정된 반경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감지센서(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등록 제10-1302944호) '차량 인식 방법 및 장치'에는, LIDAR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에 있는 실제 차량과의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100)는 상기 감지센서(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구동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되도록 상기 구동부(30)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부(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30)는 선택적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되며, 정방향 및 역방향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예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술된 구동부(30)의 정방향 및 역방향이 상호 변경되는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도어부(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의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11)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구동부(30)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차량 또는 상기 도어부(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70)에 차량 또는 상기 도어부(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에 대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구동부(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부(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시에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11)에 완전 삽입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감지센서(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부(10)의 개폐 또는 차량의 정지시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팝업되도록 상기 구동부(30)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하면 상기 감지센서(71)로부터 상기 제어부(70)로 감지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상기 감지센서(71)의 기설정된 반경 범위 내로 접근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30), 상기 제어부(70), 상기 감지센서(71)의 상호간 구성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1)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20)가 팝업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팝업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도어부(10)에 구비된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팝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한편, 상기 버튼부(40)는 상기 그립몸체(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40)는 상기 그립몸체(21)에 형성된 상기 버튼삽입부(23)에 일측이 삽입되되, 타측이 상기 그립몸체(21)의 내측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40)가 상기 그립몸체(21)의 내부로 삽입시 상기 도어부(10)의 내측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되도록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제1링크프레임(51) 외측 및 이에 대응되는 상기 그립몸체(21)의 내부 사이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버튼부(40)를 가압한 뒤 상기 버튼부(40)를 놓으면 상기 탄성부재(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40)가 상기 도어부(1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프레임부(50)는 상기 그립부(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40)가 선택적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크프레임부(50)는 상기 그립몸체(21)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1중공부(22)에 배치되는 상기 제1링크프레임(51)과, 상기 연장몸체(24)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2중공부(25)에 배치되는 상기 제2링크프레임(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링크프레임(51) 및 상기 제2링크프레임(52)은 일체로 구비되어 상호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100)의 제조과정에서 상기 그립부(20)가 상하방향으로 분할되도록 구비되어 분할된 각 그립부 사이로 상기 링크프레임부(50)가 배치된 뒤 각 그립부가 접합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과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버튼삽입부(23)에 삽입된 상기 버튼부(40)의 일측과 대향되는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제1링크프레임(51) 내측에는 상기 도어부(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돌설된 링크연결부(51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연결부(51a)는 상기 버튼삽입부(23)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제1링크프레임(51)의 폭방향 중앙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링크프레임(51)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연결부(51a)는 상기 버튼부(40)의 일측과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버튼부(40) 및 상기 링크연결부(51a)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버튼부(40) 및 상기 링크프레임부(50)가 일체로 구비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버튼부(40)가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링크연결부(51a)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제1링크프레임(51)이 상기 기설정된 길이반큼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제2링크프레임(52) 내측단에는 상기 래치브라킷부(6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장공(53)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제2링크프레임(52) 내측단에는 기설정된 길이로 폭방향의 어느 일측으로 연장 돌설된 돌설연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장공(53) 또는 상기 돌설연결부(미도시)가 상기 래치브라킷부(60)의 일측에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상술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음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링크프레임(52)의 내측단에 장공(53)이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로 하여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장공(53)의 상기 기설정된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11)에 삽입된 상기 그립부(20)의 팝업시 상기 그립부(20)의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으로의 최대 이동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장공(53)의 기설정된 길이는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완전 팝업시의 상기 그립몸체(21)의 외면에서 상기 도어부(10)의 외면까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래치브라킷부(60)의 일측(62)은 상기 장공(53)에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브라킷부(60)의 일측(62)은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제2링크프레임(52) 내측단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브라킷부(60)의 일측(62)에는 상기 장공(53)에 삽입되도록 상기 장공(53)측으로 걸림돌기(미도시)가 연장 돌설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술된 장공(53)를 대체하여 돌설연결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래치브라킷부(60)의 일측(62)에 상기 돌설연결부(미도시)가 걸림되는 걸림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11)에 완전 삽입시 상기 래치브라킷부(60)의 일측(62)이 상기 장공(53)의 외측단(53a)으로 배치되며,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완전 팝업시 상기 래키브라킷부(60)의 일측(62)이 상기 장공(53)의 내측단(53b)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팝업 및 삽입됨과 관계없이 상기 래치브라킷부(60)의 일측(62)이 상기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된 상기 장공(53)의 외측단(53a), 내측단(53b), 외측단(53a) 및 내측단(53b) 사이 중 어느 한곳에 배치되므로 상기 래치브라킷부(60)가 회동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그립부(20)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도어부(10)의 개폐를 위해 락킹장치(미도시)와 연결된 상기 래치브라킷부(60)가 회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용공간 내측면에 접촉센서가 구비되어 접촉센서가 손잡이 내측에 구비된 접촉부와 접촉되면 도어가 잠금되고 손잡이가 팝업되어 접촉센서와 이격되면 도어가 잠금해제되는 구성과 차이점이 존재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도어부(10)에 구비된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팝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노후화, 외력 작용, 또는 오작동 등에 의해 그립부(20)가 의도치 않게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팝업되더라도 상기 도어부(10)의 락킹장치(미도시)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20)의 팝업 길이에 대응되어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내측단에 형성된 상기 장공(53)에 상기 래치브라킷부(60)의 일측(62)이 접촉되어 상기 그립부(20)의 팝업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의도치 않은 상기 락킹장치(미도시)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10)의 락킹장치(미도시) 자체의 개폐를 위한 별도의 전기적 장치가 없어도 상기 버튼부(40)의 가압에 따라 상기 링크프레임부(50)가 이동되어 상기 래치브라킷부(60)가 회동되는 구성으로 상기 락킹장치(미도시)의 해제시 별도의 전력이 요구되지 않아 소비전력이 저감되어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래치브라킷부(60)는 상기 도어부(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되도록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래치브라킷부(60)는 일측(62)이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제2링크프레임(52) 내측단과 연결되며, 타측(63)이 상기 도어부(10)의 락킹장치(미도시)가 개폐되도록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w)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래치브라킷부(60)는 몸체를 형성하는 브라킷몸체와,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제2링크프레임(52) 내측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브라킷몸체의 일측에 굴곡지게 연장 돌설되는 브라킷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링크프레임(52)의 상기 장공(53)이 형성된 내측단부가 상기 제2중공부(25)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제2링크프레임(52)의 내측단부 및 상기 브라킷연장부의 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연장몸체(24)의 내측단 상부가 개구되며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브라킷연장부의 단부와 상술된 상기 래치브라킷부(60)의 일측(62)이 동일한 지점을 지칭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브라킷몸체에는 상기 도어부(10)의 내부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축을 제공하는 회동축부(61)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w)가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와이어연결부와 상술된 상기 래치브라킷부(60)의 타측(63)이 동일한 지점을 지칭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래치브라킷부(60)는 상기 링크프레임부(50)가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와이어(w)가 당김됨에 따라 상기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상기 회동축부(61)를 기준으로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완전 팝업시 상기 래치브라킷부(60)의 일측(62)이 상기 장공(53)의 내측단(53b)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버튼부(40)가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링크프레임부(50)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링크연결부(51a)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링크프레임부(50)가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링크프레임부(50)의 제2링크프레임(52)이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장공(53)의 내측단(53b)에 배치된 상기 래치브라킷부(60)의 일측(62)이 상기 장공(53)의 내측단(53b) 테두리에 걸림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브라킷부(60)가 상기 회동축부(61)를 기준으로 회동되되, 상기 래치브라킷부(60)의 일측(62)이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래치브라킷부(60)의 타측(63)이 회동되어 상기 락킹장치(미도시)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래치브라킷부(60)의 타측(63)이 상기 락킹장치(미도시)로부터 멀어지며 회동됨에 따라 상기 락킹장치(미도시)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w)가 당김되어 상기 도어부(10)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손잡이가 힌지 회동됨에 따라 락킹이 해제되는 종래와 달리, 상기 버튼부(40)를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상기 락킹장치(미도시)에 연결된 와이어(w)가 당김되어 잠금 해제되므로 상기 그립부(20)의 마모가 미연에 방지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축부(61) 및 상기 와이어연결부 및 상기 브라킷연장부를 상호간 연결하는 가상 라인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브라킷몸체가 상기 그립부(20) 및 상기 링크프레임부(50)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회동축부(51)는 상기 브라킷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와이어연결부는 상기 회동축부보다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킷연장부는 상기 와이어연결부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해제를 위해 상기 링크프레임부(50)가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회동축부(61)를 기준으로 상기 브라킷연장부가 제1각도로 회동되면 상기 와이어연결부가 이에 대응되어 상기 제1각도로 회동되어 상기 와이어(w)가 당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각도는 회동축부 및 와이어연결부 및 브라킷연장부가 상호간 일직선의 수평선 상에 구비되어 회동되는 경우의 회동 각도인 제2각도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축부(61) 및 상기 와이어연결부 및 상기 브라킷연장부를 상호간 연결하는 가상 라인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을 해제하는 와이어(w)의 당김을 위한 회동시 회동되는 각도 및 거리가 일직선 배치시보다 감소되므로 마모가 저감되어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회동축부 및 와이어연결부 및 브라킷연장부가 상호간 일직선의 수평선 상에 구비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동축부가 상기 와이어연결부 및 상기 브라킷연장부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와이어연결부가 상기 회동축부 및 상기 브라킷연장부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감지센서(71)를 통해 스마트키(미도시)가 상기 도어부(1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30)가 정방향 제어되어 상기 도어부(10)의 외면에 형성된 수용공간(11)에 배치된 중공형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팝업된다(s10).
그리고,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팝업되면, 상기 그립부(2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버튼부(40)가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링크프레임부(50)가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된다(s20).
이어서, 상기 링크프레임부(50)가 상기 도어부(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일측(62)에 상기 링크프레임부(50)가 연결되며 타측(63)에 상기 도어부(10)의 락킹장치(미도시)에 연결된 와이어(w)가 연결된 상기 래치브라킷부(60)가 상기 회동축부(61)를 기준으로 회동된다(s30).
그리고, 상기 래치브라킷부(60)가 회동되면 상기 와이어(w)가 당김됨에 따라 상기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도어부(10)가 개방된다(s40).
따라서,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팝업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40)가 가압되면 상기 링크프레임부(50)에 연동된 상기 래치브라킷부(60)가 회동되어 상기 와이어(w)가 당김됨에 따라 상기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이 해제되는 간단한 기계식 구성으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10: 도어부
11: 수용공간 20: 그립부
21: 그립몸체 22: 제1중공부
23: 버튼삽입홀 24: 연장몸체
25: 제2중공부 30: 구동부
31: 래치부 40: 버튼부
50: 링크프레임부 51: 제1링크프레임
51a: 링크연결부 52: 제2링크프레임
53: 장공 60: 래치브라킷부
61: 회동축부 62: 브라킷연장부
63: 와이어연결부 70: 제어부
71: 감지센서 w: 와이어

Claims (13)

  1. 외측에 일면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중공형 그립부;
    상기 연장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그립부를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시키는 구동부;
    상기 그립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버튼부;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도어부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링크프레임부; 및
    상기 도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되도록 힌지 연결되되, 일측이 상기 링크프레임부의 내측단과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도어부의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와 연결되는 래치브라킷부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프레임부의 내측단에 상기 그립부의 팝업 이동시 최대 이동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관통 형성된 장공에는 상기 래치브라킷부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래치브라킷부의 일측이 상기 장공의 외측단으로 배치되되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래치브라킷부의 일측이 상기 장공의 내측단으로 배치되며,
    상기 그립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버튼부의 가압시 상기 링크프레임부의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기설정된 거리에 대응되어 제1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측으로 개구되되 상기 제1중공부와 연통되는 제2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프레임부는 상기 제1중공부에 배치되는 제1링크프레임과, 상기 제2중공부에 배치되는 제2링크프레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링크프레임 및 상기 제2링크프레임은 일체로 구비되어 상호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그립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도록 버튼삽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버튼삽입부는 상기 제1중공부와 연통되고,
    상기 버튼부의 삽입면과 대향되는 상기 제1링크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도어부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돌설된 링크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링크연결부는 상기 버튼삽입부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제1링크프레임의 폭방향 중앙부에 상기 도어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와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브라킷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브라킷몸체와, 상기 링크프레임부의 내측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브라킷몸체의 일측에 굴곡지게 연장 돌설되는 브라킷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킷몸체에는 회동축을 제공하는 회동축부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브라킷부는 상기 링크프레임부가 상기 도어부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와이어가 당김됨에 따라 상기 락킹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상기 회동축부를 기준으로 회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부 및 상기 와이어연결부 및 상기 브라킷연장부를 상호간 연결하는 가상 라인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가 상기 그립몸체의 내부로 삽입시 복원력이 작용되도록 상기 링크프레임부의 외측 및 상기 그립몸체의 내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도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대응되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그립부의 팝업 및 삽입을 매개하는 래크부를 포함하고,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부의 이동시 및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역방향 제어하며,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부의 개폐시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팝업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정방향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120472A 2018-10-10 2018-10-10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KR102157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472A KR102157294B1 (ko) 2018-10-10 2018-10-10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472A KR102157294B1 (ko) 2018-10-10 2018-10-10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494A KR20200040494A (ko) 2020-04-20
KR102157294B1 true KR102157294B1 (ko) 2020-09-17

Family

ID=7046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472A KR102157294B1 (ko) 2018-10-10 2018-10-10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2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75032A (zh) * 1999-09-14 2002-10-16 胡夫休尔斯贝克及福尔斯特公司 特别用于机动车的锁系统
KR200359913Y1 (ko) * 2004-05-28 2004-08-21 조재현 자동차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어셈블리
KR101637820B1 (ko) *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1279A (ja) * 1992-12-24 1994-07-12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435895B1 (ko) * 2001-12-17 2004-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75032A (zh) * 1999-09-14 2002-10-16 胡夫休尔斯贝克及福尔斯特公司 特别用于机动车的锁系统
KR200359913Y1 (ko) * 2004-05-28 2004-08-21 조재현 자동차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어셈블리
KR101637820B1 (ko) *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494A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1762B2 (en) Retractable handle arrangement for a door or the like
JP6671437B2 (ja) 引込み式ハンドル構造
EP1402138B1 (fr) Poignee de porte equipee d'un portillon retractable automatique
JP5852337B2 (ja) テールゲート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アセンブリ
US7905530B2 (en) Self-actuating devices
US20230258019A1 (en) Retractable handle arrangement for a door or the like
US8152220B2 (en) Rear door
KR102157301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US11554646B2 (en) Open loop fixed outside pull handle integrated with door belt seal
KR102157294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KR102143041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KR200399006Y1 (ko) 서랍 잠금장치
KR100946142B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CN106014018B (zh) 一种用于童车的锁具
JP2020183667A (ja) 車両ドア構造
KR101193625B1 (ko) 글로브 박스의 셀프 로킹 장치
KR20190068342A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JP7347317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KR20200062525A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KR100471487B1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 고정장치
KR100550626B1 (ko) 글로브 박스의 락 장치
KR100526984B1 (ko) 차량의 내측 도어 핸들
JPH1095278A (ja) 自動車のトノカバー装置
KR101240858B1 (ko) 자동차용 격납식 키
JP2571020Y2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